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4645B1 - 벤질아민유도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벤질아민유도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4645B1
KR900004645B1 KR1019860009214A KR860009214A KR900004645B1 KR 900004645 B1 KR900004645 B1 KR 900004645B1 KR 1019860009214 A KR1019860009214 A KR 1019860009214A KR 860009214 A KR860009214 A KR 860009214A KR 900004645 B1 KR900004645 B1 KR 9000046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kyl group
compound
residue
formula
ac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600092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04937A (ko
Inventor
기요시 아라이
노부오 고오모또
마사노부 아리다
세쯔꼬 히로세
다께시 세끼노
Original Assignee
미쯔이 도오아쯔 가가꾸 가부시기가이샤
도쯔까 야스아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쯔이 도오아쯔 가가꾸 가부시기가이샤, 도쯔까 야스아끼 filed Critical 미쯔이 도오아쯔 가가꾸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8700049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49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46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4645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3Amines
    • A61K31/135Amines having aromatic rings, e.g. ketamine, nortriptyl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04Antibacterial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11/00Compounds containing amino groups bound to a carbon skeleton
    • C07C211/01Compounds containing amino groups bound to a carbon skeleton having amino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 C07C211/26Compounds containing amino groups bound to a carbon skeleton having amino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of an unsaturated carbon skeleton containing at least one six-membered aromatic ring
    • C07C211/27Compounds containing amino groups bound to a carbon skeleton having amino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of an unsaturated carbon skeleton containing at least one six-membered aromatic ring having amino groups linked to the six-membered aromatic ring by saturated carbon chai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Onc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Communicable Diseas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벤질아민유도체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일반식
Figure kpo00001
(식중, R1은 알킬기를, R2는 식
Figure kpo00002
또는
Figure kpo00003
의 원자단을 표시하고 이때 R4는 수소원자, 저급 알킬기 또는 할로겐 원자를, R3는 알킬기 또는 알켄일기를 표시한다.)로 표시되는 벤질아민유도체와 그 산첨가염류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들 화합물은 사람 또는 동물용항진균제, 농업용 살균제 및 공업용 살균제의 유효성분으로 함유된다.
근년에, 세파로스포린 유도체등의 항생제에 관한 연구 및 개발이 급속히 진전되었고, 그램양성 또는 그램음성 병원균에 의한 질병에 효과적인 각종 약품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한편 치료가 곤란한 진균병등은 증가추세에 있음에도 불구하고, 통상의 항진균제는 불충분한 효과 또는 부작용의 발생 때문에 그 효과가 불완전하다. 이에 따라 부작용이 대폭적으로 감소되어 뛰어난 치료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항진균제의 개발이 절실히 요망되었다.
이것은 농업용 및 공업용살균제에 대하여도 마찬가지이다. 근년에 탁월한 살균효과에도 불구하고 사람 및 동물에 대한 독성이 큰 무기 또는 유기중금속화합물 대신에 각종의 비금속계 살균제가 개발되었으나, 비금속계 살균제는 불충분한 효과, 불충분한 잔류효과, 약해 및 저항군주의 출현등의 문제를 일으키므로, 농업 분야에서는 실제투약에 있어서, 오이, 토마토등의 회색곰팡이병(Botrytis cineria)등의 제어가 어려운 식물 질병에 대하여 뛰어난 효과를 나타내고 안전하고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살균제의 개발이 절실히 요망되었다.
극소수의 화합물, 예를 들면 벤즈이미다졸화합물(베노밀, 티오파네이트메틸 등) 및 디카르복시이미드화합물(프로시미돈등)만의 회색곰팡이병 제어에 유효한 약품으로 알려져 있으나 개발작업과정에 있어서 이들 제제에 항생을 가지는 균주가 출현하였음이 보고된 바 있고, 또한 벤즈이미다졸과 디카르복시이미드간에는 상호 병해작용이 나타난다. 따라서, 이러한 화학약품은 안전한 효과를 가지는 살균제로서 용이하게 사용할 수 없기 때문에, 상당한 피해를 야기하는 상기 질병에 대하여 효과적인 약품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어 왔다.
무기 또는 유기금속 화합물을 비금속계공업용 살균제로 대체하였으나, 그 효과는 특정한 미생물에 한정되거나 그 적용범위가 제한되기 때문에, 살균효과는 충분하지 못하며, 이러한 공업용살균제는 공업용 원료와 제품의 오염 및 부패를 방지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예를들면, 최고의 비금속계 살균제로서 중요시되는 벤즈이미다졸계 화합물은 우무배양기 희석법에 의해서 페인트, 페이스트, 목제품 및 죽제품, 직물등에서 발생하는 Aspergillus, Penicillium 및 Trichoderma 등의 균류에 대하여 탁월한 살균력을 발휘하여 그들을 열화시키지만, 유성페인트, 인조가죽, 벽지등의 피복면에서 발생하는 Alternaria 및 Mucor에 대한 살균력은 없다. 또한 실제 사용에 있어서, 예를 들면, 페인트막, 벽면장식재 및 목제품과 죽제품의 항균처리에 있어서 100 내지 500ppm을 투여하는 경우에는 그 효과를 기대할 수 없다. 따라서, 실제 투약에 있어서 뛰어난 효과를 발휘함은 물론 안전하고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공업용 살균제의 개발이 필요하였다.
