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0180A - 정향유동 다이조립체 - Google Patents

정향유동 다이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0180A
KR900000180A KR1019890007822A KR890007822A KR900000180A KR 900000180 A KR900000180 A KR 900000180A KR 1019890007822 A KR1019890007822 A KR 1019890007822A KR 890007822 A KR890007822 A KR 890007822A KR 900000180 A KR900000180 A KR 9000001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e
opening
extrudate
flow channel
chan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078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04740B1 (ko
Inventor
에이치 밀러 윌이엄
Original Assignee
프랑크 시로우트 쥬니어
젠코오프 인코오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프랑크 시로우트 쥬니어, 젠코오프 인코오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프랑크 시로우트 쥬니어
Publication of KR9000001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01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47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474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30Extrusion nozzles or dies
    • B29C48/32Extrusion nozzles or dies with annular openings, e.g. for forming tubular articles
    • B29C48/335Multiple annular extrusion nozzles in coaxial arrangement, e.g. for making multi-layered tubular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3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extruded material at extrusion
    • B29C48/07Flat, e.g. pan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3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extruded material at extrusion
    • B29C48/131Curved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30Extrusion nozzles or d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30Extrusion nozzles or dies
    • B29C48/302Extrusion nozzles or dies being adjustable, i.e. having adjustable exit se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30Extrusion nozzles or dies
    • B29C48/303Extrusion nozzles or dies using dies or die parts movable in a closed circuit, e.g. mounted on movable endless suppo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30Extrusion nozzles or dies
    • B29C48/32Extrusion nozzles or dies with annular openings, e.g. for forming tubular articles
    • B29C48/325Extrusion nozzles or dies with annular openings, e.g. for forming tubular articles being adjustable, i.e. having adjustable exit se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3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extruded material at extru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3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extruded material at extrusion
    • B29C48/09Articles with cross-sections having partially or fully enclosed cavities, e.g. pipes or chan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xtru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Extrusion Of Metal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정향유동 다이조립체
본 내용은 요부공개 건이므로 전문내용을 수록하지 않았음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라 만들어진 다이조립체의 단면도로서, 다이조립체를 회전시키기 위한 부품의 회전되지 아니한 위치를 나타낸 개략도를 포함한,
제2도는 회전된 위치의 다이조립체를 나타낸 동종의 단면도,
제3도는 다이조립체의 볼팁(ball tip)의 단면도로서, 압출물이 다이를 향해서 통하여 흐르는 노즐을 변화시키기 위한 제거 가능한 커플링을 나타냄.

Claims (46)

  1. 압출물이 조립체에 장착된 다이내의 개구부로부터 유동하여 나올때 압출물을 굽히기 위해 압출기와 결합하여 사용되는 다이조립체에 있어서, a) 압출물이 압출기로부터 급송개구부와 다이개구부를 통과하여 연속적으로 흐르도록 위치되어 있는 개구부를 가지는 다이를 조립체의 급속개구부로부터 간격을 두고 장착하기 위한 수단과, b) 압출물이 다이개구부를 나올때 압출물이 긴쪽의 경로방향에서 그리고 짧은쪽 경로로부터 먼곳에서 굽어지도록 하기 위하여, 압출물이 급송개구부로부터 다이개구부의 한쌍의 대향한 측부들로 흐르는 경로들의 길이를 충분히 변경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c) 급송개구부와 다이개구부 사이에 있으며, 압출물이 상기 개구부들 사이를 통하여 흐르는 유동채널과, d) 압출물의 유동을 그곳에 거쳐 유동채널로 통과하도록 압출기로부터 급송개구부로 전달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조립체.
  3. 제2항에 있어서, 적어도 두개의 독립된 부분들로 구성되며, 그중 제1부분이 다이 장착수단 (a)를 포함하고, 제2부분이 유동전달수단 (d)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조립체.
  4. 제3항에 있어서, 제1부분이 유동채널을 포함하며, 유동경로의 길이를 충분하게 변경시키기 위한 수단(b)이 (e) 상대운동을 위한 부분들을 장착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조립체.
