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7535B1 - 통기성을 갖는 전주각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통기성을 갖는 전주각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7535B1
KR900007535B1 KR1019850009908A KR850009908A KR900007535B1 KR 900007535 B1 KR900007535 B1 KR 900007535B1 KR 1019850009908 A KR1019850009908 A KR 1019850009908A KR 850009908 A KR850009908 A KR 850009908A KR 900007535 B1 KR900007535 B1 KR 9000075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ticles
layer
elutable
conductive
circumferential ang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500099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60005905A (ko
Inventor
다미오 후루야
유우이찌 다자끼
도시유끼 기누가사
요시기 이시게
유우이찌 쓰찌도
Original Assignee
혼다기껭 고오교오 가부시기가이샤
나까가와 가즈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혼다기껭 고오교오 가부시기가이샤, 나까가와 가즈오 filed Critical 혼다기껭 고오교오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8600059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59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75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75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1/00Electroforming
    • C25D1/08Perforated or foraminous objects, e.g. siev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81Utilizing transitory attached element or associated separate materia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 Electroplating Methods And Accessori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통기성을 갖는 전주각의 제조방법
제1도는 전주각의 요부의 평면도.
제2a도는 제1도 IIa부의 확대도.
제2b도는 제2a도 IIb-IIb선 단면도.
제3a-3e도는 본 발명방법의 공정설명도.
제4도는 요철모양을 가진 적층체를 얻기 위한 장치의 단면도.
제5도는 제4도의 장치의 백업체에서의 제1층의 일부의 단면도.
제6도는 백업체에서의 제2층의 일부의 단면도.
제7도는 성형공정을 표시하는 상기 장치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 : 개구 6 : 패드
7 : 플랜지 10 : 지지판
11 : 앵글부재 17 : 백업몸체
171: 제1층 172: 제2층
18 : 강철보울 19 : 유리입자
20 : 통공 21 : 냉각파이프
본 발명은 예를 들면 고온가열된 합성수지시이트의 표면에 흡인하(吸引下)에서 모양을 붙이는 경에 사용되는 통기성을 가진 전주각(electrocast shell : 電鑄殼 )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종류 전주각의 제조방법으로서는 모형의 표면에 도전층(導電層)을 형성하고, 이어서 모형에 전주처리(電鑄處理)를 시행하여 석출한 금속에 의하여 전주각을 형성하고, 그후 전주각을 도전층으로부터 박리하고, 이 전주각에 드릴가공(drilling), 레이저가공(laser processing)등을 시행하여 모양을 붙이는 시이트에 흡인력을 가하기 위한 무수의 통기공을 천설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 또, 다른 방법으로는 상기 모형의 도전층상에 다수의 유기질 섬유, 절연처리된 금속섬유등의 섬유를 세이고, 이어서 상기와 같이 모형에 전주처리를 시행하여 전주각을 형성하고, 그후에 전주각을 도전층으로부터 박리하고, 그 전주각으로부터 상기 섬유를 뽑아내어 통기공을 형성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들 공지방법에는 여러 결점이 있다.
즉, 구멍을 천설하는 경우에는 고가의 설비를 필요로 한다. 레이저가공에서는 전주각의 두께에 의하여 초점조정을 행하여 통기공의 직경을 제어하지 않으면 안되고, 작업성이 나쁘다. 드릴가공에서는 드릴의 직경에 한도가 있어, 그것보다 미세한 직경의 통기공을 얻을 수가 없다.
통기공이 너무 크면, 합성수지시이트에 통기공이 전사(轉寫)되는 일이 있다.
상기 가공수단에 있어서는 통기공의 피치를 임의로 제어할 수 있다하여도 무수의 통기공을 얻기 위해서는 공정수가 극단으로 많아져 생산성이 극히 나쁘다. 섬유를 뽑아내어 구멍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통기공의 직경이 섬유의 직경에 한정되고 만다.
또, 도전층상에 섬유를 세우므로 그수에 한계가 있어, 따라서 충분한 수의 통기공을 얻을 수 없다. 그들 섬유의 세우는 작업때문에 공정수가 극단하게 많아서 생산성이 극히 나쁘다.
