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5011B1 - 직조기용실 공급 장치 - Google Patents

직조기용실 공급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5011B1
KR910005011B1 KR1019880012402A KR880012402A KR910005011B1 KR 910005011 B1 KR910005011 B1 KR 910005011B1 KR 1019880012402 A KR1019880012402 A KR 1019880012402A KR 880012402 A KR880012402 A KR 880012402A KR 910005011 B1 KR910005011 B1 KR 9100050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read
yarn
seal
transducer
guide 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124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05324A (ko
Inventor
메밍거 구스타프
쾬 팔크
파브쉬츠 하인쯔
Original Assignee
메밍거-아이 알 오게엠베하
디터 브라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메밍거-아이 알 오게엠베하, 디터 브라운 filed Critical 메밍거-아이 알 오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8900053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53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50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50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38Devices for supplying, feeding, or guiding threads to needl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38Devices for supplying, feeding, or guiding threads to needles
    • D04B15/48Thread-feed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Knitting Machines (AREA)
  • Loom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직조기용실 공급 장치
제1도는 실 안내 아암이 정상 작동 영역에 있음을 도시하는 본 발명의 실 공급 장치의 측면도.
제2도는 실 안내 아암이 또다른 운동 영역에 있으며 부가적 실 예비량이 만들어진 것을 도시하는 제1도의 실 공급 장치의 측면도.
제3도는 부분적으로 절단된 도면으로서 제2도의 III-III선에 따라 단면 도시된 실 호울딩 요소의 캐리어 디스크를 도시하는 제1도의 실 공급 장치의 또다른 측면도.
제4도는 실 안내 아암의 다양한 선회 영역을 도시하며, 실 호울딩 요소는 도면에서 생략되고, 제1도의 실 공급 장치의 실 호울딩 요소의 캐리어 디스크에 대한 평면도.
제5도는 제1도의 공급 장치의 실 안내 아암에 연결된 측정 및 위치 변환기의 각도 변환기 디스크를 도시하는 치수를 달리한 평면도.
제6도는 제1도의 실 공급 장치의 전자 제어 회로에 대한 회로 블록 다이어그램.
제7도는 제6도 제어 회로용 부가적 회로 설비에 대한 부분 개략 회로 다이어그램.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 : 스테핑 모터 4 : 실 휘일
11,14 : 실 아이 16 : 실 안내 아암
18 : 직류 모터 19, 20 : 광전기 신호 변환기
21, 22 : 발광 다이오우드 23, 24 : 광트랜지스터
26, 27 : 조광 디스크 28, 29 : 정지핀
30 : 캐리어 디스크 32, 33 : 실 호울딩 요소
37 : 로우 패스 필터 43, 44 : 적분기
48 : 전위차계 53 : 정전류원
본 발명은 직조기에 실을 공급하는 실 공급 장치에 관한 것이며, 직조기에 요구되는 실 공급 작용은 시간에 따라 다양하게 변화된다. 특히 본 발명은 회전식 실 공급 수단을 갖는 편물 기계는 실 공급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기계에 있어서 실 공급 수단은 근본적으로 미끄러지지 않는 조건하에서 직조기에 실을 공급한다. 실 공급 수단에는 실 안내 요소가 결합되며, 이에는 다시 속도 제어 모터가 연결되어 실 공급 수단의 회전운동을 제어한다. 가동 실 인장 요소가 실 공급 수단에서 직조기에 이르는 실의 경로상에 위치하며, 실인장 편심력 수단이 실에 예정되고 제어 가능한 인장 편심력을 가하기 위해 실 인장 요소에 결합된다. 실 인장 요소에서 실 안내 요소중 하나에 이르는 실의 경로에 이루어지는 실 예비량 구역이 실 인장 요소에서 직조기까지의 실의 경로상 하부 부분에 위치되어 실 인장 요소 위치의 함수인 실 예비량을 저장한다. 전기 제어수단이 모터에 연결되어 직조기에서 요구되는 실의 함수인 모터 속도 및 모터의 회전을 제어한다.
예를 들면, 평 편물 기계의 경우, 니이들 캠 부분을 가지고 있으면서 그것으로 니이들 운동을 조절하는 캐리어가 니이들 베드의 실효 길이에 대하여 왕복 운동을 행한다. 실을 돌출한 바늘의 후크에 적당히 삽입하기 위하여는 실 안내 수단이 또한 이에 일치되어 왕복되어야 한다. 캐리지는 그 운동의 역전 포인트 부근에서 편물에 있어서 최근에 내포된 문제인 니이들에 대한 과잉 행정을 행하며, 이 과잉 행정동안에는 실이 더 이상 진행되지 않으므로 실 공급원으로부터 더 이상 풀리지 않는다. 또한, 직선 왕북 운동을 행하는 실 안내 수단과 고정 실 공급원 사이의 실 운동 경로의 길이는 일정한 변화를 받는다. 간헐적으로 과도한 실 재료가 루우프를 형성하지 못하도록 하기 위해서 소위 실 인장기가 실제에 있어 사용되는데, 이것은 캐리지와 실안내 수단의 역전 운동이 완료되어 맨처음의 니이들이 다시 편물 작업을 수행하게 될 때까지, 또는 바꾸어 말해서, 운동이 계속됨에 따라 실 안내 수단까지의 실 운동 경로가 길이에 있어 다시 증가하게 될 때까지 실 예비량에 요구되지 않는 실을 받아들여서 인장하에 두고 있다. 소형의 원형 편물 기계에서 뒷꿈치와 발가락이 있는 양말이나 스타킹을 편물할 때 니이들 실린더가 뒷꿈치 또는 발가락을 싸기 위해 소위 셔틀 운동으로서 원주 방향에서 왕복 운동하면, 기본적으로 상기와 유사한 조건이 일어난다.
이러한 실 인장기들은 실 브레이크와 함께 작동하며, 일정하게 실 인장할 수 없는 기본적 결점을 자기고 있다. 그 결과 루우프 크기가 여러 가지로 되므로 이런 식으로 만들어진 양말 및 스타킹은 예를 들면 길이가 여럿으로 다르고, 따라서 완성되고나서 동일한 길이를 갖는 것끼리 짝을 이루도록 분류해야만 한다.
또한, 프랑스 공개 공보 제2538419호를 보면 평 편물 기계나 셔틀 운동으로 작동되는 스타킹 또는 양말편물 기계용 실 회수 장치가 실 브레이크와 함께 작동되는데, 여기서 보면 고정 실 안내 요소와 실 안내 수단 사이의 실 운동 경로를 따른 실 인장력을 감지하거나 세밀히 조사하여, 편물 기계에 이르는 실 운동 경로에서고정 실 안내 요소 상부에 배치된 실 브레이크와 실 회수 장치를 조절하므로써 실 안내 수단에서의 실 인장력을 예정된 파동 범위내에서 거의 유지되게 한다. 실 감지 요소에 의해 제어되는 제한 스위치와 함께 작동하는 이 장치에 있어서 실 인장 작용이 매우 불만족스럽고 미숙하게 이루어진다는 사실을 차지하고라도, 실이 비교적 높게 인장되어 가공될 수 있도록 니이들 자체가 실 브레이크를 경유하여 스폴로부터 실을 잡아당겨야 한다. 또한, 스폴로부터 실을 푸는 작용이 혼란스럽게 되면 편물 제품의 균일성을 해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이 입각하고 있는 미합중국 특허 제3,962,891호의 평 편물 기계용 실 공급 장치에서는 상기의 단점을 해결하고 있는데, 미끄럼없이 실을 공급해 주는 것으로서 실 스폴의 실 운동 경로에 있어서 하부에 위치하며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실 공급 요소의 설치로써 해결하고 있다. 이 실 공급 요소는 전기 구동 모터에 의해 구동되며 실 안내 수단으로 실을 보내어 니이들에 공급한다. 운동 변환기가 평 편물 기계의 캐리지와 실 안내 수단을 구동하는 구동 요소에 연결되어 있어서, 캐리지와 실 안내 수단의 특정 위치와 속도를 나타내는 전기 신호를 발생한다. 이러한 신호를 받으므로써, 실 공급 요소의 구동 모터는 실 사용의 시간에 대한 함수에 따라 제어되는데, 이 함수는 실 안내 수단의 왕복운동중에 발생하는 실 안내 수단까지의 실 운동 경로의 변화를 고려하고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최종 제어 요소로서의 구동 모터는 전기 제어 루우프에 위치하며, 그 관련 변수는 전술한 신호에 의해 형성된다. 구동 모터의 가속 및 감속 단계동안의 실인장력의 변화가 실 안내 수단의 역전 운동동안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실 인장 요소를 실 운동 경로상의 실 공급 요소의 하부에 배치하는데, 그 변화는 구동 모터의 관성 질량이 실 공급 요소의 rpm을 변화시켜서 그러한 변화를 보정하지 못하게 하기 때문에 발생한다. 실 인장력이 감소되면, 실 인장 요소는 작동이 계속됨에 따라 다시 사용될 실 예비량을 일시적으로 만든다. 이 실 인장 요소는 고정 회전축에 대해 회전 할 수 있도록 지지된 실 안내 아압의 형태이며, 고정 실 안내 요소와 협조하여 거의 V자형 실 운동 경로를 만들어내는 실 아이를 일단부에 갖고 있다. 아암은 그 지지점 근처에서 스파이럴 스프링과 결합되며, 이 스프링은 실 안내 아암의 일단부에 고정 장착되어서 실 안내 아암에 대하여 조정가능하고 예정되는 편심력을 가하며, 이 편심력을 실 인장력을 결정한다. 평 편물기계에 여러 가지 운동 변환기를 설치하는 것은 그 기계의 방해 요소가 된다. 또한, 이들 운동 변환기는 부득이 비용이 비싼데, 왜냐하면 이들은 종종 비교적 긴 니이들 베드에 대하여 캐리지와 실 안내 수단의 전체 행정 동작을 탐지하고, 또한 만들어지고 있는 특정 편물 제품의 폭에 알맞도록 최소한 부분적으로 조절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실 공급 요소의 구동 모터는 캐리지와 실 안내 수단의 왕복 운동에 따라 고정 종속 변수로만 제어되기 때문에, 제어 시스템의 각 부재의 정밀 조정 및 조절이 극히 중요하다.
