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7346B1 - 사출 성형방법 - Google Patents

사출 성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7346B1
KR900007346B1 KR1019870003292A KR870003292A KR900007346B1 KR 900007346 B1 KR900007346 B1 KR 900007346B1 KR 1019870003292 A KR1019870003292 A KR 1019870003292A KR 870003292 A KR870003292 A KR 870003292A KR 900007346 B1 KR900007346 B1 KR 9000073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pressure
resin
filling
resin 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700032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06025A (ko
Inventor
노부요시 호소노
구니오 야마모도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 긴소꾸 가부시기기아샤
나가노 다께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 긴소꾸 가부시기기아샤, 나가노 다께시 filed Critical 미쓰비시 긴소꾸 가부시기기아샤
Publication of KR8800060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60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73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73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76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B29C45/77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of velocity or pressure of mould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46Means for plasticising or homogenising the moulding material or forcing it into the mould
    • B29C45/57Exerting after-pressure on the moulding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사출 성형방법
제1도-제6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표시하는 도면으로서,
제1도는 금형의 형틀개방량과 시간과의 관계를 표시하는 선도.
제2도는 금형을 표시하는 평면도.
제3도는 제2도의 Ⅲ-Ⅲ선 단면도.
제4도는 캐비티의 중요부분(제3도중 화살표 Ⅳ로 표시하는 부분)의 충전과정에 있어서의 상태를 표시하는 확대도.
제5도는 동충전후에 형틀내 수지압력을 상승시킨 상태의 확대도.
제6도는 압력보전종료후의 상태를 표시하는 확대도.
제7도 및 제8도는 종래의 사출방법의 일예를 표시하는 도면으로서,
제7도는 형틀내 수지압력과 시간과의 관계를 표시하는 선도.
제8도는 형틀개방량과 시간과의 관계를 표시하는 선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
3 : 캐비티(cavity) A : 용융수지
본 발명은 사출성형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금형의 형틀개방에 의한 버어(burr)의 발생을 방지하는 기술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정된 형틀체결능력(형틀체결력)을 갖는 사출성형기로 성형할 수 있는 성형품의 투영면적은, 투영면적×형틀내의 수지압력=형틀체결력으로 결정되는 크기가 상한(上限)이고, 투영면적×형틀내의 수지압력이 성형기의 형틀체결능력을 넘으면 고정형과 가동형과의 사이에 분할면이 열리며, 분할면끼리의 사이에 생긴 틈새에 수지가 홀로들어와서 성형품에 비어가 생기게되고, 제품불량이 발생한다. 한편 성형품의 충전밀도를 소정이상으로 하기위해서는 형틀내의 수지압력을 일정한 값 이상으로 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성형가능한 제품의 투영면적은 성형기의 형틀체결능력에 의해서 제한되게 된다.
그래서 본출원인은, 고정된 형틀체결능력을 갖춘 성형기에 있어서, 버어를 발생하지 않고 종래의 상한이상의 크기의 투영면적의 성형을 가능하게하는 사출성형방법을 제안하였다.(특원소 59-170705)
이 사출성형방법은 제7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형틀내의 수지압력을 충분히 낮게 설정한 용융수지의 충전을 행하고, 압력보전시작직후에 형틀내 수지압력을 충전시의 압력보다 높게하여 일정시간을 보전지지하는 것이다.
이와같은 압력형태에 의해서 성형이 행하여지면 용융수지의 캐비티(cavity)안쪽의 깊숙히 들어간곳까지 도달하는 시간이 길어지게 되고, 따라서 그 사이에 금형에 접하는 얇은 층이 냉각되어 굳어지게 되어서 경화층으로 된다. 그리고 이 경화층의 존재때문에 압력보전시에 형틀체결능력을 초과하는(투영면적×형틀내수지압력)이 가해져서 금형이 개방되어도 그 틈새에 용융수지가 들어가는 일이 없으며 버어의 발생을 방지할수가 있다. 그러나 이와같은 사출성형방법에 있어서는, 버어를 발생시키는 일이 없고, 종래의 상한이상의 크기의 투영면적의 형성을 가능하게 하는 요청에 대하여는 충분히 대응할 수가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즉 상기한 바와같은 압력형태로 성형을 행하면, 금형의 형틀 개방량은 제8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압력보전시작직후에 최대로 되는데 압력 보전시작직후에는 용융수지의 냉각이 그렇게 진척되지 않는다. 이때문에 경화층의 두께가 형틀내 수지압력을 견딜수 있도록 충분하게 두껍지 않기 때문에 파괴되고, 이에 따라서 용융수지가 금형의 틈새에 흘러들어간다.
