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5838B1 - 고무분산공중합수지 - Google Patents

고무분산공중합수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5838B1
KR900005838B1 KR1019860007104A KR860007104A KR900005838B1 KR 900005838 B1 KR900005838 B1 KR 900005838B1 KR 1019860007104 A KR1019860007104 A KR 1019860007104A KR 860007104 A KR860007104 A KR 860007104A KR 900005838 B1 KR900005838 B1 KR 9000058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polymer
weight
monomer
rubber
gc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600071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60007639A (ko
Inventor
무네 이와모또
노리후미 이또오
가즈오 스가자끼
데쯔유끼 마쯔바라
도시히꼬 안도
Original Assignee
미쯔이도오아쯔가가꾸 가부시기가이샤
도쯔까 야스아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26503888&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900005838(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Priority claimed from JP18663885A external-priority patent/JPH0692472B2/ja
Priority claimed from JP60293192A external-priority patent/JP2504741B2/ja
Application filed by 미쯔이도오아쯔가가꾸 가부시기가이샤, 도쯔까 야스아끼 filed Critical 미쯔이도오아쯔가가꾸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8600076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76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58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58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3/00Circuits for generating electric pulses; Monostable, bistable or multistable circui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carboxyl radical, and containing at least one other carboxyl radical in the molecule,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5/06Copolymers with vinyl aromatic mono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79/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of monomers having two or more carbon-to-carbon double bonds as defined in group C08F36/00
    • C08F279/0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of monomers having two or more carbon-to-carbon double bonds as defined in group C08F36/00 on to polymers of conjugated die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5/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 C08L25/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styrene
    • C08L25/08Copolymers of styrene
    • C08L25/12Copolymers of styrene with unsaturated nitri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1/00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51/04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grafted on to rubb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btained by polymerisation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L23/00 - C08L53/00
    • C08L55/02ABS [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polym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raft Or Block Polymer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Logic Circui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고무분산공중합수지
제1a도 및 제1b도는 낙추충격강도시험에 이용한 성형물의 형상을 도시하는 것으로서, 제1a도는 평면도이고 제1b도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내열성, 충격강도 및 성형가공성의 우수한 고무분산공중합수지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수지는 예를 들면, 전기기기, 전자장치, 차량 등의 각종부품에 대한 성형재료로서의 유용성을 지닌다.
종래에, 공중합에 의한 비닐계중합체의 내열성개량을 위해서 다수의 시도가 행해져왔으나, 내열성이 향상되는 반면에 내충격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 일반적인 경향이었다. 이러한 문제점에 대한 대책으로서, 예를 들면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제129043/1983호, 제206657/1983호 등에는 N-치환말레이미드와 비닐단량체의 공중합체 및 그라프트공중합체를 특정조건에서 배합시킨 수지조성물이 제안되어있다. 이러한 조성물에 있어서, 내열성과 아이조드충격 강도간의 성능균형은 스티렌계 단량체와 아크릴로니트릴계 단량체의 공중합체 및 그라프트공중합체로 이루어진 종래수지(ABS)보다 양호하게 유지되나, 이러한 조성물의 수지에 있어서도 특히 실용충격강도면에서 개량해야할 여지가 남아있다.
한편, 미국특허출원서 제3,721,724호에는 고충격강도 및 고연화온도를 가지는 공중합체의 중합법으로서 공액디올레핀탄성중합체 1-20중량%의 존재 하에 스티렌계 단량체, 아크릴로니트릴계 단량체 및 말레이미드계 단량체를 중합하는 방법이 제안되어있다. 이 방법으로 제조된 공중합체는 높은 아이조드충격강도 및 고연화온도를 가지지만, 실용충격강도면에서는 충분하지 못하였다.
또, 미국특허출원서 제3,652,726호에는 특정한 그라프트중합체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 특허출원명세서는 특정한 그라프트 또는 흡장에 의한 중합체의 실용충격강도 개량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고 있다.
근년, 내열성수지는 전기기기, 전자기기 및 자동차공업분야에서 대형화 및/또는 복잡화한 성형부품으로서 이용되고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수지는 내열성 및 실용충격강도와 더불어 성형가공성의 개량이 절실히 요구되었다. 실용충격강도라는 것은 실제 이용시 낙하 또는 충격 등에 의해서 성형물에 가해지는 충격에 대한 저항강도를 의미한다. 특히, 고내열성의 대형 성형물에 있어서는 벽의 두께가 변화하는 부위 또는 각 형상부의 근접부위가 충격에 대하여 가장 약하므로 이 부위의 개량이 요구되었다.
