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4737B1 - 날염방법 - Google Patents

날염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4737B1
KR890004737B1 KR1019860009853A KR860009853A KR890004737B1 KR 890004737 B1 KR890004737 B1 KR 890004737B1 KR 1019860009853 A KR1019860009853 A KR 1019860009853A KR 860009853 A KR860009853 A KR 860009853A KR 890004737 B1 KR890004737 B1 KR 8900047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k
printing
fabric
coating
varni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600098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05147A (ko
Inventor
유끼오 데라다
Original Assignee
킹프린팅 가부시끼가이샤
쯔무라 다까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60262258A external-priority patent/JPS62121058A/ja
Priority claimed from JP60262257A external-priority patent/JPS62125081A/ja
Priority claimed from JP60291533A external-priority patent/JPS62149989A/ja
Priority claimed from JP61190331A external-priority patent/JPS6350584A/ja
Application filed by 킹프린팅 가부시끼가이샤, 쯔무라 다까시 filed Critical 킹프린팅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8700051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51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47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4737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PDYEING OR PRINTING TEXTILES;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 D06P1/00General processes of dyeing or printing textiles, or general processes of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classified according to the dyes, pigments, or auxiliary substances employed
    • D06P1/44General processes of dyeing or printing textiles, or general processes of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classified according to the dyes, pigments, or auxiliary substances employed using insoluble pigments or auxiliary substances, e.g. bind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PDYEING OR PRINTING TEXTILES;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 D06P5/00Other features in dyeing or printing textiles, or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 D06P5/001Special chemical aspects of printing textile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1/00Inks
    • C09D11/02Printing ink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PDYEING OR PRINTING TEXTILES;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 D06P5/00Other features in dyeing or printing textiles, or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loring (AREA)
  • Inks, Pencil-Leads, Or Crayon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날염방법
본 발명은 직물 날염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날염방법으로서는 로울날염, 실크스크린날염, 영국특허 제647,105호에 개시된 순수한 건식전사날염법, 미국특허 제2,583,286호 및 제1,954,451호에 개시된 습식전사날염법과 미국특허 제2,541,178호, 제2,623,821호 및 제2,756,144호에 개시된 감광날염법이 있다. 이런 종래의 각 날염법에는 다음의 중대한 난점을 지닌다.
로울 또는 실크스크린이 사용되는 로울날염과 실크스크린날염 공정에서는 섬세한 그래픽패턴 또는 디자인을 재현하는 것이 거의 불가능하다. 또 스티밍, 소우핑 및 수세등의 후처리에서 염료 손실이 크고 직물의 백장오염(白場汚染) 및 수질오염을 일으키기 쉽다.
섬세한 그래픽패턴 또는 디자인이 순수한 건식 전사날염법으로 재현될 수 있을지라도 이 방법은 단지 폴리에스테르, 아세테이트등의 합성섬유에만 가능하며 천연섬유에는 사용 불가능하다. 또, 이 방법이 합성섬유에 적용될때도 날염직물은 촉감이 나쁘고 스트레치될때 날염안된 부분이 나타나기 쉽다.
습식전사날염법은 날염가능한 직물의 종류에는 한정되지 않으나 섬세한 패턴 또는 디자인이 재현될때 그라비아 인쇄가 필요하므로 이 방법은 매우 다양한 날염물이 소량으로 생산되는 산업적 실시에서는 매우 비경제적이어서 부적당하다.
감광날염방법은 이런 단점은 없으나 이 방법은 많은 수작업을 요하여 복잡해서 조속, 간단하게 날염물을 생산할 수는 없다.
본 발명의 주목적은 종래 방법의 난점을 해소시킨 직물 날염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보다 상세히 말하자면, 본 발명의 목적은 섬세하며 그래픽한 패턴 또는 디자인이 천연섬유나 합성섬유등의 다종의 직물상에 날염될수 있는 날염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후처리나 염료 손실량을 감소시키면서진행될수 있고 직물의 백장오염이나 수질오염이 없는 날염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소 배치(small batchs)로 다품종의 날염물을 제조하기에 적절한 날염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이들 목적 및 여러 특징들은 다음 설명으로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들은 직물의 표면을 평판(lithography) 또는
Figure kpo00001
판 인쇄(relief printing)한 다음 스티밍, 소우핑 및 수세등의 후처리를 하는 날염 방법에 의해 달성되며 이 방법은, (a) 염료 또는 이 염료에 불용화 및/ 또는 친유화 처리를 하여 제조된 것으로 구성된 착색제, (b)
Figure kpo00002
평판용 유성 바니쉬(varnish)및/ 또는
Figure kpo00003
가용화제(hydrotroping agent), 중성 소다염, 계면활성제, 알칼리성물질, 물 및 알코올의 적어도 하나를 함유하는 그리콜 바니쉬 및/ 또는 아미노 알코올 바니쉬로 구성되는 비히클(vehicl) (c)착색제 (a)와비히클(b)이 서로 혼합 또는 혼련(kneading)되어 이루어지는 잉크를 사용하는데 특징이 있다.
본 발명자는 직물 날염방법에 대해 계속 연구를 진해하여 왔으며, 이연구동안에 직물날염에 전혀 사용된적이 없는 신규한 잉크 개발에 성공하게 되었고 평판 또는
Figure kpo00004
판 인쇄로 잉크를 사용하여 직물을 날염하면 소정의 목적을 달성시킬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또 본 발명자는 새로운 잉크가 특정 피복제와 병용하여 사용될때 보다 선명한 색상의 날염물이 농색조로 얻어질수 있다는 것도 알게 되어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원칙적으로 본 발명의 발명에 사용되는 잉크는 착색제로서의 작용하는 염료 그 자체와 단독 비히클로서 작용하는 평판용 유성 바니쉬로 이루어지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술된 바와같이 적어도 하나의 착색제와 적어도 하나의 비히클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 점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방법에 사용되는 착색제와 비히클의 조합은 다음과 같다.
Figure kpo00005
필요에 따라 이들 잉크의 적어도 둘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될 착색제는 염료 그 자체, 또는 불용화 및/ 또는 친유화된 염로 이루어진다. 분류하여 보면 유용한 착색제는 (a) 그 자체 사용되는 수용성 염료, (b) 불용화 및/ 또는 친유화처리된 수용성염료, (c) 그 자체 사용될 수불용성 염료와 (d) 착색제 (a)~(c)의 적어도 둘의 조합이다.
유용한 수용성염료의 실례에는 직접염료, 반응성염료, 산성염료, 함금속산성염료(metal-containing acid dyes), 염기성염료 등이 있다.
유용한 수불용성 염료의 실례에는 분산염료, 배트염료 및 여러 다른 수불용성 염료가 있다.
그러한 염료, 바람직하게는 수불용성 염료로 만들기 위한 처리는 이 염료가 수불용화될수 있는한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대표적 처리방법은 예를들면 다음과 같다.
