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5314B1 - 전자석 릴레이 - Google Patents

전자석 릴레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5314B1
KR890005314B1 KR1019850009681A KR850009681A KR890005314B1 KR 890005314 B1 KR890005314 B1 KR 890005314B1 KR 1019850009681 A KR1019850009681 A KR 1019850009681A KR 850009681 A KR850009681 A KR 850009681A KR 890005314 B1 KR890005314 B1 KR 8900053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magnet
contact
space
extending
switc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500096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60005415A (ko
Inventor
가즈히로 노부도끼
겐지 오노
게이지 오까하시
스에요시 마쯔무라
Original Assignee
마쯔시다 덴꼬 가부시끼가이샤
후지이 사다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59271529A external-priority patent/JPS61148803A/ja
Priority claimed from JP59278585A external-priority patent/JPS61151939A/ja
Application filed by 마쯔시다 덴꼬 가부시끼가이샤, 후지이 사다오 filed Critical 마쯔시다 덴꼬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8600054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54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53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53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02Bases; Casings; Covers
    • H01H50/06Bases; Casings; Covers having windows; Transparent cases or co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02Bases; Casings; Covers
    • H01H50/026Details concerning isolation between driving and switching circui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1/00Electromagnetic relays
    • H01H51/22Polarised relays
    • H01H51/2227Polarised relays in which the movable part comprises at least one permanent magnet, sandwiched between pole-plates, each forming an active air-gap with parts of the stationary magnetic circui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16Magnetic circuit arrangements
    • H01H50/36Stationary parts of magnetic circuit, e.g. yoke
    • H01H2050/365Stationary parts of magnetic circuit, e.g. yoke formed from a single sheet of magnetic material by punching, bending, ply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16Magnetic circuit arrangements
    • H01H50/36Stationary parts of magnetic circuit, e.g. yok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lectromagne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전자석 릴레이
제1도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전자석 릴레이의 분해 사시도.
제2도는 상기 릴레이의 대부분을 제거시켜 제1도와는 다른 방향에서 본 분해 사시도.
제3도는 상기 릴레이를 부분 정면도로 나타낸 종단면도.
제4도는 접촉 조립체가 상기 릴레이와 어떻게 상호작용 하는가를 도시한 분해 평면도.
제5도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부합되는 전자석 릴레이의 분해 투시도.
제6도는 제5도의 릴레이를 부분 정면도로 나타낸 종단면도.
제7도는 상기 릴레이에 사용되는 전기자의 분해사시도.
제8도는 전기자를 부분 단면으로 나타낸 평면도.
제9도는 상기 릴레이의 측면도.
제10도는 상기 릴레이의 수평단면도.
제11도는 제 3 실시예의 전자석 릴레이에 사용되는 분해 사시도.
제12도는 제11도의 전자석 릴레리의 개략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장착대 7 : 간막이
8 : 코일 공간 9 : 스위칭 공간
22 : 노치 27 : 분리기
30 : 전자석 31 : 요크
32 : 레그부 34 : 철심
37 : 코일 보빈 38 : 브릿지 부재
39 : 돌출부 40 : 코일 단자 럭(lug)
43 : 개방 슬릿 50 : 전기자
54 : 영구자석 64 : 스커트
70 : 접촉 조립체 100 : 전자석
본 발명은 전자석 릴레이에 관한 것이며, 특히 전자석을 접촉 조립체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해 절연 간막이가 제공되는 장착대를 포함하는 전자석 릴레이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전자석 릴레이에 있어서, 특히 소형 케이싱내에서 고접촉비가 요구되는 릴레이는 릴레이 케이싱 내부에 전자석을 설치하기 위한 한 공간과 접촉조립체를 설치하기 위한 다른 공간을 가진 두 공간으로 분리시키는 간막이 벽을 가지는 것으로 공지되어 있다. 전자석을 접촉조립체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한 상기 간막이를 가진 릴레이 구조는 전자석과 접촉조립체 사이에 최대 절연 저항을 가지며 밀집 패킹되는 부품을 가진 소형 릴레이 설계용으로 매우 필수적이다. 상기 간막이를 가진 종래의 릴레이는 예로서 미합중국 특허 제4,101,856호, 제4,302,742호 및 제4,339,735호에 기술되어 있으며, 상기 특허에서의 간막이는 전자석을 접촉 조립체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해 전자석 길이 방향으로 뻗어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의 릴레이에 사용된 모든 간막이는 전자석 활성화에 응답하여 접촉 조립체의 스위칭 동작을 실행하기 위하여 접촉 조립체에 전자석을 접속시키는 카드를 또는 유사한 작동 부재를 통해 통과하기 위해 길이의 슬롯 또는 개구를 가져야만 한다. 불행히도, 간막이에 형성되는 슬롯 또는 개구에 의해, 상기 간막이는 전자석의 전체 길이내에서 접촉 조리체와 전자석 사이에 완벽한 절연을 얻지 못하였으며 따라서, 슬롯 또는 개구는 전자석과 접촉 조립체 사이에 누출 통로를 쉽게 형성하여 접촉 조립체로부터 발생될 수 있는 아크현상이 신장되어 전자석에 손상을 준다. 따라서, 종래의 릴레이의 간막이에 있어서, 전기 절연은 간막이 영향을 상당히 감소시키도록 간막이 부분에서 방해를 받으며 간막이 영향을 상당히 감소시키는 양호하지 못한 절연을 제공하며 이것은 자기 및 전기 부품이 최대 절연 저항으로 밀집 패킹이 요구되며 고 접촉비를 가지는 소형 릴레이를 설계하는 것을 어렵게 한다.
상기 문제점은 특이하고 개량된 구조 형태를 가진 본 발명으로 해소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자석 릴레이는 전자석을 수용하기 위한 코일 공간과 접촉 조립체를 수용하기 위한 스위칭 공간을 가지며 전기 절연재질로 되어 있는 장착대를 가진다. 전기자는 상기 전자석에 자기적으로 결합되어 있으며 전자석의 활성화에 응답하여 스위칭 접촉 작동을 이행하기 위해 상기 가동 접촉부에 효과적으로 접속된다. 상기 장착대는 절연 간막이로 형성되며, 상기 간막이에 의해 장착대는 상기 코일 공간과 스위칭 공간으로 나누어 진다.
