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8516B1 - 제어기 구성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제어기 구성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8516B1
KR900008516B1 KR1019870700314A KR870700314A KR900008516B1 KR 900008516 B1 KR900008516 B1 KR 900008516B1 KR 1019870700314 A KR1019870700314 A KR 1019870700314A KR 870700314 A KR870700314 A KR 870700314A KR 900008516 B1 KR900008516 B1 KR 9000085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ssage
auxiliary
point
key
intera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707003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700327A (ko
Inventor
알랜 엘. 플라나갠
데이비드 에이. 리차드슨
Original Assignee
더 폭스보로 캄파니
에드워드 에이. 맥인타이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더 폭스보로 캄파니, 에드워드 에이. 맥인타이어 filed Critical 더 폭스보로 캄파니
Publication of KR8807003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7003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85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85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5/00Systems controlled by a computer
    • G05B15/02Systems controlled by a computer electri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706/00Data processing: artificial intelligence
    • Y10S706/902Application using ai with detail of the ai system
    • Y10S706/903Control
    • Y10S706/906Process pla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706/00Data processing: artificial intelligence
    • Y10S706/902Application using ai with detail of the ai system
    • Y10S706/903Control
    • Y10S706/908Electronic or computer, internal or network, circu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 Programmable Controllers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Air Bags (AREA)
  • Steering-Linkage Mechanisms And Four-Wheel Steer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발명의 명칭]
제어기 구성 방법 및 장치
[도면의 간단한 설명]
제1도는 본 발명을 포함하는 제어기 장치의 전면을 도시한 도면.
제2도는 본 발명과 결합되는 전자 장비의 양호한 실시예를 도시한 블럭 계통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서의 기계 상태 패턴을 도시한 트리(tree)구조 그래프.
[발명의 상세한 설명]
[1. 기술분야]
본 발명은 주로 프로그래머블(programmable)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손으로 제어기를 구성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2. 배경 기술]
프로세스 제어기는 주로 일련의 입력 포오트, 제어 메카니즘 및 일련의 출력포오트로 구성된다. 역사적으로, 프로세스 제어기는 입력 및 출력이 공기 압력인 공기 장치이었고, 제어소자는 기계적인 힘 평형 장치이었다. 조작자는 레버를 배치하거나 스프링을 긴장시키거나 유사한 기계적인 조정을 실행하기 위해서 나사를 돌림으로써 장치를 동조시켰다.
공기 장치는 간단한 전기 장치로 대체되고 있고 최근에는 소형 컴퓨터를 포함하는 장치로 대체되고 있다. 이 최근의 장치는 정확성을 크게 하고, 광범위한 응용 분야에 적합하게 될 수 있다. 다수의 프로그램 특징 중에서 선택함으로써, 동일한 장치가 더 많은 상황에서 사용하도록 구성되거나, 동일한 상황에서 다른 상태들에 대해 신속하게 구성될 수 있다. 부수적인 계산 능력을 추가시키면 적은 단위 유니트 경비로 장치의 용도가 확장된다.
제어기에 계산 구성 부품을 추가시키는 것은 문제점을 수반하게 된다. 구성가능한 특징들의 리스트(list)가 더욱 확장됨에 따라, 조작자는 옵션(option)리스트로부터 통보할 수 있게 선택해야 한다. 이때 자기-명백성(self-obviousness)의 결함은 구성가능한 제어기 내에서 나타나는 단점으로 된다. 한가지 불편한 해결책은 조작자가 설명서(instruction book)를 휴대하는 것이다.
다른 단점은 조작자와 제어기 사이의 기계적 통신이다. 제어기는 현재 컴퓨터로 되어 있어, 그 구성을 셋트시키기 위한 데이타 입력 리스트를 필요로 한다. 한가지 해결책은 제어기 자체에 키보드(keyboard)를 추가시키는 것이었다. 조작자는 값들을 기입하고 장치에 의해 제공된 옵션을 선택하기 위해 일반적인 키보드를 사용한다. 이러한 키보드상의 키(key)의 수는 매우 확장될 수 있으므로, 전형적인 컴퓨터 터미날의 키에 접하게 될 수 있다. 선택적인 해결책은 특정한 항목(item)을 기입하기 위해 일련의 특정한 키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 두가지 경우 중 어느 경우에든지, 장치랙(rack) 내의 제어기의 면상의 지역이 제한되어, 용이하게 구득할 수 있는 키의 수를 제한시킨다. 일부 제어기들은 장치의 측면 상에 키보드를 배치시킴으로써 기억 제한을 제거시킨다. 이때 제어기는 랙으로부터 부분적으로 슬라이드되어 명령 엔트리(entry)용 키보드를 노출시킨다. 다른 해결책은 부수적인 키가 뒤에 배치된 제어기의 면판 상에 도어를 배치시키는 것이다. 확장 키보드는 확장되어 공간을 차지하나, 이 키보드 자체만으로 현지(on-site) 구성 문제의 편리한 해결책을 구성하지 않는다.
장착된 키보드의 해결책은 제어기로부터 키보드를 분해하여 손잡이 유니트(hand-held unit) 내에 배치시키는 것이다. 조작자는 소정의 위치들간에 손잡이 장치를 이송하여 제어기 내에 플러그(plug)함으로써 장치 정보를 기입한다. 손잡이 장치는 완전히 만족스러운 해결책이 아니다. 각각의 별개의 제어기에 한개의 손잡이 장치가 필요하게 될 수 있다. 이때 조작자는 장치 및 설명서를 이송하도록 기억해야 할 의무가 있다. 또한, 손잡이 키보드는 자연히 복잡한 장치의 셋업(set up)문제의 적당한 해결책이 아니다.
다른 해결책은 제어기 내에 해독 및 디스플레이 시퀀스(sequence)를 포함하는 것이다. 데이타 엔트리용의 일련의 상호 작용 포인트(point)는 체인(chain)으로서 연결된다. 조작자는 상호 작용 포인트에 장치를 시퀀스하기 위해 버튼을 누르고, 값을 해독하거나 셋트시킨 다음, 장치를 초기 상태로 다시 순환시킨다. 시리즈(series)의 단부에서 초기 엔트리(entry)로 복귀함으로써, 직선 엔트리 체인은 링 구조로 된다. 상호작용 포인트들의 링 구조는 조작자가 일련의 엔트리를 형성하게 하고 시퀀스를 반복하게 하여 그의 엔트리를 해독하고 체크한다. 초기 설치시에, 모든 옵션들은 통상적으로 셋트되어야 하는데, 이 경우에는 단일 체인 또는 링형 셋업 과정이 허용될 수 있다. 조작자는 설명서나 손잡이 장치를 휴대할 필요가 없고, 제한된 수의 키가 편리하게 존재한다. 값이 비싼 확장 키보드가 필요 없다. 단지 서너개의 키 및 소형 디스플레이만이 존재한다. 그러나, 조작자는 명령 루우프 내에 장치를 배치시키기 위해 한개 이상의 면판을 반복적으로 눌러야 한다.
