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3703B1 - 유모차 - Google Patents

유모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3703B1
KR900003703B1 KR1019870002887A KR870002887A KR900003703B1 KR 900003703 B1 KR900003703 B1 KR 900003703B1 KR 1019870002887 A KR1019870002887 A KR 1019870002887A KR 870002887 A KR870002887 A KR 870002887A KR 900003703 B1 KR900003703 B1 KR 9000037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sh rod
pair
sliding member
baby carriage
rod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700028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08740A (ko
Inventor
겐조우 갓사이
Original Assignee
아프리카 갓사이 가부시끼 가이샤
겐조우 갓사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61072099A external-priority patent/JPH0712824B2/ja
Priority claimed from JP14905186A external-priority patent/JPH085389B2/ja
Priority claimed from JP15996086A external-priority patent/JPH085387B2/ja
Application filed by 아프리카 갓사이 가부시끼 가이샤, 겐조우 갓사이 filed Critical 아프리카 갓사이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8700087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87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37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37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7/00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 B62B7/04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 B62B7/06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llapsible or foldable
    • B62B7/08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llapsible or foldable in the direction of, or at right angles to, the wheel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205/00Hand-propelled vehicles or sledges being foldable or dismountable when not in use
    • B62B2205/02Hand-propelled vehicles or sledges being foldable or dismountable when not in use foldable widthwi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205/00Hand-propelled vehicles or sledges being foldable or dismountable when not in use
    • B62B2205/20Catches; Locking or releasing an articul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205/00Hand-propelled vehicles or sledges being foldable or dismountable when not in use
    • B62B2205/26Arrangements for standing up in folded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7/00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 B62B7/04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 B62B7/06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llapsible or foldable
    • B62B7/064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llapsible or foldable the handle bar being parallel to the front le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arriages For Children, Sleds, And Other Hand-Operated Vehicl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유 모 차
제 1 도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제 2 도는 제 1 도에 도시한 유모차의 측면도.
제 3 도는 전각 슬리브와 좌석 슬리브와의 연결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하는 단면도.
제 4 도는 제 1 도에 도시한 유모차를 절첩한 상태의 측면도.
제 5 도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를 도시하는 측면도.
제 6 도는 제 5 도에 도시하는 유모차가 절첩되어지는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
제 7 도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요부를 도시하는 측면단면도.
제 8 도는 제 7 도에 도시하는 상태로부터 미끄럼부재를 하방으로 이동시킨 후의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제 9 도는 제 7 도 및 제 8 도에 도시되어 있는 미끄럼부재의 측면도.
제 10 도는 그 평면도.
제 11 도는 그 측면 단면도.
제 12 도는 제 7 도 및 제 8 도에 도시되어 있는 푸쉬로드슬리브의 측면도.
제 13 도는 그 정면도.
제 14 도는 그 평면도.
제 15 도는 미끄럼주재와 전각과의 연결 부분의 측면 단면도.
제 16 도는 푸쉬로드 슬리브와 푸쉬로드와의 연결부분의 측면단면도.
제 17 도는 푸쉬로드의 하단부가 미끄럼부재의 안내벽에 맞닿아 있는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 단면도.
제 18 도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를 도시하는 측면도.
제 19 도는 제 18 도에 도시하는 유모차의 절첩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
제 20 도는 제 18 도에 도시되어 있는 한쌍의 교차봉에 관련한 부분의 구조를 유모차의 배후로부터 본 도면.
제 21 도는 제 18 도에 도시되어 있는 전각 슬리브와 좌석 슬리브의 연결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단면도.
제 22 도는 전각과 푸쉬로드와의 연결 부분의 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
제 23 도는 제 22 도에 도시한 상태로부터 미끄럼부재를 하방으로 이동시킨 후의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제 24 도는 제 22 도 및 제 23 도에 도시되어 있는 미끄럼부재의 측면도.
제 25 도는 그 평면도.
제 26 도는 그 측면 단면도.
제 27 도는 제 22 도 및 제 23 도에 도시되어 있는 푸쉬로드 슬리브의 측면도.
제 28 도는 그 정면도.
제 29 도는 그 평면도.
제 30 도는 제 29 도의 선XXX-XXX에 따라 본 단면도.
제 31 도는 미끄럼 부재와 전각과의 연결 부분의 측면 단면도.
제 32 도는 푸쉬로드 슬리브와 푸쉬로드와의 연결 부분의 측면 단면도.
제 32 도는 푸쉬로드 슬리브와 푸쉬로드와의 연결 부분의 측면 단면도.
제 33 도는 전각과 푸쉬로드와의 연결부분의 구조를 도시한 것으로써, 푸쉬로드의 하단부가 미끄럼 부재의 안내벽에 맞닿아 있는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 단면도.
제 34 도는 푸쉬로드와 교차봉과의 연결부분의 구조를 상방으로부터 본 도면.
제 35 도는 제 34 도에 도시하는 구조를 유모차의 배후로부터 본 도면.
제 36 도는 제 20 도에 도시되어 있는 횡방향 연결봉의 중앙부재와 우측부재와의 연결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하는 도면.
제 37 도는 제 34 도의 선XXXVII-XXXVII에 따라 본 도면.
제 38 도는 제 37 도에 도시하는 상태로부터 푸쉬로드 슬리브가 전방으로 약간 회동하여 있는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4 : 전각 7,8 : 후각
9,10 : 좌석 지지봉 11,12 : 좌석 현수봉
13,14 : 푸쉬로드 15 : 전각 연결부재
16,17 : 교차봉 18 : 후크
19,20 : 링크봉 31,32 : 전각 슬리브
33,34 : 좌석 슬리브 37 : 계합핀
40,41 : 버팀대
본 발명은 유모차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간단한 구조로 경량화를 도모한 유모차에 관한 것이다.
현재, 시장에는 다종다양한 유모차가 유통되고 있다. 수요자는 이들중에서 자신의 기호나 요구에 맞는 유모차를 선택한다. 이 선택의 결정적인 요소로 되는 것은 각인각양이지만, 그중 하나에 "경량"이라고 하는 조건이 있다. 즉, 구조가 간단하고 경량인 것은 유모차의 상품가치를 높이기 위한 하나의 요소라고 말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흥미있는 선행 기술로서, 일본국 실용공고 소 56-15100호 공보에 도시된 유모차가 있다. 이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유모차는 구조가 간단하며, 경량화의 실현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고 생각된다. 그러나, 개선해야 할 문제점이 있다. 이 유모차는 절첩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지만, 절첩될때 전륜과 후륜이 서로 멀어지도록 이동한다. 그때문에, 절첩된 상태에서는, 유모차는 지면을 따라 거의 평평하게 된다. 바꿔말하면, 유모차는 단독으로 자립할 수가 없다. 따라서, 유모차를 들어 운반할때, 또는 적당한 장소에 수납할때 등에 불편을 초래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구조가 간단하고 경량화를 실현할 수가 있으며, 또한 절첩된 상태일때 단독으로 자립할 수 있는 유모차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는 이하의 것을 구비한다.
a. 각각 그 하방부에 전륜을 갖는 한쌍의 전각.
b. 각각 그 하방부에 후륜을 갖고, 상기 전각과 그들이 교차하는 부분에 있어서 핀을 거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한쌍의 후각.
c. 각각 그 전방부가 상기 후각의 상방부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한쌍의 좌석 지지봉.
d. 각각 그 하방부가 상기 좌석 지지봉의 후방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한쌍의 좌석 현수봉.
e. 각각 그 하방부가 상기 전각의 상방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좌석 현수봉에 그들이 교차하는 부분에 있어서 핀을 거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한쌍의 푸쉬로드.
f. 상기 각 전각, 각 후각, 각 좌석 지지봉, 각좌석 현수봉 및 각 푸쉬로드로 각각 구성된 상기 유모차의 좌우 각 측면 사이를 연결하는 폭방향 연결수단.
g. 상기 유모차의 펼친 상태를 고정하기 위한 펼침상태 로크수단.
그리고 상기 각 전각, 각 후각, 각 좌석 지지봉, 각 좌석 현수봉, 각 푸쉬로드 및 폭방향 연결수단은 이하의 동작을 달성하도록 그 길이 및 연결 위치가 선택된다. 그 동작이라함은, 상기 유모차가 절첩될때 상기후륜은 상기 전륜을 향해 이동하고, 상기 유모차가 절첩된 상태에 있을때 상기 후륜과 전륜은 거의 동일 높이에 위치하며 상기 유모차의 자립을 가능하게 한다고 하는 동작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유모차의 골조를 구성하는 부재의 수가 적고, 구조가 간단하다. 따라서, 유모차의 경량화를 실현할 수가 있고, 또 절첩된 상태에서의 부피도 적어진다. 게다가, 유모차는 절첩된 상태에서 자립할 수가 있으므로, 들어 운반할때 혹은 적당한 장소에 수납할 때등에 편리한 것으로 된다.