코일 공간을 스위칭 공간으로부터 완전히 분리시키기 위해, 간막이는 전자석의 전체 길이를 따라 뻗어서 전자석의 길이내에 코일 공간과 스위칭 공간 사이에 어떠한 연결통로도 제공되지 않게 한다. 상기 장치를 사용함으로, 전자석의 전 길이는 슬롯 또는 어떤 다른 개구가 제거된 간막이에 의해 접촉 조립체로부터 양호하게 절연되며 간막이를 통해 뻗어 있는 어떤 누출 통로의 첩경을 제거시킴으로 전자석과 접촉 조립체 사이에 확실한 절연을 제공한다. 상기 장치는 절연 목적을 위해 특별한 공간이 필요 없으며 접촉비를 가진 소형 릴레이에 특히 유리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1 목적은 전자석과 접촉 조립체 사이의 간막이에 의해 효과적이며 양호한 절연이 가능한 전자석 릴레이를 제공하는 것이며, 상기 릴레이는 전자석과 접촉 조립체 사이에 최대 절연을 제공하면서 릴레이 소형화에 적당하다.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있어서, 간막이에 의해 상기 절연을 효과적으로 얻을 수 있는 우수한 구조형태가 기술되어 있다. 릴레이의 장착대는 일반적인 사각 바닥벽과, 장착대의 측방으로부터 위로 뻗어있는 대향측벽과, 바닥벽의 한길이방향 종단으로부터 위로 뻗어있는 종단벽을 가지며 측방 종단에서 상기 측방벽과 결합되는 케이싱의 형태이다. 상기 종단벽에서 뻗은 간막이는 스위칭 공간 하부 및 코일 공간 상부를 한정하도록 대응측벽 사이의 바닥벽에 일반적으로 평행한 관계이다. 상기 간막이는 횡축이 수평으로 놓여지는 코일 공간에 설치되는 전자석의 전체 길이를 따라 뻗어서 전자석의 길이내에 어떤 연결통로를 형성함이 없이 코일 공간을 스위칭 공간으로부터 완벽하게 분리시킨다.
간막이는 종단벽에 대향하는 케이싱의 길이방향 종단에 대해 리세스되는 엣지에서 끝이나서 전자석의 길이 방향 종단의 수평 외부도 공간을 가진 리세스를 제한하며 상기 리세스를 통해 코일 공간은 전기자에 의해 전자석과 접촉 조립체 사이에서 효과적으로 접속하기 위해 오로지 스위칭 공간과 연결된다. 전기자는 자기적으로 결합된 전자석의 길이 방향 종단에 인접하여 배치되며 전기적 절연재질 카드가 제공되어 접촉 조립체와 함게 접속하기 위해 스위칭 공간에서 상기 리세스를 통과하거나 또는 간막이의 개방 종단을 통과한다. 상기 조립체와 함께, 코일 공간은 간막이의 개방 종단에서만 스위칭 공간과 연결되며, 상기 간막이는 접촉 조립체로부터 간막이에 의해 완전한 절연을 지키기 위해 전자석의 길이 방향으로부터 외부로 위치하는 반면에 전자석과 접촉 조립체 사이에 효율적인 접속이 이행되도록 전기자가 코일 간격을 따라 뻗는 것을 허용한다. 또, 접촉 조립체는 종단벽 근처 또는 스위칭 공간의 깊숙한 내부에 위치하는 스위칭 접촉부를 가지며 간막이 또는 리세스의 개방 종단으로부터 최대 거리간격을 가지며 절연효과를 증가시킨다.
전기자는 전기 절연재질의 스커트로 측방상에 양호하게 형성되며 상기 스커트는 측방벽을 향해 뻗어 있으며 측방벽 내부로 뻗어 있는 협동 플랩과 오버래핑 관계로 코일 공간을 스위칭 공간으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해 리세스에 거의 근접하며, 또한, 간막이의 개방 종단에 근접한다. 다른 말로 말하면, 전자석과 접촉 조립체 사이의 전기자 접속용으로 필수적인 리세스는 이들 사이에 실질적인 누출통로 형성을 방해할 수 있다. 이것은 접촉 조립체가 리세스에 인접하게 노출되는 전기 도전부로 설치될때 가장 효과적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코일 공간과 스위칭 공간 사이의 절연 효과를 감소시키지 않고 전기자가 계속적으로 상호결합될 수 있는 전자석 릴레이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양호한 실시예에 있어서, 릴레이 케이싱에 있어서 간막이 하부의 최소한 한 측벽에는 포트가 형성되며, 상기 포트를 통해 접촉 조립체의 접촉 스위칭부가 외부로부터 접근될 수 있다. 따라서, 접촉 스위칭부는 릴레이의 조립된 상태를 체킹할 목적으로 사용되며 포트를 삽입될 수 있는 적절한 기구를 조작함으로 접촉갭을 쉽게 조정할 수 있다.
실시예중의 한 접촉 조립체는 전기자에 의해 작동되는 가동접촉자 및 최소한 한 고정 접촉자를 각각 구비하는 두 세트의 접촉 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접촉 유닛의 세트는 서로 떨어진 공간을 가지며 상기 간막이에 의하여 분리기에 의해 분리되며 두 세트의 접촉 유닛의 접촉 스위칭부를 효과적으로 절연시킨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두 세트의 접촉 유닛이 서로 다른것으로부터 효과적으로 절연된 전자석 릴레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사용된 전자석은 웨브에 의해 접속되는 한쌍의 대향 레그부와, 요크레브와 평행한 관계로 상기 웨브로부터 뻗어 있는 철심과, 철심 주위에 감겨 있는 권선과 단단하게 접속되기 위해 요크레그부의 자유종단을 통과하여 뻗어 있는 최소한 한 브릿지 부재를 구비한다. 따라서, 요크가 보강되어 릴레이를 조립하는 동안에 가해지는 충격에 대해 잘 견디는 양호한 칫수의 안정성을 가져서, 일관되고 확실한 자기 특성을 가진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전자석이 양호한 칫수 안정성을 가지도록 보강되는 전자석 릴레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전기자와 협동으로 단안정 또는 쌍안정 스위칭 특성을 적절하게 얻을 수 있는 특이하고 적절한 전자석 구조 형태이다. 상기 전기자는 요크레그부의 판에 수직방향으로 간격을 가진 한쌍의 자극판을 포함하며, 이들 사이에 삽입된 영구자석에 의해 자기적으로 반대 극성으로 자화된다. 단안정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한 예에서, 요크레그부의 자유종단에 접속되는 단일 브릿징 부재는 상기 철심에 대해 대향극성의 자극부재 처럼 제공되는 자기물질로 만들어져 있다. 브릿지 부재는 요크레그부의 평면에 수직방향으로 철심의 자유종단으로부터의 공간을 가지며 철심과 브릿지 부재 사이의 갭을 한정하며, 전기자를 전자석에 자기적으로 결합시키기 위해 상기 갭 내부로 전기자의 한 자극판이 뻗어 있다. 계속해서 상기 브릿지 부재는 전자석을 비 활성화할때 전기자의 한 자극판을 당기도록 작동하며 전자석이 다시활성화할때까지 상기 안정위치에서 유지된다.
