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3806B1 - 적층판(plywood)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적층판(plywood)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3806B1
KR900003806B1 KR1019860001978A KR860001978A KR900003806B1 KR 900003806 B1 KR900003806 B1 KR 900003806B1 KR 1019860001978 A KR1019860001978 A KR 1019860001978A KR 860001978 A KR860001978 A KR 860001978A KR 900003806 B1 KR900003806 B1 KR 9000038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laminated
end portion
laminate
plat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600019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60007087A (ko
Inventor
히데노리 하세가와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 가이샤 메이난 세이사꾸쇼
하세가와 가쓰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5745385A external-priority patent/JPS61213102A/ja
Priority claimed from JP60057452A external-priority patent/JPS61213150A/ja
Priority claimed from JP60125615A external-priority patent/JPS61283540A/ja
Priority claimed from JP60131195A external-priority patent/JPS61287701A/ja
Priority claimed from JP16492185A external-priority patent/JPH06322B2/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 가이샤 메이난 세이사꾸쇼, 하세가와 가쓰지 filed Critical 가부시기 가이샤 메이난 세이사꾸쇼
Publication of KR8600070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70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38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38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1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discontinuous layer, i.e. formed of separate pieces of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1/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wood, e.g. wood board, veneer, wood particle board
    • B32B21/13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wood, e.g. wood board, veneer, wood particle board all layers being exclusively woo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1/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wood, e.g. wood board, veneer, wood particle board
    • B32B21/1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wood, e.g. wood board, veneer, wood particle board comprising wood board or vene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1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discontinuous layer, i.e. formed of separate pieces of material
    • B32B3/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discontinuous layer, i.e. formed of separate pieces of material characterised by an internal layer formed of separate pieces of material which are juxtaposed side-by-s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2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56/00Adhesive bonding and miscellaneous chemical manufacture
    • Y10T156/10Methods of surface bonding and/or assembly therefor
    • Y10T156/1052Methods of surface bonding and/or assembly therefor with cutting, punching, tearing or severing
    • Y10T156/1059Splitting sheet lamina in plane intermediate of fa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56/00Adhesive bonding and miscellaneous chemical manufacture
    • Y10T156/10Methods of surface bonding and/or assembly therefor
    • Y10T156/1052Methods of surface bonding and/or assembly therefor with cutting, punching, tearing or severing
    • Y10T156/1062Prior to assembl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56/00Adhesive bonding and miscellaneous chemical manufacture
    • Y10T156/10Methods of surface bonding and/or assembly therefor
    • Y10T156/1052Methods of surface bonding and/or assembly therefor with cutting, punching, tearing or severing
    • Y10T156/1062Prior to assembly
    • Y10T156/1067Continuous longitudinal slitting
    • Y10T156/1069Bonding face to face of laminae cut from single shee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56/00Adhesive bonding and miscellaneous chemical manufacture
    • Y10T156/10Methods of surface bonding and/or assembly therefor
    • Y10T156/1052Methods of surface bonding and/or assembly therefor with cutting, punching, tearing or severing
    • Y10T156/1062Prior to assembly
    • Y10T156/1075Prior to assembly of plural laminae from single stock and assembling to each other or to additional lamina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56/00Adhesive bonding and miscellaneous chemical manufacture
    • Y10T156/10Methods of surface bonding and/or assembly therefor
    • Y10T156/1052Methods of surface bonding and/or assembly therefor with cutting, punching, tearing or severing
    • Y10T156/1062Prior to assembly
    • Y10T156/1075Prior to assembly of plural laminae from single stock and assembling to each other or to additional lamina
    • Y10T156/1079Joining of cut laminae end-to-end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Veneer Processing And Manufacture Of Plywood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적층판(plywood)의 제조방법
제 1 도는 단판적층재의 개략을 나타낸 사시도.
제 2 도는 단판적층재 및 구성재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단면도.
제 3 도는 적층판의 개략을 나타낸 사시도.
제 4 도 내지 제 20 도는 본 발명의 변경실시예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 : 단판 3a, 3b : 끝부
5 : 적층판 15, 17 : 구성재
15a, 17a : 한쪽면 15b, 17b : 다른쪽면.
