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1530Y1 - 폰트롬과 문자발생 램 사이의 데이터 전송회로 - Google Patents

폰트롬과 문자발생 램 사이의 데이터 전송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1530Y1
KR900001530Y1 KR2019860021906U KR860021906U KR900001530Y1 KR 900001530 Y1 KR900001530 Y1 KR 900001530Y1 KR 2019860021906 U KR2019860021906 U KR 2019860021906U KR 860021906 U KR860021906 U KR 860021906U KR 900001530 Y1 KR900001530 Y1 KR 90000153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nt rom
data
address
terminal
r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6002190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13109U (ko
Inventor
김헌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한형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한형수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60021906U priority Critical patent/KR900001530Y1/ko
Publication of KR88001310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1310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153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1530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characterised by the display of characters or indicia using display control signals derived from coded signals representing the characters or indicia, e.g. with a character-code memory
    • G09G5/222Control of the character-code memory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1/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cathode-ray tube indicators; General aspects or details, e.g. selection emphasis on particular characters, dashed line or dotted line generation; Preprocessing of data
    • G09G1/0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cathode-ray tube indicators; General aspects or details, e.g. selection emphasis on particular characters, dashed line or dotted line generation; Preprocessing of data using single beam tubes, e.g. three-dimensional or perspective representation, rotation or translation of display pattern, hidden lines, shadows
    • G09G1/1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cathode-ray tube indicators; General aspects or details, e.g. selection emphasis on particular characters, dashed line or dotted line generation; Preprocessing of data using single beam tubes, e.g. three-dimensional or perspective representation, rotation or translation of display pattern, hidden lines, shadows the beam tracing a pattern independent of the information to be displayed, this latter determining the parts of the pattern rendered respectively visible and invisible
    • G09G1/1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cathode-ray tube indicators; General aspects or details, e.g. selection emphasis on particular characters, dashed line or dotted line generation; Preprocessing of data using single beam tubes, e.g. three-dimensional or perspective representation, rotation or translation of display pattern, hidden lines, shadows the beam tracing a pattern independent of the information to be displayed, this latter determining the parts of the pattern rendered respectively visible and invisible the pattern of rectangular co-ordinates extending over the whole area of the screen, i.e. television type raster
