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6636B1 - 자기 저항 효과형 자기 독취 장치 - Google Patents

자기 저항 효과형 자기 독취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6636B1
KR900006636B1 KR1019860005381A KR860005381A KR900006636B1 KR 900006636 B1 KR900006636 B1 KR 900006636B1 KR 1019860005381 A KR1019860005381 A KR 1019860005381A KR 860005381 A KR860005381 A KR 860005381A KR 900006636 B1 KR900006636 B1 KR 9000066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ic
magnetoresistive
ferrite
ferromagnetic metal
metal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600053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01546A (ko
Inventor
마사히로 기따다
히데오 다나베
노보루 시미즈
히또시 나까무라
가즈히로 모마따
시게요시 가또
도오루 다께우라
데쯔오 고바야시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히다찌세이사꾸쇼
미다 가쓰시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60152213A external-priority patent/JPS6214318A/ja
Priority claimed from JP60247020A external-priority patent/JPS62107422A/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히다찌세이사꾸쇼, 미다 가쓰시게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히다찌세이사꾸쇼
Publication of KR8700015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15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66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66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5/00Recording by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Reproducing by magnetic mean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5/127Structure or manufacture of heads, e.g. inducti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25/00Nanomagnetism, e.g. magnetoimpedance, anisotropic magnetoresistance, giant magnetoresistance or tunneling magnetoresistanc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3/00Arrangements or instruments for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3/02Measuring direction or magnitude of magnetic fields or magnetic flux
    • G01R33/06Measuring direction or magnitude of magnetic fields or magnetic flux using galvano-magnetic devices
    • G01R33/09Magnetoresistive devices
    • G01R33/093Magnetoresistive devices using multilayer structures, e.g. giant magnetoresistance senso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5/00Recording by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Reproducing by magnetic mean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5/127Structure or manufacture of heads, e.g. inductive
    • G11B5/33Structure or manufacture of flux-sensitive heads, i.e. for reproduction only; Combination of such heads with means for recording or erasing only
    • G11B5/39Structure or manufacture of flux-sensitive heads, i.e. for reproduction only; Combination of such heads with means for recording or erasing only using magneto-resistive devices or effec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5/00Recording by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Reproducing by magnetic mean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5/127Structure or manufacture of heads, e.g. inductive
    • G11B5/33Structure or manufacture of flux-sensitive heads, i.e. for reproduction only; Combination of such heads with means for recording or erasing only
    • G11B5/39Structure or manufacture of flux-sensitive heads, i.e. for reproduction only; Combination of such heads with means for recording or erasing only using magneto-resistive devices or effects
    • G11B5/3903Structure or manufacture of flux-sensitive heads, i.e. for reproduction only; Combination of such heads with means for recording or erasing only using magneto-resistive devices or effects using magnetic thin film layers or their effects, the films being part of integrated struc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ano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gnetic Heads (AREA)
  • Thin Magnetic Films (AREA)
  • Hall/Mr Elemen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자기 저항 효과형 자기 독취 장치
제1도는 종래의 자기 저항 효과형 자기 독취 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제2도는 본 발명의 1실시예에 있어서 자기 저항 효과형 자기 독취 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제3도 a는 종래의 자기 저항 효과형 자기 독취 장치에 있어서의 재생 파형도.
제3도 b는 본 발명의 1실시예에 있어서 자기 저항 효과형 자기 독취 장치에 있어서의 재생 파형도
제4도는 본 발명의 1실시예에 있어서 자기 저항 효과형 자기 독취 장치의 출력 및 재생 파형의 1/2값 폭에 미치는 페라이트에 밀착한 강자성 금속막의 두께의 영향을 도시한 그래프
본 발명은 자기 독취 장치(magnetic sensor)에 관하여, 특히 자기 디스크, 자기 테이프 장치등의 자기기억장치에 가장 적합한 자기 저항 소자를 사용한 재생용 자기 헤드등의 자기 저항 효과형 자기 독취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자기 저항 효과형 자기 독취 장치는 미국 특허 제3,940,797호 명세서에 기재된 바와같이, 자기 저항 효과막(magnetoresistive film)을 SiO2또는 Al2O3등의 절연막을 거쳐서 고투자율 페라이트(Ni-Zn 또는 Mn-Zn 페라이트) 위에 형성하고 있었다. 자기 저항 효과막에는 105∼106A/㎠ 이상의 높은 전류가 통전되므로, 발열량이 매우 많다. 고투자율 페라이트는 연전도율이 매우 낮고, 발열에 의해 소자 온도는 상승하여 특성열화를 초래하지만, 그 발열에 의한 열을 신속하게 없에서 소자 온도를 저온으로 유지하는 점에대해서는 배려되지 않았다.