본 발명은 전주각형성시에 그 내부에 용출가능한 입자를 포장시키고, 그후 상기 입자를 전주각으로부터 용출시킨다는 극히 간단한 수단에 의하여 무수의 미세한 통기공을 구비한 전주각을 용이하게 얻을 수 있는 전주각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하면, 모형의 표면에 도전층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도전층의 표면에 용출가능한 입자의 층을 밀착하는 공정과, 상기 모형에 전주처리를 시행하여, 상기 도전층과 입자와의 밀착부를 제외한 이 도전층과 상기 입자간 및 서로 인접하는 입자간을 석출한 금속에 의하여 채워서 상기 입자의 층보다도 얇은 전주각을 얻는 공정과, 그후 상기 전주각으로부터 입자를 용출하여 이 전주각에 그 표리양면에 개구부(開口部)를 가진 무수의 서로 연통하는 미세한 통기공을 형성하는 공정과를 사용하는 통기성을 가진 전주각의 제조방법에 제공된다.
상기와 같이 전주각형성시에 그의 내부에 용출가능한 입자를 포장시켜두고, 그후 입자를 전주각으로부터 용출하여 통기공을 형성한다. 그것에 의하여 양면을 개구한 미소공체(微小孔體)가 얻어진다. 따라서, 극히 간단한 수단에 의하여, 통기성을 가진 전주각을 적은 공정수로 능율좋게 용이하게 제조할 수가 있어, 생산성이 극히 양호하다.
또, 입자의 직경에 의하여 통기개구부의 피치의 조정을 임의로 제어할 수가 있고, 더욱 통기공개구부의 직경도 화학에칭등의 수법을 사용하여 임의로 변화시킬 수가 있다. 또, 각종 형상의 모형으로부터 통기성을 가진 전주각을 얻을 수가 있어 범용성(汎用性)이 우수하다.
또, 상도전층측의 입자의 직경을 미세하게 하여 전주각표면에 있어서의 통기공의 개구부의 수를 증가하고, 상기 도전층의 이웃층에 위치하는 입자의 직경을 크게하여 전주각이면에 있어서의 통기공의 개구부를 큰 직경으로 하는 동시에 그 수를 감소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상기 및 기타의 목적특징 및 이점은 이하의 호적한 실시예의 설명으로부터 보다 명백하게 될 것이다. 제1도, 제2a도, 제2b도는 본 발명에 의하여 얻어진 니켈전주각(Se)을 표시하고, 그 전주각(Se)은 소정의 형상을 가지고 (제4도, 제7도 참조) 표면에는 예를 들면 스티치부(stitch 部)(S)를 가진 의사피(疑似皮)등의 요철모양(P)이 형성된다.
또, 전주각(Se)에는 그 두께방향으로 무수의 미세한 통기공(H)이 전체에 걸쳐 대략 균일하게 분포되어서 이소공체를 형성한다. 그들 통기공(H)은 세로 및 가로방향으로 0.4-0.7mm의 피치로 배열되어 있고, 그 표면측의 개구부(O1)의 직경은 0.08-0.1mm이다.
이와같이 통기공(H)의 개구부(O1)는 극히 적은 직경이므로, 요철모양(P)을 하등 손상하지 않는다. 다음에 제3a도-제3e도에 의하여 상기 전주각(Se)의 제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a)공정(제3a도)
원료물질로 석고를 사용하여 상기 요철모양(P)을 가진 정밀한 모형(M)을 작게한다.
(b)공정(제3b도)
모형(M)의 요철모양(P)을 가진 표면에 은경처리(銀鏡處理)를 시행하여 은으로된 얇은 도전층(Co)을 형성하고, 그 도전층(Co)의 표면전체에 요철모양(P)을 현출시킨다.
(c)공정(제3c도)
모형(M)의 주위를 절연통체(T)로 포위하고, 도전층(Co)의 표면전체에 용출가능하게 미세한 입자인 직경 0.2mm의 무수의 폴리스티렌입자(b)를 대략 4단의 부층(副層)에 적층하여 폴리스티렌입자의 층(
Figure kpo00002
)을 형성하고, 그위에 유리입자를 나이론제의 망에 넣은 부상하는 방지체(防止體)(W)를 실어서 최하층의 부층의 폴리스티렌입자(b)를 도전층(Co)의 표면에 밀착시킨다.
