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4423Y1 - 코일 부품 - Google Patents
코일 부품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900004423Y1 KR900004423Y1 KR2019870008107U KR870008107U KR900004423Y1 KR 900004423 Y1 KR900004423 Y1 KR 900004423Y1 KR 2019870008107 U KR2019870008107 U KR 2019870008107U KR 870008107 U KR870008107 U KR 870008107U KR 900004423 Y1 KR900004423 Y1 KR 900004423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il
- terminal
- extension
- coil part
- pipe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5/00—Coils
- H01F5/04—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ions to coils, e.g. lead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5/00—Coils
- H01F5/04—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ions to coils, e.g. leads
- H01F2005/043—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ions to coils, e.g. leads having multiple pin terminals, e.g. arranged in two parallel lines at both sides of the coi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ils Of Transformers For General Us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코일부품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코일부품의 제조방법의 예를 순서적으로 도시한 공정도.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코일부품의 다른 실시예의 조립공정의 예를 도시한 일부단면정면도.
제4도는 제3도 실시예의 커넥터부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정면도.
제5도는 제3도 실시예의 단면도.
제6도는 종래 코일부품예를 도시한 정면도.
제7도는 제6도의 측면도.
제8도는 종래 코일부품의 다른 예를 도시한 정면도.
제9도는 제8도의 측면도.
본 고안은 모터, 리레이, 트랜스, 소레노이드 기타에 이용되는 코일부품에 관한 것이다.
종래 모터, 리레이, 트랜스, 소레노이드, 기타 전자력을 응용한 기기 또는 부품에는 코일부품이 이용된다.
코일부품에서는 코일부에 통전하기 위한 선재의 단부처리가 문제로 된다.
종래의 코일부품에는 선재의 단부처리방식에 따라 다이렉트, 리이드선방식, 단자방식등이 있다.
제6도 및 제7도는 다이렉트 리이드선방식이 예시되어 있으며, 보빈(1)에 선재를 권회하여 되는 코일부(2)의 선재단부에 리이드선(3)이 납땜되어 이 리이드선(3)을 개재하여 소정의 개소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납땜부에는 절연튜브(4)가 씌워지며 또 납땜부의 가동방지를 겸한 절연튜브가 코일부(2)의 외주에 감겨져 있다.
제8도 및 제9도는 단자방식이 예시되어 있으며, 보빈(5)의 외주부에 단자(6)를 돌출시켜 고정하여 두고 보빈(5)에 선재를 권회하여 되는 코일부(7)의 선재단부를 단자(6)에 납땜하여 이 단자(6)에 외부 리이드선을 접속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다이렉트 리이드선방식에 의하면, 권선후의 코일단부의 처리를 손작업에 의존할 수밖에 없어 잘못 배선하거나 절연불량, 리이드선의 인장강도 부족등의 품질상의 문제점을 일으키고 또 원가도 높아진다.
또 상기 단자방식에 의하면, 품질상의 문제는 적어지나 단자를 보빈에 하나하나 박아놓을 필요가 있기 때문에 원가가 높고 소형화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이와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시키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잘못 배선하거나 절연불량 또는 강도부족과 같은 품질상의 문제점을 해소시키는 동시에 구성이 간단하며 원가도 저렴하고 또한 소형화가 가능한 코일부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선재를 권회하여 되는 코일부와 이 코일부에서 코일부를 구성하는 선재를 필요한 길이만큼 연장하여 형성한 연장부와 이 연장부에 접속시킨 단자로 되며 이 코일부와 연장부 및 단자부를 보강용 시이트재로 포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코일부와 연장부 및 단자부가 보강을 시이트재로 포장되는 것에 의해서 연장부 및 단자부가 보강되기 때문에 단자부를 그대로 외부와의 접속에 이용할 수가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코일부품의 실시예를 도면에 의하여 설명한다.
제1도에 있어서, 파이프(24)에 선재를 권회하여 되는 코일부(11)의 외표면 여러곳에 핫트의 접착제에 의해서 고착되어 코일부(11)의 형태가 흐트러지지 않도록 유지되어 있다.
코일부(11)는 2개의 선재로 되며 각 선재의 단부는 필요한 만큼의 길이로 연장되어 (연장부 15를 포함) 다수의 연장부를 구성하고 있다.
각 연장부중 하나의 연장부는 각 선재의 일단부를 꼬아 합치는 것에 의해서 중간 탭을 구성하고 있다. 각 연장부의 근본부는 코일부(11)의 외표면에 핫멜트의 접착제에 의해서 고착되어 있다.
