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6804B1 - 접착제 도포장치 - Google Patents

접착제 도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6804B1
KR900006804B1 KR1019880013434A KR880013434A KR900006804B1 KR 900006804 B1 KR900006804 B1 KR 900006804B1 KR 1019880013434 A KR1019880013434 A KR 1019880013434A KR 880013434 A KR880013434 A KR 880013434A KR 900006804 B1 KR900006804 B1 KR 9000068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hesive
cylinder
transfer
solenoid
rotary t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134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06025A (ko
Inventor
박찬홍
Original Assignee
삼성항공산업 주식회사
신훈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항공산업 주식회사, 신훈철 filed Critical 삼성항공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8800134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900006804B1/ko
Publication of KR9000060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60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68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68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00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work by contact with a member carr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a porous member loaded with a liquid to be applied as a coating

Landscapes

  • Coating Apparatu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접착제 도포장치
제 1 도는 본 발명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단면도.
제 2 도는 제1도의 X-X선 단면도.
제 3 도는 본 발명의 다른 사용예를 나타내는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 : 접착제공급부 4 : 접착제통
5 : 노즐공 6 : 공기주입구
8 : 니이들밸브 9 : 솔레노이드
11 : 접착부품이송부 13 : 회전테이블
14 : 피니온 15 : 이송블럭
16 : 회전용실린더 20 : 장착대
21 : 가이드로드 22 : 이송용실린더
23 : 도포위치조절볼트
본 발명은 접착제 도포장치에 관한 것이다.
부품조립을 하는데에는 구조적 또는 기능적 특징에 따라 끼워맞춤과 나사체결 방식등이 사용되고 있으나, 특히 조립부품이 방습을 목적으로 하는 것일때에는 접착제의 사용이 불가피하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는 조립부품에 접착제를 도포 시키는 공정이 필요하게 된다.
종례에는 조립부품에 접착제를 도포시킬때 부품을 고정시킨 상태로 하거나 회전시키면서 접착어이 작업자가 직접압출시켜 부품위에 도포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행하여 왔다.
종례의 이와 같은 접착제 도포방식은 접착제가 작업자의 손에 의해 압출되는 상태로 부품위에 도포됨에 인하여 특히 부품이 원형인 경우에 있어서는 원주방향으로 도포되는 접착제의 도포량이 일정치 않게 되는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으로 인하여 짐착제가 도포된 조립부품을 피부품에 접착시키는 경우 접착제가 과다하게 도포된 부위는 짐작제가 부품외측으로 흘러나오게되어 별도의 공구를 사용하여 제거해야하는 번거러움이 있다.
그리고, 접착제가 소량 도포된 부위는 접착력이 약하여 조립불량이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전기한 모든 작업이 수작업으로 행하여짐에 따라 접착제의 냄새로 인한 작업자의 보건위생을 해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비생산적인 작업방식들은 공장자동화의 실현으로 해소할 수 있겠으나, 지금까지 이를
개선할 수있는 방안이 제시된 바 없다.
본 발명은 전기한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자동으로 접착제가 균일하게 도포되도록 하는 접착제 도포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의 실현을 위하여 본 발명은 솔레노이드의 작동으로 접착제통의 취출구가 개폐되고 접착제의 공급이 공압에 의해 이루어 지도록 하는 접착제 공급부와, 접착부품을 도포위치까지 이송시켜주는 접착부품이송부로구성항을 그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실시예에 따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발명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단면도로서, 베이스플레이트(1)상에 고정설치된 프레임(2)에는 접착제 공급부(3)이 설치되어 있다.
