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85711B1 - 전자총 지지부재 - Google Patents

전자총 지지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85711B1
KR0185711B1 KR1019910021210A KR910021210A KR0185711B1 KR 0185711 B1 KR0185711 B1 KR 0185711B1 KR 1019910021210 A KR1019910021210 A KR 1019910021210A KR 910021210 A KR910021210 A KR 910021210A KR 0185711 B1 KR0185711 B1 KR 01857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 gun
cathode ray
ray tube
conductive film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212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10726A (ko
Inventor
이찌로 우쯔미
고이찌 후루이
Original Assignee
오오가 노리오
소니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오가 노리오, 소니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오오가 노리오
Publication of KR9200107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107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857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8571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46Arrangements of electrodes and associated parts for generating or controlling the ray or beam, e.g. electron-optical arrangement
    • H01J29/82Mounting, supporting, spacing, or insulating electron-optical or ion-optical arrangements

Landscapes

  • Vessels, Lead-In Wires, Accessory Apparatuses For Cathode-Ray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텔레비젼 수상기, 단말 디시플레이 장치등의 음극선관에 내장되는 전자총을 지지하는 전자총 지지부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음극선관에 내장되는 전자총을 지지하는 전자총 지지부재에 있어서, 전자총을 음극선관에 대하여 지지하는 기능과, 이 전자총의 최종전극과 음극선관의 내벽면에 형성되는 도전막과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기능을 구분함과 아울러, 이들 두 기능을 시키는 부재를 어느것도 전자총의 음극선과능로의 삽입방향과 역방향으로 형성하므로서, 전자총의 확실한 지지와, 도전막과 최종전극과의 전기적 접속의 신뢰성을 확보함과 동시에, 도전막의 막이 벗겨짐에 따른 먼지의 발생을 방지하는 것에 있다.

Description

전자총 지지부재
제1도는 본 발명을 적용한 전자총 지지부재를 전자총에 부착하고, 그 전자총 지지부재에 의해 전자총을 음극선관에 대하여 지지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제2도 및 제3도는 본 발명을 적용한 전자총 지지부재를 확대하여 각각 나타내는 것으로,
제2도는 그 전자총 지지부재의 확대사시도이며,
제3도는 그 전자총 지지부재의 확대 저면도이다.
제4도는 종래의 전자총 지지부재를 전자총에 부착하여, 이 전자총 지지부재에 의해 전자총을 음극선관에 대하여 지지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전자총 지지부재 2 : 음극선관
3 : 네크부 4 : 전자총
5 : 실드(Shield)부 6 : 전자총 지지부
7 : 도전막 8 : 접속부
10 : 게터
본 발명은 텔레비젼 수상기, 단말 디스플레이 장치등의 음극선관에 내장되는 전자총을 지지하는 전자총 지지부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음극선관에 내장되는 전자총을 지지하는 전자총 지지부재에 있어서, 전자총을 음극선관에 대하여 지지하는 기능과, 이 전자총의 최종전극과 음극선관의 내벽면에 형성되는 도전막과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기능을 구분함과 아울러, 이들 두기능을 시키는 부재를 모두 전자총의 음극선관으로의 삽입방향과 역방향으로 형성함으로써, 전자총의 확실한 지지와, 도전막과 최종 전극과의 전기적 접속의 신뢰성을 확보함과 동시에, 도전막의 막이 벗겨짐에 따른 먼지의 발생을 방지하는 것에 있다.
종래에는 예로써, 텔레비젼 수상기와 단말디스플레이 장치등의 음극선관에 내장되는 전자총(51), 제4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복수의 전극군, 즉 제1 그리드(G1), 제2 그리드(G2), 제3 그리드(G3), 제4 그리드(G4)가 유리지지봉(도시생략)에 소정간격으로 고정되므로써, 조립되어 최종전극, 결국 제4 그리드(G4)에 부착되는 복수의 스프링도체(52)에 의해, 상기 음극선관(53)의 네크부(53a)에 대하여 지지되도록 되어 있다.