  5. 제4항에 있어서, 유동채널이 급송개구부로부터 제1부분에 장착된 다이방향으로 벌어지는 적어도 한쌍이 대향한 측부들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조립체.
  6. 제5항에 있어서, 급송개구부와 다이사이에서 제1부분에 설치된 유동채널의 길이 (L)는, 압출물의 다이 개구부의 대향한 측부들로 향한 유동 경로 길이들이 압출물의 굽힘을 충분히 일으키기 위하여 변동될 수 있게할 정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조립체.
  7. 제6항에 있어서, 제2부분의 급송개구부는 다이내의 개구부와 관련하여, 유동채널내의 유체압이 압출물의 굽힘에 역효과를 주지않는 수준에 있게할 정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조립체.
  8. 제6항에 있어서, 제1부분에 설치된 다이의 개구부는 그 크기가 최소한 급송개구부와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조립체.
  9. 제6항에 있어서, 제2부분이 가동의 제1부분에 관련하여,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조립체.
  10. 제9항에 있어서, 다이조립체가 제2부분을 압출기에 고정하는 수단을 포함하며, 제2부분은 압출기로부터 신장하여 볼형상 말단부에서 종료하는 원통부를 가지며, 제2부분은 상기 원통부 및 단부의 종방향으로 신장하여 단부에 있는 급송개구부에서 종료하는 원통형 급송채널을 가지며, 상기 급송채널은 상기 유동전달수단 (d)으로서 역할을 하며, 그리고 상기 수분장착수단 (e)이 f) 급송채널의 종축에 관련한 회전을 위하여 제1분분을 상기 볼형상 말단부에 장착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조립체.
  11. 제10항에 있어서, 압출물이 제1부분에 장착된 다이를 통하지 않고 유동채널로부터 나가는 것을 방지하도록 제1부분과 제2부분의 볼형상 말단부 사이를 시일링하기 위하여 제1부분과 제2부분의 말단부 사이에서 상호작용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조립체.
  12. 제11항에 있어서, 제1부분이, 유동채널로부터 동축상에서 간격을 두고 있으며 제1부분에 설치된 유동채널 및 다이로부터 멀어지는 방햐에서 볼형상말단부의 후방으로 이어진 케비티 (C)를 포함하며, 캐비티는 제1부분과 그에 장착된 다이의 소정의 회전을 허용하기 위하여 볼형상 말단부 및 유동채널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벌어지는 적어도 한쌍의 대향한 축부들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조립체.
  13. 제12항에 있어서, 압출물이 다이개구부를 나올때 압출물에 형성될 원하는 굽힘에 상호관련하여 제1부분을 회전시키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조립체.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시일링 수단이, 제2부분의 말단부를 급송개구부에 인접하여 압축성있게 물리기 위하여 제1부분에 수용되는 제1환상시일과, 제2부분의 볼형상말단부를 제1시일에 평행한 관계로 압출성있게 물리기 위하여 제1부분에 수용되는 제2환상시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조립체.
  15. 제13항에 있어서, 급송개구부의 크기를 변동시키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조립체.
  16. 제6항에 있어서, 제1부분이 가동의 제2부분에 관련하여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조립체.
  17. 제16항에 있어서, 제1부분을 압출기에 고정하기 위한 수단과, 제2부분을 유동채널의 종축에 대해 수직인 축에 관하여 회전하도록 제1부분상에 장착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조립체.
