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0731B1 - 화상형성장치 - Google Patents

화상형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0731B1
KR900000731B1 KR1019870000672A KR870000672A KR900000731B1 KR 900000731 B1 KR900000731 B1 KR 900000731B1 KR 1019870000672 A KR1019870000672 A KR 1019870000672A KR 870000672 A KR870000672 A KR 870000672A KR 900000731 B1 KR900000731 B1 KR 9000007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forming
image
forming apparatus
document
recording h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700006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06989A (ko
Inventor
준지 와타나베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도시바
와타리 스기이치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61014650A external-priority patent/JPS62173852A/ja
Priority claimed from JP61014651A external-priority patent/JPS62173853A/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도시바, 와타리 스기이치로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도시바
Publication of KR8700069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69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07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07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LAPPARATUS OR DEVICES FOR MANIFOLDING, DUPLICATING OR PRINTING FOR OFFICE OR OTHER COMMERCIAL PURPOSES; ADDRESSING MACHINES OR LIKE SERIES-PRINTING MACHINES
    • B41L19/00Duplicating or printing apparatus or machines for office or other commercial purposes, of special types or for particular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4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 H04N1/12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using the sheet-feed movement or the medium-advance or the drum-rotation movement as the slow scanning component, e.g. arrangements for the main-scanning
    • H04N1/126Arrangements for the main scanning
    • H04N1/128Arrangements for the main scanning using a scanning head arranged for linear reciprocating mo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35/00Other apparatus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or incorporated in, ink-ribbon mechanisms
    • B41J35/22Mechanisms permitting the selective use of a plurality of ink ribb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4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 H04N1/10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using flat picture-bearing surfaces
    • H04N1/1013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using flat picture-bearing surfaces with sub-scanning by translatory movement of at least a part of the main-scanning components
    • H04N1/1017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using flat picture-bearing surfaces with sub-scanning by translatory movement of at least a part of the main-scanning components the main-scanning components remaining positionally invariant with respect to one another in the sub-scanning dir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4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 H04N1/12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using the sheet-feed movement or the medium-advance or the drum-rotation movement as the slow scanning component, e.g. arrangements for the main-scanning
    • H04N1/121Feeding arrangements
    • H04N1/1215Feeding using one or more cylindrical platens or rollers in the immediate vicinity of the main scanning lin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4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 H04N1/19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using multi-element arrays
    • H04N1/191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using multi-element arrays the array comprising a one-dimensional array, or a combination of one-dimensional arrays, or a substantially one-dimensional array, e.g. an array of staggered elements
    • H04N1/1911Simultaneously or substantially simultaneously scanning picture elements on more than one main scanning line, e.g. scanning in swath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4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 H04N1/19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using multi-element arrays
    • H04N1/191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using multi-element arrays the array comprising a one-dimensional array, or a combination of one-dimensional arrays, or a substantially one-dimensional array, e.g. an array of staggered elements
    • H04N1/192Simultaneously or substantially simultaneously scanning picture elements on one main scanning line
    • H04N1/193Simultaneously or substantially simultaneously scanning picture elements on one main scanning line using electrically scanned linear arrays, e.g. linear CCD arr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Facsimile Scanning Arrangements (AREA)
  • Electronic Switches (AREA)
  • Accessory Devices And Overall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화상형성장치
제1도는 종래장치를 일부절단하여 나타낸 외부사시도.
제2도는 종래의 시리얼프린터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주사프린터의 구성을 일부절단하여 나타낸 측면도.
제4도는 본 말명의 외부사시도.
제5도는 본 발명의 내부구성을 나타낸 계략도.
제6도는 본 발명의 구동기구를 나타낸 평면도.
제7도는 본 발명의 감지부를 나타낸 종단정면도.
제8도는 제7도의 평면도.
제9도는 제7도의 종단측면도.
제10도는 독출폭을 나타낸 평면도.
제11도는 독출순서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제12도는 라인프린터부를 나타낸 사시도.
제13도는 리본카셋트가 프린터부 상부에 취부된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외부사시도.
제14도는 리본카셋트의 내부구성을 나타낸 부분단면도.
제15도는 상판과 걸림기구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후측면도.