실 공급을 시간에 따라 변화시킬 수 있는 직조기를 위한 실 공급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목적으로서, 평 편물 기계의 실 안내 수단이나 원형 편물 기계의 니이들 실린더의 역전 운동과 관련하여 작동 조건하에서도 기계에 방해됨이 없이 일정하면서도 중간에서 조정 가능한 인장력하에서 실 공급을 수행할 수 있으며 셔틀 운동으로 주기적으로 작동되는 평 편물 기계나 원형 편물 기계를 위한 실 공급 장치의 제공이다. 여기서는 실의 일시적 루우핑 현상이나 과도한 실 인장력 값이 신뢰할만하게 배제된다.
요컨데, 측정 변환기가 실 인장 요소에 연결되어 그 위치를 감지하고, 작동 영역 내에서 일어나는 실 인장 요소의 조절 운동의 함수로서 그것의 특징 위치 및 운동을 나타내는 신호를 방출하여 구동 모터를 포함한 전기 회로로 보낸다. 이 회로에 의하여 구동 모터는 실 인장 요소가 점점 증가하는 실 예비량 방향으로 움직이면서 그 작동 영역의 한계 위치에 다다를때마다 정지될 수 있다. 작동 영역의 이 한계위치 다음에는 실 인장 요소의 또다른 운동 영역이 제공되는데, 실 인장 요소는 실 인장력이 감소되면 모터가 정지되면서 그것에 가해지는 편심력에 의하여 이 영역으로 들어간다. 또다른 작동영역에 관련된 실 호울딩 수단이 제공되며, 실 인장 요소에서 돌아오며 인장되어 있는 실이 그 위에 잠시 저장되어 부가적인 실 예비량을 형성한다.
실 인장 요소는 그 정상 작동 영역 밖으로 도착하는 어떠한 실도 부가적 실 예비량으로 저장하는데, 이때 실 공급 요소는 정지되어 예를 들어 셔틀 운동으로 작동하는 니이들 실린더의 역전 운동 동안에 실 루우프의 발생을 자동적으로 회피하게 되며, 이 목적을 위하여 다른 부가적 설비가 필요없게 한다. 실온 영구적으로 인장되어 있으므로 항상 만족스런 실 공급 조건을 보장 할 수 있다.
제1도 내지 제3도에 도시된 실 공급 장치는 하우징(1)을 가지고 있어서, 상세히 도시하지 않은 원형 편물 기계의 프레임 링에 고정되도록 배열되며, 하우징(1)내에 수용되는 전기 및 전자 소자들을 위한 도시되지 않은 전기 연결 장치가 그 주변에 놓이게 되는 호울더(2)를 지탱한다. 전기 스테핑 모터(3)가 제3도에서처럼 하우징(1)의 상부에 놓여, 그 샤프트가 하우징 정면벽의 해당 개구로 뻗어 있고 상대 회전에 대해서 고정된 그 샤프트 상에서 실 휘일(4)을 구동시킨다. 실 휘일(4)은 그 샤프트상에 허브(5)를 장착하고 있고, 허브(5)에 결합되는 거의 U자형인 다수의 와이어 베일(wire bail)(6)을 가지고 있으며, 이 와이어 베일(6)은 축방향으로 평행한 호울딩부(7)와 그에 아웃한 런-온 경사부(8)가 있다. 대안적으로, 실 휘일(4)은 또한 실 드럼 또는 바아케이지의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제3도의 참고번호(7a)로 도시한 것처럼 런-온 경사부(8)를 따라 일단이 각을 이루어 구부러진 바아가 제3도처럼 골은 호울딩부(7)에 고정되는 단부 디스크를 가질 수 있다.
하우징(1)상에 위치한 정지형의 실 안내 요소가 실 공급 요소인 실 휘일(4)과 연결된다. 이들 실 안내 요소에는 하우징에 연결된 호울더(9)에 마련된 입구 아이(inlet eye)(10)와 실 휘일의 실 출구측의 하우징에 결합된 실 아이(yarn eye)(11)가 포함된다.
스폴과 같은 실 소스(yarn source)로부터 도착한 실(12)은 입구 아이(10)를 통과하여 호울더(9)상의 제어 가능한 실 디스크 브레이크(13)를 경유하여 런-온 경사부(8) 부근의 실 휘일(4)상으로 가며, 런-온 경사부가 베일 혹은 바아(6)의 실 호울딩부(7)상에서 감기는 실을 밀어서 베일 혹은 바아에 여러가닥의 실이 감겨 저장된다. 이 저장 감김 작용은 좁은 호울딩부(7)와 함께 실 휘일(4)의 둘레에서 실(12)이 미끄러짐 없이 공급되게 한다.
실은 입구 아이(10)로부터 진입하여 접선을 이루며 실 휘일(4)을 지날때와 동일한 속도로 접선을 이루며 실 휘일(4)을 지나간다. 실 휘일(4)에 감겨있던 실(12)은 참고번호(15) 위치의 하우징(1)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움직임 가능한 실 인장 요소를 형성하는 실 안내 아암(16)의 한 단부에 있는 실 아이(14)를 통과하여 실 휘일(4)의 아래쪽 옆에 이격되어 배치된 제2의 정지형 실 아이(11)로 돌아간다. 실은 제2실 아이(11)에서 상세히 도시되지 않은 실 사용 요소, 혹은 편물 기계에 있어서는 실 안내 수단을 거쳐 편물 이송 바늘로 간다.
실 휘일(4)의 출구측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실 안내 아암(16)은 실 아이(14)를 가지고 실 휘일(4)의 원주와 정지형의 제2실 아이(11) 사이에 제1도에 도시된 사실상 V자형인 실 이동 경로를 형성한다. 이 이동 경로를 실 예비량을 나타내며, 그 크기는 실 안내 아암(16)의 각위치에 따라 정해진다.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 안내 아암(16)의 회전축(15)은 실 휘일(4)의 허브(5)의 축과 대칭인 공통 평면에 위치하며, 제1도와 같이 이 대칭 평면에 위치한 실 안내 아암(16)을 가지고 그 실 아이(14)를 제2정지형 실 아이(11) 높이로 실 휘일(4)의 원주로부터 이격시키도록 배치된다. 실 안내 아암(16)의 이러한 위치에서 실 아이(14)의 축은 수직방향으로 뻗는다.
소형의 직류 모터(18)(제3도 참조)가 하우징 정면벽상에서 하우징 저부(17)에 배치되고, 그 샤프트(190)가 하우징 정면벽의 해당 기구로 돌출하여 실 안내 아암(16)과 연결되며, 실 안내 아암은 상대 회전에 대해 고정되어 실 아이(14)를 향한 그 단부가 안으로 구부러져 있다. 영구 자기의 DC 모터(18)는 드랙-컵 모터 형태라면 양호한 것으로서 전기 토오크 변환기로서 작용하며, 가동 코일 측정기구 따위의 측정 변환기와 비슷하게 설계된 토오크 변환기로 대신해도 된다. 이것은 정확히 설치된 실 안내 아암(16)에 대해 실 아이(14)에 가해지고 실 안내 아암(16)에 가해지는 편심력에 해당하는 제어 가능한 편심 토오크를 발생시킨다. 이 편심력은 실 아이(14)를 통해 안내된 실(12)에 의한 인장력에 대항하게 되어 있다. 즉, 이 편심력은 제1도에서 볼 때 좌측으로 지향하게 되는데, 바꾸어 말하면 편심 토오크 반시계 방향을 갖는다.