  18. 제17항에 있어서, 제1부분이, I) 유동채널의 종축에 직각으로 제1부분의 길이방향에서 연장된 원통형보어와, II) 압출기와 보어 사이에 있는 급송채널을 포함하며, 급송채널과 보어의 길이방향축들이 서로에 대해 수직이며, 급송채널과 유동채널이 보어의 대향한 측부들 상에서 동축적으로 간격을 두고 있으며, 그리고 제2부분이, III) 보어내에서 회전 가능한 긴 실린더를 포함하며, 상기 실린더가 급송채널 및 유동채널을 연통관계에 두기 위하여 실린더를 관통하여 가로로 이어진 배출통로를 가지며, 상기 통로는 유동채널에 인접한 급송개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조립체.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부분들 장착수단 (e)은, 상기 배출통로가 상기 보어의 종축에 수직인 평면내에서 회전하도록 상기 실린더를 상기 보어의 종축 주위에서의 회전을 위하여 보어 내에 장착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조립체.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부분들 장착수단 (e)은, 상기 배출통고가 보어의 종축에 수직인 평면내에서 회전하도록 하기 위하여 실린더를 보어의 종축 주위에서 회전하도록 보어내에 장착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조립체.
  21. 제20항에 있어서, 제1부분이, IV) 다른 압출물들이 통하여 흐를수 있고 나란히 회전이 독립된 관계에 있는 쌍동이 유동채널들과 급송채널들을 포함하며, 유동채널들은 압출물들이 쌍동이 유동채널들을 덮은 관계로 제1부분상에 장착되어 있는 다이내의 개구부로 들어갈때까지 압출물들을 독립된 상태로 유지하도록 설계되며, 그리고 제2부분은, V) 쌍동이 유동채널들과 관련 급송채널들을 서로에 대해 연통관계로 두기 위하여 나란히 독립된 관계에 있는 쌍동이 배출통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조립체.
  22. 제21항에 있어서, 쌍동이 배출통로들을 일체로 회전시키기 위하여 상기 실린더와 상호작용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조립체.
  23. 제21항에 있어서, 상호관련된 관계에 있는 배출통로들을 선택적으로 회전시키기 위하여 실린더와 상호작용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조립체.
  24. 제17항에 있어서, 제1부분이, I) 유동채널의 종축에 직각으로 제1부분의 종방향으로 이어진 원통형보어를 포함하며, 그리고 제2부분이 II) 보어내에서 회전 가능한 긴 실린더를 가지며, 상기 실린더는 i) 입출기로부터 압출물을 받기 위하여 실린더의 종방향으로 이어진 급송채널과, ii) 급송채널과 연통하여 실린더의 가로방향으로 이어지며 제1부분내의 유동채널과 연통하는 급송개구부에서 종료하는 배출통로를 가지며, 상기 배출통로와 급송채널이 제2부분내에서 각을 이룬 관계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조립체.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부분들 장착수단 (e)은, 상기 배출통로가 보어의 종방향축에 수직인 평면내에서 회전하도록 하기 위하여 실린더를 보어의 종방향축 주위에서 회전하도록 보어내에 장착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조립체.
  26. 제25항에 있어서, 제1부분이, III) 나란히 독립된 관계에 있는 쌍동이 유동채널들을 포함하며, 상기 유동채널들은 그들을 통하여 흐르는 다른 압출물들을 그곳에서 쌍동이 유동채널을 덮은 관계로 제1부분에 장착된 다이의 개구부안으로 통과할때까지 독립된 상태로 유지하도록 설계되며, 그리고 제2부분은, IV) 독립된 관계에 있는 쌍동이 급송채널들과 배출통로들을 포함하며, 쌍동이 급송채널들은 단부에서 단부까지 축방향의 간격을 둔 관계로 있으며, 쌍동이 배출통로들은 나란히 간격을 둔 관계에서 서로 다른 압출기들로부터의 다른 압출물을 쌍동이 유동채널들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조립체.
  27. 제26항에 있어서, 실린더와 상호작용하여 쌍동이 배출통로들과 관련 급송채널들을 일체로 회전시키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조립체.
  28. 제26항에 있어서, 실린더와 상호작용하여 상호관련된 관계에 있는 쌍동이 배출통로들과 관련 급송채널들을 선택적으로 회전시키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조립체.
