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4008Y1 - 곡선 에스컬레이터 - Google Patents

곡선 에스컬레이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4008Y1
KR890004008Y1 KR2019840008690U KR840008690U KR890004008Y1 KR 890004008 Y1 KR890004008 Y1 KR 890004008Y1 KR 2019840008690 U KR2019840008690 U KR 2019840008690U KR 840008690 U KR840008690 U KR 840008690U KR 890004008 Y1 KR890004008 Y1 KR 89000400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s
rail
main frame
driving
pa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4000869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50009582U (ko
Inventor
료이치 사이토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전기 주식회사
카다야마 히도하지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7251183A external-priority patent/JPS6067383A/ja
Priority claimed from JP14918583U external-priority patent/JPS6056674U/ja
Priority claimed from JP14918683U external-priority patent/JPS6056675U/ja
Priority claimed from JP17848983A external-priority patent/JPS6071490A/ja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전기 주식회사, 카다야마 히도하지로 filed Critical 미쓰비시전기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85000958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958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400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4008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1/00Kinds or types of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1/02Escal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3/00Component parts of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3/14Guiding means for carrying surfaces
    • B66B23/147End portions, i.e. means for changing the direction of the carrying surface

Landscapes

  • Escalators And Moving Walkway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곡선 에스컬레이터
제1도는 종래의 곡선에스컬레이터의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의 평면도.
제3도의 제2도의 Ⅲ-Ⅲ선에 따른 제1도의 수직 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것으로 제3도와 동일한 수직단면도.
제5도는 제4도의 요부를 확대한 평면도.
제6도는 제5도의 화살표 Ⅵ-Ⅵ방향에서 본 제4도 및 제5도의 측면도.
제7도는 제4도의 실시예의 주프레임(main frame)과 각종 레일부분을 확대한 일부 평면도.
제8도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것으로 제7도와 동일한 일부평면도.
제9도는 제8도의 Ⅸ- Ⅸ선에 따른 단면도.
제10도는 본 고안에 의한 프레서레일(presser rails)을 부분적으로 나타낸것으로 제1도에 나타낸 텐션휘(tension sheel)장치의 부분측면도.
제11도는 종래의 직선에스컬레이터에서 텐션휘일장치를 이동시킨후의 상태를 부분적으로 나타낸것으로 제10도와 동일한 부분측면도.
제12도는 주프레임에 대해서 텐션휘일장치를 이동시킨후의 상태를 나타낸것으로 제10도와 동일한 부분측면도.
제13도는 본 고안에 의한 결사레일장치(inclined rail device)의 구조를 나타낸것으로 제11도와 동일한 부분측면도.
제14도는 제13도의 ⅩⅡ-ⅩⅣ화살표방향으로본 경사레일장치의 평면도.
제15도는 변형실시예를 나타낸것으로 제4도와 동일한 수직단면도.
제16도는 답면판(tread boards)이 상부 및 하부의 왕복통로를 운행할때 답면판의 상태를 나타내는 에스컬레이터 전체의 개략적인 확대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주프레임(main frame) 1o : 외측프레임 수직부재
1 : 내측프레임 수직부재 1a : 주프레임 크로스빙(cross beam)
2 : 컨베이어 통로(conveyor passage)
2a : 상부하중 경사통로(inclined upper load run)
2b : 상부또는 하부 편향부(defection portions)
2c : 하부 귀환경사통로(inclined lower return run)
3 : 답면판(tread board) 3a : 답면판측
4a : 외측구동레일 4b : 수평내측 구동레일
3b : 외측구동롤러 4b,4d : 내측구동레일
4b" : 경사레일부 3c : 내측구동롤러
5a,5c : 외측종동레일 4d' : 수평내측구동레일
5b,5d : 내측종동레일 4d" : 경사레일부
6a : 외측답면판 무한체인(tread board endless chain)
6b : 내측답면판 무한체인 7 : 측면롤러
7a : 브래킷(bracket) 9a : 스프로킷휘일(sprecket sheel)
9b : 구동모터 9 : 구동수단(driving means)
10 : 텐션휘일(tension sheel means) 10a : 외측스프로킷휘일
10b : 내측스프로킷휘일 12a,12c : 프레서레일(presser rail)
11a,11c : 외측 구동레일 13a : 외측브래킷
12b',12d : 수평레일 12b : 프레셔레일
13b : 내측브래킷 14a : 상부단브래킷
12d : 프레서 레일 15 : 브래킷
14b : 하부단 브래킷 20a : 외측종동롤러
16 : 볼트 21 : 경사레일장치
22b,22d : 활동결합부재(sliding joint) 21b' : 수평상부레일
21d : 수평상부레일 21b" : 상부경사레일부
21d" : 하부경사레일부 21e' : 수평하부레일
21e" : 경사레일부 23 : 프레임
24 : 브래킷
본 고안은 에스컬레이터에 관한것으로, 좀더 구체적으로 말하면 편면도에서 곡선수송로(curved conveying path)를 가진 곡선에스컬레이터의 답면판 안내구조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첨부된 도면중 제1도내지 제3도에서와같은 종래의 에스컬레이터에는 평면도에서 반원형상인 에스컬레이터의 주프레임(main frame)(1)이 상방향으로 거의 경사지게 배치되어있고, 컨베이어통로(2)가 주프레임(1)에 의해 무한식으로(in an endless fashion)지지되어있으며, 그 컨베이어 통로(2)는 주프레임(1)의 상부측에있는 상부하중경사통로(inclined upper load run)(2a), 주프레임(1)의 양단부에는 수평편향부(2b)및 주프레임(1)의 하부측에있는 하부귀환경사통로(inclined lower return run)(2c)로 구성되었다.