제16도는 상판과 걸림기구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제17도는 권취릴과 플래튼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제18도는 리본카셋트의 장착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제19도는 제어회로에서 주요한 소자의 형상을 나타낸 블록 다이아그램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30 : 하우징 2, 31 : 원고대
3, 32 : 위치결정용자 4, 33 : 원고덮개
5 : 시리얼프린터부 6, 35 : 입구
7, 36 : 출구 8, 38 : 제어판넬
9 : 주사부 10, 40 : 감지부
11, 71 : 플래튼 12, 19, 52, 52', 53, 53'59 : 감속기어열
13, 20, 53, 60 : 펄스모우터 14 : 감열프린트헤드
15, 51, 55 : 샤프트 16 : 캐리지
17, 47, 48, 49, 57 : 타이밍벨트 18, 49, 50, 58 : 풀리
21 : 케이블 22 : 연결부재
23 : 용지가이드 24 : 리본카셋트
25 : 열전사잉크리본 33a : 테이퍼부
34 : 라인프린터부 39 : 주사부
41 : 구동기구 42 : 안내레일
43 : 안내샤프트 44 : 제1캐리지
45 : 로울러 46 : 슬라이드
54 : 제2캐리지 56 : 결합오목부
61 : 스폿트광선 62 : 거울
63 : 렌즈 64 : 화상감지부
65 : 나사 66 : 회로기판
67 : 호울더 68 : 창
70 : 선형감열프린터헤드 72, 73 : 기어열
74a, 74b : 베벨기어 75 : 리본카셋트
75a : 열전사잉크리본 76 : 화상형성부
77, 78 : 용지안내부 79 : 용지누름로울러
80 : 용지안내부 81 : 전송통로
82 : 상판 83, 87, 97 : 누름버튼
84 : 추축점 85 : 스톱퍼
91 : 카셋트하우징 92 : 공급릴
93 : 권취릴 94 : 안내허버
95 : 잠금기구 96 : 스프링
98 : 추축점 100, 101, 102, 103 : 기어
110 : 증폭부 111 : CPU
112 : 화상처리부 113 : 프린터제어부
114 : 구동부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주사프린터와 같은 화상형성장치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종래, 주사프린트방식의 화상형성장치는 제1도 및 제2도에 나타낸 것과 같은 구조로 형성되어 있는 바, 제1도는 이러한 주사프린터의 일부절개 사시도를 나타낸 것으로서, 원고(A)가 놓여지는 원고대(투명유리; 2)는 하우징(1)의 상부면에 설치되어 있고, 이 원고대(2)의 한 측면에는 원고(A)의 위치를 결정하는 데 사용되는 위치결정용자(3)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원고대(2)상의 일측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은 축을 중심으로 그 뒷쪽모서리가 회전하여 원고대(2)에 대해 개폐되는 원고덮개(4)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용지(피화상형성부재; P)가 후술될 시리얼프린터부(화상형성수단; 5)로 들어가고 나오는데 필요한 입구(6)와 출구(7)는 하우징(1)의 뒷쪽 상부면에 설치되어 있고, 제어판넬(8)은 하우징(1)의 앞쪽 상부면에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하우징(1)내에는 원고대(2)상에 놓여지는 원고(A)의 화상을 독출하기 위한 주사부(화상독출장치; 9)와 이 주사부(9)에 의해 독출된 정보를 근거로 용지(P)상에 화상을 형성시키기 위한 시리얼프린터부(5)가 설치되어 있는데, 여기서 주사부(9)는 원고대(2) 아래에 위치되게 되며, 시리얼프린터부(5)는 주사부(9)의 뒷쪽에 위치되게 된다.
한편, 상기한 주사부(9)는 원고대(2)상에 배치된 원고(A)의 화상을 촬상하는 감지부(화상촬상장치; 10)와 이 감지부(10)를 전후방향(X1방향)과 좌우방향(Y1방향)으로 왕복이동시키도록 된 구동기구(도시되어 있지 않음)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감지부(10)의 구조는 원고표면이 스폿트광원에 의해 조사된 후 원고로부터 반사된 광이 거울과 렌즈(광학촛점소자)를 통해 전하결합소자(CCD)로 구성된 화상감지부에 결상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한 시리얼프린터(5)는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바, 여기서 원통형 플래튼(platen; 피화상형성부재 지지장치; 11)은 용지(P)를 지지함과 더불어 운송하게 되는 데, 이 플래튼(11)은 펄수모우터(13)에 의해 가동되는 감속기어열(12)을 통해 세트된 피치만큼 계속해서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플래튼(11)과 마주보는 전면에는 화상신호 기록용 헤드로서 감열프린터헤드(14)가 설치되어 있는데, 이 감열프린터헤드(14)는 헤드이동 수단에 의해 플래튼(19)의 축과 평행하게 움직이도록 되어있다.
위와 같은 형태의 시리얼프린터부(5)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샤프트(15)는 플래튼(11)과 평행하게 설치되어 있고, 캐리지(16)는 샤프트(15)에 미끄러지도록 설치되어 있으면서 또한 샤프트(15)의 양끝근처에 설치된 풀리(18)와 풀리(18) 사이에 걸쳐서 움직이는 타이밍벨트(17)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 풀리(18)중 한 개는 펄스모우터(20)의 구동에 의해 감속기어열(19)을 통해 구동되므로 결국 감열프린트헤드(14)를 운송하는 캐리지(16)는 펄스모우터(20)의 회전에 의해 플래튼(11)의 축과 평행한 선을 따라 왕복으로 움직이게 된다.