이 전자총(51)을 지지하는 스프링도체(52)는 탄성변형 가능한 만곡으로 형성된 금속도체로 이루어지며, 최종전극인 제 4그리드(G4)의 선단부에 부착되어 있다. 즉 상기 스프링도체(52)는 기단부(52a)를 제 4 그리드(G4)의 측면에 용착하며, 만곡부(52b)를 상기 음극선관(53)의 내벽면에 형성되는 카본으로 된 도전막(54)에 압접시켜, 이 스프링도체(52)의 가세력에 의해 상기 전자총(51)을 음극선관(53)에 대하여 지지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같이 하여 형성되는 스프링도체(52)는 상기 도전막(54)에 일정한 가세력을 가지고 압접하여 전자총(51)을 음극선관(53)에 대해 지지하는 기능과, 애노드보턴(55)에 의해 공급되는 고전압을 도전막(54)을 거쳐 상기 제 4그리드(G4)에 공급하는 두기능을 갖는다. 따라서, 이 스프링도체(52)에는, 진동등에 대하여 전자총(51)이 떨림이 없도록 이 전자총(51)을 안정하게 지지하기에 충분히 큰 가세력을 필요로 하는 동시에, 전기적도통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도전성을 가진 필요가 있게 된다.
이러한 두기능을 스프링도체(52)에 가지도록 한다는 것은 도전막(54)과의 전기적 접속을 꾀하기 위하여는 필연적으로 도전막(54)이 형성된 제 4그리드(G4)의 선단부분보다도 음극선관(53)의 삽입방향으로 스프링도체(52)가 설치 되도록 하지 않으면 안된다. 이 때문에 상기 전자총(51)의 음극선관(53)으로의 삽입에 있어서는 가세력이 큰 스프링도체(52)를 상기 도전막(54)에 대해 비교적 긴 거리를 가지고 접촉 않으면 안된다. 이 결과 상기 스프링도체(52)에 의해 도전막(54)의 카본이 탈락하는 문제가 생기고, 탈락한 카본은 내전압의 저하나 방전 또는 형광면에의 오염의 원인으로 된다. 이를 개선하는 방법으로써는 예를들면 스프링도체(52)의 탄발력을 약하게 하는 것도 고려되지만, 너무 약하게 하면 진동에 대해 약하게 되어, 상기 전자총(51)을 지지하는 기능이 나빠지게 된다.
또한, 상기 스프링도체(52)는 그한개 한 개가 제 4그리드(G4)에 용접에 의해 부착되도록 하는 까닭에 그 작업이 귀찮아짐과 동시에 공정수의 증가에 의한 코스트면에 있어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실정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써, 전자총의 확실한 지지와, 도전막과 최종전극과의 전기적 접속의 신뢰성을 확보함과 동시에, 도전막의 벗겨짐에 따른 먼지의 발생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한 전자총 지지부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또한 부품수와 공정수를 극히 적게하여 코스트 다운시킨 전자총 지지부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전자총 지지부재는 절연지지봉에 연결하여 일체화된 복수의 전극군으로된 전자총의 최종전극에 부착되는 실드부와, 음극선관의 네크부의 내벽에 탄성적으로 가세하여 상기 전자총을 해당 음극선관에 대하여 지지하는 전자총 지지부와, 상기 음극선관의 내벽면에 형성되는 도전막과 접촉하고, 이 도전막과 상기한 최종전극과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접속부를 가지게 되고, 상기 전자총 지지부와 접속부는 모두 전자총의 음극선관으로서의 삽입방향과 역방향으로 연장하여 되도록된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전자총 지지부재에 있어서는, 전자총을 음극선관에 대하여 지지하는 기능과, 음극선관의 내벽면에 형성되는 도전막과 전자총의 최종전극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기능을 각각 분리시킨 것으로 하고 있다. 