본 발명은 이와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경화층을 파괴하는 일없이 형틀개방량을 크게 설정할 수 있고, 따라서 성형품의 투영면적을 보다 한층 크게할 수 있는 사출성형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설하는 것이며, 다음과 같이하여서 사출성형을 행한다. 즉 캐비티에 용융수지를 충전할때에 충전후의 보전압력시에 필요한 최대형틀내 수지압력보다 낮은 형틀내 수지압력으로 용융수지의 사출을 행하고, 다음에 형틀내 수지압력을 상승시켜서 압력보전을 행하는 사출성형방법에 있어서. 압력보전시의 형틀내 수지압력을 압력보전종료전에 최대로 되도록 천천히 증가시킨다.
형틀내 수지압력이 최대로 되는때에 금형의 형틀개방량도 최대로 되는데, 이때에는 수지가 굳어지는 것이 진행하여 경화층의 두께가 두껍게 되어있으므로 형틀내 수지압력에 의해서 경화층이 파괴되는 일은 없다.
이하, 본 발명의 1실시예에 대하여 제1도-제6도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제1도는 실시예의 사출성형방법에 있어서의 고정형과 가동형과의 형틀개방량의 변화를 표시하는 선도.
제2도 및 제3도는 금형을 표시하는 도면이다.
먼저 금형에 대해서 설명하면, 도면부호(1)은 고정형, (2)는 가동형이다. 고정형(1)과 가동형(2)의 접합부에는 6개의 캐비티(3)…가 형성되어 있다. 캐비티(3)…의 수는 종래 캐비티수의 3배이고, 그 투영면적이 종래의 3배로 되어 있다. 또 도면부호(4)는 매니포울드(manifold), (5)는 라이너(runner), (6)은 게이트푸쉬이고, 성형기(도시하지 않음)에서 공급되는 용융수지는 매니포울드(4)내의 라이너(5)를 통하여 각 캐비티(3)… 로 사출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캐비티(3)에 면하는 게이트(7)의 지름은 종래의 금형에 있어서의 게이트의 지름보다도 크고, 예컨대 1.8mm로 되어 있다. 그리고 실시예의 성형품은 VHS 비디오테이프용의 카셋트이다.
다음에 상기한 금형을 사용해서 사출성형을 행하는 방법에 대해서 제4도-제6도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먼저 캐비티(3)…로 용융수지(A)를 충전할때에는 형틀내 수지압력을 충분히 낮게 설정하고, 형틀개방량을 거의 0으로 한다(제1도 참조). 이때 용융수지(A)는 캐비티(3)…의 말단까지 이르는데 형틀내 수지압력이 낮은 것에 의해서 용융수지(A)의 충전속도가 늦어지고. 제4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고청형(1) 및 가동형(2)에 접하는 층이 잘 냉각되어 굳어지게 되어서 경화층(B)으로 된다. 그러나 이 상태에서는 용융수지(A)가 캐비티(3)의 구석까지 충분히 미치지 않기 때문에 요합부(C)가 생기고 있다.(제4도 참조) 그래서 충전종료직전에 형틀내 수지압력을 약간 상승시켜서 곧바로 원래상태로 되돌린다. 그러면 경화층(B)이 용융수지에 의해서 밀려 넓혀져서 요함부(C)가 소멸한다.(제5도 참조) 이때 형틀개방량은 일단 증가하는데 그 시간(t1)이 극히 짧은 것(0.2-0.5초)과, 형틀개방량(T1)이 0.008mm로 적기때문에 경화층(B)이 파괴되는 일은 없다.
다음에 충전시의 형틀내 수지압력을 소정시간(t2)(이 실시예에서는 l-1.5초간)유지한다. 이때의 형틀개방량은 충전시와 마찬가지로 거의 0으로 되어있으며, 그사이에 용융수지(A)가 냉각되어 굳어지게 되어서 경화층(B)의 두께가 두껍게 된다.
다음에 형틀내 수지압력을 천천히 증가시킨다. 그러면 형틀개방량도 천천히 증가하는데 경화층(B)의 두께도 증가하므로 형틀내 수지압력에 의해서 파괴되는 일은 없다. 그리고 형틀내 수지압력이 소정압력에 도달하면 형틀내 수지압력을 서서히 감소시켜서 압력보전을 종료한다.
여기에서 형틀내 수지압력이 최대로되는 형틀개방량(T2)도 최대(0.05mm)로 되는데, 제6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캐비티(3)안에서는 용융수지(A)가 거의 냉각되어 굳어지고 있기때문에 용융수지(A)가 고정형(1)과 가동형(2)끼리의 틈새에 들어가는 일은 없다.
이와같은 사출성형방법에 있어서는, 압력보전시의 형틀내 수지압력에 의해서 경화층(B)이 파괴되는 일이없고, 따라서 버어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가 있다. 또 용융수지의 충전종료직전에 형틀내 수지압력을 일단 상승시켜서 곧바로 원래의 형틀내 수지압력으로 되돌리므로 성형품에 요함부가 생기는 일이 없고, 또 그때에 버어가 생기는 일이 없다.
그리고 압력보전시의 형틀내 수지압력의 변화형태는 상기한 실시예와 같이, 형틀개방량이 직선적으로 변화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압력보전 종료전에 형틀내 수지압력이 최대로 되는것이라면 곡선적으로 변화하는 것이라도 좋다.
이상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의 사출성형방법에 있어서는, 캐비티로 용융수지를 충전할때에 충전후의 압력보전시에 필요한 최대 형틀내 수지압력보다 낮은 형틀내 수지압력으로 용융수지의 사출을 행하고, 다음에 형틀내 수지압력을 상승시켜서 압력보전을 행하는 사출방법에 있어서, 압력보전시의 형틀내 수지압력을 압력보전종료직전에 최대로 되도록 친천히 증가시키므로 금형의 형틀개방량이 최대로 되었을때에는 수지의 굳는것이 진행하여 경화층의 두께가 두껍게 되어 있다고, 형틀내 수지압력에 의해서 경화층이 파괴되는 일은 없다.
따라서 압력보전시에 있어서의 금형의 형틀개방량을 크게해서 설정하여도 버어를 발생시키는 일은 없으며, 성형품의 투영면적을 보다 한층 크게할 수가 있다. 또 용융수지를 충전할때의 형틀내 수지압력을 용융수지의 충전종료직전에 약간 상승시켜서 원래의 형틀내 수지압력으로 되돌리므로써 충전시의 형틀내 수지압력이 낮은 것에 기인하는 성형품의 요함부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가 있다.

