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0383B1 - 천연석 모양을 형성하는 피복 조성물 - Google Patents

천연석 모양을 형성하는 피복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0383B1
KR900000383B1 KR8203645A KR820003645A KR900000383B1 KR 900000383 B1 KR900000383 B1 KR 900000383B1 KR 8203645 A KR8203645 A KR 8203645A KR 820003645 A KR820003645 A KR 820003645A KR 900000383 B1 KR900000383 B1 KR 9000003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atural stone
shape
coating composition
natural
co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82036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40001207A (ko
Inventor
겡이찌 다쯔노
Original Assignee
마스모또 쯔네모리
메이껭가가꾸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스모또 쯔네모리, 메이껭가가꾸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마스모또 쯔네모리
Publication of KR8400012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12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03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0383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28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for wrinkle, crackle, orange-peel, or similar decorative effec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천연석 모양을 형성하는 피복 조성물
본 발명은 건조물 또는 가구, 장식물 등의 바탕면에 화강암, 대리석, 사암등의 천연석 모양을 형성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신규의 피복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건조물이나 가구, 장식물 등의 표면장식재로서 천연석이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천연물 특유의 깊이있는 온유한 색조가 널리 선호되고 있다. 그러나, 천연석에는 고가인 점, 가공하기 힘든점 등의 결점이 있으므로 그 적용은 한정되어 있다.
이와 같은 천연석의 결점을 제거하고 염가이고 간단한 시공법에 의하여 바탕면을 은폐 보호하고 미감을 부여할 수 있는 결합조재와 착색제로써 된 피복 조성물이 여러가지 제안되어 실용되고 있다. 이들 피복 조성물은 블로윙 또는 흙손도장 또는 부착 등의 시공법에 의하여 리신, 타일(크레이터상, 요철상), 스타코, 로울러 모양 등의 입체적인 결모양(texture pattern)을 형성할 수가 있다. 이와 같은 피복 조성물에는 착색제로서 유기 또는 무기 안료가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안료를 사용할때는 얻어지는 피복층의 색채가 단조롭고 평면적으로 되어 버린다. 이 결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다른색의 천연 또는 인공의 착색사를 사용한 것이 있는데 이로써 어느정도 복합적인 색채가 얻어지게 되었지만 천연석이 갖는 깊이 있는 입체감과는 아주 먼 평면적인 색조의 것 밖에 얻어지지 않는다.
천연석 특유의 깊이 있는 모양은 천연석을 구성하는 조암 물질이 다른 결정형, 광학적 성질, 색조 등을 갖고 있으며 여러가지의 비율로 혼재하여 있음으로써 나타나 있다. 즉, 천연석 표면에 조사된 빛에는 그 부위에 의하여 표면에서 반사하는 것이나 또는 내부에 침입하여 조암 물질의 경면에서 반사하여 굴절하여 표면 반사광과 겹치는 것 등이 있으며 이들이 조합되어서 다중적으로 온유한 깊이 있는 색채 감각을 보는 사람으로 하여금 주는 것이다.
이러한 천연석에 있어서의 지식에 의하여 본 발명자는 천연석의 색조나 모양을 피복층에 부여하도록 여러가지의 재료를 배합하여 검토를 거듭한 결과 적당한 투명감과 발색성, 은폐성을 갖고 있으며 착색재와 잘 접합하는 특징의 물성을 갖는 골재를 적당량 배합한 피복 조성물이 천연석에 극히 가까운 모양과 깊이 있는 색조를 갖는 피복층을 부여하는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즉, 본 발명은 착색재, 건조시에 거의 무색 투명한 피막을 형성하는 결합재 및 다음의 물성을 갖는 골재(이하, 특정의 골재로 한다)로써된 천연석 모양을 형성하는 피복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특정의 골재는 입경 0.1∼5.0mm, 광투과율 5∼50%의 물성을 갖고 있음이 필요하다. 단, 여기에 나타낸 값은 다음의 측정방법에 의하여 얻어진 측정값으로서 다른 측정 방법 또는 측정기구에 의하여 측정할때는 약간 다른 값이 얻어질 것이다.
