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50000280Y1 - 집열식 요리기 - Google Patents

집열식 요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50000280Y1
KR850000280Y1 KR2019830000805U KR830000805U KR850000280Y1 KR 850000280 Y1 KR850000280 Y1 KR 850000280Y1 KR 2019830000805 U KR2019830000805 U KR 2019830000805U KR 830000805 U KR830000805 U KR 830000805U KR 850000280 Y1 KR850000280 Y1 KR 85000028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ray
heat
hole
tube
cook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3000080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40003718U (ko
Inventor
옥재섭
Original Assignee
옥재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옥재섭 filed Critical 옥재섭
Priority to KR2019830000805U priority Critical patent/KR850000280Y1/ko
Publication of KR84000371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371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5000028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0280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12Deep fat fryers, e.g. for frying fish or chi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집열식 요리기
제1도는 본 고안의 요부를 절개한 분리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종단면 설명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외통 2 : 내통
3 : 중공부 4 : 본체
5 : 배열관 5' : 배열공
6 : 배열관 6' : 배열공
7,7',7" : 소공 9,9',9" : 소공
10 : 외피 11 : 내피
12 : 중공부 13 : 배열관
13' : 배열공 14 : 배기공
14'14" : 통기관 15 : 배기통
16 : 뚜껑
본 고안은 본체 및 뚜껑을 2중으로 결합하여 사이에 중공부를 형성시켜서 중공부내로 열기를 확산, 순환되게 함으로써 직접열과 간접열 및 복사열을 최대한으로 활용하여 단시간에 용이하게 요리를 할 수 있게 한 집열식 요리기에 관한 것이다.
이를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일반가정이나 업소등에서 널리 상식되는 생선, 육류 밥등의 어떠한 요리에도 구애됨이 없이 다용도로 활용할 수 있는 요리기구로서 가스나 연탄, 전기풍로등을 열원으로 하여 요리기를 사용하는 것으로 요리기의 저면에서는 직접열을 받게되고, 중앙부의 연소통과 같은 기능을 갖는 배열관으로 직열이 상승하면 일부는 내통으로 확산되고, 나머지 일부는 외통과 내통사이의 중공부로 열기공을 통하여 순환되고 또한 내통내의 열은 다시 뚜껑의 배열관을 통하여 외피와 내피 사이의 중공부에 공급되는 과정을 거치는 동안 요리물에서 발생하는 증기속의 냄새는 직열에 의한 연소로 제거되며, 내통내의 요리물은 직접 열과 중공부의 간접열 및 복사열에 의하여 타지 않고 골고루 열을 받아보다 짧은 시간에 요리를 할 수 있는 것이다.
종래의 일반적인 요리기구들은 히이터를 매설한 열판이 부착되거나 가스나 연탄등의 열원을 이용하는 직접 열을 받아 요리를 할 수 있게 한 것으로 이들은 모두 직접가열방식을 채택함으로써 많은 열량을 필요로 함은 물론 요리기구의 저면에서는 고열이 발생되므로 내부열과 온도편차가 큰 관계로 경우 따라서는 요리물이 완전히 익지도 않은 상태에서 바닥쪽은 타는 사례가 허다 하였으며, 이러한 폐단을 해소하기 위하여 열량을 조절하나 적절한 열량을 맞추기란 쉬운일이 아니었고, 열량이 약 한 경우에는 장시간을 요해야 하는 등의 결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요리기구에 관하여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문제점을 해결하고져 안출한 것으로서, 그 요지를 첨부한 도면에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외통(1)과 내통(2)을 결합하여 사이에 중공부(3)를 형성한 본체(4)의 저면 중앙부에 각각 배열관(5)(6)을 내향지게 돌설하되, 배열관(5)은 배열공(5')과 배열관(6)은 배열공(6') 및 주면에 수개의 소공(7)(7')(7")을 천설하고, 중공부(3)상측의 상주면(8)에 수개의 소공(9)(9')(9")을 천설하며, 상주면(8)에는 외피(10)와 내피(11)를 결합하여 사이에 중공(12)이 형성되고, 중앙부에 각각 배열공(13')을 천설한 배열관(13)과 배기공(14) 및 통기공(14')(14")을 천설한 배기공(15)이 돌설된 뚜껑(16)을 복착하여서 된 것이다.
이때 불꽃에 의한 직접열이 가해지는 본체(4)의 외통(1) 저면은 알루미늄제인 경우에 4-6mm가 적당하다. 그 이유는 어느정도 두께를 유지하므로서 열의 보지력과 요리물 (생선, 고기등)이 타는 것을 방지하며, 저면 뚜께가 너무 얇은 경우에 의한 저면판이 변형될 우려가 있으므로 이를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도면중 미설명부호 17,17'는 손잡이, 18,18'는 요입테, 19,19'는 요돌조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사용시에는 가스렌지나 연탄화덕 위에 요리기의 본체(4)를 올려놓고, 내통(2)의 내저면에 생선, 육류 또는 쌀등을 수용한 후 위에서 뚜껑(16)을 복개하여 두면 간편히 요리가 되는 것으로서 본체(4)의 외통(1) 저면에 불꽃에 의한 직접열이 가해지고, 불꽃을 동반한 일부의 직접열은 중앙부의 배열관(5)으로 상승되어 배열공(5')을 통하여 외측의 배열관(6)으로 상승과 동시에 일부는 상방의 배열공(6')과 측방의 소공(7)(7')(7")을 통하여 내통(2)내로 확산되며, 나머지 일부는 중공부(3)로 공급순환되면서 직접 열에 의하여 높은 온도로 가온된 팽창공기와 혼합되어 상주면(8)의 소공(9)(9')(9")을 거쳐서 뚜껑(16)의 내피(11) 내주면상의 곡면을 따라서 배열관(13)으로 투입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때 내통(2)내의 요리물을 가열시킨 후의 잔여열기와 요리물에서 발생되는 증기를 포함시켜 배열관(13)으로 같이 투입되며 배열관(13)에 투입된 열기는 다시 상부의 배열공(13')을 거쳐서 중공부(12)를 순환하여 배기통(15)의 배기공(14)과 통기공(14')(14")을 통하여 외부로 방출되는 것인데 외통(1)의 저면에서 직접 열을 받고 직접열의 일부와 간접열이 상기 과정을 거치는 동안 내통(2)내의 요리물은 저면에서 직접열을 받지 않고 배열관(5)의 배열공(5')을 거쳐온 직접열과 혼합된 가열로 인한 중공부(3)내의 고온의 팽창열 및 배열관(6)의 배열공(6') 소공(7)(7')(7")을 거쳐온 직접적인 열기, 그리고 중공부(3)의 상주면(8)의 소공(9)(9')(9")을 거쳐 내피(11)의 곡면을 지나는 복사열은 물론 뚜껑(16)의 중공부(12)내의 열기에 의한 방산열이 복합적으로 상하 및 사방에서 가해지게한 것이여서, 내통(2)내의 요리물은 부분적인 고열을 받지않고 골고루 열기를 받으므로서 단시간에 타지 않고 익히거나 끊일 수있는 것이다.
그리고 요리물이 익거나 끓는 동안 발생되는 냄새를 포함한 증기는 배열관(5)(6)의 배열공(5')(6')을 통하여 상승되는 직접열에 의하여 연소되므로 냄새가 제거되며 본체(4)의 외통(1) 및 내통(2) 중앙부의 배열관(5)(6)과 뚜껑(16)의 외피(10) 및 내피(11) 중앙부의 배열관(13)과 배기통(15) 직상방으로 구성된 것이여서 연소통을 겸하여 연통의 기능을 갖이므로 연소의 효율을 높임을 물론 하방에서 발생하는 열량을 최대한으로 활용하여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게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외통(1)과 내통(2) 사이에 중공부(3)를 형성한 본체(4)의 저면(알루미늄인 경우에는 두께 4-6mm)중앙부에 배열관(5)(6)을 내향 돌설하되, 배열관(5)에 배열공(5')과 배열관(6)에 배열공(6') 및 소공(7)(7')(7")을 철설하고 중공부(3) 상측의 상주면(8)에 소공(9)(9')(9")을 천설하며 상주면(8)에는 외피(10)와 내피(11) 사이에 중공부(12)가 형성되고 중앙부에 배열공(13')을 천설한 배열관(13)과 배기공(14) 및 통기공(14')(14")을 천설할 배기통(15)이 돌설된 뚜껑(16)을 복착하여 된 집열식 요리기.
KR2019830000805U 1983-01-31 1983-01-31 집열식 요리기 KR85000028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30000805U KR850000280Y1 (ko) 1983-01-31 1983-01-31 집열식 요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30000805U KR850000280Y1 (ko) 1983-01-31 1983-01-31 집열식 요리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3718U KR840003718U (ko) 1984-08-22
KR850000280Y1 true KR850000280Y1 (ko) 1985-02-26