유모차를 절첩하고저 할때에는, 먼저 펼침 상태로크수단에 의한 로크를 해제한다. 그리고 푸쉬로드를 전방으로 향해 회동 조작하면, 좌석 지지봉은 좌석 현수봉에 인장되어 그 전방부를 상방으로 향해 이동시키도록 회동하고, 그에 따라 후륜은 전륜을 향해 이동한다. 그리고 유모차가 절첩된 상태에 있을때에는, 후륜과 전륜은 거의 동일 높이에 위치하여, 상기 유모차의 자립을 가능하게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들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제 1 도는 본 발명의 제 l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제 2 도는 그 측면도이다.
도시한 유모차는 기본적인 구성으로서, 각각 그 하방부에 전륜(1,2)을 갖는 한쌍의 전각(3,4)과 각각 그 하방부에 후륜(5,6)을 갖는 한쌍의 후각(7,8)과 한쌍의 좌석 지지봉(9,10)과 한쌍의 좌석 현수봉(11,l2)과 한쌍의 푸쉬로드(13,14)와 유모차의 좌우 각 측면 사이를 연결하는 폭방향 연결수단으로서의 전각연결부재(15)와 마찬가지로 폭방향 연결수단으로서 작용하는 한쌍의 교차봉(16,17)과 유모차의 펼친 상태를 고정하기 위한 펼침상태 로크수단으로서 작용하는 후크(18) 및 마찬가지로 펼침상태 로크수단으로서 작용하는 한쌍의 링크봉(19,20)을 구비하고 있다.
전각(3,4)과 후각(7,8)은 서로 교차하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그 교차부분에 있어서 그들은 핀(21,22)을 거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좌석 지지봉(9,10)의 전방부는 핀(23,24)을 거쳐서 후각(7,8)의 상방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또, 좌석 현수봉(11,12)은 그 하방부가 핀(25,26)을 거쳐서 좌석 지지봉(9,10)의 후방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푸쉬로드(13,14)의 하방부는 핀(27,28)을 거쳐서 전각(3,4)의 상방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또, 도시한 바와 같이, 푸쉬로드(13,14)와 좌석 현수봉(11,12)은 서로 교차하고 있으며, 그 교차부분에 있어서 그들은 핀(29,30)을 거쳐서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푸쉬로드(13,14)의 상단부에는 각각 유모차를 미는 사람이 쥐어야할 손잡이(38,39)가 설치되어 있다.
전각 연결부재(15)는 그 양단이 각각 전각(3,4)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게다가 그 중앙부분에 있어서 화살표 A로 도시하는 방향으로 절곡가능하게 되어 있다. 한쌍의 교차봉(16,17)은 X자형으로 교차하고 있으며, 그 교차부에 있어서 그들은 핀(36)을 거쳐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한쪽 교차봉(16)은 그 상단부가 우측면에 위치하는 푸쉬로드(13)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그 하단부가 좌측면에 위치하는 후각(8)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다른쪽 교차봉(17)은 그 상단부가 좌측면에 위치하는 푸쉬로드(14)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그 하단부가 우측면에 위치하는 후각(7)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전각(3,4)은 각각 그 위를 미끄러질 수 있도록된 전각 슬리브(31,32)를 갖고 있다. 또, 좌석 지지봉(9,10)은 각각 그 위를 미끄러질 수 있도록된 좌석 슬리브(33,34)를 갖고 있다. 전각 슬리브(31,32)와 좌석 슬리브(33,34)는 서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제 3 도는 전각 슬리브(32)와 좌석 슬리브(34)의 연결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전각 슬리브(32)는 전각(4)을 미끄럼 가능하게 받아들이고, 좌석 슬리브(34)는 좌석 지지봉(10)을 미끄럼 가능하게 받아들이고 있다. 그리고 전각 슬리브(32)와 좌석 슬리브(34)는 핀(35)을 거쳐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유모차의 우측면에 위치하는 전각 슬리브(31)와 좌석 슬리브(33)는 제 3 도에 도시한 것과 동일한 상태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제 1 도를 참조하면, 좌석 슬리브(33,34)의 미끄럼 동작과 전각 연결부재(15)의 절곡동작을 연결시키기 위해, 좌석 슬리브(33,34)와 전각 연결부재(15) 사이에는 버팀대(40,41)가 설치되어 있다.
제 1 도 및 제 2 도는 유모차의 펼쳐진 상태를 도시하고 있지만, 이 펼침상태를 고정하기 위해 후크(18) 및 한쌍의 링크봉(19,20)이 설치되어 있다. 후크(18)는 핀(42)을 거쳐서 전각(4)에 회동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이 후크(18)는 푸쉬로드(14)의 하단부에 설치되어 있는 계합핀(37)과 걸처 맞춰지므로서, 전각(4)에 대한 푸쉬로드(14)의 회동을 금지하고 있다. 유모차의 우측면에 위치하는 전각(3)과 푸쉬로드(13)사이에도 동일한 후크가 설치된다. 한쌍의 링크봉(19,20)은 제 1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쌍의 교차봉(16,17)의 교차각도를 고정하고, 그에 따라 후각(7,8)에 대한 푸쉬로드(13,14)의 위치를 고정하고 있다.
유모차에 태워져 있는 어린애를 지탱하기 위한 시트는 그 좌석부가 좌석 지지봉(9,10)을 이용하여 부착되고, 그 등받이부가 좌석 현수봉(11,12)을 이용하여 부착된다. 또한, 시트의 등받이부는 푸쉬로드(13,14)를 이용하여 부착되도록 하여도 좋다.
전각(3,4)과 좌석 지지봉(9,10)은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전각 슬리브(31,32)및 좌석 슬리브(33,34)를 거쳐서 연결되어 있다. 그러나 좌석 현수봉(11,12)이 좌석 지지봉(9,10)의 후방측을 지지하고 있으므로 전각(3,4)과 좌석 지지봉(9,10)을 꼭 연결할 필요는 없다. 단지, 도시한 바와 같이, 전각 슬리브(31,32) 및 좌석 슬리브(33,34)를 거쳐서 그들을 연결하도록 하면 보다 견고한 구조가 얻어진다. 또, 전각 슬리브(31,32)는 전각(3,4)을 미끄럼 가능하게 받아들이고, 좌석 슬리브(33,34)는 좌석 지지봉(9,10)을 미끄럼 가능하게 받아들이고 있으므로, 전각(3,4)과 좌석 지지봉(9,10)사이의 연결이 후술하는 유모차의 절첩 동작에 지장을 초래하는 바와 같은 일은 없다. 또한, 유모차가 펼침 상태로 되었을때에 좌석슬리브(33,34)의 후방으로의 미끄럼의 종단이 규정되도록 해두면, 유모차의 펼침 상태는 보다 견고한 것으로 된다.
유모차를 절첩하고자 할때에는, 먼저 후크(18)를 회동시켜서 전각(3,4)과 푸쉬로드(13,14)사이의 로크상태를 해제한다. 또한, 한쌍의 링크봉(19,20)의 연결부분을 약간 상방으로 이동시키므로서, 한쌍의 교차봉(16,17)의 로크 상태를 해제한다. 그 상태에서, 푸쉬로드(13,14)를 전방으로 향해 민다. 그러면 푸쉬로드(813,14)는 제 2 도에 있어서 화살표 B로 표시한 바와 같이 핀(28)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한다. 이 푸쉬로드(13,14)의 회동에 따라서, 핀(25,26)[좌석 지지봉(9,10)과 좌석 현수봉(11,12)과의 연결점]은 제 2 도에 있어서 화살표 C로 표시한 바와 같이 후방으로 이동한다. 이때, 좌석 지지봉(9,10)은 좌석 슬리브(33,34)내를 상대적으로 미끄러진다. 게다가, 좌석 지지봉(9,10)은 제 2 도에 있어서 화살표 D로 표시한 바와 같이 좌석 슬리브(33,34)와 전각 슬리브(31,32)의 연결 부분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한다. 그 결과, 후륜(5,6)은전륜(1,2)을 향해 이동한다.
