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8278B1 - 전기 리셉터클 - Google Patents

전기 리셉터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8278B1
KR900008278B1 KR1019870010241A KR870010241A KR900008278B1 KR 900008278 B1 KR900008278 B1 KR 900008278B1 KR 1019870010241 A KR1019870010241 A KR 1019870010241A KR 870010241 A KR870010241 A KR 870010241A KR 900008278 B1 KR900008278 B1 KR 9000082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ing
passage
arc
receptacle
electrical recepta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700102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04605A (ko
Inventor
유진한 마린
Original Assignee
이.아이.듀우판 디 네모아 앤드 캄파니
도널드 에이. 호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아이.듀우판 디 네모아 앤드 캄파니, 도널드 에이. 호즈 filed Critical 이.아이.듀우판 디 네모아 앤드 캄파니
Publication of KR8800046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46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82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82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01R13/11Resilient sock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93Means for increasing contact pressure at the end of engagement of coupling part, e.g. zero insertion force or no fri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전기 리셉터클
제1도는 본 발명의 리셉터클의 측단면도.
제1a도 및 제1b도는 제1도의 선 1a-1a 및 1b-1b를 따라 각각 절취하여 도시한 단면도.
제2도는 제1도의 선 2-2를 따라 절취하여 도시한 단면도.
제3도는 제1도의 단부도.
제4도는 제5도의 선 4-4를 따라 절취하여 도시한 단면도.
제5도는 본 발명의 리셉터클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측단면도.
제6도는 제5도의 선 6-6을 따라 절취하여 도시한 단면도.
제6a도는 핀(34)가 리셉터클내에 삽입되어 있는 상태로, 제5도의 선 6-6을 따라 절취하여 도시한 단면도.
제7도는 본 발명의 리셉터클의 또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측단면도.
제8도는 제7도의 선 8-8을 따라 절취하여 도시한 단면도.
제9도는 양호한 실시예의 일부분을 도시한 사시도.
제10도는 제9도의 판 접촉 스프링을 도시한 사시도.
제11도는 제9도의 선 11-11을 따라 절취하여 도시한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30,41,50 : 하우징 11,31,40,51 : 관통로
12,35,44,53 : 탄성 금속 판 스프링 부재 14,16,36,37,44a,53b : 태브
17,19,39,39a,52a,54a : 경사면부 18,42 : 험프
20,55 : 호 부분 32 : 테이퍼식 홈
32a,32b : 테이퍼식 벽 46 : 램프
48,63,64 : 견부 52,54 : 측벽
53 : 단자 56,58 : 오목 함몰부
63,64 : 정지부
본 발명은 전기 리셉터클(receptacle)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 말하자면, 본 발명은 스프링 수단이 내장되어 있는 개량된 전기 리셉터클에 관한 것이다.
전기 리셉터클(또는, 때때로 소켓이라고 부름)은 전기 접속기의 필수적인 소자이다. 통상적으로, 소켓의 한 단부는 납땜 또는 소정의 다른 기술을 사용함으로써 케이블 도선(cable conductor)을 종단시킨다. 다른 단부는 개방되어, 대응 전기 핀 접촉부(pin contact)를 수용하기가 적합하다. 이때, 스프링은 핀을 접촉시키도록 핀 상에 스프링력을 제공하기 위해 박스내에 고정된다. 납땜 태브(tab)는 스프링의 일부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관련 접촉 핀이 비스듬히 삽입되어 그 결과 영구적으로 스프링을 변형시킬때 중앙 호(arc) 부분을 갖고 있는 판 스프링(leaf spring)의 형태인 접촉 스프링의 과응력(overstressing)을 방지하는 상술한 형태의 플러그-인(plug-in) 리셉터클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목적은 스프링 밑의 리셉터클 하우징의 통로내에 험프(hump)를 제공하거나, 핀에 의해 고정될때 스프링에 대한 과응력 정지부로서 작용하도록 통로내에 테이퍼식(tapered) 홈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양호한 실시예에 있어서, 스프링 자체는 판 스프링의 호 부분 내, 양호하게는 호의 정점 근처에 이중 만족 비굴곡부(double bend nonflexing portion)를 형성하거나, 호의 정점 근처에 오목 비굴곡 함몰부(depression)를 형성함으로써 과응력 정지부를 결합한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서 상세하게 기술하겠다.
