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1289B1 - 키 입력의 오감지 방지를 위한 키 입력 장치 - Google Patents

키 입력의 오감지 방지를 위한 키 입력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1289B1
KR100971289B1 KR1020080020145A KR20080020145A KR100971289B1 KR 100971289 B1 KR100971289 B1 KR 100971289B1 KR 1020080020145 A KR1020080020145 A KR 1020080020145A KR 20080020145 A KR20080020145 A KR 20080020145A KR 100971289 B1 KR100971289 B1 KR 1009712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signal
input
output
pa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01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95064A (ko
Inventor
권대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to KR10200800201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1289B1/ko
Priority to JP2009035714A priority patent/JP2009211694A/ja
Priority to US12/388,914 priority patent/US20090224949A1/en
Publication of KR200900950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50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12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12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11/00Coding in connection with keyboards or like devices, i.e. coding of the position of operated keys
    • H03M11/003Phantom keys detection and preven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7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키 입력의 오감지 방지를 위한 키 입력 장치에 관한 것으로, 온 상태일 때, 상기 입력 경로로 입력된 키 인식 신호가 스위치의 출력 경로와 연결된 일단으로 공급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차단부를 포함하는 키 입력 장치에 의해 동시에 혹은 순차적으로 복수의 키 입력이 발생할 경우, 이에 대해서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다.
키 입력, 이동통신 단말기, 키패드