이것에 의하여 최하층의 부층의 각 폴리스티렌입자(b)는 도전층(Co)의 표면에 점접촉상태로 밀착한다.
(d)공정(제3d도)
상기 모형(M)을 전주조(Ta)의 니켈도금액(So)중에 넣어서 도전층(Co)을 전원(Es)의 (-)극에 또 부상하는 방지체(W)와 대향하는 전극(E)을 전원(Es)의 (+)극에 각각 접속하여 모형(M)에 전주처리를 시행한다.
이 전주처리공정중에 석출한 니켈(n)이 도전층(Co)과 폴리스티렌입자(b)와의 밀착부를 제외한 도전층(Co)과 폴리스티렌입자(b)간 및 서로 인접하는 폴리스티렌입자(b)간의 공간을 채우고, 이것에 의하여 요철모양(P)을 표면에 가진 전주각(Se)을 얻는다.
이 전주각(Se)의 두께는 최상층의 부층의 폴리스티렌입자(b)의 면이 전주각(Se)보다 약간 노출하는 정도가 되게 상기 입자의 층(
Figure kpo00003
)보다도 엷게 설정된다.
(e)공정(제3e도)
전주각(Se)를 도전층(Co)으로부터 박리한 후 톨루엔(toluene), 염화메틸렌등의 용제중에 침지하고, 폴리스틸렌입자(b)를 전주각(Se)으로부터 용출한다.
이 경우 전주각(Se)의 요철모양(P)을 가진 표면 및 이면에는 입자의 일부 및 층(
Figure kpo00004
)의 상면이 노출하고 있고, 또 요철모양(P)을 가진 표면의 입자도 그들의 접점이 노출하고 있으므로, 그들의 노출부분으로부터 폴리스티렌입자(b)가 용해하고, 개구부(O1, O2)가 형성된다.
또 전주각(Se)내부에는 폴리스티렌입자 용출후에 구멍(h1)이 형성되고, 그들의 구멍(h1)은 서로 인접하는 폴리스티렌입자(b)등의 접점이었든 곳에 연통공(h2)을 거쳐서 연통한다. 이것에 의하여 제1도-제2b도에 표시하는 표리양면에 극히 적은 직경의 개구부(O1, O2)를 가진 무수의 통기공(H)을 가진 미소공체의 형을한 전주각(Se)이 얻어진다.
용출가능한 입자로서는 상기 폴리스티렌입자(b)외에 파라핀입자, 알루미늄입자등의 사용이 가능하고, 파라핀입자의 경우는 가열에 의하여 전주각으로부터 용출하고, 또 암루미늄입자의 경우는 가열 또는 화학에칭처리에 의하여 전주각으로부터 용출한다.
제4도는 본 발명에 의하여 얻어진 전주각(Se)을 사용한 요철모양(P)을 가진 적층체를 얻기 위한 장치를 표시한다.
상기 장치는 승강이 자유스런 제1가동부(11)와 그의 하방에 위치하는 승강이 자유스런 가동부(12)를 구비하고 있다. 제1가동부(11)는 하기와 같이 구성된다.
상벽(2)을 가진 상체(3)의 하향개구부(4)는, 요철모양(P)을 하향으로한 전주각(Se)에 의하여 폐쇄되고, 그 전주각(Se)의 외주연은 당판(6)을 걸쳐서 상체(3)의 플랜지(7)에 복수개의 보울트(8) 및 너트(9)에 의하여 고착되어 있다.
상체(3)의 상벽(2)으로부터는 지지판(10)이 매달려 있고, 그의 지지판(10)의 하면에는 복수개의 앵글재(11)의 중간부가 제4도와 직교하는 평면내에 있어서의 소정의 간격으로 용착되고, 또 앵글재(11)의 양단부는 상체(3)내면에 용착된다. 전주각(Se)은 각 앵글재(11)에 전주각(Se)의 이면에 용착된 나사통(12)에 나착한 복수의 보울트(13)에 의하여 매달려 지지된다.
플랜지(7)의 내주면에 있어서 그것과 전주각(Se)간에는 진공시일재(14)가 장치된다. 상체(3)내에 있어서 전주각(Se)의 배면측에는 전주각(Se)을 보강하게 연속기공을 가진 백업체(17)가 일체로 접합된다.