또한, 상기 동작의 도중에 있어서, 전각 슬리브(31,32)는 전각(3,4)위를 약간 미끄러진다. 또, 제 1 도를 참조하면 상기 절첩 동작에 수반하여 버팀대(40,41)가 전각 연결부재(15)를 절곡하도록 작용하므로서, 유모차의 좌우의 측면은 서로 접근하고, 폭방향의 간격이 좁아진다.
제 4 도는 제 1 도 및 제 2 도에 도시한 유모차가 절첩되어져 있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전륜(1,2)과 후륜(5,6)은 거의 동일 높이에 위치하여 유모차의 자립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바꿔말하면, 각 전각(3,4), 각 후각(7,8), 각 좌석 지지봉(9,10), 각 좌석 현수봉(11,12), 각 푸쉬로드(13,14) 및 폭방향 연결수단은 상술한 동작을 달성하도록, 즉 유모차가 절첩될때 후륜(5,6)은 전륜(1,2)을 향해 이동하고, 유모차가 절첩된 상태에 있을때 후륜(5,6)과 전륜(1,2)이 거의 동일 높이에 위치하여 상기 유모차의 자립을 가능하게 하도록, 그 길이 및 연결위치가 선택되어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유모차의 절첩 동작에 수반하여 폭방향의 간격이 좁아지는 바와같은 구조의 것이었지만, 폭방향의 간격이 좁혀지지 않도록된 유모차의 구조라도 좋다. 그 경우에는, 전각 연결부재(15)로서 절곡 불가능한 봉을 채용할 수가 있다. 또, 그와같은 경우에는 한쌍의 교차봉(16,17)을 반드시 설치해야 할 필요는 없고, 예를들어 상하방향으로 연장하는 한쌍의 평행한 봉을 이용하여 후각(7,8)과 푸쉬로드(13,14)를 연결하도록 해도 좋다. 또,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폭방향 연결수단으로서 전각 연결부재(15) 및 한쌍의 교차봉(16,17)이 사용되고 있었지만, 필요에 따라 예를들어 좌우의 푸쉬로드(13,14)를 연결하는 바와같은 부재를 설치하도록 해도 좋다.
게다가,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유모차의 펼친 상태를 고정하기 위한 펼침상태 로크수단으로서 후크(18) 및 한쌍의 링크봉(19,20)을 이용하였다. 그러나 그들은 단지 예시적인 것이며, 다른 개소에 다른 상태로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 5 도 및 제 6 도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측면도이다.
전륜(101)을 갖는 전각(102)과, 후륜(103)을 갖는 후각(104)은 축(105)을 거쳐서 회동 가능하게 연결 되어있다. 좌석을 지지하기 위한 좌석 지지봉(107)은 축(106)을 거쳐서 후각(104)의 상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좌석 지지봉(107)과 전각(102)은 좌석 슬리브(108) 및 전각 슬리브(109)를 거쳐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좌석 슬리브(108)는 좌석 지지봉(107)을 미끄럼 가능하게 받아들이고, 전각 슬리브(l09)는 전각(102)을 미끄럼 가능하게 받아들이고 있다.
전각(102)의 상단부에는 손잡이(l11)를 갖는 푸쉬로드(110)의 하단부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전각(102)과 푸쉬로드(110)의 연결부분에는 푸쉬로드(110)의 회동을 금지하기 위한 로크기구(115)가 설치되어 있다.
좌석 지지봉(107)의 후단부에는 좌석 현수봉(112)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좌석 현수봉(112)의 상단부는 푸쉬로드(110)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X자 형상으로 연장하는 한쌍의 교차봉(113,114)은 그 상단부가 푸쉬로드(1l0)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그 하단부가 후각(l04)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한쌍의 교차봉(113,114)의 교차 각도는 교차 각도 고정수단(116)에 의해 고정된다.
제 5 도에 도시한 상태에서는, 로크기구(115)가 푸쉬로드(110)의 회동을 금지하고, 교차 각도 고정수단(116)이 한쌍의 교차봉(113,114)의 교차 각도를 고정하며, 그에 따라 유모차를 펼침상태로 유지하고 있다.
유모차를 제 6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절첩할때에는, 교차 각도 고정수단(116)에 의한 교차 각도의 고정을 해제하고, 또 로크기구(115)에 의한 로크 상태도 해제한다. 그리고 푸쉬로드(110)를 제 5 도에 있어서 전방으로 회동시키면 제 6 도에 도시하는 상태가 얻어진다.
로크기구(115)는 유모차가 펼침상태에 있을때, 전각(102)의 상단부와 푸쉬로드(110)의 하단부를 거의 평행하게 중합한 상태에서 전각(102)에 대한 푸쉬로드(110)의 회동을 금지하고 있다.
제 7 도 및 제 8 도에는 제 2 실시예의 요부의 측면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한 푸쉬로드의 로크기구(115)는 미끄럼부재(117)와 스프링(118)과 서로 끼워 맞춰지는 계합 凸부(119) 및 계합 凹부(120,121)와 계합벽(122)과를 구비하고 있다.
제 9 도 내지 제 11 도에는 제 7 도에 도시되어 있는 미끄럼부재(117)가 단독으로 도시되어 있으며, 또 제 15 도에는 미끄럼부재(117)와 전각(102)의 연결부분의 측면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미끄럼부재(117)는 전각(102)의 상단부위를 그 길이방향에 따라서 상대적으로 상방에 위치하는 제 1 위치와 상대적으로 하방에 위치하는 제 2 위치와의 사이를 미끄러질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전각(102)의 상단부 내부에는 핀(127)을 거쳐서 스프링 케이스(126)가 고정하여 부착되어 있다. 이 스프링 케이스(126) 및 전각(102)에는 상하방향으로 길다란 긴구멍(123)이 관통하여 설치되어 있다. 이 긴구멍(123)을 삽입 관통하도록 핀(124)이 배치되어 있으며, 이 핀(124)에 미끄럼부재(117)가 고정되어 부착된다. 제 9 도 및 제 11 도에 도시하는 관통구멍(128)은 핀(124)을 삽입 관통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리하여, 미끄럼부재(117)는 핀(124)이 긴구멍(123)내를 이동할 수 있는 범위와 거의 동일한 양만큼 상하방향으로 미끄러질 수가 있다.
제 15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전각(102)의 내부에 있어서 핀(124)에는 스프링받이부재(125)가 고정되어 부착되어 있다. 이 스프링받이부재(125)는 스프링 케이스(126)내에 수용된다. 스프링 케이스(126)의 저벽과 스프링받이부재(125) 사이에는 스프링(118)이 배치된다. 이 스프링(118)은 스프링받이부재(125)를 항상 상방으로 이동시키도록 편이되어 있다. 즉, 스프링(118)은 미끄럼부재(117)를 상대적으로 상방에 위치하는 제 1 위치에 복귀시키도록 편이되어 있다.
제 9 도 내지 제 11 도를 참조하면, 미끄럼부재(117)는 이 미끄럼부재(117)내를 삽입 통과하는 전각(102)을 따라 연장하도록 형성된 기둥부(131)를 갖고 있으며, 이 기둥부(131)의 상단 부분에 계합 凸부(119)가 형성되어 있다. 또, 제 7 도에 잘 도시한 바와 같이, 미끄럼부재(1l7)에는 푸쉬로드(110)의 하단부에 결려 맞춰질 수 있는 계합벽(122)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계합벽(112)에 나란히 연속하여 안내벽(130)도 형성되어 있다. 게다가 제 10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푸쉬도르(110)의 하단부를 받아들이는 대향한 벽에는 차츰 그 간격이 좁혀지도록 되어 있는 한쌍의 경사면(129)이 형성되어 있다. 계합벽(122), 인내벽(130) 및 경사면(129)의 작용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제 7 도 및 제 8 도를 참조하면, 푸쉬로드(1l0)의 하단부에는 상기 푸쉬로드(110)를 둘러싸는 푸쉬로드 슬리브(132)가 핀(133,l34)을 거쳐서 고정 부착되어 있다. 이 푸쉬로드 슬리브(132)는 제 12 도 내지 제 14 도에 도시되어 있으며, 또 푸쉬로드 슬리브(132)와 푸쉬로드(110)와의 연결부의 측면 단면도가 제 16 도에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푸쉬로드 슬리브(132)는 전방으로 돌출한 한쌍의 돌출벽(135)을 갖고 있으며, 이 들출벽(135)이 제 7 도 및 제 8 도에 도시되어 있는 연결축(136)을 거쳐서 전각(102)의 상단부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된다. 즉, 푸쉬로드(110)는 연결축(136)을 회동 중심으로 하여 회동한다. 제 12 도에 도시되어 있는 관통구멍(137,138)은 각각 핀(133,134)을 삽입 관통시키기 위한 것이다. 또, 연결축(136)은 제 12 도에 도시되어 있는 관통구멍(139) 및 제 15 도에 도시되어 있는 관통구멍(140)을 삽입 관통한다.