본 발명의 화합물과 유사한 일반식(IX)
Figure kpo00004
(식중, X는 수소 또는 염소원자 또는 메톡시기를 표시한다)로 표시되는 벤질아민유도체는 J.유기화학, 12, 760(1947)에 개시되어 있다. 이 논문은 항말라리아작용을 위한 각종 아릴메틸아민 유도체를 검색하여 얻어진 결과에 대한 것이며, 일반식(IX)의 화합물은 아무런 작용효과도 없음을 밝히고 있다. 또한, 화합물(IX)의 항진작용을 포함한 생물학적 작용에 대한 설명을 하지 않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종래의 약품들의 결점을 보완함과 동시에 탁월한 특성을 가지는 항진제, 농업용 및 공업용 살균제로 사용되는 벤질아미유도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주목적은 부작용이 감소되어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고 뛰어난 치료효과를 발휘하는 사람 및 동물용항진제, 식물에 대한 약해없이 정확한 제어효과를 발휘하는 공업용 살균제, 공업용원료 및 제품에서 발생하여 장기간에 걸쳐 오염을 일으키는 각종 균류를 안전하게 완전히 제어하는 공업용 살균제로 사용되는 벤질아민유도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성취하기 위해서, 본 발명자들은 몇가지 벤질아민유도체를 연구하여 하기의 일반식(I),
Figure kpo00005
(식중, R1은 알칼키, R2는 식
Figure kpo00006
또는
Figure kpo00007
로 표시되는 원자단을 표시하고, 이때 R4는 수소원자, 저급의 알킬기 또는 할로겐 원자이며, R3은 알킬기 또는 알켄일기를 표시한다)로 표시되는 벤질아민유도체와 그 산첨가염이 항진작용이 탁월하고 균류에 대한 항진균스펙트럼이 광범위함을 밝혀내었다. 또한 본 발명자들은 본 발명의 화합물이 식물병원균에 대한 제어효과가 탁월함을 밝혀내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일반식
Figure kpo00008
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일반식
Figure kpo00009
(식중, R1은 상기 정의와 동일하고 X는 반응성잔기를 표시한다)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반응시키거나, 일반식
Figure kpo00010
(식중, R1과 R3는 상기 정의와 동일하다.)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일반식
Figure kpo00011
(식중, X와 R2는 상기 정의와 동일하다.)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반응시키거나 일반식
Figure kpo00012
(식중, R1과 R2는 상기 정의와 동일하다.)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일반식
Figure kpo00013
(식중, R3와 X는 상기 정의와 동일하다.)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반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반식
Figure kpo00014
식중, R1은 알칼키를, R2는 식
Figure kpo00015
또는
Figure kpo00016
로 표시되는 원자단을 표시하고, 이때 R4는 수소원자, 저급의 알킬기 또는 할로겐원자이며, R3는 알킬기 또는 알켄일기를 표시한다)로 표시되는 벤질아민유도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일반식(I)로 표시되는 본 발명의 화합물은 신규한 화합물이다. 상세히 설명하면, 일반식(I)에 있어서, R1은 메틸, 에틸, n-프로필, 이소프로필, n-부틸, 이소부틸, t-부틸, n-펜틸, 이소펜틸, 네오펜틸, 1, 1-디메틸프로필, n-헥실, 1-메틸펜틸, 1,1-디메틸부틸, n-헵틸, 1-메틸헥실, n-옥틸 및 1-메틸헵틸등의 알킬기를 표시하고, R3는 메틸, 에틸, n-프로필, 이소프로필, n-부틸, 이소부틸, t-부틸, n-펜틸, 이소펜틸 및 네오펜틸등의 알킬기 또는 비닐, 알릴, 2-메틸-2-프로펜일 및 2-메틸-1-프로펜일등의 알켄일기를 표시하고 R4는 수소원자, 메틸 또는 에틸 등의 저급알킬기, 또는 할로겐원자를 표시한다.
일반식(I)의 화합물은 하기의 공정(A), (B) 및 (C)를 통해서 제조할 수 있다.
Figure kpo00017
Figure kpo00018
Figure kpo00019
식중, R1, R2및 R3는상기 정의와 동일하고, X는 할로겐원자 등의 반응성잔기 또는 벤젠술포닐 및 토실기등의 에스테르잔기를 표시한다.