제어기는 복잡해지고 상호작용 포인트의 수는 대략 서너개의 스텝(step)으로 부터 백개 이상의 스탭으로 증가되고 있다. 발생하는 한가지 문제는 기다란 상호작용 포인트 리스트 내에 장치상태를 배치시키기 위해 필요한 다수의 키 스트로크에 의해 조작자가 불편해 진다는 것이다. 다른 문제는 조작자가 현재 상호작용 포인트가 어떤 것이고, 어떤 것이 기입되는지, 또는 어떻게 다른 상호작용 포인트를 갖게 되는지에 대해 혼동될 수 있다는 것이다. 혼동은 정보의 카테고리가 기입된 변화인 경우와 특히 유사하다.
결국 제한된 수의 입력 키로 신속하고 자체적으로 명백한 셋 업 과정이 달성될 수 있도록 선택가능한 옵션을 갖고 있는 제어기 장치분야를 개량시킬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설명]
상호작용 포인트를 다양하게 선택하고 응답을 결정하는 제한된 수의 키를 갖고 있는 제어기 장치를 해독, 셋팅 및 구성함과 동시에 디스플레이를 작동시키는 방법은 종래 기술의 단점들을 해결한다. 상호 작용 포인트들은 단일 주요 통로나 일련의 보조통로들 중 한 보조통로를 따라 제어기 장치를 스텝하거나 상호작용 포인트들을 연결하는 다수의 보조통로들 사이를 전이하는 키에 의해 선택된다. 부수적으로, 다수의 디스플레이들은 선택된 정확한 상호작용 포인트를 조작자에게 알리어 그의 응답을 신속하게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단일통로를 통해 전방향 스텝핑하고, 일련의 보조통로들 중 소정의 보조통로를 통해 전방향 또는 후방향 스텝핑하며, 보조통로들 사이를 이동시키고, 장치 상호작용 포인트에서 정보를 해독하거나 선택하거나 기입하기 위해 제1위치로 복귀시키는 사용자 옵션의 스텝들을 포함하는 제어장치를 해독, 셋팅 및 구성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을 수행하기에 가장 양호한 모우드]
제어기와의 사용자 상호작용은 여러 레벨에서 생길 수 있다. 한 레벨은 현재 프로세스 변호들이 그래프나 숫자로 디스플레이되고, 알람이 신호화되며, 원격 또는 국부 셋트 포인트 및 이와 유사한 광범위한 기능 모우드들이 존재하는 통상의 면판 동작이다. 다른 레벨은 특정한 프로세스 또는 제어 변수들이 감지되거나 셋트되어 있을 때 이 특정한 프로세스 또는 제어 변수들의 해독이다. 다른 레벨은 제어변수의 셋팅이다. 제어기를 셋업하는 것은 제어 파라메터 목표, 비 및 한계를 셋팅하는 것을 수반한다. 비례, 적분 및 유도 인수 및 알람 상태들은 제어기 셋업시의 전형적인 관련 파라메터들이다. 마지막으로, 전통적으로 제어기 기입이 실제로 재구성되는 구성 레벨이다. 구성은 입력 채널을 선택하고, 필터링, 선형화, 기능, 바이어스 및 이득을 포함한 신호 프로세싱 파라메터들을 선택하며, 신호 결합을 선택하고, 필터링, 선형화, 바이어스 및 이득을 포함한 신호 프로세싱 파라메터들을 선택하며, 비례, 적분, 유도 또는 이것의 결합을 포함한 제어 형태 정의에 따라 출력 신호를 보내고, 출력 신호 프로세싱 및 출력 신호 선택을 유도하는 것을 수반한다. 구성 가능한 제어기는 각각 상기에 리스트된 기능의 영향을 받는 다수의 입력을 수신한다. 다수의 프로세스된 입력 신호들은 다수의 가능한 출력 신호들을 갖고 있는 다수의 미리 정해졌으나 선택가능한 패턴 중 소정의 패턴으로 결합될 수 있다.
본 출원인은 180 이상의 값이 프로세서 제어에 의해 편리한 방식으로 셋트되는 장치를 만들었다. 제어 파라메터들의 선택은 우선 파라메터 엔트리 포인트 또는 상호작용 포인트를 배치시킨 다음, 특정한 상호작용 포인트에 따라서, 일련의 스위치들 중 한 스위치를 선택하거나, 선택된 값으로 카운터를 스크롤링(scrolling)하여 값을 셋팅하거나, 리스트 내외 옵션을 허용된 것으로서 통보함으로써 달성된다.
제1도를 참조하면, 본 발명을 사용하는 제어기 장치의 면판(10)이 도시되어 있다. 제어기에는 각각 9개의 문자를 갖고 있는 상부 디스플레이 라인(12)과 저부 디스플레이 라인(14)이 도시되어 있다. 상부 디스플레이(12)는 제어되는 프로세스 루우프를 식별하는 라벨(label)을 나타낸다. 루우프 태그(tag) 디스플레이(12)는 면판 동작 중에 일정하게 유지된다. 면판 동작 중에, 저부 디스플레이(14)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고 식별된 루우프에 관련된 라벨, 숫자 값, 또는 2개의 태도를 나타낸다. 이때 저부 디스플레이(14)는 사용자 선택에 의해 변화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라인 밑에는 막대-그래프(bar-graph) 표시기라고 불리우는 일련의 단일 라이트(16, 18, 20)가 있는데, 이것들은 한번에 단 한 라이트만이 발광된다. 동일한 열내의 제4라이트는 제어기 고장 표시기(22)이다. 막대 그래프 표시기(16, 18, 20) 밑에는 숫자 값을 막대 그래프로 표시하는 3개의 수직 그래프 표시기(24, 26 및 28)가 있다. 각각의 막대 그래프의 상단부에는 과대범위 표시기(30, 32, 34)가 있고, 각각의 막대 그래프의 저단부에는 하부 범위 표시기(36, 38, 40)가 있다. 수직 막대 그래프 표시기 다음에는 각각 작업대/판넬 표시기(W/P, 42), 원형/국부 표시기(R/L, 44), 자동/수동 표시기(A/W, 46) 및 알람 표시기(48)인 상태 모우드 표시기들의 수직열이 있다. 막대 그래프 및 상태 표시기 지역 밑에는 각각 4개의 키의 2개의 수평 열로 8개의 키를 갖고 있는 키패드(50)가 있다. 제1열 내에는 상향 화살표 키(52), W/P 키(54), R/L 키(56) 및 A/M 키(58)가 있다. 제2열 내에는 하향 화살표 키(60), SEL 키(62), TAG 키(64) 및 ACK 키(66)가 있다.
키 기능은 2개의 모우드를 갖는다. 제1모우드는 모든 키들이 잘 알려진 산업 용도를 갖고 있는 제어기의 면판 동작이다. W/P 키(54), P/L 키(56) 및 A/M 키(58)를 누름으로써, 제어기는 다수의 동작 상태 사이로 전이되고, 적당한 대응하는 상태 표시기(42, 44, 46)가 발광된다. R/L 키(56)는 원격 및 국부 셋트 포인트 동작 사이를 선택하고, A/M 키(58)는 자동 및 수동 제어 동작 사이를 선택하며, W/P 키(54)는 작업대 및 판넬 동작 사이를 선택한다. 이 3개의 키들의 기능은 변하지 않으나, 이 키들은 부주의하게 셋팅되지 않도록 소정의 모우드에서 디스에이블(disable) 될 수 있다.
