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5537B1 - 오프셋와셔를 지닌 색선택 전극장착 구조물 - Google Patents

오프셋와셔를 지닌 색선택 전극장착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5537B1
KR900005537B1 KR1019830004914A KR830004914A KR900005537B1 KR 900005537 B1 KR900005537 B1 KR 900005537B1 KR 1019830004914 A KR1019830004914 A KR 1019830004914A KR 830004914 A KR830004914 A KR 830004914A KR 900005537 B1 KR900005537 B1 KR 9000055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her
component
strap
electrode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300049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40006555A (ko
Inventor
주니어 레오나드 프레트 윌버
주니어 미론 헨리 워데일
Original Assignee
알 씨 에이 코오포레이숀
글렌 에이치. 브루스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 씨 에이 코오포레이숀, 글렌 에이치. 브루스틀 filed Critical 알 씨 에이 코오포레이숀
Publication of KR8400065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65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55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55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02Electrodes; Screens; Mounting, supporting, spacing or insulating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02Electrodes; Screens; Mounting, supporting, spacing or insulating thereof
    • H01J29/06Screens for shielding; Masks interposed in the electron stream
    • H01J29/07Shadow masks for colour television tubes
    • H01J29/073Mounting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shadow mas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02Electrodes; Screens; Mounting, supporting, spacing or insulating thereof
    • H01J29/06Screens for shielding; Masks interposed in the electron stream
    • H01J29/07Shadow masks for colour television tubes

Landscapes

  • Electrodes For Cathode-Ray Tubes (AREA)
  • Vessels, Lead-In Wires, Accessory Apparatuses For Cathode-Ray Tube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Chemical Reaction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오프셋와셔를 지닌 색선택 전극장착 구조물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음극선관 면판판넬과 색선택 전극의 평면도.
제2도는 제1도의 선 2-2를 따라 절취한 단면도.
제3도는 제2도의 선 3-3를 따라 절취한 단면도.
제4도는 제2도의 선 3-3을 따라 절취한 제1도 및 제2도의 구성요부에 대한 교체실시예의 확대단면도.
제5도는 제2도의 선 3-3을 따라 절취한 제1도 및 제2도의 구성요부에 대한 제2교체실시예의 확대단면도.
제6도는 제3도의 새로운 오스팻와셔에 대한 확대단면도.
제7도는 제6도의 선 7-7를 따라 절취한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음극선관 유리면판 판넬 16 : 전극지지용 못
24 : 색 선택전극 29 : 지지용 스프링
33, 133 : 스트랩형 구성요소 34, 134 : 와서형 구성요소
35 : 평판 기저부분 36 : 원추대형부분
37 : 애퍼어쳐
본 발명은 음극선관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음극선관의 면판판넬에 부착되어 있는 다수의 지지용 못위에 배치된 다수의 지지용 스프링을 지닌 색 선택전극을 가진 음극선관에 관한 것이다. 스프링들중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은 지지용못에 색 선택전극을 조립식으로 부착하기 위해 개량된 안전수단을 포함한다.
1967년 8월 1일, 티이. 엠. 샤래더에게 허여된 미합중국 특허 제3,334,259호에는 새도우마스크 장착구조물이 기재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물의 양호한 실시예에 있어서, 새도우마스크에 부착된 각각의 스트랩(strap)형 지지용 스프링은 3개의 돌출핑거가 원추대형 지지못의 첨단 안쪽으로 결합되게 끔 적합한 형태로된 애퍼어쳐가 수용하기 위한 지지용 못을 가진 평판형 와셔를 포함한다. Q세트, 즉 판넬대 마스크 어셈브리 및 스페이서장치를 사용한 면판 판넬 내부위치로 어셈블리 및 스페이스되는 마스크에 있어서, 지지용 스프링은 마스크 프레임을 향해서 압압되고, 와셔들은 와셔형 애퍼어쳐 내부로 수용되는 지지용못의 첨단을 지닌 스트랩 및 스튜드(stud)사이의 지지용 못위에 삽입된다. 이러한 장치에 있어서, 지지용 스프링의 스프링 작용은 와셔를 적소에 유지하기 위한 지지용 못의 원추대형의 첨단과 반대방향으로 와셔를 압압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조립순서에서, 이 와셔들은 지지용 스프링과 관련되어 자유롭게 움직이기 위한 것이며, Q세트 스페이서장치는 면판판넬의 내부 면방향 및 그 반대방향으로 압압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상태에서는 마스크부재 및 면판사이에 정확하게 요구된 Q 스페이싱 및 스튜드를 지닌 와셔의 애퍼어쳐가 수용하는 지지용못의 정밀한 배열이 설정될 수 있다.