수지의 실용충격강도는 그 수지의 아이조드충격강도에 대응하는 것이 아니라, 아이조드충격강도보다는 성형물의 상술한 부위에 있어서의 낙추충격강도에 의존한다. 수지의 내열성 및 실용충격강도를 개량하기 위해서 수지를 내열성부여단량체와 공중합시키고, 고무성성분의 양 및 공중합체의 분자량을 증가시킴에 따라서 성형시의 수지의 성형가공성 및 유동성은 감소하는 경향이 있다. 상기의 경우에 있어서, 고온에서 성형을 행하는 경우에는 성형사이클이 길어지고, 성형압력을 증가시키는 경우에는 수지가 금형 내에 충분히 충전되지 않음은 물론 그 성형작업을 더 이상 행하지 못하는 여러 가지 문제에 접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대형 및 복잡한 형상의 성형물용 수지재료로서, 스티렌계 단량체, 아크릴로니트릴계 단량체, 말레이미드계 단량체 및 고무상중합체로 구성되어 내열성, 실용충격강도 및 성형가공성간의 균형이 충분히 개량된 고무분산공중합수지를 제공하는데 있다.
즉, 본 발명은 고무중합체에 흡장 혹은 그라프트한 말레이미드계 단량체를 함유한 공중합체의 양과 조성을 특정 량으로 유지한 신규의 고무분산중합체에 의해 상기의 목적을 달성한다.
본 발명을 일층 상세히 설명하면, 분산상과 연속상으로부터 구성되며, 분산상이 고무상중합체의 입자로부터 구성되고, 연속상이 스티렌계 단량체, 아크릴로니트릴계 단량체 및 말레이미드계 단량체의 공중합체로부터 구성되는 수지에 있어서, (a) 분산상 내의 고무상중합체는 스티렌계 단량체, 아크릴로니트릴계 단량체 및 말레이미드계 단량체의 공중합체를 흡장하거나 그 공중합체와 그라프트되고, 흡장 또는 그라프트된 공중합체(GCP)의 비율은 고무상중합체 100중량%에 대하여 50∼100중량%이고; (b) GCP에 있어서 공중합된 말레이미드계 단량체의 비율(X)은 1∼25중량%이고; (c) 연속상의 공중합체에 있어서 말레이미드계 단량체의 비율(Y)은 1∼25중량%이고; (d) X 및 Y는 다음의 부등식(Ⅰ),
Figure kpo00002
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분산공중합수지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고무분산공중합수지는 실용충격강도, 내열성 및 성형가공성은 물론 외형면에서도 우수하고 전기기기, 전자기기 및 자동차공업분야에서 상업적 유용성이 대단히 크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분산상 및 연속상으로 이루어진 수지"는 대표적인 예로서 HIPS(고충격폴리스티렌수지)와 같이, 전자현미경사진에 있어서 바다(연속상) 및 섬(분산고무상)으로 나타날 수 있는 수지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연속상 및 분산고무상 각각의 공중합체는 스티렌계 단량체, 아크릴로니트릴계 단량체 및 말레이미드계 단량체로 이루어지는 것이 필수요건이다.