한편, 상기 감열프린트헤드(14)는 플래튼(11)의 축방향과 직각으로 교차하는, 즉 플래튼(11)의 회전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배열된 발열체(도시되어 있지 않음)을 구비하여 이루어진 것이고, 잘 휘어지는 케이블(21)의 한쪽은 도시되어 있지 않은 호울더에 의해 캐리지(16)에 고정되어 있으며, 케이블(21)의 다른 한쪽에 있는 연결부재(22)는 캐리지(16)가 이동하는 통로의 거의 중앙부에 위치한 연결소자(도시되어 있지 않음)에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감열프린트헤드(14)의 발열체는 잘 휘어지는 케이블(21)의 배선패턴을 통해 헤드구동회로(도시되어 있지 않음)에 연결되어 있으며, 또한, 용지가이드(23)와 용지누름로울러(도시되어 있지 않음)는 플래튼(11)의 외부주변부에 장착되어 있는데, 용지(P)가 감열지인 경우, 화상은 용지(P)에 직접적으로 대향된 감열프린트헤드(14)에 의해 형성되게 된다. 이와 달리 종이(p)가 일반용지인 경우에는 리본카셋트(24)가 제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의 뒷쪽에 장치되게 되며, 화상은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지(P)와 감열프린트헤드(14) 사이에 위치한 열전사잉크리본(25)에 의해 형성되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의 구조에 따르면, 하우징(1)내에 시리얼프린터부(5)가 설치되기 때문에 프린터 속도가 라인프린터인 경우보다 상대적으로 늦어지게 된다.
일반적으로 라인프린터는 시리얼프린터의 시간당 돗트수보다 더욱 많은 돗트수를 프린트할 수 있다. 그러므로, 최근의 시리얼프린터는 공백부분을 뛰어넘는(skip 하는) 프린터동작제어를 통해 고속프린팅을 수행할 수 있도록 개발되고 있으나, 이렇게 개량된 시리얼프린터는 라인프린터와 맷칭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한 종래의 장치에서는 감열프린트헤드(14)가 플래튼(11)의 정면에 위치하기 때문에 리본카셋트(24)가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의 뒷쪽에 장착되거나 혹은 하우징(1) 내부의 일부인 감열프린트헤드(14) 정면, 즉 감열프린트헤드(14)를 움직이기 위한 캐리지(16)의 권취기구와 함께 설치되어야만 하는데, 이러한 2가지 배열중 리본카셋트가 하우징(1)의 뒷쪽에 장착된 전자의 배열에 따르면 리본카셋트가 위치될 때 뒷쪽으로 갈수록 크기가 커지게 되고, 반면에 리본카셋트가 캐리지(16)상에 장착된 후자의 배열에 따르면 하우징(1) 자체의 깊이가 깊어지게 되므로 양자 모두 장치의 소형화에 방해가 된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여 고속화상 형성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구조의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여 앞뒤거리가 짧은 소형화상 형성장치를 제공하고자 함에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 효과를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독출한 원고를 호울딩하기 위한 원고호울딩 장치와, 원고에 빛을 조사하는 스폿트광원과 원고로부터 반사된 광을 수신해서 화상신호를 발생신키는 화상감지부로 구성되어 호울드된 원고의 화상을 독출하기 위한 독출장치, 스폿트광원이 원고에 조사되는 제1방향과, 이 제1방향과 수직인 제2방향으로 상기 독출장치를 움직이기 위한 이송장치, 피화상형성부재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장치, 상기 지지장치와 마주보게 위치하는 선형기록헤드 및, 상기 독출장치에 의해 독출된 화상신호를 근거로 하여 지지장치에 지지된 피화상형성부재 상에다가 재현된 화상을 형성시키기 위한 선형기록헤드를 제어하는 제어장치로 구성되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구현예를 제3도-제19도의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주사프린터의 주요부를 나타낸 것이고, 제4도는 프린터의 일부를 절단한 외부사시도로서, 하우징(30)은 상부벽과 하부벽을 갖춘 평탄한 박스처럼 형성되게 되고, 원고를 놓기 위한 원고대(투명유리; 31)가 하우징(30)의 상부면에 설치되게 되며, 원고대(31)의 1측면에는 원고(A)의 위치를 정하는데 사용되는 위치결정용자(32)가 설치되게 된다.
한편, 원고대(31)상에는 그 뒷쪽모서리가 도시되어 있지 않은 샤프트에 의해 회전하도록 설치되어 원고대(31)에 대해 개폐되는 원고덮개(33)가 장착되어 있다. 또한 용지(피화상형성부재; P)가 후술될 라인프린터부(34)로 들어가고 나오게 하기 위한 입구(35)와 출구(36)는 하우징(30)의 뒷쪽 상부면에 각각 설치되게 되고, 리본카셋트 장착부(37)는 입구(35)의 뒷쪽에 설치되게 되며, 프린터 스위치와 정지스위치, 용지공급스위치 및 복사범위를 지정하는 스위치등으로 구성된 제어판낼(38)은 하우징(30)의 상부면 앞쪽에 설치되게 된다. 또한 삽입되는 용지(P)를 안내하기 위한 테이퍼부(33a)는 라인프린터부(34)의 입구(35)로 원활하게 요지(P)를 안내하게 되는데, 이 테이퍼(33a)의 측면은 용지(P)의 삽입을 위한 횡방향가이드를 형성하게 된다.
또한, 주사부(화상독출장치; 39)는 원고대(31)상에 배치된 원고(A)의 화상을 독출하게 되고, 주사부(39)에 의해 독출된 정보를 근거로 용지(P)상에 화상을 형성시키기 위한 라인프린터부(34)는 하우징(30)내에 설치되게 되는데, 상기 주사부(39)는 원고대(31)아래에 위치하게 되고, 라인프린터부(34)는 주사부(39)의 뒷쪽에 위치하게 된다.
