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3269B1 - 원자로의 연료 저장랙 - Google Patents

원자로의 연료 저장랙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3269B1
KR890003269B1 KR8203140A KR820003140A KR890003269B1 KR 890003269 B1 KR890003269 B1 KR 890003269B1 KR 8203140 A KR8203140 A KR 8203140A KR 820003140 A KR820003140 A KR 820003140A KR 890003269 B1 KR890003269 B1 KR 8900032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rate
leveling
fuel
cell
fuel sto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82031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40000946A (ko
Inventor
제이.마채도 옥타비오
엠. 플라인 윌리암
이.플랜터즈 해리
더블류.부커 래리
Original Assignee
이.제이.카타비아니
웨스팅하우스 일렉트릭 코오포레이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23084015&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890003269(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이.제이.카타비아니, 웨스팅하우스 일렉트릭 코오포레이숀 filed Critical 이.제이.카타비아니
Publication of KR8400009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09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32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32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CNUCLEAR REACTORS
    • G21C19/00Arrangements for treating, for handling, or for facilitating the handling of, fuel or other materials which are used within the reactor, e.g. within its pressure vessel
    • G21C19/02Details of handling arrangements
    • G21C19/06Magazines for holding fuel elements or control element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CNUCLEAR REACTORS
    • G21C19/00Arrangements for treating, for handling, or for facilitating the handling of, fuel or other materials which are used within the reactor, e.g. within its pressure vessel
    • G21C19/02Details of handling arrangements
    • G21C19/06Magazines for holding fuel elements or control elements
    • G21C19/07Storage racks; Storage poo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30/00Energy generation of nuclear origin
    • Y02E30/30Nuclear fission reac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sma & Fu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Fuel Cell (AREA)
  • Foundation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원자로의 연료 저장랙
제1도는 연료 집합체를 수납하는 셀의 배열상태를 나타낸 사용이 끝난 연료랙 모듈의 사시도.
제2도는 인접하는 연료 집합체 셀을 격치하는 구성 및 중성자 흡수재를 셀벽부에 부착하는 상태를 나타낸 설명도.
제3도는 제2도의 구성의 변형을 나타낸 설명도.
제4도는 레벨링 패드에 의해 기판 지지를 주는 구성 및 상자형 빔을 나타내는 기판의 일단의 평면도.
제5도는 기판 하면에 고착된 지지판의 위치를 나타낸 기판의 저면도.
제6도는 제5도에 도시한 지지승강판의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
제7도는 제6도의 지지승강판의 측면도.
제8도는 기판을 지지하기 위한 레벨링 패드를 나타낸 평면도.
제9도는 기판에 지지를 부여하기 위해 사용되는 레벨링 패드의 구성을 나타낸 입단면도.
제10도는 정렬 전단 스태드를 저장풀의 바닥중에 계류한 사용이 끝난 연료랙에 사용하는 레벨링 패드의 구성을 나타낸 입단면도.
제11도는 정렬전단 스태드가 저장풀의 바닥중에 계류되어 레벨링 패드중에 윗쪽으로 연장하는 상태에 있어서 사용되는 레벨링 패드의 구성을 나타낸 입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5 : 사용이 끝난 연료랙 16 : 셀
18 : 기판 24, 26, 34, 36 : 상자형 빔(빔)
48 : 보호판(돌출체) 49 : 딤플(돌출체)
55, 57, 60, 62 : 용접부(부착장치) 72 : 개구(유통공)
본 발명은, 원자로 연료 집합체의 안전한 저장에 관한 것이며, 특히, 원자로 기지에서의 사용이 끝난 연료 저장풀의 저장용량을 실질적으로 증대할 수 있는 사용이 끝난 연료저장랙의 개량구조에 관한 것이다.
사용이 끝난 핵연료 재처리 설비의 건설 및 인가의 지연이 계속되고 있기 때문에, 가동원자로로부터 꺼낸 사용이 끝난 연료 집합체의 저장을 가능한 한 많게 하도록, 원자력 발전시설의 현존 연료저장풀을 더욱 잘 이용하는 일이 요구되고 있다.
연료 집합체의 저장밀도를 높게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연료 집합체를 넣는 스테인레스 동제용기 또는 셀을 이용하여 연료 저장풀내에 있어서 연료집합체의 간격 단축을 행한다. 혹은, 탄화붕소와 같은 중성자 흡수물질을 제조시에 셀벽에 넣든가, 또는 중성자 흡수물질을 다른 부재로써 셀의 측변에 부착함으로써 간격을 축소할 수가 있다. 인접 연료집합체의 간격을 보다 좁게하는 이들 구조는 중성자를 효과적으로 포획하여, 풀온도를 사용할 수 있는 레벨로 유지함과 동시에 연료 집합체중의 핵분열 가능 질량이 임계상태에 달하지 않도록 한다.
새로운 연료 집합체 또는 사용이 끝난 연료 집합체간의 간격을 줄이는 일에, 상술한 구조를 사용하는 선행 기술의 사용이 끝난 연료저장랙은, 연료 집합체가 들어가는 용기 또는 셀을 수용하는 다수의 사각개구를 형성하도록 사각형의 열이 되어서 접속된 채널빔(溝形材)으로 된 네트워크, 즉 격자구조를 종종 포함하고 있다. 셀은 서로 용접되거나 또는 채널 빔에 용접되어 있어 구조체에 강성을 부여함과 함께 사용이 끝난 연료 집합체를 받아들이는 인접 셀을 간격을 두어 배치하고 있다. 이와같이 서로 연결된 임의 수의 연료집합체인 셀은, 모듈을 형성하고 이들 모듈은 서로 연결됨과 함께 저장풀의 벽면에 지지되어 수평방향의 지진하중에 대한 안정성을 제공한다. 이 지지와, 저장풀 바닥면의 여러가지 형식의 구조적 지지물이라는 것 때문에, 부착이 곤란해짐과 함께 사용이 끝난 연료 자장풀에 관한 미국 원자력 규제위원회(NRC)의 설계기준에 적합하지 않은 새로운 위치의 방향에 랙이 비임계설계 패턴으로부터 이동하는 잠재적인 리스크가 발생한다.