쌍안정 작동을 하기 위한 다른 장치에 있어서, 요크레그부재 쌍은 철심에 대해 대형극성의 자극부재로 제공되고 요크레그의 자유종단 쌍 접속을 위해 도입되어 있다. 부릿지 부재는 그들 사이에 삽입된 철심의 자유종단부를 가진 요크레그부의 평면에 수직 방향의 간격을 가진다.
상기 전기자는 브릿지 부재와 철심 사이에 뻗어 있는 각각의 자극판을 가진 전자석에 자기적으로 결합되며 전자석을 비활성화 상태에서 자극판 각각이 인접 브릿지 부재에 당겨지는 두 안정위치를 가진다. 이런 관점에 있어서, 전자석을 비활성화할때 브릿지 부재는 전기자의 자극판을 당기기 위해 작동하며, 전자석의 요크에 대해 칫수 안정성을 주기 위해 안내된 브릿지 부재를 양호하게 사용함으로 릴레이 쌍안정 스위칭 특성을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요크레그부의 자유종단에 접속되는 하나 또는 두개의 브릿지 부재를 양호하게 사용함으로 단안정 또는 쌍안정 스위칭 특성을 가지도록 제작된 전자석 릴레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양호한 실시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으로써 더욱 명확해진다.
제 1 도 내지 제4도에 있어서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부합되는 전자석 릴레이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릴레이는 전자석(30), 전기자(50), 및 접촉 조립체(70)를 설치하기 위한 장착대(1)를 구비한다. 장착대(1)는 몰드된 플라스틱과 같은 전기 절연 재질로 만들어져서 상부는 개방되어 있으며 한 종단 단면으로 되어 케이싱을 형성한다. 동일 절연 재질로 된 보호덮개(2)는 장착대의 상부 및 한 단면을 덮기 위해 장착대 또는 케이싱 위에서 적절하게 조립된다. 케이싱(1)은 사각 바닥벽(3)과, 바닥벽(3)의 측방으로부터 상부로 뻗어 있는 한쌍의 대향 측벽(4,5) 및 바닥벽(3)의 종단에서 위로 뻗어 있으며 측방 종단에서 상기 측벽, (4,5)과 결합되는 종단벽(6)을 가진다. 간막이(7)는 바닥벽(3)과 평행하게 되어 대향측벽(4,5)사이의 종단벽(6)으로부터 일체적으로 뻗어서 케이싱(1)의 내부를 상기 전자석(30)을 설치하기 위한 코일 공간(8) 및 상기 접촉 조립체(70)용 스위칭 공간(9)으로 분리한다. 상기 간막이(7)는 전자석(30) 길이보다 길게 케이싱(1)의 길이 방향 종단부와 리세스되는 단부까지 뻗어 있으며 여기서 리세스(10)는 남으며, 상기 리세스(10)를 통해 상기 코일 공간(8)이 상기 스위칭 공간(9)과 연결된다.
상기 전자석(30)은 웨브(33)로 접속되는 한쌍의 레그부(32)를 가지는 U형 요크(31)와, 요크레그부(32)와 평행하게 되어 웨브(33)로부터 뻗어 있는 철심(34)과, 철심(34)의 극성과 반대되는 요크레그부(32)의 자유 종단부를 자화시키기 위해 철심(34)둘레에 감겨 있는 권선(36)을 구비한다. 상기 권선(36)은 전기 절연 플라스틱 재질로 몰드된 코일 보빈(37)주위에 지지되어 있으며, 상기 플라스틱 재질은 요크레그부(32)사이에 둘러 싸여져 있으며 요크(31)의 웨브(33)에 접속되어 있는 코일 보빈(37)을 통해 삽입되는 상기 철심(34)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한 요크레그부(32)에는 상기 레그부의 자유종단에 상부 종단으로부터 전체적으로 뻗어있는 브릿지 부재(38)가 제공되어 있다. 브릿지 부재(38)는 다른 요크레그부(32)를 향해 직각으로 휘어져 있으며 요크레그부(32)이 자유 종단부사이에서 견고하게 접속되기 위해 어떤 공지된 기술로 상기 레그부에 클램프되며 릴레이를 조립하는 순간에 가해질 수 있는 충격에 대해서도 칫수가 변형되지 않도록 요크(31)를 강화시킨다.
브릿지 부재(38)는 철심(34)의 확대 평면 자극 종단(35)으로부터 상부로 공간을 가지며 요크레그부(32)와 동일 극성이나 자극 종단(35)에 대해 대향극성인 자극부재로 사용된다. 상기와 같이 설치돔 전자석(30)은 상기 코일 공간(8)내의 적절한 곳에서 요크레그부(32)상에 형성되는 돌출부(39)로 고착되며, 상기 레그부(32)는 케이싱(1)의 측벽(4,5) 상부 종단에 형성되어 있는 아이레트(eyelet, 11)로 잠겨진다. 상기 코일 보빈(37)의 길이 방향의 한 종단에 제공되는 다수의 코일 단자 돌기부(40)는 외부 릴레이 제어회로와 접속되기 위해, 제 3 도 및 제4도에서 가장 잘 도시되어 있듯이, 케이싱(1)의 바닥벽(3)의 외부로 돌출된 간막이(7)와 함께 구성되어 있는 종단벽(6)의 접속부에서 직립부(12)내에 형성되어 있는 각각의 수직 슬롯(13)을 통해 하부로 뻗어 있다. 코일 보빈(37)의 다른 길이 방향 종단부로부터 수평으로 한쌍의 지지암(41)이 뻗어서, 전기자(50)를 추축으로 지지한다. 상기 목적을 위해, 각각의 지지암(41)은 자유 종단에 개방 슬릿(43)을 가진 베어링 홀(42)을 가진다.
