KR940002947B1 - 액체용기 - Google Patents

액체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2947B1
KR940002947B1 KR1019900011881A KR900011881A KR940002947B1 KR 940002947 B1 KR940002947 B1 KR 940002947B1 KR 1019900011881 A KR1019900011881 A KR 1019900011881A KR 900011881 A KR900011881 A KR 900011881A KR 940002947 B1 KR940002947 B1 KR 9400029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cap
liquid supply
tank
supply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118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00579A (ko
Inventor
히데헤이 가게야마
도시히코 가게야마
세이 니시우라
미츠로 고바야시
요시히데 미츠야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고도부키
도시히코 가게야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고도부키, 도시히코 가게야마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고도부키
Publication of KR9200005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05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29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29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42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with pads or like contents-apply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02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 B65D1/08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adapted to discharge drops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액체용기
제1도는 본 발명 제1실시예의 종단면도.
제2도는 제1도의 A-A선 단면도.
제3도는 선단캡 앞끝부위의 확대단면도.
제4도는 붓체의 확대단면도.
제5도 및 제6도는 캡의 다른 실시예에 대한 확대단면도.
제7도는 본 발명 제2실시예의 종단면도.
제8도 및 제9도는 액공급부재의 앞끝부위 확대단면도.
제10도는 본 발명 제3실시예의 종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탱크부 1c : 지지부
2 : 선단도포부 2a : 액공급구
3 : 액공급부재 4 : 캡
4d : 용제합침부 8 : 펌프공간부
21 : 붓체
본 발명은 예컨대 화장용 매니큐어라든가 수정액 등과 같은 점성액을 추출하기에 적합한 액체용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매니큐어나 수정액 등의 액체용기에 있어서는, 휘발성을 가진 점성액이 수용된 병과 같은 용기에 붓체가 부착된 캡을 씌워, 사용할 때 이 캡을 벗켜내어 캡에 일체로 부착된 붓체에 묻혀진 점성액을 칠하도록 하는 이른바 붓침방식으로 도포부위를 도포하도록 되어 있었다.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의 액체용기에서는, 사용할때마다 붓체에 묻은 점성액의 양을 확인하고 조정하면서 붓달린 캡을 벗겨내어야만 했을 뿐 아니라, 붓체에 묻은 점성액의 양이 적어지면 그때마다 붓달린 캡을 액체용기에 씌워지도록 해서 붓체의 끝을 점성액에다 담구어야만 하고, 또 휘발성을 가진 점성액이 용기주둥이의 안쪽 및 캡의 나사결합부에 묻어 굳어져 붓체끝이 용기내로 원활히 들어가지 않게 된다거나 캡을 나사 결합으로 끼우고 벗기기가 어렵게 되는 등, 사용하기가 대단히 불편하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 최근에는 뒷끝을 녹크함으로써 뒷쪽부위의 판체(板體)를 조금씩 전진시켜 점성액을 압출시키는 기구로된 것이 있기도 하나, 이는 구조가 무척 복잡해서 제조비용도 비교적 비싸지게 됨은 물론 고장이 많이 일어난다고 하는 결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결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탱크내부에 배치된 액공급부재의 펌핑기능에 따라 도포액 등을 외부의 도포면으로 원할히 공급할 수 있어서 도포조작이 쉬워 대단히 편리할 뿐만 아니라, 펌핑기능과 신축부에 의한 간단한 메커니즘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보다 저렴한 비용으로 제조할 수 있고, 고장도 적은 액체용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상과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액체용기는 액공급부재를 전진시키면 펌프공간부의 액이 외부의 도포면으로 공급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종단면도로 도시한 것이고, 제2도는 제1도의 A-A선 단면도인 바, 이는 예컨대 매니큐어나 수정액과 같은 점성액(이하 단지 액이라 함)이 수용된 탱크부(1)와, 이 탱크부(1)의 앞끝에 장착되어 액공급구(2a) 및 붓체(21)를 가진 선단도포부(2), 이 선단도포부(2)내에 축방향으로 미끄럼이동할 수 있도록 배치되어 액공급구(2a)에 일부가 끼워진 액공급부재(3) 및, 상기 선단도포부(2)에 착탈될 수 있도록 장착된 캡(4)을 갖춘 구조로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탱크부(1)는 상기 액에 의해 화학변화를 일으키지 않는 재질로서, 바람직스럽기는 변형될 수 있는 재질인 예컨대 나일론 66이나 나일론 6, 불화비니테린(PVDF), 선상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등으로 만들어져, 그 앞끝쪽 외주에 선단도포부(2)의 끼움부(2b)에 끼워 맞춰지는 나사결합부(1a)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이 나사결합부(1a)는 선단도포부(2)가 쉽게 착탈되어질 수 있다면 요철형상이나 압입등 어떤 수단으로 되어도 좋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1a를 끼움부라 칭하기로 한다.