(i) 염료를 금속염 또는 킬레이트화 반응에 의해 불용성염으로 전환하는 방법
(ii) 염료를 불용성 아민염으로 전환하는 방법
(iii) 흡착제에 의한 염료의 물리적 흡착방법
(iv)염료를 응집하는 방법
(v) 상기 방법들의 복합처리
이들 방법을 상세히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방법(i)에 의해 염료는 금속염 또는 킬레이트화에 의해 전환되므로써 수불용성으로 된다. 이 방법에 유용한 금속화합물의 실례에는 Na,Fe,Ca,Al 등의 할로겐화물 또는 술폰산염과 Si,Ti 등의 산화물과 같은 무기금속화합물이 바람직하다. 염료를 킬레이트화 할수 있는 다종의 킬레인트화제가 본 방법에 사용가능하다. 불용화 조건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적당한 조건들이 금속염 또는 킬레이트가 얻어질수 있는 한 적의 채용될수 있다.
수용성염료를 불용성아민염으로 전환시키는 (ii)방법을 실행하기 위해서는 통상 필요에 따라 수용성 유기용매에 용해되는 함질소유기 화합물은 상온 또는 보다 높은 온도에서 염료의 수용액과 혼합된다. 이 방법에서는 모든 용매가 수용성 유기용매 그 자체로 인해 사용이 가능하다. 예를들면 다종 알코올이 사용가능하다. 그 다음 혼합물은 여과되고 세정되며 건조되어 불용화물을 얻게 되었다.
수용성염료를 수불용화하는데 사용되는 함질소요기화합물은 지방족화합물 뿐만아니라 방향족 화합물도 포함한다. 유용한 지방족 화합물의 대표적 실례에는 아민류 및 아미드류가 있으며 이들 아민류에느 1급, 2급 및 3급 아민이 포함되며, 예를들면 1-아미노도데칸, N-테트라데실아민, 팔미틸아민, 스테아릴아민과 알킬아민류등이 있다. 유용한 아미드의 실례에는 올레산아미드, 리시놀레산 아미드, 스테아르산 아미드등과 같은 각종의 지방산 아미드가 있다. 유용한 방향죽 화합물의 실례에는 페닐렌디아민, 디페닐 구아니딘등의 각종 방향족 아민류와 아미드류가 있다. 이들 화합물의 바람직한 것은 1-아미노도데칸, 0-페닐렌디아민 및 올레산아미드이다.
흡착제를 사용하는 (iii)방법 또는 응집방법(iv)은 지르코늄 착화합물, 카아본 블랙, 활성탄, 흑연, r-알루미나등과 같은 다공성 흡착물질의 흡착능을 이용하거나 벤즈알데히드 및 다가 알코올의 축합생성물의 응집력을 이용하므로써 유익하게 진행된다.
수불용화 처리는 사용될 염료 종류와 인쇄조건에 따라 적의 선택된 이들 방법들중으 하나에 의해 진행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염료를 친유화하는 처리는 수불용화 대신에 행해지거나 또는 그들 서료 병용하여 진행된다. 병용의 경우에 수불용화 처리는 친유화처리에 앞서 행할수 있으며, 또는 친유화처리를 행한후, 수불용화 처리를 행할수도 있다. 친유화처리는 예를들면 금속화합물로 염료를 처리하므로써 행해질 수 있다.
금속화합물을 사용하는 이 방법은 염료를 금속염으로 전환하는 불용화 방법(i)과 동일하다. 환언하면 방법(i)은 수불용화등와 동시에 친유화처리를 실행할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될 비히클에는 평판용 유성 바니쉬와 상기 특정성분의 적어도 하나를 함유하는 글리콜 바니쉬 또는 아미노알코올 바니쉬가 포함된다.
본 발명에 사용될 비히클에는 평판용 유성 바니쉬와 상기 특정성분의 적어도 하나를 함유하는 글리콜 바니쉬 또는 아미노알코올 바니쉬가 포함된다.
본 발명에 사용될 평판용 유성 바니쉬 로진, 로진 변성페놀, 알키드수지, 유용성(油溶性) 아클리수지 및 석유수지와 같은 평판용 잉크에 통상 사용된 다종의 비히클일 수 있다. 또 수지가 없고 유동기름 또는 아마인유와 같은 천연건성식물유 또는 합성건성유만으로 이루어지는 바니쉬도 사용가능하다.
본 발명의 잉크는 통상 평판잉크에 사용되는 여러 다른 첨가제를 내포할수 있다. 그러한 첨가제의 실례에는 농후제, 겔화제, 건조제, 환원제, 항옵셋제(anti-offset agent), 실리콘바니쉬, 실리콘오일 등이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될 글리콜 바니쉬는 지금까지 사용된 모든 것일수 있다. 대표적인 그러한 바니쉬는 다가 알코올에 수지를 용해하고 용액의 일부분 또는 전부를 에스테르화 반응시켜 알코올-가용성 및 수-불용성 수지로부터 제조된 주성분을 내포하는 것들이다. 구체적인 예로는 스티임셋트 바니쉬와 모이스쳐 셋트 바니쉬가 있다. 유용한 다가 알코올의 실례로는 글리콜과 이 글리세린과 같은 다른 다가 알코올과의 혼합물이다. 물에 불용성이고 알코올엔 가용성인 수지가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 글리콜 바니쉬의 수지성분으로서 사용가능한 것은 그 수지성분의 일부분 또는 전부 수지성분으로서 수불용성이면서 알코올 강요성인 수지로 이루어지는 변성글리콜 바니쉬이다.
본 발명에서 비히클의 또 다른 성분으로서 사용될 아미노 알코올 바니쉬는 종래 글리콜 바니쉬 또는 변성글리콜 바니쉬에 내포된 다가 알코올 일부 또는 전부 대신 아미노알코올을 대용하므로써 수득된 바니쉬이다. 다종의 아미노알코올이 본 목적에 사용가능하다.
그러한 글리콜(및 변성글리콜)바니쉬와 아미노알코올 바니쉬에 사용가능한 수지는 1가 알코올 뿐만아니라 다가알코올과 아미노알코올을 포함하는 다종 알코올에 최종적으로 가용되는 것들이다. 그러한 수지의 실례에는 산변성 로진 수지로 로진-변성 말레산수지, 로진-변성 푸마르산 수지등을 내포하는 이가산변성 로진이 바람직하다. 또 로진과 산, 특히 이가산의 부가물도 사용가능한데 이에는 로진과 말레산(또는 무수말레산)의 부가물과 로진과 푸마르산(또는 무수 푸마르산)의 부가물이 있다. 따라서 로진과 이들산 또는 산무수물, 특히 이가산의 디일스-알더(Diels-Alder)축합 반응에 의한 부가물이 바람직하다. 이들 반 합성수지에 더하여 천연 셀탁등도 사용가능하다. 이들 수지의 가장 바람직한 것은 높은 산가를 지닌 로진 변성말레산 수지이다.
본 발명에 또 사용가능한 것은 약 100정도의 낮은 산가를 지니는 노볼락 페놀수지, 특히 글리콜가용성 노불락 페놀수지이다.
상기 예로든 수지들은 물에 불용이며 알코올에 가용인 것들이다. 이들외에 또 물과 알코올에 가용인 히드록시알킬 셀룰로오스와 폴리비닐 피롤리돈도 사용 가능하다.
이들 글리콜 바니쉬 또는 아미노알코올 바니쉬는 가용화제, 중성소다염, 계면활성제, 알카리성물질, 물 및 알코올 중 적어도 하나를 내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성분을 다음에 설명한다.
