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4965B1 - 자동지폐 거래시스템 - Google Patents

자동지폐 거래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4965B1
KR890004965B1 KR1019840004680A KR840004680A KR890004965B1 KR 890004965 B1 KR890004965 B1 KR 890004965B1 KR 1019840004680 A KR1019840004680 A KR 1019840004680A KR 840004680 A KR840004680 A KR 840004680A KR 890004965 B1 KR890004965 B1 KR 8900049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knote
automatic
bills
trading
banknot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400046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60002051A (ko
Inventor
구니오 후까쓰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가이샤 도시바
사바 쇼오이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가이샤 도시바, 사바 쇼오이찌 filed Critical 가부시기가이샤 도시바
Priority to KR10198400046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890004965B1/ko
Publication of KR8600020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20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49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49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자동지폐 거래시스템
제1도는 본 발명에 관한 자동지폐 거래시스템의 실시예에 사용되는 한대의 자동지폐 거래장치의 부설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에 도시하는 자동지폐 거래장치내에 구성된 입출금 유니트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측면도.
제3a도는 입금동작시의 지폐의 흐름을 도시하는 측면도.
제3b도는 출금동작시의 지폐의 흐름을 도시하는 측면도.
제3c도는 이용자가 갖고 가는 것을 잊은 지폐 회수시의 지폐의 흐름을 도시하는 측면도.
제4도는 카아드/통장 유니트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측면도.
제5도는 카아드/통장 출입구부를 도시하는 사시도.
제6도는 거래매체인 IC메모리 카아드를 도시하는 사시도.
제7도는 IC메모리 카아드의 개념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평면도.
제8도는 표시/입력 유니트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측면도.
제9도는 투명 키보오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정면도.
제10도는 CRT의 표시 상태를 도시하는 정면도.
제11도는 본 발명의 제어구성을 도시하는 블럭도.
제12도는 자동자폐 거래장치의 군(群)관리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제13도는 지폐수납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측면도.
제14도는 지폐수납부를 도시하는 하면도.
제15도는 정보 기억의 개념적인 구성을 표시하는 도면.
제16a도 내지 제16d도는 자동지폐 거래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아트.
제17도는 본 발명의 자동지폐 거래시스템에 관한 다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자동지폐 거래장치의 부분 절단 사시도.
제18a도 및 제18b도는 각각 제17도 장치의 지폐 취입/송출 기구의 종단면도.
제19도는 부분 조사시에 지폐 흐름을 나타내는 측면도.
제20도는 지폐가 보충될때 지폐 흐름을 나타내는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a, b, c : 자동지폐 거래장치 4 : 지폐 출입구
5 : 카아드/통장 출입구 6 : 표시/입력부
7 : 감시창부 8 : 이용자 검출부
20 : 감사부 22 : 지폐 반송로
52 : 릴 66 : IC메모리
71 : CRT 110 : 군관리 제어부
202 : 본체 211 : 카아드/전표처리 유니트
220, 221, 222, 223 : 지폐 수납부
본 발명은 복수의 자동지폐 거래장치를 구비한 자동지폐 거래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중앙처리장치 및 이것과 온라인으로 접속된 복수의 자동지폐 거래장치를 구비한 개선된 자동지폐 거래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근년에, 자동예금기 혹은 현금지불기 등의 자동지폐 거래장치의 보급에 의해서 금융기관의 창구 자동화가 급속히 진행하고 있다.
어느 점포에서도, 복수대의 자동지폐 거래장치를 설치하는 상황으로 되고 있다. 이와같은 상황이 되면, 이용자의 편리성은 향상되나, 계원이 각 장치에 현금을 설정해 주는 작업이 다수회 발생하여 계원의 수고가 늘뿐 아니라, 각 장치에 보관되는 지불용 현금량도 방대하게 된다. 이 유휴자금의 존재는 무시할 수 없는 문제로 되고 있다.
그러므로, 최근, 입금한 지폐를 출금용의 지폐로서 이용하는 것에 의해 장치에의 현금 보충회수를 줄이고, 자금효율을 대폭으로 향상할 수 있게한 현금 순환식의 자동지폐 거래장치가 실현화되 가고 있다.
그러나, 종래는 각 자동지폐 거래장치가 중앙처리장치(중앙cpu)에 각기 독립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예컨대 어느 은행영업점에 복수대의 자동지폐 거래장치가 부설되어 있는 경우, 이용자의 흐름에 의해서 일어나는 각 자동지폐 거래장치 마다에 보관된 현금량의 불균형을 정보로서 잡을 수가 없었다. 이로인해, 영업점마다 관리되는 자동지폐 거래장치의 현금의 보충 및 장치 상호간의 현금의 융통 등의 관리가 대단히 하기 힘들 뿐만 아니라, 유휴자금을 효율적으로 줄이는 일이 어렵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에 의거하여 이뤄진 것으로서, 그 목적하는 바는, 예컨대 영업점내에 있어서, 어는 자동지폐 거래장치에서 잉여 현금을 취출하여 어느 자동지폐 거래장치에 현금을 돌려주면 좋은가를 용이하게 알 수 있으며, 영업점마다 관리되는 복수의 자동지폐 거래장치의 현금의 보충 및 장치 상호간의 현금의 융통 등의 관리를 극히 용이하게 행할 수 있도록 한 자동지폐 거래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중앙처리장치 및 이것과 온라인으로 접속된 복수의 자동지폐 거래장치를 가진 자동지폐 거래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자동지폐 거래장치를 복수의 군으로 분할함과 동시에 각각의 군중 각 자동지폐 거래장치의 사이에 어떤 자동지폐 거래장치에서 잉여현금을 취출하여 다른 어느 자동지폐 거래장치에 현금을 보충할 것인가의 정보를 출력하는 수단을 설치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중앙처리장치와 ; 이 중앙처리장치에 각기 온라인으로 접속되고, 하우징과 이 하우징내에 설치되어 지폐를 수납하는 수납수단과, 이 수납수단에 수납된 지폐의 양을 검지하여 검지신호를 출력하는 검지수단을 포함한 복수의 자동지폐 거래장치를 구비하는 자동지폐 거래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자동지폐 거래장치와 중앙처리장치 사이에 접속되며, 상기 각 검지수단으로부터의 검지신호를 수신하여 수납 수단내에 지폐가 충분히 수납되어 지폐의 취출이 가능한 자동지폐 거래장치와 수납수단 내에 지폐가 부족하여 지폐의 보충이 필요한 자동지폐 거래장치를 식별하여서 식별신호를 출력하는 군관리 수단과 ; 상기 군관리 수단에 접속되고, 군관리 수단으로부터의 식별 신호에 의해 어느 자동지폐 거래장치에서 잉여 지폐를 취출하여 어느 다른 자동지폐 거래장치로 지폐를 보충할 것인가라는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수단을 아울러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지폐 거래시스템이 제공된다.
이하에 본 발명에 관한 자동지폐 거래시스템의 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의 제1도 내지 제16도를 참조하여서 상세히 설명한다.
자동지폐 거래시스템은 복수대의 자동지폐 거래장치를 구비하고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3대의 자동지폐 거래장치(100a), (100b), (100c)를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각 자동지폐 거래장치(100a), (100b) 또는 (100c)는 각각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어서, 제 1 의 자동지폐 거래장치(100a)를 대표로 설명하고, 다른 자동지폐 거래장치(100b), (100c)의 설명은 생략한다.
제1도는 입금지폐를 출금지폐로서 이용하는 지폐 순환식 입출금 기능을 가진 제1 의 자동지폐 거래장치(100a)의 부착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제 1 의 자동지폐 거래장치(100a)는 장치본체(1)를 구비하고, 본체(1)의 전면에 돌출 설치된 조작면(2)이 사절벽(3)에 형성된 투공(3a)을 관통하여서 은행의 기계화 코너와 접한 상태로 부착되고 있다. 이 조작면(2)에는, 지폐출입구(4), 카아드/통장 출입구(5), 표시/입력부(6), 감시창부(7), 이용자 검출부(8)등이 배치되어 있다. 장치본체(1)내에는, 지폐 출입구(4)에 대응하여서 입출금 유니트(9), 카아드/통장 출입구(5)에 대응하여서 카아드/통장 유니트(10), 표시/입력부(6)에 대응하여서 표시/입력 유니트(11), 감시창부(7)에 대응하여서 촬영수단으로서의 감시카메라(12), 이용자 검출부(8)에 대응하여서 이용자 검출센서(13)가 각기 배치되어 있다.
다음에 입출금 유니트(9)에 대하여서 제2도를 참조하여서 설명한다. 입출금 유니트(9)는 하우징(14)을 구비하고 있다. 하우징(14)의 앞측(도면중 좌측)상부에는 지폐출입구(4)에 대향하도록 지폐 취입/송출기구(15)가 설치되어 있다.