공정(A)에 있어서는 일반식(III)과 (IV)의 화합물을 반응시키고, 공정(B)에서는 일반식(V)와 (VI)의 화합물을 반응시키고, 공정(C)에서는 일반식(VII)과 (VIII)의 화합물을 반응시킨다. 상기의 반응들은 염기성기제 존재하의 불활성용매중에서 행한다.
상기 반응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불활성용매의 예로서는 메탄올 및 에탄올(필요에 따라서 수용액)등의 저급 알콜, 벤젠, 톨루엔 및 크실렌등의 방향족탄화수소, 클로로포름, 사염화탄소, 모노클로로벤젠 및 디클로로벤젠등의 할로겐화 탄화수소, 아세톤, 디메틸에틸케톤 및 메틸이소부틸케톤등의 케톤, 디에틸에테르, 디옥산 및 테트라히드로푸란등의 에테르, 디메틸포름아미드, 디메틸술폭사이드 및 디메틸이미다졸리디논등의 비양성자성극성용매를 들 수 있다. 상기 반응의 염기의 예로서는 탄산나트륨, 탄산칼륨, 탄산수소나트륨, 탄산수소칼륨,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수소화나트륨, 수소화칼륨 나트륨알코올레이트, 암모니아등의 무기염기류와 트리메틸아민, 트리에틸아민 및 피리딘등의 유기염기류를 들수 있다. 반응온도는 0℃내지 반응 혼합물의 비점으로하나, 실온 내지 60℃가 바람직하다. 반응시간은 길수도 있으나, 통상적으로 1내지 6시간이면 충분하다.
필요에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해서 얻어진 화합물은 종래의 방법을 이용하여 산첨가염으로 변환시킨다. 이러한 산첨가염으로 변환가능한 산의 예로서는, 아세트산, 시트르산 탈타르산, 말릭산, 옥살산, 푸마린산, 말레인산, 숙신산, 나프탈렌-1,5-디술폰산, 나프탈렌-2,7- 디술폰산, P-톨루엔술폰산등의 유기산, 할로겐화 수소산, 황산, 질산 및 인산등의 무기산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반식(I)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동물기생균 및 식물병원균을 포함하는 광범위한 균류에 대한 살균작용이 탁월하기 때문에, 동물, 식물, 공업용원료 및 제품을 각종 균류의 침해로부터 보호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유리염기 또는 화학치료에 적합한 산첨가염의 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통상적으로 후술하는 바와같이 특정용도에 따라서 공식화 되어 사용된다.
사람 또는 동물용 항진균제로서 사용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화합물은 화학요법에 적합한 희석제 및 담체와의 혼합물과 필요한 경우에는 다른 매질과 통합해서 정제화 또는 캡슐화하여 복용할 수 있다. 또한 연고 또는 크림등의 일반적인 형태로 사용할 수 있으며, 이것은 종래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한다. 성인의 투약은 예를 들어, 매일 100 내지 2,000mg 복용한다.
공업용 또는 농업용 살균제로서 사용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화합물을 유용제, 유화성 농축액, 페이스트, 미분제, 수화성 분말 및 에어러졸등의 담체상에 지지시킨 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제조에 있어서, 액상담체는 유효성분과 반응하지 않는 것을 사용한다. 그 예로서는, 물, 메탄올, 에탄올, 에틸렌글리콜 및 프로필렌글리콜등의 알콜, 아세톤 및 메틸에틸케톤등의 케톤, 디옥산, 테트라히드로푸란, 셀로솔브, 디에틸렌글리콜 모노메틸에테르 및 디에틸렌글리콜 모노에틸에테르등의 에테르, 케로센 및 가솔린 등의 지방족탄화수소, 벤젠, 톨루엔 및 크실렌등의 방향족 탄화수소, 클로로포름 및 디클로로에탄등의 할로겐화 탄화수소, 디메틸포름아미드 등의 산아미드, 에틸아세테이트등의 에스테르, 피리딘등의 유기염기, 아세토니트릴등의 니트릴등을 들 수 있다. 크레이, 활석, 벤토나이트, 카올린 및 화이트카아본등의 무기고상담체와, 디메틸에테르 또는 프레온가스등의 기상담체를 사용할 수도 있다.
필요에 따라서, 이온성 또는 비이온성 표면활성제와 폴리비닐아세테이트 및 메틸셀룰로오스등의 중화합물을 제조효과를 증대시키기 위한 보조제로서 사용할 수 있다. 공업용 또는 농업용살균제는 살충제, 살비제, 살균제, 제초제 및 식물성장 조절제등의 다른 농약과, 향료 또는 기타 공업용 항진균제등과의 혼합물로서 사용하거나, 병용할 수 있다.