제1광전기 신호 변환기(19) 형태의 측정 변환기가 전기 모터(18)의 샤프트(190)에 결합되어 실 안내 아암(16)의 각위치를 탐지하여 이 위치를 나타내는 전기 신호를 방출함으로써 전술한 실 예비량의 크기를 나타내는 전기 신호를 방출한다.
제2광전기 신호 변환기(20)가 제1광전기 신호 변환기(19)와 나란히 그 옆에서 샤프트(190)에 위치한다. 제2변환기(20)는 제1변환기(19)와 동일한 형태의 위치 변환기로서 역시 실 안내 아암(16)의 각 위치를 나타내는 신호를 발생시킨다. 이 제2변환기의 중요성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두 신호 변환기(19,20)는 발광 다이오우드(LED)(21,22)와 LED의 비임 경로상에 위치한 광트랜지스터(23,24)를 포함한다. LED(21,22)와 광트랜지스터(23,24)는 하우징에 연결된 호울더(25)상에 장착된다. 상대 회전에 대하여 고정된 샤프트(190)에 장착된 조광 디스크(26,27)는 그렇게하여 형성된 광게이트의 비임경로로 다양한 정도에서 돌출한다. 조광 디스크의 엣지부 혹은 윤곽부는 의도한 목적에 따른 함수에 따르며, 제1신호 변환기의 경우에는 양호하게도 지수 함수를 따른다. 실 안내 아암(16)의 선회 함수로서의 아날로그 전기 신호가 광트랜지스터(23,24)의 출력시 나타나고, 이들 아날로그 전기 신호는 실 안내 아암(16)의 각 위치에 대한 조광 디스크(26,27)의 엣지부 또는 윤곽부에 의해 만들어지는 고정 종속 함수를 갖는다.
실 안내 아암(16)의 선희 운동은 두 개의 정지 핀(28,29)에 의해 양 회전 방향에서 제한되며, 이 두 정지핀은 제1도에 도시된 것처럼 서로 가까이 약간 이격되어 허브(5)의 축과 실 안내 아암의 축을 포함한 대칭축의 오른쪽 옆으로 배치되며 실 안내 아암(16)이 정지핀(28) 혹은 정지핀(29)에 놓일 때 실 아이(14)가 제2정지형 실 아이(11)에서 예정된 만큼 나란히 이격되도록 한다. 제1도에 보여진 정상 작동 위치에서 시작하면 실 안내 아암(16)은 약 60°가량으로 제한된 시계방향 선희 운동을 하지만, 반시계 방향으로 돌때는 약 280°가량의 각도 범위를 회전한다.
축(15)에 동축인 캐리어 디스크(30)는 샤프트(190)가 통과할 수 있는 중앙의 개구(31)를 가지고 있으며 하우징 저부(17)의 하우징 정면에 고정되어 있다. 캐리어 디스크(30)의 반경은 실 안내 아암(16)의 길이 보다 조금 더 크다. 전술한 정지핀(28,29)은 이 캐리어 디스크(30)상에 위치하며, 실 안내 아암(16)은 제대로 작동되지 있을때에만 정지핀에 기대게 된다. 자세히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스위치 수단이 정지핀(28,29)에 연결되는데, 이것에 의해 실 안내 아암(16)이 정지핀(28,29)중 하나에 기대게 되면 차단 신호 또는 경고 신호가 발생된다.
캐리어 디스크(30)의 정면에는 여러 쌍의 서로 인접한 실 호울딩 요소(32,33)가 돌출되어 있다. 제1실 호울딩 요소(32)와 제2실 호울딩 요소(33)는 각각 축(15)과 동축인 공동의 가상원(34,35)에 위치하며, 이 쌍들은 약 60°의 간격으로 서로 이격된다. 원(34)의 직경은 원(35)의 직경보다 크다. 그러나, 두 원(34,35)의 직경은 실 안내 아암(16)이 축(15)을 중심으로 회전할때에 실 아이(14)에 의해 그려지는 원의 직경보다 작다.
실 호울딩 요소(32,33)들은 함께 부가적인 실 예비량을 위한 실 저장 표면을 형성한다. 이들은 원통 롤러 형태로서 V자형 단면을 갖는 실 수용 그루우브 또는 실 안내 그루우브(350)를 그 원주상에서 갖는다. 본 실시예에서 외측의 실 호울딩 요소(32)는 캐리어 디스크(30)상에서 상대 회전에 대해 고정되도록 위치하고, 내측의 실 호울딩 요소(33)는 캐리어 디스크(30)에서 돌출된 베어링 볼트(36)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대안적으로, 실 호울딩 요소(32,33)들은 둘 다 상대 회전에 대해 고정되든가 회전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베어링 볼트(36)의 길이는 한쌍의 실 호울딩 요소(32,33)에 있어서 제3도에 도시된 것처럼 내측의 실 호울딩 요소(33)가 외측의 실 호울딩 요소(32)에 대해 축방향상으로 바로 옆에 위치될만한 것으로 선택된다. 실안내 아암(16)은 돌출한 실 호울딩 요소(32,33)들이 방해되지 않고 그것에 오우버 랩 되도록 각을 두어 굽어진다. 실 안내 아암(16)의 실 아이(14)는 외측 실 호울딩 요소(32)의 V자형 그루우브(350)의 내측으로 그 내측 모서리가 들어가게 놓여지고, 실 아이(14) 자체는 이들 실 호울딩 요소(32)로부터 반경상으로 약간 이격되어 운동한다.
축(15)에 대하여 반경상으로 내측에 위치하는 실 호울딩 요소(33)는 그 V자형 그루우브(350)의 정점이 고정 실 아이(11)의 측을 지나거나 그로부터 약간 옆으로 치우친 공동의 수직상 평면에 오도록 놓인다.
실 호울딩 요소(32,33)들이 이런 식으로 위치하므로, 실 안내 아암(16)이 제1도의 작동 위치로부터 제2도의 회수 위치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그때 정지되는 실 휘일(4)과 제2정지형 실 아이(11)사이의 실 운동 경로상의 실(12)은 상호 동일 각도로 이격된 실 호울딩 요소(32,33)에 걸리므로써 부가적인 실 예비량을 만들게 된다. 제2도의 위치에서 편심력을 받는 실 안내 아암(16)에 의해 인장된 상태에 있는 실은 휘일(4)로부터 실 아이(14)까지 연장하는 그 일부는 캐리어 디스크(30)에 직접 장착되어 축(15)에 대해 반경상외측에 있는 실 호울딩 요소(32)상에 위치하고, 실 안내 아암(16)의 선회 운동으로 실 사용 요소로부터 회수된 실 아이(14)와 제2정지형 실 아이(11) 사이의 실 일부는 제2도에 도시된 것처럼 다른 실 호울딩 요소(33)에 걸려 있다.
이런 식으로 형성된 부가적인 실 예비량은 단순한 방법으로 사용되는데, 실이 호울딩 요소(32,33)로부터 연속적으로 끌어올려지면서 실 안내 아암(16)이 제2도의 위치에서 시작하여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실 휘일(4)이 실을 다시 공급하게 되는 제1도의 작동 위치로 오므로써 이루어진다.
일정한 실 인장력하에서 제어된 실 공급을 보장하고 실 안내 아암(16)의 상기 설명된 실 회수 기능을 가능케 하기 위해, 두 개의 변환기(19,20)뿐 아니라 DC 모터(18) 및 스테핑 모터(3)를 포함한 전자 회로가 제공된다. 이 회로의 구조는 제6도 및 제7도에 상세히 도시된다.
DC 모터(18)가 연결된 실 안내 아암(16)과 측정 변환기로서 작동하는 제1신호 변환기(19)는 DC 모터(18)의 토오크에 설정되는 일정 값에 따라 실 휘일(4)의 출구측상에서의 실 인장력을 제어하는 제어기의 일부이다.
제1신호 변환기(19)의 광트랜지스터(23)에 의해 방출되어 실 안내 아암의 각위치를 나타내는 아날로그 신호는 로우 패스 필터(37)와 볼티지 팔로우어(38)를 경유하여 제어 회로(39)로 들어가며, 이 제어 회로는 그 신호를 처리하여 참고번호(40)로 기호화된 예정된 펄스 트레인 주파수를 갖는 주파수 신호를 그 출력측에서 발생하고, 이 주파수 신호는 전자 제어 장치(41)로 전달되고, 이 전자 제어 장치(41)는 그 출력측에 연결된 전력 산출 스테이지(42)를 거쳐 스테핑 모터(3)에 해당 스테핑 펄스 트레인 형태의 제어 신호를 공급한다. 로우 패스 필터(37)는 신호 변환기(19)에서 전달되는 아날로그 신호에서 고주파의 간섭 신호를 여과한다. 이 필터의 출력측에 있는 볼티지 팔로우어(38)는 비교적 낮은 출력 임피던스를 가지며 실 안내 아암(16)의 특징 각 위치에 따르는 신호 전압 전위를 제공한다. 이 전압 전위는 제어 회로(39)의 두 적분기(43,44)를 반드시 포함하는 회로 장치에 인가된다. 이 회로 장치는 스테핑 모터의 특정의 출발 및 장치 특성에 적합한 시간 상수를 가지고 있어서 실(12)과 실 휘일(4) 등으로 부하가 걸린 스테핑 모터가 주파수 변화에 따라 움직일 수 있는 방법으로 스테핑 모터(3)의 출발 및 정지시 주파수 신호(40)의 주파수 시간에 대한 변수를 제한한다.
