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0275B1 - 측장량 가변장치 - Google Patents

측장량 가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0275B1
KR920000275B1 KR1019880010179A KR880010179A KR920000275B1 KR 920000275 B1 KR920000275 B1 KR 920000275B1 KR 1019880010179 A KR1019880010179 A KR 1019880010179A KR 880010179 A KR880010179 A KR 880010179A KR 920000275 B1 KR920000275 B1 KR 9200002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yarn
measurement
measuring
tension
vari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101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04013A (ko
Inventor
쇼오이치 구와하라
Original Assignee
쯔다고마 고오교오 가부시끼가이샤
고시바 헤이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쯔다고마 고오교오 가부시끼가이샤, 고시바 헤이지 filed Critical 쯔다고마 고오교오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8900040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40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02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02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47/00Looms in which bulk supply of weft does not pass through shed, e.g. shuttleless looms, gripper shuttle looms, dummy shuttle looms
    • D03D47/34Handling the weft between bulk storage and weft-inserting mea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47/00Looms in which bulk supply of weft does not pass through shed, e.g. shuttleless looms, gripper shuttle looms, dummy shuttle looms
    • D03D47/34Handling the weft between bulk storage and weft-inserting means
    • D03D47/36Measuring and cutting the weft
    • D03D47/361Drum-type weft feeding devices
    • D03D47/362Drum-type weft feeding devices with yarn retaining devices, e.g. stopping pi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47/00Looms in which bulk supply of weft does not pass through shed, e.g. shuttleless looms, gripper shuttle looms, dummy shuttle looms
    • D03D47/34Handling the weft between bulk storage and weft-inserting means
    • D03D47/36Measuring and cutting the weft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47/00Looms in which bulk supply of weft does not pass through shed, e.g. shuttleless looms, gripper shuttle looms, dummy shuttle looms
    • D03D47/34Handling the weft between bulk storage and weft-inserting means
    • D03D47/36Measuring and cutting the weft
    • D03D47/361Drum-type weft feed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oom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측장량 가변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측장량 가변장치의 블록도.
제2도는, 본 발명에서 급사체의 감는지름과 풀림장력과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
제3도는, 본 발명에서 급사체의 감는 지름과 측장량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
제4도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내는 측장량 가변장치.
제5도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내는 측장량 가변장치.
제6도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를 나타내는 측장량 가변장치.
제7도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대한 드럼부분의 단면도.
제8도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대한 드럼부분의 정면도.
제9도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를 나타내는 측장량 가변장치.
제10도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의 걸어멈춤핀 부분의 정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측장량 가변장치 2 : 측장저장장치
3 : 급사체 4 : 위사
5 : 위입노즐 6 : 장력센서
7 : 콘트롤러 8 : 측장량 가변수단
9,10,11 : 실가이드 12 : 클램퍼
13 : 주축 14 : 대체센서
20 : 측장롤러 21 : 회전드럼
22 : 마찰휘일 23 : 측장롤러
24 : 푸울케이스 27 : 회전얀가이드
28 : 드럼 29, 29a~29u : 걸어멈춤핀
30 : 조작기 31 : 고정드럼부재
32 : 평행링크 33 : 스프링
34 : 가동드럼부재 35 : 롤로(roller)
36 : 원추형상 캠 37 : 나사
38 : 안내로드 39 : 모우터
40 : 엔코오더 60 : L자 형상 브래키트
61 : 중량센서 62 : 감는 지름센서
63 : 지점(支点)핀 70 : 제어기
71 : 드라이버 72 : 감는 량 제어회로
73 : 회전검출기 74 : 제어회로
80 : 무단변속기 81 : 변속노브(Knob)
82 : 펄스모우터 83 : 모우터
84 : 엔코오더 85 : 펄스모우터
86 : 걸어멈춤핀 구동회로
본 발명은, 급사체로 부터의 위사의 풀림장력의 변화에 따라, 측장량을 가변시키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있어, 급사체로 부터의 위사의 풀림장력은, 급사체의 바깥지름의 크기에 따라서 변화한다.
이 풀림장력의 변화에 따라, 측장(길이 측정)시의 장력도 변화하고 있기 때문에, 측장저장장치가 안정된 상태로서 동작하고 있더라도, 위입길이는, 측장시의 장력변화, 즉 급사체로 부터의 위사와 풀림장력의 변화에 의하여 일정하게 되지 않는다.