하우징(14)의 후측(도면중 우측)에는 밑에서 순차로 입금 지폐중의 손권, 출금 지폐중에서 지불불가로된 제 3 의 액면권(100불 지폐, 20파운드 지폐, 100마르크 지폐), 제 2 의 액면권(10불 지폐, 5파운드 지폐, 10마르크 지폐) 및 입금된 제 1 의 액면권(50불 지폐, 10파운드 지폐, 50마르크 지폐)을 수납하는 제 1 의 수납부(16), 출금용의제 2의 액면권 및 손권 이외의 입금된 제 2 의 액면권을 수납하는 제 2 의 수납부(17), 출금용 제 3 의 액면권 및 손권 이외의 입금된 제 3 의 액면권을 수납하는 제 3 의 수납부(18) 및 이용자가 갖고가는 것을 잊은 지폐를 수납하는 회수고(19)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하우징(14)내에는 지폐(P)를 감사하는 감사부(20) 및 지폐를 일시적으로 집적하는 일시 집적부(21)가 설치되어 있다. 또, 하우징(14)내에는, 복수의 지폐 반송로부(22a)~(22m)로 구성되는 지폐 반송로(22)가 형성되어 있다. 각 지폐 반송로부(22a)~(22m)를 개재하여서 지폐(P)는 각부에 반송된다. 또, 지폐 반송로(22)의 분기부에는 도시하지 않은 회전 솔레노이드를 구동원으로 하는 선택 게이트(23a)~(23e)가 배치되어 있음과 동시에 도중에는 각소에 지폐통과 검지기(도시생략)가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지폐반송로(22)는 상세히는 다음과 같이 형성되어 있다. 즉, 지폐출입구(4)에 대응하여서 설치된 지폐 취입/송출기구(15)를 기단부로 하는 취입반송로(22a)가 형성되어 있다. 이 취입반송로(22a)는 중도부에 감사부(20)가 배치된 중앙반송로(22b)에 연이어 통한 상태로 되어 있다. 또, 이 중앙 반송로(22b)는 각 지폐수납부(16), (17), (18)로 연장하는 구분반송로(22c)에 연속되고 있다.
구분반송로(22c)에는 각 지폐수납부(16), (17), (18) 및 회수고(19)에 지폐(P)를 수납하기 위한 제1 내지 제 4 의 수납용반송로(22d), (22e), (22f), (22g)가 분기되어 있다. 또한, 구분반송로(22c)에는 각 지폐수납부(16), (17), (18)에 각기 설치된 취출기구(24)를 개재하여서 취출된 지폐(P)를 반송하는 제1 내지 제 3 의 취출반송로(22h), (22i), (22j)가 합류하고 있다.
또, 중앙반송로(22b)의 기단에서는 연략반송로(22k)를 개재하여서 구분반송로(22c)의 종단에 연이어 통하고 있다. 이 중앙반송로(22b)의 중도부에는 일시 집접구(21)에 지폐(P)를 반송하기 위한 분기반송로(22 1)가 분기되어 있다.
또한, 일시 집적부(21)의 지폐(P)를 취입/송출기구(15)에 반송하는 송출반송로(22m)가 설치되어 있다.
다음에, 입금시의 지폐(P)의 흐름을 제3a도를 참조하여서 설명한다. 우선, 지폐 출입구(4)에 일괄하여서 삽입된 지폐(P....)는 지폐출입구(4)에 대향하여서 설치된 취입/송출기구(15)에 의해 순차로 1매씩 취입된다. 취입된 지폐는 취입반송로(22a)를 개재하여서 중앙반송로(22b)에 보내진다. 이 보내진 지폐는 중앙반송로(22b)의 중도부에 배치된 감사부(20)에서 액면, 진위가 판별된다. 이 결과, 정권으로 판정된 지폐는 도면에서 실선화살표로 표시하는 바와같이 중앙반송로(22b)에 바로 반송되어서 구분반송로(22c)에 보내진다. 그리고 구분반송로(22c)에 배치된 선택 게이트(23b), (23c), (23d)가 선택적으로 동작하여서, 지폐는 액면에 응하여서 수납용반송로(22d), (22e), (22f)에 선택적으로 게이트된다. 그리고, 제 1 의 액면권 및 출금지폐로서 이용될 수 없는 손상이 심한 손권은 제 1 의 수납부(16)에, 제 2 의 액면권은 제 2 의 수납부(17)에, 제 3 의 액면권은 제3 의 수납부(18)에 각기 수납된다.
한편, 위권으로 판정된 지폐는 도면에 파선 화살표로 표시하는 바와같이 선택 게이트(23a)에 의해서 분기반송로(22 1)로 게이트된다. 게이트된 지폐는 이 분기반송로(22 1)를 개재하여서 일시 집적부(21)에 집적된다.
이때, 일시 집적부(21)에 집적되는 지폐(P)는 날개바퀴(25)에 의해서 일괄취출이 양호하게 행해지도록 정연하게 집적된다.
그리고, 지폐출입구(4)에 지폐(P)가 없는 것이 유무센서(26)에 의해 검출되면, 일시 집적된 위권이 송출용 반송로(22m)를 개재하여서 지폐출입구(4)로 향해서 반송된다. 이때, 이 지폐(P....)는 지폐 취입/송출기구(15)에 의해서 지폐(P....)의 단부가 지폐출입구(4)에서 돌출하는 상태로 보존되어 있다. 따라서 이용자는 되돌려진 지폐를 용이하게, 또한 일괄하여서 잡아뺄수가 있다.
다음에, 제3b도를 참조하여서 출금시의 지폐(P)의 흐름을 설명한다. 이용자에 의한 지불금종별 지정, 즉 제 3 의 액면권, 제 2 의 액면권의 지불의 지정에 의해 각금종별로 금고, 즉 제 3 의 수납부(18), 제 2 의 수납부(17)에서 취출기구(24)를 개재하여서 제 3 의 액면권이 순차로 1매씩, 또 계속해서 제 2 의 액면권이 순차로 1매씩 취출된 지폐는 취출반송로(22j), (22i)를 개재하여서 구분반송로(22c)에 보낸진다. 그리고 보내진 지폐는 이 구분반송로(22c)를 직진하고 연락반송로(22k)를 개재하여서 중앙반송로(22b)에 보내지고, 감사부(20)에서 비뚤어져 있는가 2매 인가 등이 체크되어 이에 의해 "지불가""인가" "지불불가"인가가 판정된다.
그리고, 지불가로 판정된 지폐(P)는 실선화살표로 표시하는 바와같이 선택 게이트(23a)를 개재하여서 분기반송로(22 1)에 게이트되어 일시 집적부(21)에 집적된다. 이 일시집접구(21)에 집적된 지폐는 모든 지폐(P)의 취출이 종료한 후, 일괄하여서 지폐출입구(4)에서 송출반송로(22m)를 개재하여 지불된다.
한편, 감사부(20)에서 "지불불가"로 판정된 비뚤어지거나 2매 등의 지폐(P)는 도면중의 파선화살표로 표시하는 바와같이 선택 게이트(23a)에 의해 게이트되는 일이 없이 중앙반송로(22b)를 직진하여서 구분반송로(22c)에 보내진다. 그리고, 이 지폐는 선택 게이트(23b)에 의해서 최하단의 수납용반송로(22d)로 게이트되어 제 1 의 수납부(16)에 수납된다.
또, 입금시 및 출금시에 있어서, 지폐출입구(4)의 지폐(P)를 이용자가 갖고 가는 것을 잊은 경우에는, 제3c도에 있어서 실선화살표로 표시하는 바와같이, 취입반송로(22a), 중앙반송로(22b), 구분반송로(22c) 및 최상단의 수납용반송로(22g)를 거쳐서 회수고(19)에 반송되어서 수납된다.
다음에, 제4도 및 제5도를 참조하여서 IC메모리 카아드(CA)와 자기 통장(이후 단순히 통장이라 한다)(E)을 취급하는 기능을 가진 카아드/통장 유니트(10)의 구성을 설명한다. 이 카아드/통장 유니트(10)는 카아드/통장 출입구(5)에 대향하여서 개구부를 가진 하우징(30)을 구비하고 있다. 이 하우징(30)내에는 카아드/통장 출입구(5)로부터 거의 직선적으로 연장한 반송로(31)가 형성되어 있다. 카아드/통장 출입구(5)는 통장(E)의 횡폭에 거의 비등한 개구부(32)와, 이 개구부(32)에 인접하고 IC메모리 카아드(CA)의 횡폭에 거의 비등한 홈(33)을 가지고 있다. 또, 반송로(31)는 복수쌍의 로울러(34)와 복수쌍의 가이드판(35)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다.
이 반송로(31)의 일단부, 즉 카아드/통장 출입구(5)측의 단부에는, 광학센서(36a)~(36d), IC메모리 카아드(CA)에 대한 카아드 판독부(37) 및, 솔레노이드(38)에 의해서 반송로(31)를 개폐하는 셔터(39)가 카아드 및 통장의 삽입방향에 따라서 순차로 설치되어 있다.
카아드 판독부(37)는 반송로(31)의 상면측에 설치된 접촉부(40)와, 하면측에서 접촉부(40)에 대향하여서 설치되어 접촉압력을 받는 지지부(41)를 가지고 있다. 접촉부(40)는 솔레노이드(42)에 의해 지축(43)을 지지점으로 하여서 요동하는 지지레버(44)에 부착되어 있다.
또한, 셔터(39)의 후방, 즉 반송로(31)의 중도부에는 통장(E)의 페이지 마아크나 인자끝난 행의 검출을 행하는 반사형 센서(45)와, 통장(E)의 자기 스트라이프로부터의 자기기록정보의 판독을 행하는 자기헤드(46)가 설비되어 있다.
