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4644B1 - 쌓아 놓은 평판요소를 분리하고 들어올리기 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쌓아 놓은 평판요소를 분리하고 들어올리기 위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4644B1
KR900004644B1 KR1019870008257A KR870008257A KR900004644B1 KR 900004644 B1 KR900004644 B1 KR 900004644B1 KR 1019870008257 A KR1019870008257 A KR 1019870008257A KR 870008257 A KR870008257 A KR 870008257A KR 900004644 B1 KR900004644 B1 KR 9000046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al plate
template
roller
stand
lif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700082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01511A (ko
Inventor
후라비오 카보니에로
알도 폰티니
Original Assignee
오메라 쏘시에떼 퍼 아찌오니
카베돈 세베리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메라 쏘시에떼 퍼 아찌오니, 카베돈 세베리노 filed Critical 오메라 쏘시에떼 퍼 아찌오니
Publication of KR8800015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15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46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46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9/00Auxiliary measures taken, or devices used, in connection with loading or unloading
    • B65G69/22Horizontal loading or unloading platforms
    • B65G69/24Horizontal loading or unloading platforms having platform level adjus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9/00De-stacking of articles
    • B65G59/02De-stacking from the top of the stack
    • B65G59/04De-stacking from the top of the stack by suction or magnetic devices
    • B65G59/045De-stacking from the top of the stack by suction or magnetic devices with a stepwise upward movement of the sta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9/00De-stacking of articles
    • B65G59/02De-stacking from the top of the stack
    • B65G59/04De-stacking from the top of the stack by suction or magnetic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00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 B65H3/46Supplementary devices or measures to assist separation or prevent double feed
    • B65H3/50Elements, e.g. fingers, plates, rollers, inserted or traversed between articles to be separated and remainder of the pi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 De-Stacking Of Articles (AREA)
  • Electron Tubes For Measurement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쌓아 놓은 평판요소를 분리하고 들어올리기 위한 장치
제1도는 저장선반으로부터 공급되는 분배 및 승강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단면도.
제3도, 제4도, 제5도 및 제6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여러 작업단계의 연속과정을 보여주는 도면.
제7도와 제8도는 분리용 형판을 지지하는 스탠드와 승강용 형판을 지지하는 스탠드 구조의 상이한 형상과 관련된 두 개의 연속작업과정을 보여주는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베이스 2, 60, 77 : 스탠드
3 : 금속판의 파일 5 : 선반
7 : 금속판 8 : 흡입장치
12, 13 : 튜브-형상요소 15 : 수직실린더
17, 24, 36, 41 : 실린더 18 : 볼트
19, 39 : 수평판 21, 24, 40 : 슬라이드
22, 23 : 판 25, 34 : 롤러셋트
26, 35 : 형판(template) 27 : 편심와샤
28, 58 : 슬롯트 29, 37 : 스템(stem)
30 : 수직판 33 : 조절나사
43, 44, 45 : 롤러 51 : 유압실린더
54 : 피봇 55 : 스프링
72 : 캠 78 : 변부
본 발명은 평판요소, 이를테면 , 편평한 디스크 같은 요소를 분리하여 한번에 들어 올리고 연속작업으로 들어낼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공지된 분리장치는 아래에 깔린 저장표면상에서 파일(pile)상으로 쌓여진 평판요소상에 작용하는 리프터(lifting)장치와 연결되어 있다. 예견되는 가장 간단한 리프터 장치는 들어 올려진 조작과 접촉하는 요소이고 이것이 예정되고 조절된 힘으로 작용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스텐레스 강철판이 아닌 경우에, 예정된 인양력(lifting force)는 적절히 칫수가 정해지고 기계적 인양아암에 삽입된 자석으로 구성된다. 한편, 비자성재료 이를 테면, 스텐레스 혹은 동과 같은 재료의 경우에는 견인력이 감압에 의해 작용하는 흡입수단에 의해 실시된다. 이 경우에도 역시, 흡입장치내의 진공도를 변화시킴에 의해 인양력이 증가될 수 있고 또 예정된 중량을 들어올리도록 맞추어질 수 있다.
하나의 평판요소와 파일내의 다음 요소사이가 변태하여 접착상태로 변해있을 때 각각의 개별요소를 분리하여 들어올리는데 노력이 필요하다는 것은 명확하다. 이런 사태는, 예를 들어, 앞서의 작업에서 남은 오일이 건조되어 하나의 금속판과 다음판 사이에서 실제의 접착제로 작용할 때 발생한다. 다른 변화요소는 녹이나 혹은 브래킹 부르(blanking burr)등이다.
