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14168A - 정미의 가습장치와 정미 시스템 - Google Patents

정미의 가습장치와 정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14168A
KR890014168A KR1019890003681A KR890003681A KR890014168A KR 890014168 A KR890014168 A KR 890014168A KR 1019890003681 A KR1019890003681 A KR 1019890003681A KR 890003681 A KR890003681 A KR 890003681A KR 890014168 A KR890014168 A KR 8900141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ular housing
net
transport path
supply
air f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036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07012B1 (ko
Inventor
도시히꼬 사다께
Original Assignee
도시히꼬 사다께
가부시끼가이샤사다께세이샤꾸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26411547&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890014168(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Priority claimed from JP63070386A external-priority patent/JPH084751B2/ja
Priority claimed from JP63096474A external-priority patent/JPH0732881B2/ja
Application filed by 도시히꼬 사다께, 가부시끼가이샤사다께세이샤꾸쇼 filed Critical 도시히꼬 사다께
Publication of KR8900141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141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70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701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BPREPARING GRAIN FOR MILLING; REFINING GRANULAR FRUIT TO COMMERCIAL PRODUCTS BY WORKING THE SURFACE
    • B02B1/00Preparing grain for milling or like processes
    • B02B1/04Wet treatment, e.g. washing, wetting, softe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9/00Other milling methods or mills specially adapted for grain
    • B02C9/04Systems or sequences of operations; Pla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BPREPARING GRAIN FOR MILLING; REFINING GRANULAR FRUIT TO COMMERCIAL PRODUCTS BY WORKING THE SURFACE
    • B02B1/00Preparing grain for milling or like processes
    • B02B1/04Wet treatment, e.g. washing, wetting, softening
    • B02B1/06Devices with rotary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BPREPARING GRAIN FOR MILLING; REFINING GRANULAR FRUIT TO COMMERCIAL PRODUCTS BY WORKING THE SURFACE
    • B02B1/00Preparing grain for milling or like processes
    • B02B1/08Conditioning grain with respect to temperature or water cont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BPREPARING GRAIN FOR MILLING; REFINING GRANULAR FRUIT TO COMMERCIAL PRODUCTS BY WORKING THE SURFACE
    • B02B3/00Hulling; Husking; Decorticating; Polishing; Removing the awns; Degerm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ereal-Derived Products (AREA)
  • Adjustment And Processing Of Grain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정미의 가습장치와 정미 시스템
본 내용은 요부공개 건이므로 전문내용을 수록하지 않았음
제1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정미기와 정미의 가습장치를 포함하는 정미 시스템의 부분적으로 잘라낸 정면도.
제 2도는 관상 하우징이 수평으로 설치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가습장치의 부분적으로 잘라낸 정면도.
제 3도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복수의 정미기와 정미 가습장치를 포함하는 정미 시스템의 부분적으로 잘라낸 정면도.
제4도는 제3도에서 도시한 가습장치의 정면도.
제5도는 제3도에서 도시한 가습장치의 우측면도.
제6도는 제3도에서 도시한 가습장치의 좌측면도.
제7도는 제3도에서 도시한 가습장치의 후면도.
제8도는 제 4도의 Ⅷ-Ⅷ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제9도는 제3도 내지 제8도에서 도시한 가습장치의 변형된 형태의 부분적으로 확대한 단면도.