푸쉬로드 슬리브(1S2)의 돌출벽(135)의 선단면과 미끄럼부재(117)의 기둥부(131)는 유모차가 펼쳐진 상태에 있어서 대면하는 위치 관계가 있다. 그리고 돌출벽(135)의 전단면에는 미끄럼부재(117)의 계합 凸부(119)와 끼워 맞춰질 수 있는 계합 凹부(120,121)가 형성되어 있다.
제 7 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미끄럼부재(117)가 상대적으로 상방에 위치하는 제1위치에 있을때, 미끄럼부재(117)의 계합 凸부(119)는 상방에 위치하는 계합 凹부(120)에 끼워 맞춰진다. 한편, 제 8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미끄럼부재(117)가 상대적으로 하방에 위치하는 제 2 위치에 있을때, 계합 凸부(119)는 하방에 위치하는 계합 凹부(121)에 끼워 맞춰져 있다.
다음에, 제 7 도 및 제 8 도를 참조하여 로크 기구(l15)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유모차가 펼침상태에 있을때, 전각(102)의 상단부와 푸쉬로드(110)의 하단부는 거의 평행하게 중합된 상태로 정렬되어 있다. 미끄럼부재(117)가 제 7 도에 도시하는 제 1 위치에 있을때, 계합벽(122)은 푸쉬로드(110)의 하단부와 걸어맞춰져서 상기 푸쉬로드(110)의 회동을 금지하고 있다. 이 로크상태는 스프링(118)의 작용에 의해 견고하게 유지된다. 또, 계합 凸부(119)와 계합 凹부(l20)와의 끼워맞춤도 계합벽(122)에 의한 로크 상태를 단단히 유지하는데 유효히 작용한다.
다음에, 유모차를 절첩하고자 할때에는, 미끄럼부재(117)를 제 8 도에 도시하는 제 2 위치까지 미끄럼 조작한다. 미끄럼부재(117)의 이동에 따라 기둥부(113)는 일단 외측으로 휘어지고, 그후 계합 凸부(119)가 푸쉬로드 슬리브(132)의 계합 凹부(121)에 끼워맞춰진다. 스프링(118)은 미끄럼부재(117)를 상방으로 이동시키도록 작용하고 있지만, 계합 凸부(119)와 계합 凹부(l21)의 끼워맞춤이 이 이동을 저지한다. 미끄럼부재(117)가 제 2 위치에 있을때에는, 계합벽(122)과 푸쉬로드(110)의 하단부와의 걸어맞춤은 해제된다. 따라서, 푸쉬로드(110)를 전방을 향해 밀면, 이 푸쉬로드(110)와 함께 푸쉬로드 슬리브(132)가 제 8 도에 있어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한다. 그 결과, 미끄럼부재(117)의 계합 凸부(119)와 푸쉬로드 슬리브(132)의 계합 凹부(121)와의 끼워맞춤 상태가 해제되고, 미끄럼부재(117)는 스프링(118)의 작용에 의해 제 7 도에 도시하는 제 1 위치까지 복귀한다.
다음에, 유모차가 절첩상태로부터 펼침상태로 이행할 때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유모차의 펼침상태를 실현시키기 위해 푸쉬로드(110)를 회동시키면, 먼저 제 17 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푸쉬로드(110)의 하단부가 미끄럼부재(117)의 안내벽(130)에 맞닿는다. 그 상태로부터 푸쉬로드(110)를 더욱 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키면, 안내벽(130)이 푸쉬로드(110)의 하단부에 의해 하방으로 압압되고, 그에따라 미끄럼부재(117)가 하방으로 미끄러진다. 그리고 푸쉬로드(110)의 하단부와 전각(102)의 상단부가 거의 평행하게 정렬하였을때 미끄럼부재(117)는 스프링(118)의 작용에 의해 상방으로 미끄러지고, 제 7 도에 도시하는 상태가 얻어진다. 이리하여, 안내벽(130)의 존재에 의해 로크기구(115)를 로크상태로 하는데 특별한 조작이 필요하지 않게 된다. 그러나, 조작성이 다소 나빠지는 것을 허용할 수 있다면, 안내벽(130)을 설치하지 않아도 좋다. 그 경우에는, 전각(102)의 상단부와 푸쉬로드(110)의 하단부가 거의 평행하게 정렬하기 직전에, 미끄럼부재(117)를 손으로 하방으로 미끄럼 조작하는 것이 필요하게 된다.
또한, 미끄럼부재(117)에 형성되어 있는 경사면(129)은 제 17 도에 있어서 푸쉬로드(110)를 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킬때 이 푸쉬로드(110)의 이동을 원활하게 안내하도록 적용한다.
또, 도시한 실시예는 유모차의 좌측면에 위치하는 로크 기구였지만, 유모차의 우측면에도 동일한 로크 기구가 설치된다.
제 18 도 및 제 19 도에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의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제18도에는 유모차의 펼침 상태를 도시하고, 제 19 도에는 절접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양 도면 모두 유모차의 좌측면을 도시하고 있지만, 유모차의 우측면의 구조는 도시한 것과 대칭적으로 나타난다.
도시한 유모차는 각각 그 하방부에 전륜(201)을 갖는 한쌍의 전각(202)과 각각 그 하방부에 후륜(203)을 갖는 한쌍의 후각(204)과 한쌍의 좌석 지지봉(205)과 한쌍의 좌석 현수봉(206)과 한쌍의 푸쉬로드(207)와 유모차의 좌우 각 측면 사이를 연결하는 폭방향 연결수단으로서의 전각 연결부재(208)와 마찬가지로 폭방향 연결수단으로서 작용하는 한쌍의 교차봉(209,210)와 유모차의 펼침상태를 고정하기 위한 펼침상태 로크수단(211)를 구비하고 있다.
전각(202)과 후각(204)은 서로 교차하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그 교차부분에 있어서 그들은 핀(212)을 거쳐서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좌석 지지봉(205)의 전방부는 핀(213)을 거쳐서 후각(204)의 상방부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된다. 또, 좌석 현수봉(206)은 그 하방부가 핀(214)을 거쳐서 좌석 지지봉(205)의 후방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푸쉬로드(207)의 하방부는 연결축(215)을 거쳐서 전각(202)의 상방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또, 유모차의 필침상태에 있어서는, 푸쉬로드(207)의 하방부와 전각(202)의 상방부와는 거의 평행하게 중합하게 된다. 푸쉬로드(207)의 상단부에는 유모차를 미는 사람이 쥐어야 할 손잡이(216)가 설치되어 있다. 이푸쉬로드(207)와 좌석 현수봉(206)은 핀(217)을 거쳐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전각 연결부재(208)는 명료하게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그 양단이 각각 한쌍의 전각(202)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게다가 그 중앙부분에 있어서 하방에 절곡 가능하게 되어 있다.
제 20 도는 제 18 도에 도시되어 있는 한쌍의 교차봉(209,210)의 부분을 유모차의 배후로부터 본 도면이다. 한쌍의 교차봉(209,210)은 X자 형상으로 교차하고 있으며, 그 교차부에 있어서 그들은 핀(218)을 거쳐서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이 한쌍의 교차봉(209,210)은 한쌍의 푸쉬로드(207)와 한쌍의 후각(204)을 연결하고 있지만, 그 상세한 부착상태등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제 18 도를 참조하면, 전각(202)은 그 위를 미끄러질 수 있도록 된 좌석 슬리브(219)를 갖고 있다. 또, 좌석 지지봉(205)은 그 위를 미끄러질 수 있도록 된 좌석 슬리브(220)를 갖고 있다. 전각 슬리브(219)와 좌석 슬리브(220)는 서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제 21 도는 전각 슬리브(219)와 좌석 슬리브(220)의 연결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전각 슬리브(219)는 전각(202)을 미끄럼 가능하게 받아들이고, 좌석 슬리브(220)는 좌석 지지봉(205)을 미끄럼 가능하게 받아들이고 있다. 그리고, 전각 슬리브(219)와 좌석 슬리브(220)는 핀(221)을 거쳐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제 18 도 및 제 19 도에는 나타나 있지 않지만, 좌석 슬리브(220)의 미끄럼 동작과 전각 연결부재(208)의 절곡동작을 연동시키기 위해, 좌석 슬리브(220)와 전각 연결부재(208) 사이에는 버팀대가 설치되어 있다.