가용화제의 유용한 실례에는 염료를 용해시킬 수 있고, 디에틸렌글리콜, 티오디에틸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에틸렌글리콜, 헥실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및 글리시린과 같은 다가알코올류, 모노-, 디- 및 트리-에탄올아민과 같은 아미노알코올류, 아세틴 또는 글리세롤아세테이트, 디에틸렌글리콜 모노에틸에테르와 트리글리콜에틸에테르와 같은 에테르류, 요소등을 내포하는 것들이다. 그러한 가용화제는 염료용해제라고도 한다. 이들중 본 발명에 가장 적합한것은 디에틸렌글리콜 및 요소이다.유용한 계면활성제에는 양이온, 음이온 및 비이온 계면활성제가 내포된다. 특히 바람직한 것은 스테아르산 나트륨, 라우릴황산나트륨 및 알킬벤젠술폰산 나트륨과 같은 비이온 계면활성제이다. 유용한 알카리성물질의 실례에는 모르풀린, 암모니아, KOH, NaOH, 중탄산나트륨, 탄산나트륨, 물유리 등이 있다. "나트륨염"은 무수망초 또는 결정황산나트륨(Na2SO4, 1OH2O) 등과 같은 중성염을 말한다. 알카리성물질과 조합하여 사용될때의 그러한 염은 알카리 가용화 조제로서 작용하여 특히 반응성염료의 염착등을 향상시키게 된다.
사용되는 알코올은 대표적으로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필 알코올등의 저끓는점을 지니는 일가 알코올이다. 본 발명의 플렉소 인쇄(flexo printing)에 의해 진행될때 그러한 다량의 저끓는점 알코올은 잉크에 내포된 경우 크게 감소된 점도와 건조속도를 보다 빠르게하여 충분한 플렉소 인쇄성을 보장하는 잉크를 부여하게 된다.
상기 물질의 적어도 하나는 수지성분 100중량부당 1 내지 2000중량부,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000중량부의 양으로 보통 사용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성분은 통상방법으로 잉크로 조제된다.
그리하여 얻어진 잉크는 평판 또는
Figure kpo00006
판 인쇄에 의해 직물표면에 가해진다. 사용될 직물은 합성섬유와 또 천연섬유로 제조된 것들이다. 합성섬유의 실례에는 나일론, 폴리에스테르, 아크릴 및 여러 다른 합성섬유가 있다. 천연섬유의 실례로는 면, 실크, 대마, 양모등의 섬유이다. 평판인쇄는 평판직쇄 또는 평판오프셋 인쇄에 의해 진행질 수 있다.
Figure kpo00007
판 인쇄는 통상 방법으로 진행될수 있다.
인쇄된 직물은 코우팅후 또는 코우팅없이 건조된다. 직물은 지촉(指觸)건조 또는 완전 건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직물은 통상방법으로 증열 처리되며 소우핑되고 수세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큰 특징은 상기 날염절차가 필요에 따라 피복제 적용과 병용하여 실행된다는 점이다. 피복제는 기본적으로 바니쉬(b), (II)로 이루어진다.
피복제를 병용 사용하면 매우높은 색상농도를 지닌 선명한 날염물을 얻게된다.
Figure kpo00008
판 인쇄는 물론, 피복제사용은 그것이 수성일지라도 평판인쇄도 가능하게 한다. 이것은 코우팅기계를 따로 준비할 필요가 없이 직물이 평판 또는
Figure kpo00009
판의 다색인쇄기를 사용한 단일공정으로 완전하게 날염될수 있어 매우 높은 효율을 지니며 매우 경제적이다. 또 피복제가 수성이기 때문에 사용된 인쇄기는 물을 사용하여 세척될수 있다. 이로인하여 또 작업은 매우 효율적이며 위생적으로 된다.
잉크가 날염에 사용될때 피복제는 언더코우트(undercoat) 또는 인쇄후 오우버코우트(overcoat)로서 직물에 가해진다. 또 언더코우트는 오우버코우트와 병용하여 사용가능하다. 이 경우에 두가지 다른 피복제가 사용가능하며, 또는 피복제는 두번 적용될수 있어 두께가 두꺼운 피복을 얻게된다. 여하튼 피복제는 잉크색수와 인쇄기의 유닛트수에 따라 적절히 가해진다.
다색 날염은 본 발명에 따라 행하여 향상된 색상농도를 지닌 특정색상을 인쇄할때 피복제는 특정색상의 잉크가 적용될 부분에만 단지 가해질수 있다.
종래 날염공정의 모든 상술단점은 본 발명의 공정으로 극복될수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은 다음 잇점을 지닌다.
(a) 칼라사진과 같이 본 날염공정은 섬세한 패턴 또는 디자인을 재현할 수 있다.
(b) 다종 날염물이 경제적이며 조속히, 또 용이하고 간단하게 소배치로 생산될수 있다.
(c) 본 날염공정은 각종 천연섬유 및 각종 합성섬유로 제조된 모든 종류의 직물에 적용 가능하다.
(d) 본 날염공정은 수질오염, 백장오염, 및 염료손실과 같은 장해가 거의 없다.
(e) 생산된 날염직물은 촉감 및 각종 견뢰도가 우수하며 날염물이 신장될때도 날염않된 부분은 발견되지 않는다.
(f) 본 발명의 잉크와 병용하여 피복제를 사용하면 향상된 색상농도를 지닌 선명한 색상의 날염물을 얻을수 있다.
본 발명은 다음 실시예를 참조하여 기술되며, 성분의 비율을 나타내는 수치는 특정지시가 없는 한 모두 중량기준이다.
다음 실시예에 주어진 조성물의 잉크 및 피복제는 특정지시가 없는한 세-로 울밀(three-roll mill)을 사용하여 혼련하므로써 제조된다.
[실시예 1]
잉크의 조성물
[표 1]
Figure kpo00010
날염(인쇄)공정
그래픽 섬세한 패턴을
Figure kpo00011
판(heliotype)인쇄프레스를 사용하여 상기 직접 염료가 각기 담긴 황색, 붉은색 및 검은색 잉크로 면, 대마 또는 나일론 직물상에 인쇄하였다.
그때 상기 조성물의 피복조성물을 동기계로 오우버코우트로서 가하였다. 잉크 및 피복제가 건조된후 직물을 후처리로서, 통상 방법으로 스티밍, 소우핑 및 수세하여 우수한 견뢰도와 촉감 및 높은 색상 농도를 지닌 날염물을 얻게되었다.
[실시예 2]
[표 2]
Figure kpo00012
날염(인쇄)공정
패턴의 칼라사진
Figure kpo00013
판 (헤리오타입)인쇄 프레스를 사용하여 상기 반응성염료를 각기 내포하는 황색, 붉은색 및 검은색 잉크로 면직물상에 인쇄하였다. 피복제를 그후 동일기계로 오우버코우트로서 직물 전표면에 가하였다. 잉크 및 피복제가 건조된후 직물을 후처리로서 통상 방법으로 스티밍, 소우핑, 수세하였다.
본래 칼라사진 형상의 패턴을 높은 박진성(迫眞性)으로 직물상에 재현하였으며 수득된 날염물은 만족스러운 견뢰도 및 촉감을 주었다.