스테핑 모터(3)의 출발시간 동안, 실 사용 요소는 그 실 요구량을 실 예비량으로부터 쓸 수 있으며, 각위치에 독립되어 있고 명령 값을 설정하는 DC 모터의 토오크뿐 아니라 실 인장력은 항상 그 명령 값에 놓여있다. 그와 동시에, 이 주기동안 스테핑 모터(3)는 그 주기내에 요구되는 실 운동 속도에 해당하는 회전 속도로 실 휘일을 가속할 수 있고, 그 주기의 길이는 출발 특성에 의해 결정되고, 스테핑 모터는 이 주기동안 주파수 신호(40)에 의해 스텝 단계에 있게 된다.
적분기(43)는 스테핑 모터(3)의 출발시 주파수 변화 속도를 제한하는 한편 적분기(44)는 스테핑 모터(3)의 정지 특성 이하인 값으로 주파수 변화 속도를 제한하여 스테핑 모터를 정지시킬때까지 주파수 신호(40)의 주파수 변화를 정확히 따른다.
적분기(43,44)로 형성된 회로 장치는 그 출력측에 다이오우드 패스(45)가 뒤따르고, 이 다이오우드 패스의 출력은 로우 패스 필터(46)를 경유하여 주파수 신호(40)를 제공하는 전압 주파수 변환기(47)로 연결된다. 다이오우드 패스(45)는 제한 회로를 형성하여 하한치 이하의 전압을 갖는 신호가 전압 주파수 변환기(47)로 공급되지 않게 한다. 만일 그러한 전압이 공급된다면 주파수 신호는 스테핑 모터(3)를 위해 허용되지 않을 정도로 낮은 주파수를 잠시 방출하게 되는 결과를 가져온다. 로우 패스 필터(46)는 전압 주파수 변환기(47)의 부적 기능, 즉 출력측에서 제로 억제력을 가지며 여러번 급변하는 특성 곡선을 갖는 기능을 방지하므로써 실 안내 아암(16)의 각위치와 실 예비량의 크기가 특정의 실 운동 속도에 적합하게 제어될 수 있게 한다.
볼티지 팔로우어(38)에 의해 방출되는 아날로그 전압 신호는 또한 전위차계(48)를 경유하여 미분회로(49)로 전달되어 그곳에서 미분 비례된다. 미분회로(49)의 출력은 부가요소(50)와 볼티지 팔로우어(51)를 경유하여 제2전위차계(52)로 전달되고, 이 제2전위차계는 DC 모터(18)에 의해 발휘되는 토오크의 크기를 제어하며 따라서 실 인장력을 명령값을 제어할 수 있다.
정전류원(constant current source)(53)의 제어 입력은 전위차계(52)에 연결되어 있고, 이 정전류원(53)은 전력 산출 스테이지(54)를 거쳐서 DC 모터(18)를 정전류로 여자시킨다.
이 실 인장 제어 작동은 다음과 같다.
실 공급 장치가 정삭적으로 작동될 때, 즉, 실 사용 요소가 실을 움직여 이동시킬 때, 실 안내 아암(16)은 제4도의 작동 영역(A)내에서 움직이며, 선택된 실시예에서 작동영역은 약 45°의 각 범위를 가지며 시계방향으로는 정지핀(28)에 의해 반시계 방향으로는 소위 차단 영역(B)에 의해 한정되고, 차단 영역은 약 30°를 연장하고 실 안내 아암(16)이 차단 영역(B)내의 위치("제한 위치")에 자리하면, 바꾸어 말해서 차단 영역(B)으로 들어가면 스테핑 모터(3)가 정지되는 뚜렷한 특징을 가지고 있다.
실 안내 아암(16)이 작동 영역(A)내에 위치하는 동안 제어 편차가 발생하면, 예를 들어 실 사용량의 감소를 초래하는 편차가 발생하면, 실 안내 아암(16)은 특정의 실 속도에 상응하는 그 명령 각위치에 따라 움직이기 시작하여 회로부분(39)에 공급된 아날로그 전압 신호가 해당 변화를 받도록 한다. 그리하여, 회로 부분(39)에서 발생된 스테핑 모터(3)에 대한 해당 펄스 제어 신호(40)도 변화되어 스테핑 모터(3)의 속도를 변화시키고 따라서 실 공급 속도를 다시 일정한 상태가 될 때까지 변화시킨다. 그 일정한 속도에서, 실 안내아암(16)은 실에 의해 실 안내 아암(16)에 가해진 실 인장력과 DC 모터(18)에 의한 토오크가 실 아이(14)를 경유하여 평형되어지는 고정 각위치를 갖는다. DC 모터(18)의 토오크에 상당하는 실 안내 아암(16)에 대한 명령 편심력이 작동 영역(A)내에서의 실 안내 아암(16)의 각 위치에 관계없이 일정하기 때문에 실 인장력은 어떠한 실 공급 속도에 대해서도 일정 상태에서 일정하며 따라서 단위시간당 어떤 실 소비량에 대해서도 일정하다. 제어 장치는 일체로 작동한다. 선회 운동동안 그 각 속도에 사실상 비례하는 실 안내 아암(16)에 대한 댐핑 작용은 낮은 내부 저항을 갖는 DC 모터나 여기서는 도시되지 않은 알려진 형태의 별도의 댐핑 장치에 의해 발생된다.
예를 들면 중앙 제어 장치나 원형 편물 기계의 특정수의 실 공급 장치와 같은 외부 신호원으로부터의 외부제어 신호가 별개의 요소(55)와 부가 요소(50)를 경유하여 전위차계(52)를 지나 정전류원(53)의 제어입력에 전달될 수 있다. 이 외부 제어 신호로 인하여 DC 모터(18)의 토오크를 원격 세팅할 수 있고 따라서 실 인장력을 세팅할 수 있다. 테스트 잭(56,57)은 정전류원(53)의 입력 전압을 나타내며 DC 모터에 공급되는 정전류를 나타내고 따라서 DC 모터의 토오크를 나타내는 신호와 스테핑 모터(3)의 스테핑 주파수에 비례하고 스테핑 모터의 속도 또는 rpm을 나타내는 속도 신호를 받아들여서 실 운동 속도 및 실 인장력을 직접 읽어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외부 디스플레이 소스로 전달한다.
미분기(49)는 보정 신호를 제공하며 보정 신호의 크기는 전위차계(48)를 거쳐 제어되며 이 보정 신호는 부가 요소(50)에 의해 DC 모터(18)의 제어 신호에 부가된다. 이 보정 신호의 효과는 특별히 낮은 실 인장력 세팅에 대하여 DC 모터(18)의 여자력이 제어 편차의 경우 이 제어 편차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부가적으로 증가 또는 감소되게 한다.
볼티지 팔로우어(38)의 출력으로 나타나는 아날로그 신호는 실 안내 아암(16)의 특정 각 위치를 나타내는 것으로 본래 제한 스위치 작용을 하는 전자 소자(58)로 마침내 공급되며, 이 전자 소자의 출력측에는 전위기계(52)가 연결되어 있어서 이 아날로그 신호는 결국 정전류원(53)의 제어 입력에 공급된다. 전자 소자(58)는 정전류원(53)의 제어 입력에 위치한 전위가 선택적으로 제어가능한 예정된 값으로 낮추어지고 차단영역(B)에 있던 실 안내 아암(16)이 낮은 실 인장 상태의 부분 영역(C)으로 들어가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준비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예를 들어 줄무늬 장치가 설치된 원형 편물 기계인 경우, 실은 다른 색깔의 새 실을 끼우기 위하여 벗겨지고 실 사용을 금지한 다음 본래의 기계적 관성력을 가진 실 안내 아암(16)을 차단 영역(B)으로 들어가게 하여 스테핑 모터(3)를 정지시키면 실은 다시 팽팽하게 되어 이실 안내 아암(16)의 더 이상의 운동을 방지한다. 차단 영역(B)에서 실 안내 아암이 취하는 정확한 위치 또는 침입 깊이는 다른 요인들중 실의 주된 속도와 실의 인장력이 어느 정도인가와 실이 얼마나 빨리 릴에서 풀리는가에 달려있다. 실 안내 아암(16)이 작동 영역(A) 옆의 차단 영역(B)에 있게 되면 스테핑 모터(3)는 정지되고 실 인장력은 편물 작업에 적당한 값으로서 전위차계(52)에 의해 설정되는 명령 값에 있게 된다. 이제 만일 편물 기계가 예를 들면 줄무늬 장치의 실 클램프가 쉽게 풀리기 때문에 이 실 인장력하의 실을 호울딩할 수 없으면 그때는 실 안내 아암(16)은 DC 모터(18)에 의해 발휘된 명령 편심력의 영향으로 제1도 및 제4도에서 볼 때 왼쪽으로 천천히 움직인다. 그러나, 그것이 차단 영역(B)의 부분(C)으로 들어가면, 전자 소자(58)는 DC 모터(18)의 여자력을 줄이므로써 자동적으로 실 인장력을 더 낮은 값으로 감소시키게 되며, 그 값은 실에 의한 인장력이 해롭지 않을 만큼 낮다. 그러나 이 경우 실 인장력은 제로가 아닌데, 왜냐하면 실 브레이크가 반응할 때 모터를 정지시키기 위한 수단 때문이다.