이 접착제 공급부(3)은 접착제통(4)의 하측에 노즐(5)가 나사결합되어 있으며 상측에는 콤프레셔(도시생략)와 연결되는 공기주입구(6)이 뚫려진 다이(7)이 결합되어 있다.
다이(7)에는 니이들밸브(8)이 상에서 하로 관통되어 있다. 이 니이들밸브(8)은 솔레노이드(9)에 그 상단이 연결되어 있으며, 하단은 노즐(5)의 노즐공(5a)를 페쇄하고 있다.
니이들밸브(8)에는 스프팅시트(8a)가 형성되어 스프링(10)으로 탄력지지 되어 있다.한펀 전기한 접착제 공급부(3)의 하측에는 접착부품이송부(11)이 설치된다
이 접착부품 이송부(11)은 부품(G)가 장착되는 홈(12)가 형성된 희전테이블(13)의 하측으로 피니온(14)가 형성되어 이송블럭(15)의 중공부(15a)에 삽입되어 있다
피니온(14)는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송블럭 (15)의 외측으로 설치된 회전용 실린더(16)의 로드선단에 고정된 브레킷트(17)에 고정되어 회전용 실린더(l6)과 함꼐 연동하는 랙(18)과 맞물려 있다.
브래킷트(17)에는 회전용 실린더(16)의 행정을 조절하는 조절볼트(19)가 나사결합으로 관통설치되어 있다.
전기한 이송블럭(15)는 베이스 플레이트(1)상에 고정설치된 정착대(20)이 설치되어 있는 가이드로드(21)에 끼워져 장착대(20)과 소정의 거리를 유지한체로 되어 있다.
이러한 이송블럭(15)는 그 일측에 이송용실린더(22)의 로드선단이 고정설치되어 있어 이의 작동에 따라가이드로드(21)을 타고 수평 이송된다.
도면중 미설명부호 23은 이송블럭(15)의 어송거리를 제한하여 도포위치를 정하여 주는 도포위치 조절볼트를 지칭한다.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은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테이블(13)의 홈(12)에 부품(G)를 을려 놓은후 스욋치를 온 시키게 되면 정해진 시킨스 회로에 의해 이송용 실린더(22)가 면저 후진 작동하게 된다.
이송용 실린더(22)가 후진작동함에 따라 이와 결합된 이송블럭(15)가 가이드로드(21)에 안내되어 화살표방향으로 이동하게 되어 제1도의 일점쇄선 위치까지 이송된다.
이때 도포위치 조절볼트(23)의 길이 조절에 따라 이송블럭(15)의 위치가 결정된다.
이는 부품(G)의 크기 또는 도포위치의 변화에 대처할 수 있게 되므로 부품의 교환사용을 가능케 하게 된다.
이와 같이 이송블럭(15)가 이송되어 와 정지하게 되면 솔레노이드밸브(도시생략)의 작동으로 다이(7)에 뚫려진 공기주입구(6}으로 에어가 유입된다.
공기주입구6으로 에어가 유입됨으로서 접착세통나v내에는 압력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때 솔레노이드(9}가 작동하게 된다.
솔레노이드(9)가 작동함에 따라 니이들밸브(8)이 상방으로 이동되면서 노즐공(5a)를 열게 된다.
노즐공(5a)가 열리게 되면 내압에 의해 접착제가 노즐공(5a)를 통하여 유출을 시작하게 되는데 이때 솔레노이드(9)가 작동할 때 희전용 실린더(16)도 함께 작동을 하게 된다.
회전용 실린더(16)이 전진 작동하게 되면 이와 연계 설치되어 있는 랙(18)이 항꼐 전진을 하게 된다.
랙(18)이 전진함으로서 이와 맞물려 있는 피니온(14)가 회전을 하게되고, 이로써 피니온(14)와 일체로 형성된 회전테이블(13)이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회전테이블(13)위에 올려진 부품(G)에 접착제가 원주상으로 도포된다.
이때 회전용 실린더(16)으로 유입되는 에어량을 조절할 수 있게 되므로 접착제의 도포량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회전용 실린더(16)으로 유입되는 에어량의 조절은 유량조절밸브를 부착 사용항이 좋고, 기타 다른 방식으로 유량조절을 행할 수도 있다.
회전테이블(13)이 1회전을 판로하게 되면 회전용 실린더(16)에 부착된 근접스위치(도시생략)에 의해 그신호가 솔레노이드(9)에 전하여 짐으로서 솔레노이드(9)에 인가되는 전원이 차단 된다.
이로써 니이들 밸브(8)은 스프링(10)의 탄발력으로 아래로 밀려 내리가 노즐공(5a)를 차단하여 접착제의유출을 막게 된다.
이어서 이송용 실린더(22)가 전진 작동한 다음 회전용 실린더(16)이 후진 작동하여 처음의 위치로 되어도포작업이 완료되게 된다.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도포가 완료된 상태의 위치에 로보트를 설치하여 접착부까지 부품(G)를 이송시킬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다이(7)과 첩착제통(4) 및 노즐(5)가 나사 결합돠어 분해 결합을 용이하게 함으로써 접착제를충전하거나 청소를 할 때 용이한 이점이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접착제의 공급과 부품의 회전을 공압으로 행하여지게 함으로써 일정한 위치에 일정량의 접작제를 도포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모든 작동을 자동화 함으로써 조립공정의 원활한 흐름과 공정 개선으로 성력화 및 생산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게 된다.
제3도는 본 발명의 다른 사용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회전테이블(13)에 지름 방향으로 2개의 용기(P)(P')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은 이송블럭(15)의 이송을 전기한 작동과 동일하게 이송시킨 뒤 용기(P)를 노즐(5)와 동일수직선상에 오도록 하여 액체를 담고, 회전테이블(13)을 180。회전시켜 용기(P')가 노즐(5)와 동일수직선상에오게 하여 액체를 닿을 수 있다.
이때 솔레노이드(9)의 작동시간을 제어함으로서 일정한 양의 액체가 담겨지도록 할 수 있게 된다.

