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6671B1 - 언어생성장치 - Google Patents

언어생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6671B1
KR900006671B1 KR1019860002594A KR860002594A KR900006671B1 KR 900006671 B1 KR900006671 B1 KR 900006671B1 KR 1019860002594 A KR1019860002594 A KR 1019860002594A KR 860002594 A KR860002594 A KR 860002594A KR 900006671 B1 KR900006671 B1 KR 9000066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nguage
expression
language expression
input
data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600025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60009353A (ko
Inventor
아끼라 구마노
신야 아모노
히사히로 아다찌
히로야수 노가미
세이지 미께
쯔또무 가와다
기미히도 다께다
이사무 이와이
미와꼬 도이
도시오 오까모도
노리꼬 야마나까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도오시바
사바 쇼오이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도오시바, 사바 쇼오이찌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도오시바
Publication of KR8600093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93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66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66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7/00Digital computing or data processing equipment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fun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20Natural language analysis
    • G06F40/279Recognition of textual entities
    • G06F40/284Lexical analysis, e.g. tokenisation or collocat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40Processing or translation of natural language
    • G06F40/55Rule-based translation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언어생성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1실시예에 따른 언어생성장치의 기본적인 구성도.
제2도는 본 발명의 1실시예에 따른 언어생성장치의 구체적인 구성예를 나타낸 도면.
제3도는 언어처리(번역처리)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
제4도는 언어표현에 관한 속성정보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
제5도는 본 발명의 1실시예에 따른 언어생성장치의 언어표현의 변형처리의 호름을 나타낸 도면.
제6도는 본 발명의 1실시예에 따른 언어생성장치에서의 언어표현의 변형처리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8:생성제어부 19:언어표현참조부
20:변형제어부 21:출력제어부
22:디스플레이 23:데이터화일장치
(산업상의 이용분야)
본 발명은 기본형으로 표현된 언어정보로부터 하나 또는 복수의 언어표현을 생성해 낼 수 있도륵 된 언어생성장치(言語生戒裝置)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 및 그 문제점)
정보처리기술의 발달에 따라 전자계산기시스템을 이용한 언어처리장치가 워도프로세서나 번역장치 등으로서 개발되고 있다. 그 중에서도 번역장치에 있어서는 품질좋은 번역문을 얻기 위해 여러 종류의 언어처리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그런데 종래의 번역처리에 있어서, 입력된 원문으로부터 그 번역문을 생성해 낼 경우,언어생성용 데이터베이스에 축적되어 있는 언어정보에 따라 입력원문(원어)에 대해 가장 적절한 번역문(역어)을 선택하여 출력하도록 되어 있는데, 이 경우에 출력된 언어(번역문:역어)의 일부를 수정하기 위해서는 그 오퍼레이터에 의해 데이터베이스의 참조작업을 포함한 모든 언어표현의 수정작업을 수행하던가 상기데이터베이스를 수정한 후 다시 언어표현(번역문:역어)을 생성해 낼 필요가 있었다. 이런 언어표현의 수정작업은 오퍼레이터에게 상당한 부담을 주게 됨으로써 언어표현처리효율의 저하를 초래하게 되었다. 또한 상술한 바와같이 언어표현의 수정이 번거롭고, 생성할 수 있는 언어표현에 큰 제약을 받기 매문에 소망하는 품질좋은 언어표현으로 이루어진 문장을 쉽게 얻는 것이 무척 곤란하였다.