또한, 연속상은 메틸에틸케톤과 메탄올의 7:3혼합용매에 의해서 용해되는 부분이고, 분산상은 상기 용매에 의해서 용해되지 않는 부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공중합된 단량체"는 당해 단량체의 반응부분을 의미하며, 중합반응에 의해서 중합체의 분자사슬을 형성한다.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유용한 스티렌계 단량체의 예로는 α-메틸스티렌 및 α-에틸스티렌 등의 측쇄알킬치환스티렌, 모노클로로스티렌, 디클로로스티렌, 비닐톨루엔, 비닐크실렌, O-t-부틸스티렌, p-t부틸스티렌 및 P-메틸스피렌 등의 핵알킬치환스티렌, 트리브로모스티렌 및 테트라브로모스티렌 등의 할로겐화스티렌, P-히드록시스티렌, O-메톡시스티렌, 비닐나프탈렌 등이 있다. 이 중에서도 특히, 스티렌과 α-메틸스티렌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스티렌계 단량체는 한가지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하여도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 있어서 유용한 아크릴로니트릴계 단량체의 예로서는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푸마로니트릴, 말레오니트릴, α-클로로아크릴로니트릴 등이 있으며, 특히 아크릴로니트릴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아크릴로니트릴계 단량체는 한가지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하여도 된다.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유용한 말레이미드계 단량체는 구조식
Figure kpo00003
(식 중, R은 수소원자, 탄소수가 1-15인 알킬기 또는 시클로알킬기. 또는 방향족탄화수소기이다.)로 표시된다. 말레이미드계 단량체의 예로서는, 말레이미드. N-메틸말레이미드, N-에틸말레이미드, N-프로필말레이미드, N-t-부틸말레이미드, N-이소프로필말레이미드, N-시클로헥실말레이미드, N-페닐말레이미드, N-나프틸말레이미드, N-O-클로로페닐말레이미드 등이 있다. 특히 말레이미드, N-메틸말레이미드, N-페닐말레이미드, N-시클로헥실말레이미드 등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말레이미드계 단량체는 한가지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하여도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필요에 따라 제4의 단량체를 공중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제4의 공중합단량체의 양은 상술한 스티렌계 단량체와 아크릴로니트릴계 단량체의 총량에 대하여 50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30중량% 이하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이러한 제4의 단량체의 예로서는, 메틸메타크릴산염 등의 메타크릴산에스테르와 메틸아크릴산염 등의 아크릴산에스테르 등이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고무상중합체"는 폴리부타디엔고무,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공중합체고무(NBR) 및 스티렌-부타디엔공중합체고무(SBR)등의 디엔계고무, 폴리부틸아크릴산염 및 폴리프로필아크릴산염 등의 아크릴계고무, 에틸렌-프로필렌-디엔계고무(EPDM) 등을 의미하며, 이중에서 폴리부타디엔고무 및 SBR이 가장 좋다.
본 발명의 고무분산공중합수지에 있어서, 연속상의 공중합체의 0.5중량%, 디메틸포름아미드(DMF)용액의 30℃에서의 환원점도는 0.5-1.0dl/g, 바람직하게는 0.6-0.9dl/g, 더욱 바람직하게는 0.6-0.85dl/g이어야 한다. 이 값이 1.0이상인 경우에는 유동성이 극단적으로 불량해지는 한편, 0.5 미만인 경우에는 충격강도가 저하된다. 환원점도는 하기의 방식으로 측정된다. 즉, 메틸에틸케톤과 메탄올의 7:3혼합용매에 고무분산공중합수지를 분산시킨다. 혼합용매에 용해되지 않은 물질은 원심 분리하여 제거한다. 가용성분을 포함한 용매를 약 20배 량의 메탄올에 투입한 후에, 재침전시킨다. 그 침전물을 여과, 건조시킨 후, 디메틸포름아미드를 사용하여 환원점도를 측정한다.
본 발명의 고무분산공중합수지에는 힌더드(hindered) 페놀계항산화제, 인계항산화제 또는 유황계항산화제 등의 통상의 항산화제를 첨가하여 열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윤활제를 가하여 유동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목적에 따라, 유리섬유, 무기충전제, 착색제 및 안료 등의 섬유보강제를 첨가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수지조성물에 테트라브로모비스페놀 A, 데카브노모비페닐에테르 또는 브롬화폴리탄산염 등의 일반 할로겐화유기화합물계 난연제를 혼합함으로써 수지조성물의 난연화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고무분산공중합수지는 폴리비닐염화물,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수지, 폴리탄산염, 폴리부틸렌테레프탈산염, 폴리에틸렌테레프탈산염, 나일론 6, 나일론 66, 나일론 12, 폴리페닐렌산화물 또는 폴리페닐린황화물 등의 다른 수지와 혼합한 후에 성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고무분산공중합수지중의 고무상중합체와 흡장 또는 그라프트된 공중합체(이하 "GCP"로 약칭함)와 연속상의 공중합체의 총량을 100중량%로 할 때, 그 조성이 고무상중합체는 3 내지 20중량% 범위 내에 있고 GCP와 연속상의 공중합체의 총량은 97 내지 80중량% 범위 내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GCP와 연속상에 포함되어있는 공중합체의 총량을 100중량%로 할 때, 그 공중합체는 스티렌계 단량체 30-80중량%, 아크릴로니트릴계 단량체 10-50중량%, 말레이미드계 단량체 1-25중량% 및 한가지 이상의 다른 단량체 0-20중량%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아크릴로니트릴계 단량체에 대한 스티렌계 단량체의 비율은 60/40-77/23(중량%/중량%)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63/35-74/26(중량%/중량%)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분산상의 고무상중합체 100중량부당 GCP의 비율은 50-100중량부, 바람직하게는 60-90중량부인 것이 좋다.