또 상기 선단도포부(2)의 끼움부(2b)와 탱크부(1)의 끼움부(1a)가 나사결합으로 끼워지는 경우에는 역방향나사으로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스러운 바, 그에 따라 뒤에 설명되는 캡(4)을 탱크부(1)로 부터 벗겨내는 경우, 사용자가 캡(4)을 돌려벗기더라도 선단도포부(2)와 탱크부(1)의 끼움상태가 벗겨질 염려가 없게 될 뿐만 아니라, 오히려 양자의 끼움상태가 보다 강고해지도록 작용하기 때문에 보다 안전한 설계로 된다 하겠다.
그리고 상기 탱크부(1)의 뒷끝부에는 신축부(1b)가 형성되어 있는 바, 이 신축부(1b)는 녹크동작에 따라 신축시켜지게 된다. 여기서 참조부호 1c는 탱크부(1)에 형성된 액공급부재(3)가 흔들리는 것을 저지하기 위해 잘록하게 형서된 지지부이고, 1d는 뒤에 설명되는 펌프내벽이다. 또 액공급부재(3)의 뒷쪽부위 단면은 제2도에 도시된 것과 같이 필요최소한의 단면적으로 되어 녹크력에 감내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참조 부호 5는 교반부재이다.
한편 상기 액공급부재(3)에는, 액유도바아(3a)와, 탱크부(1)와 선단도포부(2) 사이에 장착된 패킹(6)에 걸어맞춰지는 돌출부(3b), 펌프계단부(3c) 및, 녹크부(3d)가 갖춰져 있다. 또 상기 탱크부(1)의 앞끝과 선단도포부(2)의 뒷끝부위내벽사이에는 액증발방지용 패킹(6)이 장착되고, 이 패킹(6)과 상기 펌프계단부(3c) 사이에는 스프링(7)이 장착되어 액공급부재(3)를 뒷쪽으로 밀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이 액공급부재(3)는 그 돌출부(3b)가 패킹(6)에 압입되어 걸어맞춰진 형태로 지지시켜지게 된다.
여기서 상기 돌출부(3b)를 리브형상으로 형성시켜, 이 돌출부(3b)와 패킹(6)사이를 액이 흘러 통과할 수 있는 구조로 하여도, 또 이와는 반대로 패킹(6)에 밀봉시켜지는 형상으로 형성시켜 액이 흘러 통과하지 못하도록 하여도 좋다. 그리고 이 돌출부(3b)가 밀봉형상으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액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하는 보조적인 캡기능도 하게 되지만, 본래적인 캡기능은, 제3도에 도시된 것과 같이 액유도바아(3a)와 이에 닿게 되는 선단도포부(2)의 액공급부(2a)내벽과의 사이에서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제3도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액유도바아(3a) 외주의 상기 액공급구(2a)의 내벽근방에는 환상의 절결부(3aa)가 형성되어 있어서,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액유도바아(3a)와 액공급구(2a) 내벽에 의한 캡기능으로 액의 유출이 방지되게되나, 녹크시에 액유도바아(3a)가 앞쪽으로 이동하면 탱크부(1)내의 액이 절결부(3aa)와 액공급구(2a), 파이프(2d)와 액유도바아(3a)사이 틈을 차례로 거쳐 붓체(21)로 공급되게 된다.
