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7105B1 - 크로스플로우형 냉각팬장치 - Google Patents

크로스플로우형 냉각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7105B1
KR900007105B1 KR1019870700599A KR870700599A KR900007105B1 KR 900007105 B1 KR900007105 B1 KR 900007105B1 KR 1019870700599 A KR1019870700599 A KR 1019870700599A KR 870700599 A KR870700599 A KR 870700599A KR 900007105 B1 KR900007105 B1 KR 9000071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peller
motor
cooling fan
magnet
support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707005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701033A (ko
Inventor
요시아끼 오오바야시
구니오 하시모도
가쯔미 사꾸라이
히로유끼 노마
Original Assignee
호시덴기세이조오 가부시기가이샤
후루하시 사도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15965438&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900007105(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호시덴기세이조오 가부시기가이샤, 후루하시 사도루 filed Critical 호시덴기세이조오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8807010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7010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71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71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17/00Radial-flow pumps, e.g. centrifugal pumps;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17/02Radial-flow pumps, e.g. centrifugal pumps; Helico-centrifugal pumps having non-centrifugal stages, e.g. centripetal
    • F04D17/04Radial-flow pumps, e.g. centrifugal pumps; Helico-centrifugal pumps having non-centrifugal stages, e.g. centripetal of transverse-flow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25/06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pump being electrically driven
    • F04D25/0606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pump being electrically driven the electric motor being specially adapted for integration in the pump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25/06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pump being electrically driven
    • F04D25/0606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pump being electrically driven the electric motor being specially adapted for integration in the pump
    • F04D25/0653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pump being electrically driven the electric motor being specially adapted for integration in the pump the motor having a plane air gap, e.g. disc-typ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29/00Motors or generators having non-mechanical commutating devices, e.g. discharge tubes or semiconductor devices
    • H02K29/06Motors or generators having non-mechanical commutating devices, e.g. discharge tubes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position sensing devices
    • H02K29/08Motors or generators having non-mechanical commutating devices, e.g. discharge tubes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position sensing devices using magnetic effect devices, e.g. Hall-plates, magneto-resis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14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loads, e.g. with hand-held machine tools or f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 Connection Of Motors, Electrical Generators, Mechanical Devices, And The Like (AREA)
  • Motor Or Generator Cooling System (AREA)
  • Brushless Moto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발명의 명칭]
크로스플로우형 냉각팬장치
[도면의 간단한 설명]
제1도∼제4도는, 단면 프레임과 임펠러의 사이에 모우터를 내장시킨 구성중, 그 모우터를 브러시레스모우터로서 구성한 경우를 나타내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제1도는 평면도.
제2도는 종단 정면도.
제 3도는 종단 측면도.
제4도는 요부의 변형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제5도∼제12도는, 브러시레스모우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제5도는 개략 종단 정면도.
제6도는 개략 평면도.
제7도는 요부의 일부 절단 평면도.
제 8도는 측면도.
제9도는 계자코일 및 자계검출용 호올소자를 프린트 배선기판에 장착한 상대의 우측면도.
제10도는 프린트 배선기판의 배선패턴을 도시한 우측면도.
제11도는 제어회로의 전기 회로도.
제12도는 다른 변형예 일부의 정면도이다.
제13도는, 또 브러시레스모우터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요부 단면도.
제14도는, 단면 프레임과 임펠러의 사이에 모우터를 내장시킨 구성중, 그 모우터를 브러시 부착의 모우터 구성으로한 경우를 도시한 요부단면도이다.
제15도는, 브러시 부착의 모우터 구성으로한 경우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요부 단면도이다.
제16도∼제19도는, 브러시레스모우터의 제어회로부의 배설상태를나타내는 실시예로서, 제16도는 브러시레스크로스플로우형 냉각팬장치의 중앙부분을 도시한 평면도.
제17도는 제16도의 XIIV-XIIV선에 따르는 종단면도.
제18도 및 제19도는, 각각, 다른 변형예의 종단면도이다.
제20도∼제23도는, 임펠러가 복수개 연결되고 또한 인접하는 임펠러의 송기 슬릿이 서로 엇갈린 형상으로 되어있는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제20도는 임펠러의 외관 사시도.
제21도는 제20도와 역방향에서 본 외관사시도.
제22도는 상기 임펠러를 2개 사용한 냉각팬의 요부단면도.
제23도는 임펠러의 단면도이다.
제24도는 종래의 임펠러와 모우터의 조합사용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기술분야)
본 발명은, 예를들면 오오디오앰프, 마이크로컴퓨터워어드 프로세서 혹은 복사기계등의 전기 기기에 있어서, 전기부품등이 발생하는 열을 전기 기기외부로 내보내기 위해서 사용하는 크로스플로우형 냉각팬장치에 관한 것이다.
(배경기술)
이런 종류의 크로스플로우형 냉각팬 장치에 사용되는 임펠러(1)는, 제24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주로 합성수지 성형품으로서, 몸체중심공동(2)주위에 송기슬릿(3)을 날개판(4)군에 의해서 형성하고 있으머, 이 임펠러(1)의 회전에 따라 그 반경방향으로부터 빨아들인 공기를 송기슬릿(3)에 의해 반경방향으로 송기해서 전기부품의 발생열을 분열(奮熱)하는 것으로서 폭넓은 편평한 냉각풍을 층흐름형상으로 보내줄 수 있으므로, 특히 프린트 기판상에 배치된 전기부품군의 냉각에 적합하다.
그러나, 임펠러(1)의 회전구동을 위해서 사용하는 모우터(6)가 임펠러(1)의 옆으로 연속해서 부착되는 것이므로, 냉각팬장치의 설치스페이스가 증대하여, 전기 기기의 콤팩트설계를 행하는데에 장해로 되어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대폭적으로 소형화해서 설치스페이스가 적은 모우터 내장형의 크로스플로우형 냉각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있다.