또한,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사부(39)는 원고대(31)상에 놓여진 원고의 화상을 촬상하기 위한 감지부(촬상장치; 40)를 갖추고 있고, 구동기구(41)는 전후방향, 즉 X1방향(제1방향)과 좌우방향, 즉 Y1방향(제2방향)으로 감지부(40)를 왕복구동시키게 된다.
여기서, 상기 주사부(39)의 주변장치는 제5도 및 제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치되어 있는바, 즉 Y1방향으로 뻗어있는 안내레일(42)은 하우징(30)내부에 있는 주사부(39)의 전면측을 따라 설치되게 되고, Y1방향으로 뻗어있는 안내샤프트(43)는 주사부(39)의 후측을 따라 설치되게 된다.
또한 제1캐리지(44)는 안내레일(42)과 안내샤프트(43) 사이의 공간에서 움직인다. 또한, 제6도에서처럼 제1캐리지(44)의 전면후측과 뒷면후측에는 안내레일(42)의 양끝부분에 설치된 한쌍의 풀리(49)사이와 안내샤프트(43)의 양끝부분에 설치된 한쌍의 풀리(50)사이를 각각 지나가는 타이밍벨드(47)(48)가 각각 연결되게 된다. 여기서 한쪽끝의 풀리(49)와 풀리(50)에는 제1펄스모우터(53)의 구동에 의해 감속기어열(52)과 감속기어열(52')을 통해 구동되는 샤프트(51)의 양끝이 장착되게 되고, 이 제1펄스모우터(53)의 구동에 의해 제1캐리지(44)가 Y1방향으로 왕복되게 된다.
또한, 제2캐리지(54)는 제1캐리지(44)상에 지지되게 되는데, 제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캐리지(54)의 우측은 제1캐리지(44)상에 X1방향으로 뻗어져 설치된 샤프터(55)에 미끄러지도록 지지되게 되고, 좌측은 결합오목부(제7도와 제9도에 도시되어 있음; 56)를 통해 제1캐리지(44)의 끝부분에 미끄러지도록 지지되게 되므로 제2캐리지(54)는 X1방향으로 자유로이 이동하게 된다. 또한, 제2캐리지(54)의 우측에는 제1캐리지(44)의 위와 아래에 설치된 풀리(58)와 풀리(58)를 통해 결쳐져 있는 타이밍밸트(57)에 연결되게 되는데, 그중 한 풀리는 제2펄스모우터(60)의 동작에 의해 감속기어열(59)을 통해 구동되게 된다. 그래서 제2펄스모우터(60)의 구동에 의해 제2캐리지(54)가 X1방향으로 왕복이동하게 된다.
한편, 제7도는 감지부(40)의 정면도, 제8도는 그 평면도, 제9도는 그 측면도로서, 각 도면에는 스폿트광원(61)으로 제10도에 도시된 원고면(a)을 조사하게 되고 그 반사광은 거울(62) 및 렌즈(광학결상소자; 63)을 순차적으로 통해 전하결합소자(CCD)로 구성된 화상감지부(64)에 유도결상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스크류(65)를 돌리게 되면 광축을 따라 렌즈(63)가 이동하게 된다. 또한 화상감지부(64)는 잡음효과를 최소화시키기 위해 회로기판(66)상에 직접형성되게 되고, 거울(62)은 호울더(67)에 의해 취부되게 된다.
한편, 상기 거울(62)과 창(68)은 원고표면(a)으로부터 반사되는 빛을 접속시키기 위해 설치되게 된다. 또한 화상감지부(64)는 복수비트(8비트)의 감지소자로 구성되게 되고, 이 화상감지부(64)를 이동시키는 제1캐리지(44)는 제6도에서 처럼 구동기구(41)에 의해 X1방향으로 움직이게 된다. 따라서 원고화상은 한번에 한줄씩 독출되게 되는 바, 즉 제10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상감지부(64)의 비트폭(Q)에 대응되어 1줄씩 원고화상이 독출되게 된다.
따라서, 제1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면좌측의 위치(A)에서 시작한 독출은 위치(B)까지 X1방향으로 진행하며 실시된다. 이 독출이 완료되면 제2캐리지(54)는 리턴되는데, 이 리턴되는 동안 감지부(40)는 오른쪽으로 1독출폭(1)만큼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은 독출을 반복하여 위치(C)까지 독출을 하게 된다.
한편, 라인프린터부(34)는 제3도와 제5도 및 제1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록헤드로서 선형감열프린트헤드(70)와 원통형플래튼(피화상형성부재 지지수단; 71)으로 구성되게 된다.
그리고, 용지(P)는 플래튼(71)에 의해서 지지됨과 더불어 전송되게 되고, 플래튼(71)은 제1펄스모우터(53)에 의해 구동되는 기아열(72)(93)과 1쌍의 베벨기어(74a)(74b)를 통해 한번에 1셋트 피치씩 Y2방향으로 구동되게 되며, 이와 더불어 감속기어열(52)(52')을 통해서는 주사부(39)가 구동되게 된다. 또한 플래튼(71)의 전체폭상에 설치되어 있는 선형감열프린트헤드(기록헤드; 70)는 플래튼(71)의 윗면이나 아랫면에 대향되게 설치되어 진다.
