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0095B1 - 키이보오드의 키이출력 방법 - Google Patents

키이보오드의 키이출력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0095B1
KR900000095B1 KR1019850000504A KR850000504A KR900000095B1 KR 900000095 B1 KR900000095 B1 KR 900000095B1 KR 1019850000504 A KR1019850000504 A KR 1019850000504A KR 850000504 A KR850000504 A KR 850000504A KR 900000095 B1 KR900000095 B1 KR 9000000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keys
detected
same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500005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60001389A (ko
Inventor
사다가즈 시가
Original Assignee
알프스 덴기 가부시기가이샤
가다오까 가쓰다로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프스 덴기 가부시기가이샤, 가다오까 가쓰다로오 filed Critical 알프스 덴기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8600013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13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00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00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3/00Conveying record carriers from one station to another, e.g. from stack to punching mechanism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11/00Coding in connection with keyboards or like devices, i.e. coding of the position of operated keys
    • H03M11/003Phantom keys detection and preven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3/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printing of data in the shape of alphanumeric or other characters from a record carrier, e.g. interpreting, printing-out from a magnetic tape
    • G06K3/02Translating markings on a record carrier into printed data on the same record carrier, i.e. interpre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키이보오드의 키이 출력 방법
제1도는 키이보오드 입력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
제2도는 제1도의 RAM(7)의 내용을 나타낸 도면.
제3도는 키이 출력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챠아트.
제4도는 종래예에서 N키이로울 오버 기능을 가지는 키이보오드 입력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키이 매트릭스 1a : 컬럼
1b : 라인 2 : 키이
4 : 코우드 해독기 5 : CPU
6 : ROM 7 : RAM
본 발명은 N키의 로울 오버(Lockout)기능을 가진 키이보오드에 관한 것이며, 특히 전류 회류(回流)방지용의 다이오드를 불필요하게 한 키이보오드의 키이 출력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제4도는 종래예이며 N키이 로울 오버기능을 가지는 키이보오드 입력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1은 키이 매트릭스이며, 이 키이 매트릭스(1)는 여러개의 키이(2)가 각각 다이오드(3)와 직렬로 접속되어 있고 또한 이들은 매트릭스형으로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키이 매트릭스(1)의 컬럼(1a)은 코우드 해독기(4)에 접속되고, 코우드 해독기(4) 및 키이 매트릭스(1)의 라인(1b)은 CPU(5)와 접속되어 있다,
또 6은 키이 보오드 출력을 위한 프로그램과 키이 코오드가 격납되어 있는 ROM이며, CPU(5)와 접속되어 있다.
도면에 있어서, 하나의 키이가 눌러지면 코우드 해독기(4)로부터의 스캔(Scan) 신호는 키이 매트릭스(1)의 컬럼(1a)으로부터 눌러진 키이 및 다이오드를 통하여 라인(1b)으로부터 CPU(5)에 입력된다. CPU(5)는 이때의 스캔 위치(컬럼위치)와 라인 위치에 의거하여 눌러진 키이는 검출하고, 그 키이에 대응한 키이 코오드가 ROM(6)으로부터 해독되어서 키이 코오드가 출력된다.
고속타건(打鍵)시에 있어서는 여러개의 키이가 순간적으로 동시에 눌러지는 일이 있고, 이때 눌려진 키이가 착오없이 모두 출력되도록 한 것이 소위 N키이 로울 오버 기능이며, 이 경우에 각 키이(2)에는 다이오드(3)가 필요하게 된다. 이것은 3개 이상의 키이가 동시에 눌려졌을 경우, 전류가 회류하여 실제로 눌려져 있지 않는 키이까지 온(ON) 상태로 검출되게 하는 일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N키이 로울 오버 기능을 가지는 키이보오드에 있어서는 키이수와 동수의 다이오드를 필요로 하고, 이것이 제조비 상승의 요인이 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점에 비추어 이루어진 것이며, N키이 로울 오버 기능을 가진 키이보오드에 있어서, 전류 회류 방지용의 다이오드를 없애고, 제조비 감소를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키이보오드의 키이 출력 방법은 N키이 로울 오버 기능을 가진 키이보오드에 있어서, 동일 컬럼상에 제1키이와 제2키이의 누름을 검출하고, 이어서 그들의 키이중 한개의 키이와 동일한 라인상에 제3키이의 누름을 검출하였을 경우, 혹은 동일 라인상에 제1키이와 제2키이의 누름이 검출되고 이어서 그들의 키이중 한개의 키이와 동일한 컬럼상에 제3키이의 누름이 검출되었을 경우에 제3키이 및 제3키이에 의해 잘 못 검출된 제4키이의 코오드를 출력하지 않도록 한 것이다.