(발명의 목적)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사정을 고려해서 발명된 것으로. 언어생성용 데이터베이스를 효과적으로 이용해서 소망하는 표현형식으로 된 언어를 간편하게 얻을 수 있고, 또 언어표현의 수정작업을 대폭적으로 간소화시킬 수 있는 실용성 높은 언어생성장치를 제공하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
(발명의 구성)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데이터베이스에 축적되어 있는 언어정보에 따라 입력된 원문의 언어표현을 생성하도록 원 언어생성장치에 있어서, 언어표현에 대한 속성정보가 축적되는 언어표현데이터베이스와, 이 언어표현데이터베이스에 축적되는 상기 언어표현의 속성정보를 갱신시키도록 된 수단, 언어표현의 기본형을 입력시키도록 된 기본형입력부 및, 상기 언어표현데이터베이스에 축적되어 있는 속성정보에 따라 상기 기본형으로 표현원 언어로부터 변헝된 표현의 언어를 생성하도록 원 변형언어표현생성부를 구비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작용)
상기와 같이 구성된 발명에 의하면, 언어표현데이터베이스에 축적되어 있는 예컨대 언어로 표현되는 문장의 전체에 대해 설정되는 공통언어표현데이터와, 입력언어에 따라 부분적으로 설정되는 입력언어표현데이터, 이들 언어표현데이터의 적용을 특별히 지정하는 언어표현변형생성루울데이터 및, 언어표현의 활용변화루울데이터등과 같은 언어표현에 관한 속성정보(屬'性'情報)를 적절하게 갱신해서 언어처리목적에 부합되는 언어표현형식의 변형정보를 상기 언어표현데이터베이스에서 얻도록 되어 있다.
예컨대 일본어의 동사에서는 종지형으로서, 또 영어의 동사에서는 부정형으로서 그 언어표현의 기본형이 입력될 때, 상기 언어표현데이터베이스에 축적된 속성정보에 따라 기본형으로 표현된 언어의 활용, 어미등의 어형(언어표현형식)을 변형시켜 이 변형생성된 표현형식의 언어를 출력하도록 되어 있다.
[실시예]
이하, 예시도면을 참조해서 본 발명의 1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1실시예에 따른 언어생성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로서, 참조부호 1은 언어로 표현되는 문장전체에 대해 설정되는 공통언어표현데이터와 입력언어에 따라 부분적으로 설정되는 입력언어 표현데이터, 이들 언어표현데이터의 적용을 특별히 지정하는 언어표현변형생성루울네이더 또는 언어표현의 활용변화루울데이터등과 같은 언어표현에 관한 속성정보를 축적하게 되는 언어표현데이터베이스를 나타낸 것으로, 이 언어표현데이터베이스(1)에는 형태소간의 순서관계, 접속시의 활용변화등과 같은 문서데이터와, 속성정보와 이 슥성정보에 대한 힝태소로 이루어진 속성·헝태소데이터가 축적되게 된다. 여기서, 형태소라고 하는 것은 「과거형」에서의 「이었다」,「경어체」에서의 「합니다」,「부정형」에서의 「않다」등의 정보를 일컫는 것이다. 그리고, 참조부호 2는 상기 언어표현데이터베이스(1)에 격납된 속성정보에 따라 기본형으로 표현된 언어를 입력받아 이를 변형처리해서 출력하는 변형언어표현생성부를 나타낸다.
상기 언어표현데이터메이스(1)에 격납되는 속성정보는 언어처리 목적에 따라 적절하게 갱신(변경)되게 된다. 예컨대 일본어처리의 경우, 그 문장을 「경어체」로 표현할 것인가 혹은 「평상체」로 표현할 것인가 등을 나타내는 정보가 상기 표현형식의 속성정보로서 오퍼레이터의 지시하에 언어표현데이터베이스(1)에 등록되게 된다.