또한, 발열체(도시되어 있지 않음)가 1열로 배열되어 있는 상기 선형감열프린트헤드(70)는 플래튼(71)의 축에 평행하게, 즉 플래튼(71)의 회전방향(Y2)과 접하는 방향으로 위치되게 된다. 따라서 프린팅은 주사부(39)의 독출과 같은 속도로 행하여지게 된다.
또한 플래튼(71)의 주변부에는 제3도에서 처럼 용지입구(35)에서 플래튼(71)과 감열프린트헤드(70)사이의 화상형성부(76)까지 용지(P)를 안내하는 용지안내부(77)(78)가 배치되게 되고, 화상형성부(76)에서 용지이송방향으로 조금 앞에는 플래튼(71)에 용지를 압착시키기 위한 용지 누름로울러(79)가 배치되게 되며, 용지누름로울러(79)에서 용지이송방향으로 조금앞에는 용지(P)를 용지출구(36)로 안내하기 위한 용지안내부(80)가 설치되게 된다.
이와 같은 요소 모두가 용지입구(35)에서 용지출구(36)까지 나아가는 전송통로(81)를 형성시키게 된다. 한편, 하우징(30)의 상면뒷쪽의 오른쪽에 설치된 누름버튼(83)을 누르게 되면 라인프린터부(34)의 윗면을 형성하는 상판(82)끝의 용지입구(35)방향으로 설치된 주축점(84)에 대해 스프링 또는 반발력에 의해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시계방향(화살표방향)으로 회동변위되게 된다. 그 결과 상부용지안내부(78)와 감열프린트헤드(70) 및 용지누름로울러(79)는 상판(82)과 함께 위로 움직이게 되므로 전송통로(81)가 개방되어 용지입구(35)로부터 주입된 용지(P)가 원활하게 화상형성부(76)를 통과하게 된다. 그후 주입된 용지(P)의 선단이 용지누름로울러(79)의 뒷측에 위치한 스토퍼(85)에 접촉되게 되면 그 이상의 용지 삽입이 중단되게 된다.
용지(P)를 제자리에 셋팅시킴에 있어서는 원고덮개(33)에서의 테이퍼부(33a)측면을 이용하여 용지(P)의 횡방향 위치를 조절하게 되므로 그대로 용지(P)를 스토퍼(85)에 충돌될 때 까지 삽입시키면 플래튼(71)에 대해 간단하게 평행셋팅시킬 수가 있다. 만약 용지(P)가 감열지인 경우에는 리본카셋트(75)의 정착없이 직접 용지면(P)상에 감열프린트헤드(70)에 의한 화상이 형성되게 된다.
만약, 용지(P)가 보통용지인 경우에는 화상형성을 위해 제18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본카셋트(75)가 라인프린터(34)의 상부에 설치되어야 되는 바, 즉 열전사잉크리본(75a)이 용지(P)와 감열프린트헤드(70)사이에 설치되어야 된다.
제1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본카셋트(75)는 카셋트 하우징(91)내에 공급릴(92)과 권취릴(93) 및 안내허브(94)가 내장된 구조로 되어 있는데, 상기 안내 허브(94)는 열전사리본(75a)의 중앙부가 카셋트하우징(91)의 저면측으로 향하도록 안내한다.
한편, 이러한 열전사잉크리본(75a)의 폭은 대략 감열프린트헤드(70)의 길이와 동일하다. 그리고, 안내허브(94)에는 상판(82)을 안내하는 안내구(94a)가 설치되어 있다.
제15도와 제1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30)의 상부윗면좌단에 설치된 누름버튼(97)을 누르면 잠금기구(95)에 의해 감긴 것이 해제됨과 더불어 그위 상판(82)은 스프링(96)의 탄발력에 의해 주축점(98)을 축으로 해서 열리게 된다. 그 결과 상부용지안내부(78)와 감열프린트헤드(70) 및 용지누름로울러(79)는 상판(82)과 더불어 윗쪽으로 움직이게 된다. 이렇게 될 때, 리본카셋트(75)의 안내허브(94)에 설치된 안내구(94a)는 제1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판(82)에 따라 눌려져서 걸리게 되고, 더욱 아래로 누르게 되면 제18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본카셋트(75)는 라인프린터부(43)의 상부에 장착되게 된다.
제1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권취릴(93)의 축상에 지지된 기어(100)는 기어(101)(102)를 통해 플래튼(71)의 축상에 지지된 기어(103)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플래튼(71)의 구동에 의해서 권취릴(93)이 회전하여 열전사잉크리본(75a)를 이동시키게 된다.
다음 제19도에 의거하여 제어회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화상감지부(64)로부터 출력된 화상정보는 증폭기(110)를 통해 CPU(111)로 공급되게 되는데, 이 CPU(111)는 장치 전체를 제어함과 더불어 화상감지부(64)로부터 공급된 화상정보를 화상처리부(112)내에 기억시키게 된다. 여기서 화상처리부(112)는 화상감지부(64)에서 처리된 여러라인의 화상정보를 일시기억하는 버퍼메모리로 되어 있는 바, 화상정보가 이 화상처리부(112)에 기억되었을 때, CPU(111)는 1라인씩 독출하여 프린트제어부(113)로 출력하게 된다.