이들 모든 요소는 흡입장치 혹은 자석이 하나의 판을 분리하고 들어올리는데 필요한 노력을 크게 변동되게 한다. 다라서 흡입장치 혹은 자석에 의해 가해진 인양력이 하나의 판조각의 중량보다 큰 힘이 필요되기 때문에, 때때로 하나가 아닌 두조각의 판을 동시에 들어올리는 경우가 일어난다. 만일 두 조각이 함께 들어올려지고 부주의로 블랭킹 혹은 드로우닝다이아래 놓여지면, 이 다이(die)는 부서지게 되고, 심지어는 다이를 부착하고 있는 프레스도 심각한 손상을 받을 것이다.
이러한 이유로 공지의 기술은 각 하나의 판을 들어 올림에 있어 일정한 정도를 얻기 위해, 예를 들어, 파일의 판조각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상에 배열된 지형있는 바아를 가지고 있어 통상 디스크형상인 판조각들이 스스로 분리되도록 파일 들어올림에 있어 일정한 정도를 얻기 위해, 예를 들어, 파일 앞에서 쌓여진 조각을 하나씩 벗겨냄에 의하여, 각기 하나의 판조각 들어올림에 있어 정확도를 높이려고 노력해왔다.
이들 시스템은 일부 타입의 금속판에는 만족한 결과를 나타내었지만 십분지 6-7밀리미터를 넘는 금속판이고 그의 직영이 300-350 밀리미터 이상일 때는 적용에 한계가 있음을 발견했다. 사실 이들 한계를 넘을 때는 굽힘에 의한 금속판의 박피는 금속판의 저항 때문에 더 이상 실효성이 없다.
다른 분리방법은 전체 파일의 진동에 기초한 것이 존재하지만 이들 또한 심각한 불균일성의 결점과 복잡함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주요 목적은 절대적으로 정확한 분리를 가능하게 하여 금속판의 두께, 그의 칫수, 재료의 종류, 금속판을 쌓을 때의 저장조건등에 관계없이 하나씩 개별적으로 들어 올릴 수 있는 분리장치를 얻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신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간단하고, 금속판파일의 편평한 상태에 영향을 받지않는 분리시스템을 구비하는 것이다.
최소한의 목적은 유지관리가 거의 필요없고 경제적이며 사용하기 쉬운 장치가 되게 하는 것이다.
상기 언급한 모든 목적과 기타 장점들은 이후 설명될 것이다. 이들 목적과 장점은 그의 하부중앙부분에 개구부가 있어 금속파일의 저장을 위한 테이블이 들어가도록 하는 지지프레임과 두 개의 측부스탠드를 포함하는 구조물로서 얻어지며 상기 측부스탠드의 각각은 그의 하부단부에서 분리될 금속판을 받고 이들을 안내하는 캐리어를 장착하고 있다. 각 스탠드는 또 금속판을 분리하고 들어올리기 위한 형판을 가지는데 이것으로 금속판을 수평이동시킨 후 아래 금속판으로부터 그의 모서리중 하나를 수직으로 들어올림에 의해 각 금속판의 분리가 실시된다. 전술한 이동은 하나의 측부스탠드의 하부단부에 위치된 롤러셋트의 하측에 고정된 표준칫수의 형판에 의해 수평으로 움직여지고 장치를 형성하는 반대측 스탠드의 하부단부에 위치된 표준칫수의 형판에 의해 수직으로 움직여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작업싸이클의 시작에서, 장치의 두 측부스탠드는 전술한 스탠드에 의해 지지되고 슬라이드내에 조합된 롤러셋트가 분리되고 들어올려질 판인 파일의 상부 금속판에 놓여질 때까지 낮추어 진다.
이점에서, 분리용 형판을 지지하는 롤러셋트가 수평으로 움직이면, 형판이 롤러셋트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형판에 의해 하나의 금속판이 측방으로 밀리게 된다. 상기 형판은 롤러에 비해 분리될 판의 두께에 해당하는 거리만큼 낮추어져 있다. 한편, 다른 스탠드에서는 금속판을 들어올리게 작동하는 형판이 들어올려진 판보다 항시 높은 위치에 위치된다. 이 거리는 금속판의 두께보다 약간 커서 수평으로 움직여진 판의 부분이 그의 상부표면으로 인양형판과 접촉하게 된다.
장치의 다른 움직임은 형판을 위로 움직여 금속판의 모서리가 들어올려지게 하고, 이동안 다른 스탠드의 롤러 셋트는 측방으로 옮겨진 금속판에 계속 놓여있는다. 따라서 금속판은 파일에 속해 있는 아래에 깔린 금속판으로부터 완전히 분리된다. 이점에서 아암에 의해 지지되는 마그네트 혹은 흡입장치는 완전히 분리된 금속판을 들어올릴 수 있게 된다. 싸이클은 형판이 로울러셋트와 함께 그들의 초기위치로 돌아왔을 때 끝난다.