다음, 이 와셔들은 일시적인 택(tack)결합에 의해 지지용 스프링에 부착된다. 이어서, 판넬로부터 제거된 완전하게 조립된 마스트 전극과 보다 큰 장비를 사용한 더욱 안전한 결합이 제공된다. 초기에 택 결합을 시도하기 위한 이유는 마스크 어셈블리가 판넬내에 배치될때, 보다 큰 결합장비는 프레임 및 면판 판넬측벽 사이의 스페이스 내에 용이하게 맞추어질 수 없기 때문이다.
지지용 스프링에 와셔를 택 결합하기 위해 사용된 결합전극들은 프레임 및 판넬측벽사이에 맞추기 위해서는 비교적 얇아야하므로, 이 결합전극들은 부서지기 쉬우며 잦은 정비와 교체를 요구한다. 아울러 택 결합은 마스크 어셈블리가 판넬로부터 제거될 때 비교적 약해지거나 자주 부서진다. 따라서, 부가적인 비용으로 지지용 스프링에 와셔를 부착하여 재작동하는 것이 요구된다.
그러므로, 조립순서의 택 결합 단계를 제거하여 색 선택전극 장착 구조물이 면판판넬에 배치되는 동안 안전한 와셔가 지지용 스프링에 영구적으로 부착될 수 있는 색 선택 전극장착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음식선관은 면판판넬과, 이 판넬에 부착되거나 분리되는 다수의 전극 지지용못과, 다수의 지지용 스프링을 갖춘 색 선택 전극을 포함한다. 이 각각의 지지용 스프링은 전극에 부착된 중앙단부와, 전극으로부터 격리된 말초단부를 가진 스트랩형 구성요소를 구비하고 있다. 와셔형 구성요소는 스트립형 구성요소중 적어도 하나의 말초단부 및 판넬사이에 위치되어 있다. 와셔형 구성요소는 실질상으로 평판 기저부분을 가지며, 이기저부분에 제공된 애퍼어쳐를 지닌 상기 기저부분을 연장한 원추대형부분을 갖는다. 이 기저부분은 그것의 말초단부 근처의 스트랩형 구성요소에 영구적으로 부착된다.
이제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제1도 및 제2도에 있어서, 음극선관 유리면판 판넬(10)은 일반적으로 직사각형 면판(12)과 이 면판으로 부터 확장한 측벽(14)를 구비한다. 다수의 전극장착못(16)은 판넬측벽(14)의 내부면으로부터 확장된다. 이못(16)은 예를 들어 유리원료로된 측벽면에 결속되어질 수 있거나 혹은 통상의 유리대 금속시일(seal)에 의해 측벽에 끼워질 수도 있다. 지지용 못의 양호한 배열에 있어서는 4개의 지지용 못이 제공되는데, 측벽(14)의 상단장측(18)의 중앙점에 인접해 하나가 배치되고, 측벽(14)의 하단장측(18)의 중앙점에서 약 8.53㎜ 떨어지게 하나가 배치되어 있고, 측벽(14)의 두개의 단축(20)의 각 중앙점에 인접해 하나씩 배치되어 있다. 지지용 못(16)은 상기 면판(12)의 소정의 높이로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각의 못(16)(제3도 4도 및 5도)은 원주형 베이스(21, base)및 원추대형 첨단(22)으로 이루어진다.
면판판넬(10)내에 설치된 셰도우 마스크전극(24)과 같은 색 선택전극은 프레임부재(26)및 마스킹부재(28)를 포함한다. 이 프레임(26)은 교체부를 가진 직사각형 루우프형태의(rim)으로 이루어진다. 마스킹부재(28)는 프레임(26)과 평행하게 설치된 다중 애퍼어쳐된 하나의 금속층으로 구성되었다. 마스킹부재(28)는 면판(12)의 표면 등고선과 거의 일치하는 표면 등고선을 갖는다. 다수의 지지 스프링(29)은 마스크 전극(24)에 부착되어 지지용 못(16)위에서 그것을 지지한다. 제3도에 도시된 것처럼, 각각의 지지스프링(29)은 온도보상용 바이메탈클럽에 부착된 그것의 중앙단부를 가진 스트랩형 구성요소(33)로 이루어진다. 이 클립(30)은 스포트(spot) 결합에 의해 프레임(26)의 축에 부착되었다. 각각의 스트랩형 구성요소(33)의 말초단부는 프레임의 측으로부터 외부로 오프세트되어 지지용못을 수용하는 애퍼어쳐(31)와 함께 제공되어 있다.