이 GCP의 비율은, 고무분산공중합수지 약 1g(a그램)을 정평하여 메틸에틸케톤과 메탄올 7.3혼합용매 30CC에 분산시키고, 불용성물질은 원심분리에 의해 분리한 후 건조시켜서 불용성물질의 중량(b그램)을 정평하여 하기 식을 이용하여 구한다.
Figure kpo00004
는 고무분산공중합수지(a) 내지 고무상중합체의 중량농도를 나타낸다.
CCP 비가 50중량부 이하이면 실용충격강도가 저하되고, GCP 비가 100중량부 이상이면 성형 가공성이 저하된다.
전체 GCP에 대한 말레이미드계 단량체의 비율(x)은 1-25중량% 바람직하게는 3-20중량%인 것이 좋다. 이 비율이 1중량% 미만이면 내열성이 저하되고 25중량% 이상이면 내충격성이 저하된다. 말레이미드계 단량체의 비율은 GCP의 N, C, H 및 O의 원소분석을 하여 결정할 수 있다.
연속상의 공중합체의 말레이미드계 단량체의 비율(Y)도 1-25중량%, 바람직하게는 3-20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4-17중량%이다. 이 비율이 1중량% 미만이면 내열성이 저하되고 25중량% 이상이면 내충격성이 현저하게 저하된다. 말레이미드계 단량체의 비율은 원소분석에 의해 결정할 수 있다.
X와 Y는 하기의 부등식(Ⅰ), 바람직하게는(Ⅰ')를 만족하는 것이 좋다.
Figure kpo00005
Figure kpo00006
Y/X 값이 0.5미만이거나 2.0이상이면, 실용충격강도가 현저하게 저하된다.
고무분산공중합수지의 제조방법은 연속식 벌크중합법으로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은 이 제조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중합은 2개 이상의 교반기 부착반응기, 즉 중합조를 이용하여 행한다. 최종중합조의 고무상중합체, 생성공중합체, 미반응단량체, 용매 등으로 구성된 중합액혼합물은 휘발성분제거공정을 거쳐서 고무분산공중합수지와 휘발성분으로 분리하여 고무분산공중합수지를 얻는다. 이 방법에 있어서, 제1중합조에는 한가지 이상의 단량체의 일부 또는 전체에 용해된 고무상중합체를 공급하고 잔여단량체, 중합개시제 및 연쇄 이동제는 중합반응 중 임의단계에서 공급할 수 있다.
GCP의 양은 중합개시제의 종류 및 양, 교반강도, 고무상중합체의 종류 및 양, 단량체의 종류 및 양과 휘발성분의 제거공정에 따라서 조정된다. 일반적으로, GCP의 양은 중합개시제 량의 증가, 교반강도의 감소, 고무상중합체 중 디엔성분의 함량의 증가, 고무상중합체 량의 감소, 스티렌계 단량체 량의 증가 및/또는 휘발성분제거공정의 온도가 높아짐에 따라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낸다 GCP는 시행착오법에 따라서 파라미터를 조정함으로써 소정량을 얻을 수 있다.
GCP 및 연속상의 공중합체중의 말레이미드계 단량체의 함량은 반응에 공급하는 말레이미드계 단량체의 양에 따라 조절된다.