또, 상기의 페라이트는 자기 실드에 사용되고 있지만, 벌크(bullky) 상의 페라이트를 사용하고 있으며, 포화자속밀도가 최고 0.5T이며, 10MHz에있어서 투자율도 최고 200∼300정도로써, 자기기록매체로부터의 자속이 페라이트 전체에 낮은 밀도로 분산한다. 그러므로, 자기 갭(gap) 근방에서의 자속밀도가 적으며, 재생된 자기 저항 효과막으로부터의 파형은 폭이 넓지만, 파형을 급격(sharp)하게 하는 것에 대해서는 배려되지 않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자기 저항 효과형 소자부의 온도 상승을 저감시킨 고출력이며, 또한 수명이 긴 자기저항 효과형 재생 헤드등의 자기 독취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재생파형이 급격한 페라이트 실드형 자기 저항 효과형 헤드등의 자기 독취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자기 저항 효과형 자기 독취 장치는, 자기 저항 효과막을 가진 자기 저항 효과 소자가 고투자율 페라이트로 되는 2개의 자기 실드에 절연층을 거쳐서 사이에 끼워지고, 또한 이 페라이트로 되는 자기 실드의 적어도 1개와 상기 절연층 사이에 상기 페라이트에 밀착하여 강자성 금속막을 형성하여서 되는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자기 저항 효과형 자기 독취 장치는, 고투자율 페라이트위에, 적어도 이 페라이트 정도의 투자율 및 포화자속밀도를 가진 강자성 금속막을 형성하는 것에 의해, 자기 실드 특성을 저하시키지 않고, 자기 저항 효과막에서 발생하는 열을 신속히 방열시켜서 자기 저항 효과막의 온도 상승에 의한 출력의 저하, 소자의 수명 저하를 방지하고 있다. 이것은 강자성 금속막이 전부 고투자율 페라이트보다도 매우 높은열전도율을 갖는 것에 의한다. 이 경우, 강자성 금속막의 두께를 0.1∼3μm로 하는 것에 의해, 특히 양호한 열방산 작용이 얻어져 마모나 박리에 의한 저하도 적다. 또, 상기 강자성 금속막의 투자율 및 포화자속밀도가 상기 페라이트보다 높은 경우에는, 자기 저항 효과막에 자속이 침입할 때 실드쪽의 자속밀도가 높아져서 출력파형을 급격하게 하여 출력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이 효과를 이용하는 경우, 강자성 금속막의 두께는 0.2∼3μm로 하는 것이 좋으며, 특히 0.8∼3μm에 있어서 보다 양호한 결과가 얻어진다.
상기 강자성 금속막은, 예를들면 Ni-19wt% Fe 합금(소위 퍼멀로이(permalloy))과 같은 Ni-Fe 합금, Fe-Si계 합금, Co-Ni계 합금, Fe-Si-Al계 합금(소위, 센다스트(sendust)), 예를들면 Co-Mo-Zr계비정질 합금과 같은 Co, Fe, Ni을 주성분으로 하고, 이것에 Si, Ge, B, Ti, Zr, Mo, Nb, W, Ta와 같은 비정질화 원소를 가한 고투자율 비정질 합금등, 고투자율 페라이트보다 높은 투자율 및 포화자속밀도를 가진, 금속재료라면 어떤 것이라도 좋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하여 실시예와 함께 설명한다.