본 발명은 비교적 소폭인 다수의 판체를 사용하여 장척(長尺)형상의 적층판을 형성하는 적층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일본국특개소 51-104006호 공보에 개시된 적층판의 제조방법은, 비교적 소폭형상의 다수의 단판을 외력에 대향할 수 있는 소정의 각도로 경사상으로 적층 접착하여 구성재를 형성한 후에. 그 구성재의 앞뒤면에 나타나는 각 단판의 끝부를 절단 제거하여 앞뒤면이 평면상의 적층판을 형성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제조방법에서는 비교적 소폭의 단판으로부터 장척형상의 적층판을 형성할 수가 있으나, 각 단판의 끝부를 절단 제거하지 않으면 안되고, 단판의 재료의 수율을 높이는데 있어서 충분하지 못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종래의 결정을 개선하여 종래의 절단제거하던 판체의 끝부도 유효하게 사용하여 장척형상의 적층판을 수율이 좋고 또한 높은 판강도를 가지도록 형성하는 적층판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판체 서로가 한쪽면에서 상기 판체 끝부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층진 형상을 나타남과 동시에 다른쪽면에서는 판체의 끝부가 평면헝상으로 나타나도록 경사상으로 적층된 구성재 서로를 각각의 한쪽면에서 층이진 형상으로 나타나는 판체의 끝부 서로가 소정의 관계로 대향하도록 적층 접착하여 앞뒤면이 평면 형상으로되고 그 중간층에는 층이진 형상이 나타나는 판체의 끝부가 소정의 간격으로 존재하는 적층판을 형성하는 방법인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구성되기 때문에 구성재 상호간을 판체의 끝부가 소정의 관계를 가지고 대향하도록 적층 접착하여 앞뒤면이 평면상의 적층판을 구성할 수가 있다. 따라서 종래의 절단제거하던 판체의 끝부를 적층판의 물리적 강도에 영향이 적은 중간층에 존재하도록 구성하여 적층판을 형성할 수가 있어 판체의 재료수율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을 판체로서 단판을 사용한 적층판의 한실시예에 따라 설명한다. 단판 적층재의 개략을 나타낸 제 1 도, 단판적층재 및 구성재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제 2 도, 적층판의 개략을 나타낸 제 3 도에 있어서,단판 적층재(1)는 다수의 단판(3)이 제 1 도에 나타낸 수평방향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로 경사진 상태로 적층접착된다. 이 단판(3)은 제 1 도에 나타낸 대략 수평방향으로 섬유를 가지고, 그 섬유방향의 길이가ll, 판두께가 t로된다. 그리고 다수의 단판(3)은 한쪽끝부(3a) 및 다른쪽 끝부(3b)가 수평방향으로 소정의 간격(12)만큼씩 엇갈린 소정의 경사상태로 적층 접착된다. 그리고 판두께가 대략 같은 단판(3)을 사용하고, 적층판(5)의 두께를 T로 하는 경우 상기 간격(l2)은 대략 12=(12')/T의 관계가 성립한다. 이 경우 적층되는 단판(3)의 길이 11은 사전에 결정되는 경우가 많으며, 상기 간격(l2) 및 판두께(t)는 적층판(5)에 요구되는 강도 및 판두께 (T)에 따라 결정하도록 하여도 좋다.
상기 단판적층재(1)는 제 2 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형성된다. 즉 정열장치(7)의 반송면에는 다수의 지지단부(7a)가 반송방향으로 상기 간격(12)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적어도 한쪽면의 접착에 대응하는 필요면적에 접착제가 도포된 단판(3)의 한쪽끝부(3a)를 상기 정열장치(7)의 지지단부(7a)에 순차적으로 지지시킴으로써 각 단판(3)의 한쪽끝부(3a) 및 다른쪽끝부(3b)가 수평방향으로 상기 간격(l2)만큼씩 엇갈린 소정의 경사상태로 적층된다. 그리고 이같이 적층된 각 단판(3)은 압체(壓締)장치(11)의 가압에 의하여 각 단판(3)상호간이 적층 접착된다. 이때의 접착상태는 후술하는 분할 전단시에 각 단판(3)의 적층상태를 유지할수 있을 정도외 접착강도, 즉 가접착상태 이더라고 좋고, 반드시 첩착제의 경화에 의하여 각 단판(3)간의 완전 접착을 반드시 도모할 필요는 없다. 또한 압체장치(11)에 의한 압체방법으로서는 냉간프레스방법 또는 열간 프레스방법의 어느 것이라도 좋다. 그리고 상기 압체에 의하여 형성된 단판적층재(1)는 절단칼, 원판톱, 띠톱 또는 전동절단 장치등의 분할절단장치(13)에 의하여 그 두께의 중간부에서 두께와 대략 직교하는 수평방항으로 분할 절단되어 구성재(15), (17)가 형성된다.