상기 전기자(50)는 전기 절연 플라스틱 재질의 몰드 블럭(51)을 포함하며, 상기 재질은 한쌍의 자극판(52,53) 및 영구자석(54)을 지지한다. 자극판(52,53)은 대향 극성으로 자화되기 위해 자극판 사이에 위치하는 영구자석(54)을 몰드 블럭(51)내에서 둘러싸는 후방 종단부를 가진다. 몰드 블럭(51)의 한편으로부터 횡으로 돌출된 수축핀(55)은 상기 개방 슬릿(43)을 통과하는 각각의 상기 베어링 홀(42)내에서 스냅되어서 전자석(30)의 횡축에 수직인 수평축 주위에서 주축운동을 하기 위해 상기 지지암(41)에 의해 전기자(50)가 지지된다.
제 3 도에서 가장 잘 도시된 바와같이, 전기자(50)는 전자석(30)의 길이방향에 인접하는 상기 코일 공간(8)내에서 수용되는 주 간막이를 가지며 철심(34)의 상기 자극 종단부(35)는 상부 자극판(52,53)사이에 뻗어 있으며 동시에 상부 자극판(52)은 자극종단(35)과 브릿지 부재(38)사이에 뻗어 있는 방법으로 전자석과 결합된다.
상기 결합으로,전기자(50)는 도면에 표시된 바와같은 화살표 방향의 작동 위치로 회전하기 위해 구동되며 여기서 상부 자극판(52)는 전자석(30)이 주어진 극성의 전압으로 활성화될때 철심(34)의 자극종단(35)으로 당겨진다. 전자석(30)이 비활성화될때 전기자(50)는 제 3 도의 안정 위치에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기 위해 응답하며 여기서 상부 자극판(52)은 영구자석(54)의 자기회로를 완성시키기 위해 철심(34)의 자극 종단(35)이 하부 자극판(53)으로 당겨지는 것과 마찬가지로 브릿지 부재(38)로 당겨지며 전자석(30)이 주어진 극성의 전압으로 다시 활성화될때까지 상기 안정위치에서 유지된다. 따라서, 상기 실시예의 릴레이는 단안정 전기자 작동을 하는 자극화된 릴레이이다. 전기자(50)의 몰드 블럭(51)과 함께 형성되는 일반적인 L형 카드(56)는 상기 간막이(7)의 개방 종단 주위를 통과하거나 또는 스위칭 공간(9)내로 뻗어서 전기자(50)를 접촉 조립체(70)와 함께 접속시킨다. 카드(56)는 접촉 조립체(70)의 가동 접촉 스프링(71)과 결합되기 위해 수평 단편의 자유 종단에서 캐치 슬릿(57)으로 형성된다.
접촉 조립체(70)는 가동 접촉 스프링(71) 및 한쌍의 고정 접촉판(72,73)을 구비하며 접촉판 각각은 통상 L형이며 길이는 다르다. 고정 접촉판(72,73) 각각은 한 종단부에서 각각의 접촉 팁(74,75)을 지지하며 다른 종단부에서는 하부로 뻗어 있는 단자 돌기(76) 및 (77)로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고정 접촉판(72,73)은 제 4 도에 도시된 방법으로 외부로부터 케이싱(1)에 고착될 수 있다. 즉, 고정 접촉판(72,73) 스위칭 공간(9)내에 수직으로 공간을 가진 관계로 접촉 팁(74) 및 (75)이 위치하도록 측벽(4,5)에서 형성되도록 각각의 포트(14,15)를 통해 스위칭 공간(9)에서 삽입된 부분을 지지하는 접촉팁을 가지며 측벽(4) 및 (5)의 외부표면에 형성되는 횡방향 홈(16,17)내로 측벽 레그부에 의해 적절한 곳에서 압축을 받아 접합하게 한다. 포트(14,15)는 상기 간막이(7) 아래 부분에서 형성되며 코일공간(8)에 앞서는 리세스(10)로부터 최대로 떨어지도록 스위칭 공간(9)의 내부 깊숙한 곳에 위치한 접촉 조립품(70)의 스위칭 접촉 부분 또는 접촉 팁과 같이 종단벽(6)에 인접하여 있으며, 여기서 전자석(30)은 간막이(7), 종단벽(6) 및 측방벽(4) 및 (5)에 의해 스위칭 접촉 부분으로부터 전자석(30)을 절연시킨다. 고정 접촉 판(74) 및 (75)의 상기 단자돌기(76,77)는 바닥벽(3)의 아래 및 위로 뻗기 위하여 포트(14,15)에 대향하는 상기 세로홈(16) 및 (17)의 길이 방향 종단과 각각의 수직 홈(18) 및 (19)내에서 계속 접합된다.
상기 가동 접촉 스프링(71)은 신장된 블레이드의 형태로 되어 있으며 한 종단은 단자 돌기(79)를 가진 접촉 베이스(80)에 접속시키며 다른 종단부 접촉팁(81)의 상, 하부 측벽을 가지며 상기 고정 접촉판(72,73)의 각 접촉 팁(74,75)과 맞물릴 수 있는 접촉 팁(81)을 가진다. 가동 접촉 스프링(71)은 제 4 도에 도시된 방법으로 케이싱의 외부로부터 케이싱에 역시 고착된다. 가동 접촉 스프링(71)은 케이싱(1)의 개방종단을 통해 상기 스위칭 공간(9)내로 도입되며 상기 접촉 베이스(80)의 측방 엣지를 압축접합 방법으로 측벽(4,5)의 내부표면내에 형성되는 종단 슬릿(20)내로 삽입시킴으로 고착되며, 상기 측벽은 케이싱(1)의 바닥벽(3)내의 노치(22)를 통과하여 외부로 뻗어 있는 단자돌기(79)로 된 바닥벽(3)에 인접한다. 가동 접촉 스프링(71)의 중간부내에 형성된 것은 틈새(82)이며 접속용 카드(56)의 자유 종단에서 상기 개치 슬릿(57)내로 삽입되는 엣지(83)를 갖는다. 따라서, 가동 접촉 스프링(71)은 전기자(50)에 작동될 수 있게 접속되며 전자석(30)의 활성화 및 비활성화에 응답하여 함께 가동한다. 가동 접촉 스프링(71)의 접촉 팁(81)을 포함하는 상기 스위칭 접촉부는 케이싱(1)이 외부로부터 포트(14,15)중의 하나를 통해 접근 할 수 있으며 따라서 포트(14) 또는 (15)를 통해 삽입될 수 있는 적절한 조정 기구를 사용함으로 접촉갭이 조정된다. 포트(14,15)는 케이싱(1) 위에서 접합되는 보호 덮개(2)에 의해 폐쇄된다.