Family

ID=192283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30000805U KR850000280Y1 (ko) 1983-01-31 1983-01-31 집열식 요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50000280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3718U (ko) 1984-08-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71963Y1 (ko) 조리기구판
KR850000280Y1 (ko) 집열식 요리기
KR880000234Y1 (ko) 집열식 돌구이기
KR880000222Y1 (ko) 집열식 밥솥
KR880000230Y1 (ko) 집열 조리기
KR860003023Y1 (ko) 집열식 오븐기 탈취가열 장치
KR880000233Y1 (ko) 집열식 밥솥
KR200272473Y1 (ko) 원통구이기
KR200321211Y1 (ko) 구이용 숯불 가마
KR100368455B1 (ko) 가열통이 내장된 남비
JPH0325717Y2 (ko)
KR100565123B1 (ko) 간접가열식 은근이 조리기구
KR200206135Y1 (ko) 이중뚜껑 가열솥
KR940007083Y1 (ko) 신선로
KR940001937Y1 (ko) 가정용 다목적 가열기
JPS5820824Y2 (ja) グリル付ガステ−ブル
JPS6419224A (en) Gas cooker
KR810000287Y1 (ko) 열분산판이 부착된솥 가열기구
KR840000816Y1 (ko) 오븐(oven)
KR860003024Y1 (ko) 집열식전기 오-븐기
KR200366295Y1 (ko) 복사열을 이용한 조리장치
CN2285607Y (zh) 电热快蒸锅
JP3036404U (ja) 遠赤外線放射体を加熱体に使った多目的調理器
CN113208458A (zh) 一种高效燃烤炉及其使用方法
JPH0216162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40223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