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2603B1 - 도장용 플로오 컨베이어 - Google Patents

도장용 플로오 컨베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2603B1
KR890002603B1 KR1019850700300A KR850700300A KR890002603B1 KR 890002603 B1 KR890002603 B1 KR 890002603B1 KR 1019850700300 A KR1019850700300 A KR 1019850700300A KR 850700300 A KR850700300 A KR 850700300A KR 890002603 B1 KR890002603 B1 KR 8900026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or
carrier
conveyor
painting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507003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60700348A (ko
Inventor
마사스미 무라이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 가이샤 쯔바기모도 체인
우라베 도모이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 가이샤 쯔바기모도 체인, 우라베 도모이찌 filed Critical 가부시기 가이샤 쯔바기모도 체인
Publication of KR8607003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7003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26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26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5/00Mechanical convey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G35/06Mechanical convey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prising a load-carrier moving along a path, e.g. a closed path, and adapted to be engaged by any one of a series of traction elements spaced along the pa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9/00Conveyors comprising an impeller or a series of impellers carried by an endless traction element and arranged to move articles or materials over a supporting surface or underlying material, e.g. endless scraper conveyors
    • B65G19/18Details
    • B65G19/28Troughs, channels, or conduits
    • B65G19/282Troughs, channels, or conduits for article conveyors, e.g. for container convey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0/00Power and free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9/00Conveyors comprising an impeller or a series of impellers carried by an endless traction element and arranged to move articles or materials over a supporting surface or underlying material, e.g. endless scraper conveyors
    • B65G19/02Conveyors comprising an impeller or a series of impellers carried by an endless traction element and arranged to move articles or materials over a supporting surface or underlying material, e.g. endless scraper conveyors for articles, e.g. for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5/00Mechanical convey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Automobile Manufacture Line, Endless Track Vehicle, Trailer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발명의 명칭]
도장용 플로오 컨베이어
[발명의 상세한 설명]
[종래분야]
본 발명은, 자동차 제조공장에 있어서, 자동차체체를 컨베이어 라인상의 가공부서에 있어서 이송중에 여러 종류의 가공, 조립, 페인팅등의 작업을 연속적으로 행하는데 사용되는 플로어 컨베이어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이송중에는 물론, 가공시에도 차체가 동요되는 일없이 안정되게 지지하여 이송할 수가 있으며, 페인팅부우츠내에서 컨베이어 주요부분이 분무도료에 의하여 오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플로어 컨베이어에 관한 것이다.
[배경기술]
컨베이어 라인상에서 자동차차체에 대하여 상기와 같은 작업을 행하는데 사용되는 컨베이어로서는, 일본국 특개소 55-40145호 공보, 미국특허 제4,408,540호 명세서에 개시된 것이 있지만, 어느것도 상기 용도에는 부적당한 구조이다.
즉, 전자는 컨베이어가 바닥면위에 설치되어 있어서, 다른 물건이 바닥면위를 이동하는 경우에 방해가 되고, 또한 컨베이어의 주요부분인 구동체인 이나 이것에 의하여 주행 구동되는 캐리어의 주행레일을 지지하는 프레림의 위쪽 개구부분을 고무등의 탄성재질의 페인트부착방지용 커버로 덮고 있으나, 작업자가 컨베이어를 가로질러가는 경우에 상기 커버위에 올라 타는 것은 불가능한 일이며, 걸터앉는 것도 대단히 위험하다.
따라서, 바닥면 위를 통행하는 것이 지극히 불편할 뿐만아니라, 컨베이어 옆쪽에서 차체에 가공을 하는 작업자가 수시로 반대쪽으로 옮겨다니는 것도 불편 한 일이어서 작업성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된다.
또한, 상기 커버는 차체를 올려 놓고 지지하는 지지부를 캐리어위에 지지하는 지지다리의 통로 양쪽을 차폐하여, 페인팅부우츠 내에서 상기 컨베이어의 주요부분으로의 페인트부착을 방지하지만, 상기 지지다리의 앞, 뒤에 틈이 생겨서 페인트의 침입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가 없다.