또 셀 및 연료집합체는 수중에 침적되어 있기 때문에, 중성자 흡수물질을 짜넣은 구조인 경우, 중성자 흡수물질을 완전하게 캅셀 봉입하거나 또는 저장풀의 환경에 적합한 물질을 사용하는 등의 조치가 필요해진다. 전자형식의 선행구조에 있어서는 중성자 흡수 독(毒) 물질 캐비티의 팽창이 경험되어 왔다.
본 발명의 주 목적은, 이러한 결점이 없는 핵연료 저장랙을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목적은, 본 발명에 의하면, 짜 맞추어져서 많은 사각개구를 형성하는 빔으로 된 제 1 빔 네트워크(24, 26beam network)를 지지하기 위한 기판(18)을 포함한 기부지지구조체인 풀라이너(20)와 제 1 빔 네트워크(24, 26)에 있는 사각개구에 관해서, 수직 방향으로 정렬한 상태로 간격을 두어 배치되는 사각개구를 형성하기 위해 편성된 빔으로 이루어진 제 2 빔 네트워크(34, 36)와, 제 1 및 제 2 빔 네트워크의 정렬된 상기 사각개구내에 연료집합체를 넣어 유지하도록 설계한 크기 및 형상을 갖고, 양끝이 개방되어 있어, 상단에는 깔대기 모양의 안내부가 있고 냉각재를 윗쪽으로 관류(貫流)시키기 위해서 상기기판(18)에 있는 개구상에 위치가 정해진 셀(16)고, 벽면이 중성자 흡수물질로 이루어진 그 셀(16)의 상단 및 하단 가까기에서 상기 셀의 측변에 설치한 바깥쪽으로 뻗는 돌출체(48, 49)와, 제 1 및 제 2 빔 네트워크의 빔(24, 26, 34, 36)에 상기 돌출체(48, 49)를 붙여서 모듈러 구조의 강한 연료저장랙을 만드는 부착수단(51, 62)와, 핵연료 저장풀의 바닥 및 상기 기판간에 배치되어 상기 기판 및 그위의 셀을 수평상태로 조절하는 레벨링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저장 랙에 의해 달성된다.
중성자 흡수물질을 스테인레스 강판으로 된 셀 벽면상에 부착할 수가 있다. 연료 랙 모듈은 상호 접속 벽지지 또는 다른 하부구조 없이 완전히 자유롭게 기립해 있을수가 있다. 레베링 패드는 수평을 주기 때문에 모듈저면 아래쪽의 여러장소에 배치되어 있다.
본 발명은 첨부도면에 나타낸 바람직스런 실시예에 대한 이하의 설명에 의해 한층 확실해질 것이다.
제1도, 제2도에 나타낸 것과 같이 사용이 끝난 연료랙 모듈(15)은, 각각 1개의 연료집합체(도시하지 않음)를 수납하는 크기 및 형상의 용기 내지는 셀(16)의 열로 되어 있다.
그림에는 11개×11개의 열이 도시되어 있지만, 연료저장풀의 설계 및 형태에 따라서 직사각형의 열을 포함한 어떤수의 셀을 이용해도 좋다. 연료집합체는 새것이나, 사용이 끝난 것이라도 좋은데, 그 이유는, 어느쪽이라도 같은 크기이며, 연료 저장랙은 사용이 끝난 연료 또는 새로운 연료를 저장하기 위한 어떤 규준에 적합하도록 설계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연료랙은 모듈 구조이며, 제1도, 제2도에 나타낸 모듈은 원자로의 설치장소에 배치된 사용이 끝난 연료저장 풀속에 놓여지게끔 한 많은 모듈중의 하나이다.
연료 저장풀의 크기는 여러가지이지만, 일반적으로 그 깊이는 6-12m이며, 수용하는 연료집합체의 수는 약 200-1600이다.
연료 저장풀의 벽은 철근 콘크리트로 되어 있고, 지진의 힘에 견딜수 있도록 NRC방법에 따라서 특별히 설계되어 있다.
연료 집합체에 의해 항상 발생되는 열을 제거하기 위해서 당해 기술에 있어서 주지한 바와같이 물 또는 다른 냉각재가 연료 집합체중의 연료봉과의 열교환 관계로 순환된다.
도시한, 사용이 끝난 연료랙 모듈은 저장풀의 라이너-(20)로부터 레벨링 패드(22)에 의해 지지되도록 한 기판(18)을 포함한 기부지지 구조체를 갖추고 있다.
스테인레스 동제기판(18)은 연료 집합체 및 셀(16)의 전 중량을 비뚤어짐(틀림이)없이 지지하면서 그 위에 셀이 수직방향 정렬을 유지하기에 충분한 두께를 갖추고 있다.
셀(16)이 소망의 수평방향 간격 및 수직방향의 정렬을 유지하기 위해서, 다수의 X축 방향 상자형 빔(24) 및 Y축방향 상자형 빔(26)이 기판(18)상에 부착되어 그것에 용접되고, 제 1 빔 네트워트 즉, 하부 그리드(28)를 형성하고 있다.
제1도에 나타낸 것과 같이 X축 방향의 상자형 빔(24)은 모듈의 한측으로부터 그 다른측에 걸쳐서 기판(18)을 횡단하여서 중단없이 연장하고, Y축방향의 상자형 빔(26)은 중단이 없는 평행한 상자형 빔(24)의 사이에 연장하고 이들에 용접되어 있다. 제4도 기판(18) 및 상자형 빔(24, 26)의 교점에 있어서의 용접부(30)의 위치 및 넓이를 나타낸다.