이 장치의 장점중 하나는 판의 분리가 파일로부터 분리될 금속판의 편평도에 영향을 받지 않는 것이다.
실제 장치의 스탠드와 조합되는 롤러의 셋트는 분리되고 들어올려질 개개의 판에 놓이도록 가고 이는 금속판이 완전히 편평하지 않더라도 실행가능하다. 도 다른 장점은 두 개의 두께가 일정한 기계적인 마스터 게이지와 연관되어 있기 때문에 이 장치는 유지관리의 필요성을 증가시키는 접근 감지기 혹은 정고한 장치의 장비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장점과 특징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선호되는 두 개의 실시형태를 설명하므로부터 좀더 잘 알게될 것이다. 그러나 이를 도시되고 기술되는 실시형태는 오직 보기로써 제시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의미는 없다.
언급된 도면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기본적으로 지지베이스(1)와 스탠드(2)로 구성된 금속구조물상에 장착되어 있다. 전술한 금속구조물에는 금속판(3)의 파일이 들어갈 수 있게 되어 있고 이 금속판은 선반(5)의 단부에 장착되어 지는 플랫포옴에 의해 들어올려지고 이는 스탠드(2)에 의해 안내되어지는 회전나사(6)의 구동력 아래 수직이동한다. 공지된 형태의 구동장치- 따라서 상세히 설명히 도시하지 않았음-는 금속판이 자동이송아암에 의해 분리되고 제거되므로써 파일(3)이 점진적으로 위로 움직이도록 하는 원인이 된다.
제2도를 참조하면, 전체로서 부호(10)으로 표시된 분리 및 인양장치는 스탠드(2)와 연결된 강판으로 구성된 구조물에 의해 지지된다. 두 개의 튜브-형 요소(12)와 (13)은 상수평강판 위에 고착된다.
요소(12)는 플랜지(14)에 의해 볼트로 강판(11)에 고착된다. 튜브-형상요소(12)의 상측변부는 스템(16)을 가지는 공압실린더(15)를 가진다. 이 스템은 차례로 또 다른 실린더(17)와 연결되고 이 실린더는 튜브-형상요소(12)내에서 미끄럼 운동한다. 실린더(17)의 하측변부는 일련의 볼트(18)에 의해 한쌍의 도브테일요홈(20)이 있는 수평판(19)에 체결되어 있다. 슬라이드(21)는 이들 요홈내에서 움직인다. 전술한 슬라이드(21)는 두 개의 판(22)와 (23)을 포함하고 이 판들은 그에 용접되어 있고 수직으로 배열되어 있다. 공압실린더(24)는 판(22)에서 차단되었지만 판(23)은 롤러셋트(25)와 표준칫수에 맞춘 형판(26)을 위한 지지체로써 작용한다.
스템(16)과 이로 인한 실린더(17)의 최대 수직행정의 조절은 슬롯트(28)내에서 미끄럼 운동하는 편심와샤(27)의 도음으로 수행되지만, 실세, 실린더(17)의 행정은 롤러(25)의 셋트가 금속판 파일(3)에 놓이는 사실에 의해 제한된다.
슬라이드(21)의 수평행정은 공압실린더(24)에 의해 실시되고 이의 스템(29)은 그의 단부의 수직판(30)에서 차단된다. 이 수직판은 수평판(19)과 견고히 연결된다. 형판(26)은 판(23)의 수평변부(31)에 나사에 의해 고착되지만 롤러셋트(25)는 조절나사(33)에 의해 수직조절을 진행한다. 형판(26)의 최하부점과 롤러셋트(25)의 최하부점 사이의 차이는 들어올려질 금속판의 두께보다 약간 작게 유지시켜, 이후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형판이 한번에 하나의 판만을 측방으로 밀도록 한다.
롤러셋트(25)와 형판(26)과 관련하여 기술된 것은 롤러셋트(34)와 인양형판(35)의 운동에도 적용된다.
실제, 공압실린더(36)는 스템(37)과 함께 실린더(38)를 움직이고 이는 튜브-형요소(13)내에서 미끄럼운동한다. 수평판(39)는 실린더(38)와 견고하게 연결되고 또 슬라이드(40)을 지지하며, 이 슬라이드는 공압실린더(41)에 의해 수평으로 움직이도록 만들어진다. 이 경우에도 역시 롤러셋트(34)와 형판(35)사이의 상대위치는 나사수단(42)에 의해 조절된다. 형판(35)의 최하부점과 롤러셋트(34)의 최하부점 사이의 차이는 이 경우 들어올려질 금속의 두께보다 약간 크다, 실제, 계속 지적되는 바와같이 분리된 금속판은 어떤 장애물에도 방해받음이 없이 형판(35)의 상부에 놓일 수 있다.