제2도는 상기와 같은 언어생성장치의 구체적인 구성예를 나타낸 도면으로, 본 장치는 번역처리장치(TR)와 접속되어 있다. 이 번역처러장치(TR)는 본 실시예에서는 구체적으로 도시되어 있지 않은 바, 그동작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영문을 일문으로 번역처리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먼저 이 입력영문 데이터가 영문구조데이터 및 각종 영어표현데이터를 추출하는 도시되지 않은 영어해석부에 의해 해석되게 된다. 상기영어해석부에 의해 추출된 영어표현에이터는 언어표현입력데이터메모리(17)를 매개해서 언어표현데이터베이스(1)에 축적되고, 영문구조데이터는 도시되지 않은 문장구조전송장치에 공급되게 된다. 이 문장구조전송장치에서 상기 영문구조데이터에 대응하는 일문구조데이터가 생성되어 도시되지 않은 일본어합성회로에 공급되게 되게 된다. 이 일본어합성회로는 기본형으로 된 일문데이터를 얻기 위해 상기 일문구조데이터를 기초로 도시되지 않은 일본어합성사전의 내용을 독출하게 된다. 이렇게 얻어진 기본형으로 된 일문데이터가 언어데이터베이스(11)에 축적되게 되는 것이다.
즉, 영문을 일문으로 번역하여 처리하는 것은 영문가운데 각 원어(구)에 대응되는 번역어(구)를 구한 다음 소정의 문법 규칙에 따라 문장을 구성하여 출력함으로써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제2도에서 참조부호 3은 변형언어표현생성부(2)에 언어정보를 입력시키기 위한 언어정보의 입력부를 나타내고, 4는 변형언어표현생성부(2)에서 생성된 표현형식의 언어를 출력하는 언어정보의 출력부를 나타낸다.
그리고, 참조부호 11은 상기 번역처리장치(TR)에 의해 번역된 기계번역이 끝난 입력언어·번역어 대응데이터가 축적되어 있는 언어데이터베이스를 나타내고, 12는 입력장치(13:예컨대 키보드)로부터 입력되는문자의 전기신호를 문자데이터로 변환시키거나 선택장치(14:예컨대 여러종류의 문자를 선택후보로 해서 그중에서 오퍼레이터가 조작하는 장치)에 의해 선택되는 소망하는 문자의 전기신호를 문자데이터로 변환시키기 위해 이들 입력을 제어하는 입력제어부를 나타낸다.
또, 참조부호 17은 상기 번역처리장치(TR)의 기계번역의 처리가 긍정으로 얻어진 각각의 문장·단어에 관한 속성정보(「과거형」,「부정형」 등)의 데이터가 축적되어 있는 언어표현입력데이터메모리를 나타내고,15는 예컨대 이제까지 「평상체」였던 언어표현데이터베이스(1)의 속성정보를 「경어체」로 변경시키기 위해 언어표현입력부(16)로부터 입럭된 지시데이터나 처리대상문장마다 다른 번역처러데이터에 관해 상기 언어표현입력데이터메모리(17)로부터 입력된 언어표현(속성)정보(「과거형」,「부정형」 등)를 통합해서 변형언어표현생성부(2)에 입력시킴으로써 언어표현데이터베이스{1)에 축적되도록 그들의 언어정보의 입력을 제어하는 언어표현입력제어부(15)를 나타낸다.
또한, 참조부호 18은 1문장을 구성하는 단어마다 언어표현참조부(19)에 정보를 입력시켜 변형제어부(20)를 통해 출력된 변형후의 문자데이터를 연결해서 문장을 완결하도록 언어정보를 제어하는 생성제어부를 나타내고,19는 상기 생성제어부(18)로부터 지시된 단어에 대해 언어표현데이터베이스(1)상의 데이터를 참조해서 해당하는 언어표현데이터(예컨대 「과거형」,「부정형」,「경어체」)와 변형생성에 이용되는 문법규칙(형태소의 순서, 활용변화)을 추출하는 언어표현참조부를 나타내며,20은 상기 언어표현참조부(19)에 의해 추출된 언어표현데이터와 문법규칙을 기초로 변화형을 생성하도록 언어정보를 제어하는 변형제어부를 나타내고, 21은 상기 변헝언어표현생성부(2)에 의해 생성된 문자데이터를 출력장치[디스플레이](22), 데이터화일장치(23)]에 따라 이것들로의 전기신호로 변환시키는 등의 출력신호의 제어를 행하는 출력제어부를 나타낸다.