다음은 실시예, 제조예 및 시험예에 의거하여 본 발명을 일층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먼저, 본 발명의 혼합물 제조를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1]
[공정 A]
N-메틸-N-(4'-t-부틸벤질)-1-나프틸메틸아민의 제조: N-메틸-1-나프틸메틸아민 히드로클로라이드(2.1g, 0.01몰)을 건조된 디메틸포름아미드 50ml에 용해하고, 무수탄산나트륨 3.71g(0.035몰)을 첨가하였다. 이 혼합물을 실온에서 교반한 후, P-t-부틸벤질브로마이드 2.49g(0.011몰)을 첨가하였다. 이 혼합물을 30 내지 40℃에서 5시간동안 반응시킨 후, 이 반응혼합물에 냉각수를 첨가하고 톨루엔으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수세하고, 톨루엔은 증발시켰다. 잔여물을 실리카겔컬럼으로 크로마토그래피한 5% 에틸 아세테이트/n-헥산으로 용리하였다. 용리액을 농축시켜서 유상물질 2.98g(수율 94%)를 얻었다.
[실시예 2]
N-메틸-N-(4'-t-부틸벤질)-1-나프틸메틸아민 히드로클로라이드의 제조 : 염화수소산/에탄올을 실시예 1에서 얻은 화합물 1.0g에 첨가하고, 이 혼합물을 농축시켰다. 잔여물을 메탄올/아세트산으로 재결정화하여 융점이 200내지 202℃인 목적하는 히드로클로라이드 0.95g을 얻었다.
[실시예 3]
[공정 B]
N-(이소프로필)-N-(4'-t-부틸벤질)-1-나프틸메틸아민의 제조 : N-(이소프로필)-4-t-부틸벤질아민 2.1g(0.01몰)을 건조된 디메틸포름아미드 50ml에 용해하고, 무수탄산나트륨 1.6g(0.015몰)을 첨가하였다. 이 혼합물을 실온에서 교반하면서, 1-(클로로메틸)-나트탈렌 1.94g(0.011몰)를 첨가하였다. 이 혼합물을 30 내지 40℃에서 6시간동안 반응시킨후. 이 반응혼합물에 냉각수를 첨가하여 톨루엔으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수세한 후, 톨루엔을 증발시켰다. 잔연물을 실시카겔칼럼으로 크로마토그래피한 후 5% 에틸 아세테이트/n-헥산으로 용리하였다. 용리액을 농축시켜서 유성물질 3.17g(수율 92%)를 얻었다.
[실시예 4]
N-(이소프로필)-N-(4'-t-부틸벤질)-1-나프틸메틸아민 히드로클로라이드의 제조 : 염화수소산/에탄올을 실시예 3에서 얻은 화합물 1.0g에 첨가하고, 이 혼합물을 농축시켰다. 잔여물을 메탄올/아세트산으로 재결정화하여 융점이 82 내지 85℃인 목적하는 히드로클로라이드 0.97g을 얻었다.
[실시예 5]
[공정 C]
N-알릴-N-(4'-t-부틸벤질)-1-나프틸메틸아민의 제조 : N-(4'-t-부틸벤질)-1-나프틸메틸아민 3.03g(0.01몰)을 건조된 디메틸포름아미드 50ml에 용해하고, 무수탄산나트륨 1.6g(0.015)을 첨가하였다. 실온에서 연속적으로 교반하면서, 알릴 클로라이드 0.84g(0.011몰)을 첨가한 후, 이 혼합물을 30 내지 40℃에서 5시간동안 반응시켰다. 반응혼합물을 냉각수와 혼합하여 톨루엔으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은 수세하고, 툴루엔은 증발시켰다. 잔여물을 실리카겔컬럼으로 크로마토그래피하고, 5% 에틸아세트/n-헥산으로 용리하였다. 용리액을 농축시켜서 유상물질 3.26g(수율 95%)를 얻었다.
[실시예 6]
[공정 A]
N-메틸-N-(4'-이소프로필벤질)-1-나프틸메틸아민의 제조:N-메틸-1-나프틸메틸아민 1.71g(0.01몰)을 테트라히드로푸란 300ml에 용해하고, 트리에틸아민 1.2g(0.012몰)을 첨가하였다. 실온에서 교반하면서, P-이소프로필-벤질클로라이드 1.85g(0.011몰)을 첨가하고, 이 혼합물을 실온에서 6시간동안 반응시켰다. 반응혼합물을 여과하고, 감압하에 용매를 제거하였다. 잔여물을 에테르와 탄산수소나트륨 포화수용액에 분산시켜서 유기층을 수집하였다. 유기층을 수세하여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킨 후 감압하에 농축시켰다. 잔여물을 실리카겔컬럼으로 크로마토그래피한 후 4% 에틸아세테이트/n-헥산으로 용리하였다. 용리액을 농축시켜서 유상물질 2.82g(수율 93%)을 얻었다.