또한, 캐리어 주행중의 좌, 우이동을 규제하기 위하여 주행 레일에 접하는 전후, 좌우 4개의 안내로울러를 캐리어에 구성하고 있으나, 컨베이어 이송로의 커어브나 갈림길의 커어브에 있어서는, 앞부분 또는 뒤부분의 좌, 우 각 2개의 안내로울러의 중심을 연결하는 선이 커어브이 법선방향에 대하여 어떤 각도를 가지는 방향을 향하기 때문에, 주행레일과 안내로울러 사이의 틈이 벌어져서 캐리어가 S형진행을 하거나, 심할때는 탈선하는 일까지도 있다.
이와같이, 일본국 특개소 55-40145공보에 개시된 것은 상기와 같은 여러가지의 이유에 의하여 거의 실용성을 가지고 있지 못한 컨베이어 인 것이다.
다음에, 상기 미국특허 명세서에 개시된 컨베이어에 있어서는, 이것은 상기 공보의중대한 결점인 위쪽개구부가 넓다는 것과, 그에 의하여 발생하는 커어브에 있어서의 S형진행, 탈선의 가능성을 해소하고는 있지만, 반대로, 캐리어 주행트랙의 레일간격이 대단히 좁아서, 차체와 같이 폭이 넓으면서(통상 1.5~2.0m) 핸들등의 위치에 의하여 차체중심이 한쪽으로 치우치는 점이 있는 것에 대하여서는, 비록, 주행레일사이에 안내로울러를 끼워넣고 있더라도, 차체 중심이 캐리어 주행로울러보다 바깥쪽에 있는 경우에는, 항상 캐리어가 기울어서 주행을 하게되며, 또한, 차체중심이 캐리어 주행로울러보다 안쪽에 있다 하더라도 편하중의 상태로 주행하기 때문에, 레일이나 주행로울러에 대한 악영향도 크며, 또한 작업자의 손작업시에도 차체가 흔들려서, 가공하는 경우에 가공위치가 변동하여, 작업이 곤란하게 된다.
이점은, 차체의 양쪽으로부터 동시에, 또는 연계를 유지하여 행하지 않으면 안되는 손작업의 경우에 특히 문제가 되는 일로서, 작업의 부정확, 비능률등, 이런 종류의 플로어 컨베이어에 있어서는 허용될 수 없는 기본적인 결점을 내포하고 있다.
상기, 옆흔들림의 발생상태를 재차 구체적으로 예시하면, 제11도에 있어서, 주행레일(R)의 수평중심면(H)으로부터 차체(M)에 미는힘(f)이 가해지는 점까지의 높이를 (L)이라고 하면, 손작업시의 기울어짐 모우멘트는 fL이다.
이에 저항하는 복원 모우멘트는, 차체하중을 (W), 캐리어 로울러 바깥쪽 간격을(l1)이라고 하면, 1/2Wl1이므로, 미는힘으로 차체(M)가 기울어지는 것은 fL>1/2Wl1일때인 것이다. 가령 L=1500mm, l1=100mm, W=200kg이라고 하면, f>6.7kg이 된다.
이정도의 힘(f)으로서는 주행로울러를 레일(R)에 대하여 옆을 미끄러지게 하기에는 이르지 않으며, 차체는 미는힘에 의하여 용이하게 기울어질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차체 중심이 편심하여 있을때는 더욱 작은 힘(f)으로서도 차체는 기울어 지게 된다.
또한, 밀어주는 지점에 있어서의 차체가 기울어서 옆으로 흔들리는 량은, 레일(R)의 내면과 주행로울러와 위, 아래 방향의 틈(δ)을 3mm라고 하면, 3×1500/100=45mm가 된다.