또, 자기헤드(46)의 한층 후방에는 인자장치(47)가 설치되어 있다. 이 인자장치(47)는 한쌍의 가이드 샤프트(48)에 의해서 안내되고, 반송로(31)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왕복운동 가능한 캐리지(49)에 탑재된 인자헤드(50)와, 이 인자헤드(50)의 이동방향에 따라서 설치된 앤빌(anvil)(51)을 가지고 있다. 또, 엔빌(51)에는 릴(52)에 장착된 로울지(rolled paper)(53)의 조출부분이 걸쳐져 있다. 로울지(53)의 조출부분의 선단은 반송로(31)의 하면측에 설치된 한쌍의 공급로울러(54)에 의해서 보존되어 있다. 이와같이 하여서, 공급로울러(54)의 회전에 의해 로울지(53)는 순차로 조출된다. 또, 공급로울러(54)의 조출 방향측의 근방에는 절단기855)가 설치되어 있다. 이 절단기(55)에 의해서 인자가 끝난 로울지가 절단된다. 절단된 로울지, 즉 전표(56)는 한쌍의 반송로울러(57) 및 한쌍의 가이드판(58)으로 형성된 전표 이송로(59)를 개재하여서 반송로(31)에서 셔터(39)가 배치된 위치의 후방 부분에 합류되어 카아드/통장 출입구85)에서 반출된다.
또, 반송로(31)의 타단부, 즉 카아드/통장 출입구(5)와는 반대측의 단부에는, 이용자가 갖고 가는 것을 잊은 IC메모리 카아드(CA), 통장(E), 전표(56)등의 거래매체를 수납하는 회수상자(60)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IC메모리 카아드(CA)는 제6도 및 제7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구성되어 있다. 제6도는 IC메모리 카아드(CA)의 외관을 표시하는 것으로서, 참조부호(61)는 겉표층을 표시하고 있다. 이 표층(61)에는 IC메모리 접촉부(62), 자기 스트라이프(63) 및, 돌기에 의해 문자를 표현하고 있는 새김부(64)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같이 IC메모리 카아드(CA)는 전체적으로 종래의 자기 카아드와 동일한 외관을 가지고 있다. 또, 표층(61)의 이면에 설치된 이층(65)에는 도전체가 코팅되어 있다. 제7도는 IC메모리 카아드(CA)의 개념적인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자기 스트라이프(63)에는 구좌번호, 암증번호 등의 정보가 기록되어 있다. 이 자기 스트라이프(63)에는 외부에서 자기헤드(46)를 개재하여서 정보의 기입, 독출이 행해진다. IC메모리 카아드(CA) 내에는 IC메모리(66), 입출력제어부(67), 중앙제어부(68) 및 기억부(69)가 구비되고 있으며, 각부(66), (67), (68), (69)는 각기 고밀도로 집적된 LSI로 구성되어 있다. 기억부(69)는 제어순서를 기억한 프로그램 메모리(69a), 판독/기입 가능 데이타 메모리(69b) 및 카아드 외부로부터 판독 불가 및 갱신불가로 보호된 키 데이타 메모리(69c)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IC메모리 카아드(CA)의 자기 스트라이프(63)에는 구좌번호, 암증번호 등이 기록되어 있고, IC메모라(66)에는 상기와 같은 구좌번호, 암증번호 외에 제 2 의 암증번호가 기록되어 있다.
그리고, 자기 스트라이프(63)에 기록된 암증번호가 키입력된 경우는 예컨대 1일에 인출되는 액에 제한이 가해지는 거래제한이 행해지며, 절대로 제 3 자에 의한 판독이 불가능한 IC메모리(66)에 기록되어 있는 제 2 의 암증번호가 키입력된 경우에는 거래 제한은 행해지지 않도록 장치는 제어된다. 카아드/통장 출입구(5)에 예컨대 IC메모리 카아드(CA)가 삽입되면, 광학 센서(36b9, (36c)만이 "암(dark)"신호를 발생한다. 이 경우는 셔터(39)는 폐쇄상태로 되어진다. 이와같이 하여서 IC메모리 카아드(CA)의 선단이 셔터(39)에 닿는 것에 의해 IC메모리 카아드(CA)의 위치결정이 행해진다. 이어서, 솔레노이드(42)가 동작하여서, 지지레버(44)가 지축(43)를 지지점으로 용동 변위한다. 따라서, 지지레버(44)의 선단측에 부착된 접촉부(40)가 IC메모리 카아드(CA)의 접촉부(62)에 밀착 접촉되고, 전기적으로 결합된다. 이와같이 하여서 IC메모리 카아드(CA)와 카아드/통장 유니트(10)와의 사이에서 신호의 교환이 행해진다.
또, 통장(E)이 삽입되면, 광학센서(36a)~(36d)의 전부가 "암"신호를 발생한다. 이 경우는 셔터(39)는 개방되어 반송로(31)의 구동 시스템이 동작된다.
이와같이 하여서 통장(E)은 취입되면서, 반사형 센서(45)에 의해 페이지 마아크 및 인자끝난 행의 독출이 행해진다. 이후, 인자장치(47)에 의해 소정의 인자가 행해진다.
또한, 카아드/통장 출입구(5)의 홈(33)에는 제5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접지된 도전체(70)가 부착되어 있다. 이 도전체(70)는 삽입된 IC메모리 카아드(CA)의 이층(65)에 코팅된 도전체와 접촉하여 IC메모리(66)에 악영향을 주는 정전기가 제거된다.
다음에, 제8도 내지 제10도를 참조하여서 표시/입력 유니트(11)의 구성을 설명한다. 표시/입력 유니트(11)는 제8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조작안내 수단으로서의 CRT(화면 표시장치)(71)와, 이 CRT(71)의 화면부(71a)를 덮는 상태로 설치되는 조작 입력 수단으로서의 투명 키보오드(72)를 가지고 있다. 이들 CRT(71)와 투명키 보오드(72)는 케이싱(73)내에 구성되어 있다. 투명 키보오드(72)는 제9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투명판(74)에 투명전극들(75)을 매립하는 것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투명전극(75)은 X1~X5, Y1~Y4로 표시되는 매트릭스 회로를 구성하고, 이용자에 의해서 눌러지는 교차 부위에서 출력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 투명판(74)은 CRT(71)의 화면부(71a)와 거의 같은 곡율을 가지며, 이에 의해 시차가 방지되고 있다.
또, 표시/입력 유니트(11)는 장치본체(1)의 전면 및 후면의 양쪽에서 선택적으로 액세스 가능토록 지축(76)을 개재하여서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 표시/입력 유니트는 각기 스토퍼(77), (78)에 접촉하는 것에 의해 제8도의 실선 혹은 2점 쇄선으로 표시하는 위치에 보존된다.
또한, 참조 부호(79), (80)는 표시/입력 유니트(11)의 위치를 검출하는 검출기로서의 스위치를 각기 표시하고 있다. 스위치(79)가 온(ON)인 경우에는 거래모우드, 스위치(80)가 온한 경우에는 계원조작모우드로 바뀌도록 제어되어 있다.
또, 투명키 보오드(72)는, CRT(71)의 화면부(71a)가 제10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표시된 경우는 텐 키로서, 또한 다른 표시의 경우는 다른 기능으로 절환되도록 프로그램되어 있다.
이 자동지폐 거래장치(100a)의 입출력부는 입출금 유니트(9), 카아드/통장 유니트(10), 표시/입력 유니트(11) 및 음성 안내 장치(99)로 구성되고, 각기 제11도와 같이 주 제어부(90)에 의해, 사전에 프로그램 메모리(91)에 기억된 순서에 의해서 제어된다. 또한, 제11도에서 참조부호(92)는 거래 기록 메모리를 나타내고 있다. 종래 저어널 용지에 기록하고 있던 메모리(92)내의 거래기록은 플로피 디스크(93)에 기록된다.
또, 주제어부(90)는 회선을 개재하여서 중앙처리장치(중앙cpu)(94)에 접속되고 온라인 자동지폐 거래에 있어서의 한단말기기로서 위치를 굳히고 있다. 자동지폐 거래시스템은 감시수단으로서 리모트 모니터(95)를 구비하고 있다. 이 리모트 모니터(95)는 모든 자동지폐 거래장치(100a),) (100b), (100c)와 접속되고, 각 장치(100a), (100b), (100c)의 상태를 감시할수 있도록 되어 있다.
전술한 촬영 수단으로서의 감시 카메라(12)의 영상신호는 영상 절환장치(97)를 개재하여서 리모트 모니터(95)에 보내져서 감시상태를 표시하거나, 화상 기록장치(98)에 보내져서 기록될 수 있다.