또, 본 발명은, 내장모우터를 브러시레스모우터로 구성한 경우에, 이 브러시 레스모우터의 제어회로부를, 특별히 냉각장치를 착설하는 일없이, 효율적으로 냉각시킬 수 있는 크로스플로우형 냉각팬장치를 제공하는것을 목적으로 하고있다.
또, 본 발명은, 임펠러를 축방향으로 복수개 연결시키며, 또한 인접하는 임펠러의 송기 슬릿을 서로 엇갈린 형상으로 하므로서 송풍효율을 대폭적으로 높인 크로스플로우형 냉각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하고 있다.
(발명의 개시)
즉, 본 발명은, 몸체 중심공동주위에 송기 슬릿을 형성하는 임펠러를, 그 양단부에서 지지프레임에 지지축을 개재해서 회전 자재하게 축받침하고, 회전쪽인 임펠러, 이것의 지지축과, 고정쪽인 지지프레임중, 회전쪽, 고정쪽의 어느 한쪽에 모우터용 마그넷을 구비하게하는 동시에, 다른쪽에 모우터용 코일을 상기 모우터용 마그넷에 대향시켜서 구비시키도록해서, 임펠러의 회전구동부를 구성하고 있다. 이와같이하면, 임펠러의 회전구동수단으로서 종래와 같이 별개의 제품으로서의 모우터를 임펠러에 접속해서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임펠러와 그 지지프레임의 사이에 실질적으로 모우터 기능을 발휘하는 마그넷과 코일을 배치해서 임펠러를 회전시키도록 하는 것이므로, 크로스플로우형 냉각팬장치는 대폭으로 소형화되고, 설치스페이스도 적어져서, 전기 기기의 콤팩트설계가 가능해진다.
또, 본 발명은, 임펠러와 지지프레임의 사이에 내장된 모우터를, 브러시레스모우터로 구성한 경우에, 그 브러시레스모우터의 제어회로부를 도풍판의 한쪽에 배설해서, 이 제어회로부를 임펠러로 부터의 냉풍을 이용해서 냉각시키도록 하여도된다.
이와같이하면, 특별히 제어회로부를 위한 냉각장치를 착설하지 않아도 되어, 경제적이다.
또, 본 발명은, 임펠러를 축방향으로 복수개 연결시키며 또한 인접하는 임펠러의 송기 슬릿을 서로 엇갈린형상으로 구성하여도 된다. 이와같이하면, 인접하는 임펠러로부터 나오는 송풍에 시간적인차가 발생하여, 따라서 간섭하지 않고, 송풍효율을 높을 수 있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실시예 1]
제1도∼제4도는 임펠러와 지지프레임의 사이에, 임펠러의 회전구동수만으로서 브러시레스모우터를 배설한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임펠러(107)는 그 양단부가, 지지프레임(109)(110)에 지지축(111)(112)을 개재하여 회전자유하게 지지된다. 각 지지축(111)(112)은 임펠러 양단부의 단판부(113)(114)에 관통 고정되고, 지지프레임(109)(110)에 베어링(115)(116)에 의해서 지지된다. (117)(118)은 베어링 케이스이다.
임펠러(107)의 일단부와, 이에 대응하는 지지프레임(110)의 사이에, 소요간격(119)이 놓여지며, 이 간격(119)내에 단판부(114)에 고정된 요우크(120)가 배치된다. 요우크(120)는 단판부(114)쪽에 함설(陷設)한 구멍부에 요우크(120)쪽으로부터 돌설한 핀돌기(120a)를 압입감합하므로서 고정되어 있으며, 이 요우크 내부에는 링마그넷(121)이 지지축(112)과 동축상태에서 접착제등에 의해 장착된다.
지지축(l12)에 커버(122)가 씌워지고, 이것이 베어링케이스(118) 외감하는 상태에서 지지프레임(110)에고정되는 동시에, 링마그넷(121)내에 동축에 헐겁게 꺼워진 철심(123)이 커버(122)에 장착되고, 이 철심(123)에 계자코일(124)이 감겨진다. 또 철심(123)의 일부에 호올소자(125)가 부착된다. 이 호올소자(125)는회전하는 링마그넷(121)의 자계를 검지해서 계자코일(124)로의 통전을 제어한다.
이와같이 구성된것에 있어서는, 계자코일(124)에의 통전, 및 그 제어에 의해 철심(123)에 유기하는 자계와, 링마그넷(121)의 자계가 함께 작용하므로서, 임펠러(107)가 회전하게 된다.
또, 링마그넷을 제4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박판화해서 요우크(120)의 수직벽면에 장착하고, 이 링마그넷(121a)에 대응하는 자계를 만들어 내도록 철심(123a)의 형상을 바꾸어도 된다. 또, 제2도의 링마그넷(121)을 커버(122)쪽으로, 철심(123)을 임펠러(107)쪽으로 위치를 바꾸어서 배치하는 것도 좋으나, 이 경우는 회전하는 코일(124)에의 급전때문에, 슬립링이 사용된다.
이상과같이 구성해 두면, 임펠러의 회전구동수단으로서 종래와 같이 별개의 제품으로서의 모우터를 임펠러에 접속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임펠러와 그 단면 프레임의 사이에 실질적으로 모우터 기능을 발휘하는 링마그넷과 철심 및 계자코일을 배치해서 임펠러를 회전시키도록 하였으므로, 크로스플로우형 냉각팬장치는 소형화되고, 설치 스페이스도 적어져서, 전기 기기의 콤팩트 설계가 가능해진다.