컨베이어통로(2)는 서로 연결된 다수의 답면판(tread board)(3)으로 구성되어있고 이들의 각각은 일반적으로 평면도에서 부채꼴형상을 가지며, 또 그부채꼴의 전면단(이동방향에 대하여)아래쪽에는 폭방향에 회전할수있는 수평답면판측(tread board axle)(3a)은 한쌍의 외측 구동롤러(3b)를 회전할수있게 지지하는 그외측 단부에 있는 브래킷(bracket)(7a)를 고착시킴과 동시에 그축(3a)는 내측구동롤러(3c)를 회전할수있도록 지지하며, 그내외측구동롤러(3b)및 (3c)는 내외측구동레일(4a)(4b)에 의해 각각 지지및 안내된다.
이들의 레일(4a)및 (4b)는 컨베이어통로(2)의 내외측주변에따라 주프레임(1) 내부에 설치되고 브래킷등의 적당한 수단에 의해 각각 내측및 외측의 아아치형 주변에서 주프레임(1)에 고정되었다.
다음에 설명하는 제5도및 제6도에서와같이 내측및 외측 종동롤러(follower roller)(20a) 및 (20b)가 그후단부(이동방향에 대하여 하부측에 있는 답면판(3)에 구성되고, 브래킷등 적당한 수단에의해 컨베이어통로(2)의 내측및 외측주변에 따라 각각 주프레임(1)에 고정된 내외측 종동레일(5a) 및 (5b)에 의해 지지 및 안내되도록 한다.
그 탑면판축(3a)는 내외답면판 무한체인(6a) 및 (6b)각각에 의해 그 내외측단에 동시에 연결된다.
또, 각각의 답면판측(3a)는 브래킷(7a)상에 회전할수있게 부착된 측면롤러(7)을 그축(3a)의 외측단부에 구성하여 그측면롤러(7)이 외측구동롤러(3b)에 직각으로 설치되어있다.
그 측면롤러(7)는 컨베이어통로(2)의 원호외측주면에 따라 브래킷을 통하여 주프레임(1)에 고착된 안내레일(8)에 접촉되어 그 안내레일(8)과 협동하여 컨베이어통로(2)의 원호중심쪽으로 향한 하중을 운송하도록 작동하며 그하중은 답면판(3)의 이동에따라 발생한다.
9는 컨베이어통로(2)의 상부편향부(2b)에 구성되고 주프레임(1)에 의해 지지된 구동수단으로 구동모터(9b)와 이구동모터(9b)에 의해 구동되며 횡방향으로 떨어져있는 한쌍의 스르로킷휘일(sproket wheeels)(9a)를 구성하고 그 상부편향부(2b)에서 답면판(3)의 답면판무한체인(6a)및 (6b)이 각각 수용된다.
10은 컨베이어통로(2)의 하부편향부(2b)에 구성된 텐션휘일(tension wheel means)을 나타내며, 이 휘일(10)은 외측 및 내측스프로킷휘일(10a) 및 (10b)는 폭방향으로 서로 떨어져있다.
이들의 휘일(10a)및 (10b)는 내외측 단면판체인(6a)및 (6b)를 걸게된다.
따라서, 외측스프로킷휘일(10a)의 직경은 내측스프로킷휘일(10b)보다 더 크다.
여기서 외측및 내측구동레일(4a) 및 (4b)의 구조에 대해서 예로서 내측구동레일(4b)를 들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제10도에서와 같이 컨베이어통로(2)의 상부하중 경사통로(2a)에 속하는 내측구동레일(4b)가 그 하부단부에서 컨베이어통로(2)의 하부편향부(2b)내측단에있는 수평내구동레일(4b')로 이동되고 그 구동레일(4b')는 경사부(4b")에서 종료되며 그 경사부(4b")자유단은 하부편향부 (2b)의 중심쪽으로 거의 신장되어있다.
동일하게, 하부 귀환경사통로(2c)에 속하는 구동레일(4d)는 그 하부단부에서 하부편향부(2b)의 내측단에있는 수평하측 구동레일(4d')로 이동되어 그 구동레일(4d')가 경사부(4d")에서 종료되고 그 자유단은 하부편향부(2b)의 중심쪽으로 거의 신장되었다.
여기서 부호(12b)및 (12d)로 제10도에 도시된 다른레일은 종래의 에스컬레이터에는 구성되어있지 않는 것에 주목하여야하며 본고안과 관련시켜 다음에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또 제8도내지 제11도에도 마찬가지다.
구동수단(9)이 작동될때 스프로킷 휘일(9a)이 구동되고 답면판(3)이 스프로킷휘일(9a) 에 걸려있는 외측및 내측 답면판체인 (6a) 및 (6b)에 의해 구동된다.
따라서, 내측및 외측구동롤러(3b)및 (3c), 내외측종동롤러(20a) 및 (20b), 답면판(3)이 측면롤러(7)는 각각의 구동레일(4a)및 (4b), 종동레일(5a) 및(5b), 안내레일(8)에 의해 컨벵이어통로(2)의 상부 하중경사통로(2a)에 따라 안내되고 전동하여 그답면판(3)이 컨베이어통로(2)에 따라 순환된다.
이경우 그답면판(3)은 컨베이어통로(2)의 원호중심쪽으로 향한 분력을 받게된다.
이 분력은 측면롤러(7)와 이를 안내하는 안내레일(8)에 의해 작용된다.
그러나. 제3도에서와같은 종래의 곡선에스컬레이터에서는 그 구동롤러(3b)및 (3c)가 상방향쪽으로 향하도록 힘을 받는 일정한 부분을 제외한 컨베이어통로(2)의 그경사통로(2a)및 (2c)에서 구동레일(4a)및 (4b)로 부터 구동롤러(3b)및 (3c)가 상방향으로 상승하지 못하도록한 가압레일(pusher rails)이 없다.