이 리모트 모니터(95)에서의 표시 혹은 화상기록장치(98)에 있어서의 기록 등의감시모우드는 이용자의 거래 선택 모우드에 의해 절환되어서 지불시에만 그 영상을 기록하도록 하고 있다. 이에 의해, 정보수용량을 매우 적게하고, 범죄발생시 등에 있어서의 재생, 검색을 편리하게 함과 동시에 기록 비용의 절감을 도모하고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어 동작하는 각 자동지폐 거래장치(100a), (100b), (100c)를 한개의 군으로서 군관리하고 일부구조의 부분 조사/보충을 행하는 시스템이 제12도에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1점포에 3대의 자동지폐 거래장치(100a), (100b), (100c)(기계 A, 기계 B, 기계 C)가 설치되고, 이 3대를 일군으로서 군관리하는 군관리 제어부(110)를 개재하여서 3대의 장치(100a),)100b), (100c)는 중앙 cpu(94)에 온라인으로 접속되어 있다. 이용자가 거래를 실행하여서 각 장치(100a), (100b), (100c)가 중앙 cpu(94)와 온라인 교신하는 경우, 적어도 군관리 제어부(110)에는 지불금종, 매수, 입금 금종, 매수, 출금 거부회수 및 금종이 각 자동지지폐 거래장치(100a), (100b), (100c)에서 송신된다. 군관리 제어부(110)에는 지폐 잔량 모니터(111)가 접속되어 있다. 이 지폐 잔량 모니터(111)는 군관리 제어부(110)의 메모리에 기억되어 있는 내용중, 제2 및 제 3 의 액면권의 각 지폐(P....)의 잔량이 극히적고 출금불가의 레벨인 "엔드(end)"레벨 잔량이 적으나 서시히 보충하는 것이 좋은 "보충요"레벨, 잔량이 꽤 있어 다른 자동지폐 거래장치(100)에 현금을 돌릴 여유가 있는 "보충 가능"레벨 및 잔량이 대량으로 입금불가의 "풀(full)"레벨을 각기 램프(112)의 점등으로 나타낸다. 제12도에 있어서는, 검정의 동그란 흑환이 점등 상태를 표시하고, 백환이 소등 상태를 표시하고 있다. 또한 "풀"레벨에 대하여서는 램프(112)가 깜박이고 있는 경우는 아직 약간 여유가 있는 0"근접풀(near-full)"레벨을, 또 램프(112)의 연속점 등으로 "풀"레벨을 표시하도록 제어되어 있다. 또, 지폐잔량 모니터(111)의 하부에는, 어느 기계에서 어느 기계에 어떤 권종을 보충할 것인가를 문자로 표시하는 표시부(113)가 설치되어 있다. 이 표시부(113)에 있어서 표시할때도 표시가 깜박이고 있을때는 보충하는 편이 좋으나 각 기계와도 거래될 수 있는 상태를 표시하고, 연속점등시는 특정의 기계가 거래될수 없게 되어 있는 것을 표시하도록 제어된다.
한편, 이상과 같은 출금용 지폐를 수납하는 제2 및 제 3 의 지폐 수납부(17), (18)내의 현금잔량을 검지하는 수단이 제13도 및 제14도에 도시되어 있다. 각 지폐 수납부(17), (18)는 각기 동일의 구조를 갖고 있어서 제 2 의 지폐 수납부(17)만이 도시되어 있다. 제13도는 지폐 수납부(17)의 측단면을, 제14도는 제13도에 도시하는 지폐 수납부(17)를 하방에서 본 상태를 나타낸다. 지폐 수납부(17)의 내부에는 서있는 상태로 집적된 지폐(P....)를 취출하는 기구(24)를 가압하기 위한 백업판(114)이 설치되어 있다. 이 백업판(114)은 축받이(115)에 의해서 2개의 서로 평행한 축(116)에 지폐의 집적방향에 따라서 이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 백업판(114)에는 벨트(117)에 결합된 스프링(118)에 의해 가압력이 작용하고 있다. 취출기구(24)에는 원주의 일부에 고무가 부착된 취출로울러(120)가 설치되어 있다. 이취출로울러의 회전에 의해서 지폐(P)는 1매씩 반송로(22i), (22j)에 취출된다. 한편 입금시에 지폐가 지폐수납부(17)에 수용되는 경우는 반송로(22e), (22f)보다 상방에서 보내진 지폐(P)는 편심 가압로울러(121)에 의해 지폐수납부(17)내에 삽입된다. 또 백업판(114)과 일체로 차광체(122)가 부착되어 있다. 이 차광체(122)에 의해서 차광되어서 "암"신호를 출력하는 광학센서(123a)~(123e)가 지폐의 집적방향에 따라서 5개 설치되어 있다. 센서(123a)는"엔드"레벨, 센서(123b)는 "보충요" 레벨, 센서(123c)는 "보충가능" 레벨, 센서(123d)는"근접풀"레벨, 센서(123e)는 "풀" 레벨을 각기 검지하고 있다. 이들 센서(123a)~(123e)로부터의 각 신호는 주제어부(90)를 개재하여서 군관리 제어부(110)에 보내진다. 군관리 제어부(110)는 각 센서(123a)~(123e)로부터의 신호를 지폐 잔량 모니터(111)에 보내서 기계마다의 지폐 수납상태를 램프로 표시하는 한편, 군관리 제어부(110)는 각 신호에 의거하여서 논리연산을 행하며, 기계 B가 제 2 의 액면권에 관하여서 "보충요" 레벨이고, 기계 A가 제 2 의 액면권에 관하여서 "보충가능" 레벨이면, 제12도에서와 같이 "기계 A에서 기계 B로 제 2 의 액면권"이라는 바와같은 표시도 동시에 행한다.
군관리제어부(110)에는 각 정보를 기억하는 메모리가 있고, 메모리의 개념적인 구성은 제15도에 도시되어 있다. 즉, 메모리 어드레스는 행과 열로 정의되고, 열은 각 기계를 나타내고, 행은 각 기계의 현금 잔량에 관한 각 정보를 표시하고 있다. 행 10~12는 기계에 최초에 설정된 현금량부터 거래 실행마다 입금 혹은 출금된 현금량을 가감산한 데이타를 표시하고 있고, 계산상의 현금잔량을 표시하고 있다. 여기서 "계산상의"라는 의미는 이하와 같다. 지폐의 취출기구(24)에 있어서 지폐수납부(17), (18)에서 1매씩 취출을 행할때 어느 지폐가 비뚤어지거나 2매이거나 하는 등의 현상에 의해서 이용자에 대한 지불불가로 판정된 경우, 장치는 이를 거부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이 때문에, 거래 실행시에 거부가 발생하면, 지폐수납부(17), (18)내의 현금량은 앞서의 감산치 보다 적게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행 13~22는 각 기계의 지폐수납부(17), (18)의 센서(123a)~(123e)에서 인도되는 현금 잔량 레벨로 "0""1"로 정의되고 있다. 이들의 정보에 의거하여서, 논리 연산하여 예컨대 기계 A→기계 B의 보충정보가 출력된다.
다음에 행 23~24는 출금거래에 있어서, 지폐수납부(17), (18)에서 1매씩 취출을 행하였을때에 어느 지폐가 비뚤어지거나 2매 이거나 하는 현상에 의해서 감사부(20)에서 지불불가로 판정된 회수이다. 이 정보를 사용하면, 앞서의 설명에서 보충 정보는 행 13~22의 정보에 의거하여서 출력되었으나, 다른 실시예로서 다음과 같이 하여서 보충정보는 출력된다.
즉, 최초에 제 3 의 수납부(18) 및 제 2 의 수납부(17)에 설정한 금액매수가 우선 기억된다. 이후, 거래 실행할때마다, 입금의 경우, 받아들인 현금중 감사부(20)에서 더러움 등을 체크하고 지불가로 판정된 금액, 매수를 가산하며, 출금의 경우, 이용자에 지불된 금액, 매수를 감산하고 각각의 계산 결과가 행 10~12에 기억된다. 이 계산 결과에서 다시 거부회수를 2배한치(이것은 2매로 인해 거부한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를 감산하고 이 값을 지폐잔량으로 한다. 여기서 별도로 설치한 "엔드", "보충요", "보충가능", "근접풀", "풀"레벨들 각각의 한계값과 지폐잔량이 비교되어 잘량레벨이 출력되고, 이 잔량레벨에 의거하여서 보충 정보가 출력된다. 또한, 행(25)은 "보관금액"을 표시하고 있는데, 예컨대 기계 B에서 제2의 액면권(P....)을 100매 취출하여서 기계 B에 투입할때 기계 B에서 어떤 사유로 거부되어 기계 B의 제 2 의 수납부(17)에 넣을수 없는 경우가 생기며, 이 경우 거부된 매수를 계원은 조작키로 금액만 입력하여서 현금은 계원이 보관하여 두는 것으로 되는데, 보관금액은 이 계원이 보관한 지폐의 금액을 기억하여 두기 위한 것이다.
이상이, 군관리되는 각 자동지폐 거래장치(100a), (100b), (100c)의 지폐수납부(17), (18)내의 현금잔량을 알아서 보충정보를 출력하는 구조이다.
다음에 이 보충정보에 의해서 계원이 현금을 부분 조사/보충하는 조작의 흐름을 제16도에 도시하는 플로우 차아트를 참조로 하여서 설명한다.
계원은 각 기계 A, B, C에 대응하는 IC메모리 카아드(CA) 및 통장(E)을 보존하고, 이IC메모리 카아드(CA)에는 기계의 거래를 "보충"으로 한정하는 신호가 부여되고 있다. 즉, 제16a도 내지 제16d도의 플로우 차아트에 있어서, 입금모우드에 있어서도 출금모우드에 있어서도 보충키(125)가 온으로 되어 있지 않으면 통상의 거래 모우드의 흐름으로 된다. 이 보충키(125)는 제12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계원이 소지하는 키(126)를 보충키(125)에 삽입하여서 돌리면 레버(21)가 스위치(128)를 눌러서 보충신호를 출력한다. 키(126)이외의 키이에 의해서는 보충키(125)가 보충신호를 출력할 수 없는 구조로 되어 있다. 계원이 지폐잔량 모니터(111)의 표시에 따라 기계 A에서 기계 B로 보충하여야 할 것이라고 판단한 경우, 우선 최초에 기계 A에서 출급거래를 실행하고자 키 보오드에서 출금모우드를 지정한다. 여기서 키(126)를 개재하여서 보충키(125)를 온 하면, 보충신호에 의해 기계 A는 부분조사 모우드로 절환된다. 다음에, 카아드(CA)를 삽입하면 기계 A의 주제어부(90)는 군관리 제어부(110)와 교신하고, 기계 A가 다른 기계 B로 대여할 수 있는 금종과 매수가 CRT(71)에 표시된다. 이 표시를 보고 계원이 금액을 키입력하고 이 금액에 상당하는 금종의 지폐(P)가 지폐 출입구(4)에서 방출된다. 이후, IC메모리 카아드(CA)가 방출되고, 출금액이 인자된 전표(명세표)(56)가 발행된다. 지폐(P)가 방출된 후 기계 A의 주제어부(90)는 재차 군관리 제어부(110)와 교신하고, 당해 거래에서 지폐 수납부(금고)(17), (18)에 대해 부분 조사된 현금량에 관한 정보를 보낸다.