연장부(15)를 포함한 각 연장부의 선단부에는 각각 단자(30)가 접속되어 있다. 코일부(11)와 연장부(15)를 포함한 각 연장부와 단자(30)부는 보강용 시이트재(33)에 의해서 일체적으로 포장되어 있으며 단자(30)의 선단부가 보강용시이트제(33)로부터 노출되어 있다.
보강용시이트제(33)는 파이프(24)의 내주구멍에 대응하는 부분이 제거되어 있다. 파이프(24)는 플래스틱등의 비자성재로 만든다.
또한 코일부(11)는 상기한 바와같이 접착제에 의해서 형태가 유지되어 있으므로 반드시 파이프(24)를 이용할 필요는 없다.
상기 실시예에 따른 코일부품에 의하면, 코일부(11)와 각 연장부 및 단자(30)부가 보강용 시이트제(33)에 의해서 일체적으로 포장되어 있으므로 연장부가 충분한 강도를 갖도록 보강되어 연장부를 일단 고정단자등에 중계할 것 없이 단자(30)부를 직접 외부회로에 접속할 수가 있다.
다음 상기 실시예에 따른 코일부품의 제조방법의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2a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플랜지(21)와 이 플랜지(21)의 중앙에서 일체로 돌출한 심봉(22)을 가져서 되는 권선부를 권선기에 부착한다. 플랜지(21)에는 외주측에서 반경방향으로 다수의 홈(21a)이 형성되어 있으며 심봉(22)의 선단부에는 나사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권선부의 상부에는 2개의 노즐(23)이 있다.
상기 심봉(22)에는 제2b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파이프(24)를 끼운 다음 다른 플랜지(25)의 중심 구멍부가 끼워진다. 파이프(24)는 플래스틱등의 비자성의 것이 이용된다. 플랜지(25)에도 외주측에서 반경방향으로 다수의 홈(25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심봉(22)의 선단부나사에는 제2c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너트(26)가 나합되어 쌍방의 플랜지(21), (25)와 심봉(22) 및 파이프(24)가 일체적으로 결합되어 보빈형상의 것이 형성된다. 이 보빈형상의 것에는 노즐(23)에서 도입되는 2개의 선재(27)가 권회된다. 이 경우 이 보빈형상의 것을 회전구동하는 것에 의하여 권선을 하게 한다.
여기서 2개의 선재(27)의 각선단부는 임의의 길이로 여러번 접어 겹치고 이 접어겹친부를 노즐(23)에 의하여 적당한 회수로 꼬아 합하여 한줄로 하며 이것을 연장부로 하는 것에 의하여 연장부의 강도를 향상시킬수 있으며 이것을 직접 외부와의 통전단자로 사용할 경우에 유리하다.
상기 각 연장부는 또 권선작업에 들어가기 전에 제2d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단자(30)에 각각 감아두어도 좋다. 이 경우 권선시에 보빈형상의 것과 일체적으로 단자(30)도 회전시킨다.
선재(27)의 권회수가 소정의 권회수에 도달하여 코일부(11)가 형성되면, 다음 각 플랜지(21), (25)의 홈(21a), (25a)에 핫멜트의 접착제를 흘려넣어 코일부(11)의 외표면 여러곳을 고착한다.
이것은 제2e도에 도시되어 있는 접착제(16)에 해당한다.
다음에 제2d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노즐(23)을 움직여서 선재(27)를 뽑아내어 깊이 설정부재(28)를 상하 이동시켜 선재(27)의 단부를 소정의 길이로 접어 겹치고 또한 이 접어 겹쳐진 부를 꼬아 합하여 연장부를 형성한 다음 이 연장부의 선단부를 단자(30)에 각각 감는다.
단자(30)는 예를들면 제2d도, 제2e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연결부(31)에 의해서 3개 연결된 것을 이용하여 각 선재(27)의 각 일단부의 연장부(13), (15)를 별개의 단자(30)에 감는 동시에 각 선재(27)의 다른쪽 단부를 함께 꼬아 합쳐서 되는 연장부(14)를 하나의 단자(30)에 감는다. 이 연장부(14)는 중간탭을 구성한다.
권선이 끝나면 너트(26)를 풀어 플랜지(25)를 제거하는 동시에 플랜지(21)와 일체인 심봉(22)을 파이프(24)에서 뽑아낸다.