따라서 전체적으로 볼 때, 실 인장력은 실 안내 아암(16)의 운동에 있어서 작동 영역(A)과 차단 영역(B)의 일부에 걸친 영역에서는 일정하며 명령 값과 동일하다. 그것은 차단 영역(B)의 부분(C)에서만 감소된다.
이와 같은 실 공급 장치는 실 사용이 연속될 때 실 운동 속도가 달라지더라도 항상 일정한 인장력으로 실을 실 사용 요소로 보내주며, 이때 실 안내 아암(16)은 작동 영역(A)(제4도 참조)에서 움직인다. 실 사용이 중단되면, 예를 들면 기계가 정지되거나 줄무늬 장치를 사용하는 편물기계에서 실을 바꿔야 할 경우라면, 그때에는 위에서 설명한 것처럼 실 안내 아암(16)은 차단 영역(B)으로 들어가고 스테핑 모터가 정지되어 실 사용 요소를 위한 실은 비로소 정상 명령 값의 인장력하에 있게 된다. 만일 이 인장력 때문에 실이 실 안내 아암을 감소된 실 인장력하의 영역(C)으로 들어가게 하면서 수축되어야 한다면, 역시 위에서 설명하였듯이 실 인장력은 더 낮은 값으로 감소된다.
그러나, 실 공급 장치가 평 편물 기계 혹은 셔틀식으로 작동하는 원형 편물 기계(양말 또는 스타킹 편물기계)를 위해 사용될 경우에는, 캐리지 또는 니이들 실린더가 그 귀환 운동을 할 때마다, 그것이 역전 포인트에 이른 후에야 실은 비로서 실 안내 상태로 되돌아간다. 그것은 고정 출구 실 아이(11)로부터의 실 운동 경로가 짧기 때문이다. 시간에 따른 실 사용중에, 실 사용량은 제1도의 작동 영역(A)에 있는 실 안내 아암의 위치와 그 정상적인 실 소모시에 시작되어 캐리지 또는 니이들 실린더의 과잉 행정의 시작과 함께 재로로 되고, 실 안내 아암(16)은 DC 모터(18)에 의하여 차단 영역(B)으로 이동되고 스테핑 모터(3)와 실 휘일(4)은 정지한다. 케리지 또는 니이들 실린더의 잇따른 귀환 운동으로 실이 회수될 때, 실 인장력은 떨어지고 DC 모터의 토오크 영향하에 실 안내 아암(16)은 제4도에서 볼 때 반시계방향으로 움직여서 실 회수 영역(D)으로 들어간다. 영역(C)에서 상기의 실 인장력을 감소시키던 전자 소자(58)를 수동 스위치(60)로 미리 꺼버렸다(제1도 및 제6도 참조). 대안적으로는 제1신호 변환기(19)에 연결된 조광 디스크(26)를 작용시켜서, 실 안내 아암(16)이 차단 영역(B)내의 예정 위치에 올때마다, 광트랜지스터(23)가 전자 소자(58)가 응답하게 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더 이상 발생하지 못하도록 이 조광 디스크(26)가 광트랜지스터(23)를 제어할수 있다.
실 안내 아암(16)이 회수 영역(D)으로 들어가면, 위치 변환기로 작용하는 제2신호 변환기(20)가 작동하고, 그 광트랜지스터(24)가 실 안내 아암(16)의 각위치를 나타내는 신호를 방출한다. 이 신호는 간섭을 여과하는 로우 패트 필터(60)를 거쳐서 출력축에 실 인장력 증가 전자 회로(62)가 연결된 볼티지 팔로우어(61)로 보내지며, 이 전자 회로(62)는 다시 다이오우드(63)와 저항기(64)로 표현된 부가 회로를 통해 정전류원(53)의 제어 입력에 증가 전위를 부여한다. 그리하여 DC 모터(18)에 의한 토오크가 증가되고, 그 결과 실 안내 아암(16)은 증가된 인장력을 가지고 실 아이(11)를 통하여 실 사용 요소로부터 실을 되돌려 잡아 당기게 되고, 제1도에 도시한 것처럼 반시계 방향인 회전 운동을 하면서 그 실을 이미 설명한 방법으로 실 호울딩 요소(32,33)상에 건다. 실 안내 아암(16)의 운동은 회수되던 실이 부가적 실 예비량으로 완료되면 정지된다. 작동중단으로 인하여 부가적 실 예비량이 회수되던 실을 받아들일 수 없게 된다거나, 실이 끊어진다. 면, 실 안내 아암(16)은 정지핀(29)에 걸리게 되고, 정지핀의 스위치 수단이 작동하여 차단 신호가 발생된다.
이와 반대로, 정상 작동시, 캐리지 또는 바늘 실린더가 실 아이(11)를 통하여 실을 다시 끌어 당겨지기 시작하는 귀환 운동 과정에서 위치 완료할때마다 실 안내 아암(16)이 제2도처럼 시계방향으로 선회하면서 부가적 실 예비량이 비로소 우선 사용된다. 실 안내 아암(16)이 회수 영역(D)으로부터 이동되어 니오자마자, 제2신호 변환기(20)는 조광 디스크(37)의 특별한 형상으로 인하여 작동하지 않게 된다.
그 다음, 실 안내 아암(16)이 차단 영역(B)을 지나 작동 영역(A)으로 들어가고 나면, 실 안내 아암(16)이 특정 실 운동 속도에 따르는 작동 영역(A)상의 특정 작동 위치에 도달할때까지 스테핑 모터(3)의 속도 조절이 제1신호 변환기(19)에 의한 아날로그 신호에 따라 다시 시작된다. 평 편물 기계에 있어서 이 실 운동 속도는 기하학적 형상에 따른 실 운동 경로상의 변화에 따라 니이들 배드상의 캐리지의 운동 속에서 연속적으로 변화되며, 스테핑 모터(3)는 그에 따라 실 인장력을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연속적으로 자동 조절된다.
전자 회로 부분(60,61,62)이 제7도에 상세히 도시되었다.
볼티지 팔로우어(61)의 비전환 입력부가 집적 회로(IC LM 324) 형태로 콘덴서(64) 및 저항기(65)로 구성된 로우 패스 필터(60)를 통해 광트랜지스터(24)의 방출기에 접속되고, 출력부는, 두 저항기(72,73)로 구성되 볼티지 분계기에 접속되고 콘덴서(69) 및 저항기(70)뿐 아니라 다이오우드(71)를 갖는 미분기(68)와 함께 저항기 및 콘덴서(67)를 통해 접속된다. 적분 회로(LM 324)를 구비하고 다이오우드(75) 및 단안정 다단계 진동기(76, IC LM 324)를 통해 증폭기(77 IM LM 324)의 입력부에 접속된 비교측정기(74)가 출력측의 미분기(68)에 접속된다. 정류기(77)의 출력부가 고정 전원(53)의 입력제어(79)에 추가된 부품(64)뿐 아니라 전위 차계(78) 및 다이오우드(63)를 통해 접속된다.
작동 영역(A)에 위치된 실 안내 아암(16)의 통상적인 실 장력에 대응하는 포텐샬이 초기에 전위차계(50)에서 나오는 정전류원(53)의 제어 입력(79)에 작용된다.
광트랜지스터(24)로 방출된 아날로그 신호에 의해 제2신호 변환기(20)가 실 안내 아암(16)이 회수 영역(n)에 들어갔음을 지시하면, 이 아날로그 신호는 볼티지 팔로우어에서 정류되고 미분기(68)에서 미분된다. 미분기(68)는 실 안내 아암(16)이 제11도의 반시계 방향으로 이동하는 시간까지 차례로 이동하고, 신호를 방출한다. 이 목적에 필요한 아날로그 신호 시간에 대한 변화가 및 출입문(22,24)에 의해 감지되는 조광 디스크의 외측 또는 모서리의 특별한 형상에 의해 구비된다.