[실시예 3]
잉크의 조성물
[표 3]
Figure kpo00014
피복제의 조성물
실시예 2에 상용된 것과 동일함
날염(인쇄)공정
패턴의 칼라사진 형상을
Figure kpo00015
판(헤리오타입)인쇄 프레스를 사용하여 상기 합금속 산성염료를 각기 내포하는 4가지 잉크로 양모직물상에 인쇄하였다.
피복제를 오우버코우트로서 전날염(인쇄)된 표면에 가하였다. 잉크 및 피복제가 건조된후 직물을 후처리로서 통상 방법으로 스티밍, 소우핑 및 수세하였다. 본래 패턴은 높은 박진성을 지니면서 재현되었으며 결과 날염물은 우수한 견뢰도를 지녔고 양모의 질감 즉 촉감을 그대로 보유하였다.
[실시예 4]
잉크의 조성물
실시예 3에서와 동일한 조성물의 붉은색 잉크를 산성염료로서 포울러 브릴리언트레드 B(Polar Brillant Red B) 125% (C.I.Acidred 249, 시바-게이지)을 제외하고 제조하였다.
피복제의 조성물
실시예 2 및 3에 도시된 것과 동일함
날염(인쇄)공정
상기 잉크를
Figure kpo00016
판 인쇄공정으로 양모 또는 나일론 직물에 가하였다. 피복제를 미피복된 반쪽부분을 남긴채 오우버코우트로서 각 날염물의 반쪽부분에만 가하였다. 잉크 및 피복제를 건조시킨후 직물을 스티밍, 소우핑 및 수세하였다. 그리하여 얻은 날염물은 선명한 어두운 붉은색을 지녔는데 양모직물의 경우엔 피복된 부분은 보다 선명한 색상을 나타내었데 반하여 나일론 직물의 미피복된 부분은 다른 부분보다 더 선명한 색상을 지녔다.
[실시예 5]
잉크의 조성물
디아크릴 옐로우 3G-N(염기성염료, 미쯔비시 케미칼 인더스트리즈 리미티드)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3에서와 동일한 조성물의 황색 잉크를 제조하였다.
황색잉크를
Figure kpo00017
판 인쇄프레스에 의해 아크릴 직물에 가하였다. 잉크가 건조된후 직물을 후처리로서 통상방법으로 스티밍, 소우핑 및 수세하였다. 그리하여 얻어진 날염물은 형광색 빛나는 염기성염료 특유의 광택있는 황색을 나타내었다.
[실시예 6]
잉크의 조성물
크리소페닌 G(C.I. Direct Yellow 12,
스미또모 케미칼 Co.,Ltd.) 2
글리콜 바니쉬(교오도오 인쇄잉크 Mfg.Co., Ltd.) 8
디에틸렌글리콜 1
날염(인쇄)공정
그래픽패턴을
Figure kpo00018
판 인쇄 프레스를 사용하여 직접 염료를 내포하는 상기 조성물의 황색 잉크로 면직물과 레이온직물상에 인쇄하였다. 잉크가 건조된후 직물을 후처리로서 통상 방법으로 스티밍, 소우핑, 수세하였다. 그리하여 얻어진 날염물은 광택있는 짙은 오렌지색을 지녔다.
[실시예 7]
잉크의 조성물
[표 4]
Figure kpo00019
날염(인쇄)공정
칼라사진패턴을 건식오프셋기수(
Figure kpo00020
)로 갖춰진 평판 인쇄프레스를 사용하여 상술된 직접염료를 각기 내포하는 4가지 잉크로 직물상에 인쇄하였다. 이때 피복제를 동일기계를 사용하여 직물상에 가하였다.
사용된 직물은 면 또는 레이온으로 제조되었다. 피복제를 각 재료 직물의 몇몇 부분에는 가하지 않았다.
잉크 및 피복제가 건조된후 후처리로서 직물을 스티밍, 소우핑 및 수세하였다. 면직물의 경우에 날염물은 다른 부분에서 보다도 오우버코우트된 부분에서 보다 높은 색상농도를 나타내었으나 4가지 색상의 발란스측면에서 볼때 칼라사진 패턴은 오우버코우트 안된 부분에서 보다 박진성이 높게 재현되었다.
레이온직물의 경우에 각색상은 코우트 안된 부분에는 만족스러운 농도를 지녔으나 날염물은 오우보코우트된 부분에서 보다 높은 색상농도와 좋은 색상균형도를 나타내었다.
[실시예 8]
잉크의 조성물
[표 5]
Figure kpo00021
날염(인쇄)공정
칼라사진패턴을
Figure kpo00022
판(헤리오타입)인쇄 프레스를 사용하여 상기 직접염료를 각기 내포하는 4가지 잉크로 면직물상에 인쇄하였다. 동시에 직물을 동일기계를 사용하여 로진 변성 말레산 수지(아미노 알코올 바니쉬, 교오도오 인쇄잉크 Mfg. Co., Ltd. 의 제품)의 트리에탄올 아민용액인 피복제로 오우버코우트하였다.
잉크 및 피복제가 건조된후 후처리로서 직물을 스티밍, 소우핑 및 수세하였다.
그리하여 얻어진 날염물은 높은 색상농도를 지녔고 좋은 균형을 지닌 광택있는 색상을 나타내었다.
[실시예 9]
잉크의 조성물
[표 6]
Figure kpo00023
상술된 각 혼합물을 세-로울밀에 의해 점성 페이스트로 혼련하였으며 상기 용매를 첨가하여 낮은 점성의 잉크를 제조하였다.
날염(인쇄)공정
그리하여 수득된 황색 잉크와 붉은색 잉크를 사용하여 투색상의 그래픽패턴을 프렉소 인쇄프레스에 의해 면적물 및 나일론 직물상에 인쇄하였다.
직물을 통상방법으로 후처리로서 스티밍, 소우핑 및 수세하였다. 각 날염물은 양 앞, 뒤 표면상에 동일하게 섬세한 패턴을 나타내었으며 광고용 기로서의 사용에 적당하였다.
[실시예 10]
A. 염료의 불용화(친유화 처리)
[표 7]
Figure kpo00024
상기 제1혼합물 및 제2 혼합물을 서로 혼합하여 교반하면서 반응시킨다음 여과, 수세, 건조하여 붉은색과 황색의 불용화(친유화)염료를 수득하였다.
B. 잉크의 제법
붉은색과 황색, 두종류의 잉크를 세-로울밀을 사용하여 혼련하여서 다음 성분으로 부터 제조하였다.
상기 수득된 불용화(친유화)염료 1
초-광택매질(다이닛뿐 잉크 & 케미칼스, Inc.) 1
아마인유 바니쉬 0.2
고가이(GOGAI) 바니쉬(미쯔비시 잉크) 0.1
C. 피복제의 제법
글리콜 바니쉬(교오도오 인쇄잉크 Mfg. Co., Ltd) 5
소디움 히드로겐카르보네이트 2
소디움 카르보네이트 1
피복제를 세-로울밀을 사용하여 혼련하여 상기 성분으로 부터 제조하였다.