이하 도면에 의거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도 내지 제3도는 본 발명의 방법을 수행하는 실시예이며, 제1도는 키이보오드 입력장치를 나타낸 블록도, 제2도는 제1도의 RAM(7)의 내용을 나타낸 도면, 제3도는 키이 출력 방법을 나타낸 플루우챠아트이다.
제1도에서 제4도와 동일한 부분은 동일 번호를 병기하여 설명을 생략한다.
도면에 있어서 제1도의 CPU(5) 내부에는 키이 매트릭스(1)의 각 키이에 대응하는 위치 정보를 기억하는 RAM(7)을 설치하고 있다. 키이가 눌려지면, 눌려진 키이의 위치에 대응하여 RAM(7)내의 플래그(flag)를 "1"로 하고, 키이의 누름이 해제되면 플래그를 "0"으로 한다.
여기서 제2a도에 나타낸 제2,14,17키이가 동시에 눌렸을 경우에는 RAM(7)의 내용은 제2b도와 같은 플러그 구성으로 되고, 이 상태로는 전류 회류 방지용의 다이오드(3)가 없기 때문에 제2,14,17키 이외에 제5키이도 온으로 검출되어 버린다.
그래서 본 발명을 수행하는 실시예로서 제2a,b도에 의해 제2,14,17키이가 동시에 눌려졌을 때의 동작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키이 스캔의 타이밍에 의해, 우선 제2키이가 검출되었다고 하면, 제2키이와 동일 컬럼상에 있는 제14키이도 검출된다. 여기서 CPU(5)가 제2키이를 먼저 처리하였다고 하면, RAM(7)내의 제2키이에 대응한 기억 장치를 "1"로 한다. 다음에 이 제2키이의 출력여부는 RAM(7)내의 플래그"1"의 유무에 의해 검사된다.
즉 제2키이는 최초에 처리된 유일의 키이며, 제2키이와 동일한 라인에도 동일한 컬럼상에도 다른 검출된 키이(플러그 "1"의 키이)가 존재하지 않으므로 제2키이는 ROM(6)내의 제2키이에 대응한 키이 코오드가 해독되어 출력된다.
이어서 제14키이를 CPU(5)로 처리하고, RAM(7)내의 제14키이에 대응한 기억장치를 "1"로 한다. 여기서 상기와 동일하게 하여 제14키이의 출력여부는 RAM(7)내의 플러그 "1"의 유무에 따라 검사된다.