또한 면판동작시에 라벨 및 숫자 값이 문자 디스플레이(14) 내에 나타나는 것에 대해 다수의 막대 그래프 사이를 선택하기 위해 사용되는 SEL 키(62)도 도시되어 있다. SEL 키(62)를 누름으로써, 현재의 막대 그래프 표시기는 턴 오프되고 다음 표시기가 턴 온된다. 상부 디스플레이(12)는 고정된 상태로 유지되어 루우프의 텍스트(text) 라벨이 제어되는 것을 나타낸다. 저부 디스플레이(14)는 표시된 막대 그래프의 숫자 값 및 관련된 기계 유니트를 나타낸다.
면판 동작시에, ACK 키(66)는 알람에 응답하여 사용된다. ACK 키(66)를 누름으로써, 알람 상태가 통보되어, 알람 신호(48)가 후래싱(Flashing)을 정지하게 되고, 알람 소오스용 라벨이 저부 디스플레이 라인(14) 내에 나타나게 한다. 또한 ACK 키를 사용하면 모든 알람들이 통보될 때까지 다른 알람을, 존재하는 경우에, 호출하게 된다. 저부 디스플레이(14)는 최종 알람이 통보될 때 막대 그래프 표시기에 의해 선택된 값으로 복귀한다.
상향 화살표 키(52) 및 하향 화살표 키(60)는 디스플레이(14)에 나타나고 표시된 막대 그래프(24 또는 28)에 따른 막대 그래프 표시기(16 또는 20)에 의해 표시된 숫자 값을 증가(상향 화살표)시키거나 감소(하향 화살표)시키기 위해 수동 및 셋트 포인트 모우드에서 사용된다.
TAG 키(64)의 기능은 면판 동작과 제2동작 모우드, 즉 해독/셋트 모우드 사이를 앞 뒤로 전이시키는 것이다. 해독/셋트 모우드는 제어기가 TAG 키(64)를 누름으로써 면판 모우드에 있을때 기입된다. 해독/셋트시에, ACK 키(66), SEL 키(62), 상향 화살표 키(52) 및 하향 화살표 키(60)는 기능을 변화시키고, 기계 상태를 배치하여 식별하기 위해 사용되며, 이들 위치에서 알게 된 값들을 해독 또는 리셋트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W/P 키(54), A/M 키(60) 및 R/L 키(56)를 양호한 실시예에서, W/P 키(54), A/M 키(58) 및 R/L 키(56)가 디스에이블되는 경우에 구성 브랜치(branch) 가 기입될 때까지, 계속 면판 모우드에서 동작한다. 해독/셋트 모우드에 대해서는 이후에 더욱 상세하게 기술하겠다.
제2도에는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를 사용하는 전자 제어기 장치의 블럭 계통도가 도시되어 있다. 본 명세서에 기술한 퍼엄웨어(firmware) 특징을 발생시키기 위한 최상의 방법으로서는 디지탈 전자 장치가 양호하다. 사용자는 제1도에 도시된 키패드(50)를 통해 통신한다. 키패드는 키 스트로크 신호가 라인(74)에 의해 주요 디스플레이 데이터 버스(76)로 가게하고 디스플레이 프로세서(78) 상으로 가게 하는 키패드 버퍼(72)에 라인(70)에 의해 결합된다. 키패드 버퍼(72)는 8개의 라이트가 모두 직접 감지될 때 키들이 작동될 때까지 주요 디스플레이 데이타 버스(76)로부터 키를 분리시킨다. 디스플레이 프로세서(78)는 라인(180)을 통해 어드레스 디코더(82)로 가게 되는 어드레스 명령을 주요 디스플레이 데이타 버스(76) 상에 내보낸다.
디스플레이 프로세서(78)와 어드레스 디코더(82)는 디스플레이 프로세서(78)에 의해 사용하기 위해 라인(92)에 의해 주요 디스플레이 데이타 버스(76)에 관련된 프로그램 부분을 신호 이송하기 위한 해독전용 메모리(ROM)로 구성되는 프로그램 메모리(90)와, 어드레스 버스(96)에 의해 라인(88)을 통해 통신한다.
부수적으로 디스플레이 프로세서(78)와 어드레스 디코더(82)는 어드레스 버스(86)와 라인(94)에 의해, 현재의 선택된 제어기 셋 업용 데이타 값 및 수신된 프로세서 값을 보유하는 디스플레이 데이타 메모리(96)와 통신한다. 디스플레이 프로세서(78)가 디스플레이 어드레스 버스(86)와 라인(94)을 통해 신호를 보냄으로써, 디스플레이 데이타 메모리(96)는 라인(98)에 의해 주요 디스플레이 데이타 버스로 값을 보낸다. 이 때, 데이타 값들은 디스플레이 프로세서(78)에 의해 수신되거나, 라인(100)에 의해 제1도의 디스플레이 라인(12 및 14)과 그외의 다른 디스플레이 형태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102)로 가게 된다.
라인(104)에 의해 나타난 다수의 입력 라인들은 한 그룹의 관련된 입력 신호 조절 회로(106)에 필드 신호를 제공한다. 전형적인 필드 신호는 감지 장치에 의해 내보내진 온도, 압력 및 흐름 측정용의 4-20mA 신호를 포함한다. 이러한 신호 조절은 필터링, 바이어스 조정 및 그외의 다른 신호 처리 과정을 포함한다. 조절된 입력 신호들은 다수의 라인(108)에 의해 아날로그 멀티플렉서(110)로 가게 된다. 디스플레이 프로세서로 부터 라인(150)을 통해 수신된 선택 신호에 따라서, 최종적인 멀티플렉스 된 신호는 디지탈 변환하기 위해 라인(112)에 의해 아날로그-디지탈 변환기(114)로 송신된다. 아날로그-디지탈 변환기는 또는 라인(150)상에 아날로그 출력을 내보내기 위해 디지탈-아날로그 변환기로서도 사용된다. 변환기를 2개의 형태로 사용하기 위해 성공적인 공지의 조사 방법들이 사용된다. 디지탈 신호는 라인(116)에 의해 주요 디스플레이 데이타 버스로 가게 되어, 디스플레이 프로세서(78)에 의해 해독된다.
디스플레이 프로세서(78)는 현재 디지탈화 된 필드 신호를 라인(116)으로부터 라인(117)에 의해 접속된 숫자 프로세서(118)로 보낸다. 숫자 프로세서(118)는 셋업 정보에 따라 제어 상태하에서 프로세스에 관련된 숫자 계산을 실행한다. 숫자 프로세서(118)는 주요 숫자 데이타 버스(120)를 따라, 숫자 어드레스 디코더(124)에 접속되는 라인(122)에 접속된다. 디코더 (124)는 라인(126)에 의해 일련의 숫자 어드레스 버스(128)에 접속되는데, 이 버스(128)는 숫자 프로세서(118)에도 접속된다. 숫자 어드레스 버스(128)는 라인(130)에 의해 프로그램 메모리(132)에 접속되는데, 이 메모리(132)는 주요 숫자 데이타 버스(120)에도 접속된다. 숫자 어드레스 버스(128)는 또한 라인(136)에 의해 숫자 데이타 메모리(138)에도 접속되는데, 이 메모리(138)는 라인(140)에 의해 주요 숫자 데이타 버스(120)에 결합된다. 또한, 숫자 데이타 버스(120)에는 라인(146) 상의 직렬 통신을 위해 인터페이스 유니트(144)와 쌍방향성으로 결합하는 라인(142)도 접속된다.
