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2163B1 - 위입 장치의 측장량 설정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위입 장치의 측장량 설정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900002163B1 KR900002163B1 KR1019870007254A KR870007254A KR900002163B1 KR 900002163 B1 KR900002163 B1 KR 900002163B1 KR 1019870007254 A KR1019870007254 A KR 1019870007254A KR 870007254 A KR870007254 A KR 870007254A KR 900002163 B1 KR900002163 B1 KR 90000216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eft
- amount
- change
- weft yarn
- yar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47/00—Looms in which bulk supply of weft does not pass through shed, e.g. shuttleless looms, gripper shuttle looms, dummy shuttle looms
- D03D47/34—Handling the weft between bulk storage and weft-inserting means
- D03D47/36—Measuring and cutting the weft
-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47/00—Looms in which bulk supply of weft does not pass through shed, e.g. shuttleless looms, gripper shuttle looms, dummy shuttle looms
- D03D47/34—Handling the weft between bulk storage and weft-inserting means
- D03D47/36—Measuring and cutting the weft
- D03D47/361—Drum-type weft feeding devices
- D03D47/362—Drum-type weft feeding devices with yarn retaining devices, e.g. stopping pins
-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47/00—Looms in which bulk supply of weft does not pass through shed, e.g. shuttleless looms, gripper shuttle looms, dummy shuttle looms
- D03D47/34—Handling the weft between bulk storage and weft-inserting means
- D03D47/36—Measuring and cutting the weft
- D03D47/361—Drum-type weft feeding devices
- D03D47/362—Drum-type weft feeding devices with yarn retaining devices, e.g. stopping pins
- D03D47/363—Construction or control of the yarn retaining devic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57/00—Means for control not provided for in groups B65H2551/00 - B65H2555/00
- B65H2557/30—Control systems architecture or components, e.g. electronic or pneumatic modules; Details thereof
- B65H2557/33—Control systems architecture or components, e.g. electronic or pneumatic modules; Details thereof for digital control, e.g. for generating, counting or comparing pul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oom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제 1 도는 본 발명에 관한 실시예 1의 위입 장치의 평면도.
제 2 도는 본 발명에 관한 실시예 1의 측장 드럼과 위사 걸어 멈춤기구의 정면도.
제 3 도는 본 발명에 관한 실시예 1의 측장량 설정 장치의 블록선도.
제 4 도는 본 발명에 관한 실시예 2의 위입 장치의 개략적인 평면도.
제 5 도는 본 발명에 관한 실시예 2의 위사 측장 저류장치의 수직 단면도.
제 6 도는 본 발명에 관한 실시예 2의 측장 드럼의 정면도.
제 7 도 내지 제 9 도는 본 발명에 관한 실시예 2의 측장량 설정장치의 블록 선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위입 장치 2 : 위사 측장 저류 장치
3 : 위입 노즐 4, 4a, 4b : 위사 검지기
5 : 회전사 가이드 6 : 급사체(給絲體)
7 : 위사 8a, 8b‥‥8u : 조작기
9 : 위사 걸어 멈춤기구 9a, 9b‥‥9u : 걸어멈춤핀
10 : 측장 드럼 11 : 경사
12, 12a, 12b : 모우터 13 : 이송 나사
14 : 원추대 형상의 캠 15 : 슬리브
16 : 회전축 17 : 베어링
18 : 하우징 19 : 하우징
20 : 커버 21 : 키이
22 : 타이밍 풀리 23 : 타이밍 벨트
24 : 가이드 노즐 25 : 공기 취입구
26 : 중간축 27 : 베어링
28 : 중공축 29 : 원판
30 : 영구자석 31 : 영구자석
32 : 스프링 33 : 안내 로드
34 : 고정 드럼 부재 35 : 가동 드럼틀
36 : 지지 플레이트 37 : 구멍
38 : 로울러 39 : 링크
40 : 링크 41 : 지지 브래키트
42 : 연결핀 43 : 연결핀
44 : 당김 스프링 45 : 측장량 설정 장치
46 : 노치 회로 47 : 플립플롭
48 : 카운터 49 : 설정기
50 : 연산기 51 : 발진기
52 : 앤드게이트 53 : 앤드 게이트
54 : 구동 회로 55 : 세트 스위치
56 : 엔코우더 57 : 카운터
58 : 노치 회로 59 : 플립플롭
113 : 변경 지령기 114 : 입력 설정기
115 : 연산기 116 : 구동 제어기
117 : 직기의 주축 118 : 회전각 검출기
120 : 구동 모우터
본 발명은, 유체 분사식 직기의 위입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측장량(測長量)의 변경이 가능한 기구를 구비하여, 위사의 걸어 멈춤 후에 측장 드럼의 바깥둘레에 회전사 가이드에 의하여 위사를 감아서 측장하고, 또한 저류(貯留)하는 형식의 위사 측장 저류장치에 있어서, 직기를 본격적으로 가동시킬 때에, 잠정적인 측장량을 증대에서부터 감소로 또는 감소에서부터 증대로 변화시키는 것에 의하여, 목표의 측장량에 대응하는 정확한 측장량을 자동적으로 설정하기 위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유체 분사식 직기에서는, 시작품을 새롭게 직기에 걸었을때에, 제직 조건을 설정하고, 정규의 운전이 개시된다. 이 제직 조건의 하나로서, 바디를 통하는 폭에 알맞은 측장량의 설정이 있다. 측장량이 필요 이상으로 길면, 실의 손실이 커지게 되기 때문에, 정확한 설정을 필요로 하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류의 드럼식 측장 저류 장치에서는, 측장량의 설정은, 측장 드럼에 대한 위사의 감는 수(整數), 측장 드럼의 바깥 지름의 변경 또는 측장 드럼상에서의 위사의 풀림 위치 및 걸어멈춤 위치의 위치 관계를 변경하는 것에 의하여 결정된다.
측장량의 조정 범위가 측장 드럼에서의 위사의 1회 감기의 길이보다도 짧을 때에, 측장량의 조정은, 오로지 측장 드럼의 바깥지름을 변경하거나, 또는 위사의 풀림 위치 및 걸어멈춤 위치의 위치관계를 변경하는 것에 의하여 행하여진다.
이들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미국 특허 제 4,595,039호 및 일본국 특허 공개번호 제 60-28550호 등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그 어느쪽의 조정에 있어서도, 목표의 측장량은, 측장 드럼의 바깥둘레를 계산에 의하여 산출하거나, 또는 위사의 풀림위치 및 걸어멈춤 위치의 위치 관계를 마찬가지로 계산에 의하여 산출하였다 하더라도, 최적값으로 설정되지 않는다.