Description

키 입력의 오감지 방지를 위한 키 입력 장치{Key Input Apparatus for Preventing dectecting faul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키 입력의 오감지 방지를 위한 키 입력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동 통신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휴대가 용이한 이동 통신 단말의 기능이 다양화되고 있다. 이동 통신 단말을 이용하여 음성 통화는 물론, 초고속 인터랙티브(게임), 대용량의 데이터 전달(FTP) 및 모바일 IP-TV등을 포함하는 쿼드러플 플레이 서비스(Quadruple Play Service)등의 이용이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이동 단말을 이용하여 다양한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보다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기술 개발에 대한 관심이 더 높아지고 있다.
일 예로 무선인터넷 이용자들은 차세대 무선 인터넷 플랫폼인 브루(BREW:Binary Runtime Environment for Wireless)기술이 탑재된 이동 통신 단말을 이용하여 이동통신사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다. 그리고 브루 기술이 탑재된 이동 통신사 네트워크를 통해 무선으로 자신이 원하는 데이터를 다운로드 받거나 필요에 따라 자신이 가진 이동 통신 단말의 소프트웨어도 무선으로 업그레이드할 수 있다. 이 무선인터넷 플랫폼은 이동전화 단말기에서 개인용컴퓨터의 운영체제와 같은 구실을 하는 것으로, 게임, 동영상 등 여러 소프트웨어가 실행되도록 하는 미들웨어다. 특히 3차원 그래픽 및 강력한 호환성 등을 특징으로 한다.
이같이 이동 통신 단말을 통한 서비스는 다양화되고 이에 따라 더 세밀한 정밀 제어가 필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박진감 넘치는 게임 환경을 제공하기 위해서 복수의 키를 동시에 누르거나, 적어도 하나의 키를 누른 상태에서 다른 키를 입력함으로써 다양한 입력 신호를 생성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기존의 이동 통신 단말의 키 입력 체계로는 두 개의 키를 누른 상태에서 다른 하나의 키를 입력하거나, 동시에 3개의 키 입력이 발생할 경우, 이에 대해서 정확하게 인식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본 발명은 이 같은 배경에서 도출된 것으로, 여러 개의 키 입력이 발생하더라도 키 입력을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는 키 입력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같은 기술적 과제는 M개의 신호 입력 경로, N개의 신호 출력 경로 및 양 단이 각각 신호 입력 경로와 상기 신호 출력 경로에 연결되고 키 입력 여부에 따라 온 오프 되는 최대 M x N 개의 스위치를 포함하는 키 입력 장치가 스위치가 온 상태일 때, 상기 신호 입력 경로로 입력된 키 인식 신호가 상기 스위치의 상기 스위치의 출력 경로와 연결된 일단으로 공급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차단부를 포함함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동시에 혹은 순차적으로 복수의 키 입력이 발생할 경우, 이에 대해서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다. 따라서 제한된 키 매트릭스 조합인 종래의 키 입력 장치로도 다양한 키 입력 신호를 생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전술한, 그리고 추가적인 본 발명의 양상들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해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이러한 실시예들을 통해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 명하기로 한다.
도 1은 키 입력의 오감지시 키 인식 신호 흐름의 예시도이다.
예를 들어 UP, DOWN키 입력이 있는 경우 즉, SW2, SW3 스위치가 온(ON) 상태인 경우에, 키 검출부(130)는 KEYD0의 출력 경로를 통해 로우 신호가 출력되는 시점에서 KEYSENSE3과 KEYSENSE4으로 로우 신호 즉, 키 인식 신호가 감지되면 UP, DOWN키 입력을 인식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 있어서 신호 출력부(110)는 키 인식 신호로 로우 신호를 출력하기 때문에 KEYSENSE3과 KEYSENSE4가 KEYD0와 쇼트 상태일 때 UP, DOWN키 입력을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숫자키 8 이 눌리면, 즉 SW18이 온 상태가 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에 도시한 경로(a)에 따라 KYPD3으로 로우 신호가 출력되는 시점에서 KEYSENSE3으로 로우 신호가 감지되어야 한다. 그런데 이때 SW2와 SW3이 온 상태이기 때문에 도 1에 점선으로 도시한 경로(b)를 따라 KEYSENSE4에서도 로우 신호가 감지되게 된다.
즉, 이 경우에 키 검출부(130)는 실제는 오프 상태인 SW17이 온 상태라고 잘못 판단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실제 눌리지 않은 숫자키 7이 눌려졌다고 오감지하게 된다.
본 발명은 이같이 복수의 키 입력이 발생할 경우에 실제로 눌리지 않은 키가 눌린것으로 오감지 하는 것을 막기 위해 도출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키 입력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키 입력 검출 장치는 제어부(100), 스위 치(200) 및 차단부(300)를 포함한다.
제어부(100)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구비되어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어부(100)는 다수개의 출력 경로들(KYPD0, KYPD1, KYPD2, KYPD3, KYPD4)을 포함하는 신호 출력부(110), 다수개의 신호 입력 경로들(KEYSENSE0, KEYSENSE1, KEYSENSE2, KEYSENSE3, KEYSENSE4)를 포함하는 신호 감지부(120), 및 신호 감지부로 입력되는 키 인식 신호의 상기 출력 경로 및 상기 입력 경로 정보에 기초하여 키 입력을 검출하는 키 검출부(130)를 포함한다.
도 3은 신호 출력부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도시한 테이블이다.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호 출력부(110)는 다수개의 출력 경로들(KYPD0, KYPD1, KYPD2, KYPD3, KYPD4)을 통하여 순차적으로 하나의 출력 경로로 로우(L)신호를 출력한다. 그리고, 그 이외의 출력 경로들로는 하이 임피던스 값(Hi-Z)을 출력한다.
키 검출부(130)는 신호 감지부(120)로 입력되는 키 인식 신호의 출력 경로 및 입력 경로 정보에 기초하여 키 입력을 검출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신호 출력부(110)는 로우(L)신호를 순차적으로 출력하기 때문에, 키 검출부(130)는 입력되는 입력 시간차에 의해 입력되는 키 인식 신호가 어떤 출력 경로를 통해 출력된 신호인지를 파악할 수 있다.
일 예로 키 검출부(130)는 KYPD0 출력 경로로 로우 신호가 출력되는 시점에서 KEYSENSE1로 키 인식신호가 입력되면, SW5가 온 상태임을 판단할 수 있다. 즉, LEFT 키의 입력을 검출할 수 있다. 또한, KYPD1로 로우 신호가 출력되는 시점에서 KEYSENSE3으로 키 인식 신호 입력이 감지되면, SW3가 온 상태임을 판단할 수 있고, 이때는 DOWN키 입력을 검출할 수 있다.
차단부(300)는 일단이 신호 감지부(120)에 연결되고, 그 타단이 스위치(200)의 일단에 연결되어 신호 출력부(110)에 연결된 일단으로부터 스위치(200)에 연결된 타단으로 키 인식 신호가 통과하는 것을 차단한다.
보다 상세하게 차단부(300)는 애노드(Anode)가 신호 감지부(120)에 연결되고, 캐소드(Cathode)가 스위치(200)의 일단에 연결되는 다이오드(Diode)이다. 그러나 차단부(300)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스위치(200)는 일단이 신호 출력부(110)와 연결되고 그 타 단이 신호 감지부(120)와 연결된다. 따라서 차단부(300)는 신호 출력부(110)에서 출력된 키 인식 신호가, 신호 감지부(120)와 연결된 스위치(200) 일단으로부터 신호 출력부(110)와 연결된 타단으로 흐르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그 어떤 구성도 포괄하도록 해석된다.
도 2 에 도시된 키 입력 장치는 차단부(300)가 스위치들 중 일부에만 구비되었으나, 모든 스위치(200)들에 구비될 수도 있고 어느 일부에만 구비될 수도 있어 차단부(300)의 수에는 제한이 없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신호 감지부(120)는 실제로는 스위칭 다이오드(300)의 전위 장벽만큼 전압이 감지되더라도 로우 신호로 감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신호 출력부(110)에서 로우 신호가 출력되는 출력 경로 이외의 출력 경로로는 0.7V보다 명백히 큰 값을 출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키 입력 검출 장치에서 키 인식 신호 흐름의 예시도이다.
예를 들어 UP, DOWN 키 입력이 있는 경우, 즉, SW2, SW3 스위치가 온(ON) 상태인 경우에, 키 검출부(130)는 KEYD0의 출력 경로를 통해 로우 신호가 출력되는 시점에서 KEYSENSE3과 KEYSENSE4으로 로우 신호 즉, 키 인식 신호가 감지되면 UP, DOWN키 입력을 인식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 있어서 신호 출력부(110)는 키 인식 신호로 로우 신호를 출력하기 때문에 KEYSENSE3과 KEYSENSE4가 KEYD0와 쇼트 상태일 때 UP, DOWN키 입력을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숫자키 8 이 눌리면, 즉 SW18이 온 상태가 되면 도 4에 도시한 경로에 따라 KYPD3으로 로우 신호가 출력되는 시점에서 KEYSENSE3 으로 로우 신호가 감지되어야 한다.
이때 실제로 SW3이 온 상태이기 때문에 키 인식 신호는 노드 n에서 SW3 방향으로인가 될 수도 있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신호 출력부(110)는 순차적으로 로우 신호를 인가하기 때문에 KEYD3으로부터 로우 신호가 출력될 때 다른 KEYD0, KEYD1, KEYD2, KEYD4에는 하이 임피던스가 걸리게 된다. 따라서 차단부(300,D3)에 의해서 로우 신호가 SW3으로 전달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즉, SW18이 온 상태가 되면서 n으로 전달되는 KEYD3으로부터 출력된 키 인식 신호는 KEYSENSE3으로만 전달되고, 정확하게 숫자키 8 이 눌려진 사실을 감지할 수 있다.
이미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이 같이 실제 눌리지 않은 키가 눌렸다고 오감지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더 다양한 키 입력 신호를 생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해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키 입력의 오감지시 키 인식 신호 흐름의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키 입력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신호 출력부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도시한 테이블,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키 입력 검출 장치에서 키 인식 신호 흐름의 예시도이다.

