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6391B1 - 전자사진용 감광체 - Google Patents

전자사진용 감광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6391B1
KR900006391B1 KR1019870009308A KR870009308A KR900006391B1 KR 900006391 B1 KR900006391 B1 KR 900006391B1 KR 1019870009308 A KR1019870009308 A KR 1019870009308A KR 870009308 A KR870009308 A KR 870009308A KR 900006391 B1 KR900006391 B1 KR 9000063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photosensitive member
layer
electrophotographic photosensitive
charge trans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700093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04345A (ko
Inventor
야스유끼 야마다
히사도 이도오
쯔도무 니시자와
아끼히로 야마구찌
Original Assignee
미쯔이도오아쯔가가꾸 가부시기가이샤
사와무라 하루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쯔이도오아쯔가가꾸 가부시기가이샤, 사와무라 하루오 filed Critical 미쯔이도오아쯔가가꾸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8800043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43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63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63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CPHOTOSENSITIVE MATERIALS FOR PHOTOGRAPHIC PURPOSES; PHOTOGRAPHIC PROCESSES, e.g. CINE, X-RAY, COLOUR, STEREO-PHOTOGRAPHIC PROCESSES; AUXILIARY PROCESSES IN PHOTOGRAPHY
    • G03C1/00Photosensitive materials
    • G03C1/52Compositions containing diazo compounds as photosensitive substan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BORGANIC DYES OR CLOSELY-RELATED COMPOUNDS FOR PRODUCING DYES, e.g. PIGMENTS; MORDANTS; LAKES
    • C09B56/00Azo dyes containing other chromophoric systems
    • C09B56/16Methine- or polymethine-azo dy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5/00Recording members for original recording by exposure, e.g. to light, to heat, to electrons; Manufacture thereof; Selection of materials therefor
    • G03G5/02Charge-receiving layers
    • G03G5/04Photoconductive layers; Charge-generation layers or charge-transporting layers; Additives therefor; Binders therefor
    • G03G5/06Photoconductive layers; Charge-generation layers or charge-transporting layers; Additives therefor; Binder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photoconductive material being organic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5/00Recording members for original recording by exposure, e.g. to light, to heat, to electrons; Manufacture thereof; Selection of materials therefor
    • G03G5/02Charge-receiving layers
    • G03G5/04Photoconductive layers; Charge-generation layers or charge-transporting layers; Additives therefor; Binders therefor
    • G03G5/06Photoconductive layers; Charge-generation layers or charge-transporting layers; Additives therefor; Binder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photoconductive material being organic
    • G03G5/0664Dyes
    • G03G5/0675Azo dyes
    • G03G5/0679Disazo dyes
    • G03G5/0683Disazo dyes containing polymethine or anthraquinone groups
    • G03G5/0685Disazo dyes containing polymethine or anthraquinone groups containing hetero rings in the part of the molecule between the azo-group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Photoreceptors In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전자사진용 감광체
제1도는 디스아조 안료 No.1의 KBr법에 의한 적외선 흡수 스팩트럼을 도시한 도면.
제2도 및 제3도는 전자사진용 감광체의 구성예를 도시한 모식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도전성지지체 2 : 전하발생물질
3 : 전하수송물질 5 : 전하수송층
6 : 전하발생층
본 발명은, 전자사진용 감광제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도전성지지체상의 감광층에 전하발생물질로서 신규의 아조화합물을 함유시켜서 이루어진 전자사진용 감광체에 관한 것이다.
종래, 전자사진용 감광체의 감광재료로서 셀렌, 황화카드뮴, 산화 아연 등의 무기계 감광재료가 널리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이들의 감광재료를 사용한 감광체는, 감도, 광안정성, 내습성, 내구성 등의 전자사진용 감광체로서의 요구성능을 충분하게 만족시키는 것이 못되었다. 예를들면, 셀렌계 재료를 사용한 감광체는 뛰어난 감도를 가지나, 일 또는, 오염부착 등에 의해서 결점화하여 감광체의 특성이 열화하기 쉽다. 또, 진공증착에 의해서 제조하므도 값이 비싸고, 또 가요성이 없기 때문에 벨트형상으로 가공하는 것이 어렵다는 등의 많은 결점도 동시에 가지고 있다. 황화카드뮴계 재료를 사용한 감광체에서는, 내습성 및 내구성, 또 산화아연을 사용한 감광체에서는 내구성에 문제가 있었다.
이들 무기계 감광재료를 사용한 감광체의 결점을 극복하기 위해서, 유기계 감광재료를 사용한 감광체가 여러가지 검토되어 왔다.
예를들면, 일부 실용화된 유기계 감광재료로서 2,4,7-트리니트로-9-풀루오레논과 폴리-N-비닐카르바졸을 화합해서 사용한 것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것을 사용한 감광체는 감도가 낮고, 또 내구성에 있어서도 만족할 수 있는 것은 없었다.
