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1864Y1 - 급속 냉각부를 갖는 화장품 용기 - Google Patents

급속 냉각부를 갖는 화장품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1864Y1
KR200451864Y1 KR2020080013761U KR20080013761U KR200451864Y1 KR 200451864 Y1 KR200451864 Y1 KR 200451864Y1 KR 2020080013761 U KR2020080013761 U KR 2020080013761U KR 20080013761 U KR20080013761 U KR 20080013761U KR 200451864 Y1 KR200451864 Y1 KR 20045186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smetic
container
contents
cosmetics
rapid coo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1376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4253U (ko
Inventor
유창규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202008001376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1864Y1/ko
Publication of KR2010000425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425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186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186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9/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 B05B9/03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characterised by means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 B05B9/04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characterised by means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 pressurised or compressible container; with pump
    • B05B9/08Apparatus to be carried on or by a person, e.g. of knapsack type
    • B05B9/085Apparatus to be carried on or by a person, e.g. of knapsack type with a liquid pump
    • B05B9/0872Apparatus to be carried on or by a person, e.g. of knapsack type with a liquid pump the pump being a peristaltic pum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06/00Special receptacle or package
    • Y10S206/823Cosmetic, toilet, powder puf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다양한 종류와 특성으로 된 내용물이 수용되는 화장품 용기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화장품 용기의 바닥부를 통해 열전소자의 냉기가 전달되게 한 화장품 냉각장치의 특성을 고려하여, 상기의 화장품 용기의 하부에 잘록부에 의한 급속 냉각부를 형성함으로써 화장품 용기의 바닥부를 통해 전달되는 냉기만으로도 제한된 체적 내에 위치하고 있는 화장품 내용물을 신속하게 냉각시킬 수 있는 것이며, 용기의 하부에 마련된 급속 냉각부 내의 내용물은 펌핑 배출수단의 배출관 하단을 통해 유입되어 용기의 외부로 배출되므로 사용자는 빠른 시간 내에 급속하게 냉각된 화장품을 지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화장품의 사용감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으면서도, 행사장이나 야외 등의 현장에서도 냉각 상태의 화장품을 빠르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으므로 화장품 냉각장치의 본래 목적을 충실히 달성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는 급속 냉각부를 갖는 화장품 용기이다.
화장품, 용기, 급속, 냉각, 잘록부, 펌프, 배출관, 하부캡

Description

급속 냉각부를 갖는 화장품 용기{Cosmetics container having quick cooling part}
본 고안은 다양한 종류와 특성으로 된 내용물이 수용되는 화장품 용기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화장품 용기의 하측에 잘록부에 의한 급속 냉각부를 형성함에 따라, 열전소자에 의한 휴대용 화장품 냉각장치를 이용하여 화장품 내용물을 차갑게 냉각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의 급속 냉각부 내의 내용물이 우선하여 빠르게 냉각되므로 용기 내의 배출관 하단을 통해 상기와 같이 냉각된 상태의 내용물이 배출되게 한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장품은 사용자의 외적인 아름다움을 향상시키는 목적 이외에도, 사용자의 피부에 영양을 공급하면서도 피부의 수분을 유지시켜 신진대사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하므로, 피부 탄력을 유지시키거나 자외선 또는 대기 중의 이물질이 직접 피부에 접촉되는 것을 차단하여 사용자의 피부를 보호하는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사용되어지는 화장품의 요구 품질은 기능품질과 보증품질 및 관능품질, 감정품질에 주안점을 두고 개발함과 동시에 상기의 4가지 요구 품질은 소 비자가 화장품을 구매하는 결정적인 요건이 된다.
상기의 기능품질은 피부를 아름답고 매혹적이게 유지하도록 하는 것을 말하고, 상기의 보증품질은 피부에 부작용이 없으면서 미생물에 의한 오염으로부터 안정성이 보장되는 것을 말하며, 관능품질은 피부감각과 촉각 및 냉온감각과 후각, 시각 등으로 된 인간의 감각에 의하여 기호도를 평가하는 것을 말한다.