Y/X 값은 말레이미드계 단량체를 공급하는 중합공정과 그 양에 의해서 조정 가능하다. 일반적으로, Y/X값은 중합진행정도가 낮아지는 단계에서 말레이미드계 단량체를 다량 첨가하는 경우에는 감소하고, 반면에 중합진행정도가 높아지는 단계에서 말레이미드계 단량체를 다량 첨가하는 경우에는 증가한다. 또한, Y/X값은 말레이미드계 단량체를 평균적으로 공급하는 경우에는 1에 수렴한다. 본 발명의 목적을 성취하기 위해서 Y/X 값을 반드시 1로 제어해야할 필요는 없으나 Y/X 값은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무분산공중합수지에 있어서, 분산상의 가교도지수(cross-linking degree index)는 4-11배가 바람직하고, 6-11배가 더욱 바람직하다. 이러한 가교도지수는 하기의 방법으로 측정 가능하다. 즉, 고무분산공중합수지 0.4g을 톨루엔과 메틸에틸케톤 7:3 혼합액 30CC에 부분 용해시킨다. 이것을 원심 분리한 후에, 용매에 의해서 평윤된 불용해물질의 중량을 평량(W1)으로 한다. 평량 후, 불용해물질을 진공 건조하여 재평량(W2)한다. 가교도지수는 W1/W2를 이용하여 구한다. 가교도지수는 중합개시제의 양 및 종류와 휘발성분제거처리온도 및 그 체류시간에 의존한다. 또, 공중합되는 말레이미드계 단량체의 양에 의존한다. 시행착오법에 의해서 제조공정조건을 선정함으로써 적당한 가교도지수를 설정할 수 있다. 가교도지수가 4미만이면 충격강도와 유동성이 저하되고, 11 이상인 경우에는 실용충격강도가 저하된다.
상술한 고무분산공중합수지가 성능, 즉 내열성, 실용충격강도 및 성형가공성의 균형이 우수한 이유는 충분히 설명하지 못하였으나, 고무상중합체에 포함된 GCP는 적당량의 말레이미드계 단량체를 포함하는 공중합체이고, 고무상중합체성분의 효과가 증대됨은 물론 연속상의 공중합체와 GCP상의 공중합체간의 상호결합이 증가되기 때문에 실용충격강도가 개량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실시예 1-3, 비교예 1-4 및 참고예 1]
A. 고무분산공중합수지(GCP형)의 제조
직렬로 배열된 5개의 교반기부착반응기, 예열기 및 진공조로 구성된 연속식벌크 중합장치에 반응조건을 변화시켜서 각종 고무분산공중합수지를 개별적으로 얻었다.
제1교반기부착반응기에, 고무상중합체(폴리부타디엔)6중량부, 에틸벤젠 20중량부, 스티렌 50중량부와 아크릴로니트릴 24중량부를 포함하는 용액을 연속적으로 투입하였다. 또, 스티렌 50중량부, 아크릴로니트릴 24중량부와 N-페닐말레이미드를 포함하는 다른 용액을 제1 내지 제5교반기부착반응기에 분할하여 연속적으로 투입하였다. 상기 용액의 투입량은 순차적으로 변경하였다. 비교하기 위해서, N-페닐말레이미드를 첨가하지 않은 또 다른 수지를 제조하였다. 중합개시제로서는 유기과산화물을 사용하고, 분자량조절제로서는 도데실메르캅탄을 사용하였다. 예열기의 온도는 260-280℃로 유지하고 진공조의 진공조는 70torr로 유지하였다. 참고예 1에서는, 시판되는 초내열성 ABS를 사용하였다.
A. 평가
A-1 성형
상기에서 얻은 수지를 80℃에서 3시간동안 건조시킨 후에, 성형온도 240℃와 금형온도 60℃에서 사출성형기를 이용하여 개별 성형하였다.
A-2 물성의 평가
(1) 아이조드 충격강도; ASTM D-256에 준하여 측정
(2) 내열성의 평가; ASTM D1525에 준하여 비캣연화점측정
(3) 성형가공성의 평가; 각 수지의 성형가공성은 사출성형에 있어서 단사를 발생하지 않는 최저사출압력에 필요한 성형기의 유압(단사유압)에 의거하여 평가하였다. 시판되는 ABS(초내열성, 참고예)의 단사유압을 기준으로 하여, 각 수지의 성형가공성은 그 수지와 시판 ABS의 단사유압 차이에 의거하여 평가하였다(단사유압의 차이가 음인 경우에는 시판 ABS(초내열성)보다 유압이 낮고, 성형시의 유동성이 우수한 재료인 것으로 평가되었다).
(4) 실용충격강도의 평가; 사출성형에 의해 제조된 제1a도 및 제1b도에 도시된 형상의 성형물을(1),(2) 및(3)의 3개 부위에서 낙추충격강도 시험을 행하였다. 낙추의 선단부는 반경(R)이 6.4mm이고 베이스의 내경은 25mm이었다. (1)은 벽의 두께가 변화하는 부위이고, (2)는 각 형상부에 근접한 부위이며, (3)은 표준부위이다.
A-3 평가결과를 표 1에 도시한다.