하부 그리드(28)로부터 수직방향으로 떨어진 제 2 빔 네트워크, 즉 상부 그리드(32)는 같은 X축방향 및 Y축방향의 상자형 빔(34, 36)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상부 그리드(32) 및 하부그리드(28)에 있어서의 상자형 빔(34, 36, 24, 26)의 이 상호계합(系合)구조는 스테인레스 동제 셀(16)을 받아들이도록 수직으로 정렬된 다수의 사각형의 구멍을 형성하고 있다. 셀(16)은 약 2.5mm의 두께를 가지며 양끝이 개방되어 있다.
셀은 어떠한 크기 및 형상이라도 좋지만, 본 발명의 설명을 위해서 선정된 구조에 의하면 길이 및 폭 방향의 내부둘레의 치수는 22cm, 높이는 약 4.3cm이다. 각각의 셀(16)의 저부끝은 발생한 열을 운반해 가기 위한 냉각재가 그것을 통로 윗쪽으로 흐르도록 한 당해 기술에 있어서, 주지의 구조가 복수의 개근를 갖는 하부그리드(28)에 용접되어 있다.
모든 모듈에 적잘한 강도를 주어, 모듈중의 모든 셀의 중심 선사이의 평행을 유지하면서 그 간격을 일정하게 하기 위해서 각각의 셀은 이하에 상술하듯이 상부 그리드와 하부그리드의 양쪽에 있어서, 인접하는 상자형 빔에, 그 전면이 용접되어 있다.
제1도, 제2도에는 모듈의 전체둘레에 둘러싸여서 용접부(42)에 의해 기판(18)에 부착된(붙여진) 하부측판(40)과, 이 측판 및 셀(16) 벽부 사이의 용접부가 나타나 있다. 이들 용접부는 기판의 길이에 따라서, 또 모듈중의 주위에 있는 셀의 측면에 따라서 연장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해 모듈의 외측 하부 영역에 강도 및 강성이 부여된다.
마찬가지로 모듈상부는, 상부측판(46)을 갖고 상부측판은 모듈의 전체둘레를 둘러싸고, 모듈의 외부둘레 부분에서 각각의 셀에 용접되어 있다.
측판(46, 40)은 상부 및 하부에 있어서, 셀(16)의 모듈을 둘러싸고 모듈의 외측 경계를 정확하게 정하여서, 모듈전체에 사각형의 형상 및 강도를 부여하는 일에 도움이 된다.
모듈을 에워싸는 상부측판(46)은 모듈로부터 바깥쪽으로 지향하는 셀벽부상의 돌부(돌출체)에, 상부 끝(54) 및 하부 끝(56 ; 제2도)에 따라서 용접되어 있다.
제3도에 도시한 실시예에는 상자형빔(34), (36)의 정상부에 가까운 높이에 있어서, 각각의 셀의 벽부에 딤플(49)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딤플(49)은 도시한 형상으로도 좋지만, 래퍼플레이트(66) 및 중성자 흡수재료(64)의 두께에 최소한 같은 거리에 걸쳐서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셀(16)의 벽부의 연속변형 부분과 같은 다른 형상으로 해도 무방하다.
측판(40, 46)과 딤플(49)과의 경계면에는 용접부(51, 53)가 형성되며, 상자형 빔(24, 26, 34, 36)과 딤플(49)과의 사이에는 용접부(55, 57)가 형성되어 있다.
제2도에 나타낸 다른 구성에 의하면, 모듈의 상부와 하부와의 사이에 있어서 셀(16)의 중간의 스페이스에 돌입하는 딤플(49)을 사용하는 대신 보호판(48)이 셀(16)의 상단에 가까운 표면에만 용접부(52, 54)에 있어서 용접되어 있다.
기판(18) 근방에 있는 축방향 및 축방향의 셀(16) 중간의 스페이스에는 그 윗쪽에 있는 상자형 빔(34), (36)보다도 조금 작은 사이즈의 큰 상자형 빔(34, 36)이 수용되어 있다. 용접부(60)는 셀(16)의 측면에, 하부의 상자형 빔을 고정시키고 있으며, 용접부(62)는 보호판(48)의 표면에 상부의 상자형빔을 고정시키고 있다.
측판(46)과 상자형빔에 용접된 딤플(49) 및 보호판(48)을 사용하는 상술한 두가지 예의 어느 것에 있어서도, 딤플(49)의 깊이 및 보호판(48)의 두께는 중성자 흡수재(64)와 래퍼플레이트(66)와의 두께의 합보다도 커지도록 선정되어있다. 따라서 보호판(48) 또는 딤플(49)은 사용이 끝난 연료랙의 기본구조를 형성하는 하부 및 상부의 상자형 빔의 조립체중에 셀(16)을 배설했을때에 래퍼플레이트(66) 및 중성자 흡수재(64)를 보호하기 위해, 래퍼플레이트(66)와 중성자 흡수재(64)와의 깊이의 합계보다도 큰 거리에 걸쳐 셀(16)간의 스페이스 중에 연장하고 있다.
제1도에는 하부그리드(28) 및 상부그리드(32)에 의해 형성되어 정렬된 4각형의 개구중에 셀(16)의 하부단이 꼭 끼워 맞추어지는 것이 도시되어 있다.