[실시예 7]
N-메틸-N-(4'-이소프로필벤질)-1-나프틸메틸아민 히드로클로라이드의 제조 : 염화수소산/에탄올을 실시예 6의 혼합물 1.0g에 첨가하고, 이 혼합물을 농축시켰다. 잔여물을 메탄올/에틸아세테이트로 재결정화하여 융점 178 내지 180℃인 목적하는 히드로클로라이드 0.86g을 얻었다.
[실시예 8]
[공정 B]
N-메틸-N-(4'-이소프로필벤질)-1-(2-메틸나프탈렌)메틸아민의 제조: N-메틸-4-이소프로필벤질아민 1.63g(0.01몰)을 아세톤 60ml에 용해하고, 무수탄산나트륨 1.6g(0.015몰)을 첨가하였다. 실온에서 연속적으로 교반하면서 1-클로로메틸-2-메틸나프탈렌 2.1g(0.011몰)을 첨가하였다. 이 혼합물을 30 내지 40℃에서 6시간동안 반응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여과한 후, 용매를 감압하에 제거하였다. 잔여물을 에테르와 탄화수소나트륨 포화수용액에 분산시켜서 유기층을 수집하였다. 용매를 감압하에서 제거하고, 염화수소산, 에탄올을 부가하였다. 혼합물을 농축시킨 후, 잔여물을 메탄올/에틸아세테이트로 재결정화하여 백색결정을 얻었다. 백색결정을 에테르와 수산화나트류 1N 수용액에 분산시켜서, 유기층을 분리하였다. 유기층을 충분히 수세하고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킨 후 감압하에 농축시켜서 목적하는 유상물질 2.82g(수율 89%)를 얻었다.
[실시예 9-10]
실시예 6 또는 7과 동일한 방법으로 표 1에 주어진 화합물을 얻었다.
[실시예 11]
[공정 A]
N-메틸-N-(4'-t-부틸벤질)-9-안트릴메틸아민의 제조 : N-메틸-9 안트릴메틸아민 2.2g(0.01몰)을 톨루엔 40ml 용해하고, 무수탄산칼륨 1.7g(0.012몰)을 첨가하였다. 실온에서 연속적으로 교반하면서 P-t-부틸벤질브로마이드 2.49g(0.011몰)을 첨가한 후, 이 혼합물을 40 내지 50℃에서 4시간동안 반응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냉각수와 혼합하여 분산시켰다. 유기층을 수세하여 톨루엔을 증발시켰다. 잔여물을 실리카겔컬럼으로 크로마토그래피한 후 4% 에틸렌아세테이트/n-헥산으로 용리하였다. 용리액을 농축시켜서 유상물질 3.3g(수율 91%)를 얻었다.
[실시예 12 내지 13]
실시예 7 또는 11과 동일한 방법으로, 표 1에 주어진 화합물을 얻었다.
[표 1]
Figure kpo00020
다음은 제조예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조성물을 일층 상세히 설명한다.
[제조예 1]
Figure kpo00021
[제조예 2]
Figure kpo00022
[제조예 3]
Figure kpo00023
[제조예 4]
Figure kpo00024
[제조예 5]
Figure kpo00025
[제조예 6]
Figure kpo00026
상기 성분들을 균일하게 분쇄혼합하여 미분말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1]
살균력 평가시험(1) : 우무배양기 희석법에 의하여 살균력을 평가 하였다. 상세히 설명하면, 본 발명의 각화합물을 0.16 내지 100ppm의 다양한 농도로 감자포도당 우무배양매체와 혼합하고, 이 혼합물을 페트리접시에 부어서 우무배양편을 제조하였다. 우무배양편이 고형화된 후, 하기에 나타낸 각 시험미생물이 순수배양액을 우무배양편에 접종하여 25℃에서 7일간 배양하였다. 접종미생물이 성장하지 않는 매체에서 시험 화합물이 최소농도를 측정하여 최소억제농도(MLC, ppm)로서 표에 도시하였다. 시험 미생물은 다음과 같다.
Figure kpo00027
비교 화합물로서, 현재 사용되고 있는 비금속계 공업용 살균제 중에서 가장 중요시되는 벤즈이미다졸 화합물중 그 효과가 우수한 2-(4-티아조릴)-벤즈이미다졸(TBZ)을 사용하였다.
또한 공지된 화합물, 예를 들면 본 발명의 화합물과 유사한 구조를 가지는 N-메틸-N-(4-메톡시벤질)-1-나프틸메틸아민을 참조화합물로서 시험하였다.