즉, 전자총을 지지하는 기능으로서의 전자총 지지부재를 도전막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음극선관의 네크부의 내벽에 탄성적으로 가세시키므로써 전자총을 음극선관에 대해 지지하고, 전기적 도통을 꾀하는 기능으로써의 접속부를 도전막에 접촉시켜 도전막과 최종전극과 접촉토록 한다. 따라서, 상기 전자총 지지부는 전자총을 지지하는 기능으로써만 이용하는 것이므로, 탄발력을 강하게 할 수 있고, 전자총의 안정된 지지를 기대할 수 있다. 한편 접속부는 도전막과의 전기적도통을 하는 것만이 목적으로 되기 때문에 작은 탄발력으로 확실한 도통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이들 전자총 지지부와 접속부는 모두 전자총의 음극선관으로의 삽입방향과 역방향으로 연장되게 설치되므로, 전자총 지지부는 이 음극선관의 내벽에 설치되는 도전막과 접촉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접속부는 도전막과 접촉하지만, 그 접속부의 가세력은 작은 것이므로, 상기 전자총의 음극선관으로의 삽입시에 도전막을 마찰하여 이 도전막을 손상시키는 것과 같은 일은 없다.
이하 본 발명을 적용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전자총 지지부재(1)는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음극선관(2)의 네크부(3)에 내장된 전자총(4)의 최종전극에 부착되어 있다. 즉, 전자총 지지부재(1)는 절연지지봉(도시생략)에 순차적으로 소정간격으로 연결고정되는 제 1그리드(G1), 제 2그리드(G2), 제 3그리드(G3), 제 4그리드(G4)로 이루어지는 전극군으로 구성되는 전자총(4)의 최종전극인 제 4그리드(G4)에 부착되어 있다.
이 전자총 지지부재(1)는 제2도 및 제3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소정의 형상으로 타발가공된 1매의 도전성을 갖는 스프링재로 이루어진 금속판을 소정형상으로 전곡형성시킨 것으로, 전자총(4)의 제 4그리드(G4)에 부착되는 실드부(5)와, 이 실드부(5)에 설치되어 음극선관(2)의 네크부(3)의 내벽(3a)에 탄성적으로 가세하고 상기 전자총(4)을 음극선관(2)에 대해 지지하는 복수의 전자총 지지부(6)와, 상기 실드부(5)에 설치되어, 상기 음극선관(2)의 내벽면(2a)에 형성되는 도전막(7)과 접촉하고, 이 도전막(7)과 제 4그리드(G4)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복수의 접속부(8)를 가지고 이루어진다.
상기한 실드부(5)는 제 4그리드(G4)의 선단부에 부착하는데 충분한 크기의 원반으로써 형성되며, 그 중앙부에 제 1그리드(G1)에 설치되는 캐소우드(도시생략)로부터의 전자빔을 투과시키기 위한 원형상의 비임투과공(5a)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이 실드부(5)의 상기 비임투과광(5a)의 개구 주연부에는 상기 실드부(5)를 제 4그리드(G4)에 용착하기 위한 프로젝션(Projection)(5b)이 복수 설치되어 있다. 이들 프로젝션(5b)은 제 4그리드(G4)의 선단부와 대향하는 쪽에 대략 반구형상으로 돌출시켜 설치하며, 상기 실드부(5)의 제 4그리드(G4)와의 용착을 확실하게 하기 위해 4곳에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전자총(4)을 음극선관(2)에 대해 지지토록 하기 위한 전자총 지지부(6)는 상기 실드부(5)에 대해 이 실드부(5)의 외주연을 거의 4등분 하는 위치에 각각 설치된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전자총(3)의 확실한 지지를 도모하기 위해 상기 전자총 지지부(6)를 4개로 했다. 