제2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용접부(48)는 상자형 빔(34), (36)의 하부 가장자리를 기판(18)에 고정시키고, 용접부(60)는 상자형빔의 상부 가장자리를 셀(16)의 하면에 고정시키고 있다. 상부 그리드(32)의 상자형 빔(34, 36)은 각각의 셀(16)의 4개의 면 전부에 고정시킨 보호판(48)에, 상부 가장자리를 따라서 용접부(62)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상자형 빔과 상부 그리드(32)와의 양쪽을 이와같이 셀면에 용접한 것에 의해, 비교적 강성이 높은 견고한 모듈이 형성되며, 이 모듈은 전부의 셀(16)간의 평행 및 수직방향의 정렬이 주어지는 동시에 지진에 의한 요동도 흡수된다.
셀(16)중에 저장되는 연료가 임계의 질량에 도달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셀(16)의 표면에 부착된 중성자 흡수재(64)는 물 또는 붕산수가 수용된 셀(16)간의 스페이스와 함께, 중성자 강도를 유효하게 최소로 만든다.
제2도의 단면도는 중성자 흡수재, 바람직하게는 브랜즈 인더스트리얼 서비시즈사(Brand Industrial Service &, Inc.)에 의해 제조된 탄성 고무형상의 실리콘 폴리머 매트릭스 중의 탄화붕소인 보라프렉스(Boraflex)가 각각의 셀(16)의 전면에 장착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중성자 흡수재(64)는 제2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셀(16)의 벽부의 대략 전체표면역을 망라하지만, 측면 및 상하부 그리드(28, 32)의 조금 앞에서 종단하고 있다.
중성자 흡수재(64)보다도 조금 큰 치수의 래퍼플레이트(66)는 중성자 흡수재(64)를 유지하기 위해 임시부 착용접부(68)에 의해 셀(16)의 측면에 용접되어 있다. 사용된 중성자 흡수재(64)는 연료저장풀의 환경과의 접촉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기 때문에, 수밀(水密)을 유지하는 것은 불가결은 아니다.
중성자 흡수재(64)와 래퍼플레이트(66)와의 전체두께는 딤플(49) 또는 보호판(48)의 두께보다도 작다.
이 목적은 셀(16)을 모듈에 대해 출납할 경우에, 딤플(40) 또는 보호판(48)의 두께가 큰것에 의해 래퍼플레이트(66)를 구비한 셀(16)의 부분이 래퍼플레이트(66) 또는 재료(64)의 표면을 손상시키지 않고 상부그리드(32)를 자유롭게 통과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사용이 끝난 연료랙에 대한 NRC의 요구의 하나는 그 랙이 지진의 힘에 견디는 것이다. 이것은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상술한 바와같이 서로 연결된 상자형 빔 및 측판을 사용함으로써 실현된다.
상부 그리드(32) 및 하부그리드(28)는 상술한 규격으로 셀(16)에 용접되어 있기 때문에, 전체로서의 연료랙 모듈에 실질적인 강성을 부여하고, 이렇게 해서 NRC의 기준에 적합해진다.
지질활동이 비교적 활발한 지역에서는 모듈의 대략 전체높이에 연장시킨 전단패널을 모듈의 전주에 걸쳐 인접셀에 용접함으로써, 보조적인 강성을 모듈에 부여할 수 있다. 이들 전단패널은 소망에 의해 그 길이의 일부 또는 전부에 따라서 선택된 곳에 있어서 용접할 수 있다.
각각의 연료집합체의 셀의 중심선을 이셀이 배설되는 기판(18)과 직각으로 하는 것의 필요성이, 이상의 설명에 의해 명백해졌다.
본 발명에 의하면, 기판(18)을 수평으로 하는 것은 기판(18)에 의해 지지되는 하중에 의존하여, 기판(18)의 아래쪽에 있어서 모듈의 각각의 구석부분의 곳의, 기판(18)이 선택된 구분의 아래쪽에 배설된 다음에 상술하는 레벨링 패드(22)의 사용에 의해 달성된다.
모듈중의 각 셀(16)은 4각형의 단면을 가지며, 하부그리드(28) 및 상부그리드(32)에 의해 형성된 상보형의 수직방향으로 정렬된 개구에 끼워 맞추어지는 크기를 구비하고 있다.
제1도, 제2도에 더욱 명료하게 나타낸 바와같이, 셀(16)의 상부 벽은 장입과정에 있어서 연료집합체를 셀(16)중에 인도하기 쉽게 하도록 바깥족으로 플레이어 형상으로 된 깔대기 모양의 셀플랜지(29)를 구비하고 있다.
상단은 상부 그리드(32)의 조금 윗쪽에 있어서 종단하며, 플레이어 형상부분과 같은 형상의 플레이스(38)는 , 모듈중의 주변부의 셀(16)의 외측벽에 용접되어 있다.
플레이스(38)는 지지기능을 하고, 셀(16)을 적절한 정렬상태로 유지하는데 이바지 한다.
모듈 외주상에 표면을 가진 인접하는 셀(16)에 상술한 전단패널을 용접함으로써 수조체에 여분의 강도가 부여된다.
각각의 전단패널은 인접하는 셀(16)사이의 간격(70)을 연결하며 바깥쪽을 지향하는 셀벽부를 중첩시킬 수 있는 폭을 구비하고 있다.
바람직하게는 전단패널의 긴쪽 방향의 단연(端緣)을 래퍼플레이트(66)의 바로 앞에서 종단시켜, 전단패널의 양단의 수직선을 셀 벽부에 용접한다. 전체의 모듈에 어떤 강도를 부여하고, 필요하면 사용이 끝난 연료 랙에 대한 NRC의 기준에 준거하는 것의 도움이 되도록, 모듈의 외측렬중의 인접하는 셀에 대해 이 구조를 반복한다.
연료랙을 형성하는 서로 이격배치된 셀(16)에 대한 연료집합체의 장입 및 꺼내기가 순조롭게 행해지도록, 셀(16)의 중심선이 셀(16)의 수직 축선상에 있을 것이 중요하다. 이것은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연료집합체가 재치되는 기판(18)을 조절이 자유롭게 함으로써 달성된다.