[실시예 2]
제5도∼제12도는, 임펠러와 지지프레임의 사이에 브러시레스모우터를 배설한 다른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제5도∼제7도에 있어서, 임펠러 단면부(210)에 오복부(210a)가 형성되어 있고, 이 오목부(210a)에 편평한 링형상의 마그넷(214)이 압입고정되고, 이 마그넷(214)의 바깥둘레면쪽에 날개판(204)군이 형성되고, 마그넷(214)이 임펠러(201)내에 장착되어 있다. 또, 마그넷(214)의 바깥쪽 내주면이 소직경면(214a)으로되어 있어서, 용이하게 압입할 수 있으며, 또한 합성수지제의 임펠러 단면부(210)에 의한 탄력에 의해 편평한 마그넷(214)이 파손하지 않게 되어있다.
한편, 마그넷(214)에 대향해서 프린트 배선기판(215)이 지지프레임(206)의 내부면에 배설되어 있다.
이 프린트 배선기판(215)은, 규소강철판으로 이루어진 기재상에 제10도에 도시한 바와같은 구동회로의 배선패턴이 인쇄되어 있다. 이 배선패턴에 있어서는 4곳에 계자코일의 코일접속부(215a)∼(215d)가 형성되며, 또한 2곳에 자계검출용의 호올소자접속부(215e)(215f)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9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프린트 배선기판(215)의 각 코일접속부(215a)∼(215d)에 철심이없고 편평한 대략 삼각형상의 계자코일(216a)∼(216d)이 배치 접속되어 있는 동시에, 각 호올소자 접속부(215e)(215f)에 호올소자(217a)(217b)가 배치 접속되어 있다. 또, 이 프린트배선기판(215)은, 상기 구동회로부(215A)외에 제어회로부(215B)가굴곡연설되어 있다. 또, 마그넷(214)은, 제9도에 도시한 바와같은 배치로 S극 및 N극이 대향하도록 각각 3극씩 합계 6극을 가지고 있다.
또, 상기한 임펠러(201)를 수용하는 케이싱은, 제8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대략 평판형상의 하우징부(218a)와, 뒷부분에서 부터 임펠러(201)와 동심의 원호형상으로 만곡되어서 바닥부에 이르는 도풍판(218b)과, 1쌍의 지지프리임(218c)에 의해 구성되어 있으며, 위쪽에 광폭의 공기흡입용 개구부(218d)가 형성되어있는 한편, 한쪽에 공기 배출용 개구부(218e)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한 프린트배선기판(215)의 제어회로부(215B)가 도풍관(218b)의 내부면에 배설되어있다.
다음에 상기 구성으로 한 실시예 장치의 작용을, 제11도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제11도의 회로는 2개의 자계검출용의 호올소자(217a)(217b)에 대응해서 2개 형성되어 있으나, 설명은 제11도의 l개의 회로만으로 행한다. 자계검출용의 호올소자(217a)에 의해 마그넷(214)의 N극이 검지되면, 이 호올소자(217a)에 의해 PNP힝의 제1트랜지스터 Q1가 온(on)으로 되고, 제2∼제4트랜지스터 Q2∼Q4가 각각 온으로되어, 전원 +B로부터 제3, 제4트랜지스터, Q3,Q4를 통해서 계자코일(216a)(2l6c)에 N화살표 방향으로 전류가 흐르고, 각 계자코일(216a)(216c)에 N극의 자계가 유기되어서 상호의 흡입력과, 반발력으로 마그넷(214) 즉 임펠러(201)가 회전된다. 이 회전에 의해 호올소자(217b)가 마그넷(214)의 S극을 검지하면, 제5트랜지스터 Q5가 온으로되고, 이것에 의해 제6∼제8트랜지스터 Q6∼Q8가 각각 온으로되어, 제7, 제8트랜지스터 Q7,Q8를 통해서 계자코일(216a)(216d)에 S화살표 방향으로 전류가 흐르고, 각 계자코일(216b)(216d)에 S극의 자계가 유기되어서 상호의 흡입력과 반발력이 발생하고, 마그넷(214)이 더욱 회전된다. 다음에 호올소자(217a)에 의해 마그넷(214)의 S극이 검지되면, 이 호을소자(217a)에 의해 PNP형의 제5트랜지스터 Q5가 온으로되고, 또 제6∼제8트랜지스터 Q6∼Q8가 각각 온으로되어, 전원 +B로부터 제7, 제8트랜지스터 Q7,Q8를 통해서 계자코일(216a)(216c)에 S화살표 방향으로 전류가 흐르고, 각계자코일(216a)(216c)에 S극의 자계가 유기되어서 상호의 흡입력과 반발력으로 마그넷(214) 즉 날개바퀴(201)가 회전된다. 이 회전에 의해 호올소자(217b)가 마그넷(214)의 N극을 검지하면, 제1의 트랜지스터 Q1가 온으로되고, 이것에 의해 제2∼제4트랜지스터 Q2∼Q4가 각각 온으로 되고, 제3, 제4트랜지스러 Q3,Q4를 통해서 계자코일(216b)(216d)에 N화살표 방향으로 전류가 흐르고, 각 계자코일(216b)(216d)에 N극의 자계가 유기되어서 상호의 흡입력과 반발력이 발생하여 마그넷(214)이 더욱 회전된다.
이후, 마찬가지의 동작을 반복해서 임펠러(201)의 회전이 계속된다. 이경우, 계자코일(216a)∼(216d)이 배설되어있는 프린트배선기판(215)이 규소강철판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철의 마모가 경감된다. 상기한 호올소자(217a)(217b)에 의한 마그넷(214)의 자계검출에 의거한 각 계자코일(216a)∼(216d)에의 통전의 제어는 프린트배선기판(215)의 제어회로부(215B)에 의해 행해진다.