이 구성재(15), (17)는 한쪽면(15b), (17b)이 분할 절단된 단판(3)의 한쪽끝부(3a) 및 다른 쪽끝부(3b)가 수평방향으로 소정의 간격(l2)만큼씩 엇갈린 단자상으로 나타나게 됨과 동시에 다른 쪽면(15b), (17b)이 상기 분할전단에 의하여 평면상으로 나타난다. 분할 절단장치(13)에 의한 단판적층재(1)의 분할 절단위치는, 단판 적층재(1)의 앞뒤면에서 각 단판(3)의 한쪽끝부(3a) 및 다른쪽끝부(3b)를 남기고 형성되는 구성재(15), (17)의 판두께(t1), (t2)가 형성되는 적층판(5)의 판강도에 그다지 영향을 주지 않는 위치에 설정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구성재(l5), (17)중, 예를들면 한쪽 구성재(15)의 한쪽면(15a)에 접착제를 도포한 후, 이 구성재(15)를 반전시켜 상기 한쪽면(15a)에 나타나는 한쪽끝부(3a)와 다른쪽의 구성재(17)의 일면(17a)에 나타나는 다른쪽끝부(3b)가 서로 계합되는 소정의 관계로서 이들 구성재(15), (17)를 적층접착한다. 이에 의하여 앞뒤면이 평면형상으로 되어 소정의 판두께(T)로 구성되는 적층판(5)이 형상된다. 또한 상기 구성재(15), (17)는, 단판적층재(1)를 소정의 길이로 절단한 후에 분할절단하여 얻는 방법과 분할 절단후에 그 수평방향의 길이를 소정의 길이가 되도록 절단하여 얻는 방법 혹은 구성재(15), (17)을 적층접착하여 적층판(5)을 형성한 후에 수평방향의 길이로 절단하는 방법중 어느 방법으로 하여도 좋다.
이와같이 본 실시예는 구성재(15), (17)를 그 한쪽면(15a),(17a)에 나타나는 각 단판(3)의 한쪽끝부(3a)와 다른쪽끝부(3b)가 서로 계합하는 소정의 관계로서 적층 접착함으로써 적층판(5)을 형성하기 때문에, 단판(3)의 한쪽끝부(3a) 및 다른쪽끝부(3b)를 적층판(5)의 물리적 강도에 영향이 적은 그 중간층에 위치시킬수가 있게 된다. 또 각 단판(3)의 한쪽끝부(3a) 및 다른쪽끝부(3b)를 절단 제거하여 적층판을 형성하는 종래의 제조방법에 비하여 이들을 유효하게 이용하여 적층판(5)을 형성할 수가 있으므로 재료의 수율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본 발명은 이하와 같이 변경 실시할 수가 있다. 제1실시예는, 구성재(15), (17)의 일면(15a) (17a)에 나타나는 한쪽끝부(3a) 및 다른쪽끝부(3b)가 계합하는 소정관계로 구성재(15), (17)를 적층 접착하여 적층판(5)을 형성하였으나, 제 4 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한쪽끝부(3a)와 다른쪽끝부(3b)와의 사이에 간극(21)을 두는 소정의 관계를 가지고 구성재(15), (17)를 적층접착하여 적층판(5)을 형성하는 방법이더라도 좋다.
이 경우 형성되는 적층판(5)의 판두께(T1)를 간극(21)에 따라 두껍게할 수 있음과 동시에 그 적층판(5)의 비중을 낮게 할 수가 있다. 또 상기 간극(21)내에 방충재등을 충전하여 적층판(5)의 부가가치를 높일 수가 있다.
본 실시는, 동일 방향으로 섬유를 가지는 다수의 단판(3)을 사용하여 적층판(5)을 형성하는 것으로 하였으나, 제 5 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다수의 단판(3)을 섬유의 방향이 서로 다르게 배열하여 단판적층재(도시생략)을 형성한 후, 이 단판적층재의 분할 저단에 따라 형성된 구성재(15), (17)에 있어서의 단판(3)의 한쪽끝부(3a)와 다른쪽끝부(3b)가 서로 계합되도록 하는 관계를 가지고 적층접착하여 적층판(5)을 형성하는 방법으로 하여도 좋다. 또한 제 6 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단판(3)을 서로 섬유방향이 다른 복수(제 4 도에 있어서 2매)의 단판(4), (6)에 의하여 복합단판(8)을 형성하고, 다수의 복합단판(8)을 적층접착하여 단판적층재(도시생략)를 형성한 후에, 이 단판 적층재의 분할 절단에 의하여 형성된 구성재(23), (25)를 각 복합단판(8)의 한쪽끝부(8a)와 다른쪽끝부(8b)가 서로 계합되도록 하는 관계를 가지고 적층접착하여 적층판(5)을 형성하는 방법으로 하여도 좋다.