그리하여, 예를들면, 일본국 특개소 60-28550호의 발명은, 위입시에, 위사의 실제의 도달끝단을 검출하여, 측장량을 조정함으로써, 위입길이를 일정하게 제어하는 것을 개시하고 있다.
이 장치에 의하면, 위입길이가 풀림장력의 변화 뿐만이 아니라, 위입조건의 변화에 의하여서도, 항상 일정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 장치에 의하면, 위사의 도달끝단을 검출하기 위하여, 위입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검출 헤드가 병렬적으로 나란하게 되어 있기 때문에, 위사의 끝단부 즉 사용하지 못하는 여분의 길이가 길어지게 되고, 또한 위사의 끝단부를 짧게하는 방향으로 검출헤드를 이동시키면, 위사가 얽힌 실에 휘감기지 않게 되거나, 또는 검출헤드가 오동작하여 얽힌 실을 위사로서 검출하게 되고, 또한 순차적인 제어시 위사길이가 필요이상으로 길게 된 후에 개시되기 때문에, 일시적으로 위사 길이가 길어져서, 그 만큼 위사의 손실이 나타나는 것 등의 결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급사체로 부터의 위사의 풀림장력의 변화에 따라서 직접측장량을 적절한 량으로 변경시키는 측장량 가변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급사체에서 위사를 인출하는 과정에서, 풀림장력을 장력센서에 의하여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측정하고, 이 장력센서로 부터의 신호에 따라 콘트롤러에 의하여 풀림장력에 따른 제어출력을 발생하고, 이 제어출력에 의하여, 측장저장장치의 측장량을 측장량 가변수단에 의하여 자동적으로 증감시키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은 제어에 의하면, 풀림장력의 변화가 항상 제어량으로 되어나타나기 때문에, 제어의 응답이 좋고, 또한, 단순하게 효율이 좋은 제어가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제1도는, 본 발명의 측장량 가변장치(1)의 기본적인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이 측장량 가변장치(1)는, 측장롤러, 회전 드럼 저장식, 측장롤러, 에어 푸울(Air pool)식 또는 측장 저장 드럼식의 측장저장장치(2)의 존재를 전제로 하고 있다. 이 측장저장장치(2)는, 급사체(3)로부터 위사(4)를 풀면서 인출하고, 위입에 필요한 길이의 위사(4)를 측장하고, 또한 위입시까지 저장하고 있다. 위입시에, 위입노즐(5)은, 측장저장장치(2)에서 측장저장후의 위사(4)를 인도하여, 경사 개구중에 위입하여 간다.
상기한 본 발명의 측장 저장장치(1)는, 측징적인 구성부분으로서, 장력센서(6), 콘트롤러(7) 및 측장량 가변수단(8)을 구비하고 있다. 장력센서(6)는, 급사체(3)와 측장 저장장치(2)와의 사이에서 급사체(3)로부터 풀리게 되는 위사(4)의 풀림장력을 측정하고, 그의 장력신호를 콘트롤러(7)에 보낸다.
그리하여, 콘트롤러(7)는, 장력센서(6)로 부터의 신호에 의하여, 풀림장력에 따른 제어출력을 발생하고, 이것을 제어량으로 하여 측장량 가변수단(8)을 구동한다.
이 때문에 측장량 가변수단(8)은, 측장저장장치(2)의 위입에 필요한 길이를 증대 또는 감소시키는 것에 의하여, 급사체(3)의 감는 지름의 변화에 의한 풀림장력의 변동에 대응한다. 측장저장장치(2)는,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급사체(3)에서 위사(4)를 풀어내고, 위사(4)의 길이를 측정하면서, 저장함으로써, 위입상태를 대기 하게 된다. 그리고, 위입 타이밍에서, 위입노즐(5)은, 측장저장장치(2)로부터 위입에 필요한 길이의 위사(4)를 인도하여, 경사 개구중에 위입하여 간다.