제 5 도 내지 제10도에 있어서, 접촉 조립체(90) 및 전기자(50)의 상세한 형태를 제외하고는 제 1 실시예와 유사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부합되는 전자석 릴레이를 도시한 것이다. 동일 번호는 동일 부분을 나타낸다.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접촉 조립체(90)는 두 세트의 접촉 유닛을 가지며 각 유닛은 가동 접촉 스프링(91) 및 한쌍의 고정 접촉판(92,93)을 구비한다. 각 접촉 유닛의 고정된 접촉 판(92,93)은 측벽(4,5)내의 포트부(14,15)를 통과하는 접촉 팁(4,95)을 위해 캐리어 부분을 삽입시킴으로 스위칭 공간(9)내로 도입되며 측벽(14,15)의 각 외부 표면내의 세로홈(24)와 압축 접합하는 측방 레그부에 의해 케이싱(1)에 고착된다. 제 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각 접촉유닛의 고정된 접촉판(92,93)과 함께 구성되는 단자돌기(96,97)는 수직 홈(25)내로 수용되어 세로홈(24)과 연결되어 바닥벽(3)의 하부로 뻗어 있다. 각 접촉 유닛의 고정 접촉판(92,93)의 접촉 팁(94.95)은 중간에 위치하는 각각의 가동 접촉 스프링(91)의 접촉 팁(98)과 수직으로 정렬되며, 상기 접촉 팁은 각 접촉 유닛의 스위칭 접촉부를 한정한다. 따라서, 스위칭 공간(9)내에서 설치되며 수용되는 두 세트의 접촉 유닛은 횡으로 위치되며 분리기(27)에 의해 서로 분리되는 스위칭 접촉부를 가지며, 상기 분리기는 상기 간막이(7)로부터 붙어서 제10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종단벽(3)과 연결된다.
각각의 가동 접촉 스프링(91)은 한 종단에 단자돌기(99)를 가지며 다른 종단의 상부 및 하부 측상에 상기 접촉팁(98)을 가지는 신장된 블레이드 형태이며, 상기 접촉 팁은 고정 접촉판(92,93)의 한 접촉 팁(94,95)과 맞물릴 수 있다. 각각의 가동 접촉 스프링(91)은 스위칭 공간(9)내에서 길이방향으로 뻗어 있으며 각 측벽(4,5)에 인접하는 바닥벽(3)에 인접한 개방 종단면에 형성되는 수직 슬릿(26)의 압축 접합 방법으로 단자돌기(99)의 상부 종단을 삽입시킴으로 케이싱(1)에 고착된다.
제 7 도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같이, 본 실시예의 전기자(50)는 홈(60)이 있는 카드(56)의 수평 연장부의 각 측방내에 형성되며 상기 홈으로 각 가동 접촉 스프링(91)의 후방 절반부의 측방 엣지가 느슨하게 접합한다.
홈(60)은 엣지부(61)를 가지고 카드(56)의 자유 종단부분 가까이 형성되며 상기 가동 접촉 스프링(91)은 전기자(50)에서 가동접촉 스프링(91)까지의 힘을 통해 전달용으로 카드(56)에 대해 클램프 되어 있다. V형 캐치 개구(62)는 가동 접촉 스프링(91)과 함께 접속하기 위해 스위칭 공간(9)에서 카드(56)의 수평부를 삽입시킬때 가동 접촉 스프링(91)의 엣지부를 쉽게 케칭하기 위해 각각의 홈(60)의 경계에서 형성되어 있다. 이런 관점에서, 가동 접촉 스프링(91)은 카드(56)를 케이싱(1)의 스위칭 공간(9)내로 쉽게 삽입시키기 위해 수평가이드로 작동한다. 상기 지점에서, 전기자(50)의 상기 추축핀(35)은 카드(56)를 삽입시키는 순간에 전자석(30)이 베어링 홀(42)내로 개구 슬릿(43)을 통해 스냅될 수 있다. 따라서 전기자(50)는 전자석(30)과 쉽게 결합될 수 있으며 접촉 조립체(90)도 케이싱(1)에 삽입시킴으로 쉽게 결합될 수 있다.
전기자(50)가 전자석(30)의 비 활성화에 응답하여 제 6 도의 안정위치로 이동될때, 전기자(50)와 접촉 조립체(90)사이의 결합은 각 접촉 유닛의 가동 접촉 스프링(91)이 상부 고정 접촉판(92)과 접촉 맞물림이 유지되며 하부 고정 접촉판(93)과 접촉 맞물림이 해제된다. 전기자(50)가 전자석(30)의 활성화에 응답하여 동일 도면의 화살표로 표시된 방향으로 회전할때, 가동 접촉 스프링(91)은 카드(56)에 의해 하부 고정 접촉판(93)과 맞물리도록 접촉하며 상부 접촉판(92)과 맞물림이 해제된다.
상기 전기자(50)는 일체 스커트(64)와 함께 몰드블럭(51)의 양편상에서 형성되며 상기 스커트는 제 6 도 및 제9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간막이(7)의 개방종단에서 상기 리세스(10) 아래에 위치하며 케이싱(1)의 측벽(4,5)을 향해 뻗으며 전방부가 간막이(7)의 종단부에 대해 근접되는 관계를 유지시킨다.
한쌍의 플랩(28)은 가동접촉 스프링(91)의 후방 종단 바로 위이나 상기 리세스(10) 아래인 부분에서 측벽(4,5)과 일체적으로 형성된다. 각각의 플랩(28)은 오버 래핑되는 관계로 각 스커트(64) 하부로 향해 내부로 뻗어서 전기자(50)와 측벽(4,5)사이에 단지 지그재그 통로만 남기며 상기 통로는 스위칭 공간(9)과 코일 공간(8) 사이의 상기 리세스(10)를 통해 뻗어 있는 전달 통로를 상당히 신장시킨다. 이런 결과로, 가능한 아크 발생 또는 유사한 플래쉬오버가 접촉장치(90)에서 전자석(90) 또는 전기자(50)의 전기 도전 부분가지의 상기 리세스(10)를 통과하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리세스(10)는 스커트(64) 및 플랩(28)의 결합에 의해 거의 폐쇄되어서 코일 공간(8)은 스위칭 공간으로부터 절연될 수 있게 분리되며 동시에 케이싱(1)의 개방 종단에서도 역시 절연될 수 있다.