우선, 종래의 페라이트 실드형 자기 저항 효과형 헤드의 단면구조를 제1도에 도시한다. 제1도에 있어서, (1), (2)는 니켈-아연(Ni-Zn) 페라이트등의 고투자율 페라이트, (3)은 Al2O3, SiO2등의 절연층, (4)는 유리 또는 유기물의 절연층, (5)는 자기 저항 효과막, (6)은 자기 바이어스용 도전막으로 전류 단자용 도전막을 겸하고 있다.
본 발명의 자기 저항 효과형 자기 독취 장치는, 예를들면 상기 제1도에 도시한 자기 저항 효과형 헤드에있어서, 페라이트(1)과 절연층(3)의 사이에 또는 페라이트(2)와 절연층(4)의 사이에 각 페라이트에 밀착하여 강자성 금속막을 형성한 것이다.
[실시예 1]
제2도는,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자기 저항 효과형 자기 독취 장치의 단면도이고, 페라이트/금속 복합 실드형 자기 저항 효과형 헤드를 나타내고 있다. 제2도에 있어서, (7)과 (8)은 Ni-Zn 페라이트와 같은 고투자율 페라이트, (9)는 결정질 또는 비정질의 강자성 금속막, (10)은 Al2O3등의 절연층, (11)은 자기 저항 효과막, (12)는 Mo, Ti, Au 등의 도체로 되는 전류 단자를 겸한 자기 바이어스용 도전막, (13)은 유리 또는 유기 절연물로 되는 절연층, (14)는 상기(9)와 같은 강자성 금속막이다. 상기 고투자율 페라이트(7), (8)은 실드 효과를 가지며, 본 실시예에서는 두께 2mm의 Ni-Zn 페라이트를 사용하였다. 강자성 금속막(9), (14)에는 두께 0.1∼3μm의 Ni-19wt% Fe 합금(퍼멀로이)을 사용하였다. 자기 저항 효과막(11)에는Ni-19wt% Fe 합금을 사용하였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상기 자기 저항 효과형 헤드는 고투자율 페라이트(7) 위에 스퍼터, 진공증착과 같은 공지의 박막 형성 기술로 상기 각층, 막을 형성하고, 또한 접착제에 의해 고투자율 페라이트(8)을 그 적층구조의 위에 피착하였다.
자기 저항 효과형 소자에는 통상 5×105∼5×106A/㎠의 통전을 행하지만, 이때 발생한 열의 대부분 외주위의 고체 부분으로의 열전도에 의해 방산된다. 만약, 제2도의 (9), (14)에 표시한 금속 자성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열전도율이 낮은 산화물 부분만을 전도 방산하므로, 자기 저항 효과막 및 자기 바이어스용 금속막 부분에서의 온도 상승이 매우 커서 자기 저항소자의 열적인 저하가 일어난다. 예를들면, 소자의온도는 5×105A/㎠의 통전에서는 약 75℃, 5×105A/㎠의 통전에서는 약 150℃로 된다. 물론, 이 온도상승의 정도는 소자의 형상, 장소에 따라서 국부적으로 변동이 있지만, 평균적으로는 상기의 값과 큰 차가없다. 이것에 대해서, 본 발명과 같이 페라이트 부분의 내면상에 강자성 금속막을 형성하면, 이 부분에서의 열의 확산이 매우 양호하게 되어, 소자의 온도 상승이 효과적으로 억제된다. 예를들면, 강자성 금슥막으로두께 0.5μm의 Ni-19wt% Fe 막을 사용하였을 경우, 소자의 온도는 5×105A/㎠에서 약 25℃, 5×106A/㎠에서도 약 80℃이다. 자기 저향 효과막의 출력은 온도 상승과 함께 직선적으로 저하하기 때문에, 온도상승을 억제하는 것에 의한 출력의 증대는 높은 전류밀도 동작의 경우 2∼3배에 달한다. 또, 소자의 통전에 기인하는 전자동에 의한 소자의 파괴, 즉 소자의 수명도 열 활성화에 의해 온도에 대해서 지수함수적으로 촉진이 되므로 온도 상승을 억제하는 것에 의해 소자 수명은 5∼10배로 된다.