날염(인쇄)공정
붉은색과 황색사진 패터을 평판(직접)인쇄 프레스를 사용하여 절차 B에의해 제조된 잉크로 면직물 상에 인쇄하였다. 계속하여 직물을 동일기계로 피복제 C를 사용하여 오우버코우트하였다. 잉크 및 피복제가 건조된후 직물을 후처리로서 스티밍, 소우핑 및 수세하여 우수한 견뢰도와 높은 색상농도는 지닌 선명한 색상의 날염물을 얻게 되었다.
[실시예 11]
A. 염료의 불용화(친유화처리) 및 잉크의 제법
[표 8]
Figure kpo00025
제2혼합물을 사용하지 않고 표 8의 조제가 사용될 때도 염료가 충분히 불용화되지만 붉은색 및 푸른색 염료는 제1혼합물과 혼합된 제2혼합물과 함께 처리될때 보다 향상된 내수성(분출용액 견뢰도)를 나타내었다. 불용화 처리는 실시예 10에서와 동일한 식으로 행하였다.
잉크를 수득된 4가지 불용화(친유화)염료를 사용하여 실시예 10에서와 동일한 식으로 동일 조제에 따라 제조하였다.
B. 날염공정
4가지 칼라사진 패턴을 평판옵셋 인쇄프레스를 사용하여 4종류의 잉크로 면직물상에 인쇄하였다.
C. 피복제의 제법
피복제의 4종류를 실시예 10에서와 동일한 식으로 다음 성분으로 부터 제조하였다.
[표 9]
Figure kpo00026
인쇄된 면직물의 4조각을 각각 패턴상에 4종류의 피복제로 오우버코우트하여 적용된 피복제가 다른 4종류의 날염물을 얻게되었다. 날염물을 후처리로서 스티밍, 소우핑 및 수세하였다. 날염물은 착색되어 높은 색상 농도를 지녔다.
[실시예 12]
A. 염료의 불용화(친유화처리)
불용화된 염료를 다음 조제에 따라 실시예 10 및 11에서와 동일한 식으로 제조하였다.
제1혼합물
디페닐 브릴리언트핑크 B 145%
(C.I. Direct Red 9, 시바-게이지) 2
무수소디움 술페이트 1
식염 1
규산 1
무수 NaCl220
온수 50
소시놀 D(디페닐구니딘, 스미또모
케미칼 Co., Ltd.) 5
에탄올 10
염산 3
B. 잉크를 상기 불용화 염료를 사용하여 실시예 10 및 11에서와 동일한 식으로 동일 조제에 따라 제조하였다.
C. 날염공정
그래픽디자인을 상기와같이 제조된 잉크를 사용하여 평판옵셋 인쇄에 의하여 면직물상에 인쇄하였다.
D. 피복제의 제법
[표 10]
Figure kpo00027
4종류의 피복제를 실시예 10 및 11에서와 동일한 식으로 상기 조제에 따라제조하여 평판 옵셋 인쇄프레스에 의하여 핑크디자인위에 날염된 면직물의 4조각에 가하였다. 직물을 건조한후 처리로서 스티밍, 소우핑 및 수세하여 날염물을 얻게되었으며, 이는 우수한 견뢰도와 높은 농도를 지닌 선명한 핑크색을 지녔다.
[실시예 13]
다음 반응성 염료는 실시예10 내지 12에서와 동일한 식으로 정확하게 불용화시켰다.
[표 11]
Figure kpo00028
6종류의 잉크를 상기 제조된 불용화(친유화)염료 6종류를 상용하여 실시예10 내지 12에서와 동일한 식으로 동일 조제에 따라 제조하였다. 피복제를 다음 성분으로 제조하였다.
글리콜 바니쉬(교오도오인쇄잉크 Co., Ltd.) 10
소디움 스테아레이트 3
소디움 라우릴술페이트 1
소디움 비카르보네이트 3
Na2SO4·1OH2O 3
50% NaOH용액 6
6종류의 잉크를 평판 옵셋 인쇄기를 사용하여 면직물에 가하였으며 직물을 동일기계를 사용하여 피복제로 더 오우버코우트하였다. 잉크 및 피복제가 건조된후 직물을 후처리로서 스티밍, 소우핑 및 수세하였다. 얻어진 날염물은 높은 색상농도와 견뢰도를 지닌 선명한 색을 지녔다. 반응성 염료가 사용되었기 때문에 날염물은 세탁에 대해 우수한 색상 견뢰도를 나타내었다.
[실시예 14]
A. 다음 수록된 염료를 다음 조제에 따라 불용화하여 친유화시켰다. 수록된 제1 및 제2혼합물을 실시예 10내지 13에서와 동일한 식으로 취급하였다.
[표 12]
Figure kpo00029
B. 세종류의 잉크를 여러조건하에서 불용화된 이들 세종류의 푸른색 염료로 부터 제조하였다. 조제 및 제법은 실시예 10 내지 13에서와 동일하였다.
C. 피복제의 제법
글리콜 바니쉬(교오도오 인쇄잉크 Mfg.Co., Ltd) 10
소디움 스테이레이트 3
소디움 라우릴술페이트 1
피복제를 세-로울밀을 사용하여 혼련하여 상기 성분으로 부터 제조하였다.
D. 날염 및 후처리
세종류의 푸른색잉크를 평판옵셋인쇄에 의해 두종류의 직물, 즉 면직물 또는 대마에 가하였다. 직물을 상기 피복제로 오우버코우트한후 건조하고 후처리로서 스티밍, 소우핑 및 수세하므로써 노란색을 띤 푸른색의 아름다운 면 또는 대마 날염직물을 얻게 되었다.
[실시예 15]
[표 13]
Figure kpo00030
상기 산성염료를 상기 주어지 조제에 따라 처리하였다. 제1및 제2혼합물을 실시예 10 내지 14에서와 동일한 식으로 취급하였다.
불용화 (친유화)염료 15-1내지 15-3의 세종류를 사용하여 붉은색 잉크 세종류를 실시예 10내지 14에서와 동일한 식으로 조제에 따라 제조하였다.
한편, 피복제를 세-로울밀을 사용하여 혼련하여, 다음 성분으로 부터 제조하였다.
글리콜 바니쉬(교오도오 인쇄잉크 Mfg. Co., Ltd.) 10
소디움 스테이레이트 3
소디움 라우릴술페이트 1
소디움 비카르보네이트 4
Na2SO44
뉴렉스 R(소디움 알킬벤젠 술포네이트,
니폰 Oils & Fast Co. Ltd.) 14.8
50% NaoH 용액 8
세개 붉은 잉크를 각각 평판 옵셋 인쇄프레스를 사용하여 실크, 나일론 또는 양모직물에 가하였으며 직물을 동일기계를 사용하여 피복제로 오우버코우트하였다.
잉크 및 피복제가 건조된 후 직물을 후처리로서 통상 방법으로 스티밍,소우핑 및 수세 하였다.
그리하여 세종류 직물과 세종류의 잉크를 사용하여 얻어진 날염물은 표면에 형성된 매우 선명한 붉은색 그래픽 패턴을 각기 지녔다.
[실시예 16]
합금속 산성염료를 다음 기재된 조제를 사용하여 불용화하여 친유화 시켰다.