Claims (2)

  1. 캐비티(3)로 용융수지(A)를 충전할때애 충전후의 압력보전에 필요한 최대형틀내 수지압력보다 낮은 형틀내 수지압력으로 용융수지의 사출을 행하고, 다음에 형틀내 수지압력을 상승시켜서 압력보전을 행하는 사출성형방법에 있어서, 압력보전시의 형틀내 수지압력을 압력보전종료전에 최대로 되도록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용융수지를 충전할때의 형틀내 수지압력을 용융수지의 충전종료직전에 약간 상승시켜서 원래의 형틀내 수지압력으로 되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방법.
KR1019870003292A 1986-11-12 1987-04-07 사출 성형방법 KR90000734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69,387 1986-11-12
JP61269387A JPH0733044B2 (ja) 1986-11-12 1986-11-12 射出成形方法
JP61-269387 1986-11-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6025A KR880006025A (ko) 1988-07-21
KR900007346B1 true KR900007346B1 (ko) 1990-10-08

Family

ID=174716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03292A KR900007346B1 (ko) 1986-11-12 1987-04-07 사출 성형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H0733044B2 (ko)
KR (1) KR900007346B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65634A (ja) * 1983-03-11 1984-09-18 Mitsubishi Heavy Ind Ltd 射出成形方法
JPH0684031B2 (ja) * 1984-08-16 1994-10-26 三菱マテリアル株式会社 射出成形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6025A (ko) 1988-07-21
JPS63122512A (ja) 1988-05-26
JPH0733044B2 (ja) 1995-04-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677369A4 (en) INJECTION MOLDING METHOD THAT PREVENTS THE SURFACE DEFECTS AND METAL MOLDS FOR INJECTION MOLDING.
ATE31395T1 (de) Spritzgiessen mit stabilisiertem kern.
KR900007345B1 (ko) 사출성형 방법
TW353045B (en) Method for producing thermoplastic resin molded article and mold assembly therefor
KR900007346B1 (ko) 사출 성형방법
JPH0524080A (ja) 射出成形用金型および射出成形方法
JP3034721B2 (ja) 射出成形金型および射出成形方法
JPH05116194A (ja) 射出成形用金型及びそれを用いた射出成形方法
EP0722818B1 (en) Disc molding die
KR101462417B1 (ko) 캐비티 주위에 댐 구조가 구비된 사출성형금형
JP2736664B2 (ja) 射出成形品の製法
JPH0549448B2 (ko)
JP3189260B2 (ja) 成形用金型及び成形方法
KR900007325B1 (ko) 수지성형품의 성형방법 및 그 성형물
JP3630910B2 (ja) カートリッジケースの製造方法
JPH06143346A (ja) ブロック突出しピンゲート式射出成形用金型
JPH082859Y2 (ja) カセットハーフ
JP2712727B2 (ja) カセットハーフ成形方法及びカセットハーフ成形用金型
JP2002096352A (ja) インモールドコート方法
JP2754844B2 (ja) カセットハーフ
JPS63242621A (ja) 射出成形方法
JPH0596583A (ja) ゴム用射出成形金型の成形品突き出し機構
JPH04325221A (ja) 射出圧縮成形用金型
JPH08276465A (ja) 樹脂プーリの射出成形方法
JPS5826525U (ja) 射出成形金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929

Year of fee payment: 17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