즉 제14키이와 동일 라인상에는 다른 검출된 키이는 없으나, 동일 컬럼상에는 전회에 검출된 제2키이의 플러그 "1"이 있다. 거기서 제2키이와 동일 라인상에 다른 검출된 키이(플러그 "1"의 키이)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제2키이와 동일 라인상에는 다른 검출키이가 없으므로 제14키이는 ROM(6)내의 제14키이에 대응한 키이 보오드가 해독되어서 출력딘다. 다음에 제17키이가 검출되고 ROM(6)내에 플러그 "1"이 배치되지만, 아직 제2키이와 제14키이가 함께 온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스캔 신호가 제17키이로부터 제14키이, 제2키이를 경유하여 CPU(5)에 입력되고, 눌려있지 않은 제5키이가 전류의 회류에 의해 마치 온된 것 같이 검출된다. 그 때문에 제5키이와 제17키이가 함께 검출되게 되지만, CPU(5)가 최초로 어느 한쪽을 먼저 처리한다. 그러나 어느 키이가 먼저 처리 되든간에 제5키이와 제17키이는 출력되지 않는다. 즉 제17키이가 먼저 처리되었다고 하면, 이때 RAM(7)내의 플러그 "1"은 세개 있으며, 더구나, 제17키이와 동일 라인상에 제14키이의 플러그 "1"이 있고, 또한 제14키이와 동일 컬럼상에 제2키이의 플러그 "1"이 있기 때문에 제17키이는 출력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제5키이가 처리되면 ROM(6)내의 제5키이에 대응한 기억장치가 "1"로 되고, ROM(6)내의 플러그 "1"은 네개가 있게 된다. 제5키이는 동일 라인상에도 동일 칼럼상에도 제2키이 및 제17키이의 플러그 "1"이 있으며, 더우기 제2키이의 동일 컬럼상 또는 제17키이의 동일 라인상에는 제14키이의 플러그"1"이 있기 때문에 제5키이도 출력되지 않는다.
이상과 같이 하여 여러개의 키이를 동시에 눌렀을 때에 어느 특정의 잘못된 작동을 하는 것 같은 키이 누름시에는 세번째 키이 이후의 키이를 출력하지 않도록 한다. 또한 제2c도 및 제2d도의 경우에는 잘못된 동작, 즉 상기 제5키이와 같이 눌려 있지 않는 경우에도 불구하고 제5키이가 검출된다는 일이 없으므로 눌려진 키이가 모두 출력된다.
다음에 제3도에 나타낸 플루우차아트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2개의 키이 예를 들면 키이(A),(B)가 함께 검출되지 않았거나 또는 어느 한쪽의 키이가 검출되어 있을 경우에는 다음에 검출된 키이(C)에 대응한 기억장치의 플러그를 "1"로 하여 키이(C) 코오드를 ROM(6)으로부터 출력한다.
한편 이미 키이(A),(B)가 함께 검출되고 또한 각각의 키이 코오드가 출력하며, 이어서 키이(C)가 검출되었을 경우, 즉 키이(A),(B),(C)가 동시에 눌려졌을 경우에는 우선 키이(C)에 대응한 기억장치의 플러그를 "1"로 하고 키이(B)가 키이(C)와 동일 라인상에 있는지의 여부를 RAM(7)내의 기억장치의 플러그 "1"의 유무에 의해 검사하고, 동일 라인상에 있으면 다시 키이(B)와 동일한 컬럼상에 플러그 "1"의 키이(A)가 있는지의 여부를 검사하고 동일한 컬럼상에 있으면 키이(C)의 키이 코오드는 출력하지 않는다.
키이(B)가 키이(C)와 동일 라인상에 없을 경우에는 상기와 같이 키이(B)가 키이(C)와 동일한 컬럼상에 있는지의 여부를 검사하고, 동일한 컬럼상에 없으면 키이(C)를 출력하고, 동일한 컬럼상에 있으면 다시 키이(B)와 동일 라인상에 키이(A)가 있는지의 여부를 검사하며, 동일 라인상에 있으면 키이(C)는 출력하지 않고, 동일 라인상에 없으면 키이(C)를 출력한다. 여기서 키이(C)를 출력하지 않을 경우에는 다음의 네개째의 키이를 검출하게 되지만, 이 네개째의 키이에 대해서도 상기와 동일한 검사를 행함으로써 출력하지 않는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이오드를 없애므로서 잘못된 동작을 일으키는 특정의 경우만 2키이 로울오버로 하고, 기탕의 경우에는 N키의 로울 오버가 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다이오드를 없애고 제조비가 절감된 키이보오드를 얻을 수 있다.