또 이 액공급부재(3)의 펌프계단부(3c)와 탱크부(1)의 펌프내벽(1d) 사이에 펌프공간부(8)가 형성되어 있는 바, 즉 액공급부재(3)의 펌프계단부(3c) 외경과 탱크부(1)의 펌프내벽(1d) 내경이 거의 같은 직경(펌프계단부(3c)가 조금 작은 직경으로 되어 간극(9)이 형성됨)으로 형성되어, 펌프계단부(3c)가 펌프내벽(1d)을 축방향으로 미끄럼이동할 수 있게 되고, 이 펌프계단부(3c)의 전진방향으로의 미끄럼이동에 따라 펌프공간부(8)내의 액이 펌핑기능으로 강제적으로 앞쪽으로 밀려 이동시켜지게 된다.
또 제1도에 도시된 것과 같이 펌프계단부(3c)의 외경과 펌프내벽(1d) 뒷끝사이에 간극(10)이 생기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이 간극(10)을 거쳐 탱크부(1)내의 액이 펌프공간부(8) 방향으로 유입되어 펌프공간부(8)내에 항상 액이 충만시켜지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액공급부재(3)의 녹크부(3d) 뒷끝과 탱크부(1)의 뒷끝내벽(1e)사이에도 간극(11)이 마련되어 있는 바, 이는 탱크부(1)내의 기압이 변하게 되면, 신축부(1b)가 수축되어 액공급부재(3)에 닿아 액이 유출되게 되는 등의 나쁜 영향이 끼치게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이다.
그리고 상기 선단도포부(2)의 액공급구(2a)에는 붓체(21)와 파이프(2d)가 부착부재(2e)를 매개로 고정되어 있고, 또 이 파이프(2e)내에는 액공급부재(3)의 액유도바아(3a)가 미끄럼이동할 수 있도록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이 파이프(2d)는 액유도바아(3a)가 붓체(21)내부를 왕복이동하는 것을 원할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써, 붓체(21)에 파이프구멍이 일체로 형성되게 되면 파이프(2d)가 생략될 수 있다.
또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단도포부(2)에 밀폐상태를 이루도록 착탈될 수 있게 끼워지는 캡(4)이 설치되는 바, 이 캡(4)는 2중캡(4a)을 갖고 있기 때문에, 액의 유출이나 증발이 방지됨과 더불어, 선단도포부(2)의 앞끝에 묻은 액이 2중캡(4a)의 내면에만 묻고 캡(4)이 선단필기구(2)에 끼워 맞춰지는 부위의 내면에는 액이 묻지 않기 때문에, 선단도포부(2)의 끼움부 외면이 더럽혀지지 않게 된다.
다음에는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제1실시예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사용하지 않을 때는, 제1도에 도시된 것과 같이 액공급부재(3)의 액유도바아(3a)가 선단도포부(2)의 액공급구(2a) 내벽에 밀봉상태로 닿아 액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게 된다.
이어 사용할 때에는, 탱크부(1)의 뒷끝을 녹크조작해서 신축부(1b)를 수축시켜 액공급부재(3)를 스프링(7)의 탄발력에 대항해서 앞쪽으로 이동시키면, 전진이 이루어질 때 상술한 바와 같이 펌프단계부(3c)의 외경이 펌프내벽(1d)의 내경과 거의 같은 직경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펌프계단부(3c)가 펌프내벽(1d)을 따라 앞쪽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펌프공간부(8)내의 액중 미량의 액은 간극(9)을 통해 나가게 되나(액의 점도에 따라 다름), 대부분의 액은 펌핑기능에 따라 강제적으로 액공급구(2a)로 부터 파이프(2d)와 붓체(21)를 거쳐 외부로 공급되게 됨과 더불어, 액공급구(2a)와 파이프 및 붓체(21)가 항상 전진해오는 액공급부재(3)의 액유도바아(3a)에 의해 청소되거나 붓체(21)의 정렬작업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액공급로가 막히는 현상 등이 일어나지 않게 된다.