광투과율은 입경 0.5∼1.0mm의 입자를 투명 유리제 셀에 넣고 5mm의 두께로 만든 것을 시료로서 사용하여 JIS K0101에 규정된 탁도계에 의하여 측정하여 얻어지는 값이다.
광투과율이 5% 미만의 것은 투명감이 안나고 평면적인 색조로 되며 50%를 넘는 것은 은폐성이 너무 낮아서 모양이 불선명하게 되어 모두 바람직하지 못하다. 입경은 0.1mm미만이되면 골재의 투명성을 잃게되며 5.0mm를 넘는 것은 착색재의 크기와 차가 커져서 일체감이 잃어지므로 모두 피해야 한다. 특히 바람직한 골재는 광투과율 8∼20%의 것이다. 이와 같은 골재로서는 예를 들면 장석, 규사, 규석, 한수석, 유리비드 등이 있다.
특정의 골재의 배합량은 조성물의 전 중량에 대하여 5∼60%(중량%, 이하 같다), 특히 10∼50%가 적당하다. 5%보다 적을때는 깊이 있는 색조가 얻어지지 않으며 60%보다 많을때는 착색력이 없는 불선명한 것만이 얻어지며 그리고 시공 작업성이 악화되므로 모두 바람직하지 못하다. 이 특정의 골재를 배합함으로써 비로서 천연석 특유의 깊이 있는 색조가 얻어지므로 골재의 종류나 배합량을 목적으로 하는 천연석 모양에 맞춰서 충분히 음미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에 사용하는 결합재는 건조시에 거의 무색 투명한 피막을 형성하는 것이라면 이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는 어떠한 것이라도 무방하다. 단, 야외에서 사용할때에는 내수성 및 내후성에 뛰어난 것을 사용하지 않으면 안된다. 이에 관한 구체예로서는 예를 들면 아크릴레이트 스티렌 공중합체, 아크릴산 에스테르 공중합체,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 초산비닐-베오바 공중합체 및 이들의 3원 공중합체 등의 합성수지 용액 또는 유화액, 예를 들면 에폭시수지, 우레탄수지, 아크릴수지 등의 반응 경화형 합성수지 용액 또는 유화액, 예를 들면 물 유리, 콜로이드 실리카, 리튬 실리케이트 등의 무기 고분자 화합물 용액 등을 들 수 있다.
결합재는 피복 조성물 전 중량의 고형분으로서 약 5∼20%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5% 미만에서는 형성되는 피복층에 균열이 생기기 쉬우며 20%를 넘을때는 건조에 시간이 걸리며 또 비용이 많이 드므로 모두 바람직하지 못하다.
착색재로서는 예를 들면 사문암, 형석 등의 천역 유색사나 예를 들면 도자기 쇄립, 소성 규사 등의 인공 착색사 등 통상 사용되고 있는 것이면 된다. 단, 안료는 천연석의 조암 물질에 비하면 대단한 미립자이므로 은폐력이 크며 따라서 조광석이 피복층 내부에 침입하기 어렵게 되어 대부분의 빛이 표면에서 반사해 버리므로 보는자로 하여금 평면적인 색조 밖에 주지 못하므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착색재의 입경은 형성하고자 하는 천연석 모양에 따라서 선정되는데 통상 약 0.05∼8.0mm가 바람직하다. 너무 미세하게되면 안료와 같은 형태의 결함이 생기며 또 너무 커지면 시공이 곤란하게 됨과 동시에 형성된 피복층이 부자연하게 되므로 모두 바람직하지 못하다.
착색재의 배합량은 약 15∼55%가 바람직하며 15% 미만일때는 맑은 색이 나오지 않으며 55%를 넘을 때는 형성되는 피복층의 착색 부분이 점하는 비율이 너무 커져서 평면적인 색조로 되므로 모두 바람직하지 못하다.