제1도 내지 제3도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선택된 리셉터클은 절연 플라스틱 물질로 제조된 하우징(10)을 기본적인 소자로서 포함한다. 하우징의 관통로(11)내에는 탄성 금속 판 스프링부재(12)가 수용된다. 태브(14 및 16)은 스프링(12)의 연부들이 얹혀지는 경사면 부(17,19) 형태인 하우징의 내부에 관련하여 하우징내의 스프링용 고착부가 얻어지도록 스프링(12)의 한 단부에 형성되고 90°의 각도로 만곡된다. 경사면 부(17,19)는 스프링(12)의 연부들에 결합되고, 핀(22)의 삽입력을 감소시키기 위해 스프링(12)를 예비하중(preload) 시키도록 작용하고, 또한 핀(22)의 중심을 맞추기 위한 유도부로서 작용한다. 또한, 스프링(12)는 접속기의 각각의 단부에 납땜 접속부를 제공하기 위해 양단부에 형성된 다리(12a,12b)를 갖고 있다. 이중 만곡 비굴곡부 또는 험프(18)은 스프링이 핀(22)을 비스듬히 삽입함으로써 과응력을 받게 되는 경우에 정방향 정지부로서 작용하고 스프링(12)가 탄성적으로는 변형될 수 있지만 영구적으로는 변형될수 없게 하는 부분을 제공하도록 스프링의 호 부분(20)내에 형성된다.
제4도 내지 제6도에 도시한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하우징(30)의 관통로(31)은 핀(34)를 수용하기 위해 리셉터클의 단부에 인접하여 통로(31)의 기부(base)내에 형성된 테이퍼식 홈(32)를 갖고 있다. 이 홈(32)은 통로(31)를 통해 부분적으로 연장되고, 태브(36 및 37)에 의해 리셉터클내에 지탱되어, 경사면(39,39a)에 대항하여 굴곡됨으로써 지지되는 스프링(35)가 스프링이 홈(32)의 테이퍼식 벽(32a,32b)상에 얹혀질때까지 핀(34)의 작용하에서 굴곡되게 한다.
제7도 및 제8도에 도시한 또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하우징(41)의 관통로(40)는 접촉 핀(45)의 삽입중에 스프링의 과도한 굴곡을 방지하기 위해 하우징(41)내에 배치된 스프링(44)용 정지부로서 작용하도록 돌출 험프(42)를 결합한다. 이 특정한 실시예에 있어서, 스프링(44)는 램프(ramp, 46) 및 견부(shoulder, 48)에 관련하여 스프링과 하우징사이가 고착되도록 90°로 만곡된 태브(44a)를 갖고 있다.
제9도 내지 제11도에 도시한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하우징(50)은 절연 물질로 제조되고, 경사면(52a,54a)를 정하는 측벽(52,54)를 갖고 있는 관통로(51)를 갖고 있다. 금속 판 스프링(53)은 정점 근처의 스프링의 각각의 연부에 오목 함몰부(56,58)이 형성되어 있는 중앙 호 부분(55)를 갖고 있다. 또한, 스프링은 접속부를 제공하도록 한 단부에 형성된 다리(53a)를 갖고 있다. 단자(53)은 하우징의 립(57) 및 하우징의 통로(51)내에 형성된 각이진 정지부(63,64)에 결합되는 스프링의 견부(63,64)와 결합된 태브(53b)에 의해 하우징(50)내에 보유된다. 경사면(52a,54a)는 스프링(53)의 연부에 결합되고, 단면이 장방형인 핀(60)의 삽입력을 감소시키기 위해 스프링을 예비하중시키도록 작용한다. 또한, 측벽들은 핀(60)을 유도하여 스프링(53)상에 중심을 맞추도록 작용한다. 오목 함몰부(56,58)은 스프링이 핀(60)의 비스듬한 삽입에 의해 과응력을 받게 되는 경우에 정방향 정지부로서 작용하고 스프링(53)이 탄성적으로 변형될 수 있지만 영구적으로는 변형될수 없게 하는 강성 비굴곡부이다.