이때, 프린트제어부(113)는 CPU(111)에서 출력된 각 라인의 신호에 따라 감열프린트헤드(70)를 구동시킴과 더불어 감지부(Y1방향이동;40)를 이동시키는 펄스모우터(53)를 1라인 구동시키게 된다. 또한, CPU(111)는 펄스모우터(60)를 구동시키는 구동부(114)도 제어하게 된다. 상기 각 회로부는 전지 혹은 밧데리등으로 구성된 전원(도시되어 있지 않음)에 의해 구동시킬 수도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조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용지(P)가 감열지인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면, 조작자가 원고대(31)상에 원고(A)를 위치시킨 다음 원고덮개(33)를 덮고, 누름버튼(83)을 누르게 되면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판(82)의 한쪽이 상승하게 됨과 더불어 감열프린트헤드(70)에 따라 상측의 용지안내부(78) 및 용지누름로울러(79)가 윗방향으로 변위되게 된다. 계속해서 조작자가 원고덮개(33)의 테이퍼부(33a)를 통해 용지(P)를 스톱퍼(85)에 접촉될 때까지 삽입시킨다.
그후, 조작자가 상판(82)을 아래로 누르게 되면, 제어판넬(38)의 프린트스위치(도시되어 있지 않음)가 선택되게 된다. 따라서 CPU(111)는 펄스모우터(60)를 정방향으로 구동시켜 감지부(40)를 A점(제11도에 참조)에서 X1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그러면 스폿트광원(61)으로 부터의 광이 원고(A)에 조사되게 되고, 원고(A)로부터 반사된 광이 거울(62)과 렌즈(63)를 순차적으로 통해 화상감지부(64)상에 조사되게 된다. 그 결과 화상감지부(64)내에 원고(A)에 대응하는 화상이 결상되게 된다. 이에 따라 화상감지부(64)는 상기 화상을 전기신호로 변환시켜 비트단위의 전기신호로 증폭기(110)를 통해 CPU(111)로 출력시키게 된다. 그후 상기 증폭기(110)에 의해서 증폭된 신호는 CPU(111)에 의해서 화상처리부(112)에 축적되게 된다.
한편, 제11도에서의 B점까지의 조사가 이루어지게 되면, CPU(111)가 펄스모우터(60)를 정지시키게 되므로 감지부(40)는 정지되게 된다. 그후 8라인분의 화상정보가 화상처리부(112)내에 기억되게 되면, CPU(111)는 상기 화상정보를 1라인씩 순차적으로 독출하여 프린트제어부(113)로 출력시키게 된다. 그러면 프린트제어부(113)에서 공급된 각 라인의 신호에 의해 감열프린트헤드(70)가 구동되게 됨과 더불어 펄스모우터(53)가 구동되게 되는데, 이 펄스모우터(53)의 구동에 의해 플래튼(71)이 1라인에 상응하는 양만큼 Y2방향으로 회전하게 됨과 더불어 감지부(40)가 1라인분만큼 Y1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래서 8라인분의 정보가 완전히 전사되었을 때, 화상감지부(40)는 다시 A지점에서부터 X1방향으로 이동하여 원고를 독출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전사가 감열프린트헤드(70)의 구동과 같게 실행되게 되므로 용지(P)상에 원고(A)의 화상형태가 형성되게 된다.
다음, 용지(P)가 보통용지의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조작자가 누름버튼(97)을 누르게 되면, 잠금기구(95)에 의해 잠금상태가 풀리게되어 제1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판(82)이 열리게 된다. 그 결과 감열프린트헤드(70)와 상부 용지안내부(78) 및 용지누름로울러(79)가 상판(82)과 함께 윗쪽으로 움직이게 된다. 계속해서 조작자는 제1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판(82)에 따라 리본카셋트(75)를 끼워 리본카셋트(75)의 안내허버(94)내에 설치된 안내구(94a)를 상판(82)에 걸리게 하고, 계속해서 리본카셋트(75)를 아래로 누르면 잠금기구(95)에 의해 리본카셋트(75)가 상판(82)과 더불어 제위치에 장착되어지게 된다. 그 결과 리본카셋트(75)는 라인프린터부(34)의 상부에 장착되게 되는 바, 이 때 감열프린트헤드(70)의 구동길이는 제17도 및 제18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전사잉크리본(75a)의 폭과 같게 된다.
이와 같이 리본카셋트(75)를 장착시킨 다음 조작자가 원고대(31)상에 원고(A)를 배치시켜 원고덮개(33)를 덮고, 누름버튼(83)을 누르게 되면, 상판(82)의 한쪽이 리본카셋트(75)와 함께 상승하게 됨과 더불어 감열프린트헤드(70)와 상측의 용지안내부(78) 및 용지누름로울러(79)가 윗방향으로 변위되게 된다. 그 다음 조작자가 원고덮개(33)의 테이퍼부(33a)를 통해 용지(P)를 스톱퍼(85)에 접촉될 때까지 삽입시킨다.