그리고 녹크조작을 해제하면 스프링(7)의 탄발력에 의해 액공급부재(3)가 후퇴해서 다시 제1도에 도시된 원래의 상태로 되돌려지게 된다.
한편 오랫동안 사용하지 않아 액이 침전된 상태로 된 경우에는, 탱크부(1)를 흔들어 교반부재(5)가 액을 교반하도록 한 다음 탱크부(1)을 압압하면 액이 원할히 공급될 수 있게 된다.
제5도 및 제6도는 캡(4)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인 바, 이 캡(4)는 지지축(4b)에 축방향으로 미끄럼이동할 수 있도록 지지된 2중캡(4a)과 이 2중캡(4a)을 앞쪽으로 밀어주는 스프링(4c), 상기 2중캡(4a)과 캡(4)내벽 사이에 장착시켜진 붓체건조방지용 용제함침부재(4d) 및 캡(4)의 내벽에 고정시켜진 패킹(4e)을 갖춘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축(4a)과 2중캡(4a) 사이에는 용제유통용 간극(4f)이 마련되어 있는 바, 이 용제유통용 간극(4f)은, 캡(4)이 선단도포부(2)로 부터 벗겨진 경우에는 지지축(4b)의 봉지편(4ff)에 의해 밀봉시켜지게 되고, 한편 캡(4)이 선단도포부(2)에 끼워진 경우에는 선단도포부(2)에 의해 2중캡(4a)이 스프링(4c)의 탄발력에 대항해서 후퇴하게 됨으로써, 이 간극(4f)을 거쳐 용제가 붓체(21)방향으로 유통되어, 붓체(21)가 마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용제함치부재(4d)에는, 붓체건조방지용으로 탱크부(1)에 수용되는 액과 같은 액이거나 또는 희석액과 같은 용제를 함침시킨 예컨대 휄트(felt)같은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6도는 캡(4)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이 실시예에서는 선단도포부(2) 앞끝 옆쪽에는 2중캡(4a)과 닿는 부분에 축방향을 따라 복수의 리브(2f)가 형성되어 있어서, 캡(4)이 선단도포부(2)에서 벗겨진 경우에는, 2중캡(4a)과 패킹(4e)이 닿아 밀봉되어져 용제가 봉지시켜지게 되는 한편, 캡(4)이 선단도포부(2)에 끼워진 경우에는, 선단도포부(2)에 의해 2중캡(4a)이 스프링(4c)의 탄발력에 대항해서 후퇴하게 되어, 2중캡(4a)의 앞끝과 패킹(4e)사이에 간극(4f)이 생기게 되고, 그에 따라 용제가 이 간극(4f)과 리브(2f)사이를 거쳐 붓체(21)로 유통되게 된다.
제7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종단면도로 도시한 것으로, 이는 붓체(21)가 생략되고 액유도바아(3a)만으로 액이 액공급구(2a)로 부터 외부로 공급되도록 된 것인 바, 이 액유도바아(3a)의 앞끝에는 직경이 큰 캡편(3e)이 형성되어,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선단도포부(2)의 앞끝내벽에 닿아, 액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캡기능을 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이 캡기능이 보다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 제8도에 도시된 것과 같이, 캡편(3e) 및 선단도포부(2) 앞끝내벽을 테이퍼부(2g)이 되도록 하거나, 또는 제9도에 도시된 것과 같이 평행부(2h)를 이루도록 하여도 좋은 바, 이러한 구성에 따라 상술한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의 효과가 얻어질 수 있게 된다.