그 이유는, 실제의 위사의 측장 저류 과정에서, 위사의 감기시의 장력이나, 위사의 물리적 성질에 의하여, 위사의 종류나 제조과정에 의하여 미묘하게 달라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직기의 시험 위입의 단계에서, 실제로 측장 및 저류 동작과 함께 위입을 행하고, 그 과정에서 시작품에 대한 목표의 측장량으로 되도록 가장 적절한 측장량을 자동적으로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시험 위입의 단계에서, 위사의 측장량을 예를 들면 필요 이상으로 길게 설정하여 두고, 그에 의한 실제의 위입 과정에서, 측장량을 순차적으로 짧아지는 방향으로 변화시키고, 이 변화의 도중에서, 위사의 앞끝단이 도달측의 위사 검지기에 의하여 검지되어 아니한 것을 확인하고, 그의 확인 후에, 그의 위사 검지기의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측장량을 조정하여, 최종적으로 목표의 측장량을 설정하도록 되어있다.
본 발명은, 측장량의 변경을 위하여 조정기구를 채용하고 있다.
이 조정 기구는, 구체적인 예에 의하면, 위사 측장 저류 장치의 위사 걸어 멈춤기구 또는 측장 드럼의 바깥 지름의 변경 기구이다.
양쪽 기구는, 각각 위사의 풀림위치 및 걸어 멈춤 위치의 위치관계, 측장 드럼의 바깥지름을 변경하도록 하는 동작에 의하여 측장량을 변경시킬 수 있는 것으로서, 다음의 실시예 1,2에 의하여 상세하게 나타내고 있다.
[실시예 1]
제 1 도는, 본 발명의 기술적 전제, 즉 유체 분사식 직기용의 위입 장치(1)의 개요를 나타내고 있다. 이 위입장치(1)는, 드럼식의 위사 측장 저류장치(2), 위입 노즐(3) 및 위사 검지기(4)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의 위사 측장 저류장치(2)는, 구동 모우터(120)에 의하여 구동되는 회전사 가이드(5)의 회전 운동에 의하여, 급사체(6)로부터 위사(7)를 인출하여 정지상태의 측장 드럼(10)의 바깥둘레에 감아간다.
또한, 위사 걸어멈춤기구(9)는, 조정기구의 1예로서, 복수, 예를 들면 21개의 걸어멈춤핀(9a), (9b)…(9u)으로 구성되고, 설정된 위사의 풀림 위치 및 걸어멈춤위치의 위치관계에 의하여 택일적으로, 각각 조작기(8a), (8b)…(8u)에 의하여 구동되고, 측장 드럼(10)의 바깥둘레면에 대하여 전진 후퇴 운동을 반복하는 것에 의하여, 위입 타이밍에서 저류 상태의 위사(7)를 풀림 상태로 하고, 위입 종료의 타이밍에서 위사(7)를 측장 드럼(10)의 바깥둘레면에 걸어 맞춤한다.
또한, 이들의 걸어멈춤핀(9a) (9b)…(9u)은, 제 2 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측장 드럼(10)의 중심을 향하여 각각 동일 간격으로 방사(放射)형상으로 배치되고 있다. 그리고, 풀림 상태의 위사(7)는, 상기의 위입 노즐(3)에 의하여, 위입용의 분사 유체와 함께, 시이트 형상의 경사(11)의 개구중에 위입되고, 반대 급사측의 끝단부에 도달된다.
이 위사(7)의 앞끝단 부분은, 도달 위치에서, 상기의 위사 검지기(4)에 의하여 광 또는 전기적으로 검출된다.
다음에, 제 3 도는, 측장량 설정 장치(45)의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상기의 위사 검지기(4)는, 변경 지령기(113)의 입력단에 접속되어 있고, 또한 입력 설정기(114)는, 연산기(115)의 입력단에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이 연산기(115)는, 변경 지령기(113)에도 접속되어 있고, 이들은 함께 구동 제어기(116)의 입력단에 접속되어 있다. 이 구동 제어기(116)는, 걸어멈춤핀(9a), (9b)…(9u)을 선택적으로 구동하기 위하여 각각의 조작기(8a), (8b)…(8u)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직기의 주축(117)의 회전은, 회전각 검출기(118)에 의하여 검출되고, 직기의 주된 운동과 동기를 취하기 위하여, 변경 지령기(113) 및 구동 제어기(116)에 각각 접속되어 있다.
우선 최초에, 오퍼레이터는 제직 조건에 의하여, 입력 설정기(114)를 조작하고, 제 1 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길이, 즉 목표의 조정량(L), 목표의 측장량(L0)과 이것보다도 예를 들면 크고도 잠정적인 측장량(L1)을 각각 입력한다.(입력 설정 과정)
이와같은 입력후에, 연산기(115)는, 측장 드럼(10)의 원둘레 길이 및 걸어멈춤핀(9a), (9b)…(9u)의 피치(P)를 고려하여, 잠정적인 측장량(L1)에 대하여 측장 드럼(10)에서의 위사(7)의 감는수를 산출함과 동시에, 그 측장량(L1)에 대응하는 걸어멈춤핀(9a), (9b)…(9u)의 동작 순서를 결정하고, 또한, 걸어멈춤핀(9a), (9b)…(9u)의 피치(P)를 고려하여, 조정량(L)에 대한 걸어멈춤핀의 걸어멈춤 위치의 변경량을 산출한다. (연산 과정)
예를 들면, 입력된 잠정적인 측장량(L1)에 대응하는 위사(7)의 감는 수가 측장 드럼(10)의 원둘레 상에서 (3+5/21)회 감긴다고 하면, 구동 제어기(116)는, 그 연산 결과에 의하여, 저류 상태의 위사(7)를 최초에 예를 들면 걸어멈춤핀(9a)을 후퇴시키고, 위입 타이밍에서 풀리게 되므로, (2+5/21)회 감긴 위사(7)의 풀림 후에, 걸어멈춤핀(9f)을 측장 드럼(10)의 둘레면에 돌입시키는 것에 의하여, 3회 감긴 분 이외에 걸어멈춤핀(9a)에서부터 걸어멈춤핀(9f)까지의 길이 즉, 5/21회 감긴 분 만큼의 여분에 위사(7)를 풀림 상태로 한다.
즉, 이 상태에서의 풀림 위치 및 걸어 멈춤위치의 위치 관계는 걸어멈춤핀(9a)의 걸어멈춤→걸어멈춤핀(9a)의 풀림→걸어멈춤핀(9f)의 걸어멈춤 →걸어멈춤핀(9f)의 풀림→걸어멈춤핀(9k)의 걸어멈춤→걸어멈춤핀(9k)의 풀림→걸어멈춤핀(9p)의 걸어멈춤→걸어멈춤핀(9p)의 풀림…의 순서로 설정된다.
이와같이 하여, 걸어멈춤핀(9a), (9b)…(9u)은, 측장드럼(10)의 바깥둘레면에서 회전사 가이드(5)의 회전방향과 동일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이동하면서 택일적으로 선택되어 간다.
그 후의 시험 위입을 위하여, 직기가 실제로 기동한 단계에서, 위입 장치(1)는, 이미 설명한 바와같이 위입 운동을 반복하는 것에 의하여, 풀림 상태의 위사(7)를 잠정적인 측장량(L1)의 길이로서 경사(11)의 개구중에 위입되어간다.