다음에 부분 조사된 지폐(P....), 즉 이제부터 보충되려는 지폐를 가지고 계원은 기계 B에서 입금 지정한다. 그리고 재차 키(126)에 의해서 보충키(125)를 온하는 것에 의해 기계 B는 보충 모우드로 절환된다. 이후, 통상의 입금 거래와 동일하게 통장(E)을 카아드/통장출입구(5)에 삽입하고 지폐(P....)를 투입한다. 그러면, 투입액이 금종과 매수의 내역을 포함하여서 통장(E)에 인자되고, 통장(E)은 카아드/통장 출입구(5)에서 방출된다. 이와같이, 각 자동지폐 거래장치(100a), (100b), (100c)에 내장되는 현금, 즉 지폐(P....)의 취입/송출기구는 동일의 것으로, 취입된 지폐(P....)를 지불용으로서 사용할 수가 있도록 구성되고 있다. 그리고 지불용의 지폐(P....)의 보충을 통상의 거래 기능을 정지시키는 일이 없이 실행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종래에 지폐(P....)를 기계에 설정하는 경우, 일단 기계를 "사용중지"상태로 절환하여 지폐를 설정한 후 다시 "취급중"으로 하기 위한 조작이 필요로 하였던 것이, 그 필요가 전혀 없어진다. 즉, 마치 통상의 거래와 다름없는 조작으로 지폐(P....)의 보충이 되며 기록도 전표(명세표)(56)나 통장(E)에 출력될 수 있는 극히 간편한 보충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일실시예의 구성에 한정됨이 없이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 않는 범위에서 각종 변형이 가능하다. 예컨대 상술한 일실시예에서는, 최상단의 수납부는 회수고(19)로서 사용된다.
여기에는 지폐가 수납될 뿐이고, 여기서 지폐가 취출되지 않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지폐의 투입/취출은 오직 지폐 출입구(4)를 개재하여서 행해지고 있었다.
그러나, 이하에 다른 실시예로서 나타내는 바와같이 계원에 의한 부분 조사 보충 모우드에 있어서는 지폐 출입구(4)를 개재함이 없이 전용의 수납실을 개재하여서 행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하에, 제17도 내지 제20도를 참조하여서, 다른 실시예의 자동지폐 거래시스템에 사용되는 자동지폐 거래장치를 설명한다.
제17도에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지폐 거래장치의 다른 실시예로서는 자동지폐순환 시스템의 입출금 장치(201a)가 도시되어 있다. 이 장치(201a)는 본체(202)를 가지며, 본체(202)의 이용자 측에는 조작면(203)이 구성되어 있다. 통장 삽입구(204), 카아드 삽입구(205) 및 전표 반출구(206)가 조작면(203)의 수직면부(203a)에 형성된다. 조작면(203)의 수평면부(203b)에는, 지폐입구 및 출구의 기능을 갖는 지폐 출입구(207), 복수의 조작 버튼(208)을 갖는 조작부(209) 및 명령 표시부(즉, CRT 표시 유니트)(210)가 구성된다.
통장 판독/인자 장치(제17도에서 도시생략) 및 카아드/전표 처리 유니트(211)가 본체(202)에 설치된다. 통장 판독/인자 장치는 통장 삽입구(204)를 통해 수용된 통장상의 자기 정보를 판독하고, 그 판독된 자기 정보를 기록하며 통장상에 거래 내용을 인자한다. 카아드/전표 처리 유니트(211)는 통장삽입구(205)를 통해 삽입된 자기 카아드를 취급하여 전표를 만들고 그 전표를 전표 반출구(206)를 통해 반출하며, 저어널 복사를 준비한다. 본체(202)는 지폐 취입/송출기구(212) 및 내부 감시 유니트(213)를 또한 내장하는데, 지폐 취입/송출기구(212)는 취입된 지폐를 송출하고 지폐 출입구(20)에 우연히 남아있는 송출된 지폐를 회수하며, 내부 감시 유니트(213)는 지폐를 적재하여 식별한다.
제18a도 및 제18b도를 참조하여 지폐 취입/송출기구(212)의 구성이 설명되겠다.
제18a도 및 제18b도를 참조하면, 참조부호(214)는 지폐 취입/송출기구(212)의 하우징을 지칭한다. 지폐 입출금 유니트(215)가 지폐 취입/송출구(207)에 대향하도록 하우징(214)의 전면(이용자측)의 상부에 배치된다. 제1, 제2, 제3 및 제4 지폐 카세트(216), (217), (218), (219)가 하우징(214)의 배면(은행측)의 하부에서 상부까지 수직으로 배치된다. 제 1 내지 제4 지폐 카세트(216)~(219)는 송출하기에 부적합하다고 거부된 지폐들인 제 1 액면권(즉 50불, 10파운드 또는 50마르크 짜리)을 수납하기 위한 부적합한 지폐 수납부로서의 제 1 수납부(220)와, 제 2 액면권(즉 10불, 5파운드 또는 10마르크 짜리)을 수납하기 위한 제 2 수납부(221)와, 제 3 액면권(100불, 20파운드 또는 100마르크 짜리)을 수납하기 위한 제 3 수납부(222)와, 각각 회수 및 적재된 지폐들을 수납하기 위한 제 4 수납부(회수고 및 적재고)(223)를 형성하고 있다. 제 1 내지 제 4 지폐 카세트(216) 내지 (219)들 각각은 입출금 장치(201a)의 본체(202)의 배면(은행측)에 배치된 배면 도어(202a)를 열어 본체(202)로부터 빼낼 수 있다.
제1, 제2, 제3 및 제4 지폐 취입/취출 유니트(224, 225, 226, 227)가 지폐 수납부(220), (221), (222), (223)의 출구에 각각 대응하도록 하우징(214)의 전면에서 후면방향(도면에서는 수평방향)을 따라 중앙에 수직으로 배치된다. 이전의 거래로부터 현재의 거래를 구별하기 위한 구분 수단으로서 분리기구(228), (229), (230) 및 (231)가 각각 지폐수납부(220), (221), (222) 및 (223)에 배치된다. 기구(228)와 유니트(224)사이, 기구(229)와 유니트(225)사이, 기구(230)와 유니트(226)사이 및 기구(231)와 유니트(277)사이 각각에 일시 수납부(232, 233, 234, 235)가 형성되어 있다.
감사부(236)가 하우징(214)의 수직면을 따라 중앙의 하우징(214)의 전면부에 배치된다. 뒷면으로 제공된 지폐의 반전부(237)가 감사부(236)아래에 배치되고, 일시 집적부(238)가 감사부(236)의 전면에 위치한다.
지폐 반송로 R이 이 지폐(P)를 대응부에 반송하기 위해 하우징(214)내에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반송로 R은 감사부(236)와 일시 집적부(238)사이에 배치된 제 1 분기까지 지폐(P)를 감사부(236)를 통하여 지폐 입출금 유니트(215)로부터 반송하기 위한 제 1 반송로 R1 ; 지폐(P)를 감사부(236)의 입구에 위치된 제 1 반송로 R1의 합류부까지 제 1 분기로부터 반송하기 위한 제 2 반송로 R2 ; 제 1 분기부로부터 일시 집적부(238)까지 지폐(P)를 반송하기 위한 제 3 반송로 R3 ; 일시 집적부(238)로부터 지폐 입출금 유니트(215)까지 지폐(P)를 반송하기 위한 제 4 반송로 R4 ; 제 2 반송로 R2의 중간부분에 형성되어 있고, 제 1 취입/취출 유니트(224)의 전면 아래에 위치된 제 2 분기로부터 제 1 수납부(220)아래 위치된 거부된 지폐 집적부(249)까지 지폐(P)를 반송하기 위한 제 5 반송로 R5 ; 지폐(P)를 제 2 반송로 R2의 중간 부분에 형성되고, 제 1 취입/취출 유니트(224)의 전면 상부에 위치되는 제 3 분기로부터 제 1 취입/취출 유니트(224)까지 반송하기 위한 제 6 반송로 R6 ; 지폐(P)를 제 2 반송반송로 R2의 중간부분에 형성되고 제 2 취입/취출 유니트(225)의 전면상부에 위치되는 제 4 분기로부터 제 2 취입/취출 유니트(225)로 반송하기 위한 제 7 반송로 R7 ; 지폐(P)를 제 2 반송로 R2의 중간부분에 형성되고 제 3 취입/취출 유니트(226) 전면 상부에 위치되는 제 5 분기로부터 제 3 취입/취출 유니트(226)까지 반송하기 위한 제 8 반송로 R8 ; 지폐(P)를 제 1 취입/취출 유니트(224)로부터 이 유니트(224)의 전면에 위치한 제 2 반송로 R2의 합류부까지 반송하기 위한 제 9 반송로 R9 ; 지폐(P)를 제 2 취입/취출 유니트(225)로부터 이 유니트(225)의 전면에 위치된 제 2 반송로 R2의 합류부까지 반송하기 위한 제10반송로 R10 ; 지폐(P)를 제 3 취입/취출 유니트(226)로부터 이 유니트(226)의 전면에 위치된 제 2 반송로 R2의 합류부까지 반송하기 위한 제11반송로 R11 ; 지폐(P)를 제 2 반송로 R2의 중간부분에 형성되고 감사부(236)아래에 위치되는 제 6 분기로부터 제 2 반송로 R2의 중간부분에 형성되고 제 2 분기부의 전면에 위치되는 합류부까지 반송하여 지폐를 180°반전시키기 위한 제12반송로 R12 ; 지폐(P)를 제 1 반송로 R1의 중간부분에 형성되고 제 4 취입/취출(227) 유니트의 전면에 위치되는 제 7 분기부로부터 제 4 취입/취출 유니트(227)까지 반송하기 위한 제13반송로 R13 ; 지폐(P)를 제 4 취입/취출 유니트(227)로부터 제 2 반송로 R2의 중간부분에 형성되고 제 4 취입/취출 유니트(227)전면 아래에 위치된 합류부까지 반송하기 위한 제14반송로 R14 ; 및 지폐(P)를 제 3 반송로 R3의 중간부분에 형성된 제 8 분기부로부터 제 1 반송로 R1의 중간부분에 형성된 합류부까지 반송하기 위한 제15반송로 R15로 이루어져 있다.