본 실시예는 구성재(15), (17)를 구성하는 단판(3)의 한쪽끝부(3a)와 다른쪽끝부(3b)가 서로 계합되도록하여 적층접착하여 적층판(5)을 형성하는 방법으로 하였으나, 제 7 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그 구성재(l5), (17)를 구성하는 단판(3)의 한쪽끝부(3a)와 다른쪽끝부(3b)와의 사이에 그 단판(3)의 섬유와 직교하는 방향 또는 동일 방향(제 7 도는 단판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섬유를 가지는 것으로 한다)으로 섬유를 갖는 한장으로된 중판(27)을 설치하고, 단판(3)의 한쪽끝부(3a)와 다른 쪽끝부(3b)가 그 중판(27)을 개재하여 대향하게 하도록 구성재(15), (17)를 적층접착하여 적층판(5)을 형성하는 방법이더라도 좋다. 또 제 8 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구성재(15), (17)를 구성하는 단판(3)의 한쪽끝부(3a)와 다른쪽끝부(3b)와의 사이에 그 단판(3)의 섬유방향과 직교하는 방향 또는 동일 방향(제 8 도는 단판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섬유를 갖는 것으로한다)으로 섬유를 가지고, 섬유직교 방향의 길이가 간격(l2), 판두께(t)인 중판(29)을 각각 설치하고, 한쪽끝부(3a)와 다른쪽끝부(3b)가 각 중판(29)를 개재하여 각각 대향하도록 하는 관계를 가지고 구성재(15), (17)를 적층접착하여 적층판(3)을 형성하는 방법으로 하여도 좋다. 제 9 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구성재(15), (17)를 구성하는 단판(3)의 한쪽끝부(3a)와 다른쪽끝부(3b)와의 사이에, 단판(3)의 섬유와 직교하는 방향 또는 동일방향 (제 9 도는 단판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섬유를 갖는 것으로함)으로 섬유를 가지고, 섬유의 직교방향의 길이가 상기 간격(l2)이고, 판두께가 2t로 이루어진 다수의 중판(31)을 설치하여 이들 중판(31)을 적층판(5)의 중층부에서 수평방향으로 순차 중합시킴과 동시에 각 한쪽끝부(3a)와 다른쪽끝부(3b)가 중판(31)의 끝부(31a),(31b)에 계합하는 소정의 관계를 가지고 구성재(15), (17)를 적층접착하여 적층판(5)을 형성하는 방법이더라도 좋다.
제 10 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구성재(15), (17)를 구성하는 단판(3)의 한쪽끝부(3a)와 다른쪽끝부(3b)와의 사이에, 단판(3)의 섬유와 직교하는 방향 또는 동일방향(제 10 도는 단판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섬유를 가지는 것으로 하였음)으로 섬유를 가지고, 섬유 직교방향의 길이가 l3(l2〉l3)이고, 판두께가 t인 중판을 설치하고, 구성체(15), (17)의 한쪽끝부(3a)와 다른쪽끝부(3b)가 상기 중판(33)의 각 끝부(33a), (33b)와 계합하는 관계를 가지고 구성재(15), (17)를 적층접착하여 적층판(5)을 형성하는 방법이더라도 좋다. 제 11 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구성재(15), (17)를 구성하는 단판(3)의 한쪽끝부(3a)와 다른쪽끝부(3b)와의 사이에, 그 단판(3)의 섬유와 직교하는 방향 또는 동일방향(제 11 도는 단판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섬유를 가진것으로 함)으로 섬유를 가지고, 섬유의 직교방향의 길이가 l4〉l2이고, 판두께가 t이고, 그 끝부(35a), (35b)가 도면에 나타낸 수평방향으로 소정의 간격(l2)만큼씩 엇갈린 상태로 적층접착된 다수의 중판(35)을 설치하고, 한쪽끝부(3a)와 다른쪽끝부(3b)가 각 중판(35)의 끝부(35a), (35b)와 계합하도록 하는 관계를 가지고 구성재(15), (17)를 적층접착하여 적층판(5)을 형성하는 방법으로 하여도 좋다. 또 제 12 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구성재(15), (17)를 구성하는 단판(3)의 한쪽끝부(3a)와 다른쪽끝부(3b)와의 사이에, 그 단판(3)의 섬유와 직교하는 방향 또는 동일방향(제 12 도는 단판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섬유를 가지는 것으로함)으로 섬유를 가지고, 섬유의 직교방향의 길이가 l5(l2〉l5)이고, 판두께가 t5(t5〉t)인 다수의 중판(37)을 설치하고, 이 중판(37)의 일부끝부에 상기 한쪽끝부(3a)와 다른쪽끝부(3b)가 계합됨과 동시에 공극(39)을 설치한 관계를 가지고 구성재(15), (17)를 적층접합함으로써 적층판(5)을 형성하는 방법이더라도 좋다.