최근, 상기와 같은 결점을 개량하기 위해서 개발된 감광체중에서, 전하발생기능과 전하수송 기능을 별개의 물질로 분담시킨 기능분리형 감광체가 주목되고 있다. 이 기능분리형 감광체에 있어서는, 각각의 기능을 가지는 물질을 넓은 범위의 것부터 선택하고, 화합할 수 있으므로, 고감도화, 고내구성의 감광체를 제작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기능분리형의 감광체에 사용하는 전하발생물질로서, 많은 물질이 제안되고 있다. 중에서도, 유기염료나 유기안료를 전하발생물질로서 사용한 감광체가 최근 특히 주목받고 있다. 예를들면, 스티릴 스틸벤 골격을 가지는 디스아조 안료를 사용한 감광체(일본국 특허공개 소화 53-133445호 공보), 카트바졸 골격을 가지는 니스아조 안료를 사용한 감광체(일본국 특허공개 소화 53-95033호 공보), 트리페닐아민 공격을 가진 트리스아조 안료를 사용한 감광체(일본국 특허공개 소화 53-132347호 공보), 디스티릴카르바졸 골격을 가진 디스아조 안료를 사용한 감광체(일본국 특허공개 소화 54-14967호 공보), 비스스틸벤 골격을 가진 디스아조 안료를 사용한 감광체(일본국 특허공개 소화 54-17733호 공보) 등이 보고되어 있다. 그러나, 이들의 전자사진용 감광체는 반드시 요구성능을 충분히 만족시키는 것이 못되고, 더욱 뛰어난 감광체의 개발이 요망되고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충분한 감도를 가지고, 또한 내구성이 양호한 전자사진용 감광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자사진용 감광체에 사용하는 신규의 유기 전하발생물질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검토한 결과, 일반식(I)
Figure kpo00001
(식중, A는 커플러 잔기를 나타냄)으로 표시되는 신규의 디스아조 화합물이, 기존의 디스아조 화합물에 비교해서, 고감도 및 고내구성 등의 뛰어난 특성을 가진 전자사진용 감광체를 제공하는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은, 도전성 지지체 위의 감광층에 일반식(I)
Figure kpo00002
(식중, A는 커플러 잔기를 나타냄)으로 표시되는 적어도 하나의 디스아조 화합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용 감광체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디스아조 화합물은, 상기 일반식(I )으로 표시되는 화합물로서, 다음식으로 표시되는
Figure kpo00003
골격을 가진 디스아조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그중에서도 스티릴기의 치환위치가 다음식의 2종류의 골격을 가진것 즉, 일반식(II) 및 (IIl)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이 특히 호적하다.
Figure kpo00004
(식중, A는 커플러 잔기를 나타냄)
Figure kpo00005
(식중, A는 커플러 잔기를 나타냄).
일반식(I)에 있어서, A는 커플러 잔기를 나타내나, 이 잔기로서는, 하기 1)-4)의 것을 열거할 수 있다.
l ) 일반식(Ⅳ)의 커플러 잔기.
Figure kpo00006
(식중, X는 탄화수소고리 또는 그 치환체, 헤테로고리 또는 그 치환체를, 또 Y는
Figure kpo00007
또는
Figure kpo00008
를 나타내고, 여기에서 R1은 탄화수소고리기 또는 그 치환체, 헤테로고리기 또는 그 치환체 또는 스티릴기 또는 그 치환체 R2는 수소, 알킬기 또는 그 치환체, 페닐기 또는 그 치환체, R3는 탄화수소고리기 또는 그 치환체,헤테로 고리기 또는 그 치환체 또는 스티릴기 또는 그 치환체 R4는 수소, 알킬기, 페닐기 또는 그 치환체를 나타내고, R3와 R4는 그들에 결합하는 탄소원자와 함께 고리를 형성하여도 좋다)
일반식(IV)의 X로서, 구체적으로는 수산기와 Y가 결합하고 있는 벤젠고리와 축합한 나프탈렌고리, 안트라센고리 등의 탄화수소고리, 또는 인돌고리, 카르바졸고리, 벤조카르바졸고리, 디벤조푸란고리 등의 헤테로고리를 예시할 수 있다.
또 X가 치환기를 가질 경우, 치환기로서 염소원자, 브롬원자 등의 할로겐원자 또는 수산기를 예시할 수있다.
R1또는 R3의 고리기로서는, 페닐기, 나프틸기, 안트릴기, 피레닐기 등의 탄화수소고리기, 또는 피리딜기, 티에닐기, 푸릴기, 인도릴기, 벤조푸라닐기, 카르바조릴기, 디벤조푸라닐기 등의 헤테로 고리기를 예시할 수 있으며, R3와 R4가 결합해서 형성하는 고리로서는 풀루오렌고리 등을 예시할 수 있다.