그러나, 제1도내지 제3도의 구조로는 그 구동롤러(3b)및 (3c)를 상방향으로 가하는 힘이 정상적인 이동을할때 이들 롤러에 일반적으로 가하여지지 않으나, 이구동롤러(3b)및 (3c)가 불가피한 이유로 상승될때, 그측면롤러(7)는 안내레일(8)을 이탈하므로서 그답면판(3)이 그 상승방향이나 그 답면판측(3a)방향으로 가한힘에 의해 컨베이어통로(z)의 원호중심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또, 그 구동롤러(3b) 및 (3c)는 상부하중경사통로(2a)에 따라 이동중 그 두동레일(4a)및 (4b)에서 상승될수있어 승객을 위태롭게 한다.
더우기 위에서 설명한 종래의 에스컬레이터에서는 그 측면롤러(7)의 안내레일(8)이 그 구동레일(4a) 및 (4b)와 분리되어 있기 때문에 부품수가 많아져 에스커렐이터의 제작, 조립및 조정에 상당한 시간이 필요하게 되었다.
반면에, 예로서 제10도에서와같이 하부편향부(2b)에서는 내측구동레일(4b)및 (4d)가 이들의 단부에서 각각수평내측 구동레일(4b')및 (4d')에 각각 연결되어있다.
이들의 레일은 내측답면판 무한체인 (6b)가 스프로킷휘일(10a)의 직경보다 더 작은 스프로킷휘일(10b)와 원할하게 맞물려지도록하고, 더큰 스프로킷휘일(10a)는 외측답면판체인(6a)와 맞물려지도록한다.
종래의 에스컬레이터에서는 레일(4b),(4b'),(4b"),(4d),(4d'),(4d")등이 주프레임(1)에 모드 고착되어 있고 텐션휘일(10)이 마모등에 의해 담변판체인(6a)및 (6b)이 이완될때 컨베이어통로(2)에 대해서 외측수평방향으로 이동시켜 그체인의 이완을 보상하여햐 한다.
이경우, 제11도에서와 같이 통상적인 직선 에스컬레이터에서는 제10도의 레일(4b)(4d)등에 대응하는 레일 또는 외측구동레일(4a)에는 이들의 하부편향부(2b)에서 (4b")(4d")등의 경사일이 없다.
따라서, 내측스프로킷휘일(10b)가 제11도에서와같이 거리 w만큼 이동되어도 그 에스컬레이터의 작동에 별로 문제가 발생되지 않는다.
이와반대로 제10도의 곡선 에스컬레이터에서는 내측 구동레일(4b)및(4d)가 수평레일부(4b')(4d')및 경사레일부(4b")및 (4d")를 구성하고 있기 때문에 내부 스프로킷휘일 (10b)가 제12도에서와 같이 동일거리 w만큼 외측방향으로 이동되면 몇가지 문제가 발생된다.
즉, 내측구동롤러(3c)가 제12도에서 알수있는 바와같이 내측답면판 무단체인(6b)와 내측경사레일부(4b")및 (4d")간 거리의 점진적인 증가에 의해 그 레일부에서 이탈하게되며 그결과 그내측구동롤러(3c)는 불안정하게되고, 또 그레일상에 원활하게 올라탈수 없으므로 진동, 소음등에 발생하거나 기계부품을 손상시키기까지 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주목적은 에스컬레이터가 작동할대 내외측 구돌롤러가 그 내외측 구동레일에서 탈선(derail)되는 것을 방지하는 곡선 에스컬레이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은 또하나의 목적은 컨베이어통로의 하부편향부에 구성된 텐션휘일수단의 내부스크로킷휘일을 답면판 체인의 텐션(tension)을 조정할때 내부구동롤러를 내부구동레일에서 탈선하지 않게 수평이동시킬수있는 곡선 에스컬레이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측면구동레일이 측면구동롤러를 안내하는 지지부재의 강도 및 강성(rigidity)를 충분히 크게하여 그 측면레일의 크기를 증가시킬 필요가 없도록하는 곡선에스컬레이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에 의한 곡선 에스컬레이터는 주프레임(main frame)과, 무한식으로연결되고 그 주프레임에 의해 이동 할수 있게 지지되어 상부하중 경사통로(upper load rum), 하부귀환통로 및 그 상하부품통로를 각각 이들의 상하부분에서 함께 연결하고 있느 상하부수평 편향부로 구성된 컨베이어 통로를 따라 순환하도록하는 다수의 답면판과, 그답면판을 이동할수있게 각각 지지시켜 그 답면판의 순환방향에 대하여 가로지르고있는 다수의 답면판측과, 각각의 내측 및 외측단부가 부분에있는 그답면판측 각각에 회전할수있게 부차괸 외측구동롤러와, 주프레임에 고착되고 각각의 그상하부통로에서 내외측구동롤러를 전동하도록한 상하부내외측 구동레일과, 각 답면판의 양측에 회전할수 있게 각각 부착된 내외측종동롤러와, 주프레임에 고착되고 상하부통로를 따라 그내외측종동롤러를 전동하도록한 상하부 내외측 종동레일과 , 답면판측의 단부가까이에 구동수 있게 연결된 내외측 답면판 무한체인과, 답면판축의 중심선에 대해서 직교되고 또 아아치형 컨베이어통로중심방향으로 그 답면판축 하중을 지지하도록 그 답면판측의 적어도 일단에 구성된 측면롤러와, 내측및 외측구동레일중 적어도 한쪽으로 그 내측및 외측구동롤러중 적어도 한쪽을 가압하는 주프레임에 고착된 상하부프레서레일(presser rails)로서 곡선 컨베이어통로를 구성사고 상기 측면롤러가 각각 그 상부하중 경사통로와 그 하부귀환통로를 따라 그 상부내측및 외측 구동레일중 적어도 한쪽에 의해 그리고 하부내측및 외측프레서레일중 적어도 한쪽에의해 안내되도록 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서는 그 상부내외측 구동레일과 상부내외측 종동레일이 그 주프레임에 고착된 다수의 반경방향의 수평크로스빔(cross beams)상에 지지되어있고 그 외측종동레일이 브래킷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있으며, 그 브래킷은 인접 크로스빔사이의 대략중간에 이들 레일의 강도와 강성을 증가시키도록 설치되어있다.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서 텐션휘일은 컨베이어통로의 하부편향부에 설치되고 주프레임에 대하여 이동할수 있게하고 각각의 내외측 답면판 무한체인을 수용하는 내외측 스프로킷휘일을 회전할수 있게 부착한 경사레일장치를 구성시켜, 그 경사레일장치 그자체에는 각각의 그상하부 통로의 내측구동레일의 하단부에서 수평레일부와 활동할수 있게(slidavly)연결하도록한 내측수평상하부 레일부가 고착되는 프레임을 구성하는 상하부 경사레일부는 그 내측수평상하부 레일부 각각의 외측단에 일체로 연결하여 그텐션휘일이 답면판 무한체인의 이완을 보상하도록 이동될대 그내측구동롤러가 그 구동레일에서 탈선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다음은 첨부도면에 따라 본 고안을 자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의 1실시예는 제4도내지 제6도로서 이들의 도면에 나타낸 부재의 부호 1,3a,3b,4b,4d,5a,5b,6a,6b, 및 7은 제1도내지 제3도에 나타낸 종래의 에스컬레이터에서와 동일하다.