  29. 압출물이 조립체에 장착된 다이내의 개구부로부터 유동하여 나올때 압출물을 굽히기 위하여 압출기에 결합되어 사용되는 다이조립체에 있어서, a) 압출기에 고정되어 그로부터 연장되는 노즐로서, I) 압출기로부터 간격을 둔 관계에 있는 볼형상 말단부에서 종료하는 긴원통부를 포함하며, 상기 말단부와 원통부는, 그들의 종방향으로 연장되어 말단부내의 급송개구부에서 종료하는 중앙에 배치된 급송채널을 가지며, 급송채널은 압출기로부터의 압출물을 받도록 설계되어 있는 상기 노즐과, b) 상기 긴 원통부를 압출기상에 장착하기 위한 수단과, c) 상기 노즐의 상기 볼형상말단부에 장착되는 소켓으로서, II) 소켓의 대향한 평행면들로부터 소켓의 내부로 연장되는 한쌍의 대향하게 배치되고 동축상에서 간격을 두고 있는 원추형상 개구부들을 포함하며, 상기 개구부들의 원추형상으로 경사진축부들은 노즐의 말단부내의 급송개구부와 서로를 향하여 모이며, 개구부들은 소켓내의 중앙에 배치된 보어에 연결되며, 압출기로부터 가장 먼 소켓의 개구부는 압출물이 급송개구부를 나올때 그 안으로 흐르는 유동채널인 상기 소켓과, d) 소켓의 보어와 노즐의 볼형상말단부 사이의 공간을 밀봉하기 위하여 그들 사이에서 상호작용하여 급송개구부로부터의 압출물의 유동이 유동채널을 제외한 어느곳으로도 흐르지 않게 하는 한쌍의 환상시일과, e) 유동채널과 연통하는 개구부를 가진 다이를 유동채널을 덮은 관계로 소켓상에 장착하는 수단과, f) 소켓을 급송채널의 종축에 관련한 회전을 위하여 볼형상말단부상에 장착하는 수단과, 그리고 g) 압출물이 유동채널 및 다이개구부를 통과하여 다이개구부의 대향한 단부들로 유동하는 경로의 길이를 변경시켜, 압출물이 유동채널 및 다이개구부를 나올때, 압출물을 긴쪽 유동경로 방향에서 그리고 짧은쪽 유동경로로부터 먼곳에서 굽히기 위하여 소켓을 회전시키는 수단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조립체.
  30. 압출물이 조립체에 장착된 다이내의 개구부로부터 유동하여 나올때 압출물을 굽히기 위하여 압출기에 결합되어 사용되는 다이조립체에 있어서, a) 압출기에 고정되는 소켓으로서, 다이가 상기 소켓에 장착될때 다이로부터 소켓의 내부로 향하여 좁혀지는 거의 원추형상의 유동채널을 가지며, 유동채널의 종축에 직각이며 종방향으로 신장된 보어를 가지는 상기 소켓과, b) 압출물의 유동을 유동채널로 향하게 하는 노즐로서, 소켓의 보어내에 장착되어 보어의 종축 주위를 회전하는 실린더를 포함하며, 상기 실린더는 보어의 종축에 직각인 배출통로를 가지며, 상기 배출통로를 상기 유동채널과 연통하는 급송개구부에서 종료하며, 상기 배출통로 및 유동채널이 노즐이 중립의 비회전 위치에 있을때 동축적으로 정열되는 상기 노즐과, c) 압출물을 압출기로부터 배출통로로 이송시키는 수단과, d) 유동채널과 동축 배열된 개구부를 가지는 다이를 유동채널 전체를 덮은 관계로 장착시키는 수단과, 그리고 e) 압출물이 유동채널 및 다이개구부를 통과하여 다이개구부의 대향한 단부들로 유동하는 경로의 길이를 변경시켜 압출물이 유동채널 및 다이개구부를 나올때 압출물을 긴쪽 유동경로 방향에서 그리고 짧은쪽 유동경로로부터 먼곳에서 굽히기 위하여 노즐을 회전시키는 수단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조립체.