R1또는 R3가 치환기를 가진 고리기의 경우, 치환기로서는 메틸기, 에틸기, 프로필기, 부틸기 등의 알킬기, 메톡시기, 에폭시기, 프로폭시기, 부톡시기 등의 알콜시기, 염소원자, 브롬원자 등의 할로겐원자, 트리플루오로메틸기 등의할로메틸기, 디메틸아미노기, 디에틸아미노기 등의 디알킬아미노기, 니트로기, 시아노기, 카르복실기 또는 그 에스테트 등을 예시할 수 있다.
R2가 페닐기일 때에는, 그 치환기로서 염소원자, 브롬원자 등의 할로겐원자를 예시할 수 있다.
2) 일반식(V) 또는 (VI)의 커플러 잔기·
Figure kpo00009
Figure kpo00010
(양 식중, R5는 치환 또는 무치환의 탄화수소기를 나타냄.)
R5로서는, 구체적으로는 메틸기, 에틸기, 프로필기, 부틸기, 옥틸기 등의 알킬기, 또는 메톡시에틸기, 에톡시에틸기 등의 알콕시 알킬기 등을 예시할 수 있다.
3) 일반식(V1I)의 커플러 잔기.
Figure kpo00011
(식중, R5는 알킬기, 카르바모일기. 카르복실기 또는 그 에스테르키를 나타내고, R7은 탄화수소고리기 또는 그 치환체를 나타냄). ·
R7로서는, 구체적으로는 페닐기, 나프틸기 등의 탄화수소고리기를 예시할 수 있으며 이를 기(基)가 치환기를 가질 경우, 치환제로서, 메틸기, 에틸기,프로필기, 부틸기 등의 알킬기, 메톡시기, 에톡시기, 프로폭시기, 부톡시기 등의 알콕시기, 디메틸아미노기, 디에틸아이노기 등의 디알킬아미노기, 염소원자, 브롬원자등의 할로겐원자, 니트로기, 시아노기 등을 예시할 수 있다.
4) 일반식(Ⅷ) 또는 (IX)의 커플러 잔기·
Figure kpo00012
Figure kpo00013
(양 식중, Z는 탄화수소고리의 2가기 또는 그 치환체, 헤테로고리의 2가기 또는 그 치환체를 나타냄).
Z로서는, 구체적으로는, O-페닐렌기 등의 단환식방향족 탄화수소의 2가기, O-나프틸렌기, peri-나프틸렌기,1,2-안트라 퀴노닐렌기, 9,10-페난트릴렌기 등의 축합다환식 방향족 탄화수소의 2가기, 또는 3,4-피라졸디일기, 2,3-피리딘디일기. 4,5-피리미딘 디일기, 6,7-이미다졸디일기, 5,6-벤즈이미다졸디일기, 6,7-퀴놀린디일기 등의 헤테로고리의 2가기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이들의 고리기가 치환기를 가질 경우, 치환기로서, 예를들면, 메틸기, 에틸기, 프로필기, 부틸기 등의 알킬기, 메톡시기, 에톡시기, 프로폭시기, 부톡시기 등의 알콕시기, 디메틸아미노기, 디에틸아미노기 등의 디알킬 아미노기, 염소원자, 브롬원자 등의 할로겐원자, 니트로기, 시아노기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상기 예시한 커플러 잔기중에서, 광감도가 높고, 중간체 원료를 용이하게 입수할 수 있으며, 저코스트로 제조할 수 있는 것등 때문에, 상기 일반식(IV)으로 표시되는 커플러 잔기가 가장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사용하는 디스아조 화합물을, 더 구체적으로 예시하면 표-1, 표-2의 구조식으로 표시되는 것을 열거할 수 있다.
[표 1]
Figure kpo00014
Figure kpo00015
Figure kpo00016
Figure kpo00017
Figure kpo00018
Figure kpo00019
Figure kpo00020
Figure kpo00021
Figure kpo00022
Figure kpo00023
Figure kpo00024
Figure kpo00025
Figure kpo00026
Figure kpo00027
Figure kpo00028
Figure kpo00029
Figure kpo00030
Figure kpo00031
Figure kpo00032
Figure kpo00033
Figure kpo00034
Figure kpo00035
Figure kpo00036
Figure kpo00037
Figure kpo00038
Figure kpo00039
Figure kpo00040
Figure kpo00041
Figure kpo00042
Figure kpo00043
Figure kpo00044
Figure kpo00045
Figure kpo00046
Figure kpo00047
Figure kpo00048
Figure kpo00049
Figure kpo00050
Figure kpo00051
Figure kpo00052
Figure kpo00053
Figure kpo00054
Figure kpo00055
Figure kpo00056
Figure kpo00057
[표 2]
Figure kpo00058
Figure kpo00059
Figure kpo00060
Figure kpo00061
Figure kpo00062
Figure kpo00063
Figure kpo00064
Figure kpo00065
Figure kpo00066
Figure kpo00067
Figure kpo00068
Figure kpo00069
Figure kpo00070
Figure kpo00071
Figure kpo00072
Figure kpo00073
Figure kpo00074
Figure kpo00075
Figure kpo00076
Figure kpo00077
Figure kpo00078
Figure kpo00079
Figure kpo00080
Figure kpo00081
Figure kpo00082
Figure kpo00083
Figure kpo00084
Figure kpo00085
Figure kpo00086
Figure kpo00087
Figure kpo00088
Figure kpo00089
Figure kpo00090
Figure kpo00091
Figure kpo00092
Figure kpo00093
Figure kpo00094
Figure kpo00095
Figure kpo00096
Figure kpo00097
Figure kpo00098
Figure kpo00099
일반식(I)으로 표시되는 디스아조화합물은, 상법(常法)에 의해서 제조할 수 있다, 예를들면 이하의 루우트에 의해서 합성할 수 있다.