[표 14]
Figure kpo00031
제1혼합물과 제2혼합물을 실시예 10 내지 15에서와 동일한 식으로 처리하였다.
실시예 10내지 15에서와 동일한 조제에 따라서 상기 불용화 염료를 세-로울밀을 사용하여 혼련하므로써 4가지 잉크로 제조하였다.
풍경 칼라사진을 평판 옵셋 인쇄프레스를 사용하여 이들 4종류의 잉크로 양모직물상에 인쇄하였다. 직물을 동일기계로 실시예 15에서 사용된것과 동일한 피복제를 사용하여 더 오우버코우트하였다. 건조후 직물을 후처리로서 스티밍, 소우핑 및 수세하게 그 위에 재현된 사진형상을 그위에 재현된 사진형상을 지닌 날염물을 얻었다.
[실시예 17]
다음에 기재된 직접 염료를 다음 표 15에 주어진 제1혼합물과 제2혼합물을 사용하여 불용화하여 친유화시켰다.
[표 15]
Figure kpo00032
각 염료를 내포하는 제1혼합물과 제2혼합물을 상호 서로 혼합하여 교반하면서 반응시킨후 여과, 세정 및 건조하여 불용화(친유화)염료를 얻었다.
그렇게 제조된 불용화 염료를 실시예 10내지 16에서와 동일한 식으로 동일조제에 따라 4종류의 잉크로 만들었다. 사진과 같은 꽃 패턴을 평판 옵셋 인쇄프레스에 의해 이들 잉크로 면직물상에 인쇄 하였다. 직물을 실시예 14에서 사용된 것과 동일한 피복제로 더 오우버코우트하였다. 잉크 및 피복제가 건조된 후 직물을 후처리로서 스티밍, 소우핑 및 수세하여 높은 색상 농도를 지닌 선명한 색상과 우수한 견뢰도 및 촉감을 지진 날염물을 얻게되었다.
[실시예 18]
실시예 17에서 사용된 피복제 대신 실시예 13 및 15에서 사용된 피복제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7의 절차를 반복하여 실시예 17에서와 같은 결과를 얻었다.
[실시예 19]
실시예 17 및 18 에서와 동일한 결과를 실시예 17 및 18에서 사용된 각각의 피복제로 흰 면직물을 언더 코우팅하여 이들 실시예에서 사용된 잉크로 직물을 인쇄하므로써 달성하였다.
[실시예 20]
실시예 17 내지 19에서와 동일한 결과를 실시예 17내지 19에서 사용된 각 피복제로 흰 면직물을 언더코우팅하여 이들 실시예에서 사용된 잉크로 직물을 인쇄한 다음 잉크층을 샌드위치하도록 동일 피복제로 날염(인쇄)된 표면을 오우버코우팅 하므로써 얻었다.
[실시예 21]
표 16에 기제된 염료를 표 16에 도시된 혼합물을 사용하여 불용화하여 친유화시켰다.
[표 16]
Figure kpo00033
제1혼합물 및 제2혼합물을 실시예 10 내지 20에서와 동일한 식으로 처리하였다.
처리된 염료를 실시예 10 내지 20에서와 동일한 식으로 동일 조제에 따라 잉크로 만들었다. 그래픽 패턴을 이 잉크와 실시예 14에서 사용된 피복제를 사용하여 평판 인쇄프레스에 의하여 면직물과 나일론 직물상에 인쇄하였다. 건조후 직물을 후처리로서 스티밍, 소우핑 및 수세하여 황색으로 재현된 패턴을 지닌 날염물을 얻었다.
피복제가 잉크층을 샌드위치하도록 언더코우트 또는 오우버코우트 로서 또는 언더코우트 및 오우버코우트 둘다로 적용되는것에 관계없이 동일 결과를 얻었다.
[실시예 22]
통상 심홍색 안료를 다음성분을 사용하여 잉크로 조제하였다.
핑크 6G-RP (basic pigment lake, 1.2
노마-케미칼 Ind. Co., Ltd.)
초-광택매질 (다이니뽄 잉크 케미칼스, Inc.) 1.8
아마인유 바니쉬 0.4
고가이 바니쉬( 미쯔비시 잉크) 0.2
이들 성분을 세-로울밀로 혼련하여 잉크를 얻었다. 그래픽 패턴을 이 잉크와 실시예 14에서 사용된 피복제를 사용하여 평판 옵셋 인쇄프레스로 면직물과 나일론 직물상에 인쇄하였다. 이들 직물을 후처리로서 그후 스티밍, 소우핑 및 수세하였다.
피복제가 언더코우트 또는 오우버코우트 또는 둘다로 가해지든지 상관없이 면직물과 나일론직물상에 명료한 날염 패턴을 형성하였다.
[실시예 23]
벤즈알데히드와 다가 알코올의 축합 생성물로 직접 염료를 엉키게 뭉쳐 제조된 통상(불용화) 심홍색 안료를 잉크로 조제하였다. 보다 상세히 말해서 다음성분을 잉크로 혼련하였다.
디렉트 블랙 어글로머레이트 0.6
(E.C. 케미칼 Ind. Co., Ltd.)
초-광택매질 (다이니뽄 잉크 & 케미칼 Inc.) 1.64
아미인유 바니쉬 0.4
고가이 바니쉬( 미쯔비시 잉크) 0.1
그래픽 패턴을 이 잉크와 실시예 14에서 사용된 피복제를 사용하여 평판옵셋 인쇄프레스로 면직물 및 대마 직물상에 인쇄하였다. 직물을 건조하여 스티밍, 소우핑 및 수세하였다.
피복제가 언더코우트 또는 오우버코우트 또는 둘다로 가해지는데 상관없이 직물상에 짙은 초록색으로 패턴을 형성하였다.
[실시예 24]
표 17에 기재된 직접염료를 동일표에 도시된 혼합물을 사용하여 불용화 하여 친유화시켰다. 제1 및 제2혼합물을 실시예 10내지 21에 도시된 것과 동일한 식으로 처리하였다.
[표 17]
Figure kpo00034
불용화 염료를 다음 성분을 사용하여 잉크로 조제하였다.
잉크의 조성물
상기 수득된 불용성 염료 1
No.3 아마인유 바니쉬 1
그래픽 패턴을 평판 옵셋 인쇄 프레스로 이 잉크를 사용하여 면직물상에 인쇄하였으며 직물을 동일기계로 다음 피복제를 사용하여 오우버코우트 하였다.
피복제 조성물
아미노알코올 바니쉬(교오도오 인쇄잉크
Mfg. Co., Ltd.) 10
수산화 칼륨 1
잉크 및 피복제가 건조된 후 직물을 후처리로서 통상 방법으로 스티밍, 소우핑 및 수세하였다. 날염물은 우수한 색조로 재현된 검은색 그래픽패턴을 지녔다.
[실시예 25]
푸른색 직접 염료를 표 18에 수득된 혼합물을 사용하여 불용화하여 친유화 시켰다.
[표 18]
Figure kpo00035
제 1 및 제2혼합물을 실시예 10 내지 21및 24에서와 동일한 식으로 처리하였다.