첨가재로서는 예를 들면 증점제, 저온 안정제, 조막조제, 흐름방지제, 소포제 등을 들 수 있으며 5%까지의 범위 내에서 사용된다. 또한 본 발명의 피복 조성물에 시공시에 적당한 유동성을 주기 위하여 물, 용제 등의 매체를 가하여도 무방하다.
본 발명의 피복 조성물의 배합 비율은 조성물 전중량에 대하여 결합재(고형분으로) 약 5∼20%, 착색재 약 15∼55% 및 특정의 골재 5∼60%가 바람직하다. 첨가재를 약 5%이하 배합하여도 무방하다.
본 발명의 피복 조성물을 사용할때는 결합재나 착색재, 특정의 골재의 종류나 양 등을 적절히 선택함으로써 소망의 천연석 모양을 창출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피복조성물을 사용하여 형성할 수 있는 천연석 모양의 대표예로서는 예를 들면 어영석 모양(御影石模樣), 대리석모양, 사암모양 등을 들 수 있는데 이들에만 한정되지는 않는다.
바탕면에 본 발명의 피복 조성물을 시공하는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블로윙법이나 흙손 도장법이 적당하다. 양 시공법이 모두 일방적으로 (1) 미리 소정의 색조에 조합한 피복 조성물을 부착시키고, (2) 그 위에 색조가 다른 피복 조성물을 반점상으로 겹치는 공정으로써 되어 있다. 단, 반점 색이 없는 종류의 것에는 전기(2)의 공정이 생략 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 광택을 낼때 투명한 합성수지 용액을 도포 또는 분무한다.
다음에 실시예 및 시공예를 들어서 본 발명의 피복 조성물을 설명하는데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실시예에만 한정되지는 않는다.
[실시예 1]
[어영석 모양]
Figure kpo00001
상기의 성분을 충분히 혼련하여 본 발명의 피복 조성물을 2색 얻었다.
그리고, 사용한 특정의 골재(규사)는 입경이 0.4∼1.4mm, 광투과율은 10%의 것이었다. 광투과율의 측정은 전기의 방법에 따라서 실시하였다.
[실시예 2]
[대리석 모양]
Figure kpo00002
상기의 성분을 충분히 혼련하여 본 발명의 피복 조성물을 2색 얻었다.
그리고, 사용한 특정의 골재(한수석)는 입경이 0.2∼1.0mm, 광투과율은 13%의 것이었다. 광투과율의 측정은 실시예 1과 같이 하였다.
[실시예 3]
특정의 골재(한수석)를 13% 사용한 이외는 실시예 1과 같이하여 본 발명의 피복 조성물을 얻었다.
[시공예 1]
(두들겨서 완성한 어영석 모양)
실시예 1에서 얻은 조성물(1)을 몰탈 인두로 누르고 하지 처리한 콘크리트 블록담의 바탕면에 2∼3의mm 두께로 균일하게 블로윙하여 바탕면을 은폐하였다. 이의 건조하기 전에 실시예 1에서 얻은 조성물(2)을 반점상으로 블로윙하였다. 이어서, 전기 조성물(1)을 반점상으로 블로윙하였다. 블로윙된 피복 조성물의 표면이 건조하기 전에 물에 적신 털의 연한 로울러(우 로울러의 중털)로 피복 조성물의 표면을 가볍게 눌렀다. 건조후 투명한 피막을 형성하는 아크릴 수지 용액을 도포하고 두들겨서 완성하는 어영석 모양의 피복층을 완성하였다.
형성된 피복층은 천연의 어영석을 두들겨서 완성한 것과 같은 깊이 있는 색조를 갖고 있었다. 그리고, 특정의 골재의 함유율은 약 18%(계산치)이었다.
[시공예 2]
(연마하여 완성한 대리석 모양)
실시예 2에서 얻어진 조성물(3)을 콘크리트·몰탈의 바탕면에 2∼3mm의 두께로 균일하게 블로윙하여 바탕면을 은폐하였다. 이것이 건조하기 전에 실시예 2에서 얻어진 조성물(4)을 반점상으로 블로윙하고 이어서 표면이 건조하기 전에 스테인레스제 또는 플라스틱제의 인두로 표면을 눌러서 표면을 평활하게 하였다. 건조 후 투명한 피막을 형성하는 우레탄수지 용액을 도포하고 표면에 광택을 부여하여 연마하여 완성한 대리석 모양의 피복층을 완성하였다.