실시예 1은 본 발명에 의한 고무분산공중합수지에 대한 것이다. 비교예 1에 있어서는, 고무상중합체에 대한 GCP의 비가 컸고, 그 수지는 단사를 발생하여 성형가공성이 불량하였다. 비교예 2에 있어서는, Y/X 값이 커서 실용충격강도가 낮았다. 비교예 3에 있어서는, 총 GCP 중의 말레이미드계 단량체와 연속상중의 공중합체의 함량이 높아서 충격강도가 낮았다. 비교예 4에서는 말레이미드 단량체를 사용하지 않았으며 생성된 수지는 내열성이 불량하였다. 실시예 2 및 실시예 3에 있어서는, 고무상중합체와 말레이미드계 단량체의 함량을 변화시켜서 시험을 행하였다. 실시예 1.2 및 3의 수지로 성형한 성형물의 외형은 은선, 유혼, 젯팅(jetting)등이 나타나지 않았으며 표면광택이 우수했다. 은선 및 유혼은 시판되는 초내열성 ABS 성형물에서 관찰되었다.
[비교예 5]
비교예 3의 수지를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 공중합수지(AS 수지)와 1:1비로 혼합하여 생성된 수지를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평가하였다. Y/X 값이 작았고, GCP 중의 말레이미드계 단량체의 함량이 높았고, 충격강도가 불량하였다 결과는 표1에 도시한다.
[비교예 6]
폴리부타디엔고무라텍스 60중량부의 존재 하에, N-페닐말레이미드 10중량부, 스티렌 22중량부 및 아크릴로니트릴 8중량부를 중합하여 고무함유수지(R1)를 얻었다. 한편, 스티렌과 아크릴로니트릴의 존재 하에 N-페닐말레이미드를 연속적으로 첨가하여 중합시켜서 스티렌 62중량부, 아크릴로니트릴 23중량부 및 N-페닐말레이미드 15중량을 포함하는 공중합수지(R2)를 얻었다.
R1과 R2를 1:3.3의 비로 혼합하여 생성된 수지를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평가하였다. 결과는 표 1에 도시한다. 실시예 1과 비교한 결과, 고무상중합체의 함량은 동일하였으나, 실용충격강도는 불량하였다.
[표 1a]
Figure kpo00007
[표 1b]
Figure kpo00008
[표 1c]
Figure kpo00009

Claims (7)

  1. 분산상과 연속상으로부터 구성되고, 분산상이 고무상중합체의 입자로부터 구성되고 연속상이 스티렌단량체, 아크릴로니트릴 단량체 및 말레이미드 단량체를 필수로 해서 이루어진 공중합체로부터 구성되는 수지에 있어서, (a) 분산상의 고무상중합체는 스티렌계, 아크릴로니트릴계 및 말레이미드계 단량체의 공중합체를 흡장하거나 그 공중합체를 그라프트하고, 흡장 또는 그라프트된 공준합체(GCP)의 비율은 고무상중합체 100중량%에 대하여 50∼100중량%이고, (b) GCP에 있어서, 전체 GCP에 대한 공중합된 말레이미드계 단량체의 비율(x)은 1∼25중량%이고, (c) 연속상의 공중합체에 있어서, 전체 공중합체에 대한 말레이미드계 단량체의 비율(Y)은 1-25중량%이고 (d) X 및 Y튼 하기의 부등식(Ⅰ):
    Figure kpo00010
    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분산공중합수지.
  2. 제1항에 있어서,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연속상 0.5중량% 디메틸포름아미드용액의 환원점도는 30℃에서 0.5-1.0dl/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분산공중합수지.
  3. 제1항에 있어서, 고무상중합체, GCP 및 연속상의 공중합체의 총량을 100중량%로 할 때, 고무상중합체는 3-20중량%를 포함하고 GCP 및 연속상의 공중합체의 총량은 97-80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분산공중합수지.
  4. 제1항에 있어서, 연속상의 GCP 및 공중합체의 총량을 100중량%로 할 때, 연속상의 GCP와 공중합체는 스티렌계 단량체 30-80중량%와, 아크릴로니트릴계 단량체 10-50중량%와, 말레이미드계 단량체 1-25중량%와, 한가지 이상의 다른 단량체 0-20중량%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분산공중합수지.
  5. 제1항에 있어서, 분산상의 가교도지수는 4-11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분산공중합수지.