지지용못을 수용하는 애퍼어쳐(31)는 판넬(10)내의 마스크전극(24)과 얼마간 떨어진 거리에서 제거할 수 있는 끔 장착되는 지지용 못(16)의 원추대 첨단(22)과 조립식으로 맞물리게 구성되어 있는데, 즉 Q스페이싱이 가정된 면판(12)은 측벽(14)에 부착되어 있는 지지용 못(16)에서의 높이로서 조정된다. 마스크전극(24)은 프레임(26)에 대해 지지용 스프링(29)를 압압하여 지지용못(16)을 자유롭게 제거하거나 혹은 다시 장착되게 할 수도 있다.
측벽(14)의 하단 장측(18)의 중앙점에서 약 8.53㎜로 재 배치되어 있는 지지용 못(16)은 이 지지용 못(16)의 하나의 비대칭성 위치가 방위를 마운팅하는 한 정정 마스크만 허용하므로 마스크전극(24)은 다시 재장착될 수가 없다. 측벽(14)이 하단장측(18)상에 이 지지용못(16)을 접촉시키는 스프링(29)은 스트랩형 구성요소(33)에 부가하여 새로운 와셔형 구성요소(34)를 포함한다.
제6도 및 제7도에 도시된 것처럼, 새로운 와셔형 구성요소(34)는 실질적으로 평판기저부분(35)과 원추대형 지지용못을 연결하는 부분(36)으로 이루어진다. 지지용 못 연결 애퍼어쳐(37)는 원추대형 부분(36)내에 제공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와셔형 구성요소(34)의 오프셋형은 아래에 기술된 것처럼 스트랩형 구성요소(33)에 와셔의 영구적인 결합을 촉진한다. 와셔(34)는 301 혹은 302 스테인레스강의 어느 하나로 부터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와셔(34)의 원추대형부분(36)의 정점은 상기 기저부분(35)를 약 1.65㎜ 확장한다. 와셔(34)의 지지용못 연결 애퍼어쳐(37)은 이 못(16)을 견고하게 고정하기 위해 베이스(35)쪽의 내부로 테이퍼되어 있다.
상기 면판(12)을 소정의 높이에 위치시키는 지지용 못(16)을 가진 판넬(10)의 어셈블리를 결합함에 있어서, 마스킹부재(28) 및 면판(12)사이의 Q 스페이싱은 마스크전극(24)내의 애퍼어쳐를 통해 통과시키는 전자비임들 사이에 레지스터를 제공하는 데, 즉 면판(12)의 내부면상에 놓이게되는 적색, 녹색 및 청색 인(phosphor)스크리인 구성요소(도시되지 않았음)로 된 전자비임들 사이에 레지스터를 제공하게 될 것이다.
스트랩형 구성요소(33)의 각각의 중앙단부는 바이메탈 클립(30)에 결합되며, 이 클립스트랩(30), (33)은 프레임(26)에 부착되어있다. 이 부 어셈블리(26), (30), (33)는 마스킹부재(28)가 프레임(26)에 부착되는 통상이 장착고정물(도시되지 않았음)내에 놓이게 된다. 이 장착 고정물내의 지지용 못은 마스크 어셈블리(26), (28), (30), (33)가 면판 판넬(10)내에 배치될 때, 최적의 Q 스페이싱을 제공하기 위하여 면판 판넬(10)내의 지지용 못(16)과 유사한 소정의 높이에서 세트된다.
면판 판넬(10)내의 위치에서의 마스크 어셈블리(26), (28), (30), (33)와 측벽(14)의 하단장측(18)의 중앙점으로부터 다시 배치되는 지지용 못(16)에 인접한 스트랩형 구성요소(33)의 말추단부는 프레임(26)쪽으로 압압된다. 와셔(34)는 스트랩형 구성요소(33)및 스튜드 사이의 지지용 못(16)위에 삽입되므로, 이 지지용 못의 첨단(22)은 이 지지용 못의 연결 애퍼어쳐(37)내에 견고하게 수용된다.