    • G09G1/165Details of a display terminal using a CRT, the details relating to the control arrangement of the display terminal and to the interfaces thereto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폰트롬과 문자발생 램 사이의 데이터 전송회로
제1도는 본 고안의 회로도.
제2도는 제1도에 따른 파형도.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
제4도는 종래의 데이터 전송회로에 대한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CPU 2 : 폰트 롬
3 : 문자발생램
[산업상의 이용분야]
본 고안의 컴퓨터본체의 출력 논리회로부에 낮추어진 폰트롬과 문자발생램 사이에서 동일 어드레스버스를 공유하도록 구성해서 폰트롬과 문자발생램에 대해 CPU가 동일한 어드레스를 설정하여 폰트롬의 데이터를 독출해서 이 독출된 데이터를 문자발생램에 전송, 기록할수 있도록 폰트롬과 문자발생램 사이의 데이터전송회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과 그 문제점]
일반적으로 컴퓨터본체의 출력 논리회로부에 갖추어진 폰트롬(FONT ROM)으로 부터 문자발생램(CHARACTER GENERATOR RAM)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으로는 제4도의 플로우차트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CPU의 어드레스 단자로 부터 송출되는 어드레스신호를 폰트롬으로 공급하여 폰트롬의 어드레스를 지정한 다음 CPU의 또 다른 어드레스단자를 통해 출력되는 어드레스 신호에 의해 문자발생 램의 어드레스가 지정되도록 되어 있는데, 이러한 회로동작에 의해 CPU로 부터 인가된 데이터 독출용 어드레스신호가 폰트롬으로 공급되면 폰트롬에 대해 지정된 어드레스에 대응하는 데이터가 독출되어 문자발생램에 전송되고, 이어 CPU로 부터 인가되는 기록신호에 상기 폰트롬으로 부터 독출되어 문자발생램에 전송되는 데이터가 상기한 바와 같이 CPU에 의해 지정된 어드레스에 대응하는 문자발생램의 특정영역에 기록되며, 이로 부터 문자발생램에 기록할 데이터가 기록하고자 하는 문자데이터로 모두 기록되었을 경우에는 상기와 같은 동작이 종료되게 되는 반면, 문자 발생램에 기록될 문자데이터가 남아 있는 경우에는 다시 폰트롬의 어드레스를 증가시키게 됨과 더불어 문자발생램에 대해 설정된 어드레스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CPU가 독출하여 기록 신호에 의해 상기 CPU에 기록된 독출 데이터를 문자발생램에 기록시키는 동작을 반복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동작에 의해 원하는 데이터가 문자 발생램에 기록되면 CRT 제어회로(CRT)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의해 문자발생램에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가 도시되지 않은 인터페이스를 통해 CRT의 화면 상에 나타나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방법으로 폰트롬의 영역에 있는 데이터를 문자발생램으로 전송시키는 경우에는 CPU가 폰트롬과 문자발생램에 각기 다른 어드레스를 출력해서 폰트롬과 문자발생램의 어드레스를 지정해 주어야만 되므로 CPU의 어드레스용량이 증대되어 메모리의 효율적 이용이 저해될 뿐만 아니라, 데이터 전송이 복잡하여 데이터의 처리시간이 길어지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고안의 목적]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기술상의 문제점을 해소시키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CPU의 제어하에 폰트롬으로부터 문자발생램으로 데이터를 전송하고자 할 때 폰트롬은 단순히 독출기능만 수행하는 반면 문자발생램은 기록기능과 독출기능을 모두 구비하고 있으면서 독출기능은 CRTC에 의해 동작제어 된다는 것에 착안하여, CPU에서 폰트롬의 독출 어드레스와 문자발생램의 기록 어드레스를 동일한 어드레스로 지정하므로써 CPU의 어드레스용량을 절반으로 감소시킬 수 있으면서, 별도의 어드레스지정을 수행하지 않고서도 폰트롬으로 부터 문자발생으로 데이터전송을 신속하고 간단히 수행할수 있는 폰트롬과 문자발생사이의 데이터 전송회로를 제공하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
[고안의 구성]
본 고안은 CPU(1)의 데이터단자(D0-D7)에 폰트롬(2)의 데이터단자(D0-D7)가 각각 연결되고, 상기 CPU(1)의 어드레스단자(AD1)에는 동일한 어드레스가 설정되어 인가되는 상기 폰트롬(2)의 어드레스단자(AD2)와 상기 문자발생램(3)의 어드레스(AD3)가 각각 연결되며, 상기 CPU(1)의 독출단자(RD1)에는 상기 어드레스에 대응되는 데이터가 독출되는 상기 폰트롬(2)의 독출단자(RD2)가 연결되면서 그 기록단자(WR1)에는 상기 폰트롬(2)에서 독출된 데이터를 상기 어드레스에 대응하는 영역에 기록하기 위한 기록신호가 인가되는 문자발생램(3)의 기록단자(SR2)가 연결된 구조로 되어 있다.
[실시예]
이하,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 효과를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상기한 바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회로도로서, 이 제1도의 회로구성을 제2도의 파형도를 참조해서 설명하면 CPU(1)의 클럭단자(도시되지 않음)에 제2도의 (a)와 같은 클럭신호가 입력되며 CPU(1)의 어드레스단자(AD1)에서 제2도의 (b)(c)와 같은 어드레스신호가 메모리요구신호와 함께 폰트롬(2)의 제2도의 (D)와 같은 독출신호가 상기 폰트롬(2)의 독출단자 어드레스단자(AD2)와 문자발생램(3)의 단자(AD3)로 각각 출력되게 된다. 이때 CPU(1)의 독출단자(RD1)에서 (DR2)로 출력되면 폰트롬(2)에서는 상기 문자발생램(3)과 동일한 어드레스에 상당하는 제2도의 (e)와 같은 데이터가 데이터단자(D0-D7)를 통해 CPU(1)의 데이터단자(D0-D7)로 입력됨과 더불어 문자발생램(3)의 데이터단자(D0-D7)로 입력된다.