즉, 차체는 스스로의 편심, 또는 외부힘에 의하여 기울어지기 쉬우며, 또한, 커어브에 있어서도 원심력에 의하여 기울어지기 때문에, 레일의 수명에 미치는 악영향, 손작업의 곤란성, 또는 페인팅의 경우에 레일의 이음부분을 통과하는 경우의 차체의 흔들림에 의하여 페인팅면이 균열된다고 하는 품질저하의 문제가 있으며, 이것 역시 실용성이 결핍된 결점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송중의 자동차 차체가 기울어 옆으로 흔들리는 일이 없는 플로어 컨베이어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컨베이어 상에 차체를 지지하는 지지다리의 통로가 되는 작업장바닥의 안내홈의 폭이 작으며, 작업장 바닥위에서의 통행이 안전하면서 또한 컨베이어 라인을 가로 지르는 차량 등의 주행도 가능한 플로어 컨베이어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작업장 바닥의 안내홈으로부터 바닥밑의 컨베이어 주요부분에 이물이나 분무폐인트 등이 부착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는 플로어 컨베이어를 제공함에 있는 것이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에 의하면, 채널재(Channel材)와 같은 일쪽이 거의 4각형으로 요입된 강제레일의 요입쪽을 충분한 크기의 간격을 가지고 작업장 바닥 바로 밑에 대향하게끔 형성하여 캐리어 트랙을 구성하고, 캐리어 앞, 뒤의 원통형상 주행로울러를 상기 레일의 요입부분내에 끼워넣어서 이송차체의 하중에 의한 캐리어의 좌우기울어짐을 적도록 하며, 또한, 캐리어의 주행로울러축의 거의 바로 위의 중앙에 굴대지지한 수직축 안내로울러를, 캐리어주행레일 위에 고정한 좌, 우 안내판의 안쪽가장자리에 의하여 형성되는 상기 레일의 간격보다 작은 폭의 안내홈 내에 끼워 넣어서, 캐리어의 주행중의 좌, 우움직임을 방지함과 동시에 캐리어의 좌, 우로의 기울어짐을 한층 적게 한다.
상기 안내판은, 레일간격이 비교적 큰 캐리어 주행트랙과, 캐리어 및 그 구동용 체인등의 컨베이어 주요부분을 수납한 작업장 바닥아래 수납공간의 넓은 개구부를 좁다란 상기 안내홈을 남겨놓고 덮어씌우기 때문에, 상기 컨베이어 주요부분을 작업장 바닥 위로부터의 먼지나 날리는 페인트 분말의 침입부착으로부터 보호하여 사용수명을 연장하여줌에 유용함과 동시에, 작업장 바닥위의 통행이 안전하고 작업장에서는 작업성이 좋아지며, 또한 차량의 주행도 가능해 진다는 등의 이점을 가지는 것이다.
이송물을 얹어놓는 가대는, 앞뒤부가 2대의 캐리어의 각각 중앙부에 앞, 뒤로 기울어짐이 자유롭게끔 피버트지지한 지지다리의 위끝단에 수평회동이 자유롭게끔 결합되어서 바닥면위쪽을 이동한다.
지지다리는 상기 안내홈을 관통하지만, 본 발명에 있어서는, 지지다리의 바닥위 부분을 이송방향에 대하여 옆쪽으로 요입하는 "C"자형상구조로하여, 이송물인 차체를 페인팅부우츠 내에서 분무페인팅을 하는 경우에, 페인팅 부우츠내에 상기 "C"자형상으로 요입한 굴곡부분 일부의 통로를 남기고 안내홈의 위쪽을 뒤덮는 턴넬 형상의 차폐덮개를 형성하여서, 안내홈으로부터 바닥아래의 컨베이어 주요부분으로의 이물의 침입을 방지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도시하는 실시예에 관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서 명백하게 하기로 한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도면은 본 발명의 가장 적합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제1도는 본 발명의 가대의 주행구조를 나타내는 평면도.
제2도는 제1도의 정면도.
제3도는 제2도에서의 Ⅲ-Ⅲ선 단면도.
제4도는 본 발명이 가대와 캐리어와의 결합구조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제5도는 제4도의 Ⅴ-Ⅴ선 단면도.
제6도는 제4도의 Ⅵ-Ⅵ선 단면도.
제7도는 본 발명의 컨베이어를 설치한 페인팅부우츠의 개략 횡단면도.
제8도, 제9도, 제10도는 차폐덮개의 각종 변형예를 나타내는 부분 횡단면도.
제11도는 종래의 플로어컨베이어에서의 옆흔들림 발생상태의 설명도이다.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제1도~제3도에 있어서, 본 발명의 플로어컨베이어의 주요부분은, 컨베이어 이송로를 따라서 공장바닥(F)과, 이보다 높은 작업장바닥(1)과의 사이에 설치되며, 작업장 바닥(1)에 바닥판(2)을 깔아 설치한다.
상기 주요부분의 양쪽에, 그 길이방향으로 적당한 간격을 두고 지주(3) 및 이것에 고정시킨 U자형상 지지판(4)을 용접등의 적당한 수단에 의하여 고정설치하여, 지주(3)의 위끝단을 바닥판(2)의 아래면과 같은 높이가 되게 한다.