또 제 13 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구성재(15), (17)를 구성하는 단판(3)의 한쪽끝부(3a)와 다른쪽끝부(3b)와의 사이에 단판(3)의 섬유와 직교하는 방향 또는 동일방향(제 13 도는 단판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섬유를 갖는 것으로함)으로 섬유를 가지고, 섬유의 직교방향의 길이가 16(16〉l2)이고, 판두께가 t6(t〉t6)인 제1중판(41)과, 이 제1중판(41)의 섬유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섬유를 가지며 그 한쪽끝부(43a)가 상기 제1중판(41)의 한쪽끝부(41a)에 일치함과 동시에 다른쪽끝부(41b)가 인접하는 제1중판(41)의 다른쪽끝부(41b)와일치하는 섬유방향의 길이가 l7(l7〉l6)이고, 판두께가 t7(t6+t7=t)인 제2중판(43)과를 적층접착한 중판군(45)을 설치하고, 한쪽끝부(3a)와 다른쪽끝부(3b)가 제1중판(41) 및 제2중판(43)의 한쪽끝부(41a), (43a)와 다른쪽끝부(41b), (43b)에 계합하도록 하는 관계를 가지고 구성재(15), (17)를 적층접착하여 적층판(5)을 형성하는 방법으로 하여도 좋다.
상기한 제 8 도 내지 제 13 도에 나타낸 적층판(5)은, 구성재(15), (17)를 구성하는 단판(3)의 한쪽끝부(3a)와 다른쪽끝부(3b)와의 사이에 증판이 소정의 관계를 가지고 개재함으로써 형성되는 적층판(5)의 판두께(T)를 소정의 판두께로 변경할 수 있음과 동시에 적층판(5)을 형성할때, 적어도 개재하는 중판의 앞뒤면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구성재(15), (17)를 서로 적층접착할 수가 있어, 접착제 도포작업을 간소화 할 수가 있다.
본 실시예는 판두께가 거의 같은 다수의 단판(3)을 사용하여 적층판(5)을 형성하는 방법이 있으나, 제 14 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판두께가 ts인 도면에 나타낸 단판(45)의 상단부(45a)가 수평방향으로 소정의 간극(18)만큼씩 엇갈리고 또한 도면에 나타낸 단판(45)의 하단부(45b)가 상기 판두께(t8) 및 간격(l8)에 따른 각도의 절단 평면으로된 제1구성재(47)와, 판두께가 2t8이고 도시한 단판(49)의 하단부(49a)가 수평방향으로간격이 2l8만큼씩 엇갈리고, 또한 도시한 단판(49)의 상단부(49a)가 상기 판두께(2t8)에 대응하는 각도로 경사적층된 제2구성재(51)를, 상단부(45a)와 하단부(49a)의 일부가 상호 계합하고, 또한 상단부 (45a)와 하단부(49a)의 일부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극(53)내에 중판군(45), 단판(49)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섬유를 갖는 중판(55)을 개재시킨 소정의 관계를 가지고 적층접착함으로써 적층판(5)을 형성하는 방법으로 하여도 좋다. 다시 본 발명에 의한 적층판의 응용예를 설명한다.