전자총 지지부(6)는, 상기 실드부(5)와 일체로 타발가공된 평면 직사각형상의 설편을, 제1도중 화살표 A로 표시한 상기 전자총(4)의 음극선관(2)으로의 삽입 방향과 역방향으로 연장하도록 절곡형성하여 이루어진다. 즉, 이들 전자총 지지부(6)는 상기 실드부(5)의 외주연으로부터 비임투과공(5a)으로 향하여 그 중도부까지 형성되는 슬릿(5c) 안쪽으로 면하는 기단부(6a)를 지점으로 하여 상기 제1도중 화살표 A로 나타낸 방향과 역방향으로 절곡되며, 그 중도부에 단면이 원호형으로 절곡되도록 함과 동시에, 그 선단부(6b)는 다소 빡빡하게 원호상으로 절곡되어 있다. 이와같이 하여 형성된 전자총 지지부(6)는 상기 전자총(4)을 지지하기 위한 것만으로 사용되므로, 상기 네크부(3)의 도전막(7)이 형성되어 있지 않는 내벽(3a)에 그 선단(6b)이 탄성적으로 가세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전자총 지지부(6)의 상기 내벽(3a)에 대한 가세력은, 상기 전자총(4)의 확실한 지지가 이루어지기에 충분히 큰 가세력으로 된다. 더욱이, 이 전자총 지지부(6)는 전자총(4)의 음극선관(2)으로의 삽입 방향과 역방향으로 연장하여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 음극선관(2)의 내벽(2a)에 형성되는 도전막(7)과 접촉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한편 음극선관(2)의 내벽면(2a)에 형성되는 도전막(7)과 접촉하여 이 도전막(7)과 제 4그리드(G4)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접속부(8)는 상기 실드부(5)에 대하여 상기 전자총 지지부(6) 사이에 서로 대향하게 설치되는 1쌍의 게터(getter) 지지편(9)에 설치되어 있다. 더욱이 상기 도전막(7)은, 상기 음극선관(2)에 설치되는 애노드 보턴(11)과 접속되어, 이 애노드 보턴(11)으로부터 공급되는 고전압이 상기 도전막(7)에 공급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게터 지지편(9)은 상기 실드부(5)와 일체적으로 타발가공된 평면 직사각형상의 설편을, 상기 전자총 지지부(6)와는 역방향으로, 즉, 제1도중 화살표 A로 나타낸 전자총(4)의 음극선관(2)으로의 삽입방향으로 상기 실드부(5)의 제 4그리드(G4)와의 용착면에 대해 대략 직각으로 되도록 절곡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게터지지편(9)은, 상기 실드부(5)에 대하는 기단부(9a) 근방에 상기 비임투광공(5a)측으로 약간 굴곡되어, 그 선단부(9a)끼리 다소 근접하도록 되어 있다. 더욱이 이 근접하여 설치되는 게터지지편(9)의 선단측에는 후술하는 음극선관(2)내의 진공도를 유지하기 위한 원형상의 게터(1)가 지지되로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게터 지지편(9)의 상기 게터(10)가 설치되는 위치와 대향하는 위치에, 상기 복수의 접속부(8)가 설치되어 있다. 이들 접속부(8)는, 상기 실드부(5) 및 게터 지지편(9)과 일체로 타발가공된 평면의 대략 L자 형태를 이루는 설편이 소정형상으로 절곡 형성된다. 즉, 상기 접속부(8)는 상기 게터 지지편(9)의 길이방향으로 양측 가장자리에 각각 설치되며, 평면상 대략 L자 형태로 되는 설편의 기단부(8a)로 이 게터 지지편(9)의 길이방향과 직교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또, 이 기단부(8a)와 직교하는 연재부(8b)를 제1도중 화살표 A로 나타낸 전자총(4)의 음극선관(2)으로의 삽입방향과 역방향으로 설치함과 함께, 이 연재부(8b)를 상기 기단부(8a)를 지점으로 하여 그 선단부(8c)가 상기 도전막(7)과 접촉하도로록 원호형으로 단면이 절곡형성되어 있다.