금속판을 분리하고 들어올릴 수 있게 하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조정된 움직임은 하기와 같다. 제3도에서 관찰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실린더(15)와 (36) 각각에 의해 구동되는 롤러셋트(25)와 (34)는 이들이 분리되고 제거될 금속판의 파일(3)에 놓이게될 때까지 수직으로 내려간다.
이 단계중에, 롤러셋트(25)는 그의 롤러(43)만 게 파일(3)에 놓이는 한편 롤러(44)는 파일에서 떨어져있다. 롤러(43)와 (45)에 의한 두 롤러셋트에 의해 가해진 압력은 조절가능하고, 이는 명백히 공압실린더(15)와 (36)의 미는 힘에 의존한다.
이 압력의 목적은 제거될 금속판을 가능한대로 편형하게 하는 것이다.
이후, 판(23)을 파일(3) 쪽으로 움직이게한 공압실린더(24)가 작동된다. 결과적으로 형판(26)은 금속판이 분리되고 들어올려질 파일의 금속판(7)의 두께에 비스듬히 기대게 되고, 이에 따라 이 금속판(7)이 수평면으로 움직여, 금속판 자체의 일부가 제4도에서 관찰되는 바와 같이 측방형판(35)위에 오도록 하는 원인이 된다.
이 점에서, 방금 일어난 분리가 하나의 금속판에만 관련되어 일어날 수 있음을 직시할 필요가 있다. 실제, 두께의 실제기준은 둘이다. 제1도의 기준은 롤러셋트(25)의 롤러(43)과 (44)의 평면과 관련하여 하나만의 판이 롤러셋트(34)를 향하여 밀릴 수 있도록 금속판의 두께보다 작은 거리에 위치되는 형판(26)이고 제2의 기준은 롤러셋트(34)의 롤러(45)의 최하부점에 관련하여 금속판의 두께를 약간 넘지마는 두 금속판의 합해진 두께보다는 항상 작은 거리만큼 낮추어진 형판(35)의 위치에서 관련된다.
금속판(7)이 형판(26)에 의해 측방으로 옮겨지고, 형판(35)의 상부에 올려진 후, 실린더(41)에 의해 구동되는 롤러셋트(34)가 뒤로 물러남과, 동시에 실린더(36)에 의해 당겨지는 형판(35)은 위로 움직인다. 따라서 롤러셋트(25)에 의해 일측에서 계속 눌려진 분리된 금속판(7)은 휘어지고 이에 의해 이들 금속판들이 한데 뭉쳐졌더라도 이 금속판을 그 아래의 판으로부터 분리되게 하는 원인이 되며 처음의 판이 그의 위치에 계속 고정되어 있더라도 흡입장치(8) 혹은 자석장치들에 의해 들어오라는 작업을 쉽게 만든다.
금속판(7)의 인양, 결국 형판(35)의 상향이동은 실린더(36)의 스템(37)의 행정을 조절함에 의해 조절가능하다. 전술한 조절은 아래에 깔린 금속판으로부터 분리된 금속판을 떼어내는데 충분한 거리로 금속판(7)을 들어올리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에 필요하다. 흡입장치(8)가 안정하게 금속판을 집었을 때 롤러셋트(25)는 수평이동으로 뒤로 빠져 파일(3)의 기표면으로부터 벗어난다. 동시에 이는 위로 움직여 금속판(7)의 들어올리는데 필요한 영역을 비워준다. 따라서, 금속판은 흡입장치(8)에 의해 한정적으로 제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인 분리 및 인양장치의 실시의 다른 형테에 따르면, 롤러셋트와 형판의 수직 및 수평운동이 간단한 형태로 얻어질 수 있는데 여기서는 롤러셋트와 형판의 각 그룹을 위해 하나의 유압식 혹은 공압식 실린더의 사용이 예견된다. 전술한 단일 실린더는 적당한 기계적 유니트의 도움으로 양방향의 필요운동-수직 및 수평운동-을 만든다.