  31. 제30항에 있어서, 압출물을 이송하는 수단(c)이 보어의 반대측으로부터 시작하는 유동채널과 동축선상에 압출기와 보어 사이의 소켓 내에 있는 급송채널을 포함하며, 배출통로는 압출물의 유동을 급송채널로부터 유동채널로 향하게 하기 위하여 실린더를 가로로 통과하여 연장되며, 급송채널에 인접한 배출통로는 노즐이 중립의 비회전위치로부터 회전되었을때 급송채널과 배출통로의 연통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급송개구부로부터 급송채널 방향으로 벌어지는 한쌍의 대향한 측부들을 구비한 나팔형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조립체.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이 다른 압출물들을 보어를 향하여 그리고 보어로부터 이송하기 위하여 나란히 독립된 관계에 있는 쌍동이 급송채널 및 쌍도이 유동채널을 포함하며, 상기 노즐은 상이한 압출물들을 상기 급송채널들로부터 관련유동채널로 향하게 하기 위하여 나란히 독립된 관계로 실린더내에 배치된 쌍동이 배출통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조립체.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을 회전시키기 위한 수단(e)이 상기 배출통로들을 일체로 회전시키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조립체.
  34.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을 회전시키기 위한 수단(e)이 상기 배출통로들을 선택적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조립체.
  35. 제30항에 있어서, 압출물을 이송시키기 위한 수단(c)이 배출통로와 압출기 사이의 실린더내에서 길이방향으로 배치된 급송채널을 포함하며, 배출통로와 급송채널이 직각으로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조립체.
  36.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이 나란히 독립된 관계에 있는 쌍동이 유동채널을 포함하며, 상기 노즐이 나란히 독립된 관계로 실린더내에 배치된 쌍동이 배출통로를 포함하며, 쌍동이 급송채널들이 압출기들과 관련 배출통로들 사이의 실린더내에서 동축적으로 간격을 두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조립체.
  37.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을 회전시키기 위한 수단(e)이 상기 배출통로들을 일체로 회전시키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조립체.
  38.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을 회전시키기 위한 수단(e)이 상기 배출통로들을 선택적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조립체.
  39. 압출물이 다이내의 개구부를 나올때 압출물을 굽히는 방법으로서, a) 압출물의 유동을 압출기로부터 다이내의 개구부를 통과하여 전달하며, b) 압출물이 다이내의 개구부를 나올때 긴쪽 경로 방향에서 그리고 짧은쪽 경로로부터 먼쪽에서 압출물에 굽힘이 충분히 일어나도록 하기 위하여 압출물이 다이내 개구부의 대향한 축부들로 흐르는 경로들의 길이를 변동시킴으로서 이루어지는 방법.
  40.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압출물 유동을 전달시키는 것이 압출물의 유동을 다이의 개구부로 압출물이 들어가기 직전에 급송개구부 및 유동채널을 연속적으로 거쳐서 향하게 하는 것을 포함하며, 유동채널이 다이내의 개구부의 대향한 측부들 방향으로 급송개구부로부터 벌어지는 적어도 한쌍의 대향한 측부들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1. 제40항에 있어서 압출물이 다이내개구부의 대향한 측부들로 유동하는 상기 경로의 길이가 급송개구부로부터 유동채널과 다이내 개구부를 거쳐 유동채널 및 급송채널로부터 가장 먼 다이의 외부에 노출된 면까지를 가리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2.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경로의 길이를 변경하는 것이 급송개구부와 유동채널간의 상대운동을 일으키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3.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급송개구부와 유동채널간의 상대운동을 일으키는 것이 정지한 급송개구부에 관련하여 유동채널을 회전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4. 제42항에 있어서, 급송개구부와 유동채널간에 상대운동을 일으키는 것이 정지한 유동채널에 관련하여 급송개구부를 회전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5.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부분이, I) 유동채널의 길이방향축에 직각으로 제1부분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원통형 보어를 포함하며, 상기 제2부분이, II) 상기 보어내에서 회전가능한 긴 실린더를 포함하며, 상기 실린더는, i) 압출기로부터의 압출물을 받기 위하여 실린더의 종방향으로 연장된 급송채널과, ii) 급송채널과 연통하여 실린더의 가로방향으로 연장되며, 제1부분내의 유동채널과 연통하는 급송개구부에서 종료하는 배출통로를 가지며, 그리고 상기 부분들 장착수단(e)이, III) 제2부분의 배출통로의 제1부분의 유동채널을 동일평면내에서의 단일의 회전과 유동채널에 관한 배출통로의 선택적 회전을 위하여 장착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조이체.