저장풀의 라이너가 정확하게 평탄하고 수평인 것은 거의 없으며, 따라서 기판(18)을 수평상태도 조절하는 레벨링 장치가 필요해진다. 제4-제11도는, 수평을 얻기 위해 필요해지는 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제4도는 기판(18)의 일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며, 기판(18)의 상면에 용접된 상자형빔(34, 36)을 나타내고 있다.
기판(18)은 복수의 개구(72)를 가지며, 냉각재는 연료집합체를 냉각시켜 아래쪽의 레벨링 패드(22)에의 접근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유통공인 개구(72)르 지나 윗쪽으로 흐른다.
제5도에는 레벨링 패드 지지판(74)이 도시되고, 이들 지지판(74)은 기판(18)의 네귀 및 필요에 따라 지지판(74)의 아래쪽의 선정된 다른 장소에, 기판(18)의 상면의 하중을 적절하게 지지한다. 제5도-제7도 모듈을 승강시킬 목적으로 기판(18)의 하면에 승강판(76)이 도시되어 있다. 승강판(76)은 약 25.4mm의 두께이며, 기판(18)을 지나 윗쪽으로 뻗는 4각형의 개구(78)를 구비하고 있다. 개구(78)의 각 구석부분에 있는 복수의 멈치봉은, 기판(18)의 하면에서 아래쪽으로 연장하고 있으므로, 성강래그를 4각형의 개구(78)에 하향으로 이동시키고, 윗쪽으로의 매달기가 이루어지도록 기판(18)의 하면에 있어서 90°회전시겼을때, 기판(18)의 개구(78)를 지나 윗쪽으로 미끄러질수 있는 위치에 승강래그가 불시에 이동하는 것은 멈치봉에 의해 저지된다.
기판(18)을 수평으로 하는 구성을 더욱 특정적으로 나타낸 제7도에 있어서, 연료저장풀의 라이너(20)는 라이너면상에 자유롭게 제한받지 않게 이동하도록 부착된 받침대(80)를 구비하고 있다. 받침대(80)는 직립원통벽면(84)과 합체하는 정밀한 받침대면(82)을 구비하고 있다. 저부 끝부분에 구면(88)이 형성된 레벨링나사(86)는 받침대(80)의 받침대면(82)과 상보 형상이다. 레벨링나사(86)의 선단을 받침대(80)상에 재치한 다음, 원판(87)을 원통벽면(84)에 용접하고, 수평을 낼 목적으로 필요에 따라 나사(86)의 선단이 그 내부에서 이동하기 위한 스페이스(89)를 형성한다. 나사(86)의 숫나사부(90)는 레벨링패드(22)의 같은 형상의 암나사부(92)와 맞물리므로, 슬롯(96)중에서 공구에 의해 나사(86)를 회전운동시키면 지지패드(22)는 수직으로 이동한다. 레벨링패드(22)는 4개의 직경 방향으로 이격 배치된 지지암(97)을 가지며, 이들 지지암(97)은 용접부(98)에 의해 기판(18)의 하면에 고착되어 있다.
작용에 대해 설명하면, 기판(18)을 수평위치로 조절하기 위해, 레벨링패드(22)는 기판(18)의 중심영역의 아래쪽의 선택된 위치에 있어서, 기판(18)의 구석부분의 아래쪽에 배설된다. 기판(18) 및 그 상부의 셀을 수평으로 하기 위해, 라이너(20)가 그위에 재치된 바닥면의 구배에 저면의 연료를 적합시키는 거리 및 방향에 각각의 받침대(80)를 이동시킨다. 라이너(20)의 바닥이 평탄하지 않을때에는 받침대(80) 및 레벨링 나사(86)의 상보형의 구면(88) 및 받침대면(82)을, 레벨링나사(86)의 축선이 수직면내에 위치하기까지 상호간에 대해 조절한다.
슬롯(96)중에 공구를 삽입하고, 레벨링나사(86)(이때는 베어링으로서 작용하고 있다)를 회전운동시킴으로써 레벨링패드(22)는 수직으로 이동하여, 소망위치에 기판(18)을 상하이동시킨다.
기판(18)이 수평위치로 조절되기까지 이 조작을 각각의 구석부분 및 중심영역의 레벨링 패드(22)에 대해 반복해서 행한다.
제10도의 레벨링 패드는 저장풀의 바닥안에 전단스태드(100)가 매설된 부착위치에 있는 사용이 끝난 연료랙에 사용된다.
레벨링패드(22)의 그밖의 부재는 같으며, 전단스태드(100)가 지나도록 중심개구(102)를 갖게끔 변형된 받침대(80)를 구비하고 있다. 개구(102)의 직경은 스태드(100)으 비수직성 및 저장풀의 바닥의 구배의 변화를 받아들이도록 충분히 크게 한다.
스태드(100)는 저장풀의 바닥안의 레벨링패드(22)의 위치를 유지하는 역할을 하며, 커다란 지진의 요란이 있었을 때에만 전단력을 받으므로, 스태드(100)는 비교적 짧은 거리까지 레벨림나사(86)중에 윗쪽으로 뻗는 길이로 설계되어 있다. 받침대(80)의 개구의 경우와 같이, 스태드(100)와 레벨링나사(86)의 벽부와의 사이에, 양쪽의 부재를 서로 끼워 맞추는 융통성을 주기위한 스페이스(104)가 설치되어 있다. 슬롯(96)중의 공구가 레벨링나사(86)를 회전운동시키면, 나사(86)와 레벨링패드(22)와의 공동나사부에 의해, 수평위치가 되기까지 레벨링패드(22)와 기판이 수직으로 이동된다.