이와같이 하여 형성된 접속부(8)는 상기 음극선관(2)의 내벽(2a)에 형성되는 도전막(7)과 제 4그리드(G4)와의 전기적 접속을 꾀하도록 하기 위해서만 사용된다. 따라서 이들 접속부(8)에 요구되는 가세력은 적어도 상기 도전막(7)에 대한 확실한 도통을 꾀하기에 충분한 가세력으로 하면 좋으며, 앞선 전자총 지지부(6)에 관련된 가세력의 거의 반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이 전자총(4)을 음극선관(2) 내에 삽입시킬 경우에, 이 접속부(8)가 도전막(7)과 접촉하여 상기 도전막(7)이 벗겨지지 않을 정도의 약한 가세력으로 한다.
더욱이 상기 접속부(8)의 기단부(8a)에는 상기 1쌍의 게터 지지편(9)의 탄성력에 의해 게터(10)가 협지되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이 게터(10)가 설치된 위치에 놓이는 접속부(8)는 다소의 진동에 의하여도 이 게터(10)를 지지하게 되고, 상기 도전막(7)에 대한 접촉상태를 안정하게 된다.
그런데 상술한 바와같이 형성된 전자총 지지부재(1)가 부착된 전자총(4)은 이 전자총 지지부재(1)를 삽입측으로 하고 상기 음극선관(2) 내에 삽입되어, 상기 음극선관(2)에 대해 지지된다. 이 전자총(4)의 음극선관(2)으로 삽입할 경우에는, 상기 전자총 지지부(6)의 접속부(8)과 도전막(7)과 접촉하여 삽입되지만, 이 접속부(8)는 작은 가세력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당해 접속부(8)가 도전막(7)에 닿아서 이 도전막(7)을 벗겨내는 것과 같은 경우는 없다. 또한, 접속부(8)는 전자총(4)의 음극선관(2)으로의 삽입방향과 역방향으로 연장하여 형성되어 있으므로, 이 전자총(4)의 삽입작업을 용이하게 함과 동시에, 도전막(7)과의 접촉거리도 짧게 마무리하여 도전막(7)으로부터의 카본의 탈락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내전압의 저하나 방전 또는 형광면으로의 오염등의 원인이 되는 도전막(7)으로부터의 카본의 탈락을 확실하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이 전자총(4)은 도전막(7)이 형성되지 않은 네크부(3)의 내벽(3a)에 큰 가세력을 가지고 전자총 지지부(6)가 탄발가세되기 때문에, 상기 음극선관(2)에 대해 지지가 확실하게 된다. 그리하여 진동등에 대해 신뢰성이 향상된다. 더구나 이 전자총 지지부재(1)는 실드부(5), 전자총 지지부(6), 접속부(8), 게터 지지편(9) 모두다 타발가공된 1매의 금속판으로 절곡형성되므로, 제 4그리드(G4)에의 부착작업도 간단하게 끝남과 동시에, 부품갯수도 하나로 끝나 코스트면에 있어 매우 유리하다.
이상의 설명에서도 밝힌 바와같이, 본 발명의 전자총 지지부재에 있어서는 전자총을 음극선관에 대해 지지하는 기능과, 도전막과 최종전극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기능과를 구분하여, 이 전자총을 지지하는 전자총 지지부에 큰 가세력을 가함과 동시에, 한편의 접속부에 최저의 필요한 작은 가세력을 주므로써 전자총의 확실한 지지와 도전막과의 신뢰성이 큰 접속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이 전자총 지지부재를 부착한 전자총을 음극선관에 삽입함과에 있어서는 이 접속부가 도전막을 강하게 마찰하여 카본을 탈락시키는 것이 없고, 음극선관의 내전압이나 방전 또는 형광면으로의 오염드을 회피하는 것이 가능하다.