Claims (1)

  1. 눌러진 키이가 모두 순차로 출려되는 키이보오드이며, 동일 컬럼상에 제1키이(2)와 제2키이(14)의 누름이 검출되고, 이어서 그들이 키이중 한개의 키이와 동일한 라인상에 제3키이(17)의 누름이 검출되거나 동일 라인상에 제1키이와 제2키이의 누름이 검출되며, 이어서 그들의 키이중 한개의 키이와 동일한 컬럼상에 제3의 키이의 누름이 검출되었을 경우에 제3키이 및 그 제3키이에 의해 잘못 검출된 제4키이(5)의 키이 코오드를 출력하지 않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이보오드의 키이 출력 방법.
KR1019850000504A 1984-07-24 1985-01-28 키이보오드의 키이출력 방법 KR90000009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9-153784 1984-07-24
JP15378484A JPS6132127A (ja) 1984-07-24 1984-07-24 キーボードのキーコード出力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1389A KR860001389A (ko) 1986-02-26
KR900000095B1 true KR900000095B1 (ko) 1990-01-19

Family

ID=155700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50000504A KR900000095B1 (ko) 1984-07-24 1985-01-28 키이보오드의 키이출력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4922248A (ko)
JP (1) JPS6132127A (ko)
KR (1) KR900000095B1 (ko)
DE (1) DE3519360A1 (ko)
GB (1) GB216235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55725A (ja) * 1984-08-28 1986-03-20 Fujitsu Ltd キ−ボ−ド装置
JPS62105531U (ko) * 1985-12-19 1987-07-06
JPS62160520A (ja) * 1986-01-08 1987-07-16 Brother Ind Ltd マトリツクススイツチ装置
DE3604236C1 (de) * 1986-02-11 1987-08-06 Ruf Kg Wilhelm Universell programmierbare Tastatur
US4794375A (en) * 1987-04-13 1988-12-27 Apple Computer, Inc. Keyboard crosspoint encoder having pseudo-n-key rollover
US4888600A (en) * 1988-01-29 1989-12-1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 Corp. Keyboard arrangement with ghost key condition detection
US4906993A (en) * 1988-04-04 1990-03-06 John Fluke Mfg. Co., Inc. Keyboard scanner apparatus and method
GB2221071B (en) * 1988-07-04 1992-08-19 Devlin Electronics Ltd Improvements in electronic keyboards
GB2222286A (en) * 1988-08-25 1990-02-28 Acer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phanton switch condition
US5070330A (en) * 1989-01-12 1991-12-03 Acer Incorporated Keyboard scanning matrix
US5059974A (en) * 1989-02-02 1991-10-22 Acer Incorporated Method for determining phantom switch condition
DE4012450A1 (de) * 1990-04-19 1991-10-24 Heinrich Geiring Einrichtung fuer elektronische schreibmaschinen
KR930005841B1 (ko) * 1990-10-27 1993-06-25 삼성전자 주식회사 마이크로_콤퓨터시스템의 키스캔회로 및 그 방법
DE4106511C2 (de) * 1991-03-01 1998-04-09 Bosch Gmbh Robert Schaltungsanordnung für eine Tastatursteuerung
US5469159A (en) * 1991-09-09 1995-11-21 Mitsumi Electric Co., Ltd. Method capable of judging validity or invalidity of a status of switching elements in a keyboard switch device
US5402121A (en) * 1991-11-01 1995-03-28 Ast Research, Inc. Numeric keypad integration system
US5621402A (en) * 1993-07-21 1997-04-15 Advanced Micro Devices, Inc. Keypad scanner
US5486824A (en) * 1994-10-05 1996-01-23 Motorola, Inc. Data processor with a hardware keyscan circuit, hardware keyscan circuit, and method therefor
US5552781A (en) * 1994-10-31 1996-09-03 Ford Motor Company Fault tolerant method of decoding an electronic key system
US6417787B1 (en) * 1999-08-24 2002-07-09 United Microelectronics Corp. Method and apparatus for increasing the number of keys of a key-matrix