강자성 금속막(9), (14)는 본 실시예에서 사용한 Ni-Fe 합금과 같은 결정질 합금 이외에 강자성 비정질합금도 사용된다. 비정질 금속은 결정질 금속보다도 일반적으로 경도가 높으므로 자기기록매체 대향면에 있어서의 헤드의 마모량이 적다고 하는 이점을 갖는다.
열연의 방산을 위하여 사용하는 제2도에 도시한 (9), (14)의 강자성 금속막은 사용 전류 밀도가 비교적 작은 경우에는, (9), (14)의 어느 한쪽만이라도 좋다. 또, 강자성 금속막(9), (14)는 0.1μm 정도보다 두꺼운 경우에 현저하게 열방산의 효과가 나온다. 또, 강자성 금속막을 열방산의 면에서 보면 두꺼울수록 좋지만 헤드의 자기 매체와의 슬라이드나, 마모, 박막의 내부응력에 의한, 박리등의 점, 나아가서는 다음에 기술하는 출력의 저하등을 고려하면 2∼3μm까지가 적당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자기 저항 효과막에 자기 바이어스를 인가하는 방식이 어떠한 방식의 것이라도 적용할 수가 있는 특징이 있다.
이상, 소자의 온도 상승의 억제를 목적으로 하는 경우에 대해서 기술하였지만 소자 온도 상승의 억게와 함께 출력파형을 급격하게 하여 출력향상을 도모하는 경우에는, 강자성 금슥막(9), (14)에는 포화자속밀도 Bs 및 투자율 μ가 고투자율 페라이트보다 높은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예를들면 퍼멀로이 Bs는 1T, 비정질 자성체는 0.7∼0.9T, 센다스트는 1∼1.3T이며, 모두가 페라이트의 값 0.5T의 1.5∼2 5배이다 또, 주파수 10MHz에 있어서의 투자율은 페라이트가 200∼300인 것에 대하여, 예를들면 퍼멀로이는 2000 이다.
제3도 a는 종래의 자기 저항 효과형 헤드에 의한 재생파형(15)를 도시한 것이고, 제3도 b는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강자성 금속막(9), (14)에 두께 0.5μm의 Ni-19wt% Fe 합금(퍼멀로이)을 사용한 자기 저항효과형 헤드의 재생파형(16)을 도시한 것이다. 제3도 a와 제3도 b에서 명확한 바와같이, 본 발명의 구성이 자기 저항 효과형 헤드의 재생 파형에 미치는 효과는 매우 현저하다.
제4도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출력 파형의 급격화에 의한 출력 향상의 효과를 양적으로 표시하기 위해, 본 실시예의 자기 저항 효과형 헤드의 출력 V1과 종래의 자기 저항 효과형 헤드의 출력 V0의 비 V1/V0, 제3도 b에서 도시한 본 실시예의 헤드의 재생 파g형의 1/2값 폭 W1과 제3도 a에 도시한 종래의 헤드의재생 파형의 1/2값 폭 W0의 비, W1/W0, 강자성 금속막(9), (14)의 두께의 관계를 각각 곡선(17), (18)로 도시한 것이다. 출력 파형폭의 어느 것에도 강자성 금속막(9), (14)의 두께가 0.2∼0. 3μm에 달하면, 현저한 효과가 보이며, 그 두께가 0.8μm 이상으로 되면, 그 효과는 대략 일정하게 된다. 그러나, 이 두께가 2∼3μm를 초과하면 역으로 그 효과가 약간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낸다. 따라서, 소자의 온도 상승 억제뿐만 아니라, 재생 파형의 급격화도 연구하는 경우는 강자성 금속막의 두께를 0.2∼3μm로 하여야 할 것이다.