[표 2]
Figure kpo00028
(*2) : N-메틸-N-(4'-메톡시벤질)-1-나프틸메틸아민[J. 유기화학, 12, 760(1974)]
표 2로부터 본 발명의 화합물은 공업용원료 및 제품을 열화시키고 다량의 손실을 유발하는 각종균류에 대한 살균작용이 우수함을 명백히 알수 있다. 이 화합물은 특히, 페인트, 가죽, 라텍스유액, 급유제, 통신소자 및 전기소자에 광범위하게 위험을 유발하는 Aspergillus niger 및 Penicilium Citrinum에 대한 살균 작용이 우수하다. 또한 비교화합물 TBZ에서는 전혀 볼수 없는 Alternalia alternata에 대한 살균작용도 우수하다.
[실험예 2]
[항진균작용(2)의 평가시험]
종이원판법을 이용하여 항진균작용을 평가하였다. 맥아-이스트-우무배양매체(PH 6.0)편을 제조하였다. 시험미생물 1내지 4(미생물 1.3 및 4는 포자 현탁액으로, 미생물 2는 세포현탁액으로 사용한다) 각각을 0.2ml(농도 4X107포자 또는 셀/ml)씩 상기의 제조편에 떨어뜨린후, 스프리티로 유포시켰다. 살균처리된 종이원판(직경 8m)을 상기의 제조편상에 놓고, 다양한 농도의 각 시험화합물의 아세톤용액 또는 수용액 20마이크로리터를 종이원판에 주사한후, 시험미생물을 28℃에서 배양하였다. 5일후에 원형 억제지역의 크기를 측정하고, 최소억제농도(MIC(ppm))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표 3에 도시한다. 시험 미생물은 다음과 같다 :
Aspergillus fumigatus (HUT 2034)
Candida albicans(HUT 7105)
Trtichophyton mentagrophytes (IFO 5929)
Microsporum gypseum (IFO 8231)
[표 3]
Figure kpo00029
현재 항진균제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카네스틴(상품명)(클로트리마졸)을 비교화합물로서 사용하였다.
표 3으로부터 본 발명의 화합물은 사람 또는 동물에 기생하여 진균병을 유발하는 균류에 대한 살균작용이 우수함을 명백히 알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화합물은 피부병균인 Trichophytor mentagrophytes 및 Microsporum gypseum 대한 살균작용이 클로트리다졸보다 훨씬 우수할 뿐 아니라, 만성진균병을 유발하는 Aspergilllus fumigatus 에 대하여도 효과적이다.
또한 본 발명의 화합물은 돼지, 쥐의 실험적인 피부진균병의 생체실험에서도 살균작용을 나타내었다. 이 실험에 있어서 본 발명의 화합물은, 폴리에틸렌 글리콜의 상태로 피부표면에 투약하거나, 트리코피톤에 의한 감염후 5일부터 2주간 매일 복용시켰다. 본 발명의 화합물의 작용은 투약농도 0.01 내지 5%와 1회 복용량 2내지 70mg/kg에서 관찰되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화합물은 사람 또는 동물용 항진균제로서 사용하는 경우에 피부투약 또는 복용할 수 있음을 알았다.
[실험예 3]
오이의 회색공팡이병을 제어하는 시험 ; 시판되는 오이를 잘 씻어서, 4내지 5cm 크기로 절단하여 약 2내지 3분동안 제조예 3에 따라 500ppm 의 농도로 제조된 시험화합물 각각의 수화성분말의 물희석액에 담가둔 후에, 공기중에 건조시켰다. 공기건조된 오이편을 PSA 매체편에서 배양한 회색곰팡이병 잔디에 5 내지 7일 동안 똑바로 세워둔후에, 온도 18℃에서 4 내지 5일간 유지하였다. 오이편의 표면에서 잔디의 성장길이를 측정하고 하기의 식을 이용하여 제어지수를 계산하였다. 그 결과는 표 4에 도시한다.
Figure kpo00030
시판되는 것으로 회색곰팡이병 제어로서 유용한 TOPSIM M을 제어약품으로 사용하였다.
[표 4]
Figure kpo00031
일반적으로 회색공팡이병을 제어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제어효과가 우수한 약품이 필요하였다. 표4는 본 발명의 화합물이 회색곰팡이병에 대한 제어효과가 TOPSIN M 보다 우수함을 명확히 설명하고 있다.
상기 설명으로부터 알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화합물은 동물기생균, 식물병원균 및 공업용 원료 및 제품에 열화시키는 각종균류에 대한 뛰어난 살균효과를 나타냄은 물론 상기 균류에 의해서 유발되는 각종 문제 및 위험을 제어하는데 유용하다.
따라서, 의약, 농업 및 공업분야에서 사용할 수 있는 본 발명의 화합물은 유용가치가 매우높다.