실제, 제7도와 제8도를 참조하면, 전체로서 부호(50)으로 표시된 좌측상의 유니트는 그의 상부에 하나의 공압식 혹은 유압실린더(51)를 포함하고, 적절히 안내되는 이의 스템은 스탠드의 하부부품(52)과 견고히 연결되어 있다. 이 표면에 수직으로 그의 시이트내에서 자유로이 미끌어지고, 피봇과 동축인 공통내에 시이트가 있는 스프링(55)에 의해 하부로 돌출하고 있는 피봇(54)이 있다. 스프링(55)은 작은 블록(57)에 고착된 원통형 스틱(56)에 의해 안내된다. 이는 또 포스터(52)에 견고히 연결되어 있다. 피봇(54)의 미끄럼운동은 속으로, 핀(59)이 삽입된 슬롯트(58)에 의해 제한된다. 전술한 핀은 피봇(54)의 하측단부는 또다른 스탠드(60)속으로 삽입되고 이는 머리없는 나사(61)에 의해 이속에 차단된다. 스탠드(60)는 롤러(25)와 형판(26)의 하측단부에서 기계적 장치를 포함한다. 이 장치는 앞서의 실시예에 이미 설명되어져 있다.
(51)의 피스톤이 작동되었을 때 스탠드(52)가 낮추어지고 스탠드(60)는 이에 따라 그 자신을 낮추어 롤러셋트(25)가 분리되고 들어올려질 금속판(7)에 기대어지도록 한다. 실린더(51)의 피스톤이 아래로 계속 움직이므로 스탠드(52)도 그렇게 된다. 따라서 금속판(7)상의 롤러셋트(25)에 이미 기대고 있는 스탠드(60)는 피봇(54)이 스탠드(52)의 하향움직임 때문에 그의 시이트내에 다시 들어가도록 힘을 받아 수평으로 움직인다. 따라서, 제8도에서 관찰된 바와같이 형판(26)에 의해 밀린 금속판(7)의 수평이동이 얻어진다.
방금 설명된 실시예는 제2도의 실시예에서 표현된 수평실린더(24)를 제거한 덕분에 구조가 간단해지고 구성요소와 제어장치의 사용수가 줄어들게 될뿐 아니라, 작동의 동시성을 보장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는 전기적, 공압식 혹은 유압식 제어의 조합이 아닌 기계적인 두께측정에 의해 결정되기 때문에 확실하다. 실제하나, 제7도와 제8도에 표현된 실시예 형태를 위해서는 이런 제어가 절대 필요없다.
전체가 부호(70)로 표시된 롤러 및 인양형판 유니트 셋트에 관해서는 롤러셋트(34)가 들어올려질 금속판(7)에 놓여질 필요가 있음이 중요하고, 또 이 롤러셋트가 형판(26)에 의해 작동되는 분리과정중에 전술한 금속판에 놓여 유지됨이 중요하다.
금속판의 분리가 일어난 후, 형판(35)에 의해 실시되는 다음의 들어올림을 위해 롤러셋트가 뒤로 물러나고 금속판(7)의 변부를 통하여 지나는 수직선의 외측에 유지되어 흡입장치(3)혹은 이의 등가물에 의해 분리된 금속판의 들어내는 것이 가능하게 한다.
제7도와 제8도에서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2도의 보기의 실린더(41)에 의해 작동되는 롤러셋트(35)에 의해 작동되는 수평이송이 회전운동으로 바뀌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동일한 결과를 얻어 실제로 분리된 금속판(7)의 운동범위 밖에 롤러셋트를 위치시키게 된다.
전술한 회전은 실린더(71)가까기에 부분(73)이 적절히 형성된 고정된 캡(72)을 위치시킴에 의해 얻어진다.
롤러셋트(34)는 (75)에서 힌지연결되고 또 이는 스프링(76)의 압력하에 고정되어 있어 실린더(71)의 위치가 위로 끌러올라갈 때 롤러셋트는 그 자신을 제7도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시킨다. 한편 금속판(7)을 분리하는 작업은, 제8도에서 관찰될 수 있는 바와같이, 진행할 때 실린더(71)의 피스톤의 아래로 미는 힘이 맨먼저 스탠드(77)와 견고하게 연결된 형판(35)을 금속판(7)을 받기에 적당한 위치로 옮겨, 롤러셋트가 수직위치에로 정렬된 후 금속판(7)에 기대도록 한다. 캠(72)의 변부(78)는 롤러셋트가 전술한 수직위치로 가도록 민다.
이 경우 역시 어떻게 실린더(41)가 이일을 수행하고 이 실린더가 또 구조공정을 절약하게 하면서 인양유니트를 간단하게 하고 이동의 동시성에 절대적인 정밀도를 가져오는가를 알 수 있다.
도시되고 기술된 바와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제안된 모든 목적을 달성했다. 실제 제안된 장치는 분리 장치가 금속판의 두께에 대해 일정한 두께를 가진 분리형판에 기초하기 때문에 오직 하나만의 금속판의 제거를 보장한다.
또한 전술한 구조의 장치는 특별한 정밀센서 혹은 다른 정교로 하고 값비싼 장치를 요구하지 않음을 관찰 할 수 있다.
