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10509Y1 - 누름 보턴 스위치 - Google Patents

누름 보턴 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10509Y1
KR900010509Y1 KR2019880000630U KR880000630U KR900010509Y1 KR 900010509 Y1 KR900010509 Y1 KR 900010509Y1 KR 2019880000630 U KR2019880000630 U KR 2019880000630U KR 880000630 U KR880000630 U KR 880000630U KR 900010509 Y1 KR900010509 Y1 KR 90001050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terminals
terminal
electronic component
push but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8000063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01516U (ko
Inventor
가즈요시 가가와
타케시 하꼬자끼
Original Assignee
아루프스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가다오까 가츠다로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루프스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가다오까 가츠다로오 filed Critical 아루프스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89000151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151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1050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10509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04Cases; Co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00Contacts
    • H01H1/58Electric connections to or between contacts; 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26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 H01H13/48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using buckling of disc spr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1/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electric switches
    • H01H11/0056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electric switches comprising a successive blank-stamping, insert-moulding and severing operation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누름 보턴 스위치
제1도 내지 제6도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관한 것으로서, 제1도는 누름보턴 스위치의 사시도.
제2도는 누름보턴 스위치의 대지위에로의 착설상태를 나타낸 설명도.
제3도는 누름보턴 스위치의 프린트 기관에로의 착설상태를 나타낸 요부 단면도.
제4도는 단자겸 고정 접점용의 후우프재를 나타낸 요부 평면도.
제5도는 후우프재와 케이스와의 인서어트 성형후의 상태를 나타낸 배면도.
제6도는 단자의 절곡공정을 나타낸 설명도.
제7도는 방사형 리이드 전자부품의 1예를 나타낸 요부 평면도.
제8도는 축방향의 리이드 전자 부품의 1예를 나타낸 요부 평면도.
제9도는 내지 제11도는 종래의 누름보턴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서,
제9도는 그의 평면도.
제10도는 그의 정면도.
제11도는 지지부재 위에로의 착설상태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케이스 la : 절결부
lb : 수직벽 2, 3 : 단자
2a, 3a : 고정접점 4, 5 : 후우프(hoop)재
6 : 가동접점 7 : 스템(Stem)
7a : 하부돌기 8 : 누름판
9 : 프린트 기관 20 : 콘덴서
20a : 단자 21 : 대지(台紙)
22 : 점착테이프 23 : 저항
23a, 24a : 단자 24 : 누름보턴 스위치
25 : 지지부재
본 고안은, 각종음향기기, OA기기, 차량적재용기기등에 많이 사용되는 소형의 누름보턴 스위치, 더욱 상세하게는, 단자와 고정접점과를 겸하여 사용하는 아주 얇은 금속판 부재의 일부를, 케이스에 인서어트(Insert)성형에 의하여 설치하는 누름보턴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있어서, 전자부품을 그의 단자(리이드)의 돌출 수단에 의하여 크게 분류하면, 방사형(Radial) 리이드 전자부품과, 축방향(Axial)의 리이드 전자부품 및 형상이 다른 전자 부품으로 분류된다.
상기의 방사형 리이드 전자부품으로서는, 제7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자(20a), (20a)를 동일방향으로 연장시킨 콘덴서(20)등의 부품을 가리키고, 대지(21)위에 점착테이프(22)에 의하여 나란히 형성된 상태에서, 방사형 리이드 전자부품용의 자동 삽입기에로 공급되어, 프린트 기판에 착설하도록 되어 있었다.
또한, 상기 축방향 리이드 전자부품으로서는, 제8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체에서 좌우방향으로 단자(23a), (23a)를 연장시킨 저항(23)등의 부품을 가리키고, 한쌍으로된 대지(21)위에 점착테이프(22)에 의하여 나란히 형성된 상태에서, 방사형리이드 전자부품용의 자동 삽입기에로 공급되어, 마찬가지로, 프린트기판에 착설하도록 되어 있었다.
또한, 상기의 형상이 다른 전자 부품으로서는, 제9도 및 제10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체로부터 단자(24a…)가 예를들면 4가지 방향으로 돌출한 누름보턴 스위치(24)등의 부품을 가리키고, 예를들면 지지부재(25)위에 끼워 설치된 상태에서, 각각의 형상이 다른 부품 전용으로 제작된 형상이 다른 전자 부품용의 자동 삽입기에로 공급되어, 마찬가지로 프린트 기판에 착설하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한 방사형리이드 전자부품, 축방향 리이드 전자부품 또는 형상이 다른 전자부품용의 각각의 자동 삽입기 내에서, 가장 보편적이며 또한 구조도 간단한 것은, 방사형 전자부품용의 자동삽입기이며, 형상이 다른 부품용의 자동삽입기는 전용으로 제작하지 않으면 안되므로 많은 비용이 드는 문제가 있다.