Claims (19)

  1. 정미의 가습장치에 있어서; 정미가 돌려지면서 수송로를 따라 수송되도록, 소정의 정미 수송로를 이루는 관상 하우징(7 ; 49; 273)을 갖는 컨베이어 수단(8 ; 50 ; 204A, 204B) ; 정미에 균열이 발생하지 않을 정도의 양으로, 상기 수송로를 따라 운반된 정미에 습기를 공급하기 위해, 상기 수송로와 연결 설치된 가습장치(17 ; 72; 253), 상기 가습수단으로 가습된 정미의 과다한 습기를 제거하기 위해, 상기 수송로따라 공기가 유통하도륵 상기 수송로와 연결 설치한 공기 유동수단(26 ; 58 ; 254)을 포함하는 정미 가습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습수단(17 ; 72)은 상기 수송로를 따라 상호 간격을 두고 설치한 복수의 가습 노즐을 포함하는 정미 가습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유동수단(26)은 공기가 상기 수송로 일부를 따라 흐르도록 한 정미가습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상 하우징(7 ; 49 ; 203) 내외 압력을 높이기 위해, 상기 공기 유동수단에 의한 공기유동을 통제하기 위한, 상기 공기유통수단(26 ; 58; 254)과 연결 설치한 통제수단(39 ; 69, 263)을 포함하는 정미 가습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관상 하우징(7 ; 49 ; 203) 수송로의 한단부 근처에 연결된 공급수단(15 ; 70; 216)을 가지고, 상기 공급수단을 통하여 상기 수송로로 정미를 공급하고, 관상 하우징 수송로의 다른 단부근처에 연결된 배출 수단(71 ; 55 ; 222)을 가지고 있는 상기 배출 수단을 통하여 상기 관상 하우징 밖으로 정미를 배출하고, 상기 공급수단과 상기 배출수단 각각엔 밸브(33,34 ; 71, 54; 215, 224)틀 설치하여 정미가 상기 공급 수단과 상기 배출수단을 통하여 흐르도륵 하지만, 단 공기는 상기 공급 수단과 상기 배출수단을 통하여 흐르지 못하도록한 정미가습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환상 하우징(7)은 수직으로 전개하는 축을 가지며, 상기 가습수단은 상기 수송로를 따라 상호 간격을 두고 철칙한 복수의 습기 공급노즐(17)을 포함하고, 상기 공기유동수단(26)은 공기가 상기 수송로 일부를 따라 유동하도록 하며, 상기 장치는 또한, 상기 관상 하우징내의 압력을 높이기위해, 상기 공기유동수단과, 연결설치한 통제수단(30)을 가지고 상기 공기유동 수단에 의한 공기 유동을 통제하며, 상기 관상 하우징 수송로의 한 단부 근처에 연결한 공급수단(15)을 통해 상기 수송로로 정미를 공급하며, 상기 관상 하우징 수송로의 타단부 근처에 연결된 배출수단(21)을 통하여 상기 관상 하우징 밖으로 가습된 정미를 배출하며, 상기 공급수단과 상기 배출수단에는 정미가 상기 공급 및 배출수단을 통하여 흐르도록 각 밸브(33,34)를 설치하되, 단, 공기는 상기 공급수단 상기 배출수단을 통하여 흐르지 못하도록한 정미가습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수단(8 ; 50)은 상기 컨베이어축에 고정설치된 나사(9b,56b)와 상기 관상 하우징(7 , 49)내에 설치한 컨베이어축(9a,56a)를 포함하며, 상기 컨베이어축은 속이 비어 있으며 한끝은 열려있고, 상기 컨베이어축은 상기 컨베이어축의 주변벽에 형성된 복수의 통풍구멍(24 ; 57)을 가지며, 상기 컨베이어축의 공동부는 상기 퉁공구멍을 통하여 상기 관상 하우징의 내부와 소통하며, 상기 공기 흐름수단(26 ; 58)에 의해 상기 관상 하우징의 내부, 상기 퉁풍구멍, 상기 컨베이어축의 공동부, 그리고 축 개구의 한단부를 통하여 전개하는 소정의 공기 유통로 따라 공기가 흐르는 정미가급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유동수단은 흡입부(59)와 배출부를 갖는 송풍기(26 ; 58)를 포함하며, 상기 흡입부는 상기 컨베이어축(9a,56a)의 상기 개구 한 단부에 연결되며 배출부는 상기 관상 하우징에 연결되어, 상기 공기유로통는 재순환로를 형성하며, 상기 장치는 또한 정미를 공급하는 상기 환상 하우징 수송로의 단부 인접한 곳에 연결된 공급수단(15 ; 70), 가습된 정미가 관상 하우징 밖으로 배출되도륵 하는 상기 관상 하우징 수송로의 다른 단부근처에 연결한 배출수단(21 ; 55), 그리고 상기 관상 하우징 내외 압력을 높이기 위해, 상기 공기 유동수단에 의한 공기흐름을 통제하기 위해 상기 재순환로에 설치하는 통제수단(30 ; 69)을 포함하며, 상기 공급수단과 상기 배출수단 각각은, 상기 공급 및 배출수단을 통해 정미 흐르는 것은 허용하나 공기가 상기 공급과 배출수단을 통해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밸브(33,34 ; 71,54)를 설치한 정미 가습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상부재(499)는 수평축을 가지며, 상기 가습장치는 상기 수송로따라 상호 간격지게 설치한 복수의 습기 공급노즐(72)을 포함하며, 상기 공기 유동수단(58)은 공기자 사실상 전 수송로를 따라 흐르도록하고, 상기 장치는 또한 정미를 공급하는 상기 관상 하우징 수송로의 단부근처에 연결된 공급수단(70), 가습된 정미가 관상 하우징 밖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상기 관상 하우징 수송로의 다른 단부 근처에 연결한 배출수단(55), 그리고 상기 관상 하우징 내외 압력을 높이기 위해, 상기 공기 유통 수단에 의한 공기 흐름을 통제하기 위해 상기 공기유동수단과 연결 설치한 통제수단(69)을 포함하며, 상기 공급수단과 상기 배출수단 각각엔 밸브(74,54)를 설치하여, 상기 공급 및 배출수단을 퉁해 정미가 흐르는 것은 허용하지만 공기가 상기 공급 및 배출수단을 통해 흐르는 것은 방지하는 정미 가습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상 하우징(49)으로 송급될 정미를 가열하기 위해 히터 수단(86)을 포함하는 정미 가습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관상 하우징(203) 수송로의 단부 인접한 곳에 연결된 공급수단(216)을 포함하여, 정미가 상기 공급수단을 통하여 상기 수송로에 공급되며, 상기 가습수단은 상기 공급수단과 상기 관상 하우징 사이의 접속지점 근처에 설치한 단일 가습노즐(253)을 갖는 정미 가습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관상 하우징(203)은 서로 평행하게 수직으로 전개하는 축을 갖는 적어도 두개의 하우징부(203A,203B)를 포함하며, 상기 컨베이어수단은 상기 하우징부 내에 각각 설치된 적어도 두개의 컨베이어축(205A1,205B1)과 상기 컨베이어축에 각각 고정 설치되어 그축 주위로 전개하는 적어도 두개의 나사(250A2,250B2)를 포함하며, 상기 장치는 또한 소통수단(259)를 포함하며, 이를 통해 각 하우징부 내부는 상호 소통되고, 상기 컨베이어축들은 속이비어 있고 그들 각각의 한 단부는 열려있으며, 상기 컨베이어측 각각은 컨베이어축외 주변벽에 형성된 복수의 통풍구멍(212)을 가지며, 컨베이어축외 공동부는 퉁풍구멍을 통하여 상기 관상 하우징의 해당 내부와 소통하며, 상기 공기흐름 수단(254)에 의해 각 하우징의 내부, 상기 소통수단, 각 컨베이어축 주변벽내의 통풍구멍, 각 컨베이어축의 공동부 그리고 각 컨베이어축의 상기 개구의 한 단부를 통하여 전개하는 소정의 공기유동로따라 공기가 흐르는 정미 가습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정미를 공급하는 상기 관상 하우징(203) 수송로의 단부 인접한 곳에 연결된 공급수단(216), 가습된 정미가 관상 하우징 밖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상기 관상 하우징 수송로의 다른 단부 근처에 연결한 배출수단(222)을 포함하며, 상기 공기유동수단은 흠입 및 배출부를 갖는 송풍기(254)를 포함하며, 상기 흡입부는 각 컨베이어축의 상기 개구의 한 단부에 연결하고 상기 배출부는 상기 관상 하우징과 상기 배출 수단 사이에 접속부에 연결하여 상기 공기유동로가 재순환로를 형성하도록하고, 상기 장치는 또한 상기 관상 하우징내 압력을 높이기위해, 상기 공기유동수단에 의한 공기유동을 통제하기 위한 상기 재순환로에 설치한 통제수단(263)을 포함하며, 상기 공급 및 배출수단에는 상기 공급 및 배출수단을 통해 정미가 흐르는 것은 허용하나 공기가 흐르는 것은 방지하는 밸브(215,224)를 각각 설치한 정미 가습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관상 하우징 내로 열풍 송급을 위한 수단(256)을 포함하는 정미 가습장치.