  46. 제45항에 있어서, 제2부분의 배출통로와 제1부분의 유동채널이 수평면내에서 회전하도록 설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조립체.
    ※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KR1019890007822A 1988-06-17 1989-06-07 정향유동 다이조립체 및 압출방법 KR92000474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7838 1988-06-17
US07/207,838 US4906171A (en) 1988-06-17 1988-06-17 Directed flow die assembly
US7/207838 1988-06-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0180A true KR900000180A (ko) 1990-01-30
KR920004740B1 KR920004740B1 (ko) 1992-06-15

Family

ID=227721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07822A KR920004740B1 (ko) 1988-06-17 1989-06-07 정향유동 다이조립체 및 압출방법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4906171A (ko)
EP (1) EP0347200B1 (ko)
JP (1) JPH0667586B2 (ko)
KR (1) KR920004740B1 (ko)
AR (1) AR244593A1 (ko)
AU (1) AU601317B2 (ko)
CA (1) CA1311339C (ko)
DE (1) DE68914723T2 (ko)
ES (1) ES2055057T3 (ko)
MX (1) MX166619B (ko)
PT (1) PT90875B (ko)
ZA (1) ZA891289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7356B1 (ko) * 2006-08-03 2007-09-11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화학 기상 증착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42121U (ko) * 1987-05-29 1989-03-14
US5562875A (en) * 1988-06-17 1996-10-08 Gencorp Inc. Handling system and method for curved extrusions
US5069853A (en) * 1988-06-17 1991-12-03 Gencorp Inc. Method of configuring extrudate flowing from an extruder die assembly
US5067885A (en) * 1988-06-17 1991-11-26 Gencorp Inc. Rapid change die assembly
US5219588A (en) * 1990-02-12 1993-06-15 Gencorp Inc. Die assembly control
JP3452925B2 (ja) * 1992-06-08 2003-10-06 ビーティージー・インターナショナル・リミテッド 押出物の連続成形方法及び装置の改良
US5424023A (en) * 1993-06-03 1995-06-13 Crane Plastics Company Limited Partnership Apparatus and method of forming curved extruded products
US5474720A (en) * 1994-03-11 1995-12-12 Friedrich Theysohn Gmbh Method of and apparatus for producing elongated shaped bodies of thermoplastic synthetic resin
JP3677831B2 (ja) * 1995-09-29 2005-08-03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異形押出成形品の製造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US5882564A (en) * 1996-06-24 1999-03-16 Andersen Corporation Resin and wood fiber composite profile extrusion method
FR2783193B1 (fr) * 1998-09-14 2001-02-16 Vilcontal Alimentaire Tete d'extrusion permettant une variation angulaire de la trajectoire de la paraison
DE19936829C2 (de) * 1999-08-05 2003-02-27 Hosokawa Bepex Gmbh Düsenanordnung, Düsenträger und Vorrichtung zum Extrudieren teigiger Massen
DE50102182D1 (de) * 2000-02-10 2004-06-09 Wkw Erbsloeh Automotive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von gekrümmten strangpressprofilen
CA2313307C (en) 2000-06-30 2007-09-25 William J. Slyne Differential velocity extrusion
US20040121132A1 (en) * 2000-07-03 2004-06-24 Slyne William J. Differential velocity extrusion
DE10111062A1 (de) * 2001-03-08 2002-09-19 Sms Eumuco Gmbh Verfahren und Strangpreßanlage, insbesondere zum Herstellen von gekrümmten Strangpreßprodukten
DE10141328B4 (de) * 2001-08-28 2005-04-14 Sms Eumuco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Stangpressen von gekrümmten Strangpreßprofilen
JP4124698B2 (ja) * 2003-05-28 2008-07-23 鬼怒川ゴム工業株式会社 押出成形装置および押出成形方法