제4도에서, 11a는 외측구동레일로서 이레일은 상부하중 경사통로(2a)의 외측구동롤러(3b)가 전동되며 또 제4도와 같이 상부좌측코너에 있는 외측브래킷(13a)에 고착되고 그브래킷(13a)는 주프레임(1)과 일체로 구성되어 있다.
12a는 외측구동롤러(3b)의 프레서레일(presser rail)로서, 상부하중 경사통로(2a)의 외측구동레일(11a)에 대해서 하방향으로 가압하도록 구성되고 또 상단브래킷(14a)는 제4도와 같이 그 하부 우측코너에 주프레임(1)과 일체로 구성되므로서 프레서휘일 (12a)는 상부하중경사통로(2a)의 외측구동레일(11a)과 수직으로 일직선이된다.
11c은 외측구동레일로서 하부 귀환경사통로(2b)의 외측구동롤러(3b)가 진동되며 또 제4도와같이 하부우측코너에서 일체로 구성된 하단브래킷(14b)에 의해 주프레임(1)에 고착되어있다.
12c는 외측구동롤러(3b)의 프레서레일로서 하부귀환경사통로(2c)의 외측구동레일(11c)에 대해서 하방향으로 가압하도록 하고 또 제4도와 같이 하부좌측코너에서 외측브래킷(13a)에 고착되고 있으므로 프레서레일(12c)가 하부귀환 경사통로(2c)의 외측구동레일(11c)와 수직으로 일직선이된다.
측면롤러(7)는 상부하중 경사통로(2a)와 하부귀환경사통로 (2c)에서 각각 외측구동레일(11a)의 외측면과 프레서레일(12c)의 외측면에 의해 안내되도록 구성되어있다.
이와같이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서는 그외측및 내측구동롤러(3b)(3c)가 상방향으로 힘을 받을때 그외측구동롤러(3b)는 프레서레일(12a)및(12c)에 의해 외측구동레일(11a)및(11c)의표면에서 상승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그측면롤러(7)가 외측구동레일(11a)과 프레서레일(12c)로 부터 탈선하는 것을 상부하중 경사통로(2a)와 하부 귀환경사통로(2c)의 프레서레일(12a)과 외측구동레일(11c)에 의해 동시에 각각 방지한다.
위 설명에서 프레서레일(12a)및 (12c)가 외측구동롤러(3b)에 구성되어있으나, 그 프레서레일이 내측구동롤러(3c)에 구성되어 있을경우에도 동일한 효과를 얻을수있음은 명백하다.
또, 그프레서레일 내회측 구동롤러(3b) 및 (3c)공히 설치하여도된다.
본 고안의 1실시예에는 그프레서레일(12a)및 (12c)가 구성되어있으나, 그측면롤러(7)의 안내레일이 구동레일(11a)또는 프레서레일(12c)의 외측면에 의해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된 레일의 수는 종래의 에스컬레이터에서보다 많지않다는 잇점이 있다.
여기서 본고안에 의해 개량한 제4도내지 제6도에 나타낸 각종레일의 지지시스템의이해를 돕기위하여 주프레임(1)과 그 관련부재의 구성을 제4도 및 제7도에 다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들 도면에서 각주프레임(1)의 내외측 강도부재를 구성하는 내외측 수직부재(1o)및 (1i)는 그 수직부재(1c)및 (1i)사이에 설치된 다수의 반경방향의 주프레임 크로스빔(1a)에 의해 고착연결되고, 그 수직부재는 컨베이어통로(2)에따라 적당한 간격으로 배치되어있다.
그 내외측브캐킷(13a)및 (13b)는 외측구동레일(11a)및 내측구동레일(4b)에 대응하는 위치에 있는 주프레임크로스빔(1a)에 각각 고정되어있다.
외측브래킷(13a)는 또한 외측구동레일(11a) 외측종동레일(5a), (5c) 및 프래서레일(12c)를 지지함과 동시에 그내측브래킷(13b)는 내측구동레일(4b)(4d) 및 내측종동레일(5b)(5d)를 지지한다.
주프레임(1)의 외측수직부재(1o)는 또 그상하단이 각각 상단브래킷(14a)과 하단브래킷(14b)에 부착되며 그 상하단브래킷(14a) 및 (14b)에는 프레서레일(12a)와 외측구동레일(11c)이 각각 고착되어있다.
이와같은 주프레임(1)과 그 관련부재의 구성에 있어서 그 외측구동레일 (11a)과 하부프레서레일(12c)는 그에스컬레이터가 작동할때 측면 롤러(7)을 통하여 큰힘을 받기때문에 이힘에 대항하기위하여 그레일(11a)과 (12c)의 크기는 크게되어야하며, 동시에 인접 주프레임 크로스빔(1a)사이와 인접외측브래킷 (13a) 내측브래킷(13b) 상단브래킷 (14a)및 하단브래킷 (14b)사이는 그 컨베이어 통로(2)에 따라 측정되는 간격이 감소되어서 그 레일(11a)(12c) 등의 지지 스팬(spans)도 축소된다.