숫자 데이타 메모리(138)의 한 소자는 INTEL 2004장치와 같은 불휘발성 등속 호출 메모리장치(NOVRAM)이다. NOVRAM 장치를 사용하면, 숫자 메모리가 전력 고장에도 불구하고 살아 있게 하고, 숫자 메모리가 제1제어기로부터 분리되어 제2제어기에 재삽입되게 한다. 이때 NOVRAM은 동일한 숫자 메모리와 함께 다수의 제어기를 셋업하기 위한 메모리 복사(copying)과정에서 유용하게 된다.
숫자 프로세서의 결과들은 라인(117)을 통해 디스플레이 프로세서(78)로 다시 가게 된다. 디스플레이 프로세서(78)는 출력신호를 주요 디스플레이 데이타 버스(76)와 라인(116)을 통해 현재 디지탈-아날로그 변환기로 사용되고 있는 아날로그-디지탈 변환기(114)로 보낸다. 변환기(114)로부터의 아날로그 출력은 라인(152)에 의해 출력 신호 조절기(154)로 가게 된다.
실제 구성시에는, 전원 공급기, 타이밍 신호 회로, 리셋트 회로 및 그외의 다른 회로를 포함하는 제2도에 도시하지 않은 부수적인 소자들이 포함된다. 이 부수적인 소자들은 전자 제어 설계자들에게 공지되어 있다.
제어기는 2개의 광범위한 동작 모우드, 즉 면판 동작 모우드 및 해독/셋트 동작 모우드를 갖고 있다. 면판 동작 모우드에서, 디스플레이 프로세서는 프로세스 분위기로부터 입력신호를 수신하여, 라인(116)에 의해 숫자 프로세서(118)로 직접 보낸다. 숫자 프로세서는 현재의 조작자가 선택한 셋업 및 구성에 따른 퍼엄웨어로서 동작하도록 구성된다. 숫자 프로세서(118)는 셋업동작에 따른 입력 프로세스 신호를 프로세스하고, 디스플레이 프로세서(78)에 출력신호를 내보내는데, 이 프로세서(78)는 라인(152)을 통해 프로세스 분위기 내의 장치로 이 출력신호를 보낸다. 전형적인 프로세스 장치는 작동 밸브로, 가열기 및 펌프와 같은 장치를 포함한다. 숫자 프로세서는 또한 수신되고 내보낸 프로세스 값으로 메모리를 갱신한다.
키 스트로크들은 각각의 비트로서 키패드(50)로부터 키패드 버퍼(72)를 통해 주요 디스플레이 데이타 버스(76)로 가게 된다. 특정한 비트들은 디스플레이 프로세서(78)에 의해 숫자 프로세서(118)로 가게 되는데, 이 프로세서(118)에서 비트들은 숫자 프로세서 퍼엄웨어용 논리 상태로서 처리된다.
TAG 키를 누름으로써, 제2동작 모우드, 즉 해독/셋트 동작 모우드가 활성상태로 호출된다. 해독/셋트 모우드에서, 숫자 프로세서(118)는 사용자 해독 값 및 셋트 값을 통과시키고 선택된 경우에 장치를 재구성하기 위해 퍼엄웨어 프로그램의 제1위치로 전이된다. 해독/셋트 모우드 내에는 기계를 상이한 상태로 전이시키기 위해 사용자가 ACK, SEL, 상향 화살표 및 하향 화살표 키들을 누름으로써 기계와 상호동작할 수 있는 다수의 기계 상태가 있다.
해독/셋트 모우드의 해독 부분에서, 조작자는 입력, 접촉, 알람 및 한계 셋팅의 현지 값을 배치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부수적으로, 현재 동작하는 제어기 구성이 완전히 해독될 수 있다. 해독/셋트 모우드의 셋트 부분에서, 조작자는 현재의 제어 셋업을 구성하는 현재의 제어기 파라메터, 알람 및 한계 셋팅을 배치하여 변경할 수 있다.
구성 모우드는 해독/셋트 모우드의 셋트 부분의 한 부분이다. 구성 모우드에서, 사용자는 입력 및 출력 신호 제어를 배치하여 변경할 수 있다. 이미, 신호 프로세싱 방법은 제어 장치 내에 하드와이어드(hardwired) 되어 있다. 입력은 적당한 프로세스 접속을 하도록 특정한 단자에 결선된다. 실제적인 셋팅 및 접속은 선택된 결과를 달성하기 위해 일련의 신호 응답 구성부품들을 통해 고정된 통로를 따라 신호를 제어하도록 프로세스 장치에 만들어졌다. 이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구성 모우드에서 프로세서 작용에 의해 신호 프로세싱, 신호 결합 및 출력 사용을 통한 입력 신호 통로를 유도한다. 이러한 프로세서 선택은 어디서 신호가 해독되는지, 어떤 필터링 바이어스, 이득 및 그외의 다른 상태가 실행되었는지, 어떻게 신호가 다른 신호와 결합될 수 있는지를 포함한다.
구성 부분을 제외한 해독/셋트 모우드에서, 숫자 프로세서(118)는 TAG 키를 누르기 전에 존재한 셋업에 따라 필드 입력을 해독하고, 계산하며, 출력 신호를 내보냄으로써 면판 모우드에서와 동일한 형태로 제어기로서 계속 동작한다. 제어기는 구성 모우드가 기입될 때 프로세스 응답 제어기로서 동작하지 않게 된다. 제어기는 구성 모우드 엔트리 전에 최종 출력을 고정 신호로서 계속 내보낸다. 한편 부적당한 신호들은 구성 프로세스 중에 내보내 질 수 있다. W/P 키(54), R/L 키(56) 및 A/M 키(58)는 또한 동일한 이유로 구성 모우드 중에 디스에이블 된다. 숫자 프로세서(118)의 온라인 제어형태는 다수의 사용자 해독/셋트 모우드 동작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는다. 단지 구성 모우드에서는 활성 제어 신호가 영향을 받는다.
키가 키패드상에 스트로크될 때, 특정한 키는 데이타 워드 내의 특정한 비트로서 숫자적으로 식별된다.
이 결과는 키패드 버퍼(72)에 의해서 주요 데이타 디스플레이 버스(76)로 가게 된다. 주기적으로, 디스플레이 프로세서(78)는 소정의 키 스트로크 번호에 대해 키패드 버퍼(72)를 검사한다. 키 스트로크 신호는 라인(117)에 의해 숫자 프로세서(118)에 논리 상태로서 가게 된다. 각각의 키 스트로크에 대응하여 프로세서가 실행하는 기능들이 있다. TAG 키를 스트로크 할 때, ACK, SEL, 상향 화살표 및 하향 화살표 기능들은 프로세서가 통상의 면판 모우드로부터 해독/셋트 모우드로 전이될 때 변경된다. 디스플레이 프로세서(78)는 키 스트로크를 위해 키패드(72)를 계속 모니터한다.