여기서, 상기 언어표현데이터베이스(1)와 언어데이터베이스(11) 및 언어표현입력데이터메모리(17)의 각각은 상기 번역처리장치(TR)에 의해 얻어진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는 바, 상기 번역처리장치(TR)에 의해 번역된 데이터를 받아들이도록 되어 있다.
상기 입력부(3)는 언어데이터베이스(11)로부터 독출되는 언어정보를 입력시키거나 그 입력제어부(12)에 접속된 키보드 등과 같은 정보입력장치(13)를 매개로 공급된 언어정보, 혹은 선댁장치(14)를 매개로 선택지시된 언어정보를 입력시키는 것이다. 이 입력부(3)를 매개로 입력되는 언어정보는, 일본어의 동사인 경우에는 종지형, 영어의 동사인 경우에는 부정형등과 같이 그 기본형으로서 공급되게 된다.
번역처리장치(TR)의 경우에는 예컨대 영문으로서 공급된 언어정보를 일문으로 번역해서 각 원어(구)에 각각 대응되는 번역어(구)를 문장단위로 순차입력시키도록 상기 입력부(3)가 구성되게 원다. 이 경우에 있어서도 상기 번역어(구)는 각각 그 기본형으로서 입력되게 된다. 또한 동시에 입력부(3)는 입력된 언어에 관한 예컨대 「과거형」,「부정형」 등과 같은 속성정보도 검출되게 되는 바, 이 속성정보를 상기 입력언어정보와 함께 변형언어표현생성부(2)에 공급되게 된다.
한편, 각종 언어표현에 관한 속성정보가 격납되는 언어표현데이터베이스(1)에는 상기 언어표현입력제어부(15)를 매개로 예컨대 키보드등으로 이루어진 언어표현입력부(16)로부터 또는 상기 언어표현입력데이터메모리(17)로부터 상술한 언어표현에 관한 속성정보가 적절하게 입력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소망하는 언어처리에 필요한 속성정보가 그 언어표현데이터베이스(1)에 격납되도록 되어 있다. 더욱이, 이 언어표현데이터베이스(1)에 격납되는 속성정보는 언어처러를 목적으로 하는 언어표현의 변경에 따라, 예컨대 「경어체」표현대신 「평상체」 표현을 이용하는 등의 표현형식의 변경에 따라 적절하게 변경되게 된다.
또, 변형언어표현생성부(2)는 상기 생성제어부(18)를 주체로 해서 구성되어 상기 언어표현참조부(19)를매개로 상기 언어표현데이터베이스(1)에 격납된 언어표현의 속성정보를 참조·추출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변헝제어부(20)에서 상기 속성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입력부(3)를 통해 입력된 기본형의 언어표현에 대한 변형언어표현을 구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변형언어표현을 생성하는 것운 후술된 바와 같이 그 언어의 입력형식이 「과거형」인지 또는 「현재형」인지를 나타내는 정보를 비롯하여 「부정형」을 지시하고 있는지 또는 「경어체」 표현인지를 나타내는 정보를 참조해서 상기 입력언어표현(기본형)을 그 지정된 표현형식의 언어로 변혁시키는 처리에 의해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같이 변형언어표현생성부(2)를 매개로 구해진 표현형식의 언어가 출력부(4)로 공급되어 그 내부의 출력제어부(21)를 매개로 디스플레이(22)에 표시되거나 또는 소정의 데이터화일장치(23)로 출력되어 격납되게 되는 것이다.
다음에는 상술한 언어생성처리에 대해 구체적인 예를 참조해서 설명하기로 한다.(본 명세서에서는 편의상 원출원서의 일본어를 한국어로 번역해서 설명한다).
