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8359Y1 - 조립식 솥 - Google Patents

조립식 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8359Y1
KR900008359Y1 KR2019870000479U KR870000479U KR900008359Y1 KR 900008359 Y1 KR900008359 Y1 KR 900008359Y1 KR 2019870000479 U KR2019870000479 U KR 2019870000479U KR 870000479 U KR870000479 U KR 870000479U KR 900008359 Y1 KR900008359 Y1 KR 90000835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er
outer cylinder
circumferential wall
space
r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7000047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14689U (ko
Inventor
김규현
Original Assignee
김규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규현 filed Critical 김규현
Priority to KR2019870000479U priority Critical patent/KR900008359Y1/ko
Publication of KR88001468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1468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835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8359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4Cooking-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Devices for extracting fruit juice by means of steam ; Vacuum cooking vessels
    • A47J27/05Tier steam-cookers, i.e. with steam-tight joints between cooking-vessels stacked while in us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2Construction of cooking-vessels; Methods or processes of manufacturing specially adapted for 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2Cooking-vessels with enlarged heating surfaces
    • A47J27/022Cooking-vessels with enlarged heating surfaces with enlarged bottom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4Cooking-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Devices for extracting fruit juice by means of steam ; Vacuum cooking vessels
    • A47J2027/043Cooking-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Devices for extracting fruit juice by means of steam ; Vacuum cooking 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조립식 솥
제 1 도는 본 고안의 일부를 절결한 분해사시도.
제 2 도는 본 고안에서 괘지구를 발취한 분해사시도.
제 3 도는 본 고안을 조립하고 사용상태를 예시한 횡단면도.
제 4 도는 본 고안에서 외통의 외측 돌턱과 내통의 감합부를 괘지구로 결합한 상태의 부분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외통 2 : 솥전
3, 4 : 내외측 돌턱 5 : 내통
6 : 감합부 7 : 괘지구
8 : 미세공 9 : 외통 내주벽
10 : 내통 외주벽 11, 13 : 공간부
본 고안은 솥을 구성함에 있어 내통과 외통이 결합될때 내통의 외주벽과 외통의 내주벽 사이에 공간부가 형성되게하고, 하단부에도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결합하여 음식물을 조리할때 열원으로부터 직접 가열되는 외통과 음식물이 내장된 내통의 하단부에 천공된 미세공(쌀알이 빠지지 않을 정도)을 통하여 물을 유통시키므로 열원의 열을 내장된 내용물에 전달 하도록 하여 음식물(특히 쌀)이 타지 않으면서 열을 효율적으로 이용하여 조리하도록 고안한 것이다.
종래의 솥은 하단부가 내벽에 공간부가 없이 쌀이 솥의 밑바닥과 내벽에 직접닿은 상태에서 가열되므로 쌀밑에서의 물의 대류가 원활치 않았음은 물론 쌀의 수분 흡수와 증발로 물기가 없어지면 (뜸을 들일 때) 열원의 열이 직접쌀에 전도되어 밑바닥에서부터 내벽으로 타올라가 조리중 내용물의 손실과 열의 효율적인 이용에 막대한 손실을 입었고, 현재 사용되고 있는 찜통은 천공된 미세공의 원판이 하단부에 공간부를 두고 설치되어 음식물을 조리하고 있는바 하단부의 공간부와 천공된 미세공으로 물이 유통되는 점에서 일견 유사점을 찾을 수 있으나 하단부의 공간부만으로는 취반시 밥이 타는 것의 방지와 열효율의 극대화를 이룰수 없었다.
본 고안은 위와같은 내용물의 손실 방지와 열을 효율적으로 이용하고자 한 것으로 이를 첨부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면하면 다음과 같다.
솥전(2)이 접시형으로 상향되고 상단에 내외측 돌턱(3)(4)이 환설된 외통(1)의 내부에 감합부(6)의 외부로 수개의 형의 괘지구(7)가 설치되고 하단에 미세공(8)이 천공된 내통(5)을 결합하되 외통(1)의 내측 돌턱(3)에 의해 외통(1)의 내주벽(9)과 내통(5)의 외주벽(10) 사이에 공간부(11)가 환설되고 내통(5)의 하단부(12)에도 연결된 공간부(13)가 형성되게 결합하여 된 것으로서 도면중 미설명 부호(14)는 고무팩킹이다.
이와같이 형성된 본 고안은 쌀이나 기타 음식물을 넣은 내통(5)을 외통(1) 내부에 넣고 일정한 량의물(쌀의 흡수량과 가열중 증발량)을 주입한후 외통(1)의 내외측 돌턱(3)(4)에 삽입된 내통(5)의 감합부(6)에 있어서 형의 괘지구(7)를 제 4 도와 같이 돌려서 괘정하면 내통(5)의 감합부(6)와 외통(1)의 외측돌럭(4)은 괘지구(7)의 의해서 견고하게 결합되고 내통(5)의 외주벽(10) 상단은 외통(1)의 내측 돌턱(3)에 밀착되면서 그 외주벽(10)과 하단부(12)에는 연결된 공간부(11)(13)가 각각 형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외통(1)을 열원에 의해 가열하면 외통(1)의 열원은 하단부에 형성된 공간부(13)와 주벽에 형성된 공간부(11)에서 물의 대류가 세게 일어나 내용물의 온도를 신속히 상승시켜 음식물(특히 쌀)을 단시간내에 조리할 수 있는 것인데, 또한 본 고안은 종래의 중습을 목적으로 한 찜통처럼 하단부에서만 대류가 일어나는 것이 아니라 외주벽 공간부(11)에서의 원활한 대류로 물기가 있을땐 내통(5)에 내장된 내용물의 온도상승을 촉진하고 증발이 끝나 밥에 뜸을 들일때는 내외주벽 공간부(11)에서의 열의 대류로 내통(5)의 넓은 외주벽(10)을 골고루 덥히고 더 나아가 이미 상승된 내용물의 온도를 보호해주므로 취반 시간의 단축과 연료의 절감효과를 극대화 시킬수 있는것이며 상측의 결합부를 제외 하고는 외통(1)과 내통(5)이 직접접촉된면이 없어 열원이 직접 내용물이든 내통(5)에 닿지 않고 공간부(11)(13)에서의 대류와 전도에 의해 내용물을 조리하므로 밥을 지을 때 밥이라는 일이 없으므로 음식물을 손상 시키지 않고 이상적으로 조리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서는 찜통으로도 사용할수 있으며, 내외통(5)(1)의 괘지구(7)를 풀어서 개별적으로 사용할 땐 외통(1)은 일반 솥 또는 냄비로 사용될 수 있고 내통(5)은 밑에 미세공으로 천공되어 물의 유통이 원할하므로 쌀등을 씻는 용기등으로 사용하면 더 없이 좋다.
상측의 솥전은 접시와 같은 호형으로 상향되어 있기 때문에 음식물을 조리할때 위로 넘치는 물을 솥전(2)에서 받을 수 있으므로 주위를 더렵히거나, 가스레인지 등 취사 도구를 오손시킬 염려없이 사용할수 있으며, 밑에서 올라오는 열원에서의 끄을음도 방지하도록 고안된 것이다.