이상 기술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자기 저항 효과형 자기 독취 장치의 자기 저항 효과막의 발열을 신속하게 방산할 수 있으므로, 소자의 특성 저하 방지에 매우 효과가 있으며, 실질적으로 소자 특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재생 신호 파형이 급격하게 되며, 또한 출력을 향상할 수 있으므로, 고밀도 자기 기록용 헤드로써 종래보다 고주파에서의 재생이 가능하게 되며, 또한 신호의 전기적 처리도 용이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9)

  1. 자기 저항 효과막(l1)을 가진 자기 저항 효과 소자가 고투자율 페라이트로 되는 2개의 자기 실드(7, 8)의 절연층(10, 13)을 거쳐서 사이에 끼워져 있는 자기 저항 효과형 자기 독취 장치에 있어서, 상기 고투자율 페라이트로 되는 자기 실드의 적어도 1개와 상기 절연층의 사이에 상기 페라이트에 밀착하여 강자성 금속막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저항 효과형 자기 독취 장치.
  2. 특허청구의 범위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강자성 금속막의 투자율과 포화자속밀도는 상기 고투자율 페라이트와 같은 정도이던가, 또는 그것보다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저항 효과형 자기 독취 장치.
  3. 특허청구의 범위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강자성 금속막의 투자율과 포화자속밀도는 상기 고투자율 페라이트보다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저항 효과형 자기 독취 장치.
  4. 특허청구의 범위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강자성 금속막의 두께는 0.1∼3μ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저항 효과형 자기 독취 장치.
  5. 특허청구의 범위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강자성 금속막의 두께는 0.1∼3μ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저항 효과헝 자기 독취 장치.
  6. 특허청구의 범위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강자성 금속막의 두게는 0.2∼03μ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자기 저항 효과형 자기 독취 장치.
  7. 특허청구의 범위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강자성 금속막의 두께는 0.8∼3μ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저항 효과형 자기 독취 장치.
  8. 특허청구의 범위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강자성 금속막은 결정성 자성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저항 효과형 자기 독취 장치.
  9. 특허청구의 범위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강자성 금속막은 비정질 자성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저항 효과형 자기 독취 장치.
KR1019860005381A 1985-07-06 1986-07-03 자기 저항 효과형 자기 독취 장치 KR90000663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47020 1985-07-06
JP60152213A JPS6214318A (ja) 1985-07-12 1985-07-12 磁気読取装置
JP152213 1985-07-12
JP60247020A JPS62107422A (ja) 1985-11-06 1985-11-06 磁気読取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1546A KR870001546A (ko) 1987-03-14
KR900006636B1 true KR900006636B1 (ko) 1990-09-15

Family

ID=264811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60005381A KR900006636B1 (ko) 1985-07-06 1986-07-03 자기 저항 효과형 자기 독취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4783711A (ko)
KR (1) KR900006636B1 (ko)
DE (1) DE362224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8725467D0 (en) * 1987-10-30 1987-12-02 Honeywell Control Syst Making current sensor
US4914538A (en) * 1988-08-18 1990-04-0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agnetoresistive read transducer
US4918554A (en) * 1988-09-27 1990-04-1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Process for making a shielded magnetoresistive sensor
US5001589A (en) * 1989-05-31 1991-03-19 Seagate Technology, Inc. Tungsten and tantalum diffusion barriers for Metal-In-Gap magnetic heads
DD299403A7 (de) * 1989-08-23 1992-04-16 �������@���������@���Kk�� Magnetoresistiver sensor, bestehend aus magnetischen schichtstreifen
US5247413A (en) * 1990-05-16 1993-09-21 Sony Corporation Magnetoresistance effect type thin film magnetic head with noise reducing electrode
US5998040A (en) * 1990-12-10 1999-12-07 Hitachi, Ltd. Multilayer which shows magnetoresistive effect and magnetoresistive element using the same
EP0565102A2 (en) * 1992-04-10 1993-10-13 Hitachi Maxell, Ltd. Magnetic laminations and magnetic heads and magnetic recording/reproducing devices using a magnetic lamination
US5260653A (en) * 1992-06-03 1993-11-09 Eastman Kodak Company Thin film very high sensitivity magnetoresistive magnetometer having temperature compensation and simple domain stability
FI117224B (fi) * 1994-01-20 2006-07-31 Nec Tokin Corp Sähkömagneettinen häiriönpoistokappale, ja sitä soveltavat elektroninen laite ja hybridimikropiirielementti
EP0685746A3 (en) * 1994-05-30 1996-12-04 Sony Corp Magnetoresistive effect device having improved thermal resistance.