Figure kpo00100
Figure kpo00101
Figure kpo00102
Figure kpo00103
Figure kpo00104
Figure kpo00105
6-아미노-m-크레졸 혹은 2-아미노-4-메틸페놀 등의 O-아미노페놀의 메틸치환체에 P-톨루산을 다중인산속에서 가열 축합 폐환해서 (a)를 얻는다. 계속해서 N-브로모 숙신산 이미드를 작용시켜서 브롬메틸화하여 (b)를 얻는다. 아인산트리에틸을 작용시켜서 (c)로 한후, P-니트로벤즈알데히드와 반응시켜(d)를 얻고, 이어서 환원에 의하여 일반식(I)의 전구체인 디아민 화합물 (e)를 얻는다.
일반식(I)의 디스아조 화합물은 (e)를 데트라조화하고, 이어서 커플러와 알칼리의 존재하에서 커플링시키는 방법 또는 상기의 디아민의 데트라조늄염을 테트라 풀루오르 붕산염의 형으로 격리한 후 적당한 유기용매, 예를들면 N,N-디메틸포름아미드 속에서 염기를 작용시켜서 커플링 반응시키는 방법 등에 의해서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자사진용 감광체는 이와같은 일반식(I)으로 표시되는 디스아조 화합물와 적어도 하나를 전하발생물질로서 도전성 지지체상의 감광층에 함유시켜서 이루어진 것이다. 이와 같은 괌광체의 내표적 구성은 제2도나 제3도에 나타낸다.
제2도에 도시한 것은 도전성 지지체(1)위에 전하발생물질(2)과 전하수송물질(3)을 바인더 속에 분산시킨 분산 타이프의 감광층(4)을 형성한 감광체이며, 제3도에 도시한 것은 도전성 지지체(1)위에 전하발생물질을 바인더속에 분산한 전하발생층(6)과, 전하수송물질을 바인더속에 분산한 전하수송층(5)으로 이루어진 적층타이프의 감광층(4)을 형성한 감광체이다.
그의, 전하발생충과 전하수송층을 반내토 한 것, 감광층과 도전성 지지체와의 사이에 중간층을 형성한 것등이 있다.
제3도의 감광체에 있어서, 상로광(像露光)된 광이 전하수송층충을 투과하고, 전하발생층에 있어서, 전하발생물질이 전하를 발생한다. 생선된 전하는 전하수송층에 주입되고, 전하수송물잘이 수송을 행한다.
본 발명의 전자사진용 감광체는, 일반식(I)의 디스아조 화합물의, 도전성 지지체, 바인더, 전하수송물질등을 함유해서 구성되고, 감광체의 다른 구성요소는, 감광체의 구성요소로서의 기능이 있는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의 감광체에 있어서 사용되는 도전성 지지체로서는, 알루미늄, 구리, 아연 등의 금속판, 폴리에스테르 등의 플라스틱 시이트 또는 플라스틱 필름에 알루미늄, SnO2등의 도전재료를 증착한것, 혹은 도전처리한 종이 등이 사용된다.
바인더로서는, 폴리스티렌, 폴리아크릴아미드, 폴리-N-비닐카르바졸과같은 비닐중합체나 폴리아미드수지, 폴리에스테르수지, 에폭시수지, 페녹시수지, 폴리카아브네이트수지 등의 축합수지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절연성이고 지지체에 대한 밀착성이 있는 수지를 도두 사용할 수 있다.
전하수송룰질은, 일반적으토 정공(正孔) 수송물질과 전자수송물질의 2종류나 분류되나 본 발명의 감광체에는 양자 도두 사용할 수 있다. 정공수송물질로서는, 트리니트로 플루오레논 혹은 테트라니트토 플루오레논 등의 전자를 수송하기 쉬운 전자수용성 물질외에 폴리-N-비닐카르바졸로 대표되는 헤테로고리 화합물을 함유하는 중합체, 트리아졸유도체, 옥사디아졸유도체, 이미다졸유도체, 피라졸린유도체, 풀리아릴알칸유도체, 페닐렌디아민유도체, 히드라존유도체, 아이노치환 칼콘유도체, 트리아릴아민유도체, 카르바졸유도체, 스틸벤유도체, 등의 정공을 수송하기 쉬운 전자공여성 물질을 열거할 수 있다.