제11도에 있어서, 전자석(100)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부합되는 릴레이로 사용된다. 전자석(100)은 다른 하부 브릿지 부재(44)가 상부 브릿지 부재(38)에 대해 대향되는 공간을 가지도록 요크레크(32)의 자유 종단부를 넘어서는 다른 하부 브릿지 부재(44)를 제외하고는 상술한 실시예의 구조와 동일하다. 동일한 번호는 상술된 실시예와 동일부분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본 실시예의 릴레이의 다른 구조는 제 2 실시예의 것과 동일하다. 추가된 하부 브릿지 부재(44)는 상부 브릿지 부재(38)와 동일한 극성의 자극부재로 사용되며 철심(34)의 자극 종단(35)에 대해서는 대향 극성의 자극부재로 사용되는 자기물질로 되어 있다. 상기 브릿지 부재(38,44)는 이들 사이에 삽입된 자극 종단(35)으로부터 동일하게 수직으로 간격을 가진다. 제12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와 같이 설치된 전자석(100)은 자극 종단(35)과 각각의 상부 및 하부 브릿지 부재(38,44) 사이에 각 자극판(52,53)이 뻗어 있는 동일 구조의 전기자(50)에 자기적으로 결합되어 있다(여기서는 영구자석(54) 및 자극판(52,53)만 표시되어 있다). 상기 장치와 함께, 대향극성의 전압에 의해 활성화되는 전자석(100)에 응답하여, 자극판(52,53)의 하나는 철심(34)의 자극 종단(35)에 당겨지며 동시에 다른 자극판은 브릿지 부재(38,44)의 하나에 당겨지는 대향 위치로 전기자(50)를 구동하여 회전한다.
전자석(100)을 비활성화시킬때, 영구자석(54)의 자기회로가 자극판(52,53), 철심(34), 요크레그(32,33)와 브릿지 부재(38,44) 각각을 통과하여 완성되는 바와같이 전기자(50)는 상기 위치에서 유지된다. 따라서, 전기자(50)는 두 안정 위치를 가질 수 있으며, 제 2 실시예에서의 방법과 같이 전기자(50)에 접속되는 접촉장치(도시되어 있지 않음)에 쌍안정 스위칭 특성을 제공한다.
상기 하부 브릿지 부재(44)는 분리편이 되어 양편에서 요크레그(32)의 자유종단에 클램프되거나 또는 연속편이 되어 한 요크레버(32)로부터 뻗어 있으며 다른 요크레그를 향해 벤트되어서 요크레그부에 클램프한다.

Claims (10)

  1. 전자석 릴레이에 있어서, 전자석(30)을 수용하기 위한 코일 공간(8)과 최소한 한 가동 접촉자(71)를 포함하는 접촉 조립체(70)를 수용하기 위한 스위칭 공간(9)을 가진 전기절연 재질의 장착대(1)와, 상기 전자석(30)에 자기적으로 결합되며 전자석(30)의 활성화에 응답하여 스위칭 접촉 작동을 하기 위해 상기 가동 접촉자(71)에 접속되는 전기자(50)를 구비하며, 상기 장착대(1)는, 상기 코일 공간(8)과 스위칭 공간(9)으로 상기 장착대(9)를 나누는 절연 간막이(7)로 형성되며, 상기 간막이(7)는 코일 공간(8)과 스위칭 공간(9) 사이에 전자석(30)의 길이내에 어떤 연결 통로를 남기지 않고 코일 공간(8)을 스위칭 공간(9)으로부터 완벽하게 분리하도록 전자석(30)의 전장을 따라 뻗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석 릴레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자(50)는 접촉 조립체(70)의 가동 접촉자(71)와 접속되기 위해 간막이(7)의 한 길이 방향 종단 주위를 통과하여 스위칭 공간(9)내로 뻗어 있는 전기 절연 재질의 카드(56)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석 릴레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석(30)은 웨브(33)에 의해 접속되는 한쌍의 대향 레그부(32)를 가진 U형 요크(31)와, 상기 요크(31)의 레그부(32)와 평행하게 상기 웨브(33)로 부터 뻗어 있는 철심(34)과, 철심(34) 둘레에 감겨 있는 권선(36)과, 레그부 사이를 견고하게 접속시키기 위해 레그부(32)의 자유종단부를 통해 뻗어 있는 브릿지 부재(38)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석 릴레이.
  4. 전자석 릴레이에 있어서, 바닥벽(3)과, 측방으로부터 상부로 뻗어 있는 대향 측벽(4,5)과, 측방에서 측벽(4,5)과 연결되고 바닥벽(3)의 종축 종단으로부터 상부로 뻗어 있는 종단벽(6)을 가지는 전기 절연 재질의 케이싱(1)과, 대향 측벽(4,5) 사이의 바닥벽(3)에 대해 통상 평행한 관계로 상기 종단벽(6)으로부터 뻗어서 상부의 코일 공간(8) 및 하부의 스위칭 공간(9)을 한정하기 위한 절연 간막이(7)와, 상기 코일 공간(8)내에서 수용되며 상기 간막이 (7)를 따라 수평으로 뻗어 있는 길이방향 축으로 된 권선(36)을 가진 전자석(30)과, 스위칭 접촉부가 상기 종단벽(6)에 근접하여 최소한 한 가동 접촉자(71)를 포함하며 상기 스위칭 공간(9)내에 수용되는 접촉 조립체(70)와, 상기 자기적으로 결합된 종단벽으로부터 떨어져서 전자석(30)의 길이 방향 종단에 인접하게 위치하여 전자석(30)의 활성화에 응답하여 스위칭 작동을 하기 위해 상기 접촉 조립체(70)에 접속되는 전기자(50)를 구비하며, 상기 간막이(7)는 코일 공간(8)과 스위칭 공간(9) 사이에 어떠한 연결통로도 남기지 않고 전자석의 전장을 따라 뻗어서 전자석의 길이내에서 코일 공간(8)을 스위칭 공간(9)으로 확실하게 분리시키며, 상기 간막이(7)는 엣지에서 끝이나며, 상기 엣지는 종단벽(6)으로부터 떨어져서, 측방벽(4,5)의 길이 방향종단에 대해 리세스 되어 종단벽에서 리세스(10)를 한정하며 상기 리세스를 통해 코일 공간(8) 및 스위칭 공간(9)이 서로 연결되며, 상기 전기자(50)는 전기 절연 재질의 카드(56)를 가지며 상기 카드는 상기 리세스(10)를 스위칭 공간(9)으로 뻗어 있으며 상기 스위칭 공간에서 접촉 조립체(10)의 가동 접촉자(71)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석 릴레이.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조립체(70)는 전기 도전부가 상기 리세스(10)아래에 위치하는 스위칭 공간(9)내에 수용되며, 상기 전기자(50)는 측방벽(4,5)을 향해 뻗어 있는 전기 절연 재질의 스커트(64)로 측방상에 형성되며, 상기 측방벽(4,5)은 접촉 조립체이 전기 도전부로부터 전자석(30) 절연을 위해 상기 리세스(10)에 거의 접근되는 방법으로 상기 각 스커트(64)에 오버래핑 되게 배치된 내부로 뻗은 플랩(28)과 인접한 간막이에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석 릴레이.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4,5)중의 하나는 포트(14,15)를 가진 상기 간막이(7) 아래 부분에서 형성되며, 상기 포트(14,15)를 통해 접촉 조립체(70)의 스위칭 접촉부가 케이싱(1) 외부로부터 접근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석 릴레이.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조립체(70)는 두 세트의 접촉 유닛을 포함하며 각 유닛은 가동 접촉자(71) 및 상기 가동 접촉자(71)와 맞물릴 수 있는 최소한 한 고정 접촉자(72,73)을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간막이(7)는 분리기(27)로 형성되어, 상기 스위칭 공간(9)을 내부에 각 접촉 유닛을 각각 수용하는 분리 구획으로 나누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석 릴레이.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석(30)은 웨브(33)에 의해 접속되는 한쌍의 대향 레그부(32)를 가진 U형 요크(31)와, 상기 요크(31)의 레그부(32)와 평행하게 상기 웨브(33)로부터 뻗어 있는 철심(34)과, 철심(34) 둘레에 감겨 있는 권선(36)과, 레그부 사이를 단단하게 접속시키기 위해 레그부(32)의 자유종단을 통해 뻗어 있는 브릿지 부재(38)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석 릴레이.