또한, 조정량(L)이 2피치(P)로 동일하다면, 변경량은, 2개분의 걸어멈춤핀인 것이 된다.
이 시험 위입 단계에서, 변경 지령기(113)는, 잠정적인 측장량(L1)을 약간씩 에를들면 1피치(P)씩 짧게 설정하기 위하여, 1피크마다, 또는 수 피크마다 걸어멈춤핀(9a)의 걸어멈춤→걸어멈춤핀(9a)의 풀림→걸어멈춤핀(9e)의 걸어멈춤→걸어멈춤핀(9e)의 풀림→걸어멈춤핀(9h)의 걸어멈춤→걸어멈춤핀(9h)의 풀림→걸어멈춤핀(9j)의 걸어멈춤→걸어멈춤핀(9j)의 풀림…의 순서로 걸어멈춤핀(9a), (9b)…(9u)을 선택적으로 구동하고, 위사 걸어멈춤핀(9)의 풀림 위치 및 걸어멈춤위치의 위치 관계를 순차적으로 측장량(L1)이 짧아지는 방향으로 변경하여 간다.
또한, 이 변경 과정에서는, 측장 드럼(10)의 위사(7)의 저류량에 초과 또는 부족 현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구동 모우터(120)가 제어되고 있다.
잠정적인 측장량(L1)의 초기의 단계에서는, 위사 검지기(4)는, 항상 위입후의 위사(7)의 앞끝단을 확인하고 있으나, 잠정적인 측정량(L1)이 점차적으로 짧아지게 됨에 따라, 위사(7)의 앞끝단이 위사 검지기(4)의 위치까지 도달하지 않기 때문에, 위사 검지기(4)는, 시험 위입의 단계에서, 그의 존재하지 아니함을 검출한다. 이때에, 변경 지령기(113)는, 측장량(L1)의 감소방향으로의 변화를 중지한다.(변경 과정)
그 시점에서의 위사 걸어멈춤기구(9)의 설정 상태에 대하여 상기의 연산 과정에서 구하여진 변경량을 근거로 하여 최종적인 위사 걸어 멈춤기구의 설정값인 풀림 위치 및 걸어멈춤 위치의 위치 관계를 최종적으로 결정하고, 목표의 측장량(L0)으로 조정한다. (조정 과정)
예를 들면 걸어멈춤핀(9j)에 대하여 풀리고, 동일하게 걸어멈춤핀(9j)이 걸려졌을 때에, 즉 정확히 3회 감긴분을 풀었을때에, 위사 검지기(4)가 위사(7)의 양끝단의 존재하지 아니함을 검출하면, 변경 지령기(113)는, 그의 위치 보다도 조정량(L)만큼 긴 측장량으로 되도록 걸어멈춤핀(9j)보다도 회전사 가이드(5)의 회전방향으로 2피치(P)만큼 어긋난 위치의 걸어멈춤핀(9l)을 선택하고, 그 후에 이 걸어멈춤핀(9j)과 (9l)과의 상대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풀림 위치 및 걸어 멈춤위치의 위치 관계를 결정한다. (조정 과정)
그 결과, 위사 걸어 멈춤기구(9)는, 그 후의 정상적인 운전 상태일때에, 현재의 풀림 위치 및 걸어 멈춤 위치의 위치 관계보다도 감는 방향으로 2피치(P)만큼 변위한 위치의 풀림 위치 및 걸어 멈춤 위치의 위치 관계를 새롭게 순차적으로 결정하여 가는 것이 된다.
따라서, 위사 걸어 멈춤기구(9)는, 걸어멈춤핀(9l)의 걸어멈춤풀림→걸어멈춤핀(9n)의 걸어 멈춤풀림→걸어멈춤핀(9p)의 걸어 멈춤풀림→걸어멈춤핀(9r)의 걸어 멈춤풀림→걸어멈춤핀(9t)의 걸어 멈춤풀림→걸어멈춤핀(9a)의 걸어 멈춤풀림→걸어멈춤핀(9c)의 걸어멈춤풀림…의 순서로 동작시키는 것이 된다.
예를 들면, 천의 폭이 200[cm]인 시작품이 직기에 걸려진 것으로 하고, 경사의 끝단에서부터 위사 검지기(4)까지의 거리가 5[cm]이고, 또한 거기에서부터 L=2[cm]만큼 긴 길이가 목표의 측장량 L0=207[cm]인 것으로 한다.
그리고, 잠정적인 측장량(L1)으로서, 214[cm] 및 조정량 L=2[cm]를 입력설정기(114)에 입력한다.
이때에, 측장 드럼(10)의 원 둘레 길이가 42[cm]로서 21개의 걸어멈춤핀(9a), (9b)…(9u)을 구비한 위사 측장 저류장치(2)이면, 연산기(115)는, 계산기(42[cm]×5[회 감기]+2[피치]×2=214[cm])에 의하여 5회 감기와 2피치를 산출하여, 위사(7)를 걸어 멈춤하고, 또한, 풀리는 걸어멈춤핀의 선택 순서를 회전사 가이드(5)의 회전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2번째마다 진행시키는 것을 결정한다.
상기의 실시예는, 일본국 특개소 57-29640호 공보의 발명과 동일하게, 위사 걸어 멈춤기구(9)를 복수의 걸어멈춤핀(9a), (9b)…(9u)으로 구성한 예를 나타내고 있으나, 이 위사 걸어 멈춤기구(9)는, 일본국 특개소 60-28552호 공보의 발명과 같이, 1개의 걸어멈춤핀(9a)과, 이 걸어멈춤핀(9a)을 측장 드럼(10)의 원 둘레상에서 이동시키는 구동 수단으로 구동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은 위사 걸어 멈춤기구(9)에서는, 어떤 풀림 위치 및 걸어 멈춤위치의 위치 관계에서 위사(7)를 플른 후에, 이 걸어멈춤핀(9a)을 다음의 위치로 이동시키고, 거기에서 재차 위사(7)의 걸어 멈춤 및 풀림 동작을 행한다. 이 경우의 구동 수단은, 예를 들면 스테핑(Stepping) 모우터 등에 의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의 실시예에서는, 복수 피크의 위사(7)를 저류하는 위사 측장 저류장치(2)의 예를 나타내고 있으나, 구동 모우터(120)가 직기와 동기적으로 회전하고, 1피크만의 위사(7)를 측장 저류하는 형식의 측장 저류장치이어도 좋다.
이와 같은 측장 저류장치에서는, 변경 과정에 있어서, 위사(7)의 풀림 위치 및 걸어 멈춤 위치의 위치 관계의 변경과 동시에 구동 모우터(120)의 회전수의 변경이 행하여 진다.
또한, 상기의 실시예에서는, 입력 설정기(14)에 잠정적인 측장량(L1)을 입력하고, 대응하는 위사 걸어 멈춤기구(9)의 초기의 설정치를 산출한 것이나, 초기의 설정값은, 예를 들면 위사(7)의 앞끝단의 도달 위치가 적어도 위사 검지기(4)를 초월하도록 적당히 설정되어 있으면 좋다.