제3도를 참조하면, 포인트로서 도시되고, 선으로 도시한 기계 상태들 사이의 허용가능한 전이에 의해 연결된 명령된 기계 상태의 그래프가 도시되어 있다. 포인트(400)에서 시작되는 주요 통로는 포인트(500)까지 모든 포인트들을 수직으로 하향 연결시킨다. 접속된 기계 상태들의 다수의 보조통로들은 주요 통로를 따라 포인트의 주요 통로 연결 보조셋트로부터 분기된다. 제1보조통로(501)는 포인트(401, 431, 460 및 490)를 연결하고, 제2보조통로(502)는 포인트(402, 410, 420 및 430)를 연결하며, 제3보조통로는 포인트(403, 404 및 405)를 연결한다. 보조통로 포인트는 2개 이상의 보조통로 상에 포함되지 않는다. 모든 보조통로는 예를 들어 제1보조통로(501) 상의 포인트(401) 또는 제2보조통로(502) 상의 포인트(402)와 같이, 주요 통로를 따라 제일 높게 있는 제1보조셋트 포인트를 갖고 있다. 도시된 보조통로들은 여러 레벨로 배열되어 있는데, 고레벨 보조통로는 저레벨 보조통로의 제1보조셋트 포인트의 주요 통로를 순차적으로 따르기 전에 제1보조통로 포인트를 갖고 있다. 또한, 저부 보조통로의 모든 보조셋트 포인트, 예를 들어 제3보조통로(503)의 포인트(403, 404, 405)는 다음으로 높은 보조통로, 예를 들어 제2보조통로(502)를 따라 2개의 순차 포인트, 예를 들어 포인트(402와 410)의 세그먼트 사이에 있다. 각각의 보조통로를 보조통로 포인트가 주요 통로를 따르고 나중의 포인트를 이전의 포인트에 접속시키는 보조통로가 없도록 동일한 등급으로 등급이 매겨진다. 제1보조통로(예, 501)는 제2보조통로(예, 502)의 다음으로 높은 보조통로로 고려되고, 반대로 제2보조통로(예, 502)는 제1보조통로(예, 501)의 다음의 낮은 보조통로로 고려된다.
4개의 화살표는 기계 상태들 사이의 허용가능한 전이에 대응하는 그래프를 따르는 가능한 이동 방향을 나타낸다. 주요 통로에 인접한 하향 화살표(601)는 주요 통로를 따르는 순차적인 스텝핑을 나타낸다. 제1보조통로에 인접한 아아크헝 하향 화살표(602)는 포인트(401)로부터 포인트(431)까지와 같이, 한 주요 통로 포인트로부터 전방향의 다른 포인트까지 보조통로를 따르는 전방향 스텝핑을 나타낸다. 제1보조통로에 인접한 아아크형 상향 화살표(603)는 포인트(431)로부터 포인트(401)까지와 같이, 한 주요 통로 포인트로부터 역방향의 다른 포인트까지 보조통로를 따르는 역방향 스텝핑을 나타낸다.
제4화살표는 저부 보조통로의 최소한 제1보조셋트 포인트보다 한 스텝 위에 있는 높은 보조통로의 주요 통로 포인트에 저부 보조통로 포인트를 연결하는 역방향 화살표(604)이다. 이 화살표는 소정의 저부 보조통로 위치로부터, 저부 보조통로의 제1보조셋트 포인트보다 한 포인트 높은 다른 높은 보조통로 위치상의 한 포인트까지의 허용된 전이를 나타낸다. 이 방식에서, 위치는 보조통로상의 소정의 위치로부터 다른 높은 보조통로상의 높은 포인트까지 전이될 수 있다.
제3도의 그래프는 카테고리 레벨에 의해 제어기 실체의 범주를 증명한다. 각각의 보조통로는 부속 카테고리, 예를 들어 해독 및 셋트를 나타낸다. 고레벨 보조통로 세그먼트 내에 포함된 저레벨 보조통로는 큰 카테고리 내의 부 카테고리, 예를 들어 셋트 부분내의 구성 부분에 대응한다. 그래프는 특히 유용한 것으로 알려진 기계 상태 관계의 패턴을 디스플레이한다.
제3도의 4개의 화살표는 해독/셋트 모우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은 4개의 키, 즉 ACK(66), 하향 화살표(60), 상향 화살표(52) 및 SEL(62)의 기능에 대응한다.
TAG 키는 면판 모우드와 해독/셋트 모우드 사이로 제어기를 전이시킨다. 장치가 면판 모우드에 있을 때, TAG 키를 누르면, 해독/셋트 모우드 기계 상태 구조의 상부 또는 시작부에서 해독/셋트 모우드로 된다. 장치가 해독/셋트 모우드에 있을때, TAG 키(64)를 누르면 해독/셋트 모우드가 종료되고 장치가 면판 동작 모우드로 복귀된다. TAG 키는 면판 모우드와 해독/셋트 모우드 사이를 전이시키기 위한 다른 기능을 갖고 있지 않다. TAG 키를 누름으로써 해독/셋트 모우드로 전이시킬 때, ACK 키(66), SEL 키(62), 상향 화살표키(52) 및 하향 화살표 키(60)는 모두 면판 모우드 기능으로부터 해독/셋트 모우드 내의 기계 상태 위치결정 기능으로 변한다. 기계 상태 위치 설정 기능들은 제3도의 화살표(601, 602, 603 및 604)의 기능들에 대응한다.
해독/셋트 모우드 내로의 엔트리는 주로 통로를 따르는 제1 또는 최고 포인트에 프로그램을 남긴다. 사용자는 우선 값을 해독하기 위한 보조통로를 선택하거나 값을 셋트시키기 위한 제2보조통로를 선택한다. 해독 모우드는 현재 셋업된 대로 제어기 구성을 추적하나, 구성된 값을 변화시킬 수 없다. 셋트 모우드는 각각의 값이 억세스 되어 변경되게 하고, 특정한 억세스는 사용자가 제어기 구성이 셋트될 수 있는 구성 브랜치(branch)를 기입하게 한다.
해독/셋트 모우드에서, ACK 키(66)는 기계 상태의 구조를 통해 하향 이동시키기 위해 사용되고, 제3도의 기능 화살표(601)에 대응한다. ACK 키를 연속적으로 사용하면, 구성시에 결정된 바와 같은 유용한 모든 위치들이 통과될 때까지 기계 상태 또는 상호 작용 포인트들의 구조를 통해 기계를 우선 정교한 카테고리로 하향 이동시키고 다음에 높은 카테고리로 하향 이동시키게 된다. 이 방식으로, ACK 키(66)를 연속적으로 사용하면, 구조물의 이전에 구성된 기계 상태들이 모두 유도된다.