또한, 감정품질은 화장품을 사용하는 과정에서 얻게 되는 심리적인 감정에 대한 것을 말하는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4가지의 품질 요건을 갖춘 화장품을 이용하여 피부보호 및 피부미용을 위한 화장을 하게 되고, 상기의 피부보호와 피부미용을 위해 사용되는 화장품은 대개 일반적인 대기 중의 상온에서 보관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화장품을 대기 중에 장기간 보관 및 사용할 경우 화장품이 변질될 우려가 많으며, 만일 변질된 화장품을 사용하는 경우 사용감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피부의 땀구멍을 막거나 피부를 거칠게 함은 물론 피부병 등의 부작용을 유발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이 야기됨에도 불구하고 대개의 사용자는 화장품을 대기 중에 보관한 상태에서 바로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고, 대기 중에 보관된 상태에서 화장품을 사용하다 보니 계절차 또는 실내 온도차에 따라 사용감이 떨어지는 경우가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근자에 들어서는 화장품의 내용물 온도를 적정하게 유지시켜 주기 위한 화장품 전용 저장고 또는 화장품 냉장고가 안출되어 화장품의 사용감을 충족 시키면서도 보관성이 향상되게 하고 있는 것인데, 상기의 화장품에 대한 내용물의 온도를 적정하게 유지시켜 주므로 이를 사용하는 사용자는 뛰어난 사용감은 물론 냉각된 내용물에 의한 상쾌함을 동시에 얻을 수 있는 것이다.
상기의 화장품 전용 저장고는 화장품 내용물의 온도가 8~10℃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인데, 상기와 같은 화장품 전용 저장고를 사용하지 않고 일반적인 상온 대기 중에 보관된 화장품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화장이 들뜨거나 본래의 색도를 발휘하지 못하므로 소비자의 불만을 초래하는 원인이 되기도 하는 것이다.
따라서, 대부분의 사용자가 경제적인 지출에 대한 부담감을 갖고 있으면서도 화장품에 대한 사용감을 극대화시키기 위해 화장품 전용 저장고를 구매하여 사용하고 있는 추세이며, 근자에 들어서는 이동 및 휴대성이 떨어지는 화장품 전용 저장고의 단점을 보완한 이동식 화장품 냉각장치 등이 개발되어 사용되기도 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의 이동식 화장품 냉각장치는 전원이 인가되면 냉열특성을 나타내는 열전소자로 이루어져 있는 것으로서, 상기의 열전소자 상부에 화장품 용기를 올려놓으면 냉열특성의 열전소자에 의해 상기의 화장품 용기는 물론 내부의 내용물이 차갑게 냉각되므로, 냉각 상태의 내용물에 의한 화장품의 사용감을 그대로 유지시킬 수 있어, 일반 사용자는 물론 메이크업 관련자를 중심으로 급속도로 보급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열전소자에 의한 화장품 냉각장치는 평판 형태로 된 열전소자의 상부면에 화장품 용기를 올려놓아 상기 열전소자의 냉열특성에 따라 열전소자의 상부면의 냉기에 의해 화장품 용기 내의 내용물이 냉각되게 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비교적 소형의 열전소자를 이용하여 화장품 용기의 내용물 전체를 냉각시키는 데에는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의 열전소자에 의한 화장품 내용물의 냉각방법은 열전소자의 냉기가 화장품 용기의 바닥면을 통해서만 전달되므로 화장품 용기 내의 전체 내용물이 충분히 냉각되는 데에는 많은 시간과 많은 소비 전력을 요구하게 되는 것이다.