이와 같은 위입과정에서, 급사체(3)의 감는 지름이 감소하면, 제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위사(4)의 풀림장력은, 실의 감는 방향에 따른한 물리적 성질이나 풀림시 급사체(3)인 버룬의 크기에 대하여, 비례적으로 높아져 간다. 이 사이의 풀림장력은, 장력센서(6)에 의하여 검출되고, 풀림장력에 비례하는 신호로서, 콘트롤러(7)에 보내진다. 여기에서, 콘트롤러(7)는, 미리 설정된 상관 함수에 의하여, 풀림장력에 대하여 적절한 제어출력을 발생하고, 이 제어출력으로서 측장량 가변수단(8)을 구동하여, 측장저장장치(2)에 의한 측장량을 제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감는 지름의 감소에 관계없이 증가하는 방향으로 변화시킨다. 그 결과, 측장저장장치(2)에서 측장동작중에, 위사(4)의 장력이 풀림장력에 따라 동작하여 변화 하더라도, 위입 후의 위사(4)는, 항상 일정한 길이로 된다. 즉, 측장저장장치(2)의 상류쪽에서, 위사(4)의 풀림장력이 변화하면, 측장저장장치(2)가 측장동작을 계속하여 진행할 때에도, 그 위사(4)의 장력이 풀림장력에 비례하여 변화하게 된다. 측장동작시의 장력이 높게되어 있으면, 위사(4)가 잡아되돌려져 뻗친 상태로 되어 있으나, 그 위사(4)가 일단 위입되면, 그것에도 임의 잡아늘이는 방향의 힘이 작용하지 않게 되기 때문에, 위입후의 위사(4)는, 경사 개구중에서 감축되어, 소정의 길이 보다도 짧아지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와 같이, 측장저장장치(2)의 상류쪽에서 위사(4)의 풀림장력이 측장되고, 그에 따라 측정량 가변수단(8)에 의하여, 측장저장장치(2)에서의 측장량이 조정되기 때문에, 위입후의 위사(4)는, 측장시의 장력으로부터 해방되더라도, 항상 소정의 길이로 설정할 수가 있다.
여기에서, 측장저장장치(2)는,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측장롤러, 회전 드럼 저장식, 측장롤러·에어푸울식 또는 측장·저장드럼식의 것이고, 측장량 가변수단(8)은, 그들의 구체적인 형식에 따라 다음에 나타내는 각 실시예에 의하여 구체화 할 수가 있다.
[실시예 1(제4도)]
본 실시예는, 측장저장장치(2)를 측장롤러·회전드럼 저장식으로 하고, 또한 측장량 가변수단(8)을 가변회전기구로서 예를 들면 V형 벨트식의 무단변속기(80)에 의하여 구성한 예이다. 위사(4)는, 실이 매어진 2개의 급사체(3)에서 공급되고, 실가이드(9), 장력센서(6), 실가이드(10)를 거쳐, 한쌍의 측장롤러(20)에 의하여 사이에 끼워지며, 회전드럼(21)의 바깥둘레에 감겨진 후에, 실가이드(11) 및 클램퍼(12)를 거쳐 위입노즐(5)에 도달하고 있다.
한편, 직기의 주축(13)의 회전은, 무단변속기(80)를 통하여, 회전드럼(21)의 축에 전달되고, 또한 적당한 전달비로서 2개의 마찰휘일(22)을 통하여 측장롤러(20)의 축에 전달된다. 이 무단변속기(80)의 전달비는, 변속노브(81)를 회전시킴으로써, 무단계로 조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급사체(3)로 부터의 위사(4)의 풀림장력은, 장력센서(6)에 의하여 검출되어, 콘트롤러(7)에 제어기(70)에 입력된다.
또한, 위사(4)가 한쪽의 급사체(3)로부터 다른쪽의 급사체(3)로 교체될 때에, 즉 대체상태는, 대체센서(14)에 의하여 검출되고, 콘트롤러(7)의 내부의 제어기(70)에 입력된다.
또한, 이 제어기(70)의 제어출력은, 드라이버(71)를 통하여, 측장량가변수단(8)의 펄스 모우터(82)에 가해진다. 측장저장 동작중에, 위사(4)의 풀림장력이 순차적으로 높아져가면, 제어기(70)는, 그에 다른 제어출력을 발생하고, 이 제어출력에 의하여 펄스모우터(82)를 소정량 만큼 회전시킴으로써, 주축(13)에서 측장롤러(20)에 이르는 전달비를 높이는 방향으로 변화시킨다. 이 결과, 주축(13)의 회전은, 풀림장력을 높힘과 동시에, 회전드럼(21)에 대하여 큰 전달비로서 전달되기 때문에, 한쌍의 측장롤러(20)는, 급사체(3)의 감는 지름의 감소, 즉 위사(4)의 풀림장력의 증가에 관계 없이, 전 상태보다도 순차적으로 빠르게 회전하고 위입에 필요한 측장량을 순차적으로 증가시킨다.
그리고, 이 측장후의 위사(4)는, 회전드럼(21)에 저장된 후에, 클램퍼(12) 및 위입노즐(5)의 위입 동작시에, 회전드럼(21)에서 풀려져, 경사 개구중에 위입된다.