SEL 키(62)는 현재의 보조통로의 제1보조셋트 포인트 보다 한 레벨 높은 보조통로의 다음으로 높은 포인트로 위치를 복귀시킨다. 이때 SEL 키는 제3도의 화살표기능(604)에 대응한다. SEL 키(62)의 기능은 ACK 키(66)의 기능과 정확히 반대가 아니다. SEL 키(62)를 연속적으로 사용하면 높은 카테고리를 통해 위치를 제1위치로 상향 이동시키고 그 다음 면판 동작 모우드로 상향 이동시키게 된다. SEL 키(62)의 기능을 제외하면, 고정된 보조통로 지역으로부터의 적당한 퇴장을 도모할 수 있다. 조작자가 특정한 기계 상태 부분을 억세스하기 전에 패스워드(password) 검사가 필요하게 될 수 있다. 조작자가 패스워드를 제공할 수 없으면, 통로 브랜치는 보호 부분을 통과하도록 기계를 전이시킨다. 정확한 패스워드가 존재하면, 고정지역이 기입될 수 있다. 본 출원인들은 해독/셋트 모우드의 구성 부분을 보호하기 위해 패스워드를 사용하였다. 보호지역으로부터 퇴장할 때에는, 새로운 패스워드가 필요하게 되거나, 보호지역 내에서 실행된 작동을 확인해야 한다. 어느 경우에든지, SEL 키의 동작은 확인 과정을 통과하기 위한 장치를 포함해야 한다.
하향 화살표 키(60)는 현재의 보조통로를 위해 모든 보조통로 옵션을 통해 기계를 스텝화시킨다. 이 때, 하향 화살표 키(60)의 기능은 제3도의 기능 화살표(602)에 대응한다. 각각의 보조통로 포인트는 현재의 보조통로용의 최종 포인트가 도달될 때까지 순차적으로 점프된다. 이 때 하향 화살표 키(60)의 기능은 정지되어, 현재의 보조통로용의 모든 유용한 기계 상태들이 디스플레이 되었다는 것을 조작자에게 신호하게 된다. 기계 상태가 최저 레벨 카테고리에 있을 때에는, 이 레벨에서부터 선택하기 위한 저부 보조통로가 없다. 이 때 하향 화살표 키(60)는 실재하지 않은 보조통로를 따라 기계 상태를 전진시킬 수 없다. 해독/셋트 모우드의 해독 부분에서, 하향 화살표 키(60)는 아무런 효과가 없다. 해독/셋트 모우드의 셋트 부분에서, 최저 카테고리 레벨이 도달되면, 하향 화살표 키(60)가 구성된 값을 스크롤하기 위해 사용된다. 최저 카테고리가 숫자일 때, 하향 화살표는 값을 감소시킨다. 최저 카테고리가 스위치 상태(온 또는 오프)인 경우에, 스위치는 셋 오프된다. 최저 카테고리 레벨은 또한 리스트의 요소들도 포함한다. ACK 키 또는 하향 화살표 키를 사용하여 리스트를 통해 순환함으로써, 선택의 항목이 배치될 수 있고, 그 다음 보조통로 이의로 전이시키기 위해 SEL 키를 사용함으로써 선택될 수 있다. 리스트 선택은 특히 구성모우드에서 유용하다.
상향 화살표 키(52)는 하향 화살표 키(60)의 반전 키이고, 제3도의 기능 화살표(603)에 대응한다. 하향 화살표 키(60)가 유용한 보조통로 위치를 통해 한 방향으로 위치를 스텝하는 경우에, 상향 화살표 키(52)는 현재의 보조통로를 따라 유용한 기계 상태들 사이에서 대향 방향으로 위치를 순환한다. 하향 화살표 키(60)가 값을 감소시키기 위해 해독/셋트 모우드의 셋트 부분에서 사용되는 경우에, 상향 화살표 키(52)는 값을 증가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하향 화살표 키(60)가 스위치를 셋트시키는 경우에, 상향 화살표 키(52)는 스위치를 대향 위치에 셋트시킨다. 이 때 상향 화살표 키(52)는 하향 화살표 키(60)의 반전 키로 된다.
현재의 기계 상태에 대해 조작자에게 계속 알려주는 것이 편리하다. 주요 통로를 따르는 모든 위치에 관련된 것은 라벨이다. 제어기가 주요 통로를 따라 스텝화될 때, 현재의 위치에 관련된 라벨은 저부 디스플레이 라인에서 디스플레이 된다. 상부 디스플레이에서는 다음으로 높은 보조통로를 따르는 다음으로 높은 포인트에 관련된 라벨이 나타난다. 이 방식으로, 사용자는 상부 디스플레이에서 카테고리 라벨을 제공받고, 저부 디스플레이에서 특정한 라벨 또는 값을 제공받는다.
특정한 보조통로의 유용한 기계 상태를 통해 시퀀싱하면, 상부 디스플레이(12)가 고정 상태로 유지되어 높은 카테고리 식별자를 나타내고 낮은 카테고리 라벨이 저부 디스플레이(14)에서 변화된다는 것을 조작자가 알게 된다. 낮은 카테고리를 선택할 때, 낮은 카테고리 라벨은 저부 디스플레이(14)로부터 상부 디스플레이(12)로 이동하여 높은 카테고리 식별자로 된다. 새로운 보조통로의 제1보조셋트 포인트의 라벨은 저부 디스플레이(14)에서 나타난다. 가장 낮은 카테고리에 도달할 때, 이 가장 낮은 카테고리에 대한 기계 상태 라벨은 상부 디스플레이(12)에서 나타나고, 값은 저부 디스플레이(14)에서 나타난다.
셋 업시에 사용하기 위한 특정한 값의 선택은 실체(subject)의 최저 레벨 보조통로가 도달될 때까지 적당한 높은 카테고리를 통과함으로써 달성된다.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보조통로의 최저 레벨, 예를 들어 보조통로(503)에서, 보조통로는 주요 통로와 평행하게 된다. ACK 키를 사용하는 것은 하향 화살표 키를 사용하는 것과 등가로 나타난다. 이러한 최저 레벨 보조통로의 요소, 예를 들어 (503)이 리스트 내의 항목에 대응하는 경우에, 요소는 바람직한 리스트 항목을 배치시키기 위해 하향 화살표 키 및 상향 화살표 키를 사용함으로써 선택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보조통로로부터 퇴장하기 위해 ACK 키만을 사용하면, 리스트 항목이 선택된다. 이와 마찬가지로, 숫자 값이 셋트되면, 사용자가 최저 보조통로 레벨에서 값 카테고리를 배치시킬 수 있고 그 다음 숫자 값을 바람직한 포인트로 스크롤하기 위해 상향 화살표 키 및 하향 화살표 키를 사용할 수 있으며, 그 다음 보조통로를 남기도륵 ACK 키를 사용함으로써 이 바람직한 값을 셋트 시킬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대해 기술하였으나, 본 분야에 숙련된 기술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서 본 발명을 여러가지로 수정 및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한 변형은 보조통로상의 제1포인트에 보조통로상의 최저 또는 최종 포인트를 다시 연결하여 보조통로 포인트를 링으로서 명령하는 것이다. 전방향 스텝핑에 의해, 카테고리의 모든 기계 상태 옵션이 존재하고, 이 카테고리에 관련되지 않은 기계 상태는 존재하지 않게 된다. 양호한 실시예에서, 조작자는 보조통로를 따른 최종의 유용한 기계 상태가 도달할 때 전방향 스텝핑으로부터 정지된다. 전방향 스탭핑을 정지하면, 카테고리 내의 모든 유용한 옵션이 존재하고 조작자가 이 존재하는 옵션들로부터 선택해야 한다는 것을 편리하게 신호하게 된다. 그러므로, 이 보조통로상의 모든 유용한 기계 상태들은 다른 카테고리를 혼잡하게 통과하지 않고 이미 존재한 항목들 중에서 재순환하지 않고서 디스플레이 된다. 역방향 스텝핑은 선택이 통과되는 경우에 조작자가 선택을 재배치할 수 있게 한다.