그리고, 이 설정은, 수동으로서 행하여도 좋다.
[실시예 2]
제 4 도는, 본 실시예의 위입 장치(1)의 개요를 나타내고 있다. 이 위입 장치(1)는, 드럼식의 위사 측장 저류장치(2), 위입 노즐(3) 및 제 1 의 위사 검지기(4a), 또는 필요에 따라서 제 2 의 위사 검지기 (4b)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의 위사 측장 저류장치(2)는, 회전사 가이드(5)의 회전 운동에 의하여, 급사체(6)에서 위사(7)를 인출하고, 정지 상태의 측장 드럼(10)의 바깥둘레에 감아 간다.
이와 같은 감는 과정에서, 1개의 걸어멈춤핀(9a)은, 조작기(8a)에 의하여 구동되고, 측장 드럼(10)의 바깥 둘레면에 대하여 전진 후퇴 운동을 반복하는 것에 의하여, 위사(7)를 측장 드럼(10)의 둘레면에서 걸어 멈춤하고, 또한, 위입 타이밍에서 풀림 상태로 한다.
그리고, 풀림 상태의 위사(7)는, 상기의 위입 노즐(3)에 의하여, 위입용의 분사 유체와 함께, 시이트 형상의 경사(11)의 개구중에 위입되고, 반대 급사측의 경사(11)의 끝단부에 도달된다.
이와 같은 위사(7)의 앞끝단 부분은, 도달 위치에서, 상기의 위사 검지기(4a) 또는 필요에 따라서 다른 위사 검지기(4b)에 의하여 광 또는 전기적으로 검출된다.
다음에, 제 5 도 및 제 6 도는, 상기의 위사 측장 저류장치(2)의 기계적인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이 위사 저류장치(2)는, 상기의 회전사 가이드(5) 및 측장 드럼(10)외에, 측장 드럼(10)의 바깥지름을 변경하기 위하여 바깥지름의 변경 기구를 가지고, 그의 구동 수단으로서, 모우터(12), 이 모우터(12)에 의하여 구동되는 이송나사(13)에 나사 한쌍이 꼭 들어 맞는 직각 원추대 형상의 캠(14)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의 회전사 가이드(5)는, 한쪽 끝단에서 회전 중심의 위치의 슬리브(15)의 앞끝단에 꼭 맞추어져 있고, 중공 형상의 회전축(16)과 함께 전후의 베어링(17)에 의하여 고정적인 하우징(18), (19) 및 캠(20)의 내부에서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되고 있다.
또한, 이 회전축(16)은, 키이(21)에 의하여 회전이 멈추어진 타이밍 풀리(22) 및 타이밍 벨트(23)에 의하여 직기의 회전과 동기하여 구동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의 위사(7)는 하우징(19)의 중심에 고정된 가이드 노즐(24)의 내부를 통하고, 거기에서 공기 취입구(25)로부터의 공기의 흐름에 의하여 힘을 가하면서, 회전사 가이드(5)의 내부에 안내되어 간다.
또한, 상기의 회전축(16)은, 앞끝단 위치에서, 중간축(26)에 의하여 베어링(27) 및 중공축(28)을 개재하고, 원판(29) 및 그의 중심 위치에서 상기 모우터(12)를 지지하고 있다. 또한 이 원판(29)은, 바깥 둘레의 위치에 영구자석(30)을 가지고 있고, 이것을 하우징(18)측의 영구자석(31)과 영구자석(31)과 대향시키고 있다.
이들의 영구자석(30), (31)은 측장 드럼(10)의 고정 수단으로서, 서로 자기적인 흡착력을 적용시키는 것에 의하여, 중간축(26)의 회전중에, 원판(29) 및 이에 지지되는 부분을 정지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의 모우터(12)의 출력축은, 이송나사(13)로서 구성되고 있고, 나사 한쌍이 정확하게 캠(14)에 꼭 맞추어져 있다. 이들은, 바깥지름의 변경 기구의 주요부를 구성하고 있다.
이 캠(14)은, 이송나사(13)와 평행한 안내 로드(33)에 대하여 슬라이드 동작이 가능한 상태에서 꼭 맞추어져 있고, 스프링(32)에 의하여 항상 모우터(12)에서 떨어지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의 측장 드럼(10)은, 고정 드럼 부재(34) 및 복수의 가동 드럼틀(35)에 의하여 구성되고 있다.
이들은, 이송나사(13)의 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원둘레상에 배열되어 있고, 한쪽의 고정 드럼 부재(34)는, 안내로드(33)의 앞끝단의 지지 플레이트(36)에 대하여 고정적으로 형성되어 있고, 구멍(37)의 부분에서 상기의 걸어멈춤핀(9a)과 대향하고 있다.
또한 각각의 가동 드럼틀(35)은, 측면에서 보아서 대략 L자 형상으로 굴곡되어 있고, 그의 중심이 모이는 끝단에서 로울러(38)에 의하여 캠(14)의 바깥둘레에 접하고 있고, 또한 2개의 동일 길이의 평행한 링크(39), (40) 및 연결핀(42), (43)에 의하여 원판(29)측의 지지 브래키트(41)에 대하여 평행의 링크를 구성하도록 연결되어 있고, 또한 당김 스프링(44)에 의하여, 항상 중심방향으로 힘을 가하게 되어 있다.
그런데, 모우터(12)가 회전하면, 캠(14)은, 안내로드(33)에 의하여 회전이 멈추어지는 상태로 되기 때문에, 모우터(12)의 회전방향에 따라서, 이송나사(13)에 의하여 모우터(12)에서 떨어지는 방향, 모우터(12)에 대하여 접근하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때에, 스프링(32)은, 캠(14)을 항상 한쪽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것에 의하여, 나사 부분의 백라슈(Backlash)를 흡수하여, 캠(14)의 이송량을 이송나사(13)의 회전량에 정확하게 비례하도록 하고 있다.
이와같이, 캠(14)이 이송나사(13)의 방향으로 이동하면, 고정 드럼 부재(34)는, 항상 고정되지만, 다른 가동 드럼틀(35)은, 캠(14)의 원추면에 안내되고, 평행으로 이동하여, 측장 드럼(10)의 바깥지름을 변화시킨다.
이때에 모두의 가동 드럼틀(35)이 원추대 형상의 캠(14)에 접하고 있기 때문에, 고정 드럼 부재(34) 및 복수의 가동 드럼틀(35)은 항상 바로 원 형상의 원둘레상에서 변위하는 것이 된다.
따라서, 측장 드럼(10)의 바깥지름의 조정후에, 위사(7)가 그의 측장 드럼(10)의 바깥둘레면에서 풀릴때에, 항상 원 운동을 그리면서 측장 드럼(10)의 바깥둘레면으로부터 떨어지기 때문에, 위사(7)는, 항상 미끄러지는 상태에서, 특히 부분적으로 장력이 변동하지 않는 상태에서 인출되는 것이 된다.