예를들면, 9-에틸카르바졸-3-알데히드-1-메틸-1-페닐히드라존, 9-에틸카르바졸-3-알데히드-1-벤질-1-페닐히드라존, 9-에틸카르바졸-3-알데히드-1, 1-디페닐히 드라존, 4-디에틸아미노스티렌-β-알데히드-1-에틸-1-페닐히드라존, 4-에톡시나프탈렌-1-알데히드-1-벤질-1-페닐히드라존, 4-에톡시벤즈알데히드-1-메틸-1-페닐히드라존, 2,4-디에톡시벤즈알데히드-1-벤질-1-페닐히드라존, 4-디에틸아미노벤즈알데히드-1,1-디페닐히드라존, 4-에톡시벤즈알데히드-1-벤질-1-(4-메톡시 트리스(4-디에틸아미노페닐)메탄, 1,1-비스(4-디벤질아미노페닐 ) 프로판, 2,2'-디에틸-4,4'-비스(디에틸 아미노)-트리페닐에탄, 9-(4-디에틸아미노스티릴)안트라센, 9-브로모-10-(4-디에틸아미노스티릴)안트라센, 9-(4-디메틸아미노벤질리덴)플로오렌, 3-(9-플루오레닐리덴)-9-에틸카르바졸, 1,2-비스(4-디에틸아미노스티릴)벤젠, 1,2-비스(2,4-디메톡시스티릴 )벤젠, 3-스티릴-9-에틸카르바졸, 3-(4-메톡시스티릴)-9-에틸카르바졸, 4-디페닐아미노스틸벤, 4-디벤질아미노스틸벤, 4-디톨릴아이노스틸벤, 1-(4-디페닐아미노스트릴)나프탈렌, 1-(4-디에틸아미노스티릴)나프탈렌, 4'-디페닐아미노-α-페닐스틸벤, 4'-에틸페닐아미노-α-페닐스틸벤, 1-페닐-3-(4-디에틸아미노스티릴)-5-(4-디에틸아미노페닐 )피라졸린, 1-페닐-3-(4-디에틸아미노스티 릴)-5-(4-디메틸아미노페닐) 피라졸린 등이 있다.
이외의 정공수송물질로서는, 예를들면, 2,5-비스(4-디에틸아미노페닐)-1, 3,4-옥사디아졸, 2,5-비스-[4-(4-디에틸아미도스티릴)페닐]-1, 3,4-옥사디아졸, 2-(9에틸카르바졸릴-3-)-5-(4-디에틸아미노페닐)-1, 3,4-옥사디아졸, 2-비닐-(2-클로르페닐)-5-(4디에틸아미노페닐)옥사졸, 2-(4디에틸아미노페닐)-4-페닐옥사졸, 9-[3-(4-디에틸아미노페닐)-2-프로페닐리덴-9H-크산텐, 폴리-N-비닐카르바졸, 할로겐화폴리-N-비닐카르바졸, 폴리비닐피렌, 폴리비닐안트라센, 피렌포름알데히드수지, 에틸카르바졸포름알데히드수지 등을 열거할 수 있다.
전자수송물질로서는, 예를들면, 클토르아닐, 브로모아닐, 테트라시아노에틸렌, 테트라시아노킨디에탄, 2,4,7-트리니트로-9-플루오레논, 2,4,5,7-테트라니트로-9-플루오렌, 2,4,5,7-데트라니트로크산톤, 디벤조티오펜-5, 5-디옥사이드 등이 있다.
이들 전자수송물질은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된다.
감광층과 전도성 지지체의 사이에 필요에 따라서 중간층을 형성할 수 있으나, 재료로서는, 폴리아미드,니트토셀룰로우스, 카세인, 폴리비닐 알코올 등이 적당하며, 막두께는 1μm 이하가 바람직하다.
감광층의 제작에는, 종래부터 알려진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들면 적층형 감광체에서는 아조화합물의 미립자를 바인더를 용해한 용해속에 분산하여, 도전성 지지체위에 도포, 건조해서, 전하발생층을 얻을수 있으며, 이어서, 전하수송물질과 바인더를 용해한 용액을 도포, 건조하므토서 전하수송층을 제작할 수있다. 전하발생층의 제작에는 다른 방법도 사용할 수 있다. 예를들면, 아조안료를 진공 층착하는 방법, 혹은 아조안료의 용액을 도포, 건조하는 방법이 있으나, 전자에 있어서는 값이 비싸고, 후자에 있어서는 일반적으로 취급이 불편한 유기아민 예를들면 에틸렌디아민, n-부틸아민 등을 사용하는 등 제작상의 결점도 있기 때문에 아조화합물의 미립자 분산액의 도포방법이 호적하다. 도포방법은 통상의 수단, 예를들면, 덕터브레이드, 디핑, 와이어바아 등으로 행한다.