상술한 방법은 구조물 내에 배치 이동을 제공하는 4개의 키를 사용한다. 이 키들은 광범위하게 구조물을 따르는 상향 및 하향 이동 및 구조물을 가로지르는 우측 및 좌측 이동에 대응한다. 배치작용은 3개의 키, 즉 상향 키, 우측 키 및 상향 키를 하향 키로 변화시키고 우측 키를 좌측 키로 변화시키도록 반전 작용하는 반전 키로 완료될 수 있다. 반전 키를 누름으로써, 다음키가 눌려지면, 상향 및 우측 키가 다시 반전될 때까지 기능을 반전하게 된다. 한 키를 절약하면 키 목적을 변동시킴으로써 생긴 혼동을 판단하지 못하게 된다.
다른 유용한 변형 및 본 출원인이 해독/셋트 모우드의 구성부분으로 다시 보호할 때 실행한 한 변형은 이미 선택된 상태와 논리적으로 일치하지 않는 보조통로로의 억세스를 차단시키는 것이다. 이 특정한 실행은 구성 재원의 배치를 방해한다. 이때 조작자는 제어된 값 및 제어중인 값으로서 입력 라인을 사용하지 못하게 된다. 통로 차단용의 특정한 논리는 입력, 프로세싱 및 출력 과정의 특정한 특성에 따라 변한다.
특정한 기능을 위해 부수적인 키들이 추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조물은 별개의 키에 관련된 초기 또는 주요 보조통로에 따라 분리될 수 있다. 이 때 별개의 키들은 별개의 구조물, 예를 들어 기술한 해독, 셋트 및 구성 모우드들과 관련될 수 있다. 별개의 키들은 또한 값 또는 구성의 프리셋트 그룹과 관련될 수 있으므로, 공지된 셋업을 신속히 삽입할 수 있게 한다. 키들은 또한 특정한 기계 상태를 표시하여 표시된 위치들 사이로 직접 점핑할 수 있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
보조통로의 명령은 다른 형태로 될 수도 있다. 기술한 명령은 모호성을 제한할 때 양호하다. 예를 들어, 통로는 주요 통로를 따라 나중 상태를 이전 상태에 연결하거나, 보조 통로 세그먼트 내의 상태를 이 세그먼트 외부의 포인트에 연결할 수 있다. 특히, 각각의 부수적인 배치 키의 경우에는, 부수적인 배치 방향이 보조통로 시스템에 추가될 수 있다.
사용자의 이해를 증가시키기 위해 부수적인 디스플레이 라인들이 추가될 수도 있다.

Claims (20)

  1. 기계 상태들 사이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작동 장치를 갖고 있는 제어기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 상호작용 포인트를 호출하고, 모든 상호 작용 포인트를 연결하는 단일 주요 통로 내에서 제1최고 포인트로부터 최종 최저 포인트까지 계속적으로 등급이 매겨지고, 최소한 2개의 상호작용 포인트가 제1최고 보조셋트 포인트로부터 최종 보조 포인트까지 보조통로로서 계속적으로 등급이 매겨져 연결된 상호작용 포인트의 최소한 한 보조셋트를 형성하는 다수의 사용자 상호작용 기계 상태를 갖고 있는 전자 장치 및 주요 통로를 따라 현재의 상호작용 포인트로부터 다음의 상호작용 포인트까지 이 전자 장치를 스텝핑 시키기 위해 사용자에 의한 제1키의 작동에 응답하고, 보조통로 상호작용 포인트의 보조셋트를 연결하는 보조통로를 따라 보조통로 상호작용 포인트로부터 보조셋트 상호작용 포인트까지 프로세서를 스텝핑 시키기 위해 사용자에 의한 제2키의 작동에 응답하는 전자 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전자 수단이 현재의 보조통로 상호작용 포인트로부터 현재의 보조통로를 따르는 다음의 이전 상호작용 포인트까지 보조통로를 따라 역방향으로 전자 장치를 계속적으로 스텝핑시키기 위해 사용자에 의한 제3키의 작동에 응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전자 수단이 현재의 제1보조통로 상호작용 포인트로부터 제2보조통로를 따르는 제1보조통로 포인트까지 전자 장치를 스텝핑시키기 위해 사용자에 의한 제4키의 작동에 응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보조통로를 형성하는 보조셋트 내의 기계 상태들의 등급이 기계 상태들이 주요 통로를 따라 갖는 등급과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기계 상태가 보조통로를 형성하는 한개 이상의 보조셋트 내에 포함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주요 통로를 따라 제1보조통로를 형성하는 기계 상태 제1보조셋트가 제2보조통로를 형성하는 기계 상태의 제2보조셋트의 2개의 순차적인 보조셋트 포인트들 사이에 포함되고, 이 2개의 순차적인 보조셋트 포인트들이 제1보조통로의 최고 포인트 보다 높은 기계 상태와 제1보조통로의 최저 포인트 보다 낮은 저부 포인트를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제1보조통로의 제1포인트가 제2보조셋트의 보조셋트에 의해 주요 통로상에 한 스텝만큼 선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전자 장치가 디지탈 전자 장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조작자에게 정보를 빨리 알려 주는 것을 나타내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장치가 최소한 16개의 문자로 구성되는 것을 톡징으로 하는 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디스플레이가 주요 통로를 따르는 현재의 기계 상태에 관련된 라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2. 제9항에 있어서, 디스플레이가 현재의 보조통로의 제1보조통로 포인트보다 한 기계 상태가 높은, 주요 통로를 따르는 제1보조통로 포인트에 관련된 라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셋트 상호작용 포인트로 전이하기 위해 프로그램 장치와 연결되는 제5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4. 다수의 선택가능한 기계상태를 갖고 있는 제어기 장치에서 상호 작용 포인트들을 배치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주요 통로를 따라 모든 상호작용 포인트를 등급매기는 수단, 보조셋트가 다른 보조셋트와 상호작용하지 않도록 보조통로를 따라 상호작용 포인트의 보조셋트들을 교차 연결하는 수단, 모든 기계 상태들을 연결하는 단일 주요 통로를 따라 스텝핑시키는 수단 및 주요 통로를 따라 기계 상태의 보조셋트를 연결하는 현재의 보조통로를 따라 스텝핑시키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호작용 포인트가 주요통로를 따라 한번 이상 포함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6. 제14항에 있어서, 모든 상호작용 포인트가 보조통로의 요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7. 사용자 옵션들 사이를 선택하기 위한 장치를 갖고 있는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호작용 포인트가 주요 통로를 따라 한번 이상 포함되지 않고 모든 상호작용 포인트가 보조통로의 요소로 되도록 모든 상호작용 포인트들을 연결하는 단일 주요통로 내에 계속적으로 등급이 매겨진 기계 상태 호출 사용자 상호작용 포인트를 갖고 있는 전자 장치 및 주요 통로를 따라 현재의 상호작용 포인트로부터 다음 상호작용 포인트까지 이 전자 장치를 스텝핑 시키기 위해 사용자에 의한 제1키의 작동에 응답하고, 상호작용 포인트의 등급이 매겨진 보조셋트를 연결하는 현재의 보조통로를 따라 현재의 보조통로 상호 작용 포인트로부터 다음의 보조통로 상호작용 포인트까지 전자 장치를 스텝핑 시키기 위해 사용자에 의한 제2키의 작동에 응답하며, 현재의 보조통로를 따라 현재의 상호작용 포인트로부터 다음의 이전 상호작용 포인트까지 역방향으로 프로세서를 스텝핑 시키는 제3키의 작동에 응답하고, 상이한 보조통로를 따라 현재의 보조통로로부터 제1포인트까지 프로세서를 스텝핑 시키는 제4키의 작용에 응답하며, 상호작용 포인트로 전이하기 위해 프로그램 장치와 연결되는 제5키의 작동에 응답하는 전자 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현재의 기계 상태를 나타내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현재의 보조통로를 나타내는 제2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0. 제14항에 있어서, 현재의 상호작용 포인트와 관련된 라벨을 디스플레이하는 수단 및 현재의 보조통로와 관련된 라벨을 디스플레이 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수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19870700314A 1985-08-12 1987-07-16 제어기 구성 방법 및 장치 KR90000851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6/764,271 US4658348A (en) 1985-08-12 1985-08-12 Method and apparatus for configuring a controller
PCT/US1986/001481 WO1987001214A1 (en) 1985-08-12 1986-07-16 Method and apparatus for configuring a controller
US764271 1991-09-23
US764,271 1991-09-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700327A KR880700327A (ko) 1988-02-22