다음에, 제 7 도는 측장량 설정장치(45)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의 위사 검지기(4a)는 노치회로(46)를 거쳐, 제어수단으로서의 플립플롭(47)의 리세트 입력단 및 카운터(48)의 제어입력단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설정기(49)는, 연산기(50)에 접속되고, 또한 이 연산기(50)는, 카운터(48)의 프리세트 입력단에 접속되어 있다.
한편, 발진기(51)는 모우터(12)로서의 펄스 모우터(12a)를 구동하기 위하여, 카운터(48)의 입력단 및 2개의 앤드게이트(52),(53)의 한쪽의 입력단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상기의 플립플롭(47) 및 카운터(48)의 출력단은, 각각 앤드게이트(52), (53)의 다른쪽 입력단에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이 앤드게이트(52), (53)는, 펄스 모우터(12a)를 구동하기 위하여 구동회로(54)의 정회전 입력단 및 역회전 입력단에 각각 접속되어 있다.
또한 상기의 플립플롭(47)의 세트 입력단은, 세트 스위치(55)에 접속되어 있다.
우선 최초에, 목표의 측장량으로서, 위사 검지기(4a)의 위치를 고려한 목표의 조정량(L)이 설정기(49)에 의하여 연산기(50)에 입력된다. (입력 설정 과정)
또한 이 목표의 조정량(L)은 제 4 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편의상, 위상 검지기(4a)의 위치로부터 위사(7)의 주행방향을 향하여서 떨어지는 거리로 하여 가해지게 되어 있다.
그런데, 연산기(50)는, 목표의 조정량(L)에 상당하는 분만큼 측장 드럼(10)의 바깥지름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펄스 모우터(12a)의 회전량, 즉 펄스수를 다음의 연산에 의하여 구하고 이것을 카운터(48)로 출력한다. (연산과정)
또한, 상기의 계수(K)는 이송나사(13)의 피치 또는 캠(14)의 형상에 의하여 결정되는 정수(定數)이다.
측장 드럼(10)의 바깥지름은, 미리 잠정적인 측장량, 즉 위사(7)의 앞끝단의 도달 위치가 위사 검지기(4a)를 초월하도록 설정하여 둔다.
이 상태에서 직기가 기동하면, 위사 측장 저류장치(2)는, 이미 설명한 바 있는 측장 및 저류 동작을 개시하고, 또한 위입 노즐(3)은, 위입 타이밍에서, 걸어멈춤핀(9a)에 의한 풀림 상태의 위사(7)를 경사(11)의 개구중에 위입하여 간다.
이 상태에서, 천을 짜는 작업자가 세트 스위치(55)를 누르면, 플립플롭(47)은 세트되기 때문에, 앤드게이트(53)의 한쪽의 입력단에 "H"레벨의 입력이 가해지게 된다.
이로 인하여, 발진기(51)로부터의 펄스는, 앤드게이트(53)를 통과하여, 구동회로(54)의 역회전 입력단에 입력된다.
이와같이 하여, 펄스 모우터(12a)는, 역회전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때에, 캠(14)이 모우터(12)에서 떨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측장드럼(10)의 바깥지름은, 펄스 모우터(12a)의 회전량에 따라서 비례적으로 감소하여 간다.
그 결과, 위사(7)의 측장 길이는, 비례적으로 감소 방향으로 변화하여 간다.
이 과정에서, 어떤 사이클의 위입에 있어서, 위사(7)의 앞끝단이 위사 검지기(4a)에 의하여 검출되지 않았을때에, 위사 검지기(4a)의 출력이 "H"레벨에서 "L"레벨로 변화하기 때문에, 플립플롭(47)은 그것에 의하여 리세트 상태로 되어, 그의 출력을 "L"레벨로 변화시킨다.
그 결과, 발전기(51)로부터의 펄스가 앤드게이트(53)를 통과할 수 없기 때문에, 펄스 모우터(12a)는, 곧 바로 정지한다. (변경과정)
한편, 위사 검지기(4a)의 출력은, 노치회로(46)에서 반전되어, "H"레벨로서, 카운터(48)의 제어 입력단에 보내진다. 이때에, 카운터(48)는, 프리세트 값을 입력으로하여 프리세트 값으로부터 발진기(51)의 펄스수를 감산하고 「0」이 될때까지의 사이에, "H"레벨이 출력신호를 앤드게이트(52)의 한쪽의 입력단에 가해져 간다.
따라서, 카운터(48)의 계수값이 「0」이 될때까지의 사이에, 발진기(51)로부터의 펄스는, 앤드게이트(52)를 거쳐, 구동회로(54)의 정회전 입력단에 가해지기 때문에, 펄스 모우터(12a)는 그 사이에 걸쳐서 정회전 방향으로 회전한다.
그 결과, 측장 드럼(10)의 바깥지름은, 큰 방향으로 조정되어 같다.
카운터(48)의 계수값이「0」이 되면, 앤드게이트(52)의 한쪽의 입력단이 "L"레벨로 변화되고, 구동회로(53)에 발진기(51)로부터의 펄스가 가해지지 않게 되기 때문에, 펄스 모우터(12a)는 그 시점에서 곧 바로 정지한다.
이와같이 하여, 측장 드럼(10)의 바깥지름은, 목표의 크기에 자동적으로 설정된다. (조정 과정)
다음에, 제 8 도는, 모우터(12)를 직류 모우터(12b)로서 구성하고, 그의 회전량을 엔코우터(56)에 의하여 검출하여, 카운터(48)와 함께 디지탈 피드백(Digital feed back)으로서 구성한 예를 나타내고 있다. 그 밖의 동작은, 상기의 실기예와 동일하다.
상기의 제 7 도 및 제 8 도의 예에서는, 조정량(L)이 측장 드럼(10)의 둘레 길이의 변화량에 비례적으로 변화되는 것으로 하여 연산하고 있다.
이에 대하여 제 9 도의 실시예에서는, 보다 더 정확한 조정량(L)의 설정이 행하여 지도록, 2개의 위사 검지기(4a), (4b)를 소정의 거리(D)만큼 떨어져서 배치하고, 이 거리(D)와, 모우터(12b)의 회전량과의 비례적인 배분 관계에서, 목표의 조정량(L)에 대응하는 모우터(12b)의 회전량을 결정하도록 되어 있다.
이에 한정하지 아니하고, 제 2 의 위사 검지기(4b)는, 노지(58)에 의하여 카운터(57)에 접속되고, 또한 제 1 의 위사 검지기(4a)에 접속된 노치회로(4b)는, 카운터(57)에 접속됨과 동시에 역회전 측에 접속된 플립플롭(47)의 리세트 입력단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연산기(50)의 출력은, 카운터(48) 외에 플립플롭(59)의 세트 입력단에도 접속되어 있다.
우선 최초에, 설정기(49)에 의하여 목표의 조정량(L) 및 거리(D)가 입력된다. (입력 설정 과정)
또한, 상기에서와 같이, 측장 드럼(10)의 바깥지름은, 위사(7)의 도달 위치가 제 2 의 위사 검지기(4b)를 초월하도록 적당히 설정하여 둔다.