제 18 도는 유모차의 펼쳐진 상태를 도시하고 있지만, 이 펼침상태를 고정하기 위해 펼침상태 로크수단(211)이 설치되어 있다. 펼침상태 로크수단(211)은 전각(202)에 대한 푸쉬로드(207)의 회동을 금지하고, 또한 한쌍의 교차봉(200,210)의 교차 각도를 고정한다. 이 펼침상태 로크수단(211)의 상세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유모차에 태워져 있는 어린애를 지탱하기 위한 시트는 그 좌석부가 좌석 지지봉(205)을 이용하여 부착되고, 그 등받이부가 좌석현수봉(206)을 이용하여 부착된다. 또한, 시트의 등받이부는 푸쉬로드(207)를 이용하여 부착하도록 해도 좋다.
이하에, 제 3 실시예의 요부라고도 할 수 있는 펼침상태 로브수단(211)의 상세를 설명한다.
제 22 도 및 제 23 도에는 펼침상태 로크수단(211)의 측면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한 펼침상태 로크수단(211)은 미끄럼부재(222)와 스프링(223)과 서로 끼워 맞춰지는 계합 凸부(224) 및 계합 (스캔)부(225,226)와 계합벽(227)을 구비하고 있다.
제 24 도 내지 제 26 도에는 제 22 도에 도시되어 있는 미끄럼부재(222)가 단독으로 도시되어 있으며, 또 제 31 도에는 미끄럼부재(222)와 전각(202)의 연결부분의 단면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미끄럼부재(222)는 전각(202)의 상단부위를 그 길이방향에 따라서 상대적으로 상방에 위치하는 제 1 위치와 상대적으로 하방에 위치하는 제 2 위치 사이를 미끄러질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전각(202)의 상단부의 내부에는 핀(228)을 거쳐서 스프링 케이스(229)가 고정 부착되어 있다. 이 스프링 케이스(229) 및 전각(202)에는 상하방향으로 길다란 긴구멍(230)이 관통하여 설치되어 있다. 이 긴구멍(230)을 삽입 관통하도록 핀(23l)이 배치되어 있으며, 이 핀(231)에 미끄럼부재(222)가 고정 부착되어 있다. 제 24 도 및 제 26 도에 도시하는 관통구멍(232)은 핀(231)을 삽입 통과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리하여, 미끄럼부재(222)는 핀(231)이 긴구멍(230)내를 이동할 수 있는 범위와 거의 동일한 양만큼 상하방향으로 미끄러질 수가 있다.
제 31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전각(202)의 내부에 있어서 핀(231)에는 스프링받이부재(233)가 고정 부착되어 있다. 이 스프링받이부재(233)는 스프링 케이스(229)내에 수용된다. 스프링 케이스(229)의 저벽과 스프링받이부재(233) 사이에는 스프링(223)이 배치된다. 이 스프링(223)은 스프링받이부재(233)를 항상 상방으로 이동시키도록 편이되어 있다. 즉, 스프링(223)은 미끄럼부재(222)를 상대적으로 상방에 위치하는 제 1 위치에 복귀시키도록 편이하고 있다.
제 24 도 내지 제 26 도를 참조하면, 미끄럼부재(222)는 이 미끄럼부재(222)내를 삽입 통과하는 전각(202)을 따라 연장하도록 형성된 기둥부(234)를 갖고 있으며, 이 기둥부(234)의 상단 부분에 계합 凸부(224)라 형성되어 있다. 또, 제 22 도에 잘 도시한 바와같이, 미끄럼부재(222)에는 푸쉬로드(207)의 하단부에 걸려 맞춰질수 있는 계합벽(227)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계합벽(227)에 나란히 연속하여 안내벽(236)도 형성되어있다. 게다가, 제 25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푸쉬로드(207)의 하단부를 받아들이는 대향한 벽에는 차츰 그 간격이 좁혀지도록 되어 있는 한쌍의 경사면(237)이 형성되어 있다. 계합벽(227), 안내벽(236) 및 경사면(237)의 작용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제 22 도 및 제 23 도를 참조하면, 푸쉬로드(207)의 하단부에는 상기 푸쉬로드(207)를 둘러싸는 푸쉬로드 슬리브(238)가 핀(239,240)을 거쳐서 고정 부착되어 있다. 이 푸쉬로드 슬리브(238)는 제 27 도 내지 제 30 도에 도시되어 있으며, 또 푸쉬로드 슬리브(238)와 푸쉬로드(207)와의 연결부의 측면 단면도가 제 32 도에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푸쉬로드 슬리브(238)는 전방으로 돌출한 한쌍의 돌출벽(241)을 갖고 있으며, 이 돌출벽(241)이 제 22 도 및 제 23 도에 도시되어 있는 연결축(215)을 거쳐서 전각(202)의 상단부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된다. 즉, 푸쉬로드(207)는 연결축(215)을 회동축심으로 하여 회동한다. 제 27 도에 도시되어 있는 관통구멍(242,243)은 각각 핀(239,240)을 삽입 관통시키기 위한 것이다. 또, 연결축(215)은 제 27 도에 도시되어 있는 관통구멍(244) 및 제 31 도에 도시되어 있는 관통구멍(245)을 삽입 관통한다.
푸쉬로드 슬러브(238)의 돌출벽(241)의 전단면과 미끄럼부재(222)의 기둥부(234)는 유모차가 펼쳐긴 상태에 있어서 대면하는 위치관계에 있다. 그리, 돌출벽(24l)의 전단면에는 미끄럼부재(222)의 계합 凸부(224)와 끼워맞춰질 수 있는 계합 凹부(225,226)가 형성되어 있다.
제 22 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미끄럼부재(222)가 상대적으로 상방에 위치하는 제 1 위치에 있을때, 미끄럼부재(222)의 계합 凸부(224)는 상방에 위치하는 계합 凹부(225)에 끼워 맞춰진다. 한편, 제 23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미끄럼부재(222)가 상대적으로 하방에 위치하는 제 2 위치에 있을때, 계합 凸부(224)는 하방에 위치하는 계합 凹부(226)에 끼워 맞춰져 있다.
다음에, 제 22 도 및 제 23 도를 참조하여 전각(202)과 푸쉬로드(207) 사이의 관련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유모차가 펼침상태에 있을때, 전각(202)의 상단부와 푸쉬로드(207)의 하단부는 거의 평행하게 중합된 상태로 정렬되어 있다. 미끄럼부재(222)가 제 22 도에 도시하는 제 1 위치에 있을때, 계합벽(227)은 푸쉬로드(207)의 하단부와 걸어맞춰져서 상기 푸쉬로드(207)의 회동을 금지하고 있다. 이 로크상태는 스프링(223)의 작용에 의해 견고하게 유지된다. 또, 계합 凸부(224)와 계합 凹부(225)와의 끼워맞춤도 계합벽(227)에 의한 로크상태를 단단히 유지하는데 유효히 작용한다.
다음에, 유모차를 절첩하고자 할때에는, 미끄럼부재(222)를 제 23 도에 도시하는 제 2 위치까지 미끄럼 조작한다.
미끄럼부재(222)의 이동에 따라 기동부(234)는 일단 외측으로 휘어지고, 그후 계합凸부(224)가 푸쉬로드슬리브(238)의 계합凹부(226)에 끼워 맞춰진다. 스프링(223)은 미끄럼부재(222)를 상방으로 이동시키도록 작용하고 있지만, 계합凸부(224)와 계합凹부(226)의 끼워맞춤이 이 이동을 저지한다. 미끄럼부재(222)가 제 2 위치에 있을때에는, 계합벽(227)과 푸쉬로드(207)의 하단부와의 걸어맞춤은 해제된다. 따라서, 푸쉬로드(207)를 전방을 향해 밀면, 이 푸쉬로드(207)와 함께 푸쉬로드 슬리브(238)가 제 23 도에 있어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한다. 그 결과, 미끄럼부재(222)의 계합凸부(224)와 푸쉬로드 슬리브(238)의 계합凹부(226)와의 끼워맞춤 상태가 해제되고, 미끄럼부재(222)는 스프링(223)의 작용에 의해 제 22 도에 도시하는 제 1 위치까지 복귀한다.
