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4631B1 - 도자기의 가압주입성형용형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도자기의 가압주입성형용형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4631B1
KR890004631B1 KR1019870008676A KR870008676A KR890004631B1 KR 890004631 B1 KR890004631 B1 KR 890004631B1 KR 1019870008676 A KR1019870008676 A KR 1019870008676A KR 870008676 A KR870008676 A KR 870008676A KR 890004631 B1 KR890004631 B1 KR 8900046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ous
upper case
mold
flexible wire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700086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02633A (ko
Inventor
하루유끼 이또오
아끼오 마쓰모도
Original Assignee
도오또오 기끼 가부시끼가이샤
후루가 요시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오또오 기끼 가부시끼가이샤, 후루가 요시네 filed Critical 도오또오 기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8800026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26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46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46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7/00Moulds; Cores; Mandr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00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 B28B1/26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slip-casting, i.e. by casting a suspension or dispersion of the material in a liquid-absorbent or porous mould, the liquid being allowed to soak into or pass through the walls of the mould; Moulds therefor ; specially for manufacturing articles starting from a ceramic slip; Moulds therefor
    • B28B1/261Moulds therefor
    • B28B1/262Mould materials; Manufacture of moulds or parts thereof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25/00Plastic article or earthenware shaping or treating: apparatus
    • Y10S425/033Magne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Producing Shaped Articles From Materials (AREA)
  • Moulds, Cores, Or Mandrels (AREA)
  • Casting Or Compres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도자기의 가압주입성형용형의 제조방법
제1도는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서 만들어진 다공질형의 단면도.
제2도는 다공질형의 내부에 형성되는 중공로의 모식도.
제3도는 본 발명의 방법에 사용된 뚜껑케이스의 사시도.
제4도는 유지구를 사용하여 뚜껑케이스에 플렉시블 선재를 부착한 상태를 도시하는 상세도.
제5도는 뚜껑케이스의 마그넷과 유지구와의 관계를 도시하는 정면도.
제6도는 뚜껑케이스를 본체케이스와 조합하여 다공질형 성형용 슬러리를 주형한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
제7도는 뚜껑케이스를 떼어낸 상태의 본체케이스와 다공질형의 도면.
제8도는 플렉시블 선재를 뽑아낸 다공질형의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다공질형 2 : 중공로
3 : 뚜껑케이스 4 : 유지구
5 : 플렉시블선재 7 : 본체케이스
10 : 마그넷
본 발명은 도자기의 가압주입성형용형에 사용되는 다공질형의 제법에 관한것이다. 대형이며 복잡한 형상을 한 도자기의 성형에는 옛부터 석고형을 사용한 상압주입 성형법이 채용되어 왔다. 그러나, 상압주입성형은 형의 모세관력에 의해 슬러리에서 물을 흡수하여 착육을 하는것이기 때문에, 착육속도를 비약적으로 향상시키는 일은 할수없었다. 또 형의 모세관력은 물을 흡수하면 작용하지 않게되기 때문에 형을 1~2회 사용하면 건조시켜 물을 탈수하지 않으면 안되고, 건조에는 장시간을 요하는 등의 결점이 있었다.
그래서 이것들의 결점을 해결하고 비약적으로 생산성을 향상할 수 있는 방법으로서, 최근 가압주입성형방법이 개발되어왔다.
가압주입성형에서는 수 ㎏/㎠ 내지 30㎏/㎠ 가까운압력으로 슬러리를 형과 형사이의 공간 즉 공동(Cavity)에 주입하여 성형하기 때문에, 다공질형은 종래 보강용의 튼튼한 철제 내압용기나 철제상자와 본체 케이스를 조합하여 내압용기 또는 상자의 속에 다공질형형성용의 슬러리 또는 분체(예를들어 에폭시수지와 모래를 혼합한 분말)를 충전하여 경화시켜 보강철용기 또는 상자와 일체로 된 구조로서 보강되어 있다. 이와같은 종래방법으로는튼튼한철제가압용기나 철제상자는 제품의 형상과 상사형으로 만드는 것이 극히 곤란하기 때문에 다공질층의 두께를 균일한 것으로 할수가 없고 부분적으로 대단히 두께가 두꺼운 것으로 되는일은 피할수 없었다.