명백하게, 제조공정중에 발급 기술된 장치의 구조의 변화가 도입될 수 있다. 전술한 변화도 첨부된 청구범위내에서 기술되고 정의된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넘지 않을 것이다.

Claims (7)

  1. 파일(pile)상태로 쌓여진 평판요소 특히 금속판을 분리하고 들어내기 위해 하부중앙부분에 금속판의 파일(3)받아들이기 적당하게 열려있는 구조물을 가지는 지지프레임을 포함하고, 각기 하단부에 한셋트의 롤러를 가지며 분리되어 들어올려질 금속판에 기대고 안내할 두 개의 측부스탠드와 금속판을 분리하고 금속판 부분의 각각을 들어올리기 위한 형판을 포함하며, 각 금속판의 분리가 처음 수평이동후 수직으로 들어올려 들어냄에 의해 실시되고, 전술한 수평이동은 장치의 스탠드의 하나에 연결되고 롤러셋트(25)의 아래에 고정된 형판(26)에 의해 이루어지고 들어올리는 이동은 다른 스탠드의 아래단부에 위치되어 있는 롤러셋트(34)의 아래에 고정된 형판(35)에 의해 이루어짐에 특징이 있고, 또 파일로부터 분리하여 들어올려질 금속판(7)이 흡입장치(8) 혹은 자석수단 혹은 다른 이들의 등가물에 의해 들어내짐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상태로 쌓여진 평판요소의 분리와 제거를 위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금속판을 분리하고 들어올리는 작업이, 먼저 두 스탠드의 각각에 속하고 선택되어 제거될 금속판 파일상에 기댄 두 롤러셋트(25, 34)를 낮추고, 이후 연속하여 금속판 파일쪽으로 롤러셋트(25)와 형판(26)을 수평이동시킨후, 이동된 하나의 금속판을 받아들인 형판(35)을 위로 들러올린 후, 뒤이어 들어올리는 장치의 상부에 위치된 롤러셋트(34)를 빼낸 후, 최종적으로 이때까지 파일상에 놓여있던 롤러셋트(25)와 형판(26)을 들어올려 빼내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분리될 금속판(7)을 수평으로 미는 형판(26)이 롤러셋트(25)의 롤러(43, 44)가 놓인 수평면에 대해 금속판의 두께를 넘지 않는 거리만큼 아래로 내려가 있고, 또 분리되고 들어내어질 금속판을 들어올리는 작업을 하는 형판(35)이 롤러세트(34)의 롤러(45)가 놓인 평면에 대해 금속판의 두께를 약간 넘는 거리만큼 내려가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 롤러셋트와 형판을 위한 금속판을 분리하고 들어올리는 형판들의 롤러셋트(25, 34)의 이동이 유압식 혹은 공압식 수직실린더(15, 36) 혹은 유압식 혹은 공압식 수평실린더(24, 41)에 의해 얻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롤러셋트(25, 34)와 이들의 각 평판사이의 거리조절이 롤러셋트(25, 34)를 수직으로 움직이는 나사(33, 42)를 회전시킴에 의해 얻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6. 제1항 내지 제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금속판을 분리하는 롤러와 형판 유니트 셋트(25, 26)가 하나의 유압식 혹은 공압식 실린더(51)에 의해 구동되고, 이 실린더는 경사진 표면(53)을 가진 바닥에서 끝나고 슬라이딩 피봇(54)에 의해 또다른 스탠드(60)에 연결된 스탠드(52)를 수직으로 움직이며, 상기 또다른 스탠드(60) 역시 경사진 표면으로 상부에서 끝나 있으며 제1의 경사진 표면(53)에 평행하고, 전술한 하부 스탠드(60)는 상부스탠드(52)가 단일 실린더(51)의 상부스탠드와의 연결된 작용 때문에 수직으로 움직일 때 수평으로 움직이는 롤러(25)와 형판(26)의 셋트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분리된 금속판을 들어올리는 롤러 및 형판셋트의 유니트(34, 35)가 하나의 유압식 혹은 공압식 실린더(71)에 의해 구동되고, 이 실린더는 상부에 위치된 롤러셋트(34)와 인양형판(35)을 지지하는 스탠드(77)를 움직이고, 전술한 롤러셋트(34)는 스탠드(77)상에 수평으로 배열된 힌지(75)를 중심으로 회동할 수 있게 되고, 전술한 롤러셋트는 스프링(76)의 미는 압력하에 고정되어 있고, 이 스프링이 상기 롤러셋트를 수직선에 관해 일정한 각으로 위치시킴에 특징이 있고, 또 실린더(71)의 수직이동중에 롤러셋트가 고정된 캠(72)의 상부에 놓였다가 분리되도록 하고 또 롤러셋트가 제거될 때 이동영역을 비워주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1019870008257A 1986-07-29 1987-07-29 쌓아 놓은 평판요소를 분리하고 들어올리기 위한 장치 KR90000464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IT85583A/86 1986-07-29
IT85583A86 1986-07-29
IT85583/86A IT1205553B (it) 1986-07-29 1986-07-29 Dispositivo di selezione per elementi piani impilati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1511A KR880001511A (ko) 1988-04-23
KR900004644B1 true KR900004644B1 (ko) 1990-07-02

Family

ID=113284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08257A KR900004644B1 (ko) 1986-07-29 1987-07-29 쌓아 놓은 평판요소를 분리하고 들어올리기 위한 장치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4824308A (ko)
EP (1) EP0255040B1 (ko)
JP (1) JPS63101233A (ko)
KR (1) KR900004644B1 (ko)
CN (1) CN87105325A (ko)
AT (1) ATE57364T1 (ko)