Claims (6)

  1. 일반식
    Figure kpo00032
    (식중, R2및 R3는 하기정의와 동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일반식
    Figure kpo00033
    (식중, R1은 하기정의와 같고 X는 반응성잔기를 표시)로 표시되는 화합물로 반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반식
    Figure kpo00034
    (식중, R1은 알킬기, R2는 식
    Figure kpo00035
    로 표시되는 원자단을 표시하고, 이때 R4는 수소원자, 저급알킬기 또는 할로겐원자이며, R3는 알킬기 또는 알켄일기를 표시한다)로 표시되는 벤질아민 유도체의 제조방법.
  2. 일반식
    Figure kpo00036
    (식중, R1및 R3은 하기정의와 동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일반식
    Figure kpo00037
    (식중, X는 반응성 잔기, R2는 하기정의와 동일)로 표시되는 화합물로 반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반식
    Figure kpo00038
    (식중, R1은 알킬기, R2는 식
    Figure kpo00039
    또는
    Figure kpo00040
    로 표시되는 원자단을 표시하고, 이때 R4는 수소원자, 저급알킬기 또는 할로겐원자이며, R3은 알킬기 또는 알켄일기를 표시한다)로 표시되는 벤질아민유도체의 제조방법.
  3. 일반식
    Figure kpo00041
    (식중, R1과 R2는 하기정의와 동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일반식
    Figure kpo00042
    (식중, R3는 하기정의와 같고 X는 반응성잔기)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반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반식
    Figure kpo00043
    (식중, R는 알킬기, R는 식
    Figure kpo00044
    로 표시되는 원자단을 표시하고, 이때 R4는 수소원자, 저급 알킬기 또는 할로겐원자이며, R3는 알킬기 또는 알켄일기를 표시한다)로 표시되는 벤질아민유도체의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반응성잔기 X는 할로겐원자 또는 에스테르 잔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벤질아민유도체의 제조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반응성잔기 X는 할로겐 원자 또는 에스테르잔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벤질아민 유도체의 제조방법.
  6. 제3항에 있어서, 반응성 잔기 X는 할로겐 원자 또는 에스테르잔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벤질아민유도체의 제조방법.
KR1019860009214A 1985-11-01 1986-11-01 벤질아민유도체의 제조방법 KR90000464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4383185 1985-11-01
JP60-243831 1985-11-01
JP243831 1985-11-0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4937A KR870004937A (ko) 1987-06-02
KR900004645B1 true KR900004645B1 (ko) 1990-07-02

Family

ID=171095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60009214A KR900004645B1 (ko) 1985-11-01 1986-11-01 벤질아민유도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4822822A (ko)
EP (1) EP0221781B1 (ko)
JP (1) JPH0676285B2 (ko)
KR (1) KR900004645B1 (ko)
AU (1) AU591719B2 (ko)
CA (1) CA1334761C (ko)
DE (1) DE3679028D1 (ko)
DK (1) DK521986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34628A (en) * 1984-06-09 1994-08-02 Kaken Pharmaceutical Co., Ltd. Amine derivatives, processes for preparing the same and fungicides containing the same
JPS6145A (ja) * 1984-06-09 1986-01-06 Kaken Pharmaceut Co Ltd N‐(4‐tert‐ブチルベンジル)‐N‐メチル‐1‐ナフチルメチルアミンおよびそれを有効成分とする抗真菌剤
HU211997B (en) * 1986-01-29 1996-01-29 Sandoz Ag Process to prepare n-methyl-n-(1-naphtyl-methyl)-4-(2-phenyl-propyl)-benzylamine and pharmaceutical compns. contg. it
DE3630344A1 (de) * 1986-09-05 1988-03-17 Basf Ag 4-substituierte cyclohexylamine und cyclohexenylamine, diese enthaltende fungizide sowie verfahren zur bekaempfung von pilzen
JPS63230610A (ja) * 1987-03-19 1988-09-27 Kaken Pharmaceut Co Ltd 農園芸用殺菌剤
JP2581707B2 (ja) * 1987-10-02 1997-02-12 科研製薬株式会社 抗真菌剤組成物
DE3838631A1 (de) * 1988-11-15 1990-05-23 Basf Ag Neue 2-aminodekalin-derivate und deren verwendung
US5488035A (en) * 1991-12-06 1996-01-30 Pioneer Hi-Bred International, Inc. Peptide with inhibitory activity towards plant pathogenic fungi
KR20010041333A (ko) * 1998-02-25 2001-05-15 도쿠시마 히데이치 벤질아민류를 함유한 공업용 항균·항곰팡이제,살조제(殺藻劑) 및 생물부착 방지제
US6143794A (en) * 1998-04-17 2000-11-07 Bertek Pharmaceuticals, Inc. Topical formulations for the treatment of nail fungal diseases