제11도에 도시한 레벨링패드(22)도, 저장풀의 바닥중에 이미 스태드가 매설된 연료랙설비에 사용된다. 이 예에서는 스태드(100)는 레벨링나사(86)의 전장에 연장하며, 스태드(100)의 윗쪽에는 랙을 수직으로 구속하는 구형인 인커워셔(ahchor washer ; 112) 및 구형 앵커너트(106)가 설치되어 있다. 스태드(100)의 상단은 너트(106)의 나사부를 받아들이기 위한 숫나사(108)를 구비하고 있다. 앵커워셔(112)는 레벨링나사(86)의 상단과 너트(106)와의 사이에 당접하여, 저장풀의 마루중에 매설된 스태드(100)의 잠재적인 부정합을 보상하는 역할을 하는 구형지지면을 형성한다. 상기의 예와 같이, 받침대(80)는 바닥의 구배를 구하고, 받침대(80) 및 레벨링나사(86)의 구면에 의해 받침대(80)의 스페이스(89)의 범위내에 있는 수직면내에 레벨링나사(86)를 위치시킬 수 있다. 레벨링나사(86)에 의해 레벨링패드(22)를 수직으로 조절하므로써, 기판(18)의 수평위치가 변화한다.

Claims (3)

  1. 짜맞추어져서 많은 사각개구를 형성하는 빔으로된 제 1 빔 네트워크(24, 26)와, 제 1 빔 네트워크에 있는 사각개구에 관해서, 수직방향으로 정렬한 상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사각개구를 형성하기 위해 편성된 빔으로 이루어진 제 2 빔 네트워크(34, 36)을 포함하는 기부구조체 ; 연료 저장풀 바닥과 상기 기부 구조체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기부구조체를 수평상태로 조절하는 기부구조체 레벨링 수단 및 제 1 및 제 2 빔 네트워크의 정렬된 상기 사각개구내에 연료집합체를 넣어 유지하도록 설계한 크기 및 형상을 갖고 양끝이 개방되어 있어, 상단에는 깔대기 모양의 안내부(39)를 갖고 있는 셀(16)을 구비한 연료 집합체를 핵연료 저장풀에 저장하는데 사용되는 연료집합체를 핵연료 저장풀에 저장하는데 사용되는 연료 저장랙에 있어서, 벽면이 중성자 물질로 이루어진 상기 셀의 상단 및 하단 가까이에서 상기 셀의 측변에 설치한 바깥쪽으로 뻗은 돌출체(48, 49)와 제 1 및 제 2 빔 네트워크의 빔(24, 26, 34, 36)에 상기 돌출체(48, 49)를 붙여서 모듈러 구조의 강한 연료저장랙을 만드는 부착수단(55, 57 ; 60, 62)을 포함하는데, 상기 셀은 상기 제 1 빔 네트워크(24, 26)을 지지하는 기판(18)에 있는 개구(72)상부에 배치되어 있어 냉각재를 윗쪽으로 관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저장랙.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부구조체 레벨링 수단은 다수의 레벨링 패드(22)로 구성되고, 그 패드 각각은 상기 기부구조체(18)의 하면을 결합시키는 수직 조정가능 수단을 그 내부에 갖는 베이스부재를 가지며, 상기 수직조정 가능수단은 상기 기판(18)의 하면을 결합시키는 지지암(97)을 구비한 프레임과 싱기 프레임과 상호 동작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기판을 수직 조정하는 레벨링 나사(86)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은 중심개구를 가지며, 상기 레벨링나사(86)은 상기 개구내에 비틀려서 끼워져서 상기 나사가 조정되는 경우, 상기 프레임과 프레임암은 상기 셀(16)의 수징 정렬을 보장하도록 상기 기판(18)의 레벨링을 이루기 위해 상기 연료 저장풀 바닥 쪽으로 이동하고, 상기 연료 저장풀 바닥상의 위치하는 구면을 갖는 받침대가 제공되며, 상기 받침대를 결합시키는 상기 너트의 바닥상에 있는 보상구면을 구비하여서, 상기 나사(86)는 상기 구면상에서 상기 받침대쪽으로 이동하며 상기 받침대가 비수평면상에 있는 경우 수직위치를 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저장랙.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가능 너트의 상단부는 상기 기판(18)내의 개구를 통해 출납 가능하며, 상기 그 상단부의 슬롯(96)를 가져서 그 너트(86)를 레벨링 위치로 조정할 수 있는 도구에 의해 결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저장랙.