Claims (3)

  1. 솔레노이드(9)에 연동하여 노즐공(5a)를 개폐시키는 니이들밸브(8)이 내부에 설치되고, 상부측이 공기주입구(6)으로 연통된 접착제통(4)로 이루어지는 접착제 공급부(3)과,이송용 실린더(22)에 의해 왕복 이동되는 이송블럭(15)의 중앙으로 회전테이블(13)을 추축결합하고, 회전용 실린더(16)으로 연동되는 랙(l8)을 전기한 회전 테이블(13)에 형성된 피니온(14)와 치차결합시켜 이루여지는 접착부품 이송부(11)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제 도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이송용 실린더(22)가 장작대(20)의 일단측에 고정부착되고, 이송블럭(15)는 장착대(20)에 가로설치된 가이드로드(21)을 타고 안내 되도록 구성항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제 도포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장착대(20)에는 도포위치 조절볼트(23)이 설치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제 도포장치.
KR1019880013434A 1988-10-14 1988-10-14 접착제 도포장치 KR9000068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80013434A KR900006804B1 (ko) 1988-10-14 1988-10-14 접착제 도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80013434A KR900006804B1 (ko) 1988-10-14 1988-10-14 접착제 도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6025A KR900006025A (ko) 1990-05-07
KR900006804B1 true KR900006804B1 (ko) 1990-09-21

Family

ID=192784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13434A KR900006804B1 (ko) 1988-10-14 1988-10-14 접착제 도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0000680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8661B1 (ko) * 2008-04-14 2010-03-18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차량용 필터 캡의 접착제 도포장치
KR101465364B1 (ko) * 2013-10-15 2014-11-25 김대진 접착제 분사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2296B1 (ko) * 2006-09-18 2007-12-06 주식회사 온지구 글래스판넬 프라이머 도포 자동화 시스템
KR101359634B1 (ko) * 2012-03-08 2014-02-05 서일성 스피커용 프레임과 그릴과 진동판의 접착상태 검사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8661B1 (ko) * 2008-04-14 2010-03-18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차량용 필터 캡의 접착제 도포장치
KR101465364B1 (ko) * 2013-10-15 2014-11-25 김대진 접착제 분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6025A (ko) 1990-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045463C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ducing coated fastener samples
JPH06198229A (ja) 接着剤塗布方法及び装置
US6527142B1 (en) Liquid constant rate discharge method and device
KR900006804B1 (ko) 접착제 도포장치
CN105750157B (zh) 一种智能涂胶末端执行器及其控制方法
CN210647065U (zh) 一种全自动机械手打胶机
JPH01261835A (ja) ディスペンサー装置
JP2001277257A (ja) 固定スプレー揺動装置
US4274456A (en) Apparatus for dispensing fluid sealant
JPH1058247A (ja) 自動ねじ締め機
CN209577209U (zh) 一种液体供应装置
JPS60141641A (ja) ガラス製びん機の金型潤滑液塗布装置
CN208894467U (zh) 一种新型水幕喷胶作业台
CN220613224U (zh) 一种机械加工中心切屑冲洗装置
JP2733691B2 (ja) 移動具
JPS60186317A (ja) 自動タツプ立装置
JPH0626379Y2 (ja) グリス塗布治具
CN218925149U (zh) 一种水剂型涂胶机
JPH0118207Y2 (ko)
CN218835058U (zh) 一种自动喷胶机
JPS61103745A (ja) 工作機械の自動工具交換装置
KR19990066527A (ko) 반도체 현상장비의 현상액 공급장치
CA2112428A1 (en) Mastic material applicator tool for a robot
CN219253083U (zh) 一种点胶设备
CN211914391U (zh) 多功能内外圆弧面多喷嘴连续涂胶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3032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