이에, 상기의 화장품 냉각장치를 행사장이나 야외 등의 현장에서 이를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사용하고자 하는 화장품을 냉각시키는데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므로 번거롭고 불편한 것이며, 상기의 화장품 냉각장치는 대부분 단일의 화장품만을 냉각시킬 수 있을 정도의 크기와 용량을 갖고 있어 많은 종류의 화장품을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더욱 극심한 불편함을 겪게 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전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한 것으로서, 화장품 용기의 하부에 잘록부에 의한 급속 냉각부를 형성함으로써, 열전소자에 의한 화장품 냉각장치를 이용하여 화장품 내용물을 냉각시키고자 하는 경우 상기의 열전소자에 의한 냉기는 급속 냉각부 내부의 내용물 만을 우선하여 냉각시키게 되는 것이고, 펌핑 배출구조를 갖는 화장품 용기 내 배출관의 하단은 용기의 내측 바닥부에 위치하게 될 것이므로, 상기와 같이 국부적인 형태로 급속 냉각된 내용물 만이 배출관을 통해 배출되므로 화장품 냉각장치에 의한 본래의 목적을 가일층 향상시키면서도, 행사장이나 야외 등의 현장에서도 신속하게 냉각된 상태의 화장품을 사용할 수 있게 한 특징을 갖는 급속 냉각부를 갖는 화장품 용기를 제공함에 본 고안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배출펌프를 갖는 상부캡이 하부용기에 체결되게 하고, 상기 배출펌프에 결합되는 배출관은 하부용기의 내측 바닥부에 위치되게 한 화장품 용기에 있어서, 상기 하부용기의 하측에는 잘록부에 의한 급속 냉각부를 형성하여, 화장품 냉각장치로부터 제공되는 냉기에 의해 상기의 급속 냉각부 내의 내용물이 빠르게 냉각되어 배출관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게 구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본 고안은, 화장품 용기의 바닥부를 통해 열전소자의 냉기가 전달되게 한 화장품 냉각장치의 특성을 고려하여, 상기의 화장품 용기의 하부에 잘록부에 의한 급속 냉각부를 형성함으로써 화장품 용기의 바닥부를 통해 전달되는 냉기만으로도 제한된 체적 내에 위치하고 있는 화장품 내용물을 신속하게 냉각시킬 수 있는 것이며, 용기의 하부에 마련된 급속 냉각부 내의 내용물은 펌핑 배출수단의 배출관 하단을 통해 유입되어 용기의 외부로 배출되므로 사용자는 빠른 시간 내에 급속하게 냉각된 화장품을 지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화장품의 사용감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으면서도, 행사장이나 야외 등의 현장에서도 냉각 상태의 화장품을 빠르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으므로 화장품 냉각장치의 본래 목적을 충실히 달성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고안자는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화장품 용기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화장품 용기의 전체 단면도이다.
도시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화장품 용기는 배출펌프(11)를 갖는 상부캡(10) 과 내부의 수용공간을 갖는 하부용기(20)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배출펌프(11)로부터 하향 인출된 배출관(12)은 하부용기(20)의 내측으로 삽입되도록 상부캡(10)과 하부용기(20)를 서로 체결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때, 상기의 하부용기(20)에는 잘록부(21)에 의한 급속 냉각부(22)가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서, 상기의 잘록부(21)는 배출관(12)이 하부용기(20)의 바닥면을 향하여 삽입될 정도의 내용물 유통 공간을 제외하고 하부용기(20)의 외면을 내측 중앙을 향하여 오목하게 형성한 것이다.
이와 같은 잘록부(21)에 의해 하부용기(20)의 하단에는 급속 냉각부(22)가 형성되는 것인데, 상기의 하부용기(20) 내에 내용물을 충전하는 경우 상기의 급속 냉각부(22)를 포함한 하부용기(20)의 내부 전체에 화장품 내용물이 충전될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와 같은 화장품 용기를 행사장이나 야외 등의 현장에서 냉각하여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휴대가 가능한 간단한 구조로 된 화장품 냉각장치(40)를 사용하게 되는 것인데, 도 3의 도시와 같이 급속 냉각부(22)를 갖는 하부용기(20)의 바닥면을 화장품 냉각장치(40)에 올려놓는 것으로 화장품 내용물에 대한 냉각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즉, 상기의 화장품 냉각장치(40)는 내부의 열전소자(41)와 열전소자(41)의 하부에 위치하는 방열판(42) 및 방열판(42)의 하부에 위치하는 방열팬(43)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서, 상기의 열전소자(41)에 전원을 인가하면 열전소자(41)의 냉열 특성에 따라 상부면은 냉기가 발산되고 하부면은 열기가 발산되므로 상기와 같은 열전소자(41)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냉기를 이용하여 화장품 내용물을 냉각시키 면 되는 것이다.
또한, 열전소자(41)의 하부에서 발생하는 열기는 방열판(42)을 통해 외부로 발출되거나 또는 방열팬(43)을 더 설치한 경우 방열팬(43)으로 인하여 더욱 용이하게 열이 외부로 방출되게 하는 것이고, 상기의 방열팬(43)이 회전함에 따라 외부의 공기와 열기가 순환되어 상기의 열전소자(41)의 열기가 방출되는 것이므로 열전소자(41)의 특성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의 열전소자(41) 상부면에 하부용기(20)의 바닥면이 밀착되도록 위치시키면 상기의 열전소자(41)로부터 방출되는 냉기가 하부용기(20)의 바닥면을 통해 급속 냉각부(22) 내의 내용물을 빠르게 냉각시키는 것이다.