  15. 정미 시스템에 있어서, 현미를 정미로 가공함에 있어 정미온도를 높이는 정미기(1 ; 100), 와 상기 정미기에서 정미를 가습하기 위한 장치 (22 , 200)를 포함하며, 상기 장치는 정미를 상기 수송로에따라 회전하면서 수송하기위해 소정의 정미 수송로를 형성하는 관상 하우징 (7 ; 203)을 갖는 컨베이어수단(8 ; 204aA,204B), 상기 정미기로부터의 정미를 상기 수송로로 송급하는 상기 정미기와 관상 하우징 수송로의 단부 근처에 연결된 공급수단(15 ; 26), 상기 정미에 균열이 발생하지 않을 정도의 양으로 상기 수송로따라 운반된 정미에 수분을 가하기 위해 상기 수송로에 연결 설치한 가습수단(17 ; 253), 상기 가습수단으로 인한 정미의 과다한 습기를 제거하기 위해 상기 수송로따라 공기가 흐르도록 상기 수송로에 연결 설치한 공기 유동수단(26 ; 254), 가습된 정미가 관상 하우징 밖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상기 관상 하우징 수송로의 다른 단부 근처에 연결한 배출수단(21 ; 222)을 포함하는 정미 시스템.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수단을 통하여 상기 관상 하우징(203) 밖으로 배출된 정미를 더욱 정미하기 위해, 상기 배출수단(222)에 연결된 제2의 정미기(300)를 포함하는 정미 시스템.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의 정미기에 의해 재차 정미하는 중에 그 정미를 가습하기 위한 제 2정미기(300)와 연결 설치한 수간(320)을 포함하는 정미 시스템.
  18. 제15항에 있어서, 관상 하우징(7)은 수직축을 가지며, 상기 가습수단은 상기 수송로에 따라 각각 간격을 두고 설치한 복수의 습기 공급노즐(17)을 포함하며, 상기 공기유동수단(26)은 상기 수송로일부를 따라 공기가 흐르도록 하여, 상기 장치는 또한, 정미를 공급하는 상기 관상 하우징 수송로의 단부 인접한 곳에 연결된 공급수단(15), 가습된 정미가 관상 하우징 밖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상기 관상 하우징 수송로의 다른 단부 근처에 연결한 배출수단(21), 그리고 상기 관상 하우징 내의 압력을 높이기 위해, 상기 공기 유동수단에 의해 공기흐름을 통제하기 위한 상기 공기흐름수단과 연결 설치한 통제수단(30) 포함하며, 상기 공급수단과 상기 배출수단 각각은 상기 공급 및 배출수단을 통해 정미가 흐르는 것을 허용하나 상기 공급과 배출수단을 통해 공기가 유동하는 것은 방지하는 밸브(33,34)를 설치한 정미 시스템.
  19.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관상 하우징(203)은 상호 평행하게 수직으로 전개하는 축을 갖는 적어도 두개의 하우징부(203A,203B)를 포함하며, 상기 컨베이어수단은 상기 하우징부 내에 각각 설치된 적어도 두개의 컨베이어축(205A1,205B1)과 상기 컨베이어축에 각각 고정설치 및 그축 주위로 전개하는 적어도 두개의 나사(205A1,257B2)를 포함하며, 상기 장치는 또한, 소통수단(259)을 포함하며, 이를 통해 각 하우징부로 내부는 상호 소통되고, 상기 컨베이어축들은 속이 비어있고 그들 각각의 한 단부는 열려 있으며, 상기 컨베이어축 각각은 컨베이어축의 주변벽에 형성된 복수의 통풍구멍(212)을 가지며, 컨베이어축의 공동부는 통풍구멍을 통하여 상기 관상 하우징의 해당 내부와 소통하며, 상기 공기흐름수단(254)에 의해 각 하우징의 내부, 상기 소통수단, 각 컨베이어축 주변벽내의 통풍구멍, 각 컨베이어축의 공동부, 그리고 각 컨베이어축의 상기 개구의 한 단부를 통하여 전개하는 소정의 공기유동로 따라 공기가 흐르는 정미 시스템.