KR900008516B1 true KR900008516B1 (ko) 1990-11-24

Family

ID=250702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700314A KR900008516B1 (ko) 1985-08-12 1987-07-16 제어기 구성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4658348A (ko)
EP (1) EP0235178B1 (ko)
JP (1) JPS63500829A (ko)
KR (1) KR900008516B1 (ko)
CN (1) CN1008836B (ko)
AU (1) AU580507B2 (ko)
CA (1) CA1264492A (ko)
DE (1) DE3681439D1 (ko)
DK (1) DK184187A (ko)
FI (1) FI871587A (ko)
NO (1) NO871520L (ko)
WO (1) WO198700121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602926B1 (fr) * 1986-08-14 1992-12-24 Telemecanique Electrique Dispositif de reglage et de dialogue notamment pour variateur de vitesse
GB2224370B (en) * 1988-11-01 1993-08-04 Toshiba Machine Co Ltd Input display apparatus
US5121318A (en) * 1989-04-19 1992-06-09 Westinghouse Electric Corp. On-line plant operating procedure guidance system
US4970870A (en) * 1989-11-06 1990-11-20 Amana Refrigeration, Inc. Commands system for electronic refrigerator control
DE535340T1 (de) * 1991-09-30 1993-10-14 Yokogawa Electric Corp Mehrfunktionsregler.
JP2963299B2 (ja) * 1993-03-31 1999-10-18 三菱電機株式会社 プログラマブルコントローラの周辺装置、及び内部情報設定方法
US5930732A (en) * 1995-09-15 1999-07-27 Accumed International, Inc. System for simplifying the implementation of specified functions
US6118581A (en) * 1995-09-15 2000-09-12 Accumed International, Inc. Multifunctional control unit for a microscope
US6091842A (en) * 1996-10-25 2000-07-18 Accumed International, Inc. Cytological specimen analysis system with slide mapping and generation of viewing path information
DE19982183B4 (de) * 1998-10-23 2011-01-05 Tiefenbach Control Systems Gmbh Maschinensteuerung
US6925337B2 (en) * 2001-11-08 2005-08-02 Compass Technology,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dynamically programmable field controller
JP6561562B2 (ja) * 2014-06-30 2019-08-21 パナソニック インテレクチュアル プロパティ コーポレーション オブ アメリカ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加熱調理装置、情報表示装置、制御方法、調理器具、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FR3122505B1 (fr) * 2021-05-03 2023-12-01 Delta Dore Procede de gestion d’une regulation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16840A (en) * 1970-06-01 1973-02-13 Texas Instruments Inc Multimodal search
US3971000A (en) * 1974-06-20 1976-07-20 The Foxboro Company Computer-directed process control system with interactive display functions
US4063409A (en) * 1976-01-05 1977-12-20 Intel Corporation Custom watch
US4303973A (en) * 1976-10-29 1981-12-01 The Foxboro Company Industrial process control system
US4254474A (en) * 1979-08-02 1981-03-03 Nestor Associates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using threshold passive modification
US4443861A (en) * 1981-04-13 1984-04-17 Forney Engineering Company Combined mode supervisory program-panel controller method and apparatus for a process control system
DE3216286A1 (de) * 1981-06-30 1983-01-13 Siemens AG, 1000 Berlin und 8000 München Elektronisches regelgeraet
JPS58169211A (ja) * 1982-03-30 1983-10-05 Shin Meiwa Ind Co Ltd 操作装置
US4566061A (en) * 1983-09-15 1986-01-21 Ralph Ogden Method and means of manual input of programs into industrial process programmable controller system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1264492A (en) 1990-01-16
KR880700327A (ko) 1988-02-22
FI871587A0 (fi) 1987-04-10
US4658348A (en) 1987-04-14
DK184187D0 (da) 1987-04-10
WO1987001214A1 (en) 1987-02-26
AU580507B2 (en) 1989-01-12
NO871520D0 (no) 1987-04-10
AU6143386A (en) 1987-03-10
FI871587A (fi) 1987-04-10
DE3681439D1 (de) 1991-10-17
CN86105003A (zh) 1987-03-18
JPS63500829A (ja) 1988-03-24
NO871520L (no) 1987-06-10
EP0235178A1 (en) 1987-09-09
EP0235178B1 (en) 1991-09-11
CN1008836B (zh) 1990-07-18
DK184187A (da) 1987-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0467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figuring a controller
KR900008516B1 (ko) 제어기 구성 방법 및 장치
EP0043201B1 (en) Industrial process control system
US4703414A (en) Programmable controller
JPH0413732B2 (ko)
US7069106B2 (en) Sequence circuit display method of injection molding machine
CA1156372A (en) Maintenance panel for communicating with an automated maintenance system
EP0267664A3 (en) Computer control system
US20030174073A1 (en) Keypad indicating arrangement including virtual key
US5589670A (en) Weighing apparatus and method using variable key bar means
CN209765327U (zh) Cnc复合式操作面板系统
JPH1039923A (ja) 制御操作表示システム
JPH01240905A (ja) マルチ操作盤
JPH06338468A (ja) 流体フローパターンパネル
WO1989001201A1 (en) A terminal and a method for use with programmable logic controllers
JPS5839332A (ja) キ−ボ−ド装置
JPH0635653A (ja) スクロール画像表示装置
JPS63214802A (ja) オペレ−タ−ズコンソ−ル
JPH067364B2 (ja) プラント制御装置
JPS6432333A (en) Display control system
JPH0655596A (ja) 射出成形機における操作表示装置
JPS63233816A (ja) 射出成形機の成形デ−タ設定・表示方式
JPH0357010A (ja) キーボード入力装置
JPH11154012A (ja) 分散型制御システム
JPH04159474A (ja) 圧縮機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5101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