이러한 배열에 있어서, 스트랩형 구성요소(33)의 스프링작용은 와셔를 적소에 유지하기 위해 지지용 못(16)의 원추대형 첨단(22)의 반대방향으로 와셔를 압압하게 하는 것이다.
다른 스트랩형의 구성요소(33)에 대한 애퍼어쳐(31)가 수용하는 지지용 못은 다른 지지용 못(16)의 첨단(22)을 외부로 수용하기 위해 확장되어 있다.
와셔(34)내에 제공된 오프셋은 측벽(14)의 내부면에서 상당히 떨어진 거리에 스트랩형 구성요소(33)를 다시 배치하며, 종래 기술의 구조물에서 가능했던것보다 측벽(14) 및 와셔(34)사이에 삽입되는 제1결합전극(도시되지 않았음)이 더 크게될 수도 있다. 제2결합전극(도시도지 않았음)은 새도우 마스크(24)의 스트랩형 구성요소(33)및 프레임(26)사이에 위치되어 있다. 포켓(38)은 결합동작을 촉진하기 위해 프레임(26)내에 제공되어 있다. 이 보다 큰 결합전극 들은 마스크 어셈블리가 면판 판넬(10)내에 배치될 동안, 이 와셔(34)를 스트랩형 구성요소(33)에 영구적으로 결합하는 것이 가능하게끔 만들어져 있다.
Q스페이싱은 아래의 교체동작의 순서에 의해 더욱 정확하게 세트될 수 있다. 마스크 어셈블리(26), (28), (30), (33)는 요구된 마스크대 판넬 스페이싱을 정확하게 설정하기 위해 면판 판넬(10)내의 Q세트 스페이서 장치(도시되지 않았음)의 첨단위에 위치되어 있다. 이 판넬은 제2도에 도시된 것처럼 오픈-엔드-업(open-end-up)이 수정될 수 있으므로, 마스크 어셈블리(26), (28), (30), (33)가 스페이서에 대해 압압될 수 있으며, 이 스페이서는 판넬(10)에 반대방향으로 압압된다(이 스페이서장치는 상기 예증된 미합중국 특허 제3,334,259호에 도시된 것과 같은 T자형의 장치로 구성될 수 있다).
교체조립순서에 있어서, 각각의 스트랩형 구성요소(33)의 말초단부는 프레임(26)쪽으로 다시 배치되고, 와셔(34)는 스튜드 연결 애퍼어쳐(37)내에 견고하게 연결된 지지용 못의 첨단(22)를 지닌 스튜드 및 스트랩형 구성요소 사이의 각 지지용 못(16)위에 삽입된다. 스트랩형 구성요소(33)는 와셔를 적소에 유지하기 위해 지지용 못의 첨단(22)에 대해 와셔(34)를 압압한다.
이러한 조립순서에 있어서, 와셔(34)는 스트랩형 구성요소(33)와 관련하여 자유로이 움직일 수 있게 한 것이며, 마스크 어셈블리(26), (28), (30), (33) 및 스페이서장치는 면판(12)의 내부면과 같은 방향 혹은 반대 방향으로 자유로이 압압되게 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상태에 있어서, 마스킹부재(28)및 면판(12)사이에 정확하게 요구된 Q스페이싱 및 와셔(34) 및 지지용 못(16)의 스튜드 연결 애퍼어쳐(37)의 정확한 배열이 설정될 수 있다. 스트랩형 구성요소(33)에 와셔(34)의 결합은 단지 하나의 와셔(34)가 활용될 때, 여기에 설명된 것과 동일하다.
제4도는 두개의 돌출부 A 및 B가 애퍼어쳐(131)를 수용하는 지지용 못에 인접한 스트랩형 구성요소(133)의 말초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교체한 지지용 스프링(129)을 도시한다. 돌출부 A및 B는 와셔형 구성요소(34)외부쪽으로 결합된다. 돌출부 A 및 B는 스트랩형 구성요소(133)에 와셔형 구성요소(34)의 영구적인 부착을 위해 결합전류를 국부적으로 흐르게 한다.
제5도는 스트랩형 구성요소(33)및 그것의 기저부분에 형성된 두개의 돌출부 C 및 D를 가진 새로운 와셔형 구성요소(134)로 이루어진 지지용 스프링(229)의 또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돌출부 C 및 D는 스트랩형 구성요소(33)에 와셔형 구성요소(134)의 영구적인 부착을 촉진하기 위해 원추대형 스튜드 연결부분의 반대방향으로 확장되어 있다. 제4도 및 제5도의 교체실시예는 이 분야의 숙련된 자에게는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이 명백하다.