    ※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KR1019890003681A 1988-03-23 1989-03-23 정미의 가습장치와 정미시스템 KR92000701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3070386A JPH084751B2 (ja) 1988-03-23 1988-03-23 白米加湿装置
JP70386 1988-03-23
JP63-70386 1988-03-23
JP63-96474 1988-04-18
JP63096474A JPH0732881B2 (ja) 1988-04-18 1988-04-18 白米加湿装置
JP96474 1988-04-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4168A true KR890014168A (ko) 1989-10-23
KR920007012B1 KR920007012B1 (ko) 1992-08-24

Family

ID=264115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03681A KR920007012B1 (ko) 1988-03-23 1989-03-23 정미의 가습장치와 정미시스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4913045A (ko)
EP (1) EP0334599B1 (ko)
KR (1) KR920007012B1 (ko)
AU (1) AU607883B2 (ko)
DE (1) DE68909820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77618B2 (ja) * 1988-06-16 1995-08-23 株式会社佐竹製作所 製粉方法及びその装置
JP3012070B2 (ja) * 1991-12-27 2000-02-21 株式会社山本製作所 精米装置
JPH09122510A (ja) * 1995-11-02 1997-05-13 Satake Eng Co Ltd 脱ぷ装置
CN1263546C (zh) 2000-07-05 2006-07-12 株式会社山本制作所 免淘米制造装置
CN1267193C (zh) * 2001-06-11 2006-08-02 蜻蛉工业株式会社 横型研磨式精碾米机
JP4409879B2 (ja) * 2003-08-04 2010-02-03 株式会社ファンケル γ−アミノ酪酸を富化させる方法及びその方法により得られる穀物
US8104474B2 (en) * 2005-08-23 2012-01-31 Portaero, Inc. Collateral ventilation bypass system with retention features
CN108077421A (zh) * 2017-11-08 2018-05-29 安徽森米诺农业科技有限公司 一种稻谷干储装置
CN109078669A (zh) * 2018-08-08 2018-12-25 湖南长乐粮油贸易有限公司 一种连续多级糙米调质流水线
US11472643B1 (en) * 2021-12-29 2022-10-18 Johnny F. Sen Grain dryer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677528A (en) * 1949-06-15 1952-08-20 Miag Vertriebs Gmbh Process for the treatment of edible seeds such as cereal grains and pulses
JPS52107956A (en) * 1976-03-02 1977-09-10 Toshihiko Satake Humidifying pearling mill
JPS52117767A (en) * 1976-03-26 1977-10-03 Toshihiko Satake Humidifying pearling mill
JPS6044014B2 (ja) * 1977-04-01 1985-10-01 株式会社 サタケ 精米装置
US4344975A (en) * 1979-03-15 1982-08-17 Gebruder Buhler Ag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agglomerated bread crumbs
GB2044072B (en) * 1979-03-19 1983-05-11 Satake Eng Co Ltd Process and apparatus for polishing rice grains
JPS5653752A (en) * 1979-10-08 1981-05-13 Satake Eng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humidifying polished r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334599B1 (en) 1993-10-13
AU607883B2 (en) 1991-03-14
KR920007012B1 (ko) 1992-08-24
DE68909820D1 (de) 1993-11-18
US4913045A (en) 1990-04-03
DE68909820T2 (de) 1994-03-10
EP0334599A2 (en) 1989-09-27
EP0334599A3 (en) 1990-07-04
AU3157689A (en) 1989-09-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90014168A (ko) 정미의 가습장치와 정미 시스템
CA1155695A (en) Apparatus for reprocessing old paper
ITTO970110A1 (it) Macchina essiccatrice per tabacco trinciato, in particolare per costo- le di tabacco trinciate ed espanse.
CN110542301A (zh) 采用热风烘干方式对谷物的干燥工艺
CZ279973B6 (cs) Stroj na konvekční sušení a/nebo fixování
JP3042989B2 (ja) 穀物乾燥装置
CN110500875B (zh) 浮动式谷物烘干机
PL110524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leaning seed-grain
CN212865263U (zh) 一种印染用烘干装置
JPH0514153Y2 (ko)
US1024763A (en) Air-cooling apparatus for fruit.
TH3273B (th) อุปกรณ์ให้ความชื้นแก่ข้าวสารและระบบการสีข้าว
TH6703A (th) อุปกรณ์ให้ความชื้นแก่ข้าวสารและระบบการสีข้าว
JP2816265B2 (ja) 穀物乾燥装置
CN212842805U (zh) 一种烘干机均风口装置
JP3330914B2 (ja) 穀物遠赤外線乾燥装置
CN213179303U (zh) 一种高效网带烘干装置
JPH0239562Y2 (ko)
JP4019657B2 (ja) 遠赤外線穀粒乾燥機
JP2001027481A (ja) 穀粒乾燥機
JPH0236589Y2 (ko)
CN113883844A (zh) 一种谷物深加工用烘干塔
JPS5825267Y2 (ja) 循環型穀粒通風乾燥機
CN114468041A (zh) 一种农业稻谷处理装置
JPS5930389Y2 (ja) 循環型乾燥機における昇降機への穀粒移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811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