제 1 내지 제 8 선택 게이트들(239a, 239c, 239d, 239e, 239f, 239b, 239g, 239h)이 각각 제 1 내지 제 8 분기부들에 배치된다. 각각의 선택 게이트들은 대응분기부에 도달한 지폐(P)를 두 대응 반송로 중 하나로 안내한다. 선택 게이트(239a 내지 239h)는 각각 회전 솔레노이드(도시생략)에 의해 구동된다. 지폐흐름 센서(240a-240u)들이 반송로 R의 각각의 소정위치에 배열된다. 지폐 유/무 센서(지폐 잔량 센서)(241a-241i)들이 지폐(P)의 각각의 집적 위치에 배치된다. 센서(240a-240u), (241a-241i)들은 공지된 한쌍의 발광 및 수광 소자를 포함한다.
풀 상태 센서(244), 근접풀 상태 센서(245), 엔드 상태 센서(242) 및 근접 엔드 상태 센서(243)들이 각각의 지폐 수납부(220), (221), (222), (223)에 배치된다. 센서들(242), (243), (244), (245) 각각은 누름판(298)에 고착된 슬라이더(299)에 의해 턴 오프 및 온 되는 마이크로 스위치를 구비한다.
제19도에 도시된 지폐흐름을 참조하여 서비스중에 입출금용 지폐 활용시의 부분 조사에 대해 이제부터 기술된다.
제 2 및 제3수납부(221), (222)로부터 소정의 지폐를 이동시키려면, 계원은 제 4 수납부(223)에 부분 조사용 지폐 카세트를 설정한다. 계원은 내부 감시 유니트(213)의 조회 버튼을 누르고, 키보오드 상에서 각각의 액면권의 부분 조사 매수를 입력시킨다. 이 경우에, 주 제어부(90)는 각각의 액면권의 부분 조사 매수 데이타를 메모리(92)에 기억시킨다. 주 제어부(90)는 또한 동작 모우드가 대기 모우드에 있는지 입출금 모우드에 있는지를 체크한다. 동시에 주 제어부(90)는 제 3 및 제 2 액면권이, 지폐의 소정매수에 대한 부분 조사가 수행될지라도 메모리(92)내에 기억된 매수 데이타에 따라 엔드 상태에 없는지의 여부를 체크한다. 상기 상태가 만족되지 않을때, 주 제어부(90)는 부분 조사 동작을 중단한다. 그렇지 않으면, 주 제어부(90)는 CRT표시 유니트(210)로 하여금 "부분 조사중. 기다리시오."라는 메시지를 표시하게 한다.
주 제어부(90)는 수납부(223)에 어느 지폐가 수납되었는지의 여부를 지폐 잔량 센서(141a)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체크한다. 만일 지폐가 없다면, 주 제어부(90)는 내부 감시 유니트(213)의 동작상태 코드 표시기로 하여금 제 1 에러 코드를 표시하게 하고 경보를 발생하게 한다. 경보를 듣자마자 계원은 내부 감시 유니트(213)의 확인 버튼을 누른다.
반면에, 만일 지폐가 있다면, 주 제어부(90)는 메모리(92)내에 지폐 잔량 매수 데이타가 기억되었는지의 여부를 결정한다. 그 결과 지폐 잔량 매수 데이타가 메모리(92)내에 기억되었다면, 주 제어부(90)는 내부 감시 유니트(213)의 동작 상태 코드 표시기로 하여금 제 2 에러 코드를 표시하게 하고 경보를 발생한다. 이 경보가 발생되면 계원은 확인 버튼을 누른다.
그러나, 주 제어부(90)가 잔량 매수 데이타가 기억되지 않은 것을 검지한다면, 주 제어부(90)는 내부 감시 유니트(213)의 동작 상태 코드 표시기로 하여금 제 3 에러 코드를 표시하게 하고 경보를 발생한다. 이 경보가 발생하자마자, 계원은 제 4 수납부(223)로부터 부분 조사용 지폐 카세트를 제거하고 그 카세트로부터 지폐를 제거한다. 그 후, 부분 조사용 지폐 카세트가 제 4 수납부(223)에 다시 설정된다.
확인 버튼을 누르자 마자 또는 부분 조사용 지폐 카세트의 재설정시, 주 제어부(90)는 지폐 취입/송출 기구(212)로 하여금 제 3 수납부(222)로부터 제 3 액면권을 송출하게 하여 출금거래 동작과 동일한 방식으로 일시 수납부(235)에 집적시킨다.
이 경우에, 제 3 수납부(222)로부터 송출된 지폐들은 지폐 흐름 센서(240r)에 의해 검지되며, 이 검지된 신호는 지폐 매수를 계수하는 주 제어부(90)에 공급된다. 송출된 지폐는 감사부(236)를 통과할때 액면권 판별이 이루어지며, 그 판별 결과가 주제어부(90)에 공급된다. 주 제어부(90)는 카운터(도시안됨)로 하여금 판변 결과를 계수하도록 하게 된다. 또한, 일시 수납부(35)에 집적된 지폐는 지폐 흐름 센서(240 1)에 의해 검지되고, 그것으로부터의 검지 신호를 집적된 지폐수를 계수하는 주 제어부(90)로 공급한다.
지폐 흐름 센서(240 1)의 계수(제 3 액면권 매수)가 소정치에 도달할때, 주 제어부(90)는 지폐 입출금 유니트(215)로 하여금 제 3 수납부(222)로부터 지폐를 송출하는 것을 중지하게 한다.
따라서, 제 2 액면권이 제 2 수납부(221)로부터 송출된다. 주 제어부(90)가 일시 수납부(235)에 반송된 제 2 액면권의 매수가 소정치에 도달했다고 검지할때, 주 제어부(90)는 지폐취입/송출기구(212)로 하여금 제 2 수납부(221)로부터 지폐를 송출하는 것을 중지하게 한다. 이어서, 지폐가 제 4 일시 수납부(35)로부터 제 4 수납부(223)로 반송된다.
이 경우에, 주 제어부(90)는 내부 감시 유니트(213)의 지폐 매수 표시기로 하여금 제 4 수납부(223)에 수납된 제 2 및 제 3 액면권의 매수를 표시하게 한다. 동시에, 주 제어부(90)는 카아드/전표처리 유니트(211)의 인자장치(도시생략)로 하여금 부분 조사 내용(제 3 및 제 2 액면권의 부분 조사 매수)을 저어널에 인자하게 한다. 계원은 저어널의 내용을 지폐 카세트(219)의 내용과 비교한다.
주 제어부(90)가, 장치(201a)가 대기 모우드로 설정되었는가 또는 지폐 취입/송출기구(212)가 동작되는가, 또는 부분 조사가 수행되면 제 3 또는 제 2 액면권이 엔드 상태에 있는가를 결정할때, 조회 버튼이 눌러졌을지라도 누산 데이타가 조회 데이타로서 인자된다. 또한, 주 제어부(90)는 인자 장치로 하여금 부분조사할 수 없을 뜻하는 저어널 데이타에 대해 인자하도록 한다.
부분 조사는 주어진 카세트가 상술한 바와같은 방식으로 지폐로 채워졌을때 수행된다. 지폐가 채워진 카세트로부터 지폐가 제 4 수납부(223)로 이동되면, 풀 상테가 자동으로 해제되어 장치(201a)가 연속으로 뒤이은 입금을 받을 수 있게 된다.
지폐의 보충이 제20도에 도시된 지폐 흐름을 참조로 이제부터 설명된다.