Claims (7)

  1. 플라스틱 지지 하우징내의 저부벽, 측벽 및 상부벽에 의해 정해진 관통로내에 수용되도록 형성된 탄성 금속판 스프링, 및 중앙 호 부분이 스프링을 예비하중시키기 위해 스프링의 호 부분을 탄성적으로 변형시키기 위해 리셉터클내의 관통로의 경사부에 접촉되어 있는 상태로 관통로내에 스프링을 고착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구성되고, 상기 관통로가 상기 스프링을 접촉시키기 위한 경사부를 갖고 있으며, 상기 스프링의 중앙부에 호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호가 상기 관통로의 저부벽에 대해 정지부로서 작용하도록 형성되고 평면전장에 걸쳐 연속하는 비굴곡부를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리셉터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굴곡부가 험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리셉터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굴곡부가 오목 함몰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리셉터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을 관통로내에 고착시키기 위한 상기 수단이 스프링의 단부 상의 태브, 및 통로내의 립 및 각이진 정지부에 결합되는 스프링의 동일 단부 근처의 견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리셉터클.
  5. 플라스틱 지지 하우징내의 관통로내의 수용되도록 형성된 탄성 금속 스프링부재, 스프링을 예비하중 시키기 위해 상기 스프링의 호 부분을 탄성적으로 변형시키도록 중앙 호 부분이 상기 관통로의 경사부에 접촉되어 있는 상태로 통로내에 상기 스프링을 고착시키기 위한 수단, 및 상기 관통로내의 상기 스프링의 호 부분 밑에 배치된 상기 스프링의 영구 변형을 방지하기 상기 수단으로 구성되고, 상기 관통로가 경사부를 갖고 있으며, 상기 스프링이 중앙 부내에 호가 형성되어 있는 판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리셉터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상기 수단이 상기 통로내의 돌출 험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리셉터클.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상기 수단이 상기 홈의 상부에서의 스프링 폭을 초과하고 상기 홈의 상부 밑의 지점에서의 상기 스프링 폭보다 작은 홈의 상부로부터 하부까지의 홈 폭을 정하는 하향으로 서로를 향해 테이퍼되는 측벽들을 가고 있는 상기 관통로내의 테이퍼식 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리셉터클.
KR1019870010241A 1986-09-17 1987-09-16 전기 리셉터클 KR90000827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90834186A 1986-09-17 1986-09-17
US908,341 1986-09-17
US908341 1986-09-17
US07/043,821 US4790773A (en) 1986-09-17 1987-04-29 Electrical receptacle
US43,821 1987-04-29
US43821 1987-04-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4605A KR880004605A (ko) 1988-06-07
KR900008278B1 true KR900008278B1 (ko) 1990-11-10

Family

ID=267208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10241A KR900008278B1 (ko) 1986-09-17 1987-09-16 전기 리셉터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4790773A (ko)
EP (1) EP0268356B1 (ko)
KR (1) KR900008278B1 (ko)
CA (1) CA1299694C (ko)
DE (1) DE3783574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69337A (en) * 1991-09-05 1992-12-08 Amp Incorporated Electrical shunt
IE80506B1 (en) * 1992-05-08 1998-08-26 Molex Inc Electrical connector with contact anti-overstress means
US5487684A (en) * 1992-07-01 1996-01-30 Berg Technology, Inc. Electrical contact pin for printed circuit board
JP2570469Y2 (ja) * 1992-08-18 1998-05-06 日本エー・エム・ピー株式会社 雌型電気端子
JP2596913Y2 (ja) * 1993-12-24 1999-06-28 日本エー・エム・ピー株式会社 雌型端子
JP3148135B2 (ja) * 1996-10-21 2001-03-19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アンプ株式会社 雌型端子
JPH1197149A (ja) * 1997-09-17 1999-04-09 Jst Mfg Co Ltd コンタクトのコネクタハウジングへの組付け方法
US6869318B2 (en) * 2002-04-04 2005-03-22 The Siemon Company Outlet accommodating out-of-specification plugs
KR100811654B1 (ko) * 2005-07-29 2008-03-11 삼성전자주식회사 로터리 압축기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923141C (de) * 1941-06-29 1955-02-03 Otto Dunkel Ges Mit Beschraenk Elektrische Kontaktvorrichtung