다공질형의 두께가 지나치게 두꺼우면 가압주입성형시의 슬러리 압에 의한 다공질층의 압축탄성 비뚤어짐이 커져서 코오너부의 크랙이 발생하기 쉽게되든가 또 탈형시 압축탄성 비뚤어짐의 되돌아옴으로 형이제품을 물게되어 탈형이 곤란하게 되는 결점이 있었다. 또 가압주입성형 방법으로는 성형시 다공질형내에 보내어지는 물을 배수하기 위한 배수로가 필요하며 또 제품을 형에서 탈형할때 다공질형을 통해서 형의 성형면에 공기 및 물을 불어내기위한 가압공기용의 통로도 필요하여, 제품 탈형시 예를들어 상하 두개의 형으로 되어있는 형에서는 먼저 제품을 하형으로부터 탈형할 경우에는 상형으로부터 제품이 떨어지지 않도록 형의 다공질층을 감압하여 제품을 상형에 흡착시켜둘 필요가 있다.
이것을 위한 공기배기통로도 필요하다. 이것들은 동일의 통로로 겸용되는 것이나, 특히 제품탈형시 형의 성형면으로의 물 및 공기의 불어냄이 균일하게 되도록 통로의 간격 및 형의 성형면부터 통로까지의 거리를 콘트롤하여 탈형에 지장이 일어나지 않도록 하지않으면 안된다. 이와같은 통수통기용 통로의 작성방법은 여러가지 제안되어 있으나 제작상에 난점이 있든가 또 사용상 난점이 있는것 뿐이었다.
즉 종래의 방법의 하나로서, 통수통기로를 갖은 다공질형은, 철망을 사용하여 형의 성형면에서 소망의 거리를 유지할 수 있는 형상의 바구니를 만들어, 여기에 통수통기용의 다공질관 또는 감은 코일선의 위를 천으로 씌운 관재를 적당 간격으로 고정하여, 이 바구니를 형의 성형면에서 소망의 거리로 될수 있도록 내압용기에 고정하여, 이 내압용기와 본체케이스를 조합하여 그것들의 사이의 공간에 다공질형 형성용 슬러리를 주형하여 경화시켜서 만들어지고 있었다.
이 방법으로는 형을 조형할때마다 바구니를 만들지 않으면 안된다고 하는 결점이 있고 또 철망제의 바구니는 그 형상을 정밀도 좋게 만들기가 어렵고, 따라서 통수통로를 정밀도 좋게 다공질층의 속에 배치하기 어려운 결점이 있어 더욱 또 바구니에 부착하는 관재를 제작하는데 품이드는 결점이 있었다.
이 방법은 통수통기로는 관경을 작게하는것이 곤란하기 때문에 다공질층의 속에서 교차시키면 그부분의 공극부가 커져서 형은 강도상 문제가 일어나든가 또 형의 성형면부터의 거리가 변하는 등의 결점이 생겨 자유롭게 통로를 교차할 수 없는 결점도 있었다. 그 다른 방법으로서는 보강용 철제상자에 직접 플렉시블 선재 또는 강성선재를 고정하여, 이것과 본체케이스를 조합하여 다공질 형성 슬러리를 주형하여 경화후 선재를 뽑아내어서 배수로를 형성하는 것이 제안되어있다(특개소 60-8010호).