출력측에 접속된 비교측정기(74)는 미분기(68)에 의해 방출된 신호들을 적분하고 이 정보를 포지티브 볼티지 레벨 형태로 단안정 다단계 진동기(76)에 공급한다. 단안정 다단계 진동기(76)의 출력부에서, 그 중요성이 아래에 상세히 기술될 것이며, 정류기(77)에 의해 정류되고, 제어 전위차계 및 추가부품(64)을 정전류원(53)의 제어 입력(79)에 공급된다. 전위차계(78)는 실 회귀에 필요한 특별한 실 인장력 증가의 제어를 가능하게 한다.
실 인장 아암(16)이 정지한다거나 반대방향(제2도의 시계방향)으로 이동한다면, 통상의 실 감은 장치가 제개되어 추가 실 저장이 사용되고, 그러면 광트랜지스터(24)에 의해 방출된 신호는 더 이상 나타나지 않게 되어 미분기(68)는 신호를 방출하지 않고 정류기(77)의 출력이 순간적으로 사라질때까지 추가 볼티지 포텐샬이 존재하게 된다.
실시예에서 기술되었지만, 두 개의 조광 디스크(26,27)가 직류 모터(18)의 축(190)에 각각 인접하여 정착되고, 그 형태는 제5도와 같이 두 개의 빛 출입문(21,23 및 22,24)에 의해 감지된 트랙을 갖는 다양한 반지름의 싱글 조광 디스크(제5도)를 구비함으로써 단순화될 수 있다. 외측 원주 모서리에 의해 형성된 편심트랙(26a)이 제1신호 변환기(19)의 조광 디스크(26)의 트랙에 일치하는 반면, 내측 트랙(27a)은 제2신호 변환기(26)의 조광 디스크(27) 트랙과 일치한다. 구조적인 이유 때문에 전체 원주에 연속하는 방사상의 내향 외측선(27a)을 만드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그것은 래디알 쇼울더 또는 예각을 이루는 전이를 통해 디스크 물질을 방사적으로 감싸는 곳에 접속된 각각의 편심부(27b)의 혼합물로서 구성된다. 예를 들면 10ms로 제어되는 단안정 다단계 진동기(76)는 이제 신호 흐름에서, 조광 디스크(80)가 편심 외측선(27b)이 실 안내 아암(16)의 이동 경로에서 다음으로 이동될때마다 나타나는 간단한 간섭을 막을 수 있다. 외측선(27a)의 이 연속 편심 함수로 아날로그 신호 부분의 시간당 큰 전압 증가가 조광 디스크(80)의 회전에서 얻어지고 그 결과 미분기(68)에서 발생한 미분계수(du/dt)가 함수 신뢰도에 충분한 크기가 된다.
양호한 실시예에서, 실 인장 요소는, 편심력에 의해 특화된 제어값에 실 운동 경로에서 실 공급 요소의 흐름을 하향으로 유지시켜 준다. 작동범위내에서 실 인장 요소의 이동이 있자마자, 측정 변환기는 제어 경로의 부분 함수로서 나타나는 전자 회로에 제어 루프를 표시하는 신호를 방출한다. 통상의 작업 조건 즉 예를 들면 원형 편물 또는 캐리지가 평 편물기에서 니이들 베드로 이동하는 동안, 실 공급 요소의 구동 모터는, 작동 범위내에서 이동되는 실 인장 요소 및 제어기를 통해 실 인장력이 실 인장 요소에 작용하는 편심력에 따라 결정되는 변화되는 제어값에 제어되는 값으로 잔류하는 방법으로 연속적으로 제어된다. 그러나, 캐리지가 바느질에 가담한 마지막 바늘의 나머지 하향 행정을 수행하고 확실한 반전 운동을 수행하는 즉시, 실 공급 요소가 정지하는 반면 편심력하에서 실 인장 요소 또다른 작동 영역으로 이동된다. 그것은 캐리지의 회귀 운동에 대응하여 실이 다시 취해져 부가적 실 예비량이 우선 사용되고 실 인장 요소가 작동 영역으로 다시 후진 이동될때까지 더 이상 실을 취하지 않고 이 실을 실 호울딩 요소에 더 이상 걸지 않는다. 이 범위에 들어오자마자 구동 모터는 작동을 시작하고 그 속도는 실 장력이 일정값을 유지하는 방법으로 실 필요량에 따라 조절된다.
실 소비가 단지 일시적으로 감소되었는지 아니면 중단되었는지를 결정하거나, 혹은 실 브레이크가 작동되었는지를 결정하기 위하여, 실 인장 요소가 최대 위치에 다다를 때 응답하는 한계치 신호 변환기에 의하여 실 인장 요소의 또다른 운동 영역이 제한되는 것이 적당하다.
실 공급 요소의 니이들 같은 실 사용 요소 사이의 실 운동 경로의 특정 조건에 따르면, 실 안내 요소에 의해 야기된 우회의 결과로 인하여, 강한 마찰력이 크기가 변하면서 실에 가해진다. 그러므로 실이 실 인장 요소로부터 부가적 실 예비량으로 당겨진다면, 이러한 마찰력이 극복되어져야 한다. 그러므로, 위치에 따라 움직여지는 수단이 실 인장 요소에 결합되는 것은 종종 유익한데, 실 인장 요소에 작용하는 편심력은 이 수단에 의하여 실 인장 요소가 운동중 예정 위치에 도달할때마다 선택적으로 조정 가능한 예정치만큼 증가될 수 있다. 이 예정 위치는 실 인장 요소의 또다른 영역에서는 앞서 말한 한계 위치이거나 혹은 이 또다른 운동 영역내에 위치한 위치이다. 어떤 경우에는 실 인장 요소의 작동 영역내에 이 위치가 제공되는 것이 적당할 수도 있다. 실 인장 요소의 이 위치는 또한 구조적으로 간단한 방법으로 움직여질 수 있는데, 이 예정 위치에 도달할 때 신호를 발생하는 위치 변환기를 실 인장 요소에 연결하는 방법이다. 설계를 좀더 간단화 시키기 위하여, 위치 변환기를 측정 변환기와 일체로 결합하거나, 실 인장 요소가 실 인장력이 감소됨과 동시에 또다른 운동 영역을 향한 그 한계 위치에 도달할때마다 제어 회로를 위한 위치 종속의 위치 신호나 실 공급 요소의 구동 모터를 위한 정지 신호를 발생하기 위하여 어떤 경우이든 실 인장 아암에 결합된 변환기로서 만들 수도 있다.
실 인장 요소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안내 아암을 갖게 하는 것이 구조적으로 적당하다고 입증되었는데, 이 안내 아암에는 실이 연결되며, 그 아암의 각위치를 감지하여 알아내는 측정 변환기가 연결된다. 이 측정 변환기는 본래 임의적인 형식으로서 비 접촉식으로 작동하는 것이 양호하지만, 측정 변환기는 광-광학 신호 변환기 수단에 의해 감지될 수 있는 안내 아암에 연결된 각도 변환기 요소를 갖는 것이 유익하다고 입증되었다. 측정 변환기의 적당한 전송 기능, 즉 제어기의 정적 및 동적 제어 행동에 적합한 기능은 광학적으로 판독할 수 있는 아우트라인이나 엣지를 갖는 디스크를 각도 변환기 요소가 갖는다면 간단한 방법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이들 아우트라인이나 엣지들의 최소한 하나는 측정 변환기에 연결되어 있고 하나는 위치 변환기에 연결된다.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부가적 실 예비량의 증가동안 실이 되돌려질 때 실 운동 경로상에서 실에 가해진 브레이크 힘을 극복하기 위하여, 실 인장 요소에 작용하는 편심력을 증가하는 것이 종종 적절하다. 그러나, 실이 과도하게 받아들여져서 실 호울딩 요소에 쌓이게 되면 실 인장 요소에 편심력을 증가시킬 필요가 없게 된다. 대체로, 부가적인 실 예비량의 사용이 계속 되는데, 증가한 편심력 때문에 실 인장력이 증가하는 것도 또한 바람직하지 않는다. 이것을 피하기 위하여, 실 인장 요소에 가해지는 편심력을 증가하기 위한 수단이 실 인장 요소의 운동 상태 및 운동 방향을 확인하는 장치를 갖을 필요가 있으며, 이 장치에 의하여 실인장 요소가 운동할때에만 편심력을 증가시킬 수 있는 것이다.