US2691147A (en) * 1951-04-02 1954-10-05 Gen Electric Terminal block
US2666189A (en) * 1951-07-30 1954-01-12 Gen Electric Electric terminal block assembly
GB832970A (en) * 1955-11-15 1960-04-21 Painton & Co Lt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electrical plug and socket connectors
GB879968A (en) * 1958-01-20 1961-10-11 Siemens Ag Improvements relating to electrical plug and socket connectors
GB885040A (en) * 1959-04-02 1961-12-20 Gen Electric Co Lt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electrical socket connectors
GB938402A (en) * 1959-09-11 1963-10-02 Sealectro Corp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electrical socket contacts
US3286220A (en) * 1964-06-10 1966-11-15 Amp Inc Electrical connector means
US3447121A (en) * 1966-11-07 1969-05-27 Wiegand Co Edwin L Electrical connectors particularly for electric resistance heating elements
DE2057313C3 (de) * 1970-11-21 1978-11-30 Bach & Co, 7100 Heilbronn Mehrpoliger Steckverbinder
US3764960A (en) * 1972-05-25 1973-10-09 Prod Inc Van Cluster assembly and connector clip therefor
US3865462A (en) * 1973-03-07 1975-02-11 Amp Inc Preloaded contact and latchable housing assembly
US3803537A (en) * 1973-03-08 1974-04-09 Amp Inc Spring socket electrical connecting device integral with a carrier strip
FR2236291A1 (en) * 1973-07-04 1975-01-31 Cit Alcatel Female connector for telephone exchange modules - is two-part plastics structure assembled by thermoplastic welding
US3865455A (en) * 1973-12-06 1975-02-11 Du Pont Circuit board socket
US4342498A (en) * 1979-03-26 1982-08-03 Akzona Incorporated Electrical socket
JPS59138185U (ja) * 1983-03-04 1984-09-14 ホシデン株式会社 ジヤツク
JPS6243479U (ko) * 1985-09-02 1987-03-16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4790773A (en) 1988-12-13
DE3783574T2 (de) 1993-05-27
KR880004605A (ko) 1988-06-07
CA1299694C (en) 1992-04-28
DE3783574D1 (de) 1993-02-25
EP0268356B1 (en) 1993-01-13
EP0268356A1 (en) 1988-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90764A (en) Electrical power terminal for circuit boards
FI116706B (fi) Matalaprofiilinen sähköliitin
EP1172893B1 (en) Electrical receptacle terminal and connection structure thereof with pin terminal
US5498167A (en) Board to board electrical connectors
JP2759295B2 (ja) 表面実装型電気コネクタ
JPS6223031Y2 (ko)
JP2685287B2 (ja) 多接点組立体および可撓接点部材
EP0393058A1 (en) ELECTRICAL TERMINAL WITH RECEPTACLE.
EP1120861A2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an improved female contact
JPH07147170A (ja) プラグ係止機構付きコンセント
JPH04229965A (ja) ラッチ装置付き回路板用コネクタ
KR900008278B1 (ko) 전기 리셉터클
KR20050013153A (ko) 연성 회로용 접속 장치
JPS62115677A (ja) ネジなし電気端子
US3842391A (en) Electrical connector tab receptacle
JPH0850969A (ja) 保持装置
KR20010040240A (ko) 플러그-인 콘택트
US5057037A (en) Connector
US6962507B2 (en) Connection system
US20020111064A1 (en) Bottom entry connector
JPH08288023A (ja) ゼロ挿入力電気コネクタ及び端子
JP2821335B2 (ja) 電気端子
US5509819A (en) Low profile splice bussing plate
JP3681173B2 (ja) Smt型dinコネクタ
US6273748B1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4110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