또한, 위사(4)가 한쪽의 급사체(3)에서 다른쪽의 급사체(3)로 교체되었을 때에, 대체센서(14)가 제어기(70)에 대하여, 대체신호를 발생하기 때문에, 제어기(70)는, 초기의 제어 상태로 복귀하고, 무단변속기(80)를 초기의 전달비로 설정함으로써, 신속하게 대응한다.
[실시예 2(제5도)]
본 실시예는, 제1도의 측장저장장치(2)를 측장롤러·에어푸울식으로하여, 측장롤러(23) 및 측장드럼(24)의 회전량을 직접제어한 예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위사(4)의 풀림장력은, 급사체(3)의 중량을 측정함으로써, 간접적으로 측정된다. 즉, 위사(4)는, 측장롤러(23)와 측장드럼(24)과의 사이에 끼워져서, 그들의 회전수로부터 측장되고, 푸울용 에어노즐(25)의 공기흐름에 편승하여, 푸울케이스(26)의 내부에 저장된다.
한편, 급사체(3)는, 예를들면 L자형상의 브래키트(60) 및 지점핀(63)에 의하여 지지되고, 급사체(3)의 중력을 중량센서(61)로 작용시킨다.
이 중량센서(61)는, 장력센서(6)에 대신하여, 위사(4)의 풀림장력에 관계하는 신호를 발생하여, 제어기(70)에 보낸다.
그리하여, 제어기(70)는, 감는량 제어회로(72)의 분주비를 소정의 값으로 설정한다.
이로인하여, 감는량 제어회로(72)는, 주축(13)의 회전검출기(73)로 부터의 소정의 펄스수를 부여된 분주비로서 분주함으로써, 가변회전기구로서의 모우터(83)에 목표의 회전속도를 가해준다.
그리하여, 이 모우터(83)의 회전은 엔코오더(84)에 의하여 검출되고, 감는량 제어회로(72)에 감산신호로서 가해진다. 즉, 이 감는량 제어회로(72)는, 디지털 서보(servo)를 형성하여 두고, 주축(13)의 회전에 따라서, 부여된 분주비에 의하여, 모우터(83)의 회전을 추종적으로 제어하고 있다. 그 결과, 측장롤러(23) 및 측장드럼(24)은, 위사(4)의 풀림장력의 증가, 즉 급사체(3)의 중량의 감소와 함께되어 순차적으로 회전속도를 빠르게 함으로써, 위입에 필요한 측장량를 급사체(3)의 중량의 감소와 비례하여 순차적으로 증가시켜 간다.
[실시예 3(제6도 내지 제8도)]
본 실시예는, 제1도의 측장저장장치(2)를 측장·저장 드럼식의 것으로서, 구성하고, 측장량 가변수단(8)을 드럼지름의 변경기구에 의하여 구성한 예이다.
측장·저장 드럼식의 측장저장장치(2)는, 제6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전 얀가이드(27)의 회전운동에 의하여, 위사(4)를 정지상태의 드럼(28)의 바깥둘레면에 걸어멈춤핀(29)으로 걸면서 감아진다.
또한, 회전 얀가이드(27)는, 모우터(39)에 구동된다. 이 모우터(39)는, 제어회로(74) 및 엔코오더(40)에 의하여 디지털 서보 제어하에 수축(13)의 회전에 따른다.
또한, 회전 얀가이드(27)는, 모우터(39)에 구동된다. 이 모우터(39)는, 제어회로(74) 및 엔코오더(40)에 의하여 디지털 서보 제어하에 수축(13)의 회전에 따른다.
그리고, 상기한 드럼(28)은, 제7도 및 제8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걸어멈춤핀(29)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고정드럼부재(31)를 구비하고 있으나, 다른 바깥둘레 부분에서, 평행링크(32)에 의하여 지지되고, 또한 스프링(33)에 의하여 힘을 가하게 된 복수개의 가동 드럼 부재(34)로서 구성되어 있다.
이 가동드럼부재(34)의 안쪽의 로울러(35)는, 드럼(28)의 중심위치의 원추 형상의 캠(36)의 둘레면에 접촉하고 있다.
이 원추형상 캠(36)은, 나사(37)에 끼워져 있고, 안내로드(38)에 의하여 에워싸서 멈춘상태로 되어 있다.
이 나사(37)는, 펄스 모우터(85)에 의하여 구동되도록 되어 있다. 측장 저류 동작시에, 위사(4)의 풀림장력이 순차적으로 높아졌을 때에 제어기(70)는, 드라이버(71)를 제어하고, 펄스 모우터(85)를 회전시킴으로써, 원추형상 캠(36)을 펄스 모우터(85)쪽으로 가까이 끌어당긴다.