즉, 상기와 같이 냉기를 전달받는 급속 냉각부(22) 내의 내용물은 잘록부(21)에 의해 하부용기(20) 전체의 내용물과의 열전도성이 떨어지게 되므로 급속 냉각부(22) 내의 내용물 만이 우선하여 빠르게 냉각되는 특성을 갖게 된다.
따라서, 상부캡(10)에 마련된 배출펌프(11)를 가압 펌핑하게 되면 배출관(12)의 하단을 통해 급속 냉각부(22) 내의 내용물 만을 외부로 배출시키므로 사용자는 보다 빠른 시간내에 냉각된 상태의 화장품 내용물을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급속 냉각부(22) 내의 냉각된 내용물이 배출관(12)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면 급속 냉각부(22) 상측으로부터 하부용기(20) 내의 내용물이 보충될 것이고, 보충되는 내용물은 배출관(12)의 하단과 가장 먼 위치에 있으므로 상기의 급속 냉각부(22) 내의 내용물을 연속적으로 배출 사용하더라도 사용자는 지속 적으로 냉각된 상태의 화장품 내용물을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 화장품 용기에는 하부용기(20)의 저면에 별도의 하부캡(30)을 결합하여 급속 냉각부(22)의 냉각 속도 및 냉각 효율이 향상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는 것인데, 도 4의 도시와 같이 하부용기(20)의 하측으로부터 금속재로 된 별도의 하부캡(30)을 끼워 결합한 상태에서 상기의 화장품 냉각장치(40)를 이용한 화장품 냉각 과정을 수행하게 되면, 화장품 냉각장치(40) 내의 열전소자(41)는 하부캡(30)의 바닥면을 우선하여 냉각시키게 되는데, 상기의 하부캡(30)은 전기한 바와 같이 금속재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빠른 열전도 특성에 의해 하부용기(20)의 급속 냉각부(22) 저면과 측면을 통해 동시에 냉기를 전달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하부캡(30)은 상기와 같이 열전도 효율을 상승시켜 더욱 빠른 냉각이 이루어지게 하면서도, 하부용기(20)에 형성된 잘록부(21)를 외부로부터 은폐시키는 역할도 하므로 종래와 동일한 외형의 화장품 용기를 생산하면서도 급속 냉각부(22)에 의한 뛰어난 화장품 사용감을 동시에 얻을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된 하부용기(20)에 의한 화장품 용기는 행사장이나 야외의 현장 등에서 빠르고 신속하게 화장을 하여야 하는 경우 더욱 효과적일 것이며, 일반 가정 내에서 화장품 저온 보관장치를 구비하지 않더라도 간단한 구조로 된 화장품 냉각장치를 이용하여 다양한 종류의 화장품을 빠르게 냉각시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화장품 용기의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화장품 용기의 전체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화장품 용기의 냉각상태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화장품 용기의 다른 실시예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상부캡 11 : 배출펌프
12 : 배출관
20 : 하부용기 21 : 잘록부
22 : 급속 냉각부
30 : 하부캡
40 : 화장품 냉각장치 41 : 열전소자
42 : 방열판 43 : 방열팬

Claims (2)

  1. 배출펌프(11)를 갖는 상부캡(10)이 하부용기(20)에 체결되게 하고, 상기 배출펌프에 결합되는 배출관(12)은 하부용기(20)의 내측 바닥부에 위치되게 한 화장품 용기에 있어서,
    상기 하부용기(20)의 하측에는 잘록부(21)에 의한 급속 냉각부(22)를 형성하여, 화장품 냉각장치(40)로부터 제공되는 냉기에 의해 상기의 급속 냉각부(22) 내의 내용물이 빠르게 냉각되어 배출관(12)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급속 냉각부를 갖는 화장품 용기.
  2. 제 1항에 있어서,
    급속 냉각부(22)의 외측으로는 금속재로 된 하부캡(30)을 결합 형성하여, 화장품 냉각장치(40)로부터 제공되는 냉기가 상기 하부캡(30)을 통해 급속 냉각부(22)의 하부와 측부를 통해 내용물로 전달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급속 냉각부를 갖는 화장품 용기.