그 후, 조작자가 상판[82; 혹은 리본카셋트(75)]을 아래로 누르게 되면, 제어판낼(38)의 프린트스위치(도시되어 있지 않음)가 동작하게 된다 그후 동작은 감열지상에 화상정보를 전사시킬 때와 유사하게 원고(A)에 상응되는 화상이 처리된 후 열전사잉크리본(75a)을 통해 감열프리헤드(70)에 상응하는 화상을 용지(P)상에 전사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원고의 사본복사는 선형감열프린트헤드를 플래튼의 상측에 대향하여 설치하고, 스폿트광원으로 원고대상에 배치된 원고를 조사하면서 원고의 반사광을 수광하는 감지부를 전후방향(X1방향)과 좌우방향(Y1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되면, 화상이 독출됨과 더불어 그 독출정보에 따라 감열프린트헤드가 구동되어 원고의 복사화상을 용지상에 형성시키게 된다.
이러한 본 장치는 감지부의 좌우(Y1방향)이동과 플래튼의 회전이 한 개의 모우터에 의해 실행되기 때문에 부품의 수를 감소시킬 수 있고, 또한 1개 이상의 선형감열프린트헤드와 1라인의 독출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버퍼메모리를 구비하고 있으면서 1라인의 데이터는 독출데이터에 상응하는 선형감열프린트헤드에 의해 전사가 이루어질 동안 감지부에서 독출되게 되어 있으며, 감지부가 Y1방향으로 1라인에 상응하게 움직이도록 되어 있으므로 제어기능을 간단하게 설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리본카셋트내의 권취릴이 플래튼회전에 의해 구동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리본카셋트에다 전지로 구동되는 구동수단을 설치하고, 이 구동수단으로 권취릴을 회전시키도록 하여도 되고, 플래튼구동용의 모우터 회전을 기어등으로 전달하여 권취릴을 회전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리본카셋트의 열전사리본은 Y(노랑), M(빨강), C(청색) 또는 Y(노랑), M(빨강), C(청색), B(검정)의 잉크를 라인방향으로 차례로 배열시킬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컬러잉크전사가 행하여진다.

Claims (15)

  1. 판독할 원고를 호울딩하기 위한 원고 호울딩장치와, 상기 원고 호울딩 장치에 호울드 된 원고의 화상을 독출하기 위한 독출수단을 포함하고 있는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원고를 조사하는 스폿트광원(61)과 원고로부터 반사된 광을 받아 화상신호를 발생시키고 화상감지부(64)를 포함하는 독출장치와, 상기 원고를 비춰주는 스폿트광원(61)의 제1방향과 이 제1방향에 수직인 제2방향으로 둑출장치를 이동시켜 주기위한 이송장치(41, 48, 50, 53), 피화상형성부재(P)를 지지해 주기 위한 지지장치(71), 상기 지지장치(71)에 마주보도록 설치된 선형기록헤드(70), 상기 독출장치에 의해 발생된 화상신호를 근거로 상기 지지장치(71)상에 지지된 피화상형성부재(P)상에다 재현된 화상을 형성시켜 주기 위해 상기 선형기록헤드(7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장치(111, 112, 113)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선형기록헤드가 지지장치(71)의 상부에 마주보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선형기록헤드가 감열프린트헤드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지지장치가 원통형 플래튼(71)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구동장치가 제1방향으로로 독출장치를 구동시키기 위한 제1구동장치(41)와 제2방향으로 독출장치를 구동시키기 위한 제2구동장치(48, 50, 53)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제2구동장치(48, 50, 53)가 지지장치(71)상에 지지된 피화상형성부재(P)를 이송시키기 위해 상기 지지장치(71)를 구동시키는 장치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제어장치가 제1방향으로 원고의 화상을 주사하는 독출수단에 의해 얻어진 화상정보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장치(112)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제어장치가 재현된 화상이 형성될 동안 이와 동일하게 독출장치를 제2방향으로 1라인식 이동시키는 이동수단(48, 50, 53)을 제어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9. 상부벽과 하부벽을 갖는 하우징과, 원고를 호울딩하기 위해 상기 하부벽의 바깥면상에 설치된 원고대 및, 원고대상에 호울드된 원고의 화상을 독출하기 위한 독출수단을 포함하고 있는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원고를 조사하기 위한 스폿트광원(61)과 원고로부터 반사된 광을 수신하여 화상신호를 형성시키는 화상감지부(64)로 구성된 독출장치와, 원고를 조사하는 스폿트광원(61)의 제1방향과 이 제1방향에 교차하는 제2방향으로 독출장치를 이동시키기 위한 이송장치(41, 48, 50, 53), 피화상형성부재(P)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장치(71), 상기 지지장치(71)와 마주보게 위치한 선형기록헤드(70), 화상형성부재(75a)를 내장하고 있는 카셋트(75), 하우징(30)의 상부벽면에다 상기 카셋트(75)를 위치시키되 피화상형성부재(P)와 선형기록헤드(70)의 길이방향 사이에 화상형성부재(75a)가 끼워지도록 하면서 상기 카셋트(75)가 선형기록 헤드상에 배치되도록 장착하기 위한 장착장치(82, 98) 및, 상기 독출장치에 의해 발생된 화상신호를 근거로 상기 지지장치(71)상에 지지된 피화상형성부재(P)에 재현된 화상을 형성시키기 위해 상기 선형기록헤드(70)를 제어하는 제어장치(111, 112, 113)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장착장치가 하우징(30) 상부벽쪽에 회동적으로 설치된 상판(82)을 포함하는 것으로, 카셋트(75)에 설치된 안내허브(94)는 상기 상판(82)에 미끄러져 맞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선형기록헤드(70)가 상판(82)상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2. 제9항에 있어서, 선형기록헤드(70)가 지지수단(71)의 상부측과 마주보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3. 제9항에 있어서, 선형기록헤드(70)가 감열프린트헤드(70)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4. 제9항에 있어서, 지지장치가 원통형플래튼(71)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주축점(98)이 세로방향으로 원통형 플래튼(71)의 한쪽끝 부근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KR1019870000672A 1986-01-28 1987-01-28 화상형성장치 KR90000073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1014650A JPS62173852A (ja) 1986-01-28 1986-01-28 画像形成装置