이것에 의하여 제2e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파이프(24)에 코일부(11)가 권회되고 또 코일부(11)의 외표면의 여러곳이 접착제(12)로 고착되며 또한 코일부(11)로 부터의 연장부(13), (14), (15)의 근본부가 코일부(11)의 외표면에 접착제(16)로 고착된 상태로 유지된다. 각 단자(30)에 감겨진 각 연장부(13), (14), (15)의 단부는 각 단자(30)에 납땜된다. 파이프(24)는 도시한 바와같이 남겨 두어도 좋으며 뽑아내어도 좋다.
파이프(24)를 뽑아낼 때는 코일부(11)의 내주면측도 핫멜트의 접착제로 고착한다. 이 단계에서 각 단자(30)를 연결하는 연결부(31)는 절단제거하여 각 단자(30)를 독립시켜도 좋다.
다음에 제2f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파이프(24), 코일부(11), 각 연장부(13), (14), (15) 및 단자(30)부를 포함한 전체를 보강용 시이트재(33)로 일체적으로 포장한다.
보강용 시이트재(33)에 의한 포장은 예를들면 진공포장을 이용하여도 좋으며, 열수축성 보강용시이트재를 이용하여 열에 의하여 수착시켜 포장하도록 하여도 좋다. 단자(30)의 선단부를 씌우고 있는 시이트재(33)를 제거하여 단자(30)의 선단부를 노출시키고 또 파이프(24)의 내주구멍에 따라 시이트재(33)를 절제한다.
각 단자(30)를 연결하는 연결부(31)는 이 단계에서 절제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와같이하여 제1도에 도시한 바와같은 코일부품이 완성된다.
이와같이 보강용 시이트(33)에 의해서 코일부품전체를 대략 포장하는 것에 의하여 전체의 강도를 높일 수 있으며, 취급이 용이하게 디는 동시에 이부로 부터의 손상을 받지 않아 신뢰성이 향상되는 효과도 있다.
상기 파이프(24)를 남겨둔대로 보강용시이트재(33)로 코일부품전체를 대략 포장하는 동시에 파이프(24)의 길이를 코일부(11)의 두께보다도 충분하게 길게하여 코일부(11)의 양단면에서 파이프(24)가 돌출하도록 하여 두면 시이트재(33)에 의한 포장후에 파이프(24)의 돌출부를 시이트(33)와 함께 절단하는 것에 의하여 시이트(33)가 파이프(24)의 외형에 따라 정확하게 절단되어지므로 파이프(24)의 내경부에 대하여 극자(極子)등을 정확하게 삽입할 수가 있다.
또 시이트(33)를 진공포장하도록 하면 파이프(24)내의 부압에 의하여 시이트(33)를 파이프(24)의 내경부에 의하여 예리하게 절단할 수 있으며 파이프(24)의 내경부에 대하여 극자등을 정확하게 삽입할 수가 있다.
코일부품을 보강용시이트재로 포장할 경우, 단자(30)의 선단부를 미리 노출시킨 상태로 포장하여도 좋다.
또 단자(30)의 선단부를 포함한 코일부품전체를 보강용 시이트재(33)로 포장하여 두고 단자(30)의 선단부에 핀 또는 커넥터를 끼워 넣었을 때 시이트(33)가 찢어져서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하여도 좋다.
또 포장하는 측을 암단자로 하고 이것에 접속하는 커넥터측을 숫단자로 하여도 좋고 이 경우도 상기한 바와같이 쌍방을 결합하였을 때 시이트가 찢어져서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하여도 좋다.
제3도 내지 제5도의 예는 각 단자(30)의 선단부에 시판되어 있는 범용 커넥터의 핀(35)을 결합하여 이 핀(35)에 범용 커넥터(36)를 연결하고 이 커넥터(36)를 외부의 커넥터에 연결하는 것에 의하여 외부와의 접속을 하게 하도록 한 것이다.
핀(35)은 그 타단부를 커넥터(36)의 삽입구멍에 삽입하는 것에 의하여 핀(35)과 커넥터(36)에 형성된 고정용 돌기와 요입부의 결합에 의하여 고정이 유지된다.
커넥터(36)를 포함한 코일부품 전체는 대략 보강용 시이트재(33)에 의해서 포장되며 각 연장부(13), (14), (15)도 보강된다.
커넥터(36)에 대한 외부 커넥터의 연결에 지장이 없도록 보강용 시이트재(33)의 일부가 커넥터(36)부분에 절제된다. 이 경우 커넥터(36)에 대하여 외부 커넥터를 연결하는 것에 의하여 시이트재(33)가 찢어져서 전기적으로 접속이 될 수 있도록 하여도 좋다.