WO2005021643A1 (en) * 2003-08-29 2005-03-10 Advanced Elastomer Systems, L.P. Manufacturing of shaped coolant hoses
US8177542B2 (en) * 2005-08-22 2012-05-15 Reading Bakery Systems Rotating nozzle die machine for extrusion of two or more types of dough
US7628945B1 (en) 2006-02-17 2009-12-08 Collins Larry P Extruded radiused plastic articles and method of forming the same
US7604470B2 (en) 2006-04-03 2009-10-20 Stratasys, Inc. Single-motor extrusion head having multiple extrusion lines
US20100123262A1 (en) * 2008-11-18 2010-05-20 Lewis Conrad Keller Multi-orifice extrusion die and method for obtaining uniform flow
DE102009060161A1 (de) * 2009-12-23 2011-06-30 SaarGummi technologies S.à.r.l.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Dichtungsstrangs
US9108218B2 (en) 2012-04-19 2015-08-18 Nordson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making multilayer films and a layer multiplication device
DE102016219912A1 (de) * 2016-10-13 2018-04-19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3D-Spritzpress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3D-Hohlprofils
WO2018234279A1 (en) * 2017-06-23 2018-12-27 Philips Lighting Holding B.V. PRINTER HEAD FOR 3D PRINTING
US11273588B1 (en) * 2017-10-13 2022-03-15 Certainteed Llc Extruder including rotating outlet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US20200230364A1 (en) * 2019-01-18 2020-07-23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Intravenous therapy system for blood vessel access via a curved needle and curved catheter
CN112743795A (zh) * 2020-12-22 2021-05-04 中国兵器装备集团自动化研究所 一种防残留挤出机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618256A (en) * 1926-07-13 1927-02-22 Firm Gebruder Buhler Mold disk for dough presses
FR672156A (fr) * 1928-04-04 1929-12-24 Dunlop Hubber Company Ltd Procédé perfectionné de fabrication d'articles à la boudineuse ou par expulsion et appareil destiné à sa réalisation
US2062338A (en) * 1934-01-13 1936-12-01 Tanzi Mario Macaroni die
US2369583A (en) * 1943-12-27 1945-02-13 Gen Motors Corp Method of making arcuate molded articles
DE838886C (de) * 1948-10-21 1952-05-12 Schloemann Ag Vorrichtung zum Pressen von geraden und gekruemmten Bleirohren
DE1107926B (de) * 1956-08-01 1961-05-31 Reifenhaeuser Kg Spritzkopf an Strangpressen zum Herstellen von gekruemmten Rohren oder Stangen aus organischem thermoplastischem Kunststoff oder anderen thermoplastischen Massen
US3093860A (en) * 1961-03-16 1963-06-18 Oliver Tire & Rubber Co Adjustable extruding die
US3080608A (en) * 1961-03-30 1963-03-12 Jurian W Van Riper Plastic material extrusion apparatus
DE1504212A1 (de) * 1964-04-27 1969-09-25 Ernst Eisenmenger Vorrichtung zum Ziehen gekruemmter Koerper
US3425092A (en) * 1964-07-24 1969-02-04 Jun Taga Apparatus for moulding sections of circularly bent tubing from thermoplastic material
FR1425435A (fr) * 1964-12-07 1966-01-24 Rhone Poulenc Sa Filière d'extrusion à orifice variable
NL128301C (ko) * 1966-05-10 1900-01-01
US3761213A (en) * 1971-06-01 1973-09-25 Glacier Industries Confection extrusion nozzle
US3845152A (en) * 1972-03-29 1974-10-29 Du Pont Selective isomerization of polyenes having terminal conjugated unsaturation
NO129892B (ko) * 1972-12-01 1974-06-10 Graenges Essem Plast As
US4025262A (en) * 1974-11-18 1977-05-24 General Electric Company Variable length extrusion die