감광층의 두께는, 감광체의 종류에 따라서 각각 최적범위는 다르다. 예를들면, 제2도에 도시한 바와같은 감광체에서는, 바람직 하게는 3∼50μm, 더 바람직 하게는 5∼30μm이다.
또, 제3도에 도시한 바와같은 감광체에서는, 전하발생층(6)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0.01∼5μm, 더 바람직하게는 0.05∼2μm이다. 이 두께가 0.01μm 미만에서는 전하의 발생은 충분하지 않고, 또 5μm를 초과하면 잔류전위가 높아 실용적으로는 바람직하지 않다. 또, 전하수송층(5)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3∼50μm 더욱 바람직하게는 5∼30μm이며, 이 두께가 3μm 미만에서는 대전량이 불충분하고,50μm를 초과하면 잔류전위가 높아 실용적으로 바람직하지 않다.
일반식(I)으로 표시되는 디스아조 화합물의 감광층속의 함유량은, 감광체의 종류에 따라 다르나, 제2도에 도시한 바와같은 감광체에서는, 감광층(4)속에 바람직하게는 50중량%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20중량%이하이다. 또 이 층에 전하수송물질을 바람직하게는 10∼95중량%, 더 바람직하게는 30∼90중량%의 비율로 함유시킨다. 또, 제3도에 도시한 바와같은 감광체에서는 전하발생층(6)속의 디스아조화합물의 비율은 바람직하게는 30중량%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50중량% 이상이다. 또, 전하수송층(5)속에는 전하수송물질을10∼95중량%, 바람직하게는 30∼90중량%로 함유시킨다. 또, 이 층에서 전하수송물질이 10중량% 미만이면, 전하의 수송이 거의 행해지지 않으며, 90중량%를 초과하면 감광체의 기계적 강도가 나빠서 실용적으로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의 전자사진용 감광체는, 일반식(I)으로 표시되는 디스아조화합물을 전하발생물질로서 사용하므로서 제조용이하고, 고감도이며 또한 반복사용에 대해서, 성능이 열화하지 않는 뛰어난 성능을 가진다.
이하, 실시예에 의해서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나, 이에 의해서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물 600ml 및 35% 염산 15ml로 된 용액에 하기 구조식으로 표시되는
Figure kpo00106
디스아조 화합물 2.2g을 현탁하고, 하룻밤 방치한후, 아질산나트륨 1.lg을 을 20ml에 용해한 용액을 0∼5℃에서 적하하고 같은 온도에서 3시간 교반하였다. 불용룰을 제거한후 42% 데트라플루오로붕산 15ml를 첨가하고, 석출한 침전을 여별, 건조해서 테트라조늄 디플루오로보레이트 2.49(수율 74%)을 얻었다.
이어서, 이와 같이해서 얻어진 테트라조늄 디플루오로브레이트 2.0g과 2-히드록시-3-나프토산 아닐리드-1.79을 N,N-디메틸포름아미드 200ml에 용해하고, 초산나트륨 1.5g과 물 30ml로 원 용액을 0∼5℃에서 30분 소요하여 적하하였다. 같은 온도에서 2시간 교반한 후, 실온으로 되돌리고 하룻밤 교반하였다. 여별한 결점을 N,N-디메딜포름아미드 200ml에서 4회, 물 200ml에서 5회 슬러지를 반복하고, 건조해서 상기 No.1의 디스아조 화합물·2.69(수율 75.8%)을 얻었다. 얻어진 분말체는 푸른기가 있는 검은색을 나타내고, 300℃ 이하에서는 융해되지 않았다. 또 원소 분석치 및 적외선 횹수스팩트럼(KBr법)으토부터 목적물인 것이 확인되었다.
원소분석치
실측치(%) , C ; 77.25, H ; 4.34, N : 10.01
계산치(%) : C ; 77.38, H ; 4.40, N,10.03
적외선 흡수스팩트럼 : >C=0에 의거한 흡수 1660cm-1또한, 적외선 흡수스팩트럼(KBr법)을 제1도에 도시하였다.
[제조예 2∼8]
커클러 화합물을 2-히드록시-3-나프토산 아닐리드 대신에 대웅하는 화합물을 사용하는 이외는 제조예1과 동일하게 합성하였다.
[제조예 9]
제조예 1에서 사용한 디아민 화합물 대신에 하기 구조식
Figure kpo00107
으로 표시되는 디아민 화합물을 사용한 이외는 제조예 1과 마찬가지로 합성하고, 상기 No.47의 디스아조색소를 얻었다.
[제조예 10∼15]
제조예 1에서 사용한 디아민 화합물 대신에 제조예 9에서 사용한 디아민 화합물을 사용하고, 또 커클러 화합물을 2-히드록시-3-나프토산 아닐리드 대신에 대응하는 화합물을 사용한 이외는 제조예 1과 동일하제 합성하였다.