이로 인하여, 누름보턴 스위치와 같은 물품이 다른 부품은, 프린트기판에로의 착설개소가 적은 경우에는, 수동작업에 의하여 프린트 기판에 착설하도록 되어 있는것이지만, 이렇게 하면 자동화 라인(Line)의 사이에 수동작업 조립 부분을 설치해야만 하고, 따라서, 조립시간 및 효율이 작업자에 따라서 균일하지 못하고, 조립효율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한 종래 결점의 해소에 있으며, 그의 목적으로 하는 것은, 가장 보편적인 방사형 전전부품용의 자동 삽입기에 의하여, 프린트 기관에로의 조립이 가능한 누름보턴 스위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상기한 목적은, 케이스내의 바닥면에 고정 접점을 고정설치하고, 이 고정접점과 일체의 단자를 케이스 바깥쪽으로 연장한 누름보턴 스위치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아래 부분에 수직벽을 가진 1쌍의 절결부를 형성하고, 이 절결부내에 각각 위치하는 상기 단자틀, 상기 수직벽을 따르도록 대략 직각으로 절곡하여 아래로 드리워지고, 한쌍으로된 상기 단자를 동일 평면내에 위치하도록 한 누름보턴 스위치로서 달성된다.
본 고안은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케이스 아래부분의 절결부내에 각각 위치하는 단자를, 절결부의 수직벽을 따라서 대략 직각으로 절곡하여 아래로 드리워지고, 한쌍으로된 단자를 동일 평면내에 위치하도록 한것으로서, 누름보턴 스위치가 콘덴서등의 방사형리이드 전자부품과 같이 단자돌출의 수단을 가지고, 방사형 리이드 전자 부품용의 자동 삽입기에 의하여 프린트 기관에 조립이 가능하게 된다.
[실시예]
다음에 본 고안을 제1도 내지 제6도에 나타낸 1실시예에 의하여 설명한다.
도면에 있어서, (1)은 윗면이 개방된 합성수지제의 케이스로서, 그의 아래부분에는, 제1도의 A-A선(중앙횡단면선)에 대하여 선대칭인 1쌍의 절결부(la),(la)가 형성되어 있고, 이 절결부(la), (la)에는, 서로 동일 평면내에 위치하는 수직벽(lb), (lb) (제1도에서는 한쪽을 도시의 형편상 할애하고 있음)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2), (3)은 양호한 도전성 금속 박판으로 된 단자로서, 이 단자(2), (3)는 각각 상기 케이스(1)에 그의 일부를 인서어트 성형에 의하여 설치되어 있고, 단자(2), (3)와 각각 연결된 부분이 케이스(1)내의 바닥면에 드러난 고정접점(2a), (2a) 및 (3a)로 되어 있다(제3도 참조).
상기의 단자(2), (3) 및 고정접점(2a), (3a)을 형성하는 금속박판(4), (5)은, 예를들면 제4도에 그의 일부를 나타낸 바와 같은 형상으로된 프레스 성형의 후우프재로 되고, 제4도의 점선 해칭(Hatching) 부분이 케이스(1)의 성형시에 인서어트 성형된다.
그리고, 상기 인서어트 성형후의 상태를 케이스(1)의배면측에서 본, 제5도에서 1점쇄선 부분에 있어서, 상기의 얇은 폭 형상의 후우프재(4), (5)가 절단되고, 이 절단후 또는 다음에 설명하는 가동접점, 스템등의 조립후에, 상기의 단자(2), (3)가 제6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평상태에서 상기의 수직벽(lb)을 따라서 대략 직각으로 절곡되어 아래로 드리워지고, 한쌍으로 된 단자(2), (3)는 동일 평면내에 있어서 연장된 방사형 리이드형의 단자 돌출의 수단으로 형성된다.
(6)은, 양호한 도전성 금속 박판을된 공지의 예를들면 대략 돔(dome) 형상의 가동 접점으로서 (제3도 참조), 그의 가장 자리부를 상기 고정접점(2a), (2a)에 평상시에 도통 및 맞닿도록 상기 케이스(1)내의 바닥면 위에 얹어놓게 되어 있고, 다음에 설명하는 스템에 그의 꼭대기부의 표면을 밀어 눌러서 중앙부가 휘어져서 반전하고, 그의 꼭대기부의 뒷면이 상기 고정접점(3a)에 도통하고, 이에따라 고정접점(2a), (3a) 사이를 도통 시키도록 되어 있다.