제 15 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제 3 도에 나타낸 적층판(5)의 앞뒤면에, 그 적층판(5)을 구성하는 단판(3)의 섬유와 직교하는 방향 또는 동일방향(제 15 도는 단판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섬유를 가지는 것으로 함)으로 섬유를 가진 열매 형상의 단판(61), (63) 또는 다른 적층판(도시하지 않음)을 적층 접착하고, 실질적으로 3프라이(ply)구성의 합판(65)으로 형성해도 좋다. 동일하게 제 16 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제 8 도 내지 제 14 도에 나타낸 적층판(5)(제 16 도는 제 10 도에 나타낸 적층판으로 함)을 중판으로 하고, 표리면에 단판(3)의 섬유와 직교하는 방향 또는 동일방향(제 16 도는 단판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섬유를 가진 것으로함)으로 섬유를 가진 일매 형상의 단판(67), (69) 또는 다른 적층판(도시하지 않음)을 적층접착하여 실질적으로 5프라이 구성의 합판(71)으로 형성하여도 좋다. 또한 제 17 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구성재(15), (17)를 구성한 단판(3)의 섬유와 직교하는 방향 또는 동일방향(제 17 도는 단판(3)과 동일방향으로 섬유를 갖는 것으로 함)으로 섬유를 가지고, 섬유방향이 소정의 길이(l9)이고 판두께(t)이고 그 섬유방향의 끝부(73a), (73b)가 수평방향으로 소정의 간격만큼씩 엇갈려 경사적층된 다수의 심판(芯板)(73)의 앞뒤면에 상기 심판(73)의 섬유와 직교하는 방향 혹은 동일방향(제 17 도는 심판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섬유를 가진 것으로함)으로 섬유를 가지고, 섬유의 직교방향의 길이가 t10이고, 두께가 t이고 그 끝부(75a), (75b), (77a), (77b)가 수평방향으로 소정의 간격(l2)만큼씩 엇갈려서 일부가 서로 중합하는 다수의 중판(75), (77)을 상기 끝부(73a)에 끝부(75b)가 또 끝부(73b)에 끝부(77b)가 서로 계합하도록 접충접착한 후, 적층접착된 중판(75), (77)의 상면 및 하면에 대하여 끝부(77b)와 한쪽끝부(3a) 및 끝부(75a)와 다른쪽 끝부(3b)가 계합하는 소정의 간격을 가지고 적층접착하여 실질적을 5프라이프 구성의 합판(79)으로 형성하여도 좋다.
상기 설명은 단판적층재(1)를 2분할 절단하여 구성재(15), (17)를 형성하고 그 구성재(15), (17)를 구성하는 단판(3)의 한쪽끝부(3a)와 다른쪽끝부(3b)가 서로 계합되도록하는 관계를 가지고 적층접착하여 적층판(5)을 형성하는 방법으로 하였으나, 제 18 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단판적층재(1)를 비교적 두꺼운 형상으로 형성하고, 단판 적층재(1)를 그 앞뒤면에서 각 단판(3)의 한쪽끝부(3a)와 다른쪽끝부(3b)를 남긴 개소에서 두께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3분할 절단하여 적층판(91)과 한쌍의 구성재(15), (17)를 형성한 후, 이들 구성재(15), (17)를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고 적층접착하여 적층판(도시하지 않음)을 형성하므로써 2매의 적층판을 형성하는 방법으로 하여도 좋다.
상기한 제 1 도 재지 제 18 도에 나타낸 적층판은, 다수의 단판을 한쪽끝부 및 다른쪽끝부가 소정의 간격(12)만큼씩 어긋난 경사 상태로 적층 접착하여 평면상으로된 단판에 의한 단판 적층재(1)를 형성한 후에,그 단판 적층재의 분할 절단에 의하여 형성된 구성재를 각 단판의 한쪽끝부와 다른쪽 끝부가 필요에 따라 중판을, 개재시켜 서로 대향하는 관계를 갖도록 적층 접착함으로써 적층판을 형성하는 것으로 하였으나, 이하와 같이 변경실시할 수도 있다. 즉, 제 19 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정렬장치(101)의 반송면에서는 반송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소정의 곡율로 만곡되고, 다수의 괘지단부(101a)가 반송방향으로 상기간격(12)을 두고 형성되게 된다.
그리하여 반송방향으로 섬유를 가지고, 또한 적어도 한쪽면의 필요면적에 접착제가 도포된 다수의 단란(103)의 한쪽끝부(103a)를 반송 직교방향으로 상기 곡율로 만곡시켜 상기 괘지단부(101a)에 순차괘지 하면서 반송함으로써 다수의 단판(103)이 상기 간격(l2)및 판두께(t)에 대응하는 소정의 각도로 또한 만곡상태로 경사적층된다. 그리고 이들 단판(103)을 압체장치(도시하지 않음)에 의하여 압체함으로써 반송 직교방향의 단면이 만곡형상의 단판 적층재(도시하지 않음)가 형성된다.
다음에 이 단판 적층재를 그 앞뒤면에 상기 간격(l2)을 둔 턱이진 형상으로 나타나는 각 단판(103)의 한쪽끝부(103a) 및 다른쪽끝부(103b)를 남기고 또한 형성된 적층판(105)의 판강도를 고려한 두께 방향의 중간부에서 그 단판 적층재를 두께와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분할 절단하여 구성재(107), (109)를 형성한다.