BR (1) BR8703898A (ko)
DE (1) DE3765492D1 (ko)
IT (1) IT120555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814075A1 (de) * 1988-04-26 1989-11-09 Gao Ges Automation Or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vereinzelung von in einem stapel vorliegenden karten
US5807065A (en) * 1997-01-21 1998-09-15 Kuhl; Jeffrey B. Apparatus for automatically unstacking horizontal lid members from a vertically extending stack thereof
US5791867A (en) * 1997-01-21 1998-08-11 Kuhl; Jeffrey B. Apparatus for automatically unstacking of trays from a vertically extending interlocking stack thereof
US5934866A (en) * 1997-01-30 1999-08-10 Gelco International L.L.C. Plate feeder apparatus
US6024533A (en) * 1998-09-30 2000-02-15 Gelco International L.L.C. Battery plate feeding and handling apparatus
DE10330010B4 (de) * 2003-07-03 2006-09-07 Heidelberger Druckmaschinen Ag Vorrichtung zum Anheben von einzelnen flächigen Objekten, insbesondere von zu belichtenden Druckplatten
JP3862084B2 (ja) * 2003-10-30 2006-12-27 ホリゾン・インターナショナル株式会社 冊子反転装置
JP2005320158A (ja) * 2004-05-03 2005-11-17 Helmut Steinhilber パイルの記録媒体のシートをさばく方法および装置
US7226271B1 (en) 2004-05-24 2007-06-05 Honda Motor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feeding plates
CA2597517C (en) * 2005-02-14 2010-08-24 Honda Motor Co., Ltd. Method of separating plate member
JP4935442B2 (ja) * 2007-03-16 2012-05-23 村田機械株式会社 板材搬出装置および板材搬出方法
EP2195267B2 (de) * 2008-03-12 2018-11-07 Schuler Automation GmbH & Co. KG Verfahren zum entstapeln von plattenförmigen teilen
WO2012119915A1 (en) * 2011-03-04 2012-09-13 Crown Packaging Technology,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separating discs of metal from a stack of discs
CN102874618A (zh) * 2012-09-26 2013-01-16 苏州澳昆智能机器人技术有限公司 衬板投放机
DE102012218990B4 (de) * 2012-10-18 2017-10-19 Bundesdruckerei Gmbh Vorrichtung zum Vereinzeln von einen Stapel bildenden Nutzenbögen
CN103273184B (zh) * 2013-04-27 2015-07-08 浙江金鹰食品机械有限公司 用于电阻焊机的梳齿装置
US9682415B2 (en) * 2014-03-26 2017-06-20 Novelis Inc. De-stacking process for the separation of lubricated aluminum sheets
CN104150232B (zh) * 2014-07-24 2016-05-11 上海理工大学 钢板自动分张装置
CN104326256B (zh) * 2014-11-26 2017-02-22 太仓四方友信制桶有限公司 底盖自动收集机构
CN104624830B (zh) * 2014-12-27 2017-01-04 芜湖赛特施工设备有限公司 一种圆盘类薄片自动冲孔机床用单件输出器
CN105923428A (zh) * 2016-06-26 2016-09-07 合肥志邦家居有限公司 一种厨柜板材的机械手上料装置
CN107511435A (zh) * 2017-09-02 2017-12-26 安徽海拓志永智能装备股份有限公司 一种可调式磁力分张器
CN109482774B (zh) * 2018-10-28 2020-12-18 六安市匠心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汽车车门外板成型辅助设备
CN109226478A (zh) * 2018-10-28 2019-01-18 冯建娟 车门外板成型设备
CN109604471B (zh) * 2018-12-02 2020-12-18 六安市匠心信息科技有限公司 客车行李舱门板成型辅助装置
CN109590401B (zh) * 2018-12-02 2020-12-01 江苏弗莱迪斯汽车系统有限公司 一种客车行李舱门板成型设备
CN110271859A (zh) * 2019-06-20 2019-09-24 山东魔方新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石墨板自动上料装置
CN110668154B (zh) * 2019-09-30 2020-11-06 烟台大学 一种分张机构及分张方法
CN111438287B (zh) * 2020-04-14 2021-09-24 优箔(洛阳)金属材料有限责任公司 一种金属板材轧制装置
CN113771074B (zh) * 2021-10-13 2023-08-29 潍坊新松机器人自动化有限公司 一种压边型搬运薄板机器人
CN114313775A (zh) * 2021-12-27 2022-04-12 盐城工学院 双工位双吸盘上料机