이로써, 복수개의 가동드럼부재(34)는 드럼(28)의 바깥지름을 확대하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그 결과, 높아짐과 동시에, 순차적으로 대부분이 설정된다.
또한, 바깥지름의 변경은, 일본국 특개소 60-28550호에서와 같이, 링크(Link)나 캠기구에 의하여 구체화할 수도 있다.
[실시예 4(제9도 및 제10도)]
본 실시예는, 실시예 3과 동일한 측장저장장치(2)이지만, 측장량을 다수개의 걸어멈춤핀(29)의 동작 위치를 변경기구에 의하여 변경함으로써 조정한 예이다.
즉, 드럼(28)의 바깥지름은, 제9도 및 제10도에서와 같이 항상 일정하지만, 다수개의 걸어멈춤핀(29a), (29b),…(29n)은, 그의 바깥둘레에 소정의 피치(p)로서 배열되어 있고, 각각 조작기(30)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동작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의 조작기(30)는, 걸어멈춤핀 구동회로(86)에 의하여 구동된다. 물론, 이 걸어멈춤핀 구동회로(86)는, 제어기(70)로 부터의 제어출력 이외에, 회전검출기(73)로 부터의 펄스를 입력으로 하여, 직기의 주축(13)과 동기하면서 동작한다.
또한, 풀림장력은, 각각 감는 지름센서(62)에 의하여 간접적으로 측정한다. 측장저장 동작시에, 위입에 필요한 위사(4)의 길이가 드럼(28) 위에서 예를들면 4번 감기고, 항상 걸어멈춤핀(29a)이 동작하면, 측장량은, 항상 4번만 감긴다.
그러나, 위입시에, 걸어멈춤핀(29a)이 후퇴동작 한후에, 예를들면 걸어멈춤핀(29c)이 전진 동작하였다고 하면, 그때의 측장량은, (4번 감김+2P)의 길이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걸어멈춤핀(29)와 동작 위치가 순차적인 위상을 다르게하여 설정된다면, 위사(4)의 측장량은, 순차적으로 증가하는 방향으로 설정할 수 있는 것이 된다.
따라서, 걸어멈춤핀 구동회로(86)는, 위사(4)의 풀림 장력의 증가에 관계없이, 걸어멈춤핀(29)의 동작위치를 순차적으로 변경함으로써, 측장량을 긴 방향으로 변경하여 간다.
[다른 실시예]
이상의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4는, 다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각 요소를 조합시켜서 설명하고 있다.
그러나, 각 실시예의 각 부분은, 다른 실시예에 응용되는 한, 그 상태대로 변경하여 이용할 수가 있다.
예를들면, 실시예 1의 무단변속기(80)와 실시예 2의 모우터(83)와는 서로 바꾸어 사용할 수가 있다.
또한 장력센서(6)는, 모두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래의 장력센서 이외에, 중량센서(61) 또는 감는 지름센서(62)로써 바꾸어 사용할 수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급사체의 감는 지름이 변화하였을 때에, 이에 따라 위사의 풀림 저항이 순차적으로 높아져 가지만, 그의 풀림 장력이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검출되고, 이에 따라 측장저장장치의 측장량이 측장량 가변수단에 의하여 증가방향으로 신속하게 제어되기 때문에, 측장저장시의 위사의 장력이 변화하더라도, 위입상태의 위입길이가 변화하지 않으므로, 안정된 길이로 되어, 위입의 길이가 항상 이상적인 길이로서 낭비없이 설정할 수가 있다.

Claims (6)

  1. 급사체(3)에서 위사(4)를 인출하고, 위입에 필요한 길이의 위사(4)를 측장하며, 또한 그의 위사(4)를 위입시까지 저장하는 측장저장장치(2)에 있어서, 급사체(3)에서 위사(4)를 인출할때의 풀림장력을 측정하는 장력센서(6)와, 이 장력센서(6)로 부터의 신호를 입력하고, 풀림장력에 따른 제어출력을 발생하는 콘트롤러(7)와, 이 콘트롤러(7)의 제어출력에 의하여, 측장저장장치(2)의 측장량을 증감시키는 측장량 가변수단(8)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장량 가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측장저장장치(2)를 측장롤러식으로 하고, 측장량가변수단(8)을 회전공급원에서 측장롤러(20), (23)까지의 사이에 개재하는 가변회전기구(80), (83)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장량 가변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측장량 저장장치(2)를 측장·저장 드럼식으로 하고, 측장량 가변수단(9)를 측정저장용의 드럼(28)의 바깥지름의 변경기구(32), (34), (36), (37), (85)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장량 가변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측장저장장치(2)를 측장·저장 드럼식으로 하고, 측장량 가변수단(8)을 측장저장용의 드럼(28)의 바깥둘레에서 복수개의 멈춤핀(29)을 선택적으로 동작시키는 걸어멈춤핀의 독작위치변경기구(30), (86)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장량 가변장치.