직기가 기동하면, 위사 측장 저류장치(2)는, 측장 저류 동작을 개시하고, 또한 위입 노즐(3)은, 위입 타이밍에서 풀림 상태의 위사(7)를 경사(11)의 개구중에 위입하여 간다.
이 상태에서 세트 스위치(55)가 "온"상태로 설정되면, DC모우터(12b)가 역회전 방향으로 회전하여, 측장드럼(10)의 바깥지름을 작은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변화시킨다. (변경 과정)
초기의 단계에서는, 제 2 의 위사 검지기(4b)가 위사(7)의 앞끝단을 검출하여, "H"레벨의 출력을 발생하고 있으나, 측장드럼(10)의 감는 지름이 점차적으로 감소되어 가기때문에, 그의 도중에서, 제 2 의 위사 검지기(4b)는, 위사(7)의 앞 끝단을 검출하지 못하게 되어, "L"레벨의 출력 신호를 발생한다.
이때에 카운터(57)가 세트되어, 엔코우더(56)로부터의 펄스의 카운트를 개시한다.
다음에, 제 1 의 위사 검지기(4a)의 검지신호가 "H"레벨에서 "L"레벨로 변화하면, 카운터(57)의 카운터 동작이 정지되고, 동시에 연산기(50)는, 카운터(57)의 카운터 동작이 정지되고, 동시에 연산기(50)는 카운터(57)의 카운트 값(C1)을 입력하고, 계산식 C1×L/D=C2으로부터 프리세트값(C2)을 연산에 의하여 산출하여, 카운터(48)에 그 값을 프리세트한다. (연산과정)
이와 동시에, 플립플롭(59)이 세트상태가 되어, 모우터(12b)는, 정회전 방향으로 회전하기 시작하기 때문에, 카운터(48)의 계수값은, 엔코우더(56)로부터의 펄스에 의하여 감산되어 간다.
카운터의 값이 「0」로 되었을 때에, 플립플롭(59)이 리세트되기 때문에, DC모우터(12b)가 자동적으로 정지된다. (조정 과정)
이와같이 하여, 적절한 측장 드럼(10)의 바깥지름이 비례식에 의하여 결정된다.
또한, 상기의 위사 검지기(4a), (4b)는, 목표의 길이를 설정하기 위하여, 길이의 계수로서 1개의 것으로 하여, 구성하여도 좋다.
또한, 제 1 의 위사 검지기(4a)는, 위입용의 필러(Feeler)로 하고, 그리고 제 2 의 위사 검지기(4b)는, 롱피크(Long pick)나 몸통을 가로자르는 등의 현상을 검출하기 위하여 센서로서 검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초기의 저류 드럼(10)의 바깥지름은,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잠정적인 측장량(L1)을 설정기(49)에 입력하고, 연산기(50)에 의하여 이것에 대응하는 바깥지름을 산출하여 설정하도록 하여도 좋다.
[발명의 변형예]
상기의 각 실시예에서는, 위사(7)의 길이가 긴 상태에서 짧은 방향으로 변화하는 과정에서, 위사 검지기(4a)에 의하여 검출되지만, 이와는 반대로, 짧은 상태에서 긴 방향으로 변화하도록 하여도 좋다.
그러나, 이와 같이 짧은 상태에서 긴 방향으로 변화하는 과정에서는, 쇼트피크( Short pick)가 발생하기 때문에, 직물의 품질 관리상, 바람직하지 못한 경우도 있다.
또한, 상기의 실시예 1은, 1개의 위사 검지기(4)를 사용하여, 위사 걸어멈춤기구(9)의 최종적인 설정값을 결정하고 있으나, 이 설정값은, 실시예 1에서도 상기 실시예 2와 동일하게 2개의 위사 검지기(4a), (4b)를 사용하여, 보다 더 정확한 설정값을 결정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의 실시예는, 설명의 편의상 측장량 설정 장치(45)를 기능 블록으로서 나타내고 있으나, 각각의 기능 요소는, 컴퓨터의 기억, 연산 및 제어 기능을 이용하여, 프로그램의 분야에 있어서도 실현할 수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서는, 실제로 위입된 상태에서, 위사의 앞끝단이 검출되고, 그 후에, 목표의 조정량에 따라, 조정기구에 의하여, 측장 드럼의 바깥지름 또는 걸어멈춤핀의 위치 관계가 자동적으로 조정되기 때문에, 측장량의 조정을 위한 수고가 필요없고, 또한 위사의 특성의 변화에 좌우되는 일 없이 보다 더 정확한 위사의 길이의 설정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Claims (5)
- 측장량을 변경이 가능한 조정기구(9), (12), (13), (14)를 구비하고 있고, 위사(7)를 걸어멈춤하여 측장 드럼(10)상에 감아 측장하면서 저류하는 위사 측장 저류장치(2)와, 위사(7)의 풀림시에 위사(7)를 분사유체와 함께 경사(11)의 개구중에 위입하는 위입 노즐(3)과, 위사(7)의 도달측에서 경사(11)의 바깥쪽의 소정위치에 형성되어 위사(7)의 유무를 검지하는 위사 검지기(4)와를 구비한 위입 장치(1)에 있어서, 적어도 위사(7)의 목표의 조정량(L)을 설정하는 입력 설정 과정과, 상기 위사(7)의 목표의 조정량(L)에 대응하는 상기 조정기구(9), (12), (13), (14)의 동작량을 산출하는 연산과정과, 시험 위입의 단계에서 위입되었을 때에, 상기 위사 검지기(4)의 위사 검지 신호가 변화할때 까지 측장량을 변화시키도록 상기 조정기구를 측장량의 감소방향으로, 또는 중대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동작시키는 변경 과정과, 위사 검지 신호의 변화후에 상기 연산과정에서 구하여진 동작량을 기본으로 상기 조정기구의 최종적인 설정값을 결정하는 조정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위입 장치의 측장량 설정방법.
- 측장량을 변경이 가능한 조정기구(9), (12), (13), (14)를 구비하고 있고, 위사(7)를 걸어멈춤하여 측장드럼(10)상에 감아 측장하면서 저류하는 위사 측장 저류장치(2)와, 위사(7)의 풀림시에, 위사(7)를 분사유체와 함께 경사(11)의 개구중에 위입하는 위입 노즐(3)과, 위사(7)의 도달측에서 경사(11)의 바깥쪽의 소정 위치에 소정의 거리를 두고 형성되어 위사(7)의 유무를 검지하는 2개의 위사 검지기(4a), (4b)와를 구비한 위입 장치(1)에 있어서, 적어도 위사(7)의 목표의 조정량(L)과 상기 2개의 위사 검지기(4a), (4b) 사이의 거리(D)를 설정하는 입력 설정과정과, 시험 위입의 단계에서 위입되었을 때에 상기 위사 검지기(4a), (4b)의 위사 검지신호가 각각 변화할때까지 측장량을 변화시키도록 상기 조정기구(9), (12), (13), (14)를 동작시키는 변경 과정과, 이 변경 과정에서 상기 2개의 위사 검지기(4a), (4b)의 한쪽의 위사 검지신호의 변화 시점에서 다른쪽의 위사 검지 신호의 변화시점까지 상기 조정기구(9), (12), (13), (14)의 동작량을 구하고 이 동작량으로부터 목표의 조정량에 대응하는 상기 조정기구(9), (12), (13), (14)의 동작량을 입력된 목표의 조정량과 위사 검지기(4a), (4b) 사이의 거리(D)와의 비례의 배분으로 산출하는 연산과정과, 이 연산과정에서 구하여진 동작량을 기본으로 상기 조정기구의 최종적인 설정값을 결정하는 조정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위입 장치의 측장량 설정방법.