이 백업체(17)는 전주각(Se)측에 배설되어서 스텐레스강등의 내식성이 우수한 무수의 강구(18)와 서로 인접하는 상호간을 에폭시수지등의 열경화성합성수지에 의하여 접합한 제1층(171)과, 이 제1층(171)에 적층되어서 무수의 유리입자(19)와 서로 인접하는 상호간을 상기와 동일의 열경화성 합성수지에 의하여 접합한 제2층(172)으로부터 된다.
제1층(171)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전주각(Se)의 배면에 있어서 상체(3)내에 제5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표면에 얇은 상기 열경화성 합성수지로된 수지층(R1)을 가진 70-150μ의 강구(18)를 소정량 주입하고, 그후 강구(18) 및 수지층(R1)을 70-80℃에 가열하여 수지층(R1)과 서로 인접하는 강구(18)간의 접점에 위치하는 부위를 접합하고, 각 접합점에서 포위되는 공격(V1)을 형성한다.
이 공격(V1)에 의하여 제1층(171)에 연속기공이 형성된다. 이 강구(18) 상호간의 접합시에 제1층(171)과 전주각(Se)간도 상기 수지층(R1)에 의하여 접합된다.
또, 제2층(172)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경량화를 위하여 요부(17a)를 형성하게 그것과 같은 형의 부재(도시안함)를 상체(3) 내에 매달려지지하고, 제1층(171)위의 상체(3)에 제6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표면에 엷은 수지층(R2)을 가진 400-600μ의 유리입자(19)를 소정량 주입하고, 그후, 유리입자(19) 및 수지층(R2)을 70-80℃에 가열하여 서로 인접하는 유리입자(19)간의 접점에 위치하는 부위를 접합하고, 각 접합점으로 포위되는 공격(V2)을 형성한다.
이 공격(V2)에 의하여 제2층(172)에 연속가공이 형성된다. 이 유리입자(19)상호간의 접합시에 제1층(171)과 제2층(172)간의 접점도 상기 수지(R2)에 의하여 각각 접합된다. 지지판(10)에는 복수의 관통공(20)이 형성되고, 이들 관통공(20)에 의하여 유리입자(19)의 주입시 그의 흐름이 지지판(10)에 의하여 방해되지 않게 되어 있다.
제1층(171)에는 전주각(Se)을 전역에 걸쳐 균등하게 냉각할 수 있게 냉각관(21)이 사행하여 매설된다.
이 경우 제1층(171)은 강구(18)를 주체로하므로서 열전도성이 양호하고, 따라서 전주각(Se)을 효율좋게 냉각할 수가 있다. 또, 냉각관(21)의 꾸불꾸불하게 매설하므로 제1층(171)이 보강된다.
상체(3)내는 절환밸브(22)을 걸쳐서 진공펌프(231) 및 송풍기(24)에 접속된다.
제2가동부(12)는 하기와 같이 구성된다. 저벽(25)을 가진 상체(26)이 상향개구부(27)에는 전주각(Se)에 합치하는 형상을 가진 압압형(28)이 고착된다.
그 압압형(28)의 상면에는 심재(C)를 감입하기 위한 요부(29)가 형성되고, 또 압압형(28)에는 그것을 관통하게 복수의 진공흡인공(30)이 형 전체에 거의 균일하게 분포되게 형성된다.
상체(26)내는 진공펌프(232)에 접속된다. 성형되는 적층체는 합성수지시이트(S)와 심재(C)로 되고, 그 합성수지시이트(S)로서는 폴리염화비닐등으로된 단층시이트, 또는 이 시이트를 표피층으로 하여 이것에 폴리프로피렌 발포시이트의 큐션층이 고착된 적층시이트가 해당된다.
또, 심재(C)는 ABS 수지등으로된 판에 복수의 적은 직경의 진공흡인공(31)을 형성하고, 이 판을 압압형(28)의 요부(29)에 합치하고, 또 압압형내의 구멍(30)이 심재(C)내의 구멍(31)과 합치하게 성형하였다.
다음에 적층체의 제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심재(C)의 표면에 접착제로서 호트멜트접착제를 도포하고, 이 접착제를 가열연화한다.