  9.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석(30)은 웨브(33)에 의해 접속되는 한쌍의 대향 레그부(32)를 가진 U형 요크(32)와, 요크(31)의 레그부(32)를 평행하게 상기 웨브(33)로부터 뻗어 있는 철심(34)과, 철심(34) 둘레에 감겨 있는 권선(36)과, 레그부(32)의 자유 종단을 견고하게 접속시키는 브릿지 부재(38)를 구비하여 철심(34)에 대해 대향 극성의 자극 부재로 사용되며, 상기 브릿지 부재(38)는 요크(31)의 레크(32)부 평면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철심(34)의 자유종단으로부터 간격을 가지며, 상기 전기자(50)는 요크(31)의 레그부(32) 평면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간격을 가지며 중간에 위치하는 영구자석(54)에 의해 대향극성으로 자극화 되는 한쌍의 자극판(52,53)을 포함하며, 상기 전기자(50)는 철심(34)과 브릿지 부재(38) 사이에 뻗어 있는 자극판(52,53)중의 하나로 상기 전자석(30)과 자기적으로 결합되어 전자석을 비활성화 할때 한 자극판(53)이 브릿지 부재(38)에 당겨지는 안정 위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석 릴레이.
  10.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석(30)은 웨브(33)에 의해 접속되는 한쌍의 대향 레그부(32)를 가진 U형 요크(32)와, 상기 요크(31)의 레그부(32)와 평행하게 상기 웨브(33)로부터 뻗어있는 철심(34)과 철심(34)주위에 감겨있는 권선(36)과, 레그부 사이를 단단하게 접속시키기 위해 요크(31) 레그부(32)의 자유종단을 통해 뻗어 있는 한쌍의 브릿지 부재(38,44)를 구비하며, 상기 브릿지 부재(38,44)를 철심(34)에 대해 대향극성을 가진 각각의 자극부재 처럼 제공되기 위해 자기물질을 가지며 삽입된 철심(34)의 자유종단(35)을 가지고 레크부(32) 평면에 수직 방향으로 서로 공간을 가지며 여기서, 상기 전기자(50)는 요크(31) 레그부(32)의 평면에 수직방향으로 위치하며 삽입된 영구자석(54)에 의해 대향극성으로 자극화되는 한쌍의 자극판(52,53)을 포함하며, 상기 전기자(50)는 2개의 안정위치를 갖는 것처럼 각 브릿지 부재(38,44)사이에 뻗어 있는 자극판(52,53)과 함께 전자석(30)에 자기적으로 결합되며 자극판은 전자석(30)을 비활성화 할때 각각의 자극판(52.53)의 브릿지 부재(38,44)부근으로 당겨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석 릴레이.
KR1019850009681A 1984-12-12 1985-12-21 전자석 릴레이 KR89000531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9271529A JPS61148803A (ja) 1984-12-22 1984-12-22 電磁石装置用ヨ−ク
JP59-271529 1984-12-22
JP59278585A JPS61151939A (ja) 1984-12-24 1984-12-24 リレ−
JP59-278585 1984-12-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5415A KR860005415A (ko) 1986-07-23
KR890005314B1 true KR890005314B1 (ko) 1989-12-20

Family

ID=265497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50009681A KR890005314B1 (ko) 1984-12-12 1985-12-21 전자석 릴레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4688010A (ko)
EP (1) EP0186160B1 (ko)
KR (1) KR890005314B1 (ko)
AU (1) AU565608B2 (ko)
CA (1) CA1249000A (ko)
DE (1) DE3586200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664834D1 (en) * 1985-01-31 1989-09-07 Nec Corp Electromagnetic relay
JP2605786B2 (ja) * 1988-03-09 1997-04-30 オムロン株式会社 電磁継電器
DE3908442A1 (de) * 1989-03-15 1990-10-11 Eberle Gmbh Elektromagnetisches schaltgeraet
DE69018720T2 (de) * 1989-07-20 1995-12-21 Omron Tateisi Electronics Co Anschlusskontaktform für elektromagnetisches Relais.