KR8203140A 1981-07-14 1982-07-14 원자로의 연료 저장랙 KR89000326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6/282,991 US4820472A (en) 1981-07-14 1981-07-14 Nuclear reactor spent fuel storage rack
US282991 1981-07-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0946A KR840000946A (ko) 1984-03-26
KR890003269B1 true KR890003269B1 (ko) 1989-08-30

Family

ID=230840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8203140A KR890003269B1 (ko) 1981-07-14 1982-07-14 원자로의 연료 저장랙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4820472A (ko)
EP (1) EP0071364B2 (ko)
JP (2) JPS5828697A (ko)
KR (1) KR890003269B1 (ko)
DE (1) DE3278594D1 (ko)
ES (1) ES513941A0 (ko)
FR (1) FR2509899B1 (ko)
YU (1) YU4595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00505A (en) * 1981-12-22 1990-02-13 Westinghouse Electric Corp. Spent fuel storage rack
US5245641A (en) * 1981-12-22 1993-09-14 Westinghouse Electric Corp. Spent fuel storage rack
DE3270164D1 (en) * 1981-12-22 1986-04-30 Westinghouse Electric Corp Storage rack for spent bwr fuel assemblies
US4960560A (en) * 1981-12-22 1990-10-02 Westinghouse Electric Corp. Spent fuel storage rack for BWR fuel assemblies
EP0120232B1 (en) * 1983-03-01 1988-08-24 Westinghouse Electric Corporation Storage of spent nuclear fuel
IT1194351B (it) * 1983-07-28 1988-09-22 Snam Progetti Procedimento per il recupero di butene-1 grado polimerizzazione
FR2551907A1 (fr) * 1983-09-14 1985-03-15 Lemer & Cie Dispositif de stockage d'elements combustibles en piscine
FR2553921A1 (fr) * 1983-10-19 1985-04-26 Lemer & Cie Elements demontables pour structure rigide de ratelier de stockage de combustibles nucleaires
US5114666A (en) * 1989-09-11 1992-05-19 U.S. Tool & Die, Inc. Cask basket construction for heat-producing radioactive material
DE4134246A1 (de) * 1991-10-16 1993-04-29 Siemens Ag Lagergestell fuer kernreaktor-brennelemente
US5254318A (en) * 1992-07-20 1993-10-19 Stone & Webster Engineering Corporation Lined reformer tubes for high pressure reformer reactors
US5361281A (en) * 1993-07-30 1994-11-01 Aea O'donnell, Inc. Storage rack for spent nuclear fuel assemblies
US6393086B1 (en) * 1999-02-26 2002-05-21 Westinghouse Electric Company Llc Spent nuclear fuel assembly stacking method
FR2791171B1 (fr) * 1999-03-18 2004-02-06 Atea Soc Atlantique De Tech Av Procede et dispositif de fixation d'une structure de grande dimension sur une surface d'appui et application au reamenagement d'une piscine de stockage d'une centrale nucleaire
FR2813701B1 (fr) * 2000-09-01 2002-11-29 Transnucleaire Panier de rangement pour matieres radioactives
US6741669B2 (en) * 2001-10-25 2004-05-25 Kenneth O. Lindquist Neutron absorber systems and method for absorbing neutrons
US7139353B2 (en) * 2002-12-06 2006-11-21 Framatome Anp Inc. Boiling water reactor nuclear fuel assembly lifting support
JP5517657B2 (ja) * 2004-11-12 2014-06-11 三菱重工業株式会社 燃料貯蔵設備
CN101960534B (zh) * 2007-10-29 2014-08-20 霍尔泰克国际股份有限公司 用于支持放射性燃料组件的设备
EP2209125B1 (de) * 2009-01-09 2013-05-15 Cci Ag Lagergestellanordnung zur Lagerung nuklearer Brennelemente
KR101063484B1 (ko) * 2009-08-14 2011-09-08 (주) 코네스코퍼레이션 핵연료집합체 저장용 매달림형 조밀저장대
TWI500043B (zh) * 2009-08-31 2015-09-11 Areva Inc 燃料儲存用支架系統及總成
JP5709400B2 (ja) * 2010-04-09 2015-04-30 三菱重工業株式会社 核燃料貯蔵用ラック及び核燃料貯蔵用ラック群
JP5546374B2 (ja) * 2010-06-30 2014-07-09 三菱重工業株式会社 核燃料貯蔵用ラック
JP5610960B2 (ja) * 2010-09-29 2014-10-22 三菱重工業株式会社 核燃料貯蔵用ラック
US11515054B2 (en) 2011-08-19 2022-11-29 Holtec International Method of retrofitting a spent nuclear fuel storage system
US20150221402A1 (en) * 2011-12-22 2015-08-06 Holtec International ,Inc. Storage system for nuclear fuel
FR2994327B1 (fr) * 2012-08-03 2019-08-23 Onet Technologies Cn Pieds reglables deformables pour chassis de ratelier de stockage pour assemblages combustibles nucleaires
US9991010B2 (en) 2012-08-28 2018-06-05 Holtec International, Inc. System and method for minimizing movement of nuclear fuel racks during a seismic event
JP5826325B2 (ja) * 2014-05-07 2015-12-02 三菱重工業株式会社 核燃料貯蔵用ラック及び核燃料貯蔵用ラック群
JP5987019B2 (ja) * 2014-05-07 2016-09-06 三菱重工業株式会社 核燃料貯蔵用ラック及び核燃料貯蔵用ラック群
JP2014145788A (ja) * 2014-05-07 2014-08-14 Mitsubishi Heavy Ind Ltd 核燃料貯蔵用ラック及び核燃料貯蔵用ラック群
US10847274B2 (en) * 2017-02-24 2020-11-24 Holtec International Earthquake-resistant fuel storage rack system for fuel pools in nuclear plants
US11796255B2 (en) 2017-02-24 2023-10-24 Holtec International Air-cooled condenser with deflection limiter beams

Family Cites Families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33911A (en) * 1967-04-14 1970-10-13 Gulf General Atomic Inc Nuclear reactor systems
US3882313A (en) * 1972-11-07 1975-05-06 Westinghouse Electric Corp Concentric annular tanks
US4021300A (en) * 1975-05-23 1977-05-03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United States Energy Research And Development Administration Improved nuclear fuel assembly grid spacer