예를 들면, 단일 돌출부는 와셔(34)혹은 스트랩형 구성요소(33)의 어느 하나에 형성될 수 있으며, 하나의 돌출부는 와셔(34)내에 형성될 수 있고, 보충의 돌출부는 결합을 촉진하기 위해 각각의 부재사이에 두개의 접촉점을 제공하는 스트랩형 구성요소(33)내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스트랩형 구성요소내의 두개이상의 돌출부에서 만일 결합이 요구되면, 와셔가 활용될 수도 있다.

Claims (3)

  1. 면판판넬과, 이 면판판넬에 분포되어 부착되는 다수의 전극 지지용못과 그리고 다수의 지지용 스프링을 가진 색 선택 전극을 포함하며, 상기 각각의 지지용 스프링은 상기 전극에 부착된 중앙단부 및 상기 전극으로부터 떨어진 말초단부를 가진 스트랩형 구성요소와 상기 지지용 못중 하나를 견고하게 수용하기 위해 이 지지용못에 애퍼어쳐를 갖는 와셔형 구성요소로 구성되고, 상기 와셔형 구성요소는 상기 스트랩형 구성요소의 적어도 하나의 상기 말초단부와 상기 판넬사이에 위치되어 말초단부에 부착되는 음극선관에 있어서, 상기 와셔형 구성요소(34, 134)는 평판기저부분(35)과 이 기저부분상에 연장된 원추대형부분(36)을 갖고, 상기 원추대형부분은 상기 애퍼어쳐(37)와 함께 제공되어 있고, 그리고 상기 와셔형 구성요소는 상기 스트랩형 구성요소(33, 133)에의 부착용 용이하게 하기 위해 오프셋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프셋 와셔를 지닌 선택적 전극창작 구조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와셔형 구성요소(34)가 부착된 상기 스트햅형 구성요소(133)는 상기 말초단부에 인접해 형성된 적어도 돌출부(A, B)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스트랩형 구성요소에의 영구적인 부착을 위해 상기 와셔형 구성요소의 외부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한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프셋 와셔를 지닌 선택적 전극창작 구조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와셔형 구성요소(134)는 그 기저부분내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C, D)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스트랩형 구성요소(33)에로의 상기 와셔형 구성요소의 영구적인 부착을 위해 상기 원추대형 부분과 반대쪽으로 연장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프셋 와셔를 지닌 선택적 전극창작 구조물.
KR1019830004914A 1982-10-18 1983-10-18 오프셋와셔를 지닌 색선택 전극장착 구조물 KR90000553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434936 1982-10-18
US434,936 1982-10-18
US06/434,936 US4467242A (en) 1982-10-18 1982-10-18 Color selection electrode mounting structure having an off-set wash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6555A KR840006555A (ko) 1984-11-30
KR900005537B1 true KR900005537B1 (ko) 1990-07-31

Family

ID=237263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30004914A KR900005537B1 (ko) 1982-10-18 1983-10-18 오프셋와셔를 지닌 색선택 전극장착 구조물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4467242A (ko)
JP (1) JPS5991633A (ko)
KR (1) KR900005537B1 (ko)
CA (1) CA1202665A (ko)
DE (1) DE3337825A1 (ko)
FR (1) FR2534741B1 (ko)
GB (1) GB2129208B (ko)
HK (1) HK60187A (ko)
IT (1) IT117109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47695A (en) * 1983-03-03 1985-10-15 Tektronix, Inc. CRT Shadow mask assembly
US4604072A (en) * 1984-07-03 1986-08-05 Rca Corporation Method for engaging support studs into shadow mask spring apparatus
DE3435891A1 (de) * 1984-09-29 1986-04-10 Standard Elektrik Lorenz Ag, 7000 Stuttgart Farbbildroehre
GB8609139D0 (en) * 1986-04-15 1986-05-21 Rank Electronic Tubes Ltd Colour cathode ray tubes
US4798992A (en) * 1986-05-14 1989-01-17 Sony Corporation Color cathode-ray tube with electron beam selection mask support structure
JPS62186348U (ko) * 1986-05-16 1987-11-27
JPH0770290B2 (ja) * 1986-06-30 1995-07-31 株式会社東芝 カラ−受像管
US4992067A (en) * 1989-10-25 1991-02-12 Rca Licensing Corp. Method of manufacturing a color cathode-ray tube
US5012154A (en) * 1989-12-01 1991-04-30 Rca Licensing Corporation Color picture tube having improved shadow mask-frame assembly support
US5063325A (en) * 1990-03-16 1991-11-05 Thomson Consumer Electronics Inc. Color picture tube having improved shadow mask-frame assembly support