  6. 제1항에 있어서, X 및 Y는 하기의 부등식(Ⅰ'):
    Figure kpo00011
    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분산공중합수지.
  7. 제1항에 있어서, GCP 및 연속상 각각에서 공중합된 말레이미드계 단량체는 N-페닐말레이미드계 단량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분산공중합수지.
KR1019860007104A 1985-08-27 1986-08-27 고무분산공중합수지 KR90000583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8663885A JPH0692472B2 (ja) 1985-08-27 1985-08-27 ゴム分散共重合樹脂
JP186638 1985-08-27
JP60293192A JP2504741B2 (ja) 1985-12-27 1985-12-27 分散複合ゲル含有共重合体組成物
JP293192 1985-12-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7639A KR860007639A (ko) 1987-03-30
KR900005838B1 true KR900005838B1 (ko) 1990-08-13

Family

ID=2650388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60007104A KR900005838B1 (ko) 1985-08-27 1986-08-27 고무분산공중합수지
KR1019900010104A KR900006041B1 (ko) 1985-08-27 1986-11-28 분산다성분 겔함유 공중합체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10104A KR900006041B1 (ko) 1985-08-27 1986-11-28 분산다성분 겔함유 공중합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4808661A (ko)
EP (1) EP0216524B2 (ko)
KR (2) KR900005838B1 (ko)
CN (2) CN1009935B (ko)
CA (1) CA1272321A (ko)
DE (1) DE3685707T3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88004309A1 (en) * 1986-12-11 1988-06-16 Mitsubishi Monsanto Chemical Company Heat and impact resistant resin composition
US5091470A (en) * 1989-04-26 1992-02-25 The Dow Chemical Company Molding resin
US5055525A (en) * 1990-02-23 1991-10-08 The Dow Chemical Company Low temperature toughened thermoplastic polymer blend compositions
GB9127083D0 (en) * 1991-12-20 1992-02-19 Pirelli General Plc Filled insulating boxes
US5602205A (en) * 1993-01-22 1997-02-11 Cytec Technology Corp. N-(substituted) maleimides and compositions incorporating the same
US5412036A (en) * 1993-09-27 1995-05-02 The Dow Chemical Company Maleimide-modified high heat abs resins
US5552494A (en) * 1993-12-27 1996-09-03 Mitsui Toatsu Chemicals, Inc. Quality control method for ABS-based resin and molding of the ABS-based resin
DE69529815T2 (de) * 1994-11-11 2003-12-04 Kanegafuchi Chemical Ind Thermoplastische harzzusammensetzung und kraftfahrzeuginnenverkleidung
EP0779308B1 (en) * 1995-12-11 2001-01-24 Mitsui Chemicals, Inc. Heat-resistant high-nitrile polymer compositions and process for preparing same
JP3850504B2 (ja) * 1997-01-17 2006-11-29 テクノポリマー株式会社 熱可塑性樹脂組成物
US5994468A (en) * 1998-05-06 1999-11-30 Bridgestone Corporation High damping gels derived from nylon grafted polymers
JP4056712B2 (ja) * 2000-10-24 2008-03-05 三井化学株式会社 耐フロン性ゴム変性ポリスチレン組成物
DE10056311A1 (de) * 2000-11-14 2002-05-16 Bayer Ag Gelhaltige Kautschukmischungen mit anorganischen Peroxiden
WO2003087219A1 (fr) * 2002-03-29 2003-10-23 Sanyo Chemical Industries, Ltd. Dispersion de resine thermo-reticulable
CN103421255B (zh) * 2012-05-22 2016-04-20 韩国锦湖石油化学株式会社 耐热性和着色性优异的亲环境门窗材料用组合物
US10174193B2 (en) 2015-06-19 2019-01-08 Lg Chem, Ltd. Method for preparing modified 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resin, and modified 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resin prepared thereby
KR101895112B1 (ko) 2015-12-31 2018-09-04 롯데첨단소재(주) 고무변성 비닐계 그라프트 공중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102302036B1 (ko) 2017-11-24 2021-09-15 주식회사 엘지화학 무광 열가소성 수지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무광 열가소성 수지
US11603464B2 (en) 2018-02-16 2023-03-14 Ineos Styrolution Group Gmbh High heat resistant ABS molding composition
KR102362102B1 (ko) * 2018-11-15 2022-02-11 주식회사 엘지화학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66142A (en) * 1964-04-21 1973-10-16 Ici Ltd Acrylonitrile copolymers
GB1086673A (en) * 1964-04-21 1967-10-11 Ici Ltd Acrylonitrile polymers
US3816563A (en) * 1965-04-09 1974-06-11 C Mathews Thermoplastic compositions
US4151224A (en) * 1966-03-24 1979-04-24 Imperial Chemical Industries Limited Blends of acrylonitrile copolymers with graft copolymers containing rubber and acrylonitrile copolymer
GB1185307A (en) * 1967-09-20 1970-03-25 Ici Ltd Graft Copolymers of High Acrylonitrile/Aromatic Olefin Superstrate on a Diene Rubber as Substrate.