제 2 수납부(221) 또는 제 3 수납부(222)가 거의 빈 상태로 되면, 지폐의 근접 엔드 상태가 표시된다. 그러면, 계원은 내부 감시 유니트(213)의 보충 버튼을 누르고, 내부 감시 유니트(213)이 키보오드로 소정의 각 액면권으로 보출될 지폐 매수를 입력한다. 이 경우에, 주 제어부(90)는 메모리(92)내에 각각의 보충하는 지폐 매수 데이타를 기억시킨다. 주 제어부(90)는 또한 CRT표시 유니트(210)로 하여금 "보충중. 기다리시오."라는 메시지를 표시하게 한다.
주 제어부(90)는 제 4 수납부(223)에 지폐가 있는지의 여부를 센서(241h)로부터의 검지 신호에 다라 체크한다. 만일 주 제어부(90)가 지폐가 없는 것을 검지하면, 주 제어부(90)는 동작 상태 코드 표시기로 하여금 에러코드를 표시하게 하고, 회수 적재 표시기로 하여금 아무 지폐도 없다는 것을 표시하게 한다.
에러코드를 표시하면, 계원은 제 4 지폐 카세트(219)의 제 4 수납부(233)내에 제 2 액면권과 제 3 액면권이 혼합된 지폐들을 수납시킨다.
그후 계원은 보충 버튼을 누른다. 회수된 지폐가 존재할때 그 지폐는 제거되어야 하고 보충될 지폐가 수납된다.
지폐가 충분히 존재하면, 주 제어부(90)는 지폐 취입/송출기구(212)로 하여금 입금 거래 동작과 동일한 방식으로 수납부(223)로부터 지폐를 1매씩 송출하게 한다. 이어서, 지폐는 제14반송로 R14와 제 1 반송로 R1의 후반부를 따라 반송되어 감사부(236)를 통과한다. 감사부(236)는 지폐를 판별하고, 그 판별결과가 주 제어부(90)에 공급된다. 주 제어부(90)는 카운터로 하여금 판별 결과에 따라 제 2 및 제 3 액면권의 매수를 계수하게 하고 지폐가 "정권"인지의 여부를 체크한다. 그후, 감사부(236)를 통과한 정권은 대응하는 일시수납부(234), (233)에 집적된다. 실제로, 선택 게이트(239a)는 좌측으로 선회 운동하며, 감사부(236)를 통과한 정권은 제20도에 도시된 두꺼운 실선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제 2 반송로 R2를 통해 대응 수납부(221), (222)를 향해 반송된다. 한편, 감사부(236)를 통과한 거부된 지폐는 선택 게이트(239a)가 우측으로 선회운동하기 때문에 제 3 반송로 R3을 통해 일시 집적부(238)에 반송된다.
이 경우에서, 주 제어부(90)는 제 2 및 제 3 액면권의 판별된 매수가 각각 미리 설정한 수와 일치하는지의 여부를 체크한다. 제 2 또는 제 3 의 액면권의 판별된 매수가 미리 설정된 수와 일치한 후에 그 일치된 액면권과 동일한 액면권이 감사부(236)를 통과할때, 그 지폐는 거부된 지폐로 간주되어 일시 집적부(238)에 수납된다. 한편, 제 2 및 제 3 액면권의 판별된 매수가 각각 미리 설정된 수와 일치할때, 그 일치된 액면권과 동일한 액면권이 최종 지폐가 반송되어 대응일시 수납부(233 또는 234)에 수납된다. 그후, 주 제어부(90)가 센서(240a) 내지 (240u)로부터의 검지신호에 응답하여 반송로 R1 내지 R15중의 어느 반송로에도 지폐가 남아있지 않다고 검지하면, 모든 반송 부재들은 정지된다.
이 경우에, 주 제어부(90)는 일시 집적부(238)에 집적된 거부된 지폐들을 모아 지폐 수납실(251)에 이송하도록 동작하며, 이것은 제20도에 두꺼운 쇄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다. 회수 동작에서 처럼 1매씩 지폐가 공급되어 제 4 수납부(223)의 일시 수납부(235)에 있는 지폐가 제 4 수납부(223)에 수납된다.
일련의 보충 동작이 끝나면, 주 제어부(90)는 카아드/전표 처리 유니트(211)의 인자장치(도시생략)로 하여금 보충내용(즉 제 3 및 제 2 액면권의 매수)를 저어널에 인자하여 그 인자된 저어널을 발생하게 한다. 동시에, 주 제어부(90)는 내부 감시 유니트(213)의 지폐 매수 표시기로 하여금 제 3 및 제 2 액면권의 매수를 표시하게 한다. 또한, 주 제어부(90)는 거부된 지폐가 돌아올때 그 거부된 지폐가 돌아온 것을 회수/적재 표시기로 하여금 계원에게 알리도록 한다. 이어서, 계원은 제 4 지폐 카세트(219)를 장치(201a)로부터 취출하여 제 4 수납부(223)로부터 그 회수된 지폐를 취출할 수 있고, 그 회수된 지폐 매수를 계수할 수 있다.
계원은 계수, 저어널의 인자된 내용 및 내부 감시 유니트(213)의 표시 내용에 따라서 각 액면권의 매수 및 금액을 체크한다.
그러한 확인시, 계원은 내부 감시 유니트(213)의 수납 버튼을 누른다. 일시 순압부(233), (234)에 수납된 최종 지폐들은 각각 수납부(221), (222)에 수납되어 보충작업은 끝난다. 이때, 주 제어부(90)는 수납부(222), (221)에 수납된 지폐 매수를 보충된 매수와 각각 가산하다.
계원이 보충중에 지폐를 과적재 또는 부족 적재하거나, 계원의 계산 착오로 확인이 불가능할때 계원은 내부 감시 유니트(213)에 보충된 모든 지폐들은 출금 거래 동작에서와 같이 1매씩 송출되고, 제10반송로 R10 또는 제11반송로 R11, 제 2 반송로 R2의 후반부 및 제 1 반송로 R1의 후반부를 통해 감사부(236)에서 반송된다. 선택 게이트들(239a), (239h), (239g)은 각각 우측, 좌측, 좌측으로 선회 운동한다. 그러므로, 감사부(236)를 통과하는 지폐는 선택 게이트(239a)의 우측 위치에 따라 제 3 반송로 R3에서 반송되며, 선택 게이트(239h)의 좌측 위치에 따라 제15반송로 R15에 반송된다.
그후, 지폐는 제15반송로 R15로부터 제 1 반송로 R1까지 반송되고, 선택 게이트(2389g)의 좌측 위치에 따라 제13반송로 R13에서 반송된다. 회수된 지폐들은 그후 제 4 수납부(223)의 일시 수납부(235)내에 수납된 후, 제 4 수납부(223)에 수납된다. 이 동작은 100매의 지폐들이 집적되는 매시간 마다의 보충방식과 같이 반복되어, 그 보충된 지폐수가 제 3 및 제 2 수납부(222), (221) 및 대응일시 수납부(234), (233)로부터 회수되도록 한다. 상기 동작은 반송로를 따라 어떤 지폐도 반송되지 않을때까지 반복되어서 보충 동작을 끝낸다.
상술한 바와같이, 제 3 또는 제 2 수납부(222) 또는 (221) 내에 수납된 지폐 매수가 장치(201a)에서 거의 바닥날때(근접엔드), 계원은 장치(201b)에서 필요한 매수의 지폐를 장치(201a)에 보충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은행 마감 시간 무렵에 계원은 그날의 나머지 시간에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지폐를 보충할 수 있어 적재로 인한 시간낭비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 보충되는 지폐는 출금 거래에 사용되는 제 2 및 제 3 액면권이다. 그러나, 보충은 다른 액면권으로도 행해질 수 있다.
상술한 바로부터 명백하듯이, 보충은 100매 지폐단위로 수행된다. 지폐가 동작중에 취출부, 반송부, 집적 또는 수납부에 몰리더라도 몰리기전에 수납된 지폐 매수가 계수된다. 따라서, 제 3 및 제 2 수납부(222) (221)에 들어온 지폐들은 그 안에 남게되고, 일시 수납부(234), (233)에 수납된 지폐들만이 반송 및 취출된다. 장치(201a)가 재설정된 후, 보충 버튼을 눌러서 동작이 계속될 수 있다. 이런 방식으로, 계원에 의한 회수동작은 문제 발생시에 간단히 수행될 수 있다.
보충시, 지폐들의 표면은 정렬되고, 적합한 지폐가 통상적인 방식으로 장치에 설정된다. 그러나, 앞/뒷면 지폐들 및 적합/부적합 지폐들이 섞어져 있을지라도, "액면권판별", "앞/뒷면 지폐 판별", "적합/부적합 지폐 판별", "정권/위권 판별"과 같은 판별 과정이 입금 거래동작과 동일한 방식으로 수행된다.
보충이 제 4 지폐 카세트(219)를 사용함으로써 수행될때 보충버튼을 누르는 것은 이용자가 대기중일때에 효과를 발생한다.