그러나, 이와같은 방법은 그 에스컬레이터의 설치비용이 고가로된다.
본 고안의 기술적 곤란성을 국복하기위한 본 고안의 개량을 다음에 기술한다.
본 고안의 제2실시예를 제8도 및 제9도에 나타낸다.
단면도에서 모자(hat)형상을 한 브래킷(15)은 인접회측브래킷(13a)사이의 거의중간에 외측구동레이(11a)과 상부외측종동레일(5a)사이에 배치되어있고, 볼트(16)등에 의해 그레일(11a) 및 (5a)에 고착되어있다.
이장치에 그회전하는 측면롤러(7)에 의해 외측구동레일(11a)에 가하여 지는 드러스트(thrust)는 이들 레일사이에 설치된 브래킷(15)을 통하여 그외 측종동레일(5a)에 의해 지지된다.
따라서, 그 측면롤러(7)에서 발생하는 그드러스트가 외측 구동레일(11a)에 의해서만이 아니라 상부외측종레일(5a)에 의해 지지될수있기때문에 그 외측구동레일(11a)의 강도 및 강성을 단면적을 증가시키거나 인접 외측브래킷(13a)사이의 간격을 감소시킬 필요없이 충분히 달성할 수 있다.
바로위에서 설명한 개량구조에서 그 브래킷(15)이 상부하중 경사통로(2a)에서 그외측구동레일(11a)과 그 상부외측 종동레일(5a)사이에 설치되어 있으나, 유사한 브래킷을 또 그하부위한 경사통로(2c)에서 하부프레서레일(12c)과 하부외측종동레일(5c)사이에 구성시킬수도 있다.
또,그내측구동레일(4b)이 외측구동레일(11a)의 것과 동일한 단면형상을 갖도록 구성하거나 또 그측면롤러(7)가 그 내측구동레일(4b)의 외주상에서 전동되도록 구성할경우 동이한 브래킷을 그내측측면 구동레일(4b)와 그 내측종동레일(5b)사이에 구성시킬수 있다.
다음으로 본 고안에 의해 구성돼 컨베이어통로(2)의 하부편향부(2b)에 구성된 텐션휘일을 제3실시예로서 제10도내지 제14도에따라 설명한다.
제10도내지 제11도에 대해서는 앞서 설명한바와같이 종래의 곡선에스컬레이터에서는 그하부편향부(2b)에서 그내측구동레일(4b)및 (4d)가 수평레일부(4b')및 (4d')를 구성하고 있기 때문에 그 텐션휘일 10, 즉 내측스프로킷휘일(10b)가 그 컨베이어통로(2)에 대해서 길이방향의 외측방향으로 또 선상으로 (linearly)이동될대 그내측구동롤러(3c)는 그 하부편향부(2b)에서 그내측구동레일(4b)및 (4d)의 표면에서 탈선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해 이와같은 현상을 극복 및 해소시킬 목적에서 제12도 및 제13도에서와같이 그 하부편향부(2b)에서는 상부하중경사통로(2a)와 하부귀환경사통로(2c)각각의 내측구동레일(4b)및 (4d)의 수평내축구동레일(4b') 및 (4d')와, 내측 스프로킷휘일(10b)사이에 위치시켜 수평으로 이동할수 있도록한 경사레일장치(21)를 구성시킨다.
이 경사레일장치(21)에서는 상부면이 서로같은 활동결합부재(sliding joint)(22b)에 의해 수평내측 구동레일(4b)와 활동할수있게(slidably)연결된 수평상부레일(21b'), 동일한 활동결합부재(22d)에 의해 수평내측구동레일(4d')과 활동할수 있게 연결된 수평하부레일(21b') 그 수평상부레일(21b')의 외측단에 연결된 상부 경사레일부(21b")및 하부경사레일부(21d")를 구성하고 있다.
그 상부경사레일부(21b")는 내측스프로킷휘일(10b)의 중심방향에 하향으로 경사져있고, 반면에 하부경사레일부(21d")는 내측스프로킷휘일(10b)의 중심방향에 상향으로 경사져있다.
경사레일장치(21)는 적당한 고정수단(도시생략)을 통하여 브래킷(24)에 의해 내측스프로킷휘일(10b)의 프레임(23)에 고착되어있고, 그 프레임(23)은 주프레임(1)에 대해서 이동할수있도록 주프레임(1)에 부착되어 있다.
이와같은 구성의 경사레일장치(21)에 있어서 그프레임(23)이 마모등에 으해 답면판무한체인(6b)의 이완을 보상하기위하여 제13도와 같이 주프레임(1)에 대하여 거리w만큼 외측으로 이동된다하여도 그 경사레일장치(21)는 적당한 수단의해 프레임(23)과 동시에 동일한 거리 w만큼 이동되며, 그 내측답면과 무한체인(6b)과 이들의 레일(4b')(21b')(21b")(4d')(21d') 및 (21d")사이의 상대적인 위치변화가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하부편향부(2b)에 있는 레일(4b)(4d)(4b')(4d')(21b')(21")(21d')및 (21d")와 내측답면판 무한체인 (6b)사이의 상대위치변화는 그 내측스프로킷휘일(10b)의 이동에 관계없이 발생되지 않음은 명백하다.
그러므로 그 내측답면과 무한체인(6b)의 이동은 항상 안정성이 있어 위에서 설명한 바와같은 종래의 곡선에스컬레이터의 기술적인 곤란성을 극복할수 있다.