따라서, 마그넷(214)과 각 계자코일(216a)∼(216d)에 의해 실질적으로 모우터기능을 얻고 있으므로, 임펠러(201)의 구동수단으로서 별개 제품인 브러시레스모우터가 불필요하게되고, 또, 편평하고 철심이 없는계자코일(216a) ∼(216d)과 편평한 마그넷(214)과 프린트배선기판(215)에 의해 브러시레스모우터부를 구성하고 있으며, 또한 마그넷(214)은 임펠러(201)내부에 장착되어 있으므로, 대폭으로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는 것이다. 또, 계자코일(216a)∼(216d)은 프린트배선기판(215)에 배설하므르, 시이트코일을 사용할 수 있으며, 계자코일(216a)∼(216d)과 호올소자(217a)(2l7b)를 프린트배선기판(215)의 동일 구동회로부(215A)에 배설할 수 있다.
또, 구동회로부(215A)와 제어회로부(215B)를 개별로 형성하면,이들을 상호 결합하기위한 납땜등의 번잡한 작업을 요하며, 리이드선이나 고넥터등의 부품을 필요로하고, 또, 콤펙트화를 도모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점이 발생하나, 이 실시예에 있어서는, 동일한 프린트배선기판(215)에 구동회로부(215A)와 제어회로부(215B)를 일체적으로 형성하는 것으로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는 한편, 제어회로부(215B)를 도풍판(218b)의 내부면에 배설시키므로서 사용상의 데드스페이스를 없앨수 있다. 또한, 프린트 배선기판(2l5)으로서 양면프린트 배선기판을 사용하면, 보다 집적도가 높아진다. 그외에, 프린트배선기판(215)을 플렉시블 기판으로 하거나 또는 프린트배선기판(215)의 제어회로부(215B) 부분을 지지프레임의 바깥면쪽에 배설하거나, 개별의 기판에 형성된 구동회로부와 제어회로부를 굴곡형 코넥터로 배선하여도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제12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지지프레임이나 도풍판등의 기판부착 장소에, 부착용보스(219)를 착설하고, 이것을 프린트배선기판(215)에 형성한 부착구멍을 통해서, 이 보스(219)의 선단부를 열로 압궤하면, 절연시이트등을 사용하는 일없이 확실한 절연을 얻어서 용이하게 또한 강고하게 부착할 수 있다.
또한, 예를들면, 자계검출용 호올소자(217a)(217b)는 1개 만으로 충분히 소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경우가 있으며, 또, 마그넷(214)은 임펠러단면부(210)의 안쪽에 착설하여도 된다. 또, 마그넷(214)의 극수나 계자코일(2l6a)∼(216d)은 임의의 수로 할수있는 것은 말할것도 없다.
또, 상기 실시예에서는, 모우터용 마그넷(214)을 임펠러(201)의 단면쪽에 배설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나, 물론 이에 한하지 않고, 제13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모우터용 마그넷(324)...을 지지축(308)에 배설하게 하여도 된다.
즉, 이 것은, 지지프레임(306)에 지지된 지지축(308)에, 지지부재(325)만이 고정되고, 이 지지부재(325)에 모우터용 마그넷(324)이 장착되어있다. 그리고, 지지프레임(306)의 내부면에 배설된 상기 실시예와 동일반 프린트 배선기판(326)의 각 코일접속부(도시하지 않음)에 모우터용 계자코일(318a)∼(318d)이 둘레방향으로 등간격을 두고 배치접속되어있다. 다른 구성은, 상기 실시예와 동일하다. 이와같은 구성으로도, 임펠러(304)는 브러시레스모우터 방식으로 회전구동시킬 수 있다. 또한, 도면중(312)는 베어링이다.
이상과같이, 임펠러와 지지프레임의 사이에 실질적으로 모우터 기능을 발휘하는 마그넷과 계자코일을 배치해서 임펠러를 회전시키는 구성으로하고, 또한, 마그넷은 박형의 것을 사용하므로, 임펠러 내부나 지지축 주위에 배설할수 있는 동시에, 계자코일은 철심이 없고 편평한것을 자계검출용소자와 함께 동일한 프린트배선기판에 배설하는 구성으로 하였으므로, 가급적으로 박형으로하여 소형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으며, 설치스페이스도 작아져서 전기 기기의 각별한 콤팩트 설계가 가능하게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여기에서 서술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모우터용 계자코일을 철심이없는 코일로하고 있으나, 철심이있는 코일로 대용할 수 있는 것은 말할것도 없고, 이 경우는 모우터용 마그넷을 철심과 대향한 상태에서 지지하면된다.
[실시예 3]
제14도는, 임펠러와 지지프레임 사이에 브러시를 가지는 모우터를 배설한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즉, 지지프레임(406)과 임펠러(401)의 단면부(410)에 의해서 형성되는 간격(406)내에 있어서, 지지축(408)에 철심(4l7)이 고정되어 있으며, 이 철심(417)에 모우터용 코일(418)이 감겨져있다. 그리고, 모우터용코일(418)은 철심(417)을 개재해서 지지축(408)에 지지되어있다. 또, 지지축(408)에는 상기 철심(417)보다도 바깥쪽, 즉 베어링(412)쪽에 정류자(419)가 감착되어 있으며, 이 정류자(4l9) 정류판(도시하지 않음)이 상기 모우터용코일(418)에 접속되어있다. 한편, 상기 지지프레임(4Q6)의 내주쪽에는 부착대(420)가 고정되어 있으며, 이들 부착대(420)와, 상기 정류자(419)와 각각 180°대칭의 위치에서 접촉하는 1쌍의 브러시(421)(422)가 지지되어 있다. 이들 브러시(421)(422)사이에는 지지프리임(406)을 관통해서 접속되는 리이드선(도시하지 않음)을 개재해서 전원으로부터 전력의 공급이 이루어진다.