제4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제1가동부(11)를 상승시키고, 또 제2가동부(12)를 하강시켜서 전주각(Se)과 압압형(28)을 개방하고, 이 압압형(28)의 요부(29)에 상기 심재(C)를 그 접착제 도포면을 외축을 향하여 감입해서 설치하고, 그의 진공흡인공(31)을 압압형(28)의 각 진공흡인공(30)에 합치시킨다.
표피층(a) 및 큐션층(b)으로된 합성수지시이트(S)를 대략 180℃에 고온가열하여 연화시키고, 그 표피층(a)을 위로하여 합성수지시이트(S)를 제1 및 제2가동부(11, 12)간에 배설한다.
제7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제1가동부(11)를 하강시키고, 또 제2가동부(12)를 상승시켜서 전주각(Se)과 압압형 (28)간에 합성수지시이트(S)를 협착한다.
합성수지시이트(S)는 압압형(28)에 의하여 전주각(Se)의 표면에 압압되므로 그의 표면에 대한 친숙성이 좋다.
제1가동부(11)의 상체(3)내를 절환밸브(22)를 거쳐서 진공펌프(231)에 접속하고, 이 진공펌프(231)에 의하여 합성수지시이트(S)를 진공흡인한다.
전주각(Se)은 그의 전체에 걸쳐서 무수의 미세한 통기공(H)을 가지고, 또 합성수지시이트(S)는 전주각(Se)의 표면에 압압형(28)에 의하여 충분히 친숙해져 있으므로, 그 시이트(S)는 전주각(Se)의 표면전체에 강하게 접착하고, 이것에 의하여 그 시이트(S)의 표면에는 요철모양(P)이 정확, 또 명료하게 전사되고, 동시에 시이트(S)는 전주각(Se)의 형상에 성형된다. 전주각(Se)은 냉각관(21)에 의하여 냉각되므로, 시이트(S)는 즉시 냉각되고, 요철모양(P) 및 형상의 부서짐이 방지된다.
제2가동부(12)측의 진공펌프(232)를 작동시켜서 상기 시이트(S)로부터 성형된 성형체를 압압형(28) 및 심재(C)의 표면에 진공흡인하는 동시에 제1가동부(11)의 상체(3)내를 절환밸브(22)를 거쳐서 송풍기(24)측에 절환하여서 성형체에 송풍기 압력을 건다.
이것에 의하여 성형체는 전주각(Se)으로부터 형의 이탈하는 동시에 심재(C)에 밀착하여 그것과 일체로 접합된다.
성형체는 전주각(Se)에 강하게 밀착하여 있으므로 상기 진공흡인작용 및 송풍기 압력을 병용하는 것은 성형체의 형의 이탈을 촉진하기 위하여 극히 유효한 수단이다. 송풍기(24)를 정지하고, 또 제2가동부(12)의 상체(26)내를 대기로 절환하고, 그후 제1가동부(11)를 상승시키고, 또 제2가동부(12)를 하강시켜서 압압형(28)으로부터 적층체(L)를 제거한다.
이 적층체(L)의 표면에는 요철모양(P)이 명료하게 부여되고, 또 합성수지시이트(S)로된 성형체와 심재(C)와의 접합강도도 크고, 내구성이 우수하다.
이상 본 발명을 특정의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지만, 당업자이면 첨부한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개념의 범위내에서 여러변경, 수정을 할 수 있는 것은 자명하다.

Claims (20)

  1. 모형의 표면에 도전층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도전층의 표면에 용출가능한 입자의 층을 밀착하는 공정과, 상기 모형에 전주처리를 시행하고, 상기 도전층과 입자와의 접점을 제외한 이 도전층과 상기 입자간 및 서로 인접하는 입자 간을 석출한 금속에 의하여 채워서 상기 입자의 층보다 엷은 전주각을 얻는 공정과, 상기 전주각으로부터 입자를 용출하고, 이 전주각에 그 표리 양면에 개구부를 가진 무수의 미세한 통기공을 형성하는 공정으로 되는 통기성을 가진 전주각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층은 은의 박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기성을 가진 전주각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출가능한 입자는 폴리스티렌입자, 파라핀입자 및 알루미늄입자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기성을 가진 전주각의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출가능한 입자는 용제에 의하여 용출되는 폴리스티렌입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기성을 가진 전주각의 제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출가능한 입자는 가열수단에 의하여 용출되는 파라핀입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기성을 가진 전주각의 제조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출가능한 입자는 가열수단에 의하여 용출되는 알루미늄입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기성을 가진 전주각의 제조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출가능한 입자는 화학에칭처리에 의하여 용출되는 알루미늄입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기성을 가진 전주각의 제조방법.