실 인장 요소의 구조와 지지상태에 따라서 편심력을 여러 방법으로 만들 수 있다. 그것은 실 안내 요소의 작동 영역 및 각도에 관계없이 가능한한 일정해야 하며 조정가능하여야 한다. 이러한 조건은 매우 간단한 방식으로 이룰수가 있는데, 편심력을 발생하는 전자석식 토오크 변화기를 실 인장 요소에 연결하여 전기적 입력 변수를 적절히 변화시킴으로써 그 토오크, 즉 편심력을 조정하면 된다. 이 목적을 위해 편심력 증가 수단은 또한 토오크 변화기의 입력 전압 혹은 입력 전류를 변화시키는 스위칭 스테이지를 갖는다. 이러한 전자석식 토오크 변환기가 사용된다면, 실 인장 요소의 운동상태를 확인하는 장치도 동시에 제공되며, 이 장치는 출력 신호나 측정 변환기 혹은 위치 변환기의 그것으로부터 파생된 신호를 처리하는 미분 요소를 갖고 있다.
실 인장 요소에 의해 부가적 실 예비량으로 후퇴되는 실을 받아들이는 실 호울딩 수단이 실 인장 요소의 운동 경로의 기하학적 상태(즉, 직선형이거나 원형)에 따라서, 그리고 받아들여지는 실의 양에 따라서 구체화되어야 한다. 이것들은 신뢰성 있게 받아들여야 하며, 동시에 부가적 실 예비량이 부갖거 실 예비량이 다시 사용될 때는 실을 만족스럽게 품어야 한다.
전술한 것처럼 실 인장 요소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실 안내 아암의 형태일때는, 실 안내 수단을 가지고 있는 실 안내 아암의 운동 영역에 분포된 실 호울딩 요소들을 실 호울딩 수단이 갖는 것이 유익하다. 이 실 호울딩 요소들은 실 안내 아암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는 하나의 동심원상에 적당히 배치된다. 이것들은 그루우브나 채널같은 실 수용 수단이 구비된 볼트 또는 롤러를 가질 수 있으며, 최소한 롤러들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실 안내 수단에서 실 사용 요소까지 연장하는 실의 일부분과 연결된다. 실이 실 예비량으로 회수되자마자 실 공급 요소는 정지되어 실 공급 요소로부터 실이 풀려 나오지 않게 된다. 한편, 가장 최근의 편물 니이들 같은 실 사용 요소로부터 실 안내 아암까지 연장하는 실은 후퇴되어야 한다. 과도한 마찰을 방지하기 위하여, 이 부분의 실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롤러 위에서 당겨져야 한다.
실 호울딩 요소는 유익하게도 실 공급 요소를 지지하고 있는 하우징상에 위치한 플랫 캐리어상에서 한측이 돌출되어 위치될 수 있어서, 실이 호울딩된 상태를 지켜보면서 발생할 수 있는 어떤 착오를 손으로 수정하기가 용이하다. 실이 실 안내 아암의 실 아이가 그 꼭지점에 위치하게 되는 것의 V자형인 운동 경로를 가지면서 실 안내 아암의 부근에 위치하기 때문에, 실 호울딩 요소들은 캐리어로부터 돌출하여 그룹을 이루어 위치하여 실 아이까지 연장하는 두 부분의 실을 만족스럽게 호울딩한다.
발명의 개념 영역내에서 여러가지 변화와 수정이 가능하며, 실시예들중 어느 하나와 관련된 특징이 다른 어느 실시예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Claims (20)

  1. 반드시 미끄러지지 않는 상태에서 직조기에 실을 공급하는 회전 가능한 실 공급 수단(4)과, 상기 실 공급 수단(4)과 관련되어 있는 실 안내 요소(10,14,11)와, 상기 실 공급 수단(4)에 연결되어 그 회전을 제어하는 속도 제어 모터(3)와, 상기 실 공급 수단(4)에서 직조기까지의 실의 경로에 위치된 가동 실 인장 요소(16)와, 실에다가 예정되고 제어 가능한 인장 편심력을 가하기 위해 상기 실 인장 요소(16)에 연결된 실인장 편심력 수단(18)과, 상기 실 인장 요소(16)의 위치에 따라 실 예비량을 저장하기 위해 상기 실 인장 요소로부터 직조기에 이르는 실의 경로중 하부에 위치한 실 안내 요소들 중의 하나에서 상기 실 인장 요소에 이르는 실의 경로로 형성되는 실 예비량 구역과, 모터에 연결되어 직조기에 의해 요구되는 실에 따라 모터의 속도 및 회전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가지며, 실 공급이 시간에 따라 다양하게 변화하는 직조기, 특히 편물 기계를 위한 실 공급 장치에 있어서, 실 예비량을 증가시키도록 감지되면 실 인장 요소가 한계 위치(A/B)쪽으로 움직여 모터를 정지하도록 모터를 제어하게 되는 위치인 작동 영역(A)과, 모터는 정지되어 있고 편심력에 의해 실 인장 요소가 움직여지는 위치로서 상기 작동 영역(A)외부에 인접한 또하나의 작동영역(D)에서의 상기 실 인장 요소(16)의 위치를 감지하여 그 위치 및 운동을 나타내는 각각의 출력 신호를 상기 제어 수단에 공급하는 변환기(19)와, 상기 실 인장 요소(16)가 상기 또 하나의 작동 영역(D)으로 움직여지며 상기 실 인장 요소(16)가 안내한 실을 받아들여서, 일시적인 실 예비량을 만들기 위해 상기 편심력 인장하에 실을 유지하기 위해 위치된 실 호울딩 수단(32,33)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직조기용 실 공급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 인장 요소(16)는 실 공급 요소(4) 하부의 실 운동 경로상의 실 인장력을 편심력에 의해 설정되는 명령 값으로 일정하게 유지하는 제어기의 일부이며, 측정 변환기(19)가 작동 영역(A)내에서의 실 인장 요소(16)의 운동에 따라 제어 루우프의 제어 변수를 나타내는 신호를 제어 경로의 일부로서 작용하는 전자 회로에 보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 공급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실 인장 요소(16)의 또다른 작동 영역(D)은 실 인장 요소(16)가 최대위치에 도달하면 응답하는 한계치 신호 변환기(29)에 의해 한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실 공급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위치에 따라 작동되는 수단(60,61,62)은 실 인장 요소(16)에 연결되어, 실 인장 요소(16)가 운동중에 예정 위치에 도달하게 되면, 그에 대한 편심력을 선택 제어 가능한 예정치만큼 증가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실 공급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예정 위치는 상기 또다른 작동 영역(D)의 한계 위치이거나, 그 안에 위치한 어떤 위치임을 특징으로 하는 실 공급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예정 위치에 도달하면 전기 신호를 발생하는 위치 변환기(20)가 상기 실 인장 요소(16)에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실 공급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변환기(20)는 상기 측정 변환기(19)와 결합되거나 아니면 일체로 실현됨을 특징으로 하는 실 공급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 인장 요소는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실 안내 아암(16)이며, 이것은 실(12)과 연결되고, 상기 실 안내 아암(16)의 각 위치를 감지하는 하나 이상의 측정 및 위치 변환기(19,20)가 상기 실 안내 아암(16)에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실 공급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측정 변환기(19) 및 위치 변환기(20)는 실 안내 아암(16)에 연결된 각도 변환기 요소(26,27)를 가지며, 광-광학 신호 변환기 수단(21,23 : 22,24)에 의해 감지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실 공급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 변환기 요소는 광학적으로 세밀히 조사할 수 있는 아우트라인 또는 엣지(26a,27a,27b)를 갖는 디스크(80)이며, 그 아우트라인 또는 엣지중 최소한 하나는 측정한 변환기(19)와 연결되고 또하나는 위치 변환기(20)와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실 공급 장치.
  11. 제4항에 있어서, 실 인장 요소(16)에 작용하는 편심력을 증가하기 위한 수단은 실 인장 요소(16)의 운동상태를 확인하여 그 운동 방향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장치(68)를 가지며, 이 장치에 의하여 편심력의 증가는 실 인장 요소(16)가 운동할때만 실효됨을 특징으로 하는 실 공급장치.
  12. 제8항에 있어서, 실 인장 요소(16)는 편심력을 만들어내는 전자석식 토오크 변환기(18)에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실 공급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편심력 증가 수단은 토오크 변환기(18)의 입력 전압 또는 입력 전류에 영향을 미치는 스위칭 스테이지(61,62)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실 공급 장치.
  14. 제11항에 있어서, 실 인장 요소(16)의 운동 상태를 확인하는 장치는 측정 또는 위치 변환기(19,20)의 출력 신호나 그로부터 파생된 신호를 처리하는 미분기(68)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실 공급 장치.
  15. 제8항에 있어서, 실 호울딩 수단은 실 안내 수단(14)을 가진 실 안내 아암(16)의 작동 범위에 분포된 실 호울딩 요소(32,33)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실 공급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실 호울딩 요소(32,33)들은 실 안내 아암(16)의 회전축(15)을 중심으로 하는 최소한 하나의 동심원(34 : 35)상에 위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실 공급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실 호울딩 요소(32,33)는 실 수용 수단(350)이 구비된 볼트 또는 롤러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실 공급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롤러(33)는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실 안내 수단(14)으로부터 실 사용 요소까지 연장한 부분의 실과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실 공급장치.