DE4119481A1 (de) * 1991-06-13 1992-12-17 Nokia Deutschland Gmbh Masken-rahmen-kombination fuer eine farbbildroehre
DE4208319C2 (de) * 1992-03-16 2002-06-2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Farbbildröhre
JP2776156B2 (ja) * 1992-07-17 1998-07-16 三菱電機株式会社 カラーブラウン管の組立方法
JP3495461B2 (ja) * 1995-07-20 2004-02-09 ソニー株式会社 カラー表示装置の色選別部支持装置および陰極線管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35479A (en) * 1964-06-12 1967-08-15 Rca Corp Method of fabricating and processing cathode ray tubes
US3330980A (en) * 1965-07-16 1967-07-11 Rca Corp Shadow mask mounted with bi-metallic sections connected by expansible loop
US4002941A (en) * 1966-10-27 1977-01-11 Rca Corporation Shadow mask cathode ray tube shield
US3387160A (en) * 1967-01-11 1968-06-04 Nat Video Corp Mounting means for moving shadow mask axially forward upon heating
US3524096A (en) * 1968-04-24 1970-08-11 Helen C Haas Color cathode ray tube having shadow mask frame formed to accommodate a support system
US3700948A (en) * 1970-07-09 1972-10-24 Motorola Inc Edge-bonded bi-metallic strip extending from metal plate on shadow mask to stud via spring of substantially smaller cross-sectional area than strip
JPS53126559U (ko) * 1977-03-17 1978-10-07
JPS55109344A (en) * 1979-02-16 1980-08-22 Toshiba Corp Shadow mask supporting bod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IT1171093B (it) 1987-06-10
GB2129208B (en) 1986-04-03
GB2129208A (en) 1984-05-10
IT8323062A1 (it) 1985-03-29
KR840006555A (ko) 1984-11-30
FR2534741B1 (fr) 1987-08-28
DE3337825A1 (de) 1984-04-19
JPH0574176B2 (ko) 1993-10-15
CA1202665A (en) 1986-04-01
GB8327726D0 (en) 1983-11-16
JPS5991633A (ja) 1984-05-26
US4467242A (en) 1984-08-21
HK60187A (en) 1987-08-21
FR2534741A1 (fr) 1984-04-20
IT8323062A0 (it) 1983-09-29
DE3337825C2 (ko) 1988-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00005537B1 (ko) 오프셋와셔를 지닌 색선택 전극장착 구조물
KR850001588B1 (ko) 칼라 표시관
US5126624A (en) Color cathode ray tube having improved spring type contactor
GB2081002A (en) Colour display tube
US4763039A (en) Color display tube with corner suspension means
CA2029556C (en) Color picture tube having improved shadow mask-frame assembly support
US4605878A (en) Supporting device for an electron beam landing position selecting mask of a color cathode ray tube
EP0325207A3 (en) Color cathode ray tube
CA1040253A (en) Spring mount for a cathode-ray tube yoke
US6271624B1 (en) Cathode ray tube having a fag with spring holder
US4876477A (en) Color television display tube
CA2018530C (en) Color picture tube having improved shadow mask-frame assembly support
CA1062322A (en) Color tv picture tube with improved contact spring and associated high voltage system
JPH0689674A (ja) ゲッター装置及びその固定方法並びに陰極線管
US4710669A (en) Internal electrical connector for a tension mask tube
KR100201127B1 (ko) 인너실드 프레임 결합방법 및 그 클립과 그 결합공구
JPS6282628A (ja) カラ−陰極線管の製法
JPS60221941A (ja) カラ−受像管
KR100451929B1 (ko) 편향요크
KR910009576Y1 (ko) 컬러 브라운관
US3600623A (en) Locating device for temperature compensated parallax barrier supporting system
CA1292500C (en) Color picture tube having improved shadow mask-frame assembly
KR800000350B1 (ko) 음극선관 요오크용 스프링 마운트
KR890005094Y1 (ko) 소형 음극 선관용 편향요크의 단자판 취부구조
CA2010666A1 (en) Electron gun assembly for a cr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610

Year of fee payment: 14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