잉크의 조성물
상기 제조된 불용화 염료 1
웨브 옵셋 바니쉬 QH-1000
(도오교오 잉크 Mfg.Co., Ltd.) 1
그래픽 패턴을 평판 옵셋 인쇄프레스로 이 잉크를 사용하여 면직물에 인쇄 하였으며 직물을 동일기계로 다음 피복제를 사용하여 오우버코우트 하였다.
피복제의 조성물
아미노알코올 바니쉬(교오도오 인쇄잉크
Mfg. Co., Ltd.) 3
SR707T(비이온 계면활성제, 아오끼 오일
인더스트리얼 Co., Ltd.) 1
잉크와 피복제가 건조된 후 후처리로서 통상방법으로 직물을 스티밍, 소우핑 및 수세하였다. 얻어진 날염물은 광택있는 하늘색(sky-blue)그래픽 패턴을 나타내었다.
[실시예 26]
직접염료의 4종류의 다른 색상들을 표19에 기재된 혼합물을 사용하여 불용화하여 친유화 시켰다.
[표 19]
Figure kpo00036
제 1 및 제 2 혼합물을 실시예 10 내지 21,24 및 25에서와 동일한 식으로 처리하였다.
이들 4종류의 불용화(친유화) 염료를 다음 조성물의 4종류 잉크로 각각 제조하였다.
불용화(친유화)염료 1
No. 3 아마인유 바니쉬 1
4가지-칼라사진과 같은 디자인을 평판 옵셋 인쇄프레스로이들 잉크를 사용하여 면직물상에 인쇄하였으며 직물을 동일기계로 실시예 25에서 사용된것과 동일한 피복제로 오우버코우트 하였다. 잉크 및 오우버코우트가 건조된후 직물을 통상 방법으로 스티밍, 소우핑 및 수세하였다. 얻어진 날염물은 높은 색상농도를 지녔고 우수한 색상 발란스를 지녔다.
[실시예 27]
이들 실시예 절차를 이들 실시예에 사용된 평판(직접)인쇄프레스 또는 평판 옵셋 인쇄프레스 대신에
Figure kpo00037
판 인쇄프레스를 사용하여 반복하였을때 실시예 10 내지 26에서와 동일한 결과를 얻었다.
[실시예 28]
실시예 11 내지 26에 의해 달성된 것과 동일한 결과를, 실시예 11 내지 26에서 사용된 평판 인쇄프레스에 부착된 것과 같은
Figure kpo00038
판을 사용하는 건식옵셋(릴리프)방법에 준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들의 절차를 동일하게 반복하였을때 얻게되었다.
[실시예 29]
실시예 8에서와 동일한 결과를 실시예 8에서 사용된 피복제가 다음 피복제로 대치된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8에서와 동일한 절차를 정확하게 반복하여 얻었다.
피복제 조성물
아미노 알코올 바니쉬(교오도오 인쇄 잉크
Mfg. Co., Ltd.) 3
SR707T(비이온 계면활성제, 아오끼 오일
인더스트리얼 Co., Ltd.) 1
[실시예 30]
푸른색 직접 염료를 표 20에 기재된 혼합물을 사용하여 불용화하여 친유화 시켰다.
[표 20]
Figure kpo00039
제 1및 제2 혼합물을 실시예 10 내지 21 및 24 내지 26에서와 동일한 식으로 처리하였다.
잉크의 조성물
상기 수득된 불용화(친유화)염료 1
아마인유 바니쉬 0.5
수퍼 터프너(미쯔비시 인쇄 잉크 Co., Ltd.) 1
피복제의 조성물
글리콜 바니쉬(교오도오 인쇄잉크 Mfg. Co., Ltd.) 30
소디움 스테아레이트 9
소디움 라우릴술페이트 3
디에틸글리콜 1.5
그래픽 패턴을 제조된 푸른색 잉크로 면직물상에 인쇄하였다. 다음 세방법을 인쇄용으로 사용하였다.
(1) 분출용액을 사용하는 통상 평판 옵셋 인쇄방법
(2) 물이 없는 평판을 사용하는 평판 옵셋 인쇄방법
(3) 건식옵셋
Figure kpo00040
판을 갖춘 평판 프레스에 의한 인쇄방법
동시에 직물을 인쇄용으로 사용된것과 동일한 기계를 사용하여 전표면에 걸쳐 상기 피복제로 오우버코우트 하였다.
잉크 및 피복제가 건조된후 직물을 후처리로서 통상 방법으로 스티밍, 소우핑 및 수세 하였다. 수득된 모든 날염물은 광택 있는 하늘색 그래픽패턴을 나타내었다.
[실시예 31]
잉크의 조성물
[표 21]
Figure kpo00041
천연사진과 같은 패턴을 이들 4종류의 잉크로 면직물상에 인쇄하였다. 인쇄는 평판 옵셋 잉크 프레스를 사용하였으며 이 프레스는 다음으로 설치되었다. (1) 물이 없는 평판, 또는 (2) 건식옵셋
Figure kpo00042
판, 동시에 직물을 동일기계를 사용하여 실시예 30에서 사용된 것과 동일한 피복제로 오우버코우트 하였다.
잉크 및 피복제가 건조된 후 직물을 후처리로서 통상 방법으로 스티밍, 소우핑 및 수세하였다. 수득된 모든 날염물은 높은 색상농도를 지녔고 좋은 색상 발란스르 지녔다.
[실시예 32]
잉크의 조성물
[표 22]
Figure kpo00043
직접염료를 각기 혼입한 세종류의 황색 잉크를 표 20에 기재된 성분으로 제조하였다. 그래픽 패턴을 거기에 부착된 물이없는 평판으로 평판 옵셋 인쇄프레스를 사용하여 이들 잉크로 면직물을 인쇄 하였다. 동시에 인쇄된 직물을 동일기계로 실시예 30 및31에 사용된것과 동일한 피복제로 오우버코우트 하였다. 잉크 및 피복제가 건조된후 직물을 후처리로서 통상 방법으로 스티밍, 소우핑 및 수세하였다. 황색-1잉크를 광택있는 오렌지 옐로우 형으로 제조하였고 다른 잉크는 선명한 중간톤의 노란색으로 제조하였다.
[실시예 33]
잉크의 조성물
[표 23]
Figure kpo00044
직접 염료를 혼입한 두종류의 검은색 잉크를 표 23에 도시된 성분으로 제조하였다.
그래픽 패턴을 거기에 부착된 물이없는 평판을 갖춘 평판 옵셋 잉크 프레스를 사용하여 이들 잉크로 면직물상에 인쇄 하였다. 동시에 각 직물을 동일 기계로 피복제를 사용하여 오우버코우트 하였다.
두종류의 피복제를 제조하였다 : 아미노 알코올 바니쉬 교오도오 인쇄잉크 Mfg. Co.,Ltd.)를 검은색-1용으로, 다음 피복제를 검은색-2용으로 사용하였다.
피복제 조성물
아미노 알코올 바니쉬 10
수산화칼륨 1
잉크 및 피복제가 건조된후 직물을 후처리로서 통상 방법으로 스티밍, 소우핑 및 수세하였다.
수득된 직물은 우수한 색조로 재현된 검은색 그래픽 패턴을 나타내었다.