KR2020080013761U 2008-10-15 2008-10-15 급속 냉각부를 갖는 화장품 용기 KR20045186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3761U KR200451864Y1 (ko) 2008-10-15 2008-10-15 급속 냉각부를 갖는 화장품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3761U KR200451864Y1 (ko) 2008-10-15 2008-10-15 급속 냉각부를 갖는 화장품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4253U KR20100004253U (ko) 2010-04-23
KR200451864Y1 true KR200451864Y1 (ko) 2011-01-17

Family

ID=442432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13761U KR200451864Y1 (ko) 2008-10-15 2008-10-15 급속 냉각부를 갖는 화장품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1864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7980B1 (ko) * 2013-11-22 2015-07-24 김자유 기후 조건에 따라 적합한 화장품을 안내하는 화장품 용기
KR101948889B1 (ko) 2017-10-13 2019-02-19 (주)아이팩 절전형 휴대용 화장품 보관장치
KR20190020241A (ko) 2017-08-18 2019-02-28 (주)아이팩 정품 인증형 화장품 보관장치
KR20190020243A (ko) 2017-08-18 2019-02-28 (주)아이팩 스마트 온도제어형 휴대용 화장품 보관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4287B1 (ko) * 2018-06-18 2018-08-01 주식회사 네스필러피케이지 동결 건조 타입 듀얼 믹싱용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0579A (ko) * 1990-06-27 1992-01-29 도시히코 가게야마 액체용기
JPH04332372A (ja) * 1991-04-30 1992-11-19 Mitsuo Hanazawa 要冷却化粧品/医薬低温保存器
KR100519003B1 (ko) * 2003-05-15 2005-10-06 (주)아이스텍 냉각기가 붙은 화장품 용기
KR100833204B1 (ko) * 2007-11-28 2008-05-28 (주)연우 열전소자를 이용한 냉각 화장품용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0579A (ko) * 1990-06-27 1992-01-29 도시히코 가게야마 액체용기
JPH04332372A (ja) * 1991-04-30 1992-11-19 Mitsuo Hanazawa 要冷却化粧品/医薬低温保存器
KR100519003B1 (ko) * 2003-05-15 2005-10-06 (주)아이스텍 냉각기가 붙은 화장품 용기
KR100833204B1 (ko) * 2007-11-28 2008-05-28 (주)연우 열전소자를 이용한 냉각 화장품용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7980B1 (ko) * 2013-11-22 2015-07-24 김자유 기후 조건에 따라 적합한 화장품을 안내하는 화장품 용기
KR20190020241A (ko) 2017-08-18 2019-02-28 (주)아이팩 정품 인증형 화장품 보관장치
KR20190020243A (ko) 2017-08-18 2019-02-28 (주)아이팩 스마트 온도제어형 휴대용 화장품 보관장치
KR101948889B1 (ko) 2017-10-13 2019-02-19 (주)아이팩 절전형 휴대용 화장품 보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4253U (ko) 2010-04-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51864Y1 (ko) 급속 냉각부를 갖는 화장품 용기
KR102602911B1 (ko) 미러 캐비닛 장치
US6674052B1 (en) Thermal cup
KR102574327B1 (ko) 안면 침지 장치
DOP2007000007A (es) Aparato eléctrico de terapia térmica
US20090084772A1 (en) Heating Device for Dry Towel
US6094917A (en) Thermo electric humidor
KR101939805B1 (ko) 안면 미용을 위한 금속표면에 세라믹이 코팅된 히트파이프 냉온 마스크
US20120233764A1 (en) Sauna Device
CN107345719A (zh) 流道气体温度调节器和高压氧舱系统
KR200451527Y1 (ko) 향발산장치
CN110716315A (zh) 一种智能眼镜
US20060132669A1 (en) Liquid crystal display with a perfume dispenser
KR20130000157A (ko) 화장품 용기 냉각장치
KR101720107B1 (ko) 냉마사지 기구 냉각장치
KR101429523B1 (ko) 펠티어 소자를 구비한 얼굴용 냉온 찜질장치
KR200284177Y1 (ko) 맥주 냉각용 테이블
CN208641015U (zh) 一种脸部按摩仪
CN206473537U (zh) 一种足浴养生靴
KR101307889B1 (ko) 열전소자를 이용한 퍼프용구
KR200304023Y1 (ko) 화장품냉온장보관함
CN203634357U (zh) 一种冷热与超声波复合式美容器
KR20150003535A (ko) 냉방 깔창
TWI614012B (zh) 按摩裝置(四)
CN210130485U (zh) 一种恒温化妆收纳盒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3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8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