RU2008131324A (ru) 2005-12-30 2010-02-10 Анакор Фармасьютикалз, Инк. (Us) Борсодержащие малые молекулы
IL287622B (en) * 2016-11-28 2022-07-01 Cellix Bio Private Ltd Preparations and methods for treating fungal infections
CN108047057B (zh) * 2017-12-28 2020-06-02 山东铂源药业有限公司 一种布替萘芬的合成方法
CN108477159A (zh) * 2018-03-22 2018-09-04 长江大学 一种抗真菌医药在农作物病害防治上的新用途
CN112209838B (zh) * 2019-07-09 2023-02-17 鲁南制药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盐酸布替萘酚的制备方法
CN112209837B (zh) * 2019-07-09 2023-03-24 鲁南制药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盐酸布替萘酚的合成方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790202A (en) * 1955-06-22 1958-02-05 Wellcome Found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naphthalene derivatives and the manufacture thereof
NL293886A (ko) * 1962-06-19 1965-04-12 Merck Ag E
JPS5089352A (ko) * 1973-12-17 1975-07-17
SE405475B (sv) * 1974-03-06 1978-12-11 Du Pont Forfarande att framstella nya polycykliska derivat av pyrrolidin med lugnande och bedovande verkan
EP0000896B1 (en) * 1977-08-19 1982-10-13 Sandoz Ag Propenyl amines, processes for their production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ntaining them
JPS6145A (ja) * 1984-06-09 1986-01-06 Kaken Pharmaceut Co Ltd N‐(4‐tert‐ブチルベンジル)‐N‐メチル‐1‐ナフチルメチルアミンおよびそれを有効成分とする抗真菌剤
JP2914407B2 (ja) * 1991-09-11 1999-06-28 富士電機株式会社 自動販売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221781A2 (en) 1987-05-13
JPS62201849A (ja) 1987-09-05
KR870004937A (ko) 1987-06-02
US4822822A (en) 1989-04-18
DK521986A (da) 1987-05-02
DK521986D0 (da) 1986-10-31
DE3679028D1 (de) 1991-06-06
JPH0676285B2 (ja) 1994-09-28
AU591719B2 (en) 1989-12-14
EP0221781B1 (en) 1991-05-02
EP0221781A3 (en) 1988-08-17
AU6454186A (en) 1987-05-07
CA1334761C (en) 1995-03-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00004645B1 (ko) 벤질아민유도체의 제조방법
EP0248086B1 (en) Imidazole derivatives, bactericides containing them, and process for their preparation
JPS6147403A (ja) N‐アセトニルベンヅアミドを含有する殺菌性組成物を用いる植物生病原生物である菌類の防除方法
US5073570A (en) Mono-iodopropargyl esters of dicarboxylic anhydrides and their use as antimicrobial agents
JPH0242003A (ja) 工業用殺菌剤
US4305749A (en) 2-Dihalogenomethylene-3-halogeno-3-carbalkoxy-5-oxopyrroli-dines, process for their manufacture and their use as fungicidal, bactericidal and algicidal compositions
JPH01305064A (ja) 2―フエニルスルフイニル―ニトロ―ピリジン類
US4535088A (en) Propynylaminothiazole derivatives
EP0241232B1 (en) Isoxazolylethanol derivatives
PT87764B (pt) Processo para a preparacao de eteres (azolil-vinil)-fenol-alcenilicos com efeito microbicida
KR960001204B1 (ko) N-알킬벤젠 술포닐 카르바모일-5-클로로이소티아졸 유도체 및 살미생물제
JPS60155163A (ja) イミダゾ−ル誘導体
US4166854A (en) Substituted 1-pyridinyloxy-1-(imidazolyl)-2-butanone compounds and their use as fungicides
JPS61271276A (ja) ジクロロシクロプロピルアルキル−ヒドロキシアルキル−アゾ−ル誘導体
JPS63284186A (ja) 4−トリアルキルシリルベンジルアミン誘導体、その製造法及び用途
CA1274545A (en) 3-(3-iodopropargyloxy)-propionitrile, a process for its preparation and its use
JPH03169872A (ja) 植物を病気から保護するための組成物
JPH0688975B2 (ja) 0−置換3−オキシピリジニウム塩及び該化合物を含有する殺菌剤
JPS62228001A (ja) 農業用殺菌剤
JPS63239254A (ja) ベンジルオキシベンジルアミン誘導体、その製造法およびその用途
EP0427484B1 (en) Novel benzoxazolone compounds and the use thereof as microbicides
JP2000103784A (ja) 5−アルコキシピラゾール−3−カルボキサミド誘導体およびこれを有効成分とする農薬
RU2248351C1 (ru) Замещенные 1-(пиридинил-3)-2-феноксиэтанолы-1, их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и фунгицидная композиция на их основе
JPH0678329B2 (ja) 2,4−ジクロロ−5−ニトロ−チアゾ−ル
JPS6043070B2 (ja) 5−オキソ−テトラヒドロピラン誘導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619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