형성된 피복층은 천연의 대리석을 연마하여 완성한 것과 같은 깊이 있는 색조를 갖고 있었다.
그리고, 인두로 표면을 누를때에 표면의 5∼50%를 벌레먹은 것같은 골짜기부로서 남게하면 트라바틴 모양으로 된다.
또, 블로윙법 대신에 흙손도장법을 사용하여도 같은 연마하여 완성한 대리석 모양을 형성할 수가 있다. 그리고, 특정 골재의 함유율은 25%(계산치)이었다.
[시공계 3]
실시예 3에서 얻어진 피복 조성물을 사용하여 시공예 1과 같이하여 두들겨서 완성한 어영석 모양의 피복층을 바탕면에 형성하였다.
얻어진 피복층은 천연의 어영석과 비슷한 색조를 갖고 있었다.
[비교예 1∼2]
특정의 골재(규사) 대신에 종래품의 규사와 한수석을 실시예 1의 조성물(1)에 각각 13%, 조성물(2)에 각각 47% 사용한 이외는 실시예1과 같이 혼련하여 비교용의 피복 조성물을 얻었다.
[비교예 3∼4]
실시예 1의 조성물(1)에 특정의 골재(규사)를 3% 및 62% 사용한 이외는 실시예 1과 같이하여 혼련하여 각각 비교용의 피복 조성물을 얻었다.
[비교시공예 1∼2]
비교예 1∼2에서 얻어진 피복 조성물을 사용하고 시공예 1과 같이하여 시공하여 각각 두들겨서 완성한 어영석 모양의 피복층을 형성하였다.
그 결과, 종래품의 규사를 사용한 것은 그 자체가 꽤 많이 착색되어 있으므로(광투과율 3.67%), 얻어진 피복층의 발색성이 불량하였다. 종래품의 한수석을 사용한 것은 어영석 모양이 불선명하게 되는 경향이 있었다.
[비교시공에 3∼4]
비교예 3∼4에서 얻어진 피복 조성물을 사용하고 시공예 1과 같이하여 시공하여 각각 두들겨서 완성한 어영석 모양의 피복층을 형성하였다.
비교예 3의 피복 조성물을 사용한 것은 평면적인 색채의 피복층밖에 얻어지지 않았다. 비교예 4의 피복 조성물을 사용한 것은 시공시에 골재가 흩어지기 쉬우므로 시공하기 힘들며 또 얻어진 피복층의 모양은 불선명한 것이었다.
[시험예 1]
(감능검사)
시공예 1, 3 및 비교 시공예 1∼4에서 각각 얻어진 피복층에 대하여 그들의 색조, 표면 상태 등을 육안에 의하여 관찰하고 천연의 화강암과 비교하여 각각의 유사도를 평가하였다.
평가는 천연석을 5로하여 천연석과 비교하여 다음의 기준에 의하여 행하였다.
4 : 대단히 유사하다.
3 : 약간 유사하다.
2 : 그다지 유사하지 않다.
1 : 그 차가 명백하다.
결과를 제1표에 나타낸다.
그리고, 유사도의 값은 10인의 평가의 평균이다.
[표1]
Figure kpo00003

Claims (1)

  1. 사문암, 형석등의 천연 유색사 및 도자기 쇄립, 소성규사등의 인공 착색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착색재 15∼55중량%, 아크릴레이트-스티렌 공중합체, 아크릴산 에스테르 공중합체,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 초산비닐-베오바 공중합체 및 이들의 3원 공중합체등의 합성수지 용액 또는 유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결합재 5∼20중량% 및 장석, 규사, 규석, 한수석, 유리 비드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5∼50%의 광투과율(JIS K 0101에 규정된 탁도계에 의한 입경 0.5∼1.0mm의 입자로써 된 두께 5mm의 시료의 측정치)을 갖는 골재 5∼60중량%로 이루어진 천연석 모양을 형성하는 피복 조성물.