이용자가 조작면에서 조작중일때는 보충버튼이 눌러졌을지라도 보충 버튼은 효과를 발휘하지 못한다. 보충의 시작이 CRT 표시 유니트(210)에 표시되고, 보충 동작이 끝나면 자동거래동작이 회복된다. 그러나, 지폐가 보충중일때에, 입금을 제외한 거래들은 수행될 수 있다. 입출금 거래도 카아드/통장이 장치(201a)에 삽입되는 단계까지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상 설명한 바와같이, 중앙처리장치 및 이것과 온라인으로 접속된 복수의 자동지폐 거래장치를 가진 자동지폐 거래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자동지폐 거래장치를 복수의 군으로 분할함과 동시에, 각각의 군중 각 자동지폐 거래장치의 사이에 어느 자동지폐 거래장치에서 잉여 현금을 취출하여서 다른 어느 자동지폐 거래장치에 현금을 보충하여야 할 것인가의 정보를 출력하는 수단을 설치한 것이다. 따라서, 예컨대 은행영업점내에 있어서, 어느 자동지폐 거래장치에 잉여현금을 취출하여서 어느 자동지폐 거래장치 현금을 돌려주면 좋은가를 용이하게 알게된다. 이와같이 하여서, 영업점마다 관리되는 자동지폐 거래장치의 현금의 보충 및 장치 상호간의 현금의 융통 등의 관리가 용이하게 행하여 짐과 동시에, 예컨대 영업점 내에 있어서의 유휴자금을 효율적으로 최소화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는 효과를 나타낸다. 또, 가까운 장래에 실현이 예상되는 자동지폐 거래장치 간의 무인 자동 보충 시스템에 있어서도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적용하면, 그주지가 크게 살려진다는 효과를 나타낸다.

Claims (13)

  1. 중앙처리장치(94)와 이 중앙처리장치(94)에 각기 온라인으로 접속되고, 하우징(14)과, 이 하우징(14)내에 설치되어 지폐를 수납하는 수납수단(17, 18)과, 상기 수납수단(17, 18)에 수납된 지폐의 양을 검지하여 검지신호를 출력하는 검지수단(123a~123c)을 포함하는 복수의 자동지폐 거래장치(100a, 100b, 100c)를 구비하는 자동지폐 거래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자동지폐 거래장치(100a, 100b, 100c)와 중앙처리장치(94)사이에 접속되며, 상기 각 검지수단(123a~123e)으로부터의 검지 신호를 수신하여, 수납수단내에 지폐가 충분히 수납되어 지폐의 취출이 가능한 자동지폐 거래장치와 수납수단내에 지폐가 부족하여 지폐의 보충이 필요한 자동지폐 거래장치를 식별하여서 식별 신호를 출력 하는 군관리 수단(110)과, 상기 군 관리수단(110)에 접속되고, 군 관리수단(110)으로부터 식별신호에 의거하여, 어느 자동지폐 거래장치에서 잉여 지폐를 취출하여 어느 다른 자동지폐 거래장치에 지폐를 보충할 것인가라는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수단(113)을 아울러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지폐 거래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자동지폐 거래장치(100a, 100b, 100c)는 상기 하우징(14)에 형성된 지폐 출입구(4)와, 상기 지폐 출입구(4)에 삽입된 지폐를 상기 수납 수단(17,18)까지 반송하는 제 1 반송 수단(22a, 22b, 22c, 22e, 22f)과, 상기 수납수단(17, 18)에 수납된 지폐를 지폐 출입구(4)까지 반송하는 제 2 반송수단(22i~22m)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지폐 거래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폐의 취출이 가능한 자동지폐 거래장치에 있어서는 제 2 반송수단(22i~22m)을 개재하여 지폐 출입구(4)로 반송하여 지폐가 취출되고, 상기 지폐의 보충이 필요한 자동지폐 거래장치에 있어서는 제 1 반송수단(22a, 22b, 22c, 22e, 22f)을 개재하여 지폐출입구(4)에서 지폐가 취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지폐 거래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수단은 지폐수납실(17,18)과, 상기 제 1 반송수단(22a, 22b, 22c, 22e, 22f)을 개재하여 반송되어온 지폐를 지폐 수납실(17,18)에 취입하고, 지폐수납실(17, 18)에 수납되어 있는 지폐를 제 2 반송수단(22i~22m)으로 취출하는 취입/취출 수단(120, 121)과, 지폐수납실(17, 18)의 지폐를 취입/취출 수단(120, 121)을 향해 가압하는 백업 부재(11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지폐 거래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검지수단은 상기 백업 부재(114)에 부착된 피검지 부재(122)와, 상기 지폐 수납실(17,18)에 부착되어 피검지 부재(122)의 위치를 검지하는 복수의 검지부재(123a~123e)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지폐 거래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검지 부재는 지폐의 수납방향에 따라 배치되며, 지폐의 취출이 가능한 보충 가능 상태를 검지하는 제 1 검지 부재(123c)와, 지폐의 보충을 필요로 하는 보충요 상태를 검지하는 제2검지부재(123b)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지폐 거래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검지 부재는 지폐의 빈 상태인 엔드 상태를 검지하는 제 3 검지부재(123a)와, 지폐의 채워진 상태인 풀상태를 검지하는 제 4 검지부재(123e)를 아울러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지폐 거래시스템.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자동지폐 거래장치는 상기 하우징(214)에 취출 가능하게 설치되고, 부분 조사용 및 보충용의 지폐가 수납되는 또다른 수납수단(223)과, 또다른 수납수단(223)에 수납된 지폐를 상기 수납수단(221, 222)으로 반송하는 제 3 반송수단(R14, R2, R7, R8)과, 상기 수납수단(221, 222)에 수납된 지폐를 또다른 수납수단(223)까지 반송하는 제 4 반송수단(R10, R11, R1, R1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지폐 거래시스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지폐의 취출이 가능한 자동지폐 거래장치에 있어서는 수납수단(221, 222)에 수납된 지폐는 제 4 반송수단(R10, R11, R1, R13)을 개재하여서 또다른 수납수단(223)까지 반송되며, 상기 지폐의 보충이 필요한 자동지폐 거래장치에 있어서는 또다른 수납수단(223)에 수납된 지폐가 제 3 반송수단(R14, R2, R7, R8)을 개재하여서 수납수단(221, 222)까지 반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지폐 거래시스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수단은 지폐 수납실(217, 218)과, 제 1 반송수단(R, R2, R7, R8)을 개재하여서 반송된 지폐를 지폐 수납실(217, 218)에 취입하고, 지폐 수납실(217, 218)에 수납되어 있는 지폐를 제 2 반송수단(R10, R11, R2, R3, R4)에 취출하는 취입/취출수단(225, 226)과, 지폐 수납실(217, 218)의 지폐를 취입/취출 수단(225, 226)을 향해 가압하는 벡업부재(29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지폐 거래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검지수단은 상기 백업부재(298)에 부착된 피검지부재(299)와, 상기 지폐 수납실(217, 218)에 부착되어 피검지부재(299)의 위치를 검지하는 복수의 검지부재(242-24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지폐 거래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검지부재는 지폐가 수납되는 방향에 따라 배치되고, 지폐의 취출이 가능한 보충 가능상태를 검지하는 제 1 검지부재(245)와, 지폐의 보충을 필요로 하는 보충요 상태를 검지하는 제 2 검지부재(243)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지폐 거래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검지 부재는 지폐의 빈 상태인 엔드 상태를 검지하는 제 3 검지부재(242)와, 지폐의 채워진 상태인 풀상태를 검지하는 제 4 검지부재(244)를 아울러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지폐 거래시스템.
KR1019840004680A 1984-08-06 1984-08-06 자동지폐 거래시스템 KR8900049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40004680A KR890004965B1 (ko) 1984-08-06 1984-08-06 자동지폐 거래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40004680A KR890004965B1 (ko) 1984-08-06 1984-08-06 자동지폐 거래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2051A KR860002051A (ko) 1986-03-26
KR890004965B1 true KR890004965B1 (ko) 1989-12-02

Family

ID=192348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40004680A KR890004965B1 (ko) 1984-08-06 1984-08-06 자동지폐 거래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9000496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4031B1 (ko) * 2002-01-07 2005-09-13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지폐 수납/지불 장비 및 자동 현금 거래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44281B2 (ja) * 2000-12-21 2008-02-06 日立オムロンターミナ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紙幣取扱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4031B1 (ko) * 2002-01-07 2005-09-13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지폐 수납/지불 장비 및 자동 현금 거래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2051A (ko) 1986-03-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24268A (en) Automatic bank note transaction system
JPH0922476A (ja) 自動取引装置および自動取引装置におけるリジェクト貨幣の取扱い方法
KR890004965B1 (ko) 자동지폐 거래시스템
JP2686056B2 (ja) 通貨両替機
JP4370656B2 (ja) 紙幣入出金装置
JP3124108B2 (ja) 貨幣処理装置
JP2997531B2 (ja) 自動取引方式
JP2854756B2 (ja) 貨幣処理装置
JP2718808B2 (ja) 自動取引装置
JP2614312B2 (ja) 現金入出金装置
JP2834946B2 (ja) 自動取引装置
JP3119937B2 (ja) 貨幣処理装置
JP2615197B2 (ja) 現金入出金装置
JP3561402B2 (ja) 紙幣取扱装置および模擬紙幣
JPH0620216Y2 (ja) 紙幣取扱装置
JPH06259642A (ja) 自動取引装置
JP2774736B2 (ja) 貨幣処理装置
JPH11259731A (ja) 自動取引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H08305929A (ja) 自動入出金装置およびその保守管理方法
JP2908544B2 (ja) 自動取引装置及び入出金装置に対する補充紙幣の金額確定方法
JPS59178574A (ja) 自動取引装置用取引媒体
JP3119936B2 (ja) 貨幣処理装置
JPS59149561A (ja) 自動取引装置
JPS59149596A (ja) 自動取引装置
JPS59149565A (ja) 自動取引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1227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