Claims (4)

  1. M개의 신호 입력 경로; N개의 신호 출력 경로; 양 단이 각각 신호 입력 경로와 상기 신호 출력 경로에 연결되고 키 입력 여부에 따라 온 오프 되는 최대 M x N 개의 스위치; 상기 N개의 출력 경로를 통해 키 인식 신호를 출력하는 신호 출력부, M개의 서로 다른 입력 경로로 입력되는 상기 키 인식 신호를 감지하는 신호 감지부 및 상기 신호 감지부에서 감지되는 키 인식 신호의 상기 출력 경로 및 상기 입력 경로 정보에 기초하여 키 입력을 검출하는 키 검출부를 포함하는 제어부; 및 상기 스위치가 온 상태일 때, 상기 신호 입력 경로로 입력된 키 인식 신호가 상기 스위치의 출력 경로와 연결된 일단으로 공급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차단부;를 포함하는 키 입력 장치에 있어서,
    상기 신호 출력부는 상기 N개의 출력 경로들 중 하나를 통해 순차적으로 키 인식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키 검출부는 상기 신호 감지부에서 감지되는, M개의 다른 입력 경로들 중 하나로 입력되는 키 인식 신호의 입력 시간 차에 따라 출력 경로와 입력 경로를 파악하여 키 입력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입력의 오감지 방지를 위한 키 입력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는 스위칭 다이오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입력의 오감지 방지를 위한 키 입력 장치.
  3. 삭제
  4. 삭제
KR1020080020145A 2008-03-04 2008-03-04 키 입력의 오감지 방지를 위한 키 입력 장치 KR1009712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0145A KR100971289B1 (ko) 2008-03-04 2008-03-04 키 입력의 오감지 방지를 위한 키 입력 장치
JP2009035714A JP2009211694A (ja) 2008-03-04 2009-02-18 誤感知防止のためのキー入力装置
US12/388,914 US20090224949A1 (en) 2008-03-04 2009-02-19 Key input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0145A KR100971289B1 (ko) 2008-03-04 2008-03-04 키 입력의 오감지 방지를 위한 키 입력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5064A KR20090095064A (ko) 2009-09-09
KR100971289B1 true KR100971289B1 (ko) 2010-07-20