상기 지지프레임(406)의 둘레벽의 내주면에는 상기부착대(420)와의 사이에 지지된 원통형상의 자성체로된 프레임(432)이 장착되어 있으며, 이 프레임(423)안쪽의 상기 철심(417)에 대향하는 위치에는 N극, S극이 교호로 배치된 링형상의 모우터용 마그넷(424)이 고정되어 있다. 상기 프레임(423)은 임펠러 단면부(410)의 가장 자리에 형성된 상기 둘레벽(410a)의 내주벽에 임하도록해서 지지프레임(406)에 장착되어 있으며, 이것에 의해서, 간격(416)에 먼지가 들어가는 일이 방지되고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423)은 자지저항을 작게하기 위해서 자성체인것이 바람직하나 비자성체라도된다. 또, 모우터용마그넷(424)도 링형상에 한하지않고, N극, S극때마다 분할한 마그넷을 비자성체에 유지한 것이라도 되고, 모우터용 코일과 마찬가지로 그 극수도 임의로 선택할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같이 구성된 크로스플로우형 냉각팬장치에 있어서는, 브러시(421)(422)사이에 전원으로부터 전력을 공급해서 모우터용 계자코일(418)로 전류를 흐르게 하므로서 발생하는 전자력과, 모우터용 마그넷(424)의 전자력에 의한 흡인, 반발에 의해서 지지축(408), 즉 임펠러(401)가 호전된다.
[실시예 4]
제15도는, 임펠러와 지지프레임 사이에 브러시를 가진 모우터를 배설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즉, 상기 실시예 3과 마찬가지로, 지지축(408)에 모우터용 계자코일을 지지하고, 지지프레임(406)에 모우터용 마그넷을 지지한 경우의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으며, 이 제15도에 있어서는 정류자(419)와 접속된 편평하고 철심이 없는 모우터용코일(518)을 임펠러(401)의 단면부(410)에 장착하고, 디스크 형상의 편평한 모우터형 마그넷(524)을 상기 모우터용코일(518)과 대향시켜서 프레임(423)에 장착하고있다. 즉, 이 실시예에 있어서는 모우터용 코일(518)은, 임펠러단면부(410)에 지지되어 있다. 다른 구성은 상기 제14도에 도시한 실시예와 마찬가지이며,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부호가 붙여져있다. 또, 임펠러(401)를 회전시키기 까지의 동작이 상기 실시예 3에 명시한 경우와 마찬가지인것은 말할것도없다.
[실시예 5]
제16도∼제19도는, 브러시레스모우터의 제어회로부를 호적한 도풍판의 한쪽에 배설한 실시예이다.
먼저, 임펠러(602)는, 상기 각 실시예의 경우와 동일한 지지축, 베어링, 및 브러시레스모우터의 지지축에의해 회전가능하게 케이싱(603)내부에 수용되어있다. 이 케이싱(603)은, 상기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제16도 및 제17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대략 평판형상의 하우징(603a)과, 중앙부가 임펠러(602)와 동심의 원호형상으로 만곡된 도풍판(603b)과, 1쌍의 지지프레임(도시하지않음)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한쪽에 광폭의 공기흡인용의 개구부(603d)를 형성하고 있는한편, 다른쪽에 공기배출용의 개구부(603e)를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원호형상으로 만곡된 도풍판(603b)의 바깥쪽에, 플렉시블기판(607)이 접착제등으로 첨설하도록하고 있다.
상기 구성의 케이싱(603)은, 복사기, 전자조리기, 컴퓨터, 복사기계 또는 워어드프로세서등의 전자기기의 장치본체섀시(604)에 대해서 부착되고, 도풍판(603b)과 섀시(604)의 사이에 데드스페이스(605) 가 형성되어있다. 그리고, 이 데드스페이스(605)에 전자부품등으로 구성되는 제어회로부(606)를 배설하도록 하고 있다. 이 제어회로부(606)는, 칩형상의 트랜지스터(606b), 저항(606c), 콘덴서(606d) 및 다이오드(606e)등을 상기 플렉시블기판(607)의 표면부(607a)에 납땜하므로서 구성된다. 또한, 도풍판(603b)의 바깥쪽에 대한 플렉시블기판(607)의 첨설 밋 플렉시블기판(607)에 대한 제어회로부(606)의 전자부품(606b)∼(606e)의 부착은, 예를를면 제18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우선도풍판(603b)의 외부면에 절연시이트(608)(예를들면 수지시이트)를 접착해두고, 이 절연시이트(608)에, 이면부(607b)에제어회로부(606)의 전자부품(606b)∼(606e)의 리이드부를 납땜한 플렉시블기판(607)을 접착제등의 고착수단으로 부착하도록 하여도 된다. 이와같이하면, 플랙시블기판(607)이, 그 이면부(607b)에 있어서 납땜하는 타이프인 경우에, 실시화된다.