CN115448003A (zh) * 2022-10-24 2022-12-09 刘富建 导光板生产设备及应用其的生产工艺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662648A (en) * 1951-11-13 1953-12-15 Robert J Van Schie Sheet metal separating device
US3806113A (en) * 1970-06-16 1974-04-23 A Nielsen Sheet feeding apparatus
DE2313598A1 (de) * 1973-03-19 1974-09-26 Wemhoener Kg Maschinen Und Anl Vorrichtung zum abheben, transportieren und absetzen von plattenartigen werkstuecken zum anbau an stapel- und beschickungsgeraete
SU620316A1 (ru) * 1976-03-09 1978-08-25 Специализированное Проектное И Конструкторско-Технологическое Бюро Литейного И Кузнечного Производства Устройство дл отделени верхнего листа от пакета
SU776974A1 (ru) * 1978-10-25 1980-11-07 Предприятие П/Я М-5304 Устройство дл поштучного отделени листов от стопы
SU902939A1 (ru) * 1980-06-11 1982-02-07 Домодедовский Завод Металлоконструкций Устройство дл отделени верхнего листа от стопы и подачи его в зону обработки
US4453873A (en) * 1982-03-11 1984-06-12 Ezio Curti Automatic supporting plate loader
DD239189A1 (de) * 1985-07-08 1986-09-17 Moebelkombinat Zeulenroda Stam Entstapelungsvorrichtung fuer stapel planparalleler quaderfoermiger stapelelemente ohne zwischenleist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8703898A (pt) 1988-04-05
IT8685583A0 (it) 1986-07-29
JPS63101233A (ja) 1988-05-06
US4824308A (en) 1989-04-25
ATE57364T1 (de) 1990-10-15
DE3765492D1 (de) 1990-11-15
EP0255040A1 (en) 1988-02-03
IT1205553B (it) 1989-03-23
CN87105325A (zh) 1988-08-17
EP0255040B1 (en) 1990-10-10
KR880001511A (ko) 1988-04-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00004644B1 (ko) 쌓아 놓은 평판요소를 분리하고 들어올리기 위한 장치
EP0423065B2 (de) Entstapelgerät zum Abnehmen eines Teilstapels von einem Blätterstapel
US4055258A (en) Sheet material de-stacking machine
CA1276195C (en) Semi-rigid sheet separation device and method
EP0252084B1 (de) Fertigungssystem für die automatische bearbeitung metallischer werkstücke
EP0413341A2 (en) Apparatus for stripping molded rubber products from a product sheet
NL8902274A (nl) Ponsmachine.
US4540084A (en) Device for automatically transferring printed circuit base plates from the loading to the printing zone
GB2100708A (en) A materials-handling machine
CN218973829U (zh) 自动化线圈马达检测性能装置
DE2947922A1 (de) Stapelhebevorrichtung
DE4436531C1 (de) Verfahren zum Überführen von mehrreihig aus einer thermoplastischen Kunstoffolie geformten und ausgestanzten Artikeln in einreihige Stapel und Vorrichtung zur Durchführung des Verfahrens
US4193726A (en) Apparatus for handling of flat goods
CN115044957A (zh) 一种压辊装置
US5076754A (en) Apparatus for forming stacks from consecutively conveyed, flat workpieces
CN218926119U (zh) 一种新型锻造机
CN218874268U (zh) 一种容器支撑结构
KR19980063429A (ko) 리드프레임의 분리이송장치
CN220596351U (zh) 一种芯片料盘的分盘结构
CN117589688B (zh) 一种桥梁伸缩缝钢结构检测装置及其方法
CN215207067U (zh) 一种长型材、长材料自动上料装置
CN217755688U (zh) 一种用于料卷的穿杆装置
JPS6243630Y2 (ko)
US2074573A (en) Nailing table for box lidding machines
SU1541166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поштучного отделени и подачи листовых заготовок из стоп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