이들 구성재(107), (109)는 각 일면(107a)(109a)에 단판(103)의 한쪽끝부(103a) 및 다른쪽끝부(103b)가 섬유방향으로 상기 간격(l2) 만큼씩 어긋난 턱이진 형상이고, 또한 만곡형상으로 나타남과 동시에 다른쪽면(107b), (109b)에 각 단판(103)의 분할절단면이 도시한 수평방향으로 연속되는 평면형상으로 나타난다. 제 20 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예를들면 한쪽의 구성재(107)의 일면(107a)에 접착제를 도포한 후에, 구성재(107)의 일면(107a)에 나타나는 한쪽끝부(103a)와, 구성재(109))의 일면(109a)에 나타나는 다른쪽끝부(l03b)가 계합되게 하는 관계, 또는 중판과 계합하여 서로 대향하는 관계를 가지고, 이들 구성재(107), (109)를 적층접착하여 적층판(105)이 형성된다. 이 적층판(105)은, 그 앞뒤면이 상기 다른쪽면(107b), (109b)으로 이루어지는 평면형상으로 나타남과 동시에, 상기 다른쪽면(107b),(109b) 및 섬유방향의 나무단면이 자연목의 나이테모양과 비슷한 만곡형상으로 나타나기 때문에, 적층판(105)의 부가가치를 높이는 데도 도움이 된다.
상기한 제 1 도 내지 제 18 도에 있어서는, 판체로서 목질계의 단판을 사용하여 적층판을 형성하는 것으로 하였으나, 판체로서는 톱으로 킨판, 목질계 보오드, 석고보오드, 합성 수지판, 금속판등 혹은 이들의 복합구성에 외한 적층판을 형성하는 방법으로 하여도 좋다.
또 상기 제 1 도 내지 제 20 도의 설명에 있어서, 단판 적층재(1)를 압체할때, 비교적 약한 압체력에 의하여 단판(3) 서로의 접착을 도모하도록 하였으나, 이 압체력을 더 크게 하여 제 21 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그 단판적층재(1)를 구성하는 각 단판(3)을 상기 간격(l2)별로, 그 앞뒤면에 각 섬유방향의 짧은 부(3a, 3b)가 평면상에 나타나도록 두께방향으로 굴곡시켜 단판적층제(1)를 형성하는 방법으로 하여도 좋다. 이와같이 본 발명은 종래에 절단 제거하면 판체의 끝부도 유효하게 사용하여 길어가긴 형상의 적층판을 수율이 좋고 또한 높은 판강도로 형성할 수 있는 적측판의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가 있다.

Claims (4)

  1. 판체 서로가 한쪽면에서 상기 판체의 끝부가 소정의 간격을 두고 턱이진 형상으로 나타남과 동시에 다른쪽면에서 판체의 끝부가 평면형상으로 나타나도록 경사 형상으로 적층된 구성재 서로를, 각각의 한쪽면에서 층이진형상으로 나타나는 판체의 끝부의 서로가 소정의 관계를 가지고 대향하도록 적층접착하여 앞뒤면이 평면 형상을 이루는 적층판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판의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재 서로를 적층 접합할때 각각의 한쪽면에서 층이진형상이 나타나는 판체의 끝부 상호간에 한매 형상의 중판을 개재하여 대향하도록 적층접착하고 앞뒤면이 평면형상으로된 적층판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판의 제조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재 서로를 적층접착할때에 각각의 한쪽면에 층이진 형상이 나타나는 판체의 끝부 상호간에 다수의 중판을 개제시켜 대향하도록 적층 접착하고, 앞뒤면이 평면 형상을 이루는 적층판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판의 제조방법.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재 서로를 적층 접착할때, 각각의 한쪽면에 층이진 형상이 나타나는 판체의 끝부 서로가 소정의 간격을 두고 대향하도록 적층접착하고, 앞뒤면이 평면 형상을 이루는 적층판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판의 제조방법.
KR1019860001978A 1985-03-19 1986-03-18 적층판(plywood)의 제조방법 KR90000380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0)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745385A JPS61213102A (ja) 1985-03-19 1985-03-19 単板積層板の製造方法
JP85-57453 1985-03-19
JP85-57452 1985-03-19
JP60057452A JPS61213150A (ja) 1985-03-19 1985-03-19 積層板の製造方法
JP60125615A JPS61283540A (ja) 1985-06-10 1985-06-10 積層板
JP85-125615 1985-06-10
JP85-131195 1985-06-17
JP60131195A JPS61287701A (ja) 1985-06-17 1985-06-17 積層板の製造方法
JP16492185A JPH06322B2 (ja) 1985-07-25 1985-07-25 積層板の製造方法
JP85-164921 1985-07-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7087A KR860007087A (ko) 1986-10-08
KR900003806B1 true KR900003806B1 (ko) 1990-05-31

Family

ID=275233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60001978A KR900003806B1 (ko) 1985-03-19 1986-03-18 적층판(plywood)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RE33703E (ko)
EP (1) EP0198256B1 (ko)
KR (1) KR900003806B1 (ko)
BR (1) BR8601195A (ko)
CA (1) CA1280060C (ko)
DE (1) DE3672871D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626693B2 (en) * 1989-07-06 1992-08-06 John Arthur Assender Method of manufacturing a laminated wood product.