다음에, 유모차가 절첩 상태로부터 펼침상태로 이행할때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유모차의 펼침상태를 실현시키기위해 푸쉬로드(207)를 회동시키면, 먼저 제 33 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푸쉬로드(207)의 하단부가 미끄럼부재(222)의 안내벽(236)에 맞닿는다. 그상태로부터 푸쉬로드(207)를 더욱 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키면, 안내벽(236)이 푸쉬로드(207)의 하단부에 의해 하방으로 압압되고, 그에 따라 미끄럼부재(222)가 하방으로 미끄러진다. 그리고 푸쉬로드(207)의 하단부와 전각(202)의 상단부가 거의 평행하게 정렬하였을때, 미끄럼부재(222)는 스프링(223)의 작용에 의해 상방으로 미끄러지고, 제 22 도에 도시하는 상태가 얻어진다. 이리하여, 안내벽(236)의 존재에 의해 펼침상태 로크수단(211)을 로크상태로 하는데 특별한 조작이 필요하지 않게된다. 그러나 조작성이 다소 나빠지는 것을 허용할 수 있다면 안내벽(236)을 설치하지 않아도 좋다. 그경우에는, 전각(202)의 상단부와 푸쉬로드(207)의 하단부가 거의 평행하게 정렬하기 직전에, 미끄럼부재(222)를 하방으로 미끄럼 조작하는 것이 필요하게 된다.
또한, 미끄럼부재(222)에 형성되어 있는 경사면(237)은 제 33 도에 있어서 푸쉬로드(207)를 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킬때, 이 푸쉬로드(207)의 이동을 원활하게 안내하도록 작용한다.
제 34 도는 한쌍의 푸쉬로드(207)와 한쌍의 교차봉(209,210)의 연결 부분의 구조를 상방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또한, 이 도면에 있어서는, 설명에 관계없는 부분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또, 제 35 도는 제 34 도에 도시한 부분을 후방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제 34 도 및 제 35 도와 함께 제 20 도를 참조하면, 좌우에 위치하는 한쌍의 푸쉬로드 슬리브(238)의 내측면에는 각각 ㄴ자 형상을 하고 있는 연결부재(246)가 핀(240)을 거쳐서 부착되어 있다. 이 연결부재(246)는 전후 상하로 연장하는 평면내를 회전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한쪽 교차봉(209)은 그 상단부가 핀(248)을 거쳐서 유모차의 우측면에 위치하는 연결부재(246)가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또, 다른쪽 교차봉(210)은 그 상단부가 핀(247)을 거쳐서 유모차의 좌측면에 위치하고 있는 연결부재(246)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또한 한쌍의 연결부재(246)사이에는 유모차의 폭방향으로 연장하는 폭방향 연결봉(249)이 핀(247,248)을 거쳐서 연결되어 있다. 제 20 도로부터 명백한 바와같이, 폭방향 연결봉(249)은 중앙부재(249a), 좌측부재(249b) 및 우측부재(249c)의 세 부재로 구성되어 있다. 좌측부재(249b)는 그 좌측단이 핀(247)을 거쳐서 연결부재(246)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그 우측단이 핀(250)을 거쳐서 중앙부재(249a)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우측부재(249c)는 그 우측단이 핀(248)을 거쳐서 연결부재(246)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그 좌측단이 핀(251)을 거쳐서 중앙부재(249a)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즉, 폭방향 연결봉(249)은 제 20 도에 있어서 화살표 A 및 B로 표시하는 바와같이, 그 중앙부분에서 상방으로 절곡 가능하게 되어 있다.
제 36 도는 폭방향 연결봉(249)의 중앙부재(249a)와 우측부재(249c)의 연결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하고 있다. 도시한 바와같이, 중앙부재(249a)에는 우측부재(249c)의 상면부분에 맞닿아서 하방으로의 절곡을 금지하는 맞닿음벽(252)이 형성되어 있다. 유모차가 펼침상태에 있을때에는, 이 맞닿음벽(252)이 우측부재(249c)의 상면부에 맞닿고 있다. 좌측부재(249b)와 중앙부재(249a)사이에도 동일한 구조가 채용된다. 제 36 도에 있어서, 중앙부재(249a)와 우측부재(249c)가 약간 상방으로 절곡된 위치를 가상선으로 도시하고 있다.
제 18 도 및 제 20 도를 참조하면, 한쌍의 후각(204)에는 각각 핀(263)을 거쳐서 부착구(256)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 한쌍의 부착구(256)에는 후각 연결부재(253)가 핀(257,258)을 거쳐 연결되어 있다. 후각연결부재(253)는 제 20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좌측 링크봉(253a)과 우측 링크봉(253b)으로 구성된다. 좌측 링크봉(253a)은 핀(257)을 거쳐 유모차 좌측면에 위치하는 부착구(256)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우측 링크봉(253b)은 핀(258)을 거쳐서 유모차의 우측면에 위치하는 부착구(256)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좌측 링크봉(253b)에는 좌측 링크봉(253a)의 상면에 맞닿는 맞닿음부(255)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맞닿음부(255)에 의해 연결부재(253)하방으로의 절곡을 금하고 있다. 그러나 후각 연결부재(253)는제 20 도에 도시한 상태로부터 상방으로 절곡되는 것은 가능하다.
제 20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한쪽 교차봉(209)의 하방단은 핀(259)을 거쳐서 좌측 링크봉(253a)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다른쪽 교차봉(210)은 핀(260)을 거쳐 우측 링크봉(253b)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있다.
제 34 도 및 제 35 도와 함께, 제 28 도 및 제 29 도를 참조하면, 푸쉬로드 슬리브(238)의 내측면에는 내측으로 향해 연장되는 밀기벽(261)이 고정 설치되어 있다. 밀기벽(261)의 형은 제 28 도 내지 제 30 도를 참조하면 명백해진다. 제 30 도는 제 29 도의 선 XXX-XXX에 따라 본 단면도이다. 제 30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밀기벽(261)하방으로 돌출한 수직 현수부(262)를 갖고 있다.
제 37 도는 제 34 도의 선 XXXVII-XXXVII에 따라 본 도면을 도시하고 있다. 이 제 37 도와 함께 제 34 도 및 제 35 도를 참조하면, 밀기벽(261)은 유모차가 펼침상태일때, 즉 푸쉬로드(207)가 미끄럼부재(222)의 계합벽(227)에 의해 그 회전을 금하고 있을때, 폭방향 연결봉(249)의 상면에 맞닿아 이 폭방향 연결봉(249)의 절곡을 금지한다. 제 20 도를 참조하면, 폭방향 연결봉(249)의 절곡이 금지됨으로써 한쌍의 교차봉(209,210)의 교차 각도는 고정되고, 유모차의 폭방향 절접은 금지된다. 또, 제 18 도를 참조하면 명백한 바와같이, 한쌍의 교차봉(209,210)의 교차 각도가 고정됨으로써 전각(202)과 후각(204)사이의 교차 각도도 고정된다. 이리하여, 유모차는 전각(202)상에 설치되어 있는 미끄럼부재(222)와 푸쉬로드(207)의 하단부를 거는 것만으로 그 펼침상태가 안정되게 유지된다.
유모차를 절첩하려할때는, 미끄럼부재(222)를 제 23 도에 도시한 제 2 위치까지 미끄럼 조작하면 좋다. 이 상태로부터 푸쉬로드(207)를 전방으로 회전시키면, 제 38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밀기벽(261)이 폭방향 연결봉(249)상면으로부터 떨어진다. 따라서, 폭방향 연결봉(249)상방으로의 절곡이 허용되고, 이에따라 한쌍의 교차봉(209,210)의 회전도 허용된다. 이리하여, 유모차는 푸쉬로드(209)를 회전시킴으로써 전후 및 좌우방향으로 절첩되고, 제 19 도에 도시한 상태가 얻어진다. 또, 도시한 실시예는 본 발명을 구체화한 일예에 지나지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균등범위에 있어서 여러가지 수정이나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들면, 제 20 도에 도시되어 있는 후각 연결부재 (253)를 항상 설치할 필요는 없다. 이 경우에는 한쌍의 교차봉(209,210)은 예를들어 구면 베어링 등을 거쳐 한쌍의 후각(204)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게 된다. 다만, 후각 연결부재(253)를 설치함으로써 유모차의 펼침상태에 있어서의 구조는 보다 견고해진다.