  8. 제l항에 있어서, 상기 전주각처리에 의하여, 석출하는 금속은 니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기성을 가진 전주각의 제조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주처리를 행하는 동안, 용출가능한 입자에 다시 입자의 층을 시행하는 것에 의하여, 상기 용출가능한 입자의 층을 도전층에 압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기성을 가진 전주각의 제조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출가능한 층은 복수의 부층(副層)을 가지고, 금속은 부층의 최상부층의 입자가 금속의 표면에 노출하는 깊이까지 석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기성을 가진 전주각의 제조방법.
  11. 모형의 요돌모양을 가진 표면에 은으로된 엷은 도전층을 형성하고, 이 도전층의 표면전체에 요철모양을 현출시키는 공정과, 상기 도전층의 표면에 폴리스티렌입자층을 밀착하는 공정과, 상기 도전층과 폴리스티렌입자와의 접점을 제외한 도전층과 상기 폴리스티렌입자간 및 서로 인접하는 폴리스티렌입자간에 니켈을 충전하고, 이것을 전기적으로 석출시켜서, 폴리스티렌입자의 층보다도 엷은 전주각을 얻는 공정과, 전주각을 용제중에 침지하는 것에 의하여 폴리스티렌입자를 니켈전주각으로부터 용출하여 이 전주각에 그 표리양면에 개구부를 가진 무수의 미세한 통기공을 형성하는 공정으로된 통기성을 가진 전주각의 제조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용제는 톨루엔(toluene)인 통기성을 가진 전주각의 제조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용제는 염화메치렌인 통기성을 가진 전주각의 제조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스티렌입자층에 제거가능한 입자의 층을 다시 시행하고, 상기 니켈의 전기석출처리(電氣析出處理)를 행하는 동안에, 폴리스티렌입자층을 도전층면에 대하여 압압하는 도전성을 가진 전주각의 제조방법.
  15. 소정의 요철모양을 가진 도전면에 용출가능한 입자층을 부착하는 공정과, 상기 도전면 및 용출가능한 입자간의 금속을 전기적으로 석출시켜서 도전면 및 입자간의 그들의 접점을 제외한 공격, 그리고 입자동지간의 그들의 접점을 제외한 공격간을 채워서 전주각을 형성하는 공정과, 입자를 전주각으로부터 용출하여서 이 전주각에 통기성을 부여하는 서로 연통한 구멍을 형성하는 공정으로된 통기성을 가지고, 또 주조면에 요철모양을 시행한 전주각의 제조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은 전기적으로 석출되어서, 상기 입자층보다도 엷게 형성되는 것에 의하여 석출금속의 일면으로부터 상기 입자가 돌출하고, 또 입자가 용출되면, 전주각은 한폭의 면에 개구부가 마련되고, 또 최초 상기 도전면과 접촉하고 있던 또 한쪽면에는 상기 입자와 도전면과의 접점에 대응하는 개구부가 형성되는 통기성을 가지고, 또 주조면에 요철모양이 시행된 전주각의 제조방법.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전주각을 도전면으로부터 분리하여 도전면으로부터 전사된 상기 요철모양을 전주각의 표면에 노출시키는 통기성을 가지고 또, 주조면에 요철모양이 시행된 전주각의 제조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전주각에 공기를 유과시켜서 전주각과 도전면과의 사이를 가압하는 것에 의하여 전주각을 도전면으로부터 분리하는 통기성을 가지고, 또 주조면에 요철모양이 시행된 전주각의 제조방법.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면으로부터 전주각을 분리하기전에 이 전주각에 다공성의 백업체를 일체로 형성하는 통기성을 가지고, 또 주조면에 요철모양이 시행된 전주각의 제조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구체(球體)를 서로 접합시키는 동시에, 상기 전주각과도 요철모양이 붙은면과는 떨어진면에서 접합시키는 것에 의하여, 상기 백업체를 전주각과 일체로 결합하는 통기성을 가지며, 또 주조면에 요철모양이 시행된 전주각의 제조방법.