제3도(a)는 그 일례를 나타낸 것으로, 입력문「I didn't take him.」
에대해
「나는 그를 잡지 않았습니다.」
라는 번역문을 구한 예가 제3도(a)에 도시되어 있다. 이 문장에서는 상기 번역처리장치(TR)의 번역처리의 한 과정의 해석단계에서 술어인 동사에 대해 「과거형」의 정보와 「부정형」의 정보가 얻어지게 된다. 이들 2개의 언어속성정보는 언어표현입력데이터로서 언어표현입력데이터메모리(17)에 축적되게 되고, 그에 따라상기 언어표현데이터베이스(1)가 갱신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출력결과로부터 「잡지 않았습니다」인 번역어를 부적절하다고 오퍼레이터가 판단하게 되면 그에 대한 후속처리(수정)가 이루어지게 된다. 이 후속처리는 먼저 부적절한 번역어 「잡지 않았습니다」를 커서등으로 지시하고, 그 번역어의 변경을 기능키등으로 지정한다 그러면, 상기 번역어 「잡지 않았습니다」와이 번역어를 구한 원어 「take」가 제3도(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묘시되게 된다.
이어, 원어 「take」에 대한 번역어의 후보가 제3도(c)에 나타낸 바와같이 디스플레이되게 된다. 이 경우, 그 번역어후보는 각각 그 기본형(동사의 종지형)으로서 표시되게 된다.
여기서, 오퍼레이터는 디스플레이된 번역어후보중에서 수정하고 싶은 번역어를 상기 커서의 이동이나 식별번호의 키보드입력에 의해, 예컨대 제3도(d)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행하다」를 선택한다. 이 번역어는 상기 입력부(3)를 매개해서 기본형 그대로 상기 변형언어표현생성부(2)에 공급되게 된다. 그러면, 변형언어표현생성부(2)에서는 이와같은 기본형으로 표현된 언어정보를 구해 상술한 언어표현데이터베이스(1)에 격납된 언어표현의 속성정보에 따라 그 목적으로 하는 표현형식의 언어로서 「연행하지 않았습니다」를 변형생성하게 되는네, 이것을 제3도(e)에 나타낸 바와같이 상기 번역문을 수정한 결과로서 표시하게 되는 것이다· 이 언어표현형식의 변헝처리에 대해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이 제3도에 나타낸 예에서는 언어표현에대한 속성정보가 예컨대 제4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주어지게 되는 바, 번역어에 의존하지 않은 언어표현데이터베이스(1)로부터 그 언어표현데이터(공통)가 「경어체」인 것이 지정되고, 또 영문을 해석한 결과로서 갱신된 언어표현데이터(입력)로부터 그 언어표현이 「과거헝」이며 「부정형」인 것이 지정되게 된다.
이와같은 언어표현의 속성정보는 입력언어정보에 따라 설정되게 된다. 또한, 그 밖의 속성정보로서는 각종 언어표현변형생성루울과 말의 활용변화정보등이 주어진다. 이와같은 언어표현정보에 따라 기본형으로 표현된 언어는 다음과 같이 변형처리되게 되는 바, 변형언어표현생성부(2)에서는 제5도에 나타낸 바와같이기본형으로 표현된 언어를 입력하고(스텝 a), 그 언어에 관한 언어표현데이터를 상기 언어표현데이터베이스(1)를 이용해서 참조함으로써 언어표현변형작업에 필요한 요소를 골라낸다(스텝 b). 그리고, 변형생성루울을 참조해서 상기 골라낸 요소에 따른 변형처리의 순서를 결정한다(스텝 c). 이 순서에 따라, 상기 활용변화표를 참조해서, 예컨대 「경어체」나 「과거형」,「부정헝」 등과 같은 요소에 따라 상기 입력언어(기본형)를 활용변형시킨다(스텝 d). 그리고 활용변형된 각 언어요소를 합성해서 활용변형된 언어표현을 구한 다음(스탭 c), 이것을 출력시키게 되는 것이다 .