또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전각(202)에 대한 푸쉬로드(207)의 회전을 금지하는 푸쉬로드 로크기구로서, 한쌍의 미끄럼부재(222)와 한쌍의 스프링(223)과 서로 끼워지는 凹凸부(224,226)와 한쌍의 계합벽(227)을 이용하였다. 그러나 다른 상태의 푸쉬로드 로크기구를 채용해도 좋다. 예를들면 제 1 실시예로서 개시되어 있는 유모차와 같이, 후크와 계합핀을 이용하여 푸쉬로드의 회전을 금지하게 해도 좋다.

Claims (12)

  1. 각각 그 하방부에 전륜을 갖는 한쌍의 전각(3,4)과 각각 그 하방부에 후륜을 갖고, 또 상기 전각(3,4)과 그들이 교차하는 부분에 있어서 핀(21,22)을 거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한쌍의 후각(7,8)과, 각각 그 전방부가 상기 후각(7,8)의 상방부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한쌍의 좌석 지지봉(9,10)과 각각 그 하방부가 상기 좌석 지지봉(9,10)의 후방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한쌍의 좌석 현수봉(11,l2)과 각각 그하방부가 상기 전각(3,4)의 상방부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좌석 현수봉(11,12)에 그들이 교차하는 부분에 있어서 핀(29,30)을 거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한쌍의 푸쉬로드(13,14)와, 상기 각 전각(3,4) 각 후각(7,8), 각 좌석 지지봉(9,10), 각 좌석 현수봉(11,l2) 및 각 푸쉬로드 (13,14)로 각각 구성된 상기 유모차의 좌우 각 측면 사이를 연결하는 폭방향 연결수단(15,16,17)과, 상기 유모차의 펼친 상태를 고정하기 위한 펼침상태 로크수단(18,19,20)을 구비하고, 상기 각 전각(3,4), 각 후각(7,8), 각 좌석지지봉(9,10)각 좌석 현수봉(11,12), 각 푸쉬로드(13,14) 및 폭방향 연결수단(15,16,17)은 이하의 동작을 달성하도록, 즉 상기 유모차가 절첩될때 상기 후륜은 상기 전륜을 향해 이동하고, 상기 유모차가 절첩된 상태에 있을때 상기 후륜과 전륜은 거의 동일 높이에 위치하여 상기 유모차의 자립을 가능하도록, 그 길이 및 연결위치가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각(3,4)은 그 위를 미끄러질 수 있게 된 전각 슬리브(31,32)를 갖고, 상기좌석 지지봉(9,10)은 그 위를 미끄러질 수 있게 된 좌석 슬리브(33,34)를 갖고, 상기 전각 슬리브(31,32)와 상기 좌석 슬리브(33,34)는 그들이 교차하는 부분에 있어서 핀을 거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폭방향 연결수단은, 상기 한쌍의 전각(3,4)사이에 연결되고 또 중앙에 있어서 절곡 가능하게된 전각 연결부재(15)와, X자형으로 교차하고 그 교차부에 있어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또 그 상단부가 상기 한쌍의 푸쉬로드(13,14)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그 하단부가 상기 한쌍의 후각(7,8)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한쌍의 교차봉(16,17)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전각(3,4)은 그 위를 미끄러질 수 있게 된 전각 슬리브(31,32)를 갖고, 상기좌석 지지봉(9,10)은 그 위를 미끄러질 수 있게 된 좌석 슬리브(31,32)를 갖고, 상기 전각 슬리브(31,32)와 상기 좌석 슬리브(33,34)는 그들이 교차하는 부분에 있어서 핀을 거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좌석 슬리브(33,34)의 미끄럼 동작과 상기 전각 연결부재(15)의 절곡 동작을 연동시키기 위해 상기 좌석 슬리브(33,34)와 상기 전각 연결부재(15)간에는 버팀대(40,41)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펼침상태 로크수단은 상기 전각(3,4)에 대한 상기 푸쉬로드(13,14)의 회전을 금지하는 수단(18)을 포함하는 것을 특정으로 하는 유모차.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펼침상태 로크수단은 상기 한쌍의 교차봉(16,17)의 교차 각도를 고정하는 수단(19,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펼침상태 로크수단은 상기 전각의 상단부와 상기 푸쉬로드 하단부를 거의 평행하게 중합한 상태에서 전각에 대한 푸쉬로드의 회전을 금지하는 것이며, 상기 전각(102)의 상단부상을 그 길이 방향을 따라 상대적으로 상방에 위치하는 제 1 위치와 상대적으로 하방에 위치하는 제 2 위치 사이를 미끄러질 수 있게된 미끄럼부재(117)와 상기 미끄럼부재(117)를 상기 제 1 위치로 복귀시키도록 편이되어 있는 스프링(118)과, 상기 미끄럼부재(117)와 상기 푸쉬로드(110)가 대면하는 부분에 형성되고, 상기 미끄럼부재(117)가 적어도 상기 제 2 위치에 있을때 상기 미끄럼부재의 이동을 금지하도록 끼워맞춰지는 凹凸부(119,120,121)와 상기 미끄럼부재(117)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미끄럼부재(117)가 상기 제 1 위치에 있을때는 상기 푸쉬로드(110)의 하단부와 결합하여 상기 푸쉬로드(110)의 회전을 금하고, 상기 미끄럼부재(117)가 제 2 위치에 있을때에는 상기 푸쉬로드(110)와의 결합을 해제하여 상기 푸쉬로드(110)의 회전을 허용하는 계합벽(22)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미끄럼부재(117)에는 유모차가 절첩상태로부터 펼침상태로 이행할때 상기 푸쉬로드(110)의 하단부에 의해 하방으로 눌리고, 그로써 상기 미끄럼부재(117)를 하방으로 미끄러지게 하는 인내벽(130)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모차는, 전후 및 좌우방향으로 절첩 가능하며, 상기 한쌍의 푸쉬로드는 상기 유모차가 펼침상태에 있을때 그 하방부가 상기 전각의 상방부에 거의 평행으로 중첩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유모차는 또, 상기 한쌍의 푸쉬로드(207)에 전후 상하로 연장되는 평면내를 회전하도록 설치된 한쌍의 연결부재(246)와, X자형으로 교차하고 그 교차부에 있어서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또 그 상단부가 상기한쌍의 연결부재(246)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그 하단부가 상기 한쌍의 후각(204)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한쌍의 교차봉(209,210)과, 그 중앙부분에 있어서 상방으로 절곡 가능하게 되어 있으며, 또 그 양단부가 상기 한쌍의 연결부재(246)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된 폭방향 연결봉(249)을 구비하고, 상기 펼침상태 로크수단은, 상기 전각(202)에 대한 상기 푸쉬로드(207)의 회동을 금지하는 푸쉬로드 로크기구(222,223,224,226,227)와, 상기 푸쉬로드(207)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푸시로드(207)가 상기 푸쉬로드 로크기구(222,223,224,226,227)에 의해 그 회동을 금지받고 있을때 상기 폭방향 연결봉(249)의 상면에 맞닿아서 이 폭방향 연결부재(249)의 절곡을 금하는 밀기벽(261)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폭방향 연결봉(249) 및 상기 한쌍의 교차봉(209,210)은 동일한 핀(247,248)에 의해 상기 한쌍의 연결부재(246)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푸쉬로드 로크기구는 상기 전각(202)의 상단부상을 그 길이방향을 따라 상대적으로 상방에 위치하는 제 1 위치와 상대적으로 하방에 위치하는 제 2 위치 사이를 미끄러질 수 있게 설치된 한쌍의 미끄럼부재(222)와, 상기 미끄럼부재(222)를 상기 제 1 위치에 복귀시키도록 편이하고 있는 한쌍의 스프링(223)과, 상기 미끄럼부재(222)와 상기 푸쉬로드(207)가 대면하는 부분에 형성되고, 상기 미끄럼부재(222)가 적어도 상기 제 2 위치에 있을때 상기 미끄럼부재(222)의 이동을 금지하도록 끼워맞춰지는 凹凸부(224,226)와, 상기 미끄럼부재(222)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미끄럼부재(222)가 상기 제 1 위치에 있을때는 상기 푸쉬로드(207)의 하단부와 걸려서 상기 푸쉬로드(207)의 회동을 금지하고, 상기 미끄럼부재(222)가 상기 제 2 위치에 있을때는 상기 푸쉬로드(207)와의 결합을 해제하여 상기 푸쉬로드(207)의 회동을 허용하는한쌍의 계합벽(227)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미끄럼부재(222)에는 상기 유모차가 절첩상태로부터 펼침상태로 이행할때 상기 푸쉬로드(207)의 하단부에 의해 하방으로 밀려지고, 그에따라 상기 미끄럼부재(222)를 하방으로 미끄러지게 해주는 안내벽(236)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KR1019870002887A 1986-03-28 1987-03-28 유모차 KR90000370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72099 1986-03-28
JP61072099A JPH0712824B2 (ja) 1986-03-28 1986-03-28 乳母車
JP14905186A JPH085389B2 (ja) 1986-06-24 1986-06-24 乳母車の押棒のロツク機構
JP149651 1986-06-24
JP149051 1986-06-24
JP15996086A JPH085387B2 (ja) 1986-07-07 1986-07-07 乳母車
JP159960 1986-07-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8740A KR870008740A (ko) 1987-10-20
KR900003703B1 true KR900003703B1 (ko) 1990-05-30

Family