또, 도풍판(603b)의 바깥면에 대한 플렉시블기판(607)의 첨설 밋 플렉시블기판(607)에 또한 제어회로부(606)의 전자부품부(606b) ∼(606e)의 부착은, 제19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이면부(607b)에 제어회로부(606)의 전자부품부(606b) ∼(606e)의 리 이드부를 납맹한 플렉시블기판(607)을, 그 전자부품부(606b) ∼(606e) 가 도풍판(603b)의 의부면에 당접 또는 접근하도록, 도풍판(603b)의 바깥면에 접착제등으로 첨설하도록 하여도된다. 이와같은 구성으로하면, 제어회로부(606)의 전자부품부(606b)∼(606e) 가 도풍판(603b)에 당접 또는 근접하고 있으므로, 임펠러(602)로부터의 바람에 의해서 냉각된왼 도풍판(603b)에 의해, 상기 전자부품부(606b)∼(606e)가 냉각되어, 열적영향에 의한 전자부품의 손상이 유효하게 방지되어서, 브러시레스크로스풀로우형 냉각팬장치의 내구성 및 신뢰성을 대폭으로 향상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한 구성이면, 브러시레스모우터에의 통전을 제어하는 제어회로부(606)에 통전하고, 이 제어회로부(606)로부터 브러시레스모우터의 구동부에 통전해서 이 모우터를 회전구동하면, 케이스(603)의 내부에 수용되어있는 임펠러(602)가 회전하고, 케이스(603)의 광폭의 개구부(603d)로부터 공기를 흡입해서 협폭의 개구부(603e)로부터의 공기를 배출할수있다. 또, 제어회로부(606)를, 브러시레스모우터로부터 옮겨서, 데드스페이스(605)에 배설시켰으므로, 브러시레스모우터의 구동시에 있어서의 전자부품(606b) ∼(606e)에의 열적영향이방지되어, 브러시레스모우터의 내구성, 신뢰성, 나아가서는 브러시레스크로스플로우형 냉각팬장치의 내구성,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실시예 6]
제20도∼23도는, 임펠러를 축방향으로 복수개 연결시키는 경우의 송기효율을 높이는 실시예를 나타내고있다.
제20도 및 제21도에 도시한 임펠러(701)는, 합성수지에 의한 일체성형품으로서, 몸체중심공동(702) 주위에 일정간격을 두고 배설한 다수개의 임펠러(703)와, 인접하는 날개판(703)(703)사이에 개구되는 다수개의 송기슬릿(704)으로서 몸체 둘레벽이 구성되며, 또한 각 날개간(3)은 송기 슬릿(704)으로부터의 송기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 몸체 둘레벽에 대해서 약 60도의 경사각이 주어진다.
상기 날개판(703)군은 일단부에 있어서 연결고리부(705)에 의해 지지되고, 타단부에 있어서 단판부(706)에 의해 지지되며, 따라서 임펠러(701)는 일단면이 개구된 대략 실린더 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연결고리부(705)는 그 내주면부(705a)가 임펠러의 다연접속에 대비해서 단판부(706)의 바깥둘레면부(706a)와 같은 직경으로 설정되는 동시에 이 내주면부(705a)에 고리형상으로 연속해있는, 또는 단속적으로 연속해있는 함입부(707)가 함설되고, 다른쪽 단판부 바깥둘레면부(706b)에 마찬가지로 고리현상으로 연속해있는, 또는 도면과같이 단속적으로 연속해있는 융기부(708)가 형성된다. 물론, 합입부(707)와 융기부(708)의 형성이 반대 배치이어도 된다.
연결고리부(705)내부에는, 날개판(703)의 1개의 끝가장자리에서 제21도에 도시한 위치 결정용 돌기부(709)가 돌출설치되고, 이에 대해서 단판부(706)에 결합구멍(710)이 돌기부(709)와 동일한 반경위치상에 둘레방향으로 다수개 관통형성된다. 또, 단판부(706)의 중심부에는, 후술하는 지지축의 베어링 부재를 감작하기 위한 둥근구멍부(713)가 개설된다.
임펠러의 다연접속은, 제22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한쪽 임펠러의 연결고리부(705)내에 다른쪽 임펠러의 단판부(706)를 압입감함하고, 양자의 함입부(707)와 융기부(708)가 요철(凹凸) 감합하도록해서 행하고 이때에 연결고리부(705) 내부에서 위치결정용돌기부(709)를 어느한 결합구멍(710)에 돌입시킨다. 이 위치결정구성은, 인접하는 임펠러의 날개판(703)(703)끼리, 바꾸어 말하면 송기 슬릿(704)(704)끼리가 축심방향으로 직선형상으로 되어있지않고, 제23도에 실선과 파선으로 나타낸 관계와 같이 서로 엇갈리게 위치하도록 양임펠러의 접속을 규제하는 것이다.
이와같이해서 양임펠러는 축방향으로 2개 연결로되어 2배의 치수로되며, 또 3배의 치수를 얻을때는 임펠러를 3개 연결하면되어, 마음대로 필요한 치수의 임펠러를 얻을 수 있다.
또 최단부의 임펠러의 연결고리부(705)는 제20도 및 제21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별도부재로서의 보조단판(714)으로 닫혀진다. 따라서, 보조단판(714)은 단판부(706)와 마찬가지로 연결고리부(705)의 합입부(707)에 압입감함될 수 있는 융기부(715)와, 위치결정용 돌기부(709)에 대응하는 결합구멍(716)을 가지고있는 것은 물론이고, 또 중심부에 둥근구멍(717)이 개설된다. 그리고, 보조단판(714)의 부착과 동시에, 이 보조단판(714)의 둥근구멍(717)에 고무등에 의해서 제자된 베어링부재(도시하지 않음)를 감착한후, 이들 베어링부재를 지지축으로 지지하면 크로스플로우힝형 냉각팬장치가 구성된다.
이 냉각팬장치에 있어서, 상기한 바와같이 인접하는 임펠러의 송기슬릿(704)이 서로 엇갈린형상으로 배설된 것으로 되므로, 한쪽의 임펠러의 송기슬릿(704)으로부터의 송기와, 다른쪽의 임펠러의 송기슬릿(704)으로부터의 송기에는 시간적인차를 발생하며 따라서 간섭이 발생하지 않는다.