KR8203645A 1981-12-05 1982-08-13 천연석 모양을 형성하는 피복 조성물 KR90000038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6196016A JPS5896664A (ja) 1981-12-05 1981-12-05 天然石模様を形成する被覆組成物
JP196016 1998-07-0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1207A KR840001207A (ko) 1984-03-28
KR900000383B1 true KR900000383B1 (ko) 1990-01-25

Family

ID=163508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8203645A KR900000383B1 (ko) 1981-12-05 1982-08-13 천연석 모양을 형성하는 피복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S5896664A (ko)
KR (1) KR90000038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47879B2 (ja) * 1983-05-11 1995-05-24 株式会社ハマキャスト 混合材の塗布方法
JP2572474B2 (ja) * 1990-03-27 1997-01-16 真和建装株式会社 建築用外装板
KR100295017B1 (ko) * 2000-01-13 2001-07-12 손병문, 김재한 콘크리트 면의 마감시공 방법
KR20020035229A (ko) * 2000-11-04 2002-05-11 김정상 잔대 추출물과 그를 함유한 혈당강하용 조성물
FR2858978B1 (fr) * 2003-08-22 2005-11-11 Tf Chimie Composition pour revetement de protection et de decoration des sols.
CN100425657C (zh) * 2004-10-27 2008-10-15 Sk化研株式会社 装饰性涂装材料以及装饰性建材
CN110563386B (zh) * 2019-08-28 2020-11-03 北京莱恩斯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批刮煅烧砂真石漆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1138115A (zh) * 2019-12-31 2020-05-12 湖南漆雕氏制造股份有限公司 一种保温隔热型仿石涂料基料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9330A (ko) * 1972-04-17 1974-01-05
JPS5916830B2 (ja) * 1976-07-31 1984-04-18 尭 石川 立体模様塗膜の形成方法
JPS53112932A (en) * 1977-03-14 1978-10-02 Kansai Paint Co Ltd Coating of electron radiation curing thick coating paint
JPS603349B2 (ja) * 1978-07-10 1985-01-28 二郎 武居 被覆用組成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S5896664A (ja) 1983-06-08
KR840001207A (ko) 1984-03-28
JPH0240702B2 (ko) 1990-09-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45880A (en) Covering with improved optical qualities
KR900000383B1 (ko) 천연석 모양을 형성하는 피복 조성물
JP3980032B2 (ja) 装飾性塗材及び装飾性建材
US1935985A (en) Artificial stone product and method of making same
RU2290386C2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износостойкого декоративного покрытия
CN109626868A (zh) 一种仿瓷涂料及柔性仿石饰面砖
JP2007146174A (ja) 装飾性塗材及び装飾性建材
US2143004A (en) Cast concrete article having a glossy surface resistant to water spotting, and method of making
JP2910906B2 (ja) 皮膜形成組成物及び皮膜形成方法
JP2742293B2 (ja) 装飾陶磁器の製造方法
JP2893044B2 (ja) 複数の塗材およびこれらを用いて得られる被膜
RU2085530C1 (ru) Композиция для изготовления облицовочной плитки
JP3827222B2 (ja) 自然石調塗装方法
JPH04135932U (ja) 天然石調化粧板
JP3913548B2 (ja) 装飾物及び装飾物の製造方法
JPH01122403A (ja) 象眼状人造石
JP3530260B2 (ja) セメント系大型焼成建材の製造方法
JPH03124729A (ja) 透過性材料
JP2560753Y2 (ja) 着色ポリマーセメント層を具備するガラス化粧板
JP5350165B2 (ja) 意匠性組成物及び意匠性組成物から形成される成形体
JP2002361171A (ja) 天然石調表面装飾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2028564A (ja) 凹凸面の塗膜構造
JPS6323344B2 (ko)
JPH01247109A (ja) 模様を有する磨きタイルの製造方法
JPH07100991A (ja) 天然石模様を有する装飾材の製造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