Claims (1)

  1. 절연지지봉에 연결하여 일체화된 복수의 전극군으로 되는 전자총의 최종전극에 부착되는 실드부와, 음극선관의 네크부의 내벽에 탄성가세하여 상기 전자총을 상기 음극선관에 대해 지지하는 전자총 지지부와, 상기 음극선관의 내벽면에 형성되는 도전막과 접촉하고, 이 도전막과 상기 최종전극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접속부를 가지며, 상기 전자총 지지부와 접속부는 모두 전자총의 음극선관으로의 삽입방향과 역방향으로 연장하여 설치되는 전자총 지지부재.
KR1019910021210A 1990-11-30 1991-11-26 전자총 지지부재 KR018571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90126426U JPH0485557U (ko) 1990-11-30 1990-11-30
JP90-126426 1990-11-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0726A KR920010726A (ko) 1992-06-27
KR0185711B1 true KR0185711B1 (ko) 1999-03-20

Family

ID=149348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21210A KR0185711B1 (ko) 1990-11-30 1991-11-26 전자총 지지부재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5210460A (ko)
JP (1) JPH0485557U (ko)
KR (1) KR018571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E1007285A3 (nl) * 1993-07-13 1995-05-09 Philips Electronics Nv Kathodestraalbuis.
FR2717618B1 (fr) * 1994-03-15 1996-08-23 Thomson Tubes Electroniques Tube électronique à vide avec getter.
TW452817B (en) * 1999-05-12 2001-09-01 Nippon Electric Co Electron gun fixing tool
DE10228883B3 (de) * 2002-06-27 2004-02-26 Schott Glas Halteklammer zur Lagefixierung von Gettern in Behältnissen beliebigen Querschnittes in abgeschlossenen Vakuumsystemen sowie Behältnis für den Einsatz in abgeschlossenen Vakuumsystemen, insbesondere Kollektorrohr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575835A (en) * 1950-05-09 1951-11-20 Du Mont Allen B Lab Inc Cathode-ray tube centering device
US2840739A (en) * 1956-10-12 1958-06-24 Thomas Electronics Inc Cathode ray tube gun assembly
US4009411A (en) * 1976-02-20 1977-02-22 Gte Sylvania Incorporated Alignment means for electron gun structures
JPS60163340A (ja) * 1984-02-03 1985-08-26 Hitachi Ltd 電子銃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0726A (ko) 1992-06-27
JPH0485557U (ko) 1992-07-24
US5210460A (en) 1993-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96513B2 (en) Relay connector, mounting structure of relay connector and chassis, and mounting structure of relay connector and discharge tube
KR0185711B1 (ko) 전자총 지지부재
US3950061A (en) Socket for wedge base lamp
KR900005537B1 (ko) 오프셋와셔를 지닌 색선택 전극장착 구조물
US3541373A (en) Cathode ray tube with bifurcated contact spring between the shadow mask frame and the internal conductive coating
US2880383A (en) High frequency transistor package
US2323148A (en) Electrical contact assembly for use in electron discharge devices
US2004610A (en) Mounting for electrical apparatus
US2784386A (en) Electrical assembly
US2968787A (en) Tube connector
US4450379A (en) Cathode ray tube
US3958854A (en) Spark gap apparatus
US3144577A (en) Support means for cathode ray tube gun assembly
KR840002135Y1 (ko) 음극선관
US2884611A (en) Tube shield ground strap
US2585072A (en) Miniature tube holder
EP0409325B1 (en) Display tube
JPH0531254B2 (ko)
KR0127482Y1 (ko) 인너시일드 체결용 클립
KR20040060822A (ko) 애노드단자커버와 그것을 가지는 표시장치
JP3685078B2 (ja) 陰極線管の製造方法
KR20040070196A (ko) 음극선관 전기 커넥터
KR200145278Y1 (ko) 음극선관용 에이징 소켓
KR0131943Y1 (ko) 브라운관의 벌브 스페이서
JPH04237935A (ja) 陰極線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127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