KR1019850009908A 1985-01-11 1985-12-28 통기성을 갖는 전주각의 제조방법 KR90000753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0002669A JPS61163290A (ja) 1985-01-11 1985-01-11 通気性を有する電鋳殻の製造方法
JP60-2669 1985-01-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5905A KR860005905A (ko) 1986-08-16
KR900007535B1 true KR900007535B1 (ko) 1990-10-11

Family

ID=115357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50009908A KR900007535B1 (ko) 1985-01-11 1985-12-28 통기성을 갖는 전주각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4841618A (ko)
JP (1) JPS61163290A (ko)
KR (1) KR900007535B1 (ko)
BE (1) BE904008A (ko)
CA (1) CA1287012C (ko)
GB (1) GB217201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309990A (ja) * 1988-06-07 1989-12-14 Honda Motor Co Ltd ポーラス状電鋳体の製造方法
CA1328240C (en) * 1987-07-13 1994-04-05 Yuichi Tazaki Method of manufacturing a porous electroformed object
JPS6417888A (en) * 1987-07-13 1989-01-20 Honda Motor Co Ltd Production of porous electrocast body
JP2008143125A (ja) * 2006-12-13 2008-06-26 Sumitomo Chemical Co Ltd 熱可塑性樹脂製発泡成形体の製造方法
JP5029094B2 (ja) * 2007-03-29 2012-09-19 オムロン株式会社 電気鋳造方法
JP5524989B2 (ja) * 2012-01-18 2014-06-18 極東技研有限会社 多孔性電鋳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35044A (en) * 1959-06-04 1964-06-02 United Aircraft Corp Lightwight porous structures and methods of making same
FR1288846A (fr) * 1961-02-15 1962-03-30 Perfectionnements aux procédés d'établissement de plaques perforées
US3293737A (en) * 1963-05-22 1966-12-27 Us Rubber Co Process for making mold for vacuum-forming materials
US4053371A (en) * 1976-06-01 1977-10-11 The Dow Chemical Company Cellular metal by electrolysi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E904008A (nl) 1986-05-02
GB2172013A (en) 1986-09-10
KR860005905A (ko) 1986-08-16
GB2172013B (en) 1988-12-14
CA1287012C (en) 1991-07-30
JPS61163290A (ja) 1986-07-23
US4841618A (en) 1989-06-27
GB8600193D0 (en) 1986-02-12
JPH0151554B2 (ko) 1989-1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81569A (e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embossed articles of synthetic resin
US4063705A (en) Vacuum forming mold
US4714424A (en) Vacuum mold
KR900007535B1 (ko) 통기성을 갖는 전주각의 제조방법
US5453173A (en) Process for manufacturing a three-dimensional electroformed mold shell
US2781549A (en) Method of molding articles having spaced discontinuities therein
DE19536901A1 (de) Verfahren zum Herstellen integrierter Elektroden in Kunststoff-Formen, Kunststoff-Formen mit integrierten Elektroden und deren Verwendung
JPH081690A (ja) 複合材製多孔面板の製造方法
KR100996655B1 (ko) 패턴 형성용 다공성 전주 쉘의 제조방법
JP3012387B2 (ja) 通気性電鋳殻の製造方法
GB777565A (en) Process for the manufacture by the galvanoplastic method of parts and components subjected to static and thermal stresses, and particularly of moulds
JPS61229526A (ja) 真空成形型
JPS58116123A (ja) 簡易型の製造方法
JPS6362379B2 (ko)
CN111086239B (zh) 复合材料工字梁的成型方法及成型模具
KR100996656B1 (ko) 패턴 형성용 다공성 전주 쉘
JPH05195279A (ja) 通気性電鋳金型とその製造方法
JPH0310492B2 (ko)
JPS61104849A (ja) しぼ付積層体の製造方法
JP2005186392A (ja) 入れ子、成形型及びこれらの製造方法
JPS61272126A (ja) アンダ−カツトを備えたしぼ付合成樹脂成形体の成形方法および成形装置
JPH05112887A (ja) 通気性電鋳殻の製造方法
JPS61229527A (ja) 真空成形型
JP2020002454A (ja) 金属多孔質成形品の製造方法
GB2194964A (en)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cooling or cooled elements which are subjected to high thermal load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8100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