- 측장 드럼(10)의 바깥둘레를 따라서 위사(7)의 풀림위치 및 걸어 멈춤위치의 변경이 가능한 위사 걸어멈춤기구(9)를 구비하고 있고, 위사(7)를 걸어멈춤하여 상기 측장 드럼(10)상에 감아 측장하면서 저류하는 위사 측장 저류장치(2)와, 위사(7)의 풀림시에 위사(7)를 분사 유체와 함께 경사(11)의 개구중에 위입하는 위입 노즐(3)과, 위사(7)의 도달측에서 경사(11)의 바깥쪽의 소정 위치에 형성되어 위사(7)의 유무를 검지하는 위사 검지기(4)와를 구비하는 위입 장치(1)에 있어서, 적어도 위사(7)의 목표의 조정량을 설정하는 입력설정 과정과, 상기 위사(7)의 목표의 조정량에 대응하는 상기 위사 걸어 멈춤기구(9)의 걸어 멈춤위치의 변경량을 산출하는 연산과정과, 시험 위입의 단계에서 위입되었을 때에, 상기 위사 검지기(4)의 위사 검지신호가 변화할때 까지 상기 위사 걸어 멈춤기구(9)의 풀림위치 및 걸어 멈춤위치의 위치 관계를 측장량의 감소 방향으로 또는 증대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변화시키는 변경 과정과, 위사 검지 신호의 변화 후에 상기 연산과정에서 구하여진 위사 걸어 멈춤기구(9)의 걸어멈춤 위치의 변경량을 기본으로하여 가장 적합한 풀림 위치 및 걸어 멈춤위치의 위치 관계를 결정하는 조정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위입 장치의 측장량 설정 방법.
- 측장 드럼(10)의 바깥둘레를 따라서 위사(7)의 풀림위치 및 걸어 멈춤위치의 변경이 가능한 복수의 위사 걸어 멈춤기구(9)를 구비하고 있고, 위사(7)를 걸어 멈춤하여 상기 측장드럼(10)상에 감아 측장하면서 저류하는 위사 측장 저류장치(2)와, 위사(7)의 풀림시에 위사(7)를 분사 유체와 함께 경사(11)의 개구중에 위입하는 위입 노즐(3)과, 위사(7)의 도달측에서 경사(11)의 바깥쪽의 소정 위치에 형성되어 위사(7)의 유무를 검지하는 위사 검지기(4)와를 구비한 위입 장치(1)에 있어서, 적어도 위사(7)의 목표의 조정량을 설정하는 입력 설정기(114)와, 상기 위사(7)의 목표의 조정량에 대응하는 상기 위사 걸어 멈춤기구(9)의 걸어 멈춤위치의 변화량을 산출하는 연산기(115)와, 시험 위입의 단계에서 직기의 주축(117)의 회전과 동기하여 상기 위사 검지기(4)의 위사 검지신호가 변화할때까지 상기 위사 걸어멈춤기구(9)의 풀림 위치 및 걸어 멈춤위치의 위치 관계를 측장량의 감소 방향으로 또는 증대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변화시키고, 위사 검지 신호의 변화후에 상기 연산기(115)에서 구하여진 위사 걸어 멈춤기구(9)의 걸어 멈춤위치의 변경량을 기본으로하여, 가장 적합한 풀림 위치 및 걸어멈춤위치의 위치 관계를 결정하는 변경 지령기(113)와, 직기의 주축(117)과 동기하고 상기 변경 지령기(113)에서의 지령에 의하여 상기 위사 걸어 멈춤기구(9)의 복수의 조작기(8a), (8b)…(8u)를 택일적으로 순차적으로 구동하는 구동 제어기(116)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위입 장치의 측장량 설정장치.
- 제어신호에 의하여 측장드럼(10)의 바깥지름을 변경할 수 있는 위사 측장 저류장치(2)와, 측장후의 위사(7)의 풀림시에, 위사를 경사(11)의 개구중에 분사 유체와 함께 위입하는 위입용 노즐(3)과, 위사(7)의 도달측에서 경사(11)의 바깥쪽의 소정 위치에 형성된 위사 검지기(4a), (4b)와를 구비한 유체 분사식 직기용의 위입 장치(1)에 있어서, 목표의 조정량을 입력하기 위한 설정기(49)와, 이 목표의 조정량에서 측장드럼(10)의 바깥지름용 구동수단(12), (12a), (12b)의 운동량을 산출하는 연산기(50)와, 상기 구동수단(12), (12a), (12b)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회로(54)와, 위사 검지기(4a), (4b)에서의 실의 유무에 따라서 상기 구동회로(54)의 신호를 소정의 방향의 회전량으로하여 구동수단(12), (12a), (12b)에 보내는 제어수단(47), (52), (53), (59)과, 상기 위사 검지기(4a), (4b)의 실의 유무와 대응하고, 상기 연산기(50)에 의하여 설정된 계수값을 상기 구동수단(12), (12a), (12b)의 회전량에 의하여 감산하여, 계수값이 0으로 될때까지 상기 구동수단(12), (12a), (12b)에 상기 소정의 회전방향과 다른 회전 방향의 지령을 출력하는 카운터(48)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위입 장치의 측장량 설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61-166071 | 1986-07-14 | ||
JP166071 | 1986-07-14 | ||
JP61166071A JPS6328944A (ja) | 1986-07-14 | 1986-07-14 | よこ入れ装置の測長量設定方法およびその装置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880001863A KR880001863A (ko) | 1988-04-27 |
KR900002163B1 true KR900002163B1 (ko) | 1990-04-02 |
Family
ID=158244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870007254A KR900002163B1 (ko) | 1986-07-14 | 1987-07-07 | 위입 장치의 측장량 설정방법 및 그 장치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US (1) | US4756344A (ko) |
EP (1) | EP0253359B1 (ko) |
JP (1) | JPS6328944A (ko) |
KR (1) | KR900002163B1 (ko) |
DE (1) | DE3751572T2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SE8701876D0 (sv) * | 1987-05-05 | 1987-05-05 | Iro Ab | Forfarande och system for positiv matning av ett elastiskt garn till en garnforbrukande maskin med varierande (intermittent) garnforbrukning, foretredesvis en strumpstickmaskin |
JP2587961B2 (ja) * | 1987-10-30 | 1997-03-05 | 津田駒工業株式会社 | よこ入れ装置のよこ糸測長方法 |
EP0355281B1 (en) * | 1988-07-14 | 1993-08-18 | Nissan Motor Co., Ltd. | Weft threading system for fluid jet loom |
JP2662995B2 (ja) * | 1988-09-16 | 1997-10-15 | 津田駒工業株式会社 | 織機の緯入れ範囲設定装置 |
IT1232531B (it) * | 1989-06-29 | 1992-02-19 | Lgl Electronics Spa | Dispositivo alimentatore di trama con tamburo ad aspo per telai di tessitura a getto di fluido |
EP0538307B1 (de) * | 1990-07-11 | 1994-12-07 | Iro Ab | Fadenspeicher- und -liefervorrichtung |
DE4026434A1 (de) * | 1990-08-21 | 1992-02-27 | Iro Ab | Verfahren zum steuern einer schussfadenliefer- und -messvorrichtung sowie schussfadenliefer- und -messvorrichtung |
US5570593A (en) * | 1991-05-21 | 1996-11-05 | Sipra Patententwicklungs-Und Beteiligungs Gesellschaft Mbh | Strand feeding device |
DE4136481A1 (de) * | 1991-11-06 | 1993-05-13 | Sobrevin | Liefervorrichtung zum eintragen vorbestimmter laengen von schussfaeden in webmaschinen oder dergleichen |