CH677162A5 (ko) * 1989-10-30 1991-04-15 Carlo Cavazzi Electromatic Ag
US5250919A (en) * 1989-11-16 1993-10-05 Siemens Aktiengesellschaft Electromagnetic relay
CA2018344C (en) * 1989-12-07 1995-12-12 Yoichi Yokoyama Fusion bonding-resistant contacts in electromagnetic relays
CZ281297B6 (cs) * 1992-05-15 1996-08-14 Siemens Aktiengesellschaft Polarizované výkonové relé
DE19606884C1 (de) * 1996-02-23 1997-04-30 Schrack Components Ag Elektromagnetisches Relais
DE19606883C1 (de) * 1996-02-23 1997-04-30 Schrack Components Ag Elektromagnetisches Relais mit kombinierter Kontakt- und Rückstellfeder
JP3590738B2 (ja) * 1999-04-27 2004-11-17 Necトーキン株式会社 電磁継電器およびその調整方法と組立方法
JP2003115248A (ja) * 2001-10-01 2003-04-18 Tyco Electronics Ec Kk 電磁継電器
JP5991778B2 (ja) * 2012-04-19 2016-09-14 富士通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電磁継電器
JP2015527865A (ja) * 2012-12-14 2015-09-17 武漢領普科技有限公司 永久磁石発電装置
JP2014165152A (ja) * 2013-02-27 2014-09-08 Fujitsu Component Ltd 電磁継電器
DE102014103247A1 (de) * 2014-03-11 2015-09-17 Tyco Electronics Austria Gmbh Elektromagnetisches Relais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65954A (en) * 1956-02-06 1960-12-27 Cook Electric Co Method of assembling a relay
US2951134A (en) * 1957-10-03 1960-08-30 Lazich Branko Electrical relays
US3377519A (en) * 1963-12-26 1968-04-09 Allen Bradley Co Magnetically latched switch
GB1200321A (en) * 1967-01-16 1970-07-29 Lucas Industries Ltd Electromagnetic relays
DE1639417B1 (de) * 1968-02-29 1970-11-12 Hans Sauer Elektromagnetisches Mehrkontaktrelais
US3553612A (en) * 1969-05-21 1971-01-05 Gen Electric Miniature relay with double air gap magnetic circuit
US3553613A (en) * 1969-07-23 1971-01-05 Square D Co Magnet and movable contact support structure for a multiple contact electromagnetically actuated switch
US3668578A (en) * 1970-06-03 1972-06-06 Westinghouse Air Brake Co Lightweight electromagnetic relay
DE2105130A1 (de) * 1971-02-04 1972-08-17 Sihn Jr Kg Wilhelm Abdeckhaube mit Trennkammern für Relais
DE2218494B1 (de) * 1972-04-17 1973-10-11 Siemens Ag, 1000 Berlin U. 8000 Muenchen Elektromagnetisches Relais
DE2407057C3 (de) * 1974-02-14 1979-04-26 Siemens Ag, 1000 Berlin Und 8000 Muenchen Elektromagnetisches Schaltgerät
DE2614942A1 (de) * 1976-04-07 1977-10-20 Ernst Duerr Elektromagnetisches kleinschaltrelais
US4136321A (en) * 1977-04-04 1979-01-23 Standex International Corporation Reed relay assembly and the method of making same
DE2723220C2 (de) * 1977-05-23 1979-08-02 Siemens Ag, 1000 Berlin Und 8000 Muenchen Polarisiertes elektromagnetisches Miniaturrelais
JPS54119657A (en) * 1978-03-08 1979-09-17 Idec Izumi Corp Small relay
DE7909135U1 (de) * 1979-03-30 1979-07-05 Siemens Ag, 1000 Berlin Und 8000 Muenchen Elektromagnetisches Relais für hohe Schaltleistungen
DE2912800C2 (de) * 1979-03-30 1985-04-25 Siemens AG, 1000 Berlin und 8000 München Elektromagnetisches Relais für hohe Schaltleistungen
CH649170A5 (de) * 1979-04-18 1985-04-30 Rausch & Pausch Magnetankerhalterung in einem relais.
JPS5615522A (en) * 1979-07-18 1981-02-14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Electromagnetic relay
US4509026A (en) * 1981-04-30 1985-04-02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Polarized electromagnetic relay
DE3149816C2 (de) * 1981-12-16 1986-09-04 Diehl GmbH & Co, 8500 Nürnberg Polarisiertes Relais
DE8201576U1 (ko) * 1982-01-23 1993-01-21 Bach Gmbh + Co, 7100 Heilbronn, De
DE3240800A1 (de) * 1982-11-04 1984-05-10 Hans 8024 Deisenhofen Sauer Elektromagnetisches relais
JPS59166349U (ja) * 1983-04-22 1984-11-07 オムロン株式会社 有極電磁リレ−
CH663290A5 (de) * 1983-11-28 1987-11-30 Sprecher & Schuh Ag Elektromagnetisches schaltgeraet.
DE3347602A1 (de) * 1983-12-30 1985-07-11 Siemens AG, 1000 Berlin und 8000 München Polarisiertes elektromagnetisches relai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186160B1 (en) 1992-06-10
EP0186160A2 (en) 1986-07-02
KR860005415A (ko) 1986-07-23
CA1249000A (en) 1989-01-17
DE3586200T2 (de) 1992-12-10
US4688010A (en) 1987-08-18
AU565608B2 (en) 1987-09-24
AU5122085A (en) 1986-06-26
EP0186160A3 (en) 1988-08-24
DE3586200D1 (de) 1992-07-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90005314B1 (ko) 전자석 릴레이
KR950001594Y1 (ko) 전자 릴레이
US4496919A (en) Relay for ultra high frequency coaxial switching
KR910007040B1 (ko) 전자 계전기
KR890007342A (ko) 전자기 계전기
KR940009305B1 (ko) 전자 계전기
US20180068818A1 (en) Contact mechanism and electromagnetic relay using the same
US5844457A (en) Electromagnetically operated electric switching apparatus
US4602230A (en) Polarized electromagnetic relay
CA1257632A (en) Electromagnetic relay
EP0210727A1 (en) High current double-break electrical contactor
CA1241988A (en) Electromagnetic relay
US4975666A (en) Polarized electromagnetic relay
CN219979462U (zh) 一种双刀单掷磁保持电磁继电器
CN214175936U (zh) 一种外壳插接隔离式电磁继电器
US4482875A (en) Polarized electromagnetic midget relay
CN213845169U (zh) 磁保持继电器
US3047691A (en) Built-up polarized relay
EP0169542B1 (en) Polarized electromagnet relay
CN112786365A (zh) 一种外壳插接隔离式电磁继电器
US2999916A (en) Miniature relay
US3182232A (en) Electromagnetic relays
KR102628376B1 (ko) 릴레이
CN219842931U (zh) 增加爬电距离的继电器
KR100304920B1 (ko) 전자접촉기의가동코어장착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208

Year of fee payment: 17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