그러나 이와같은 방법으로는, 철제 상재를 제품의 형상과 상사하게 만들수가 없기 때문에, 통수통기용 통로를 형의 성형면에서의 거리 및 통로간격을 소망대로 선정하여 만드는 일은 할수없는 결점이 있다. 그외의 방법으로서, 미리 만들어진 다공질형의 뒤쪽에 공구를 사용하여 홈을 파고 그위를 접착제를 도포한 테이프로 덮어 통수통기용 통로로하는 방법이 있으나, 이 방법으로는 치수정밀도 좋게 홈을 파는일이 곤란한 것과, 홈에 테이프를 접착하는 작업이 수작업으로 행하여지는 결과, 접착제에 의한 타는것(피부질환) 등 위생상의 좋지않은 결점도 있다. 더욱, 형의 사용시에 접착면에서 가압공기가 새어서 형이 파손하는 결점도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것들 종래 방법의 결점을 해결하여 제작이 용이하고 사용에 적합한 가압주입성형용의 다공질형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구멍을 갖고있는 유지구를 강성재료의 뚜껑케이스의 내면에 소망의 간격으로 줄을 지어, 착탈 가능한 방법으로 부착하여, 각 열의 유지구의 구멍에 플렉시블 선재를 통해서 이것을 뚜껑케이스의 내면에서 소정거리에 유지하고, 플렉시블 선재의 일단 또는 양단을 뚜껑케이스의 외측에 내고, 뒤이어 이 뚜껑 케이스를 본체케이스와 조합하여 구성되는 공간에 다공질형 형성용 슬러리를 주형하고, 슬러리의 경화후, 다공질형에서 뚜껑케이스를 떼어내고, 플렉시블 선재의 유지구를 플렉시블 선재와 같이 다공질형내에 남기고, 뒤이어 플렉시블 선재를 다공질형에서 뽑아내고 중공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질형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유지구를 뚜껑케이스에 부착하는데 있어서는, 뚜껑케이스에 마그넷을 매설고정하고, 유지구로서 강자성체를 사용하는 방법, 뚜껑케이스 및 유지구의 부착면에, 매직테이프 즉 베루크로 파스너를 설치하는 방법, 뚜껑케이스 또는 유지구 혹은 그 양쪽의 부착면에 재박리 가능한 점착제를 도포하고, 혹은 점착테이프를 붙이는 방법등을 채용할 수가 있다.
이 방법으로는, 뚜껑케이스를 떼는데 있어서, 유지구가 뚜껑케이스에서 떨어져서 다공질형의 속에 남겨지기 때문에 다공질형이 수직면이나 경사면을 갖고있을 경우에도 뚜껑케이스를 손쉽게 다공질형에서 뗄수가 있다. 유지구가 뚜껑케이스에 항구적으로 고정되어 있을 경우와같이, 뚜껑케이스를 떼는데 의하여 유지구가 다공질형에서 빠짐으로 인하여 만들어지는 구멍을 수지로 메울 필요가 없다. 따라서 작업능률이 현저하게 향상한다.
다음에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조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하여 작성된 다공질형(1)의 단면도이며, 다공질형의 내부에 통수·통기용의 중공로(2)가 다수 형성되어 있다. 중공로(2)는 제2도에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바와같이 간중공로(2a)와 이것과 교차하는 가지중공로(2b)로서 이루어져 있다.
제3도는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다공질형을 제조하는데 뚜껑케이스(3)를 도시하고, 이 뚜껑케이스(3)는 강성의 재료 예를들어 FRP 등으로 만들어진다. 뚜껑케이스(3)에는 유지구(4)를 개재하여 플렉시블 선재(5)가 소정의 간격과 배열로 부착된다. 5b는 가지중공용 플렉시블 선재이며, 이것들 플렉시블 선재와 교차하여 간중공로용 플렉시블 선재(5a)가 배열되어 있다. 이것들의 플렉시블 선재(5)는 형성되는 다공질형에서 그 경화후 뽑아내어지기 때문에, 모두 뚜껑케이스를 통해서 그밖에 끝을 내놓고 있다.
플렉시블 선재(5)는 다공질형과 떨어지기쉽고, 탄력성이 있고 강도가 강한 원형 또는 타원형의 단면의 봉상 또는 관상의 것이며, 예를들어 실리콘고무, 폴리에틸렌고무로 만들어지는 것이 좋다. 선재의 경은 1~5㎜ 정도일것이 바람직하다.