JP2001523348A (ja) * 1998-03-05 2001-11-20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磁気ひずみ応力センサー
US6381094B1 (en) 1999-07-23 2002-04-30 Hardayal Singh Gill Shield structure with a heat sink layer for dissipating heat from a read sensor
JP3946404B2 (ja) * 2000-03-14 2007-07-18 株式会社日立グローバルストレージテクノロジーズ 磁気抵抗効果型ヘッド及びそれを用いた磁気記録再生装置
JP5605550B2 (ja) * 2010-06-16 2014-10-15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リアクトル及び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40797A (en) * 1973-09-20 1976-02-2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hielded magnetoresistive magnetic transducer
US3908194A (en) * 1974-08-19 1975-09-23 Ibm Integrated magnetoresistive read, inductive write, batch fabricated magnetic head
US3975772A (en) * 1975-06-02 1976-08-1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Double shielded magnetorestive sensing element
US4103315A (en) * 1977-06-24 1978-07-2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ntiferromagnetic-ferromagnetic exchange bias films
NL7804377A (nl) * 1978-04-25 1979-10-29 Philips Nv Magnetoweerstandkop.
NL7901578A (nl) * 1979-02-28 1980-09-01 Philips Nv Magnetoweerstandkop.
NL7806568A (nl) * 1978-06-19 1979-12-21 Philips Nv Magnetoweerstand leeskop.
JPS6035728B2 (ja) * 1980-02-21 1985-08-16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薄膜磁気ヘッド
NL8102148A (nl) * 1981-05-01 1982-12-01 Philips Nv Magnetisch overdrachtselement alsmede magnetisch permeabel onderdeel voor een magnetisch overdrachtselement.
US4476454A (en) * 1983-06-30 1984-10-0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New magnetoresistive material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3622241A1 (de) 1987-01-15
US4783711A (en) 1988-11-08
KR870001546A (ko) 1987-03-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00006636B1 (ko) 자기 저항 효과형 자기 독취 장치
US3887945A (en) Head assembly for recording and reading, employing inductive and magnetoresistive elements
US5434826A (en) Multilayer hard bias films for longitudinal biasing in magnetoresistive transducer
US5168409A (en) Integrated magnetic head having a magnetic layer functioning as both a magnetic shield and a magnetic pole
US3921217A (en) Three-legged magnetic recording head using a magnetorestive element
KR0160751B1 (ko) 자성적층 구조체 및 그 제조방법
US3639699A (en) Magnetic transducer having a composite magnetic core structure
US4918554A (en) Process for making a shielded magnetoresistive sensor
JPS607606A (ja) 高保磁力記録媒体に情報を書込むための磁気ヘツド
KR100265986B1 (ko) 복합형 박막자기헤드 및 그 제조방법
KR100272782B1 (ko) 복합형 판독/기록 박막자기헤드 및 그 제조 방법
CA1042548A (en) Head assembly for recording and reading, employing inductive and magnetoresistive elements
US5792546A (en) Magneto-resistive head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US4641213A (en) Magnetic head
JPH0447890B2 (ko)
JP2718242B2 (ja) 磁気抵抗効果ヘッド
US6274256B1 (en) Thin film magnetic head
JPS6154012A (ja) 磁気抵抗効果ヘツド
JPS63266619A (ja) 薄膜磁気ヘツド
JPS60612A (ja) 磁気抵抗効果ヘツド
JP2871055B2 (ja) 薄膜磁気ヘッド及びその製造方法
JPH0319119A (ja) 浮動型磁気ヘッド
JPH05266437A (ja) 磁気抵抗効果型ヘッド
JPS60113313A (ja) 磁気抵抗効果ヘッド
JP2948182B2 (ja) 録再分離複合型磁気ヘッ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1224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