제10도는 본 발명 액체용기의 제3실시예를 종단면도로 도시한 것으로 이 제3실시예가 상술한 제2실시예와 다른 점은, 액유도바아(3a)의 형상이 길죽한 형상으로 되어, 그 외주면(3a1)과 선단도포부(2)내벽 사이에서 2중 캡기능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구조로 된 점만으로써, 제2실시예와 마찬가지의 효과가 얻어지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신축되어질 수 있는 녹크부를 녹크조작에 따라 액공급부재가 전진되어져 펌프공간부내의 액이 펌핑기능으로 외부로 공급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탱크부내의 액이 원활하고 확실하게 공급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Claims (4)

  1. 내부에 액이 수용되는 신축가능한 탱크부(1)와 이 탱크부(1)의 앞끝에 장착되어 내부를 축방향으로 관통하는 액공급구(2a)를 가진 선단도포부(2), 상기 탱크부(1)내에 배치되어 이 선단도포부(2)내를 왕복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된 액공급부재(3), 이 액공급부재(3)와 상기 탱크부(1)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액공급부재(3)의 전진에 따른 펌핑기능으로 상기 액의 송출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펌프공간부(8)를 갖추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단도포부(2)의 액공급구(2a)에 붓체(21)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용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탱크부(1)의 소정위치에, 상기 액공급부재(3)쪽으로 돌출형성되어 이 액공급부재(3)를 지지하게 되는 잘록부(1c)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용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탱크부(1)에, 붓체(21)가 굳어지는 것을 막기 위해 캡(4)이 착탈될 수 있게 끼워지면서, 이 캡(4)내에 붓체(21)의 건조를 방지하는 액이 함침시켜진 용제함침재(4d)가 배치되어, 캡(4)이 끼워졌을 때에만 액이 외부로 유출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용기.
KR1019900011881A 1990-06-27 1990-08-02 액체용기 KR94000294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169536 1990-06-27
JP2169536A JP3060112B2 (ja) 1990-06-27 1990-06-27 液体容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0579A KR920000579A (ko) 1992-01-29
KR940002947B1 true KR940002947B1 (ko) 1994-04-09

Family

ID=158883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11881A KR940002947B1 (ko) 1990-06-27 1990-08-02 액체용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3060112B2 (ko)
KR (1) KR94000294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66765B2 (ja) * 2005-01-28 2010-10-20 株式会社吉野工業所 定量吐出容器
JP5109166B2 (ja) * 2006-07-20 2012-12-26 株式会社 資生堂 液状化粧料塗布具及びこれを保持する台
KR200451864Y1 (ko) * 2008-10-15 2011-01-17 (주)아모레퍼시픽 급속 냉각부를 갖는 화장품 용기
JP5328395B2 (ja) * 2009-02-03 2013-10-30 三菱鉛筆株式会社 液体塗布具のキャップ
CN104003044B (zh) * 2014-06-01 2016-01-27 陈烨 生态可降解薄膜止回贮液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0579A (ko) 1992-01-29
JP3060112B2 (ja) 2000-07-10
JPH0457771A (ja) 1992-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224472B1 (en) Fountain applicator handle
US7086799B1 (en) Marker
WO1999011471A2 (en) Retractable felt-tipped pen
WO2019073703A1 (ja) 塗布具
CA2091574A1 (en) Correction fluid dispenser
NL8700697A (nl) Kwast.
KR940002947B1 (ko) 액체용기
US4993860A (en) Applying device
KR960002248B1 (ko) 도포기구
WO2001081100A1 (fr) Dispositif d'enduction
JP3312316B2 (ja) ノック式塗布具
US8246264B2 (en) Applicator for transporting, dispensing and applying material
US5092702A (en) Fluid discharge device
US6386782B1 (en) Grout sealer applicator
KR910003018Y1 (ko) 액상체 필기 및 도포기구
KR900011375Y1 (ko) 도포구
US4997301A (en) Fountain pen
WO2006017513A1 (en) Pressure activated lubricating and cleaning instrument
KR930001723Y1 (ko) 액체용기
EP0182848A1 (en) A holder for an applicator and a dispenser for liquids or pastes having such a holder
JP5046876B2 (ja) 液体塗布容器
JP3926008B2 (ja) 塗布具
KR200171254Y1 (ko) 주사기형 풀병
KR930003162Y1 (ko) 유동체 도포구
JPH0739804A (ja) ボールペン型塗布具用チッ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032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