여기서, 제13도와같이 그 컨베이어통로(2)의 내측측면에는 그 컨베이어통로(2)의 외측측면에 구성된 프레서레일(12a)및 (12c)대신 또는 이에 추가하여 프레서레일(12b) 및 (12c)대신 또는 이에 추가하여 프레서레일(12b) 및 (12d)가 설치된 것으로하고 그 프레서레일(12b) 및 (12c)와 동일구조로 하는 것과 그 프레서레일(12b)이 대략 내측구동레일(4b)의 수평레일(4b')위치에있는 수평레일(12b')에서 종료되어도, 프레서레일(12d)가 그 수평레일(4d')과 대략 평행상태에있는 수평레일(12d')에 연결되고, 그 수평레일(12d)이 상부수평레일(21b')의 활동연결부재(slding joint)(22b)와 동일한 활동부재(22d')를 통하여 경사레일장치(21)의 수평하부레일(21e')에 이동할수있도록 연결됨으로써 그 수평하부레일(21e')은, 그수평하부레일(21e')과 일체로되고 또 하부경사레일부(21d")와 평형상태로 있는 경사레일부(21e')같이 경사레일장치(21)에 고착되어있다.
최종적으로, 고안의 다른하나의 실시예로서 제1실시예의 변형을 제15도 및 제16도에 따라 설명한다.
종래에 공지된 바와같이, 이와같은 종류의 곡선에스컬레이터에서는 그 답면판(3)의 상부표면은 컨베이어통로(2)의 상부하중경사통로(2a)에 따라 이동하는 동안은 항상 이경우 그상부하중 경사통로(2a)의 종동레일(5a)및 (5b)는 상하부외측 구동레일(11a) 및 (11c)와 함게 그 답면판(3)상에 탑승한 승객의 하중을 지탱하는 작동을 하는 동시에 그하부귀환통로(2c)의 하부외측및 내측종동레일(5c)및 (5d)가 그 답면판(3)의 자세를 유지하는 작동을 한다.
이 경우에는 그하부귀환통로(2c)의 종동레일(5c)및 (5d)가 승객의 하중을 지탱하지 않기 때문에 그 답면판(3)의 자세를 종동롤러(20a)또는 (20b)중 어느하나가 종동레일(5c)또는 (5d)를 그 종동롤러 (20a)(20b)의 이동거리 전체에 걸쳐 배열시킬 필요가 없다.
이와같은 관점에서, 제15도 및 제16도와같이 하부내측 종동레일(5d)(제4도)는 생략하였다.
제16도에서와같이 섹션(4)에서 상부하중 경사통로(2a)의 답면판(3)에 승객이 탑승하게되므로 그롤러(3b)(3c)(20a)(20b)및(7)은 승객을 이송할수 있도록 그대응하는 레일(11a)(4b)(5a)(5b)및 (11a)에 의해 안내되는 것이 필요하나 섹션(A)밖에서는 그 답면판(3)에 하중이 없으므로 그 하부내측 종동레일(5d)이 생략되어있을 경우에도 그답면판(3)의 자세를 유지시킬수 있으며 종래의 곡선 에스컬레이터에서와 같이 동일한 안전수준을 유지시킬수 있다.
위 변형예에서 하부내측종동레일(5d)을 생략할수있으나, 그하부외측 종동레일(5c)을 생략할수도 있다.
또 그하부종레일(5c) 또는 (5d)는 종동레일(20a) 또는 (20b)의 이동 거전체에 걸쳐 배열시킬 필요가 없다.
그대신 이들이 종동롤러(20a)및 (20b)의 연속통로를 전체로서 구성한다면 몇개의 필요한 위치에만 부분적으로 배열시킬수 있다.

Claims (4)

  1. 평면도로볼때 아아치형상을 한 곡선 컨베이어통로를 가진 곡선에스컬레이터에 있어서, 주프레임(main frame)(1)과, 무한식으로 연결되고 주프레임(1)에 의해 이동할수있게 지지되며 상부하중 경사통로(2a), 하부귀환경사통로 (2c)와 이들 상하부통로(2a)(2c)를 각각 이들의 상하단부에서 함께 연결하고 있는 상하부수평편향부(2b)로 구성된 컨베이어통로(2)를 따라 순환하는 다수의 답면판(3), 답면판(3)을 이동할수있게 각각 지지하며 그 답면판(3)의 순환방향에 대하여 가로뻗어있는 다수의 답면판축(3a)과, 각답면판축(3a)의 내외측단부가까이에 회전가능하게 부착된 내측및 외측구동롤러(3b)(3c)와, 주프레임(1)에 고착되고 상하부 경사통로 (2a) (2c)에서 그 위를 내측 및 외측 구동롤러(3b) (3c)가 각각 전동하는 상하부 내측 및 외측구동레일(11a) (11c) (4b) (4d)과, 각 답면판(3)의 양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내측및 외측종동롤러(20a) (20b)와, 주프레임(1)에 고착되고 상하부경사통로(2a)(2c)에서 그 위를 내측및 외측종동롤러(20a)(20b)가 각각 전동하는 상하부 내측및 외측 종동레일 (5a) (5c) 5b) (5d)과, 각 답면판축(3a)의 내외단부 가까이에 구동가능하게 맞물린 내측및 외측 답연판 무한체인(6a) (6b)와, 답면판축(3a)의 적어도 일단에 설치되고 그축이 답면판축(3a)의 중심선에 대하여 직각으로 뻗어있으며 아아치형 컨베이어통로(2)의 중심방향으로 그답면판축(3a)의 부하를 지지하는 측면롤러(7)와, 그리고 내측및 외측구동레일(11a)(11c)및 (4b)(4d)중 적어도한쪽으로 그내측및 외측구동롤러(3b)(3c)중 적어도 한쪽을 가압하여 주프레임(1)에 고착된 상하부내외측프레서레일(presser rails)(12a)(12c)을 구비하고 측면롤러(7)가 각각 그상부하중 경사통로(2a)와 그하부귀환경사통로(2c)를 따라 그 상부내외측구동레일(11a)(4b)중 적어도 한쪽과 하부내외측프레서레일(12c)중 적어도 한쪽에 의해 안내 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선에스컬레이터.