제3도에서 알다시피, 뚜껑케이스(3)는 수평면외에 수직면이나 경사면을 동시에 갖는 형상의 다공질형을 작성하는데 적합하다. 제4도 및 제5도에서 가장 잘 알수있도록, 뚜껑케이스(3)에는 마그넷(10)가 소정의 간격으로 줄을지어 매설 고정되어, 여기에 강자성체로 만들어진 유지구(4)가 흡자작용(吸磁作用)으로 해방자재로 부착된다. 유지구(4)는 구멍(6)을 갖고 플렉시블 선재(5)는 각 열의 유지구(4)의 구멍(6)에 통(하게)하는 것에 의해 유지구(4)에 부착되어, 뚜껑케이스(3)의 내면에서 소정거리로 유지된다. 그리하여 제6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플렉시블 선재(5)를 부착한 뚜껑케이스(3)를 본체케이스(7)와 조합하여 다공질형 형성슬러리(9)를 주형한다.
다공질형 형성슬러리가 경화한후, 뚜껑케이스(3)를 다공질형(1)에서 떼면, 마그넷(10)이 유지구(4)에서 떨어져 다공질 형내에 유지구(4)가 남는다(제7도). 뒤이어, 플렉시블 선재(5)를 뽑아냄으로 인해서 다공질형(1)내에 중공로(2)가 형성된다(제8도). 유지구에는, 형의 사용중에 녹이 생기지 않도록, 예를들어 수지코우팅등의 방청처리를 가해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은 유지구의 착탈자재의 부착에 유지구를 강자성체로 하여, 이것과 같이 작용하는 마그넷을 설치하는 예에 대해서 언급했으나, 매직 테이프나 재박리 가능한 점착제 또는 점착테이프를 사용해도 같은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하면, 가압주입 성형형용의 다공질형을 제작하는데 있어서, 통수통기용의 중공로를 형내에 작성하는 선재를 부착한 뚜껑케이스를 사용했기 때문에 통수통기용의 중공로를 형의 성형면부터의 거리, 간격, 공공경(空孔徑)모두 정밀도 좋게 콘트롤 하여 다공질형의 내부에 만들수가 있어 종래 방법이 갖는 결점을 대폭을 개선할수가 있다. 특히 다공질형의 성형후, 뚜껑케이스를 떼어내고 선재를 빼내는 것만으로 중공로가 다공질형내에 만들어지기 때문에, 중공로의 제작에 품이 비교적 들지않는다. 또 숙련을 요하는 일도없고, 뚜껑케이스에 선재를 소정의 배열에 극히 신속 더욱 간단하게 부착할수가 있고, 따라서 작업능률이 현저하게 향상한다.

Claims (8)

  1. 강성재료로 만들어진 상부케이스(뚜껑케이스)(3)의 내면에 원하는 간격으로 복수개의 구멍있는 유지부재(4)를 열을 이루어 착탈가능하게 부착하는 단계 ; 플렉시블 선재(5)의 두단중의 적어도 일단은 상기 상부 케이스(3) 외측에 뻗쳐나게 하면서, 상기 상부케이스(3)의 내면으로부터 소정거리에 플렉시블 선재(5)를 유지하기 위해 각 열에 있는 유지부재(4)의 구멍속에 플렉시블선재(5)를 나사끼움하는 단계 ; 다공질형(1)을 형성하도록 상기 상부케이스(3)와 이 케이스(3)에 연결된 하부본체 케이스(7)사이에 획정된 형공간에 슬러리를 주입하는 단계 ; 상기 유지부재(4)는 상기 다공질형(1)내 상기 플렉시블 선재(5)와 함께 남기면서 상기 슬러리가 경화후 다공질형(1)으로부터 상기 상부케이스(3)를 제거하는 단계 ; 상기 다공질형(1)내에 중공로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다공질형(1)으로부터 상기 플렉시블 선재(5)를 인발하는 단계 ; 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자기 성형을 위한 가압주입성형에 사용되는 다공질형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가능하게 부착하는 단계는 상기 상부케이스(3)의 내면에 복수개의 마그넷(10)을 고정적으로 매설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유지부재(4)는 강자성재료로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질형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가능하게 부착하는 단계는 상기 상부케이스(3)의 내면 및 상기 각 유지부재(4)에 매직테이프로된 유지부재를 고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질형의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가능하게 부착하는 단계는 적어도 상기 상부케이스(3)의 내면과 상기 각 유지부재(4)중의 하나에 재박리성 접착제를 도포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질형의 제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가능하게 부착하는 단계는 상부케이스(3)의 내면과 상기 각 유지부재(4)중의 적어도 하나에 점착테이프를 첨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질형의 제조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시블 선재(5,5a,5b)는 직경 1내지 5㎜의 봉상 또는 관상요소로 만들어지는 것을 특지으로 하는 다공질형의 제조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봉상 또는 관상부재는 실리콘 또는 폴리에틸렌고무로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질형의 제조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부재(4)를 수지로 피복함으로써 방청처리를 받게하는 단계를 다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질형의 제조방법.