(7)은, 그의 아래부분의 돌기(7a)를 상기 가동 접점(6)의 꼭대기 부분에 맞닿은 스템으로서, 가동접점(6)의 자기복귀의 습성에 위하여 도면에 나타낸 윗쪽으로 기우러지려는, 습성을 부여하게 되어 있다.
(8)은, 상기 스템(7)의 빠짐 방지용의 누름판으로서, 상기 케이스(1)의 위끝단면에, 나사멈춤, 견고한 끼워맞춤, 열 다듬질 작업등의 적절한 수단으로 고정 부착되어 있다.
상기한 구성의 누름보턴 스위치는, 단자(2), (3)가 동일 평면내에 있어서 동일 방향으로 연장한 방사형 리이드형 전자부품으로 되어 있는 것으로서, 제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지(21)위에 단자(2), (3)의 끝단부를 점착테이프(22)에 의하여 나란히 형성 및 고정한 상태에서, 상기에서 설명한 콘덴서(20)등의 방사형 리이드 전자부품과 같이, 방사형 리이드 전자부품용의 자동 삽입기에로 공급되고, 예를들면, 제2도의 1점 쇄선 부분에서 자동적으로 절단되어 프린트 기판의 소정의 부위에 각각 삽입 및 착설된다.
또한, 상기 프린트 기판에 부착할때에, 상기 단자(2), (3)가 케이스(1)의 아래부분의 대략 중앙에 있어서 수직벽(1b), (1b)가 케이스(1)의 아래부분의 대략 중앙에 있어서 수직벽(1b), (1b)을 따라서 대략 직각으로 절곡되어 있는 것이어서, 단자(2), (33)의 절곡각도는 안정되고, 또한, 프린트 기관에로의 착설시에, 케이스(1)가 기우러질 염려도 없다.
특히, 제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자(2), (3)를 프린트 기판(9)에 삽입후에, 적절히 구부리는 수단에 의하여 비스듬히 움직여서 절곡하도록 하면, 착설의 정밀도는 보다더 안정된다.
또한, 인서어트 성형후에 케이스(1)에서 절단돌 금속박판(4), (5)에 대하여서도 단자(2), (3)측과 같이 절결부를 성형하고, 절단후의 금속박판(4), (5)을 이 절결부내에서 대략 직각으로 절곡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하면, 절단부 또는 단자를 포함한 접점형성용의 금속박판을 모두 케이스(1)의 l측면의 안쪽에 위치시킬 수가 있기 때문에, 자동삽입기로서 케이스(1)의 양쪽 측면을 쥐어 잡을때에, 그위 쥐어 잡는 동작이 확실하게 됨과 동시에, 자동 삽입기의 척킹(Chucking) 부분에 착설된 고무등의 보호 부재가 손상할 염려도 없어 진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보편적인 방사형 리이드 전자부품용의 자동삽입기에 의하여 프린트 기판에로의 착설이 가능한 누름보턴 스위치를 제공할 수가 있으므로, 그의 실용적 가치는 매우 큰 것이다.

Claims (1)

  1. 케이스(1)내의 바닥면에 고정접점(2a),(3a)을 고정설치하고, 이 고정접점(2a),(3a)과 일체의 단자(2),(3)를 케이스(1)의 바깥쪽으로 연장한 누름보턴 스위치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의 아래부분에 수직벽(1b),(1b)을 가지는 1쌍의 절결부(1a),(1a)를 형성하고, 이 절결부(1a),(1a)내에 각각 위치하는 상기단자(2),(3)를 상기 수직벽(1b),(1b)을 따르도록 대략 직각으로 절곡하여 아래로 드리우고, 한쌍으로된 상기단자(2),(3)를 동일 평면 내에 위치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름보턴 스위치.