JP61-14650/14651 1986-01-28
JP61014651A JPS62173853A (ja) 1986-01-28 1986-01-28 画像形成装置
JP14650 1986-01-28
JP14651 1986-01-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6989A KR870006989A (ko) 1987-08-14
KR900000731B1 true KR900000731B1 (ko) 1990-02-10

Family

ID=263506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00672A KR900000731B1 (ko) 1986-01-28 1987-01-28 화상형성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4779141A (ko)
KR (1) KR90000073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46954B2 (ja) * 1988-11-12 1998-05-06 株式会社リコー 複写機
JPH02198269A (ja) * 1989-01-27 1990-08-06 Toshiba Corp 画像形成装置
US5060076A (en) * 1990-02-08 1991-10-22 Smith Corona Corporation Thermal paper cartridge for facsimile machine
US5057930A (en) * 1990-02-08 1991-10-15 Smith Corona Corporation Plain paper cartridge for facsimile machine
US5089897A (en) * 1990-02-08 1992-02-18 Smith Corona Corporation Facsimile paper supply cartridge system
KR910019383A (ko) * 1990-04-12 1991-11-30 고바야시 쥰 원고판독장치
JP3077098B2 (ja) * 1993-09-17 2000-08-14 富士通株式会社 イメージスキャナ装置
JPH09163136A (ja) * 1995-12-07 1997-06-20 Canon Inc スキャナ装置
US5940116A (en) * 1996-02-13 1999-08-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Device for connecting an option tray of a laser beam printer simultaneously with the placement thereof
US6178013B1 (en) * 1998-08-17 2001-01-23 Compeye Corp. Image pick-up module transmission arrangement for a scanner
DE19945875A1 (de) * 1999-09-24 2001-03-29 Heidelberger Druckmasch Ag Vorrichtung zur Vorlagenabtastung
TW200626813A (en) * 2005-01-20 2006-08-01 Benq Corp Gear trains module and electronic device utilizing the same
JP4819536B2 (ja) * 2006-03-15 2011-11-24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セットおよびプリンタ
JP6311881B2 (ja) * 2014-08-29 2018-04-18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読取装置及び該画像読取装置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US11060590B2 (en) * 2016-09-12 2021-07-13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Scanning device with belt tensioning system mounted on a plate of a scan bar having at least pulley and spring coupled to first and second planars of the plat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146000B (en) * 1983-07-23 1988-10-12 Ricoh Kk Printer and cassette
JPS6083933A (ja) * 1983-10-14 1985-05-13 Toshiba Corp 画像形成装置
JPH0661994B2 (ja) * 1984-05-29 1994-08-17 東京電気株式会社 サ−マルプリンタ
JPH0630922B2 (ja) * 1984-07-10 1994-04-27 株式会社東芝 画像形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4779141A (en) 1988-10-18
KR870006989A (ko) 1987-08-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00000731B1 (ko) 화상형성장치
US4823195A (en) Recording apparatus
US4831457A (en) Image forming apparatus
US5754314A (en) Image input system and method for reading images from an original document
US4788587A (en) Document reading apparatus utilizing printer mechanism with a color filter tape
US4777533A (en) Image forming apparatus
KR100196593B1 (ko) 서류 및 복사지 레지스트레이션 수단을 구비한 스캐너
US4860029A (en) Image information apparatus
US5682253A (en) Dot printer with recording head and scanner mounted on same carriage and operation controlled based on marker identification on manuscript
JPS6016763A (ja) 印字装置
JPH0789640B2 (ja) 情報処理装置
JPS62173853A (ja) 画像形成装置
JPS62174167A (ja) 画像形成装置
JPS62287768A (ja) 画像形成装置
JP2547397B2 (ja) 情報処理装置
JPS62200861A (ja) 画像形成装置
JPS62220056A (ja) 画像形成装置
JPS62173852A (ja) 画像形成装置
JP2516910B2 (ja) 情報処理装置
KR0185045B1 (ko) 잉크젯 인쇄 수단을 이용하여 셔틀 스캐닝을 수행하는 복합기
JPH0685550B2 (ja) 情報処理装置
JPH0515341B2 (ko)
JP4120250B2 (ja) 原稿読み取り装置
JPS613772A (ja) 記録装置
JPS6282755A (ja) 印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5020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