EP0561218A1 (de) * | 1992-03-16 | 1993-09-22 | Lindauer Dornier Gesellschaft M.B.H |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Bereitstellung einer definierten Schussfadenreserve bei Webstop |
WO1994012709A1 (de) * | 1992-12-03 | 1994-06-09 | Iro Ab | Verfahren zum steuern eines fadenliefersystems und fadenliefersystem |
DE4240709A1 (de) * | 1992-12-03 | 1994-06-09 | Iro Ab | Schußfaden-Meßfournisseur |
SE511091C2 (sv) * | 1993-04-21 | 1999-08-02 | Sipra Patent Beteiligung | Garnmatare för textilmaskiner |
KR100516487B1 (ko) * | 2000-10-18 | 2005-09-22 | 아이알오피에이 악티엔게젤샤프트 | 직조 방적사를 삽입하는 방법 및, 방적사 공급 장치 |
Family Cites Families (1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H647999A5 (de) * | 1980-06-17 | 1985-02-28 | Rueti Ag Maschf | Fadenliefervorrichtung fuer textilmaschinen und verfahren zum betrieb der fadenliefervorrichtung. |
CH654040A5 (de) * | 1980-07-21 | 1986-01-31 | Nissan Motor | Schussfadenmess- und -haltevorrichtung fuer schuetzenlose webstuehle. |
JPS57149532A (en) * | 1981-03-06 | 1982-09-16 | Tsudakoma Ind Co Ltd | Weft yarn storing apparatus for fluid jet type loom |
US4627474A (en) * | 1982-09-03 | 1986-12-09 | Aktiebolaget Iro | Yarn storing, feeding and measuring device |
SE8207096D0 (sv) * | 1982-12-10 | 1982-12-10 | Iro Ab | System for temporer upplagring och matning av uppmetta garnlengder foretredesvis till dysvevmaskiner |
EP0107110B1 (en) * | 1982-09-30 | 1987-04-22 | Aktiebolaget Iro | Yarn storing, feeding and measuring device |
SE8207098D0 (sv) * | 1982-12-10 | 1982-12-10 | Iro Ab | Anordning for temporer upplagring och matning av uppmetta garnlengder, foretredesvis till dysvevmaskiner |
JPS6028550A (ja) * | 1983-07-19 | 1985-02-13 | 津田駒工業株式会社 | よこ糸貯留装置 |
JPS6028552A (ja) * | 1983-07-25 | 1985-02-13 | 日産自動車株式会社 | 緯糸測長装置の測長量調整装置 |
EP0181985B1 (de) * | 1984-11-13 | 1989-02-01 | GebràDer Sulzer Aktiengesellschaft | Schussfadenspeichervorrichtung für eine Webmaschine |
JPH0733614B2 (ja) * | 1985-04-05 | 1995-04-12 | 津田駒工業株式会社 | よこ入れ制御方法およびその装置 |
-
1986
- 1986-07-14 JP JP61166071A patent/JPS6328944A/ja active Pending
-
1987
- 1987-07-07 KR KR1019870007254A patent/KR900002163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1987-07-13 US US07/072,449 patent/US4756344A/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87-07-14 EP EP87110138A patent/EP0253359B1/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87-07-14 DE DE3751572T patent/DE3751572T2/de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EP0253359A2 (en) | 1988-01-20 |
EP0253359B1 (en) | 1995-10-25 |
DE3751572D1 (de) | 1995-11-30 |
JPS6328944A (ja) | 1988-02-06 |
KR880001863A (ko) | 1988-04-27 |
DE3751572T2 (de) | 1996-04-11 |
EP0253359A3 (en) | 1989-12-27 |
US4756344A (en) | 1988-07-1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900002163B1 (ko) | 위입 장치의 측장량 설정방법 및 그 장치 | |
JP4017041B2 (ja) | 織機の耳織成装置 | |
US4716943A (en) | Device for controlling weft yarn storing units for jet looms | |
EP0107110A1 (en) | Yarn storing, feeding and measuring device | |
KR910005011B1 (ko) | 직조기용실 공급 장치 | |
EP0111308A2 (en) | Improved sensor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weft yarn or the like | |
US7243872B2 (en) | Device for detecting and/or adjusting a tensile force in a yarn | |
GB2143257A (en) | A device for the rotational drive of a weft prefeed and measurement apparatus in a shuttleless weaving machine | |
EP0477877B1 (en) | Positive feed picking device for a fluid jet loom | |
CN112955592B (zh) | 具有学习程序的纱线进给设备 | |
US4627474A (en) | Yarn storing, feeding and measuring device | |
JPH05156546A (ja) | テリー織物のループ長さ変更装置と変更装置を備えた織機 | |
US4993459A (en) | Supplying and guiding weft thread on weaving machines | |
CN1036212C (zh) | 自动改变织机中梭口顶点位置的改进装置 | |
US4781224A (en) | Loom equipped with weft picking control system | |
JPH0480125B2 (ko) | ||
JP2561087B2 (ja) | 無杼織機における給系案内装置 | |
KR910006258B1 (ko) | 위입장치의 위사 측장 방법 | |
JPH0532506B2 (ko) | ||
US4623005A (en) | Method of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weft threads in a shuttleless loom | |
KR920000275B1 (ko) | 측장량 가변장치 | |
WO1994002672A1 (en) | A device for feeding a periodically operating yarn-consuming device | |
JPH07300747A (ja) | 経糸監視装置 | |
JPS62282041A (ja) | よこ入れ装置の測長量設定方法およびその装置 | |
JPH0616945Y2 (ja) | 三次元織機の経糸供給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G160 |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19960401 Year of fee payment: 7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