KR2019880000630U 1987-06-04 1988-01-26 누름 보턴 스위치 KR900010509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87086191U JPH0753227Y2 (ja) 1987-06-04 1987-06-04 押釦スイツチ
JP86191 1987-06-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1516U KR890001516U (ko) 1989-03-18
KR900010509Y1 true KR900010509Y1 (ko) 1990-11-19

Family

ID=138798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80000630U KR900010509Y1 (ko) 1987-06-04 1988-01-26 누름 보턴 스위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4894498A (ko)
JP (1) JPH0753227Y2 (ko)
KR (1) KR900010509Y1 (ko)
DE (1) DE3812921A1 (ko)
GB (1) GB220544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23370B2 (ja) * 1991-02-22 1998-11-11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押釦スイツチ
DE4112754C2 (de) * 1991-04-19 1999-06-02 Marquardt Gmbh Drucktastenschalter
DE4337141C2 (de) * 1993-10-30 1996-06-05 Hofsaes Geb Zeitz Ulrika Temperaturabhängiger Schalter
US5828016A (en) * 1996-02-12 1998-10-27 Lucas Automation And Control Engineering, Inc. Low profile tactile switch
JPH09265851A (ja) * 1996-03-28 1997-10-07 Niles Parts Co Ltd スイッチの防水用ケース
DE69703301T2 (de) * 1997-07-23 2001-04-05 Molex Inc Elektrischer Schalter und Schaltungsanordnung
JP3959916B2 (ja) * 2000-01-25 2007-08-15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プッシュオンスイッチおよびそれを装着した電子機器、ならびにその装着方法
US6441331B1 (en) * 2000-12-21 2002-08-27 Shin Jiuh Corp. Press switch
US6521852B1 (en) * 2002-05-06 2003-02-18 Shin Jiuh Corp. Pushbutton switch
US7252444B2 (en) * 2004-04-08 2007-08-07 Research In Motion Limited Switch configuration
CN102931011A (zh) * 2011-08-09 2013-02-13 株式会社Magma 易于组装盖子的按钮开关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114891B (de) * 1953-06-30 1961-10-12 Siemens Ag Elektrische Kontakteinrichtung
GB1363652A (en) * 1970-09-30 1974-08-14 Erg Ind Corp Ltd Electric switches
GB1409183A (en) * 1972-09-26 1975-10-08 Takano Precision Ind Co Electric switches and process and apparatus for manufacture thereof
GB1409184A (en) * 1973-09-27 1975-10-08 Standard Telephones Cables Ltd Data transmission systems
US4152565A (en) * 1978-02-01 1979-05-01 Amp Incorporated BCD slide-switch
JPS5760510Y2 (ko) * 1978-08-24 1982-12-23
US4166935A (en) * 1978-09-22 1979-09-04 Cutler-Hammer, Inc. Alternately-operable two-pushbutton switch
US4331851A (en) * 1980-06-16 1982-05-25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Printed circuit board having data input devices mounted thereon and input devices therefor
US4359614A (en) * 1981-09-24 1982-11-16 Illinois Tool Works Inc. Miniature two-level pushbutton switch
JPS58153499U (ja) * 1982-04-07 1983-10-14 東京コスモス電機株式会社 電子部品
JPS5914288U (ja) * 1982-07-19 1984-01-28 日本電気株式会社 ソケツト
JPS59141121A (ja) * 1983-01-31 1984-08-13 コパル電子株式会社 Dip・ロ−タリ・コ−ドスイツチ端子板
JPS59158312U (ja) * 1983-04-08 1984-10-24 ティーディーケイ株式会社 コイル装置
US4595809A (en) * 1984-08-17 1986-06-17 Dart Industries, Inc. Snap action dome switch having wire contacts
JPS61121213A (ja) * 1984-11-17 1986-06-09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スイツチ装置の製造方法
US4751385A (en) * 1984-12-03 1988-06-14 Cts Corporation Lighted contact switch
JPS61186175U (ko) * 1985-05-13 1986-11-20
JPH0138824Y2 (ko) * 1985-12-25 1989-11-20
JPH0724177B2 (ja) * 1986-02-19 1995-03-15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押釦スイッ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1516U (ko) 1989-03-18
US4894498A (en) 1990-01-16
GB8813174D0 (en) 1988-07-06
GB2205443B (en) 1991-10-16
JPH0753227Y2 (ja) 1995-12-06
JPS63194425U (ko) 1988-12-14
GB2205443A (en) 1988-12-07
DE3812921A1 (de) 1988-1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2948Y2 (ko)
KR900010509Y1 (ko) 누름 보턴 스위치
US5395256A (en) Contact element for SMD printed circuit boards and mounting method
US2796499A (en) Electric switch with terminal assembly especially adapted for connection to printed circuits
JPS6125180Y2 (ko)
US4851619A (en) Miniature switch
JPS6123680B2 (ko)
US4862325A (en) Printed wiring board mounted electronic component
JPS6111897Y2 (ko)
JPS621741Y2 (ko)
JPS5836112Y2 (ja) 回路内蔵形継電器
JPS6129146Y2 (ko)
JPS5852702Y2 (ja) 回路装置用筐体
JPS6348898Y2 (ko)
JPH0219988Y2 (ko)
JPS6328495Y2 (ko)
KR890003145Y1 (ko) 전자부품
JPH0414822Y2 (ko)
JPH0811089Y2 (ja) 押釦スイッチ
JPH0328533Y2 (ko)
US4404540A (en) Slide rheostat
JPS5924125Y2 (ja) バッテリ接続装置
JPS5849594Y2 (ja) プリント基板用コネクタ
JPH0739262Y2 (ja) 電気機器
JPH0521218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1227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