  5. 제1항, 제2항,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장력센서(6)를 급사체(3)의 중량센서(61)로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장량 가변장치.
  6. 제1항, 제2항,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장력센서(6)를 급사체(3)의 감는 지름센서(62)로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장량 가변장치.
KR1019880010179A 1987-08-21 1988-08-10 측장량 가변장치 KR92000027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2209062A JP2715075B2 (ja) 1987-08-21 1987-08-21 測長量可変装置
JP209062 1987-08-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4013A KR890004013A (ko) 1989-04-19
KR920000275B1 true KR920000275B1 (ko) 1992-01-11

Family

ID=165666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10179A KR920000275B1 (ko) 1987-08-21 1988-08-10 측장량 가변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715075B2 (ko)
KR (1) KR920000275B1 (ko)
FR (1) FR2619580B1 (ko)
IT (1) IT122377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3945B1 (ko) * 1997-10-15 2006-01-27 주식회사 코오롱 자동차 퓨즈 박스 커버용 수지 조성물
DE10151780C1 (de) 2001-10-19 2003-05-22 Dornier Gmbh Lindauer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Beeinflussung der Fadenbremskraft einer zwischen einem Garnvorratssystem und einem Fadenspeicher einer Webmaschine angeordneten Schussfadenbrems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85582A (en) * 1971-09-09 1974-01-15 Aronelle Textiles Ltd Apparatus for weighing yarn on a yarn winding machine
JPS6028550A (ja) * 1983-07-19 1985-02-13 津田駒工業株式会社 よこ糸貯留装置
US4482794A (en) * 1983-11-28 1984-11-13 Fairchild Camera & Instrument Corporation Pulse-width control of bonding ball form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4013A (ko) 1989-04-19
IT8867765A0 (it) 1988-08-18
FR2619580B1 (fr) 1992-11-27
JP2715075B2 (ja) 1998-02-16
IT1223778B (it) 1990-09-29
JPS6452848A (en) 1989-02-28
FR2619580A1 (fr) 1989-0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924818A (en) Thread storage device
KR940010462B1 (ko) 여러개 동시정경 가능한 전자 제어 샘플 정경기(整經機)
US4525905A (en) Apparatus for beaming elastic threads
FR2376057A1 (fr) Procede et dispositif pour le reglage du deroulage d'un fil textile
US5111672A (en) Weft thread insertion arrangement
KR19990063971A (ko) 사 공급 장치
ITMI930671A1 (it) Metodo e dispositivo per controllare e mantenere la corretta regolazione della tensione di un filato alimentato ad una macchina tessile
US3209589A (en) Yarn friction measuring instrument
KR19990023258A (ko) 직기의 실 이송 장치 및 벨트 인장 장치
EP0253359B1 (en) Pick length setting method
KR920000275B1 (ko) 측장량 가변장치
US4529017A (en) Apparatus for measuring the length of weft yarn for a loom
JPH03227424A (ja) 被駆動繊維材料係合ロールの制御制動装置
US3915199A (en) Apparatus for measuring the inserting length of a plurality of wefts in a shuttleless loom
JPH02242942A (ja) 走行糸の張力を制御する装置
JPH04240250A (ja) 調整可能断面を有するヤーンリザーブ巻取装置を備えた流体ジェット織機用ウェフトフィーダ
EP3867431A1 (en) Yarn feeding device with learning procedure
JPS6183355A (ja) 織機の電動送り出し装置におけるキツクバツク制御方法およびその装置
KR860001415B1 (ko) 직기에 있어서 위사측장장치
JPH0616945Y2 (ja) 三次元織機の経糸供給装置
JP3451425B2 (ja) 線状体の巻取装置
US4623005A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weft threads in a shuttleless loom
JPH08296155A (ja) 編機における弾性糸供給装置
JPH0380900B2 (ko)
SU510545A1 (ru) Механизм подачи основ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