제조예 2∼15에서 얻어진 디스아조 화합물의 원소분석치, 적외선 흡수스펙트럼(KBr법 νc=0) 및 융점을 표-3에 나타내었다.
[표 3]
Figure kpo00108
Figure kpo00109
[실시예 ]
폴리에스데트수지,「아드히시이브 49000」(상품명, 듀퐁회사제품) 0.5부, 디스아조 화합물 No.을 0.5부 및 테트라히드로푸란 50부를 보올밀로 분쇄혼합하고, 얻어진 분산액을 압루미늄관에 와이어바아를 사용해서 도포, 80℃에서 20분 건조하여 약 1μ의 전하 발생층을 형성하였다. 이 전하발생층 위에 9-에틸카르바졸-3-알데히드-1-에틸-1-페닐히드라존 1부, 폴리에스테르수지 「바이본 200」[상품명, 일본국 동양방(東洋紡)회사제품] 1부를 클로로포름 10부에 용해한 용액을 와이어바아를 사용해서 도포 80℃에서 30분 건조해서, 두께 약 18μ의 전하수송층을 형성하여, 제3도에 도시한 적층형 감광체를 제작하였다.
정전복사지 시험장치 [일본국 (주)카와구찌덴끼세이사쿠쇼 제품 모델 EPA-8100]를 사용해서 감광체를 인가전압-6KV의 코로나 방전에 의해서 대전시켜, 그때의 표면전위 V0를 측정하고, 2초간 암소에 방치하여 그때의 표면전위 V2를 측정하고 계속해서 감광체의 표면조도가 5lux로 되는 상대에서 할로겐 램프(색온도 2856。K)로부터의 광을 조사(照射)해서 표면전위가 V2의 1/2로 되는 시간을 측정하여, 반감로광량 E1/2(lux·sec)을 계산하였다. 또 광조사 10초후의 표면전위 VR즉 전류전위를 측정하였다.
[실시예 2∼9]
디스아조 화합를 No.1 대신에 각각 No.3, No.12, No.32, No.36, No.45, No.47, No.49, No.69를사용한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감광체를 제작하고 E1/2를 구비하여 결과를 실시예 1과 함께 표-4에 표시하였다.
[표 4]
Figure kpo00110
[실시예 10∼18]
전하수송물질로서 9-에틸카르바졸-3-알데히드-1-에틸-1-페닐히드라존 대신에 1-페닐-3-(4-디에틸아미노스티릴)-5-(4-디에틸아미노페닐) 피라졸린을 사용하여 전하발생물질로서 표-5애서 표시한 디스아조 화합물을 사용한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감광체를 작성하고, E1/2를 구했다. 결과를 표-5에 표시하였다.
[표 5]
Figure kpo00111
[실시예 19∼25]
전하수송물질로서 9-에틸카르바졸-3-알데히드-1-에틸-1-페닐히드라존 대신에 2,5-비스(4-디에틸아미노페닐-1,3,4-옥사디아졸을 사용하여 전하발생물질로서 표-6에 나타낸 디스아조 화합물을 사용한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감광체를 작성하고, E1/2를 구하였다. 결과를 표-6에 나타냈다.
[표 6]
Figure kpo00112
[비교예 1]
일본국 특허공고 소화 55-42380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하기 구조식
Figure kpo00113
으로 표시되는 디스아조 화합룰을 전하발생물질로서 사용한 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감광체를 제작하였다. E1/2는 12.0(lux·sec)이었다.
[비교예 2]
일본국 특허공개 소화 58-202451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하기 구조식
Figure kpo00114
으로 표시되는 디스아조 화합물을 전하발생물질로서 사용한 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감광체를 제작하였다. E1/2는11.4(lux·sec)이었다.
[실시예 26]
실시예 1,8 및 11에서 제작한 감광체를 사용해서, 대전로광의 조작을 1000회 반복하고, 표-7의 값을 얻었다.
[표 7]
Figure kpo00115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디스아조 화합물을 사용한 전자사진용 감광체는 고감도이고 또한 반복해서 사용하여도 안정된 성능을 얻을 수 있으며, 내구성에 있어서도 뛰어난 것이라고 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감광체는 전자사진 복사기에 이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전자사진 복사원리를 응용한 각종 인쇄기, 전자사진 제판 시스템등에 널리 이용할 수 있다.

Claims (9)

  1. 도전성 지지체위에 형성된 감광층속에 일반식(Ⅰ)
    Figure kpo00116
    (식중, A는 커플러 잔기를 나타냄.)으로 표시되는 적어도 하나의 디스아조 화합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용 감광체.
  2. 제1항에 있어서, 디스아조 화합물이 일반식(Ⅱ)
    Figure kpo00117
    (식중, A는 커플러 잔기를 나타냄.)으로 표시되는 전자사진용 감광체.