Family

ID=410530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0145A KR100971289B1 (ko) 2008-03-04 2008-03-04 키 입력의 오감지 방지를 위한 키 입력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090224949A1 (ko)
JP (1) JP2009211694A (ko)
KR (1) KR10097128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561829B2 (ja) * 2010-06-28 2014-07-30 京セラ株式会社 キー入力装置およびキー入力装置を備えた携帯通信端末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5591A (ja) * 1992-07-15 1994-02-10 Murata Mfg Co Ltd キー入力回路
KR20060056498A (ko) * 2004-11-22 2006-05-25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이동통신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방향키 인식 방법
KR20060111188A (ko) * 2005-04-22 2006-10-26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의 키 입력 장치
JP2007323295A (ja) 2006-05-31 2007-12-13 Funai Electric Co Ltd キー入力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28847A (en) * 1974-02-04 1975-12-23 Cpt Corp Fast scan electronic circuit with contact bounce elimination for an automatic typing system keyboard
US4194425A (en) * 1977-08-24 1980-03-25 Kabushiki Kaisha Kawai Gakki Seisakusho Key code generator
JPS5477534A (en) * 1977-12-02 1979-06-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Digital input circuit
US4581603A (en) * 1983-03-11 1986-04-08 The Maxi-Switch Company Switch matrix key closure validation device and method
JPS6083132A (ja) * 1983-10-14 1985-05-11 Toshiba Corp タッチスイッチ付表示装置
JPS6132127A (ja) * 1984-07-24 1986-02-14 Alps Electric Co Ltd キーボードのキーコード出力装置
JPH077322B2 (ja) * 1985-01-31 1995-01-30 株式会社東芝 キ−ボ−ド装置
JPH0626088B2 (ja) * 1988-09-06 1994-04-06 富士通株式会社 シート状スィッチ素子
US5177330A (en) * 1988-09-19 1993-01-05 Futaba Denshi Kogyo K.K. Key board switch
JPH0348180A (ja) * 1989-04-27 1991-03-01 Casio Comput Co Ltd スイッチ状態高速検出装置
JP3142016B2 (ja) * 1991-12-11 2001-03-07 ヤマハ株式会社 電子楽器用鍵盤装置
US5523755A (en) * 1993-11-10 1996-06-04 Compaq Computer Corp. N-key rollover keyboard without diodes
US6417787B1 (en) * 1999-08-24 2002-07-09 United Microelectronics Corp. Method and apparatus for increasing the number of keys of a key-matrix
US7030858B1 (en) * 1999-10-28 2006-04-18 Lucent Technologies Inc. Bi-directional scan switch matrix method and apparatus
JP2002073262A (ja) * 2000-09-01 2002-03-1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入力状態検出装置
US7151432B2 (en) * 2001-09-19 2006-12-19 Immersion Corporation Circuit and method for a switch matrix and switch sensing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5591A (ja) * 1992-07-15 1994-02-10 Murata Mfg Co Ltd キー入力回路
KR20060056498A (ko) * 2004-11-22 2006-05-25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이동통신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방향키 인식 방법
KR20060111188A (ko) * 2005-04-22 2006-10-26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의 키 입력 장치
JP2007323295A (ja) 2006-05-31 2007-12-13 Funai Electric Co Ltd キー入力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9211694A (ja) 2009-09-17
KR20090095064A (ko) 2009-09-09
US20090224949A1 (en) 2009-09-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883173B (zh) 手机的控制方法
US20050140657A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multi-input device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MXPA06011878A (es) Terminal de comunicaciones moviles que tiene funcion de prevencion de error de ingreso de tecla y metodo del mismo.
US20140118247A1 (en) Control apparatus, control method, program, input signal receiving apparatus, operation input apparatus, and input system
CN102707830A (zh) 显示控制设备、显示控制方法和程序
CN101488069A (zh) 功能切换方法及系统
US7774518B2 (en) Method for switching of KVM switch ports and related device
CN104866226A (zh) 一种终端设备及其控制方法
CN106502470A (zh) 防止触摸按键误触发的方法、装置及终端
CN108024128A (zh) 蓝牙音乐播放的控制方法、装置、终端设备及存储介质
KR100971289B1 (ko) 키 입력의 오감지 방지를 위한 키 입력 장치
CN106874757A (zh) 恶意软件的卸载方法、恶意软件的卸载系统和终端
KR101481891B1 (ko) 모바일 단말 및 이의 제어 방법
US20080076491A1 (en) Portable terminal device
CN106527863A (zh) 基于保护套的界面显示方法及装置
US8947362B2 (en) Key input device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the key input device
KR101026868B1 (ko) 서비스 제공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터치스크린 장치
US20080238729A1 (en) Key operation device and mobile terminal device
KR100464002B1 (ko) 키패드 분리형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
CN110244890A (zh) 电子终端及其图像显示控制方法、装置
CN112333318B (zh) 按键功能的响应方法、装置及电子设备
KR100608795B1 (ko) 휴대단말기의 문자 입력장치 및 방법
CN107015727A (zh) 一种控制字符分隔符的方法及终端
KR20080024341A (ko) 터치 패드를 이용한 정보 입력 기능을 갖는 단말기와 그방법
KR100764296B1 (ko) 휠 키를 구비한 이동 통신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