NO940418L (no) * 1993-02-25 1994-08-26 Josef Neubauer Naturtreplate eller laminert naturtreplate
EP0612596B1 (de) * 1993-02-25 1994-12-28 Josef Neubauer Naturholzplatte, Naturholzverbundplatte und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US5725929A (en) * 1996-08-20 1998-03-10 Fiber Technologies, Inc. Reinforced wood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90153C (ko) *
CH257483A (fr) * 1946-02-26 1948-10-15 Rhone Poulenc Chemicals Procédé de fabrication d'un objet en matières plastiques présentant un effet de dégradé et objet obtenu par ce procédé.
US3461932A (en) * 1967-07-31 1969-08-19 Potlatch Forests Inc Process for manufacturing a continuous veneer strip
DE1679822B1 (de) * 1967-12-14 1971-10-28 Dynamit Nobel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von rohbloecken aus thermoplastischen kunststoffen
US3686061A (en) * 1970-10-12 1972-08-22 West Coast Adhesives Co Method for producing elongated plywood panels
US3963552A (en) * 1972-06-01 1976-06-15 Trus Joist Corporation Method of feeding sheets to a continuous laminating press
JPS51104006A (ja) * 1975-03-08 1976-09-14 Keiichiro Ishida Taigaioryokunijunjitakeishatanbanno sekisohoho oyobi koreoryoshitasekisogoban
SU716852A1 (ru) * 1977-07-27 1980-02-25 Ленинградский Кораблестроительный Институт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 слоистых изделий из полимерных материалов
SU783034A1 (ru) * 1978-11-10 1980-11-30 Всесоюзный научно-исследовательский институт нерудных строительных материалов и гидромеханизации Способ стыковки многослойных лент
US4343667A (en) * 1980-04-16 1982-08-10 Carlisle Tire & Rubber Company, Div. Of Carlisle Corp. Method for making an indefinite length composite sheet of very large predetermined width from indefinite length sheet stock of relatively small width
JPS57123039A (en) * 1981-01-22 1982-07-31 Meinan Mach Works Inc Method of feeding chip and apparatus therefor
US4507162A (en) * 1983-05-16 1985-03-26 Meinan Machinery Works, Inc. Glued laminated wood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1280060C (en) 1991-02-12
BR8601195A (pt) 1986-11-25
EP0198256B1 (en) 1990-07-25
EP0198256A1 (en) 1986-10-22
KR860007087A (ko) 1986-10-08
USRE33703E (en) 1991-10-01
DE3672871D1 (de) 1990-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187139C (en) Wood article and method of manufacture
NZ521370A (en) Method of manufacturing glued laminated wood by pressing sheets sequentially against stepped staircase formation
JPH0615212B2 (ja) 熱可塑性樹脂部材の積層方法
KR900003806B1 (ko) 적층판(plywood)의 제조방법
US4638843A (en) Method for the manufacture of a veneer beam
JPS61213102A (ja) 単板積層板の製造方法
CA1205369A (en) Plywood
US4725325A (en) Method of producing laminated plate
JPH06322B2 (ja) 積層板の製造方法
JPH03230903A (ja) 集成材の製造方法
JPH10151601A (ja) 単板積層材及びその製造方法
JPS61287701A (ja) 積層板の製造方法
JPS63121508U (ko)
CN100408322C (zh) 形成具有相互偏离层材的层压板的方法
JPH01295840A (ja) 積層板体の成形方法
JPH0543487B2 (ko)
JPH04136363A (ja) 曲線框用曲線材の製造方法
JPS6249648B2 (ko)
JPS60214902A (ja) 化粧単板の製造方法
JPS637147B2 (ko)
JPS62183302A (ja) 分割積層板及び積層合板
JPH08232402A (ja) 集成材による柱等の隅角部接続構造及び接続方法
JPS60248304A (ja) 人工化粧単板の製法
JPS61283540A (ja) 積層板
JPS58199105A (ja) フリツチの製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3033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