  3. 제1항에 있어서, 디스아조 화합물이 일반식(Ⅲ)
    Figure kpo00118
    (식중, A는 커플러 잔기를 나타냄.)으로 표시되는 전자사진용 감광체.
  4. 제1항에 있어서, 감광층이 디즈아조 화합물 외에, 적어도 전하수송물질 및 바인더를 함유하는 전자사진용 감광체
  5. 제4항에 있어서, 감광층속의 디스아조 화합물의 함량이 50중량% 이하인 전자사진용 감광체.
  6. 제4항에 있어서, 감광층속의 전하수송물질의 함량이 10-95중량%인 전자사진용 감광체.
  7. 제1항에 있어서, 감광층이 디즈아조 화합물을 함유하는 전하발생층과 전하수송물질을 함유하는 전하수송층을 적층해서 이루어진 것인 전자사진용 감광체.
  8. 제7항에 있어서, 디스아조 화합물의 함량이 30중량% 이상인 전자사진용 감광체.
  9. 제 7 항에 있어서, 전하수송물질의 함량이 10-95중량%인 전자사진용 감광체.
KR1019870009308A 1986-09-01 1987-08-26 전자사진용 감광체 KR90000639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1203736A JPS6360455A (ja) 1986-09-01 1986-09-01 電子写真用感光体
JP203736 1986-09-0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4345A KR880004345A (ko) 1988-06-07
KR900006391B1 true KR900006391B1 (ko) 1990-08-30

Family

ID=164790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09308A KR900006391B1 (ko) 1986-09-01 1987-08-26 전자사진용 감광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4808507A (ko)
EP (1) EP0259099B1 (ko)
JP (1) JPS6360455A (ko)
KR (1) KR900006391B1 (ko)
DE (1) DE3787780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1536A (zh) * 1995-01-10 1997-06-11 富士电机株式会社 电子照相感光体
US7786139B2 (en) 2006-11-21 2010-08-31 Omeros Corporation PDE10 inhibitors and related compositions and methods
WO2009143178A2 (en) * 2008-05-20 2009-11-26 Omeros Corporation Pde10 inhibitors and related compositions and methods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19134A (en) * 1980-02-25 1981-09-18 Copyer Co Ltd Electrophotographic receptor
US4471040A (en) * 1980-09-10 1984-09-11 Canon Kabushiki Kaisha Electrophotographic disazo photosensitive member
US4399206A (en) * 1980-10-06 1983-08-16 Canon Kabushiki Kaisha Disazo electrophotographic photosensitive member
JPS57195255A (en) * 1981-05-26 1982-11-30 Canon Inc Electrophotographic receptor
EP0078151B1 (en) * 1981-10-23 1986-03-12 Konica Corporation Photoreceptors for electrophotography
DE3301453A1 (de) * 1982-01-18 1983-07-21 Fuji Photo Film Co., Ltd., Minami-Ashigara, Kanagawa Disazoverbindungen, photoleitfaehige zusammensetzungen und elektrophotographische aufzeichnungsmateriali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3787780T2 (de) 1994-02-10
EP0259099B1 (en) 1993-10-13
KR880004345A (ko) 1988-06-07
US4808507A (en) 1989-02-28
JPS6360455A (ja) 1988-03-16
DE3787780D1 (de) 1993-11-18
EP0259099A2 (en) 1988-03-09
JPH0529106B2 (ko) 1993-04-28
EP0259099A3 (en) 1989-09-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20001124B1 (ko) 전자사진용 감광체
US4702983A (en) Electrophotographic photoreceptor comprising bis-azo pigment
US4540651A (en) Electrophotographic photosensitive member
US4562131A (en) Photoreceptor containing a trisazo compound for use in electrophotography
KR900006391B1 (ko) 전자사진용 감광체
US4418133A (en) Disazo photoconductive material and electrophotographic photosensitive member having disazo pigment layer
JP2643952B2 (ja) 電子写真用感光体
JPH0272372A (ja) 電子写真感光体
JP2899109B2 (ja) 電子写真感光体
JP2612359B2 (ja) 電子写真用感光体
JP2515386B2 (ja) 電子写真用感光体
JP2604858B2 (ja) 電子写真用感光体
JP2808329B2 (ja) 電子写真用感光体
JPS58152248A (ja) 電子写真感光体
JP2633961B2 (ja) 電子写真用感光体
JPS6219746B2 (ko)
JP2650715B2 (ja) 電子写真用感光体
JP2895162B2 (ja) 電子写真用感光体
JP2612368B2 (ja) 電子写真用感光体
JPH01198763A (ja) 電子写真用感光体
JP2654240B2 (ja) 電子写真用感光体
JPH04229868A (ja) 電子写真用感光体
JPH04229869A (ja) 電子写真用感光体
JPH0373959A (ja) 電子写真用感光体
JPS60140351A (ja) 電子写真用感光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4082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