DE10360157A1 (de) * 2003-12-20 2005-07-28 Iacov Grinberg Verfahren zur Steuerung einer Eingabe von Signalen mit Hilfe einer Tastatur und Verfahren zur automatischen Feststellung im Laufe einer Eingabe eines Textes und seiner nachfolgenden Korrektur eines häufigen Erscheinens der nicht erwünschten Symbole von den benachbarten Tasten
KR100971289B1 (ko) * 2008-03-04 2010-07-20 주식회사 팬택 키 입력의 오감지 방지를 위한 키 입력 장치
JP5203150B2 (ja) * 2008-11-26 2013-06-05 京セラ株式会社 キー入力装置、及びキー入力装置を備えた携帯通信端末
CN102227698B (zh) * 2008-11-26 2014-04-02 京瓷株式会社 按键输入装置及具备按键输入装置的便携通信终端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93928A (en) * 1966-07-12 1970-02-03 Ibm Electronic keyboard terminal code checking system
US3745536A (en) * 1971-03-01 1973-07-10 Burroughs Corp High speed serial scan and read-out of keyboards
US4106011A (en) * 1975-10-24 1978-08-08 Tektronix, Inc. Keyboard circuit
JPS5477534A (en) * 1977-12-02 1979-06-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Digital input circuit
JPS54121026A (en) * 1978-03-13 1979-09-19 Fujitsu Ltd Input control system
JPS54122928A (en) * 1978-03-17 1979-09-22 Hitachi Ltd Keyboard control circuit
JPS5690328A (en) * 1979-12-24 1981-07-22 Toshiba Corp Keyboard control system
US4420744A (en) * 1981-02-12 1983-12-13 Oak Industries Inc. Keyboard crosspoint encoder having N-key rollover
JPS58161026A (ja) * 1982-03-19 1983-09-24 Hitachi Ltd 入力装置
EP0095023A3 (en) * 1982-05-20 1985-04-1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Contact keyboard with finger controlled n-key rollover
US4581603A (en) * 1983-03-11 1986-04-08 The Maxi-Switch Company Switch matrix key closure validation device and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51485B2 (ko) 1993-01-08
US4922248A (en) 1990-05-01
GB2162351A (en) 1986-01-29
GB8518726D0 (en) 1985-08-29
DE3519360A1 (de) 1985-10-24
KR860001389A (ko) 1986-02-26
JPS6132127A (ja) 1986-02-14
GB2162351B (en) 1988-03-30
DE3519360C2 (ko) 1989-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00000095B1 (ko) 키이보오드의 키이출력 방법
US4591833A (en) Keyboard unit control system using block scanning techniques
JPH07121664A (ja) 自動ヨーロッパ言語決定装置
US3717871A (en) Keyboard input device
JPH0313610B2 (ko)
JPH024030A (ja) キーボード装置
GB2316842A (en) Message Correction in pager
US7201325B1 (en) Microprocessor card including a hard-wired communication circuit
JP3017192B1 (ja) Nキーロールオーバー・キーボードシステム
JP2841555B2 (ja) データ入力装置
JPH01205314A (ja) 入力装置
KR900006287B1 (ko) 멤브레인 커패시티브 키보드의 엔키롤오버 스캔시스템 및 방법
JPS6022227A (ja) 欧文テキスト処理装置
KR940005435B1 (ko) 키보드의 팬텀 현상 방지방법
JP2509186B2 (ja) コ−ド変換方式
JPH0659793A (ja) キーボードの打鍵キー認識方法
JP2839237B2 (ja) キーボードのキーコード出力装置及び出力方式
KR100515671B1 (ko) 키보드 입력방법
KR970009068A (ko) 소수의 전화버튼을 이용한 문자 제어방법 및 장치
JPS63123114A (ja) キ−マトリツクス回路
SU1029173A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ввода информации
JPS6252623A (ja) キ−ボ−ド
JPS59178533A (ja) キ−ボ−ド式入力装置
GB222228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phanton switch condition
JPS63149717A (ja) 押下キ−の検出方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