ID=273008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02887A KR900003703B1 (ko) 1986-03-28 1987-03-28 유모차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4762335A (ko)
EP (1) EP0239367A3 (ko)
KR (1) KR900003703B1 (ko)
AU (1) AU581837B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0428B1 (ko) * 2013-07-01 2014-06-27 오원주 안전 지팡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54584A (en) * 1993-04-20 1995-10-03 Graco Children's Products, Inc. Collapsable stroller
USD382837S (en) * 1995-11-09 1997-08-26 Graco Children's Products, Inc. All-terrain stroller with swivel wheels
US5704523A (en) * 1996-09-05 1998-01-06 Wang; Hsiu Yen Foldable baby carrier
US6206405B1 (en) * 1996-09-16 2001-03-27 Convaid Products Inc. Mobile seating arrangement
USD414144S (en) 1996-10-25 1999-09-21 Gerry Baby Products Stroller
US5988669A (en) * 1996-10-25 1999-11-23 Evenflo Company, Inc. Stroller with grip handle
USD396673S (en) 1996-10-25 1998-08-04 Gerry Baby Products Stroller
US6139046A (en) * 1996-10-25 2000-10-31 Evenflo Company, Inc. Stroller with improved features
GB2319227B (en) * 1996-11-11 2000-09-27 Huang Li Chu Chen Foldable mechanisim for a stroller
GB2323821B (en) * 1997-03-25 2001-03-14 Jane Sa Foldable push-chair
CN1050098C (zh) * 1997-08-28 2000-03-08 好孩子集团公司 伞把车的前腿与手推杆的联接装置
US6059301A (en) * 1998-01-06 2000-05-09 Skarnulis; Cynthia L. Baby carriage and adapter handle therefor
JP4184761B2 (ja) * 2002-11-11 2008-11-19 グラコ・チルドレンズ・プロダクツ・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折畳式乳母車
GB2418400A (en) * 2004-09-28 2006-03-29 Armon Ltd Folding baby stroller
ATE491617T1 (de) * 2006-04-21 2011-01-15 Wonderland Nursery Goods Faltbarer kinderwagen
CN200954826Y (zh) * 2006-09-29 2007-10-03 李伟琼 折叠式婴儿推车
US7641216B2 (en) * 2007-03-05 2010-01-05 Dick Cone Industrial Design, Inc. Flat fold stroller
JP5028166B2 (ja) * 2007-07-03 2012-09-19 アップリカ・チルドレンズプロダクツ株式会社 乳母車
JP2009012580A (ja) * 2007-07-03 2009-01-22 Graco Childrens Prod Inc 乳母車および座席ハンモック
JP5232437B2 (ja) * 2007-10-22 2013-07-10 アップリカ・チルドレンズプロダクツ株式会社 幌付折畳式乳母車
US8066300B2 (en) * 2007-10-22 2011-11-29 Aprica Children's Products Inc. Foldable pushcart and foldable baby carriage
US20090102149A1 (en) * 2007-10-22 2009-04-23 Graco Children's Products Inc. Foldable pushcart and foldable baby carriage
US7900952B2 (en) * 2008-02-08 2011-03-08 Dick Cone Industrial Design, Inc. Folding stroller including locking mechanism
BRPI0913501A2 (pt) * 2008-09-05 2016-09-20 Thorley Ind Llc carrinho de bebê
US8104788B2 (en) * 2010-03-16 2012-01-31 Dick Cone Industrial Design, Inc. Folding stroller including a footrest
US20130134762A1 (en) * 2011-11-25 2013-05-30 Sunpex Technology Co., Ltd. Quick disassembly structure of seat for scooter
CN105358405B (zh) 2013-06-28 2018-08-31 婴儿潮流公司 儿童推车
CN103507846B (zh) * 2013-09-05 2016-04-13 好孩子儿童用品有限公司 儿童推车
CN105564486B (zh) * 2014-10-15 2018-05-22 明门香港股份有限公司 支撑机构及具有此支撑机构的婴儿车
CN107364483B (zh) * 2016-04-29 2019-08-06 明门瑞士股份有限公司 婴幼儿推车
CN109334750A (zh) * 2018-11-14 2019-02-15 祝临川 可折叠儿童推车
CN109606450A (zh) * 2018-12-03 2019-04-12 好孩子儿童用品有限公司 一种儿童推车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154362A (en) * 1965-07-20 1969-06-04 Owen Finlay Maclaren Improvements relating to Structures for Folding Baby-Carriages, Chairs, and the like
GB1462122A (en) * 1974-05-08 1977-01-19 Ftm Ltd Collapsible structure
US3976309A (en) * 1974-12-10 1976-08-24 Enea Montanelli Reducible volume structure, particularly suitable for baby carriages
IT1066314B (it) * 1976-07-15 1985-03-04 Kassai Kk Perfezionamento nelle carrozzine per bambini
JPS5615100A (en) * 1979-07-18 1981-02-13 Hitachi Ltd Method of detecting erroneous wiring
GB2074106B (en) * 1980-03-10 1984-02-08 Kassai Kk Baby carriage
JPS5838349B2 (ja) * 1980-03-10 1983-08-22 葛西株式会社 乳母車
US4415180A (en) * 1981-04-27 1983-11-15 Dawn Designs, Inc. Stroller latch
US4428598A (en) * 1981-07-27 1984-01-31 Kassai Kabushikikaisha Baby carriage
JPS6099765A (ja) * 1983-11-04 1985-06-03 アップリカ葛西株式会社 乳母車の開閉状態ロツク機構
US4616844A (en) * 1983-07-15 1986-10-14 Aprica Kassai Kabushikikaisha Mechanism for locking opened state of baby carriage
IT1171988B (it) * 1983-12-14 1987-06-10 Giordani Raffaele Passeggino di tipo perfezionato
JPS61131460A (ja) * 1984-11-30 1986-06-19 Canon Inc ウエハ洗浄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0428B1 (ko) * 2013-07-01 2014-06-27 오원주 안전 지팡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8740A (ko) 1987-10-20
EP0239367A3 (en) 1989-03-22
AU7072287A (en) 1987-10-01
AU581837B2 (en) 1989-03-02
EP0239367A2 (en) 1987-09-30
US4762335A (en) 1988-08-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00003703B1 (ko) 유모차
JP2583063B2 (ja) 乳母車
CN110254493B (zh) 婴幼儿推车和可拆卸地安装于婴幼儿推车的儿童座椅
US6964429B2 (en) Stroller
EP1327568B1 (en) Stroller with a reclining mechanism
EP2011717B1 (en) Baby carriage
JP2007069758A (ja) 折畳式座席運搬車体
JPS59202974A (ja) 乳母車
US5735570A (en) Foldable chair frame
JPS61500353A (ja) 腕掛け部を有する折りたたみ式支持体
US4398748A (en) Inclinable support, particularly for child's carriage
US6464244B1 (en) Stroller assembly having a foldable frame
JP4583742B2 (ja) ベビーカー
KR920007465B1 (ko) 유아용 절첩식 등걸이
KR970003853B1 (ko) 지게로 사용할 수 있는 유아용 테이블 췌어
JPH0712824B2 (ja) 乳母車
JP4982103B2 (ja) 子供座席形成部材
KR20060051236A (ko) 덮개가 있는 유모차
JP4275494B2 (ja) ベビーカー
JPH085387B2 (ja) 乳母車
KR920009592B1 (ko) 절첩가능한 유모차
JPS5832065B2 (ja) 乳母車
KR920008651Y1 (ko) 유모차의 절첩장치
JPS5816460Y2 (ja) 乳母車用ハンモツク
CN216611329U (zh) 车架前脚可收折结构及前脚可收折的车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304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