KR1019870008676A 1986-08-08 1987-08-07 도자기의 가압주입성형용형의 제조방법 KR89000463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1-186243 1986-08-08
JP61186243A JPS6342804A (ja) 1986-08-08 1986-08-08 陶磁器の加圧鋳込成形用型の製造方法
JP186243 1986-08-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2633A KR880002633A (ko) 1988-05-10
KR890004631B1 true KR890004631B1 (ko) 1989-11-21

Family

ID=161848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08676A KR890004631B1 (ko) 1986-08-08 1987-08-07 도자기의 가압주입성형용형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4830802A (ko)
JP (1) JPS6342804A (ko)
KR (1) KR890004631B1 (ko)
CA (1) CA1304921C (ko)
DE (1) DE3726395A1 (ko)
FR (1) FR2602453B1 (ko)
GB (1) GB2196289B (ko)
IT (1) IT1222455B (ko)
SE (1) SE46842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08211B2 (ja) * 1992-06-09 1998-10-08 東陶機器 株式会社 連続気孔多孔体及びそれを用いた陶磁器の加圧鋳込み成形用型
US6015518A (en) * 1994-11-02 2000-01-18 Unipor Ag Method of making a device for conducting a fluid between a space bounded by a fixed surface and a duct
US5772161A (en) * 1995-05-25 1998-06-30 Livingston; Douglas N. Capillary bracket
ITRE20010022A1 (it) * 2001-03-09 2002-09-09 Sacmi Elemento di stampo per la formatura d'oggetti mediante colatura ad impasto umido d'argilla e simili e metodo per la sua fabbricazione
US6832493B2 (en) * 2002-02-27 2004-12-21 Corning Incorporated High purity glass bodies formed by zero shrinkage casting
JP4888337B2 (ja) * 2007-10-26 2012-02-2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内燃機関の燃料ポンプ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E502991A (ko) *
US1525797A (en) * 1924-03-17 1925-02-10 Blum Ernest Process for molding wall sections
US2584110A (en) * 1947-03-27 1952-02-05 Ram Inc Mold for pottery ware
US2615229A (en) * 1948-11-12 1952-10-28 Ram Inc Mold and method of making molds
US2964821A (en) * 1956-07-05 1960-12-20 Donald E Meehan Apparatus for constructing building walls
US2979801A (en) * 1958-09-11 1961-04-18 Owens Illinois Glass Co Method of making reinforced cast shapes
US3243860A (en) * 1961-11-07 1966-04-05 American Radiator & Standard Molding methods and associated apparatus
US3156751A (en) * 1961-12-06 1964-11-10 Crane Co Mold for forming a ceramic article and method of making the mold
US3286974A (en) * 1962-05-09 1966-11-22 Mc Graw Edison Co Ceramic mold
GB999524A (en) * 1964-01-31 1965-07-28 Dow Mac Products Ltd An improved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manufacture of hollow concrete bodies
US3418408A (en) * 1966-05-03 1968-12-24 Ram Inc Method for making ware producing mold members
DE1938495A1 (de) * 1969-07-29 1971-02-11 Wintergerst Prof Dr Ing Siegmu Spritzguss- oder Pressform und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GB1295055A (ko) * 1969-08-19 1972-11-01
US3723584A (en) * 1969-12-15 1973-03-27 Bischoff Chemical Corp Method of making an electroformed mold having heat transfer conduits and foam polyurethane foundation