예컨대 상술한 번역어선댁에 의해 그 기본형으로 표현된 언어 「연행하다」가 공급되게 되면, 상기 변형언어표현생성부(2)에서는 제6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경어체」,「과거형」,「부정형」으로 된 속성정보에 따라 또한 소정의 변형루울에 기초해서, 예컨대
「연행합니다.」←「경어체」
「연행지 않습니다.」←「부정형」
(「연행하지 않았사옵니다 」←「경어체」)
「연행하지 않았습니다.」←「과거헝」.
으로서 상기 기본형을 순차적으로 변형시킨다. 그 결과, 상기 기본형으로 표현된 언어가 문장내용에 따른표현헝식의 언어로 변형되게 된다. 물론, 이때 그 언어의 활용어미에 대한 변형처리등도 동시에 이루어지게된다.
더욱이, 이 변형처리의 알고리즘은 여러가지로 변형시킬 수가 있다. 이와같이 본 장치에 의하면, 언어정보데이터베이스에 각종 언어에 대한 여러종류의 표현형식을 모두 준비할 필요없이 입력된 기본형으로 표현된 언어로부터 목적으로 하는 표현형식의 언어를 쉽게 생성해서 출력시킬 수가 있다. 또한, 이 언어의 표현형식을 변형시키는데 이용되는 속성정보는 「경어체」 등과 같은 언어처리대상 전체에 걸쳐 사용할 수도 있는것이 많으므로, 언어표현데이터베이스(1)를 간략하게 구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 언어표현데이터베이스(1)에 축적된 정보를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는 등 실용상 많은 효과가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번역처리를 위해 입력되는 원어자체를 변형언어표현생성부(2)로 입력시키고 이것을 기초로 해서 번역어로 된 변형언어표현을 구해도 종다. 또, 입력원어자체를, 예컨대 「take」로부터 「like」로 수정할 수 있도륵 된 언어처리시이킨스를 설치하여 이 입력문자가 수정된 언어의 번역어를 기본형으로 구해 이것을 상술한 바와같이 변형처리해도 좋다.
또한, 입력언어의 단위를 단어만이 아니라 숙어라든지 복합어등으로 해도 좋고, 하나의 기본형입력에 대해 복수의 변형표현된 언어를 동시에 구하도록 해도 좋다. 또 여기서는 종지형이라든지 부정형을 언어표현의 기본형으로 취급했지만 어떤 변형처리를 실시한 언어표현을 그 기본형으로 취급해도 좋다. 그 밖에도 본 발명은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가지로 변형해서 실시할 수가 있다.
(발명의 효과)
이상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언어표현데이터베이스에 언어처리를 목적으로 하는 언어표현헝식의 속성정보를 축적시켜 놓아 간단하게 언어의 기본형이 공급될 수 있도륵 함으로써 상기 언어표현데이터베이스에 축적된 속성정보에 따라 소망하는 언어표현형식의 언어가 변형 생성되어 출력되게 된다. 따라서 출력결과를 수정할 매 종래와 같이 출력결과 그 자체의 문자열을 삭제, 삽입등에 의해 변경시키지 않고서도 출력신호의 기본형을 입력시키는 것만으로 그 변형속성정보에 따라 목적으로 하는 표현형식의 언어가 변형생성되게 되므로, 간단하게 소망하는 표현형식의 언어로 이루어진 문장을 얻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언어표현데이터베이스에 축적되는 속성정보를 수정하는 것만으로 그 표현형식의 수정을 통일적으로 행할 수가 있기 매문에 종래와 같이 표현형식의 수정에 큰 노력을 기울일 필요가 없고, 또 그 수정작업의 번거로움을 대폭 경감시킬 수 있는 등 실용상 많은 효과를 얻을 수가 있다.