Claims (2)

  1. 직물 표면을 평판 또는
    Figure kpo00045
    판 인쇄한 다음 스티밍, 소우핑 및 수세를 포함한 후처리를 하는 날염방법에 있어서, (a)염료 또는 염료를 불용화 및/ 또는 친유화 처리를 하여 제조된 것으로 구성된 착색제, (b)(I)평판용 유성 바니쉬 및/ 또는 (II)가용화제, 중성소다염, 계면활성제, 알칼리성 물질, 물 및 알코올의 적어도 하나를 함유하는 글리콜 바니쉬 및/ 또는 아미노 알코올 바니쉬로 구성되는 비히클, (c) 착색제 (a)와 비히클(b)이 서로 혼합 또는 혼련 되어 이루어지는 잉크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날염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히클(b)-(II)이 피복제 조성물로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날염방법.
KR1019860009853A 1985-11-21 1986-11-21 날염방법 KR89000473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0-262257 1985-11-21
JP60-262258 1985-11-21
JP60262258A JPS62121058A (ja) 1985-11-21 1985-11-21 捺染方法
JP60262257A JPS62125081A (ja) 1985-11-21 1985-11-21 捺染方法
JP60291533A JPS62149989A (ja) 1985-12-24 1985-12-24 捺染方法
JP60-291533 1985-12-24
JP61-190331 1986-08-13
JP61190331A JPS6350584A (ja) 1986-08-13 1986-08-13 捺染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5147A KR870005147A (ko) 1987-06-05
KR890004737B1 true KR890004737B1 (ko) 1989-11-25

Family

ID=274754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60009853A KR890004737B1 (ko) 1985-11-21 1986-11-21 날염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411557A (ko)
EP (1) EP0224361B1 (ko)
KR (1) KR890004737B1 (ko)
CA (1) CA1285711C (ko)
DE (2) DE224361T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609259A1 (fr) * 1987-01-07 1988-07-08 Inovatex Sarl Procede perfectionne d'impression offset sur feuilles en tissu de polyamide ou de polyester, feuilles imprimees ainsi obtenues et leurs applications
US6604873B1 (en) * 2000-08-29 2003-08-12 Brent Benger Method for creating a work of fine art that is a composite of two works of fine art
US6676311B2 (en) * 2000-08-29 2004-01-13 Brent Benger Method for creating a work of fine art that is a composite of two works of fine art
US6588879B2 (en) * 2001-12-03 2003-07-08 Supersample Corporation Method for ink jet printing a digital image on a textile, the system and apparatus for practicing the method, and products produced by the system and apparatus using the method
US9402720B2 (en) 2009-01-12 2016-08-02 Valve Medical Ltd. Modular percutaneous valve structure and delivery method
CN102936857A (zh) * 2012-12-03 2013-02-20 上海洋帆实业有限公司 一种光致变色面料的生产方法
CN104060484B (zh) * 2014-06-11 2016-01-20 周文叶 一种用于尼龙地毯数码印花的固色剂及其应用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727594A (en) * 1966-02-08 Ulrich Paul Processes for dyeing and printing fibrous textile material with reactive dyestuffs
US2583286A (en) * 1952-01-22 Process for printing textile fabrics
BE451712A (ko) *
US1954451A (en) * 1930-08-13 1934-04-10 Kaumagraph Co Transfer
US2111479A (en) * 1932-01-11 1938-03-15 Agfa Ansco Corp Light-sensitive derivatives of vat dyestuffs and a process of preparing them
GB434450A (en) * 1933-12-20 1935-09-02 Walter Karl Reinhold Hartman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printers' varnishes
BE468903A (ko) * 1945-08-18
GB651324A (en) * 1946-10-25 1951-03-14 Christian Bener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printing by means of dyestuff carriers insoluble in water
GB686231A (en) * 1947-06-22 1953-01-21 Arnold Messerli Printing process for basic colouring matters
GB647105A (en) * 1948-05-10 1950-12-06 British Celanese Improvements relating to the colouration of sheet materials
GB653698A (en) * 1948-07-14 1951-05-23 Calico Printers Ass Ltd Improvements relating to the development of colour on sheet materials such as textiles
US2756144A (en) * 1951-04-25 1956-07-24 Brown Allen Chemicals Inc Photochemical multicolor printing of textile and the like
FR1348633A (fr) * 1962-12-13 1964-01-10 Wolfen Filmfab Veb Procédé pour l'impression de matières textiles
GB1284824A (en) * 1970-05-11 1972-08-09 Dawson Holdings Ltd Joseph Dye transferring method
US3700402A (en) * 1970-06-29 1972-10-24 Hideyo Noda Resist printing under reactive dye with alkali hydroxy methane sulfonate or amino and amido methane sulfonate
DE2530349A1 (de) * 1975-07-08 1977-01-20 Bayer Ag Verfahren zur erzeugung von buntreserven mit reaktivfarbstoffen unter reaktivfarbstoffen
JPS6163790A (ja) * 1984-09-06 1986-04-01 日華化学工業株式会社 ポリエステル、セルロ−ス混合材料の防抜染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224361B1 (en) 1992-06-17
DE3685725D1 (de) 1992-07-23
EP0224361A3 (en) 1989-11-23
EP0224361A2 (en) 1987-06-03
KR870005147A (ko) 1987-06-05
DE3685725T2 (de) 1993-01-28
DE224361T1 (de) 1988-04-07
US5411557A (en) 1995-05-02
CA1285711C (en) 1991-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001811B (zh) 染色用着色组合物、印花用着色组合物、印花方法、喷墨印花用油墨及被染色的布帛
KR100837480B1 (ko) 개선된 상 시각화 및 보유를 위하여 흡수 용액을포함하는, 잉크젯 인쇄용 기재를 처리하기 위한 코팅,상기 기재를 처리하는 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된 제품
CN102390188A (zh) 一种仿数码印花面料生产方法
KR890004737B1 (ko) 날염방법
CN101967760B (zh) 一种九分色印花方法
US3891581A (en) Water dilutable transfer ink compositions
US2338252A (en) Decorating composition for textiles
US4185957A (en) Heat transfer black dyestuff B
US2364738A (en) Textile decorating compositions
JPS6350584A (ja) 捺染方法
EP0040780A1 (de) Verfahren zum Bedrucken von synthetischem hydrophobem Fasermaterial
JPH0149833B2 (ko)
JPH0149834B2 (ko)
JPS6198777A (ja) 転写法用の水を基礎とした直ちに使用しうる液体糊剤調合物
US3266863A (en) Method of decorating polyester textile fabrics and composition therefor
US2251914A (en) Method of printing textiles
DE3106036A1 (de) Verfahren zum bedrucken von synthesefasern
DE3019726A1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reserveeffekten auf polyester-zellulose-mischfaser-textilien
KR100431156B1 (ko) 분산염료에 의한 실크직물의 염색방법
JPS62121058A (ja) 捺染方法
GB190303778A (en) Improvements in Printing Vegetable Fabrics.
GB1591950A (en) Heat transfer black dyestuff
JPS5845510B2 (ja) 転写捺染法及び転写捺染用シ−ト
US1790950A (en) op wilmington
JPS60252783A (ja) 合成繊維材料の染色または捺染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81026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