  19. 제16항에 있어서, 실 호울딩 요소(32,33)들은 실 공급 요소(4)를 가지고 있는 하우징(1,17)상에 위치한 플랫 캐리어(30)상에서 일단부가 돌출하여 위치하고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실 공급 장치.
  20. 제18항에 있어서, 실 호울딩 요소(32,33)들은 캐리어(30)로부터 다른 크기로 그룹으로 돌출하여 위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실 공급 장치.
KR1019880012402A 1987-09-24 1988-09-24 직조기용실 공급 장치 KR91000501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3732102A DE3732102C1 (de) 1987-09-24 1987-09-24 Fadenliefervorrichtung fuer Textilmaschinen mit zeitlich unterschiedlichem Fadenverbrauch,insbesondere Strick- und Wirkmaschinen
DE3732102.1 1987-09-24
DEP3732102.1 1987-09-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5324A KR890005324A (ko) 1989-05-13
KR910005011B1 true KR910005011B1 (ko) 1991-07-20

Family

ID=63367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12402A KR910005011B1 (ko) 1987-09-24 1988-09-24 직조기용실 공급 장치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4829790A (ko)
EP (1) EP0308609A3 (ko)
JP (1) JPH07109047B2 (ko)
KR (1) KR910005011B1 (ko)
CN (1) CN1008751B (ko)
CS (1) CS271348B2 (ko)
DD (1) DD282482A5 (ko)
DE (1) DE3732102C1 (ko)
PT (1) PT88583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824034C1 (ko) * 1988-07-15 1989-09-14 Gustav 7290 Freudenstadt De Memminger
JPH0735227B2 (ja) * 1988-11-25 1995-04-19 三田工業株式会社 再給紙装置
JP2892392B2 (ja) * 1989-08-31 1999-05-17 株式会社福原精機製作所 編機のステッチ自動調整装置および方法
DE4131322A1 (de) * 1991-09-20 1993-03-25 Stoll & Co H Fadenliefervorrichtung
IT1254721B (it) * 1992-03-17 1995-10-09 Angelo Paggiaro Apparecchiatura automatica per la visualizzazione e il controllo centralizzato di una molteplicita' di anomalie particolarmente in alimentatori per macchine di maglieria e per macchinari tessili in genere
GB9306009D0 (en) * 1993-03-23 1993-05-12 Ncr Int Inc Sheet handing apparatus
US5505067A (en) * 1994-07-06 1996-04-09 Waddington Electronics, Inc. Non-contact double-block speed controller
GB2297331A (en) * 1995-01-24 1996-07-31 Cobble Blackburn Ltd Yarn feed arrangement for tufting machine
DE19537325C1 (de) * 1995-10-06 1996-11-28 Memminger Iro Gmbh Fadenliefergerät mit elektronischer Ansteuerung
GB0318271D0 (en) * 2003-08-05 2003-09-10 Univ Manchester Improved knitting machines and methods of knitting
JP4015984B2 (ja) * 2003-10-17 2007-11-28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横編機の糸供給装置
DE102004017045B3 (de) * 2004-04-02 2005-12-08 Memminger-Iro Gmbh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Fadenpositivlieferung
DE102004051520B4 (de) * 2004-10-21 2014-12-31 Memminger-Iro Gmbh Fadenliefergerät mit Rückholbetrieb und Verfahren zum Betrieb eines Fadenliefergerätes
DE102006038339B4 (de) * 2006-08-15 2008-08-21 Andritz Küsters GmbH & Co. K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Ausrüstung einer Warenbahn
ITFI20060335A1 (it) * 2006-12-22 2008-06-23 Giovanni Corsani Un dispositivo alimentatore e recuperatore del filo per macchine tessili
KR101537940B1 (ko) * 2009-06-09 2015-07-20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편성기용의 실 이송장치와 실 이송방법
CN107106228B (zh) 2014-10-31 2020-05-05 美敦力先进能量有限公司 用于减少rf发生器中的泄漏电流的功率监测电路与方法
CN105714468B (zh) * 2016-04-22 2019-04-16 浙江鹏飞针织有限公司 一种高可靠性袜机
CN111655915B (zh) * 2018-01-26 2022-02-25 东丽株式会社 底布、喷射织机及底布的制造方法
JP7048407B2 (ja) * 2018-05-11 2022-04-05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編機の張力測定装置及びその張力測定方法
CN109183264B (zh) * 2018-11-14 2023-08-25 慈溪市赛美格自动化科技有限公司 一种结构改进型输纱器
CN110541236B (zh) * 2019-08-31 2020-12-29 嘉兴科禾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帆布生产用同步进线且带有提醒的设备
CN114277499A (zh) * 2021-12-27 2022-04-05 青岛即发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转速可调积极型输纱器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58416A (en) * 1973-07-23 1975-01-07 Eugene F White Knitting machine yarn feeding apparatus
FR2264904B1 (ko) * 1974-03-21 1977-08-19 Inst Textile De France
GB2125072B (en) * 1982-08-07 1986-08-13 Geoffrey Edmund Whellams Self-adjusting filament tensioner
FR2538419A1 (fr) * 1982-12-28 1984-06-29 Inst Textile De France Dispositif de regulation de la longueur de fil absorbee par un metier a tricoter
US4632324A (en) * 1982-11-12 1986-12-30 Mayer & Cie. Gmbh & Co. Strand storing and delivering device
DE3416195A1 (de) * 1984-05-02 1985-11-14 Gustav 7290 Freudenstadt Memminger Fadenliefervorrichtung fuer fadenverarbeitende textilmaschinen, bspw. rundstrick- oder -wirkmaschinen
DE3429207C2 (de) * 1984-08-08 1986-06-19 Gustav 7290 Freudenstadt Memminger Fadenliefervorrichtung für fadenverbrauchende Textilmaschinen
DE3431743C2 (de) * 1984-08-29 1986-11-27 Christian Montopoli Val d'Arno Bretscher Vorrichtung zur Fadenzuführung für eine Strickmaschine
SE8502436D0 (sv) * 1985-05-17 1985-05-17 Iro Ab Anordning for positiv matning av ett foretredesvis elastiskt garn vid en stickmaskin, foretredesvis en strumpstickmaskin
DE3702702A1 (de) * 1986-02-27 1987-09-03 Baer Maschf Josef Regeleinrichtung fuer die fadenspannung bei wickelmaschinen, insbesondere in der faserwickeltechnik
DE3627731C1 (de) * 1986-08-16 1988-03-31 Gustav Memminger Fadenliefervorrichtung mit elektronischer Fadenspannungsregelu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S271348B2 (en) 1990-09-12
CN1008751B (zh) 1990-07-11
DE3732102C1 (de) 1989-05-03
DD282482A5 (de) 1990-09-12
JPH07109047B2 (ja) 1995-11-22
KR890005324A (ko) 1989-05-13
PT88583A (pt) 1989-07-31
CS631688A2 (en) 1989-11-14
CN1032202A (zh) 1989-04-05
US4829790A (en) 1989-05-16
JPH0197246A (ja) 1989-04-14
EP0308609A2 (de) 1989-03-29
EP0308609A3 (de) 1991-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10005011B1 (ko) 직조기용실 공급 장치
KR900005017B1 (ko) 방직기용 실 공급장치
KR100302035B1 (ko) 탄성사를위한사공급장치및사용방법과,그를이용한편물제품
EP1501970B1 (en) Method and device for the constant-tension feed and take-up of a yarn fed to a textile machine
US4706476A (en) Yarn supply apparatus for textile machines especially circular knitting machines
EP0225670B1 (en) Process for unwinding a thread from a reel in looms, and arrangement used therefor
CZ102298A3 (cs) Zařízení na podávání nití
JPS6242826B2 (ko)
DE68902750T2 (de) Garnlieferungsvorrichtung fuer textilmaschinen.
US4114823A (en) Yarn delivery apparatus for use with textile machines
US4138866A (en) Yarn delivery apparatus, especially for knitting machines
US4330094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ing the length of a thread withdrawn overhead from a thread carrier
JPH10115565A (ja) 走行する糸の糸引張り力を測定する装置
WO2019179818A1 (en) A winding device
US5676329A (en) Method for the automatic regulation of the thread tension in a bobbin-winding machine
US6279619B1 (en) Method for preliminarily storing yarn and feeding device
CN112955592A (zh) 具有学习程序的纱线进给设备
US5894744A (en) Speed control apparatus for yarn winding storage drum
EP0580267B1 (en) A device for feeding a periodically operating yarn-consuming device
JP2509903B2 (ja) 糸パツケ―ジの品質を監視する方法及び装置
Choy An Investigation into the Low Tension Yarn Feeding Problems for Flat Bed Knitting Machines
JPH0657585A (ja) 織機の運動特性量を探知する方法および織機
JPS61137597A (ja) 糸調子の設定方法と糸調子設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