US3721724A (en) * 1970-09-22 1973-03-20 Standard Oil Co Rubber modified olefinic nitrile-vinyl aromatic-maleimide interpolymers
US4208490A (en) * 1975-07-31 1980-06-17 Sumitomo Chemical Company, Limited Process for preparing polymer resins
US4381373A (en) * 1980-12-11 1983-04-26 Mitsubishi Monsanto Chemical Company Heat resistant resin composition
US4374951A (en) * 1981-09-11 1983-02-22 Monsanto Company Polyblends comprising N-phenylmaleimide copolymers and SAN copolymers
JPS58129043A (ja) * 1982-01-29 1983-08-01 Toray Ind Inc 熱可塑性樹脂組成物
JPS58206657A (ja) * 1982-05-26 1983-12-01 Denki Kagaku Kogyo Kk 熱可塑性樹脂組成物
JPS59232138A (ja) * 1983-06-15 1984-12-26 Mitsubishi Monsanto Chem Co 耐熱性耐衝撃性樹脂組成物
US4510287A (en) * 1983-11-21 1985-04-09 Monsanto Company ABS Compositions and process for preparing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09935B (zh) 1990-10-10
US4808661A (en) 1989-02-28
CN86106270A (zh) 1987-03-04
CN1045798A (zh) 1990-10-03
CN1041318C (zh) 1998-12-23
CA1272321A (en) 1990-07-31
DE3685707T2 (de) 1993-05-06
EP0216524B2 (en) 1997-08-20
KR870006721A (ko) 1987-07-14
EP0216524A3 (en) 1989-01-25
EP0216524B1 (en) 1992-06-17
KR860007639A (ko) 1987-03-30
DE3685707D1 (de) 1992-07-23
DE3685707T3 (de) 1998-03-26
EP0216524A2 (en) 1987-04-01
KR900006041B1 (ko) 1990-08-20
US4954571A (en) 1990-09-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00005838B1 (ko) 고무분산공중합수지
EP0164874B1 (en) Process for producing a heat-resistant copolymer of alpha-methylstyrene and acrylonitrile, and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containing the same
CA1339648C (en) Block-copolymerized-rubber-modified styrene copolymers
EP0288298A2 (en)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JPS63146960A (ja) 熱可塑性樹脂組成物
JPS6314740B2 (ko)
JPH0466902B2 (ko)
KR20190065966A (ko) 내열 수지 조성물
US5574099A (en) Rubber-reinforced styrene resin composition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EP0208382A1 (en) Rubber-reinforced styrenic polymer resins having improved flow and gloss characteristics
EP0096527B1 (en) A process for producing a rubber-modified thermoplastic resin
CA1331241C (en) Anionically-polymerized-rubber-modified styrene copolymers
JPS6248712A (ja) ゴム分散共重合樹脂
US5180780A (en) Rubber-modified styrene-based copolymer
TWI732307B (zh) 亞乙烯基取代之芳族單體及環狀(甲基)丙烯酸酯聚合物
KR0147781B1 (ko) 우수한 저온 내충격성을 갖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JP2504741B2 (ja) 分散複合ゲル含有共重合体組成物
JPH05194676A (ja) ゴム変性芳香族ビニル系共重合体樹脂及びその製造方法
EP0378410B1 (en) Rubber-modified styrene-based copolymer
JP3386532B2 (ja) 熱可塑性樹脂組成物
JPH0216139A (ja) アニオン重合ゴム変性スチレン系共重合体
EP0505153B1 (en) Rubber-reinforced styrene resin composition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JPS63199717A (ja) ゴム変性スチレン系共重合樹脂組成物
JP2632831B2 (ja) ゴム変性スチレン系共重合体組成物
KR970004668B1 (ko) 열가소성 수지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810

Year of fee payment: 17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