이와 같이 CPU(1)에서 폰트롬(2)의 데이터독출이 완료된 다음 독출된 데이터를 동일 어드레스의 문자발생램(3)에 기록 시키기위해 CPU(1)의 기록단자(WR1)에서 제2도의 (f)와 같은 기록신호가 문자발생램(3)의 기록단자(WR2)에 인가되면 문자발생램(3)에는 폰트롬(2)과 동일한 어드레스에 의해 상기 폰트롬(2)에서 독출된 데이터가 제2도의 (g)와 같은 데이터신호로서 기록되게 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기록된 문자발생램(3)의 데이터는 CRT(도시되지않음)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의해 독출되어 인터페이스를 매개해서 CRT의 화면상에 표시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동작을 제3도에 도시한 플루우차트에 입각해서 설명하면, 먼저 CPU(1)에서 폰트롬(2)의 어드레스를 지정하게 되면 문자발생램(3)의 어드레스도 동시에 지정되게 된다. 그후 CPU(1)에서 폰트롬(2)의 해당 어드레스의 데이터를 독출하고, 계속해서 그 독출데이터를 문자발생램(3)에 기록하여 그 데이터가 완전히 기록되었을 경우에는 상기 동작을 종료하며, 계속 데이터를 전송, 기록하여야 할 경우에는 폰트롬(2)의 어드레스를 증가시킨 다음 독출과 기록동작을 계속 수행하게 된다.
[고안의 효과]
상기한 바와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폰트롬의 어드레스와 문자발생램의 어드레스를 동일하게 설정해줌으로써 종래의 폰트롬과 문자발생램에서 별도의 어드레스를 지정하였을 때보다 CPU의 어드레스용량을 절반으로 축소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데이터의 전송처리를 신속히 수행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CPU(1)의 데이터단자(D0-D7)에는 폰트롬(2)의 데이터단자(D0-D7)와 문자발생램(3)의 데이터단자(D0-D7)가 연결되고, 상기 CPU(1)의 어드레스단자(AD1)에는 동일한 어드레스가 설정되어 인가되는 상기 폰트롬(2)의 어드레스단자(AD2)와 상기 문자발생램(3)의 어드레스단자(AD3)가 연결되며, 상기 CPU(1)의 독출단자(RD1)에는 상기 어드레스에 대응되는 데이터가 독출되는 상기 폰트롬(2)의 독출단자(RD2)가 연결되며, 상기 CPU(1)의 기록단자(WR1)에는 상기 폰트롬(2)에서 독출된 데이터를 상기 어드레스에 대응하는 영역에 기록하기 위한 기록신호가 인가되는 문자발생램(3)의 기록단자(WR2)가 연결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폰트롬과 문자발생램 사이의 데이터 전송회로.
KR2019860021906U 1986-12-30 1986-12-30 폰트롬과 문자발생 램 사이의 데이터 전송회로 KR90000153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21906U KR900001530Y1 (ko) 1986-12-30 1986-12-30 폰트롬과 문자발생 램 사이의 데이터 전송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21906U KR900001530Y1 (ko) 1986-12-30 1986-12-30 폰트롬과 문자발생 램 사이의 데이터 전송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13109U KR880013109U (ko) 1988-08-29
KR900001530Y1 true KR900001530Y1 (ko) 1990-02-28

Family

ID=192586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60021906U KR900001530Y1 (ko) 1986-12-30 1986-12-30 폰트롬과 문자발생 램 사이의 데이터 전송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00001530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13109U (ko) 1988-08-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00001530Y1 (ko) 폰트롬과 문자발생 램 사이의 데이터 전송회로
JPH0353363A (ja) バスアーキテクチャ変換回路
JPH0754544B2 (ja) イメ−ジメモリのアクセス回路
JPS59178487A (ja) デイスプレイ装置
JPS617769A (ja) イメ−ジメモリ書き込み制御方式
KR100259293B1 (ko) 디티브이의 온-스크린 디스플레이 처리장치
JPS58150184A (ja) 記憶装置
JPS60220386A (ja) フレ−ムメモリアクセス方式
KR900005905Y1 (ko) 어트리뷰트 램(Attribute RAM)제어회로
JPS622336A (ja) イメ−ジメモリアクセス方式
JP2002318779A (ja) デバイス装置とそのレジスタのアクセス方法
JPS60245045A (ja) バツフアメモリ回路
JPS61168059A (ja) アドレス変換バツフアのアクセス方式
JPS6040588A (ja) メモリのデ−タ書込み方法
JPH0330899B2 (ko)
JPS5971510A (ja) シ−ケンス制御回路
JPH03152796A (ja) Icメモリ
JPH01321540A (ja) インタフェース回路
JPS62130438A (ja) メモリアクセス方式
JPH04131948A (ja) メモリ制御装置
JPS5819965A (ja) 記録装置
JPH0232431A (ja) 情報処理装置
JPS6325717A (ja) デ−タ転送回路
JPS6029785A (ja) メモリ−装置
JPH0728623A (ja) リングバッファの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0124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