US4191722A (en) * 1972-12-26 1980-03-04 Gould Walter M Method of molding a composite synthetic resin foam roofing structure having an integral skin thereon
JPS5614451A (en) * 1979-07-09 1981-02-12 Agency Of Ind Science & Technol Manufacture of glass subjected to reflection preventing treatment
SU898002A1 (ru) * 1980-03-04 1982-01-15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Дорожный Научно-Исследовательский Институт Устройство дл креплени закладных деталей в форме
US4413966A (en) * 1981-06-26 1983-11-08 Wallace Murray Corporation Fluid-release mold and th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FR2515565A1 (fr) * 1981-11-04 1983-05-06 Safama Mode de fixation de moules souples sur une bande sans fin
JPS58208005A (ja) * 1982-05-27 1983-12-03 株式会社イナックス 排泥鋳込み成形方法
JPS608010A (ja) * 1983-06-28 1985-01-16 高木 金一 泥しようの高圧圧入を施す陶磁器成形用石膏型
US4673542A (en) * 1985-06-14 1987-06-16 General Motors Corporation Method of making a foamed seat or cushion having integral fasteners
JPS6233601A (ja) * 1985-08-06 1987-02-13 株式会社イナックス 排泥鋳込み成形方法
JPS6331711A (ja) * 1986-07-26 1988-02-10 東陶機器株式会社 陶磁器の加圧鋳込成形用型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2196289A (en) 1988-04-27
US4830802A (en) 1989-05-16
KR880002633A (ko) 1988-05-10
FR2602453A1 (fr) 1988-02-12
SE8703057D0 (sv) 1987-08-05
CA1304921C (en) 1992-07-14
SE8703057L (sv) 1988-02-09
SE468424B (sv) 1993-01-18
JPH0149083B2 (ko) 1989-10-23
IT1222455B (it) 1990-09-05
JPS6342804A (ja) 1988-02-24
GB8718378D0 (en) 1987-09-09
DE3726395C2 (ko) 1992-01-23
FR2602453B1 (fr) 1992-02-07
IT8721600A0 (it) 1987-08-06
GB2196289B (en) 1989-12-20
DE3726395A1 (de) 1988-0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156751A (en) Mold for forming a ceramic article and method of making the mold
US3081493A (en) Method for making by rotary casting a buoyant body of plastic furnished with a passage therethrough
KR890004631B1 (ko) 도자기의 가압주입성형용형의 제조방법
KR900001535B1 (ko) 도자기의 가압 주입성형용 형의 제조방법
KR890004632B1 (ko) 도자기의 주입성형법에 사용되는 형의 제조방법
KR900001603B1 (ko) 도자기의 가압주입성형용 형의 제조방법
KR900001602B1 (ko) 도자기의 가압주입성형용 형의 제조방법
KR900001604B1 (ko) 도자기의 가압주입성형용 형의 제조방법
SE8503416D0 (sv) Forfarande for framstelllning av skalformade gjutkonstruktioner
CA1245822A (en) Apparatus for embedding flexible conduits in molded articles
US2596573A (en) Molding process
US3392221A (en) Method for producing hollow ceramic articles
KR0163675B1 (ko) 수지금형 제작방법
RU21373U1 (ru) Пустотообразователь
KR910001129B1 (ko) 모자이크 인조석군의 제조형틀과 그 제조방법 및 그 제조형틀에 의한 모자이크 인조석군의 제조방법
JPS6335344B2 (ko)
DE3132151A1 (de) Verfahren und formkern zum entformen von im tongiessverfahren hergestellten keramikgiesslingen aus gipskernformen
JPH0214165B2 (ko)
JPH0822531B2 (ja) 繊維強化セラミックス中空成形体の製造方法
JPH0373309A (ja) 加圧鋳込み成形用石膏型
JPH02214605A (ja) 鋳込成形法
JPS60141888A (ja) プラスチツクシ−ト真空成型用シエル形成層の製造方法
JPS58215307A (ja) 繊維補強コンクリ−ト管の製造方法
DE3134679A1 (de) Formen zur herstellung von formteilen aus keramischen massen
JPH04224904A (ja) 泥漿鋳型の中空路形成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111

Year of fee payment: 1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