이상으로부터 명백한 바와같이, 다연접속해서 냉각팬을 조립하면, 임펠러 상호의 접속이 융기부와 합입부의 압입감합에 의한 원터치 조작으로 행할 수 있어, 작업성이 극히 간편하며, 또 압입감합에 의해서 센터링이 자동적으로 이루어지므로, 정밀도 좋은 냉각 팬을 저렴한 가격으로 대량생산할 수 있다. 또, 상기 센터링 정밀도의 향상에 의해 회전시의 균형성이 뛰어나고, 분해가 용이하므르 보수유지도 유리하다.
또 위치결정용 돌기와 결합구멍이 상호결합시키는것 만으로, 양임펠러의 접속위치관계가 자동적으로 규제되게되어서, 이 규제를 위한 작업상의 노력을 생략할 수 있는 동시에, 각 임펠러로 부터 송기되는 층흐름의 간섭을 방지하고, 맥동을 없앨 수 있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이상과같이, 본 발명에 관한 크로스플로우형 냉 각팬장치는 오오디오앰프, 마이크로컴퓨터, 워어드프로세서, 복사기계, 전자조리기등의 내부냉각장치에 적용해서 유용하며, 특히 최근과 같이 전기 기기의 소형화에의해 설치스페이스가 적어지고 있을 때에는, 콤팩트 설계를 도모하는 위에서 호적하게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8)

  1. 몸체중심공동주위에 축방향으로 연장된 송기슬릿을 형성하여 이 송기슬릿에 의해 바람의 방향을 레이디얼 방향으로 송출시키는 직경 방향에 대해서 축방향이 긴 임펠러를, 그 축방향 양단부에서 지지프레임에 지지축을 개재해서 회전자재하게 축받침하고, 회전쪽인 임펠러, 이것의 지지축과 고쪽축인 지지프레임중, 회전쪽, 고정쪽의 어느 한쪽에 모우터용 마그넷을 구비시키는 동시에, 다른쪽에 모우터용 코일을 상기 모우터용 마그넷에 대향시켜서 구비시키도록하여, 임펠러의 회동구동부를 구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크로스플로우형 냉각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회전쪽인 임펠러의 단면부에 모우터용 마그넷을 구비시키는 동시에, 고정쪽인 지지프레임에 모우터용 코일을 구비시켜서, 브러시레스모우터를 구성시키도록 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크로스플로우형 냉각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회전쪽인 지지축에 모우터용 마그넷을 구비시키는 동시에, 고정쪽인 지지프레임에 모우터용 코일을 구비시켜서, 브러시레스모우터를 구성시키도록하고 있는것을 특징으로하는 크로스플로우형 냉각팬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회전쪽인 임펠의 단면부에 모우터용 코일을 구비시키는 동시에, 고정쪽인 지지프레임에 모우터용 마그넷을 구비시키도록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크로스플로우형 냉각팬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회전쪽인 지지축에 모우터용 코일을 구비시키는 동시에, 고정쪽인 지지프레임에 모우터용 마그넷을 구비시키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크로스플로우형 냉각팬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임펠러의 바닥부에서부터 뒷부분에 걸쳐서 둘러싼 호형상의 도풍판의 한쪽에 브러시레스모우터의 제어회로부를 배설하여 이 제어회로부를 임펠러의 냉풍을 이용해서 냉각하도록 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크로스플로우형 냉각팬장치.
  7. 제3항에 있어서, 임펠러의 바닥부에서 부터 뒷부분에 걸쳐서 둘러싼 호형상의 도풍판의 한쪽에 브러시레스모우터의 제어회로부를 배설하여 이 제어회로부를 임펠러의 냉풍을 이용해서 냉각하도록 하고 있는것을 특징으로하는 크로스플로우형 냉각팬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임펠러가 축방향으로 복수개 연결되고, 인접하는 임펠러의 송기 슬릿이 서로 엇갈린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크로스플로우형 냉각팬장치.
KR1019870700599A 1985-11-11 1986-10-01 크로스플로우형 냉각팬장치 KR90000710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73697 1985-11-11
JP1985173697U JPS6281475U (ko) 1985-11-11 1985-11-11
JP??173697 1985-11-11
PCT/JP1986/000503 WO1987003149A1 (en) 1985-11-11 1986-10-01 Cross-flow cooling fan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701033A KR880701033A (ko) 1988-04-22
KR900007105B1 true KR900007105B1 (ko) 1990-09-28

Family

ID=159654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700599A KR900007105B1 (ko) 1985-11-11 1986-10-01 크로스플로우형 냉각팬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4859888A (ko)
EP (2) EP0246325B1 (ko)
JP (1) JPS6281475U (ko)
KR (1) KR900007105B1 (ko)
DE (2) DE3682279D1 (ko)
WO (2) WO198700314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004069C2 (de) * 1990-02-12 1994-10-27 Sel Alcatel Ag Lüftergehäuse
JPH083165Y2 (ja) * 1990-03-19 1996-01-29 日本電産株式会社 クロスフローファン
FR2669970A1 (fr) * 1990-12-04 1992-06-05 Airtechnic Unite de ventilation a double flux, notamment pour compartiment technique.