상기 단자(30)는 자제(自製)할수 있으며 이 자제단자(30)를 중계하여 시판의 커넥터(36)에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의하여 외부와의 접속을 전자동으로 할 수가 있다.
이상 설명한 실시예에서의 접착제(12), (16)는 핫멜트에 한하지 않고 다른 적당한 접착제를 이용하여도 지장은 없다.
본 고안의 코일부품은 모터, 리레이, 트랜스, 소레노이드 등의 코일부품으로 적용 가능한 것이다.
코일부에서 중간 탭을 뽑아내는 것은 본 고안의 필수요건은 아니다.
단자부는 반드시 꼬아 합치게 할 필요는 없다.
도시의 실시예에서는 어느것도 코일보빈을 이용하지 않았으나 코일보빈을 이용하여도 좋다.
이 경우 코일보빈의 플랜지를 이용하여 선재의 연장부를 고정하게 하여도 좋다. 또 코일보빈을 이용할 경우는 반드시 코일부 및 연장부의 근본부를 접착하는 접착제를 이용할 필요는 없다.
본 고안에 의하면 코일부에서 뽑아 낸 선재의 연장부를 포함한 코일부품전체를 대략 보강용시이트재로 포장하여 연장부의 보강을 도모하였기 때문에 연장부의 강도부족이나 절연불량등의 품질상의 문제를 해소할 수 있으며 또 외부접속용 단자를 보빈등에 설치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원가가 저렴하고 또한 소형화가 가능한 코일부품을 얻을 수가 있다.
Claims (1)
- 선재를 권회하여 코일부를 형성하고 이 코일부에 통전하기 위하여 선재의 단부를 외부와 접속가능하게 하여 되는 코일부품에 있어서, 상기 코일부로부터 선재의 단부를 필요한 길이 만큼 뽑아내어 연장부를 형성하는 동시에 이 연장부의 선단에 외부접속용 단자부를 형성하고 이 코일부, 연장부 및 단자부를 보강용시이트제로 포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부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17783 | 1986-09-16 | ||
JP61217783A JPS6373504A (ja) | 1986-09-16 | 1986-09-16 | コイル部品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880006929U KR880006929U (ko) | 1988-05-31 |
KR900004423Y1 true KR900004423Y1 (ko) | 1990-05-19 |
Family
ID=167096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9870008107U KR900004423Y1 (ko) | 1986-09-16 | 1987-05-25 | 코일 부품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JP (1) | JPS6373504A (ko) |
KR (1) | KR900004423Y1 (ko) |
-
1986
- 1986-09-16 JP JP61217783A patent/JPS6373504A/ja active Granted
-
1987
- 1987-05-25 KR KR2019870008107U patent/KR900004423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880006929U (ko) | 1988-05-31 |
JPH0467763B2 (ko) | 1992-10-29 |
JPS6373504A (ja) | 1988-04-0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900004423Y1 (ko) | 코일 부품 | |
JPH03129712A (ja) | トランスコイル | |
JPH0343701Y2 (ko) | ||
JP3648328B2 (ja) | 電動機固定子のリ−ド線固定装置 | |
JP2913952B2 (ja) | コイル口出し線の固定方法 | |
KR900010458Y1 (ko) | 코일부품 | |
JPS6328002A (ja) | コイル部品 | |
JPH0338811Y2 (ko) | ||
JPH0533512U (ja) | 電器用コイル | |
JPH0614403Y2 (ja) | コイル用巻枠およびコイル | |
JP2560913Y2 (ja) | ピン端子付ボビン及びそれを用いた電子部品 | |
JPS6234406Y2 (ko) | ||
JPS582016Y2 (ja) | フライバツクトランス | |
JP3618897B2 (ja) | 端子付き薄形ボビンの製造方法 | |
JP2574163B2 (ja) | 小形巻線部品 | |
KR930007969Y1 (ko) | 솔레노이드 보빈 | |
FR2394877A1 (fr) | Carcasse de bobine et raccordement des fils de bobinage sur une telle bobine | |
JP3467532B2 (ja) | 電磁継電器用コイルアセンブリの製造方法 | |
JPS6035212Y2 (ja) | 電磁コイル | |
JPS6035217Y2 (ja) | トランス | |
JPS6146008A (ja) | トランス | |
JPH0343700Y2 (ko) | ||
JPH02133046A (ja) | 電動機の絶縁装置 | |
JPH01270211A (ja) | コイルの製造方法 | |
JPH01130507A (ja) | コイル巻線の接続構造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