IN144765B (ko) * 1975-02-12 1978-07-01 Rasmussen O B
US4461738A (en) * 1979-09-07 1984-07-24 Dennison Manufacturing Company Method of continuous extrusion molding
DE3122744C2 (de) * 1981-06-09 1984-08-09 Küster & Co GmbH, 6332 Ehringshausen Extruderdüse sowie mittels der Extruderdüse hergestellte Schläuche oder Rohre
DE8212640U1 (de) * 1982-05-03 1982-09-16 Basf Ag, 6700 Ludwigshafen Verschliessbare austragsduese fuer thermoplastische kunststoffe
JPS58220717A (ja) * 1982-06-17 1983-12-22 Toyoda Gosei Co Ltd コ−ナ部を有する押出製品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S59188424A (ja) * 1983-04-12 1984-10-25 Meiji Gomme Kasei:Kk 曲り管の自動成型装置
US4648821A (en) * 1984-08-31 1987-03-10 Nabisco Brands, Inc. Apparatus for co-extrusion of a dough mass having dissimilar inner and outer portions
CH678507A5 (ko) * 1986-03-06 1991-09-30 Maillefer Sa
US4761129A (en) * 1987-07-07 1988-08-02 Swisscab E.A. Schoen S.A. Device for changing color during the extrusion of a sheath around a conducto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7356B1 (ko) * 2006-08-03 2007-09-11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화학 기상 증착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R244593A1 (es) 1993-11-30
EP0347200A2 (en) 1989-12-20
PT90875B (pt) 1994-09-30
CA1311339C (en) 1992-12-15
JPH0667586B2 (ja) 1994-08-31
KR920004740B1 (ko) 1992-06-15
US4906171A (en) 1990-03-06
EP0347200A3 (en) 1990-12-12
PT90875A (pt) 1989-12-29
MX166619B (es) 1993-01-22
JPH0232827A (ja) 1990-02-02
EP0347200B1 (en) 1994-04-20
ZA891289B (en) 1991-04-24
ES2055057T3 (es) 1994-08-16
DE68914723T2 (de) 1994-10-06
AU2994089A (en) 1990-02-15
DE68914723D1 (de) 1994-05-26
AU601317B2 (en) 1990-09-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00000180A (ko) 정향유동 다이조립체
US8684719B2 (en) Die tooling for extruding tubular product
US4150929A (en) Ribbon cable extrusion apparatus
FI85351B (fi) Anordning foer matning av plastmaterial till ett extruderhuvud.
WO200401970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xtrusion of food products including back pressure valve/diverter
CN100506512C (zh) 挤出机
KR940013789A (ko) 빙햄 플래스틱형 재료를 압출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FI84992C (fi) Extruderanordning foer belaeggning av traodformig produkt, i synnerhet kabel
MX167499B (es) Dispositivo coextrusor de espuma polimerica de pared triple
HU217521B (hu) Etetőberendezés és szelep ilyen berendezésben történő használatra
SE429824B (sv) Anordning for materialformning genom strengpressning
RU2007131588A (ru) Мини-экструдер
US5620714A (en) Distributor head for forming a tubular profile from one or more streams of extruded thermoplastic material
KR940006644B1 (ko) 압출다이 어셈블리
CN112566769B (zh) 带有位于内部的冷却的挤出装置
JPH09235A (ja) 2成分押出しダイ
SI2188105T1 (en) Drive assembly in the extruder with degassing
BR112019018598B1 (pt) Cabeça de matriz de extrusão de múltiplos componentes, sistema de extrusão de múltiplos componentes e método para produzir um tubo compósito
CA1075865A (en) Helical injection extruder for thermoplastics
US3106746A (en) Extrusion head
US5887972A (en) Extruder for plastic granules
CA2244721C (en) Extruder
JP2999689B2 (ja) 混練押出機
US11738357B2 (en) High pressure nozzle
US6942376B2 (en) Extruder mix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