  2. 하부내외측 종동레일(5c)(5d)는 이중한쪽을 생략하거나 단속적으로 구성시켜 전체로서 연속적이 되도록한 것을 특징으로 하느 곡선에스컬레이터.
  3. 제1항에 있어서, 주프레임(1)은 아아치형 컨베이어통로(2)의 외주를 따라 설치된 외측 프레임수직부재(10)와,상기 컨베이어통로(2)의 외주를 따라 설치된 외측 프레임수직부재(10)와, 상기 아아치형 컨베이어통로(2)의 내주를 따라 설치된 내측프레임 수직부재(1i)와 아아치형 컨베이어통로(2)의 중심에서 방사형으로 분기된 컨베이어통로(2)를 따라 일정간격으로 설치되며 내외측 프레임부재(1o) (1i)를 고착 연결하는 다수의 방사형 크로스빔(cross beams)(1a)과, 상부외측 구동레일(11a)과 상부외측종동레일(5a)이 설치되며 크로스빔(1a)에 각각 고착 연결된 다수의 외측브래킷(13a)과, 상부내측 구동레일(4b)와 상부내측 종동레일(5b)이 설치되며 크로스빔(1a)에 각각 고착 연결된 다수의 내측브래킷(13b)과, 인접크로스빔(1a)사이의 중간에 상부의 축 구동레일(11a)과 상부외측 종동레일(5a)을 함게 각각 고착연결하는 다수의 브래킷(15), 그리고 인접크로스빔(1a) 사이의 중간에 상부내측 구동레일(4b)과 상부내측종동 레일(5b)를 함께 고착연결하는 다수의 브래킷(15)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선에스컬레이터.
  4. 제1항에 있어서, 컨베이어통로의 하부편향부 (2b)에는 내외측답면판무한체인(6a)(6b)의 탠션수단(tention means)이 설치되며 이 하부 편향부(2b)에는 주프레임(1)에 대해서 수평으로 이동할수 있도록한 프레임(23)과,이프레임(23)의 이동방향에 대하여 횡으로 회전할수있게 지지된축(3a)과, 상기 내외측 답면판무한체인(6a)(6b)을 걸도록 축의 내외측단 가까이에 각각 고정된 내외측스프로킷휘일(10a)(10b)과, 수직으로프레임(23)에 고착된 브래킷(24)과, 편향부(2b)를 따라 외측구동롤러(3b)를 안내하기위하여 주프레임(1)에 고정되고 상하부 외측구동레일(11a)(11c)의 하단에 연결되는 수평부를 가진 상하부 외측레일과, 편향부(2b)를 따라 내측구동롤러(3c)를 안내하기위하여 주프레임(1)에 고정되고 상하부 구동레일(4b)(4d)의 하단에 연결된 수평부를 가진 상하부 내측레일과, 브래킷(24)에 고착 연결되고 상하부레일의 수평부에 각각 연결된 상하 수평레일부를 가진 경사레일장치(21)을 구비하고 경사레일장치(21)에는 중심축방향으로 하향하는 경사가되도록 수평레일부(21b)(21e')(21d')의 자유단에 원활하게 연결된 경사레일부(21b")(21d")(21e")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선 에스컬레이터.
KR2019840008690U 1983-09-19 1984-09-03 곡선 에스컬레이터 KR890004008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7251183A JPS6067383A (ja) 1983-09-19 1983-09-19 曲線エスカレ−タ
JP58-172511 1983-09-19
JP58-178489 1983-09-27
JP14918583U JPS6056674U (ja) 1983-09-27 1983-09-27 曲線エスカレ−タ
JP14918683U JPS6056675U (ja) 1983-09-27 1983-09-27 曲線エスカレ−タ
JP58-149186 1983-09-27
JP58-149185 1983-09-27
JP17848983A JPS6071490A (ja) 1983-09-27 1983-09-27 曲線エスカレ−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9582U KR850009582U (ko) 1985-12-05
KR890004008Y1 true KR890004008Y1 (ko) 1989-06-15

Family

ID=274729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40008690U KR890004008Y1 (ko) 1983-09-19 1984-09-03 곡선 에스컬레이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4739870A (ko)
EP (1) EP0141519B1 (ko)
KR (1) KR890004008Y1 (ko)
CA (1) CA1203193A (ko)
DE (1) DE3471086D1 (ko)
SG (1) SG85388G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83160A (en) * 1989-03-27 1989-11-28 Otis Elevator Company Curved escalator with fixed center constant radius path of travel
US4930622A (en) * 1989-03-27 1990-06-05 Otis Elevator Company Curved escalator with fixed center constant radius path of travel
US4895239A (en) * 1989-03-27 1990-01-23 Otis Elevator Company Curved escalator with fixed center constant radius path of travel
US4884673A (en) * 1989-03-27 1989-12-05 Otis Elevator Company Curved escalator with fixed center constant radius path of travel
US5009302A (en) * 1989-03-27 1991-04-23 Otis Elevator Company Curved escalator with fixed center constant radius path of travel
US4953685A (en) * 1989-08-10 1990-09-04 Otis Elevator Company Step chain for curved escalator
US4949832A (en) * 1989-10-16 1990-08-21 Otis Elevator Company Curved escalator with vertical planar step risers and constant horizontal velocity
US5020654A (en) * 1990-08-31 1991-06-04 Otis Elevator Company Curved escalator step chain turnaround zone
US5050721A (en) * 1990-09-11 1991-09-24 Otis Elevator Company Step riser profile for curved escalator
US5161668A (en) * 1991-07-18 1992-11-10 Montgomery Electric Company Guide mechanism for passenger conveyors
WO1995010477A1 (de) * 1993-10-09 1995-04-20 O & K Rolltreppen Gmbh Antriebssystem für eine bogenrolltreppe
US5697486A (en) * 1994-11-14 1997-12-16 Investio Ag Device for the guidance of an endless belt for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KR20050108737A (ko) * 2004-05-13 2005-11-17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승객수송장치의 충격 및 소음저감장치
FI20050258A (fi) * 2005-03-09 2006-09-10 Kone Corp Käsikaide liukukäytävää, -porrasta tai -ramppia varten ja menetelmät kaidehihnan asentamiseksi käsikaiteeseen ja poistamiseksi käsikaiteesta
ES2299408B1 (es) * 2007-10-18 2009-06-12 Thyssenkrupp Elevator (Es/Pbb) Ltd. Sistema de guiado autoportante para pasillos rodantes.