US4010375A (en) * 1975-05-27 1977-03-01 Wachter William J Storage rack for nuclear fuel assemblies
US4096392A (en) * 1975-07-11 1978-06-20 Nuclear Services Corporation Rack for storing spent nuclear fuel elements
US4042828A (en) * 1975-11-17 1977-08-16 Nuclear Services Corporation Rack for nuclear fuel elements
US4006362A (en) * 1975-11-17 1977-02-01 Brooks & Perkins, Incorporated Shroud for storing radioactive spent nuclear fuel cells
US4039842A (en) * 1976-01-08 1977-08-02 Brooks & Perkins, Incorporated Fuel storage rack
US4034227A (en) * 1976-02-02 1977-07-05 Olaf Soot Nuclear fuel storage rack
US4024406A (en) * 1976-02-17 1977-05-17 Combustion Engineering, Inc. Spent fuel storage improvement
US4068878A (en) * 1976-09-28 1978-01-17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Navy Container lift coupling
US4124445A (en) * 1976-10-06 1978-11-07 Brooks & Perkins, Incorporated Storage rack for fuel cell receiving shrouds
JPS5356497A (en) * 1976-10-29 1978-05-22 Hitachi Ltd Fuel storage rack for nuclear reactor
US4137125A (en) * 1976-11-12 1979-01-30 Westinghouse Electric Corp. Method of welding nuclear reactor fuel assemblies
US4143276A (en) * 1977-05-09 1979-03-06 Brooks & Perkins, Incorporated Spent nuclear fuel storage racks
US4119859A (en) * 1977-05-23 1978-10-10 Brooks & Perkins, Incorporated Fuel storage rack
US4139228A (en) * 1977-06-13 1979-02-13 Israel Aircraft Industries Ltd. Quarter-turn locking device
US4187433A (en) * 1977-08-05 1980-02-05 Automation Industries, Inc. High density fuel storage rack
US4177385A (en) * 1977-09-19 1979-12-04 Combustion Engineering, Inc. Nuclear fuel storage
DE2742736A1 (de) * 1977-09-22 1979-04-05 Kraftwerk Union Ag Lagergestell fuer brennelemente
DE2753468A1 (de) * 1977-11-30 1979-05-31 Kraftwerk Union Ag Lagergestell fuer laengliche brennelemente
JPS6027392B2 (ja) * 1978-02-03 1985-06-2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炉心構成要素
US4248668A (en) * 1978-03-13 1981-02-03 General Electric Company Storage module for nuclear fuel assemblies
US4177386A (en) * 1978-05-26 1979-12-04 Robbins Thomas R Method and apparatus for storing nuclear fuel assemblies in maximum density racks
US4268356A (en) * 1978-07-14 1981-05-19 Westinghouse Electric Corp. Nuclear reactor fuel assembly grid
FR2462767A2 (fr) * 1978-08-12 1981-02-13 Babcock Brown Boveri Reaktor Chassis d'entreposage d'elements combustibles de reacteur nucleaire
CH631673A5 (de) * 1978-08-17 1982-08-31 Sulzer Ag Gestell zum zwischenlagern von brennelement-buendeln.
US4233518A (en) * 1978-11-06 1980-11-11 Combustion Engineering, Inc. Fuel storage rack
ES489024A0 (es) * 1979-04-23 1981-02-16 Sulzer Ag Perfeccionamiento en las armaduras para el almacenamiento dehaces de elementos combustibles nucleares
US4746487A (en) * 1981-06-10 1988-05-24 U.S. Tool & Die, Inc. Storage rack for nuclear fuel assemblies
CH655813A5 (de) * 1982-03-12 1986-05-15 Sulzer Ag Gestell zum lagern nuklearer brennelemente.
FR2553921A1 (fr) * 1983-10-19 1985-04-26 Lemer & Cie Elements demontables pour structure rigide de ratelier de stockage de combustibles nucleaires
JPS612199A (ja) * 1984-06-14 1986-01-08 株式会社東芝 音程シフト回路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FR2509899B1 (fr) 1988-07-15
YU45952B (sh) 1992-12-21
DE3278594D1 (en) 1988-07-07
KR840000946A (ko) 1984-03-26
EP0071364B2 (en) 1992-04-08
JPS61206898U (ko) 1986-12-27
ES8402453A1 (es) 1984-01-16
EP0071364A3 (en) 1984-03-28
US4820472A (en) 1989-04-11
ES513941A0 (es) 1984-01-16
EP0071364B1 (en) 1988-06-01
JPH025436Y2 (ko) 1990-02-08
JPS5828697A (ja) 1983-02-19
EP0071364A2 (en) 1983-02-09
FR2509899A1 (fr) 1983-01-21
YU96482A (en) 1989-12-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90003269B1 (ko) 원자로의 연료 저장랙
EP3367389B1 (en) High earthquake-resistant fuel storage rack system for fuel pools in nuclear plants
US7715517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fuel assemblies in an underwater environment having lateral access loading
US4781883A (en) Spent fuel storage cask having continuous grid basket assembly
EP0082317B1 (en) Storage rack for spent bwr fuel assemblies
US5245641A (en) Spent fuel storage rack
CN102005252B (zh) 一种压水堆核电站用乏燃料贮存格架
US4960560A (en) Spent fuel storage rack for BWR fuel assemblies
KR20140103333A (ko) 핵연료를 위한 저장 시스템
JP2010160154A (ja) 核燃料要素を貯蔵するための貯蔵ラック構造体
US4044267A (en) Fissionable mass storage device
US4187433A (en) High density fuel storage rack
US4248668A (en) Storage module for nuclear fuel assemblies
KR101142821B1 (ko) 냉각 유체의 유동 배향 노즈를 갖는 연료 집합체용 터미널 단부-부품 및 대응하는 집합체
KR910005107B1 (ko) 사용연료 저장 랙
US4900505A (en) Spent fuel storage rack
CA1115534A (en) Nuclear fuel storage apparatus for seismic areas
JP2013246014A (ja) 燃料貯蔵ラック
JPH10274691A (ja) 使用済燃料冷却貯蔵設備の支持装置
JPH07191183A (ja) 使用済燃料貯蔵方法及び使用済燃料貯蔵ラック
JPS59171893A (ja) 燃料プ−ル装置
JPH057598Y2 (ko)
JPS60250299A (ja) 免震構造ラツク
JPH0427898A (ja) 使用済燃料貯蔵ラック固定装置
Zezza High density fuel storage ra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