JP2799143B2 (ja) * 1994-08-09 1998-09-17 株式会社東芝 横流ファン用多翼羽根車の製造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GB2324836B (en) * 1994-08-09 1999-03-10 Toshiba Kk Method of manufacturing a transverse fan
TW477492U (en) * 1998-07-27 2002-02-21 Sunonwealth Electr Mach Ind Co Associating structure of air pumping fan
US6300694B1 (en) * 1999-12-06 2001-10-09 Leao Wang Cooling fan for electric treadmill motor
US6425735B1 (en) * 2000-11-15 2002-07-30 Schlumberger Technolog Corporation Clamp for a horizontal skid which allows axial movement of pump
GB2386161B (en) * 2002-03-09 2006-05-31 Atkinson Design Ass Ltd Rotor for a turbine
US7126821B2 (en) * 2004-11-16 2006-10-24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Ventilated casing for an electronic device
US20060157231A1 (en) * 2004-12-23 2006-07-20 Evga Corporation Miniature fan for high energy consuming circuit board devices
JP5232270B2 (ja) * 2011-07-14 2013-07-10 株式会社東芝 電子機器
CN102364119B (zh) * 2011-11-12 2013-04-24 宁波朗迪叶轮机械有限公司 贯流风叶
WO2015146371A1 (ja) * 2014-03-25 2015-10-01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クロスフローファン、電子機器、羽根車
CN107701518B (zh) * 2017-10-19 2024-03-29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贯流风轮安装结构、风道组件及具有贯流风轮的装置
WO2019148833A1 (zh) * 2018-02-05 2019-08-08 中山大洋电机股份有限公司 一种贯流风轮与电机的安装结构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98958A (en) * 1959-04-07 1963-07-23 Katz Leonhard Direct-current motor and the like
GB1002310A (en) * 1960-09-08 1965-08-25 Firth Cleveland Ltd Improvements relating to motor-blower combinations
FR1327918A (fr) * 1962-04-13 1963-05-24 Perfectionnements aux bâtis-supports de ventilateurs centrifuges
US3141607A (en) * 1962-04-13 1964-07-21 Gen Electric Co Ltd Blowers
US3175755A (en) * 1962-06-20 1965-03-30 Brundage Company Fan construction
US3385511A (en) * 1966-08-19 1968-05-28 Lau Blower Co Blower
JPS5027601Y1 (ko) * 1970-09-28 1975-08-16
US3680974A (en) * 1970-09-30 1972-08-01 Lau Inc Transverse-flow blower and housing
JPS544A (en) * 1972-05-22 1979-01-05 Exxon Research Engineering Co Combination reforming
JPS5648284B2 (ko) * 1973-07-11 1981-11-14
LU68101A1 (ko) * 1973-07-26 1973-11-22
FR2294347A1 (fr) * 1974-12-12 1976-07-09 Ducellier & Cie Moto-ventilateur notamment pour vehicules automobiles
DE2747684A1 (de) * 1977-10-25 1979-04-26 Licentia Gmbh Vorrichtung zur belueftung mit einem querstromgeblaese
JPS54149715U (ko) * 1978-04-11 1979-10-18
JPS5648284U (ko) * 1979-09-19 1981-04-28
US4360751A (en) * 1980-06-06 1982-11-23 Kollmorgen Technologies Corporation Fan with integral disc-shaped drive
JPS5780696U (ko) * 1980-11-05 1982-05-18
FR2523696B1 (fr) * 1982-03-18 1988-03-04 Jeumont Schneider Procede pour le refroidissement d'un moteur entrainant une turbine determinant l'evacuation de fumees chaudes a l'extremite d'un conduit et dispositif pour la mise en oeuvre de ce procede
JPS59169346A (ja) * 1983-03-14 1984-09-25 Canon Inc モ−タ
JPS59167990U (ja) * 1983-04-26 1984-11-10 株式会社東芝 フアン
CH659744A5 (fr) * 1984-08-10 1987-02-13 Asgalium Sa Transducteur electromecanique.
JPH0687651A (ja) * 1992-09-02 1994-03-29 Toshiba Corp チタン酸アルミニウム焼結体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3682279D1 (de) 1991-12-05
WO1987003049A1 (en) 1987-05-21
EP0246325A1 (en) 1987-11-25
WO1987003149A1 (en) 1987-05-21
EP0244487A4 (en) 1988-12-19
EP0246325B1 (en) 1991-10-30
KR880701033A (ko) 1988-04-22
US4859888A (en) 1989-08-22
EP0244487B2 (en) 1996-06-05
EP0246325A4 (en) 1988-12-15
DE3684141D1 (de) 1992-04-09
EP0244487A1 (en) 1987-11-11
JPS6281475U (ko) 1987-05-25
EP0244487B1 (en) 1992-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00007105B1 (ko) 크로스플로우형 냉각팬장치
US6509704B1 (en) Low profile motor
US5672927A (en) Motor with overmold coil support
US4773829A (en) Centrifugal fan driven by an electronic-commutation direct-current motor
US4728833A (en) 1-phase self-starting brushless motor
US4618806A (en) Ironless, brushless DC motor with wave-winding
US4216512A (en) Disc recorder with brushless DC motor drive
US8957553B2 (en) Electric motor apparatus with equi-potentialized brackets
US4950932A (en) Axial flow fan integral with electronically commutated motor
JPS63249451A (ja) フアン駆動用電動機
JPH055280Y2 (ko)
KR100189078B1 (ko) 직류단상 브러쉬리스 축류팬모터
JPH0240317Y2 (ko)
JPH0312044Y2 (ko)
JPH04133650A (ja) 送風用無刷子電動機
KR100189077B1 (ko) 직류단상 브러쉬리스 축류팬모터
KR100524100B1 (ko) 열 방산형 팬 구조
KR0124511Y1 (ko) 직류 단상 코아레스 축류 팬 모타
JP2002112499A (ja) 軸流ファンモータ
JPS58108952A (ja) ブラシレスモ−タ
JPH10252697A (ja) モータ一体型のファン装置およびその装置を使用した送風機
JPS63249450A (ja) フアン駆動用電動機
JP2004088909A (ja) ブラシレスモータ
KR20010028361A (ko) 캡스턴 모터
JPH0672292U (ja) 電子機器の冷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0925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