Family Cites Families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7779A (en) * 1899-01-17 Elevator
FR852012A (ko) * 1940-01-22
US727720A (en) * 1901-08-21 1903-05-12 Otis Elevator Co Traveling stairway.
FR319726A (fr) * 1902-03-18 1902-11-21 Aston Perfectionnements dans les chaines de commande des élévateurs continus
US710934A (en) * 1902-03-27 1902-10-14 William Henry Aston Driving-chain for continuous elevators.
US782009A (en) * 1902-11-24 1905-02-07 Stair Lift Company Moving platform.
US889080A (en) * 1905-10-14 1908-05-26 George A Wheeler Moving spiral stairway.
US999885A (en) * 1909-12-02 1911-08-08 Otis Elevator Co Elevator.
US1804701A (en) * 1929-04-01 1931-05-12 Mojonnier Bros Co Chain conveyer
US1868780A (en) * 1930-06-25 1932-07-26 Harold W Shonnard Escalator
DE558325C (de) * 1930-09-28 1932-09-05 Ernst Neuberg Rolltreppe in Schraubenform
DE628965C (de) * 1930-10-16 1936-04-20 Carl Flohr A G Kettenantrieb fuer Wendeltreppen mit beweglichen Stufen
US1956153A (en) * 1932-09-22 1934-04-24 Otis Elevator Co Moving stairway
US2023067A (en) * 1934-12-18 1935-12-03 Westinghouse Elec Elevator Co Moving stairway
US2135188A (en) * 1938-02-11 1938-11-01 Otis Elevator Co Moving stairway
US2641351A (en) * 1950-06-12 1953-06-09 Richard C Riley Moving stairway
US2663400A (en) * 1950-10-13 1953-12-22 Otis Elevator Co Moving stairway
US2695094A (en) * 1952-12-26 1954-11-23 Richard C Riley Ascending and descending endless escalator
US2823785A (en) * 1954-01-13 1958-02-18 Hefti Martin Escalator adapted to follow a curved path
US2940578A (en) * 1959-07-27 1960-06-14 Erling A Clemetsen Escalator
US3365051A (en) * 1964-06-25 1968-01-23 Westinghouse Electric Corp Moving walk
US3419127A (en) * 1966-07-11 1968-12-31 Otis Elevator Co Tension carriage for passenger conveyors
US3520398A (en) * 1967-11-30 1970-07-14 Rex Chainbelt Inc Laterally flexible conveyor
SU397435A1 (ru) * 1970-08-19 1973-09-17 Накопитель-подъемник
JPS4825559A (ko) * 1971-08-03 1973-04-03
US3878931A (en) * 1971-10-18 1975-04-22 Gilbert D Luna Arcuate escalator system
US3834513A (en) * 1971-12-20 1974-09-10 Hitachi Ltd Guide rail means
JPS5233279A (en) * 1975-09-10 1977-03-14 Hitachi Ltd Main frame of man conveyer
US4064986A (en) * 1976-04-30 1977-12-27 Westinghouse Electric Corporation Escalator having guide wheels and guide track with cooperative non-flat surfaces
FR2383094A1 (fr) * 1977-03-11 1978-10-06 Barthelemy Louis Transporteur continu
US4440294A (en) * 1979-02-06 1984-04-03 H. J. Langen & Sons Limited Conveyor
CA1204696A (en) * 1982-09-14 1986-05-20 Hiroshi Nakatani Curved escal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141519B1 (en) 1988-05-11
CA1203193A (en) 1986-04-15
DE3471086D1 (en) 1988-06-16
SG85388G (en) 1989-06-16
EP0141519A1 (en) 1985-05-15
KR850009582U (ko) 1985-12-05
US4739870A (en) 1988-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90004008Y1 (ko) 곡선 에스컬레이터
CN107298370B (zh) 板式传送装置
EP3257804B1 (en) Belt-driven people conveyor
CN110040615B (zh) 移动人行道
JP2574039Y2 (ja) スラットコンベヤ
US20060028066A1 (en) Tracked travel device
US5201407A (en) Steel plate conveyor with drive
US5161668A (en) Guide mechanism for passenger conveyors
JPH07157260A (ja) エスカレータおよびそのステップチェーン支持装置
JPS5924067B2 (ja) エスカレ−タ
KR100826720B1 (ko) 승객 컨베이어의 스텝 롤러 상승 제지 장치
GB2185727A (en) A bulk conveyor with working flight support
JP5050535B2 (ja) マンコンベア
JP2003327381A (ja) 乗客コンベア
JP3097431B2 (ja) 洗車機
JPH07238710A (ja) スラットコンベア
JPH0211512B2 (ko)
JPH08145125A (ja) 可変速搬送チェーン
JP4322374B2 (ja) マンコンベアのガイドレール支持装置
JP4211625B2 (ja) コンベヤ設備
JPH0730565Y2 (ja) スラットコンベヤ
JPH0120374Y2 (ko)
FI57390B (fi) Kuggstaongsdriven hiss
JPH0644892Y2 (ja) スパイラルスラットコンベヤ
SU1726327A1 (ru) Двухшарнирна пластинчата цепь дл конвейеров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50602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