Claims (3)

  1. 데이터베이스에 축적되어 있는 언어정보에 따라 입력된 언어표현을 생성하도록 원 언어생성장치에 있어서, 언어표현에 대한 속성정보가 축적되는 언어표현데이터베이스(1)와, 이 언어표현데이터베이스(1)에 축적되는 상기 언어표현의 속성정보를 갱신시키도록 된 수단(15,16,17), 언어표현의 기본형을 입력시키도록된 입력부(3) 및, 상기 언어표현데이터베이스(1)에 축적되어 있는 속성정보에 따라 상기 기본형으로 표현된 언어로부터 변형된 표현의 언어를 생성하도록 된 변형언어표현생성부(2)를 구비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하는 언어생성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언어표현데이터베이스(1)에 축적되는 언어표현의 속성정보가 언어표현되는 문장전체에 대해 설정되는 공통언어표현데이터와, 입력신호에 따라 부분적으로 설정되는 입력언어표현데이터, 이를 언어표현데이터의 적용을 특별히 지정하는 언어표현변형생성루울데이터 및, 언어표현의 활용변화루울데이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어생성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언어표현의 기본형이 동사의 종지형 또는 부정형으로서 공급되도록 원 것을 특징으로하는언어생성장치.
KR1019860002594A 1985-05-07 1986-04-04 언어생성장치 KR90000667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0096322A JP2848593B2 (ja) 1985-05-07 1985-05-07 翻訳処理方法
JP60-96322 1985-05-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9353A KR860009353A (ko) 1986-12-22
KR900006671B1 true KR900006671B1 (ko) 1990-09-17

Family

ID=141617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60002594A KR900006671B1 (ko) 1985-05-07 1986-04-04 언어생성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084817A (ko)
EP (1) EP0201324B1 (ko)
JP (1) JP2848593B2 (ko)
KR (1) KR900006671B1 (ko)
DE (1) DE3681488D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194084A (en) * 1986-06-27 1988-02-24 Sharp Kk Translation system
JPH02140868A (ja) * 1988-11-22 1990-05-30 Toshiba Corp 機械翻訳システム
US5369574A (en) * 1990-08-01 1994-11-29 Canon Kabushiki Kaisha Sentence generating system
JP3176059B2 (ja) * 1990-11-15 2001-06-11 キヤノン株式会社 翻訳装置
JP3025099B2 (ja) * 1992-04-30 2000-03-27 オリンパス光学工業株式会社 電子情報処理装置
US5365433A (en) * 1992-07-24 1994-11-15 Steinberg Geoffrey D System for automatically programming a functional database
US5384700A (en) * 1992-10-29 1995-01-2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storing multiple, modifiable Yomi and Kanji strings in a structured document
US5689723A (en) * 1993-02-03 1997-11-1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 Method for allowing single-byte character set and double-byte character set fonts in a double-byte character set code page
JPH0793335A (ja) * 1993-06-07 1995-04-07 Internatl Business Mach Corp <Ibm> テキストの言語機能を提供する方法
US5742838A (en) * 1993-10-13 1998-04-2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 Method for conversion mode selection in hangeul to hanja character conversion
US5726898A (en) 1994-09-01 1998-03-10 American Greetings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storing and selectively retrieving and delivering product data based on embedded expert judgements
US5550746A (en) 1994-12-05 1996-08-27 American Greetings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storing and selectively retrieving product data by correlating customer selection criteria with optimum product designs based on embedded expert judgments
US5768142A (en) 1995-05-31 1998-06-16 American Greetings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storing and selectively retrieving product data based on embedded expert suitability ratings
US5875110A (en) 1995-06-07 1999-02-23 American Greetings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vending products