Claims (1)

  1. 솥전(2)이 상향되고 상단에 내외측 돌턱(3)(4)이 환설된 외통(1) 내부에 감합부(6) 외부로 수개의 형의 괘지구(7)가 설치되고 하단에 미세공(8)이 천공된 내통(5)을 결합하되 외통(1)의 내측돌턱(3)에 의해 외통(1)의 내주벽(9)과 내통(5)의 외주벽(10) 사이에 공간부(11)가 환설되고 내통(5) 하단부(12)에도 연결된 공간부(13)가 형성되게 결합함을 특징으로 한 조리식 솥.
KR2019870000479U 1987-01-16 1987-01-16 조립식 솥 KR90000835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00479U KR900008359Y1 (ko) 1987-01-16 1987-01-16 조립식 솥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00479U KR900008359Y1 (ko) 1987-01-16 1987-01-16 조립식 솥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14689U KR880014689U (ko) 1988-09-13
KR900008359Y1 true KR900008359Y1 (ko) 1990-09-15

Family

ID=192590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70000479U KR900008359Y1 (ko) 1987-01-16 1987-01-16 조립식 솥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00008359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14689U (ko) 1988-09-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93550B1 (en) Energy savings circumferential base for cooking utensils
KR900008359Y1 (ko) 조립식 솥
EP0427945A2 (en) Cooking utensil
KR102138829B1 (ko) 조립성을 향상시킨 이중조리용기 및 이중조리용기 제조방법
JP2887309B2 (ja) 調理器
JP3244134U (ja) 多目的電気調理鍋と蒸し器アセンブリ
JP3047435U (ja) 専用鍋底の凸部
KR102126775B1 (ko) 바텀 센싱부의 구조를 간소화시킨 이중조리용기 및 이중조리용기 제조방법
JPH0317791Y2 (ko)
KR200215655Y1 (ko) 다용도 찜통
KR101166531B1 (ko) 연료 절약형 조리용기
JPS6335282Y2 (ko)
KR200179561Y1 (ko) 이중 구이판
JPS6016071Y2 (ja) 電気調理器
KR200270675Y1 (ko) 조리용 냄비
JPH0246818Y2 (ko)
JPS6038807Y2 (ja) コンロ
KR840002569Y1 (ko) 가스레인지
KR200165173Y1 (ko) 남비
KR200307333Y1 (ko) 양면요리판이 구비된 전기쿠커
JPH0232172Y2 (ko)
KR200323729Y1 (ko) 이중가열 냄비구조
JPH0650959Y2 (ja) 調理鍋
CN205514025U (zh) 一种具有测温加热功能的陶瓷锅
KR850000280Y1 (ko) 집열식 요리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