JP4473702B2 (ja) * 2004-11-02 2010-06-02 株式会社東芝 機械翻訳システム、機械翻訳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7840589B1 (en) * 2005-05-09 2010-11-23 Surfwax, Inc. Systems and methods for using lexically-related query elements within a dynamic object for semantic search refinement and navigation
US20080065370A1 (en) * 2006-09-11 2008-03-13 Takashi Kimoto Support apparatus for object-oriented analysis and design
US9116885B2 (en) * 2012-01-16 2015-08-25 Google Inc. Techniques for a gender weighted pinyin input method editor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06212A (en) * 1971-08-31 1987-11-10 Toma Peter P Method using a programmed digital computer system for translation between natural languages
JPS5583961A (en) * 1978-12-19 1980-06-24 Sharp Corp Computer with electronic dictionary
JPS5953590B2 (ja) * 1979-09-14 1984-12-26 シャープ株式会社 翻訳装置
US4679951A (en) * 1979-11-06 1987-07-14 Cornell Research Foundation, Inc. Electronic keyboard system and method for reproducing selected symbolic language characters
JPS5731083A (en) * 1980-07-31 1982-02-19 Sharp Corp Electronic interpreter
JPS5775375A (en) * 1980-10-28 1982-05-11 Sharp Corp Electronic interpreter
JPS5840684A (ja) * 1981-09-04 1983-03-09 Hitachi Ltd 自然言語間の自動翻訳方式
JPS58175074A (ja) * 1982-04-07 1983-10-14 Toshiba Corp 構文分析方式
JPS58192173A (ja) * 1982-05-07 1983-11-09 Hitachi Ltd 機械翻訳装置
JPS58217081A (ja) 1982-06-11 1983-12-16 Fujitsu Ltd 日英機械翻訳処理方式
JPS59146381A (ja) * 1983-02-10 1984-08-22 Hitachi Ltd 言語処理方式
JPS6084667A (ja) * 1983-10-17 1985-05-14 Mitsubishi Electric Corp 文章組立装置
JPS6140673A (ja) * 1984-07-31 1986-02-26 Hitachi Ltd 外国語作文用翻訳方法、および翻訳機
JPS6180359A (ja) * 1984-09-26 1986-04-23 Sharp Corp 翻訳装置
JPH0664585B2 (ja) * 1984-12-25 1994-08-22 株式会社東芝 翻訳編集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9353A (ko) 1986-12-22
US5084817A (en) 1992-01-28
EP0201324A3 (en) 1988-08-17
JP2848593B2 (ja) 1999-01-20
DE3681488D1 (de) 1991-10-24
JPS61255469A (ja) 1986-11-13
EP0201324A2 (en) 1986-11-12
EP0201324B1 (en) 1991-09-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00006671B1 (ko) 언어생성장치
US5214583A (en) Machine language translation system which produces consistent translated words
US5587902A (en) Translating system for processing text with markup signs
JP3189186B2 (ja) パターンに基づく翻訳装置
US5608623A (en) Special cooccurrence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US5075851A (en) System for translating a source language word with a prefix into a target language word with multiple forms
JPH0351022B2 (ko)
KR900008402B1 (ko) 기계번역장치
KR100204068B1 (ko) 개념기반 다국어 번역시스템의 문법 자동수정 방법
JPH07152767A (ja) 機械翻訳装置
KR100282546B1 (ko) 한-일 기계번역 시스템에서의 다어절 변환 단위의 변환 방법
JP2938897B2 (ja) 文書作成処理装置
JPH07141382A (ja) 外国語文書作成支援装置
JPH0350668A (ja) 文字処理装置
JPH0157829B2 (ko)
JPH0635955A (ja) 機械翻訳装置
JPH04313158A (ja) 機械翻訳装置
JPS62271054A (ja) 翻訳装置における形態素解析結果修正方式
JPH04306766A (ja) 機械翻訳装置
JPH0778166A (ja) 翻訳方法及び機械翻訳装置
JPH05120332A (ja) 機械翻訳装置
JPH0444981B2 (ko)
JPH05120329A (ja) 機械翻訳装置
JP2004157688A (ja) 翻訳装置、翻訳方法及び翻訳プログラム
JPH0258162A (ja) 機械翻訳装置および機械翻訳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831

Year of fee payment: 16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