각 지주(3)의 위끝단 내면과 이 보다 낮은 지지판(4)의 각 위끝단과에 접하게 하여 채널재 또는 이와 거의 동일한 단면형상을 가지는 강제레일(5a)을 그 위면에 지주(3)의 위끝단과 같은 높이가 되게 고정하여 캐리어트랙(5)을 구성한다.
4개의 캐리어(6a), (6b), (6c), (6d)는 동일한 주행구조를 가지며, 제4도, 제5도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캐리어프레임(7)의 앞, 뒤에 설치한 차축에 주행로울어(8)를 회전이 자유롭도록 지지하여, 주행로울러(8)가 레일(5a)의 안쪽 요입부 내에서 위쪽에 작은 틈을 남겨 놓은 상태로 주행한다.
제6도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프레임(7)의 앞, 뒤부분에 있어서 가로방향 중앙위치에 고정한 수직축에 안내로울러(9)를 회전이 자유롭도록 굴대지지하고 각 레일(5a)의 위면에 고정한 한쌍의 안내판(10)의 안쪽 가장자리(10a)가 형성하는 안내홈(11)에 안내로울러(9)를 끼워넣어서, 캐리어(6a~6d)를 트랙(5)의 중심을 따라서 안내주행하게하며, 또한 레일 간격이 큰 커어브나 갈림, 집합점에서의 주행로울러(8)의 옆으로의 치우침이나 캐리어의 편향을 저지시킨다.
캐리어(6a)와 (6b), (6c)와 (6d)를 각각 트랙(5)과 같은 높이의 연결로드(12), (제1도, 제2도)의 양끝단에 유니버셜조인트로서 연결하고, 캐리어(6b)와 (6c)를 뒤에 설명하는 차체를 올려놓는 가대(13)로써 연결하여 캐리어 연결체(6A)를 구성한다.
캐리어트랙(5)의 아래쪽에 있어서, 지지판(4)의 "U"형상요입부내에 한쌍의 채널재로 되는 레일(14a)을 고정하여 체인트롤리 트랙(14)을 구성하고 레일(14a)위를 로울러(15)에 의하여 주행하는 다수의 트롤리(16)에 엔드리스구동체인(17)을 등간격으로 지지시켜서, 트롤리(16)를 제2도의 화살표방향으로 주행시킨다.
트롤리(16)에는, 캐리어연결체(6A)의 거의 전체길이에 상당하는 간격마다에 후크(18)를 핀(19)으로서 상하회전이 자유롭도록 피버트지지하고, 후크(18)의 앞쪽부분에 트롤리(16)보다 앞쪽으로 돌출하는 무게추부(20)를 형성하여, 평상시에는 후크 뒤쪽부에 형성한 걸어맞춤 칼퀴(21)가 위쪽 정위치로 상승하도록 힘을 가하여 준다.
한편, 제2도에 있어서 선두의 캐리어(6a)의 프레임(7)에 아래쪽으로 돌출하는 걸어맞춤편(22)을 고정붙임하여, 그 뒤쪽부경사면(22a)에 갈퀴(21)가 걸어맞춤하여 캐리어 연결체(6A)를 화살표 방향으로 이송하도록 구성한다.
후크(18)의 앞쪽부경사면(18a)이 이송로에 구성된 스톱퍼(23)에 닿으면, 후크(18)는 회동되어 칼퀴(21)가 걸어맞춤편(22)으로부터 벗겨져 캐리어 연결체(6A)는 정지한다.
뒤쪽캐리어(6d)의 프레임(7)에는 스톱퍼(23)와 같은 높이의 바닥면(24a)을 갖는 걸어맞춤해제편(24)을 고정붙임하고, 정지중의 선행 캐리어연결체(6A)의 걸어맞춤해제편(24)에 후속하는 캐리어연결체(6A)를 견인하고 있는 후크(18)의 앞쪽경사면(18a)이 충돌하면, 이 후크(18)가 걸어맞춤편(22)으로부터 벗어나서 후속 캐리어 연결체(6A)는 정지한다.
따라서, 캐리어연결체(6A)를 앞, 뒤로 서로 닿게하여 컨베이어라인상에 스토리지(Storage)할 수가 있으며, 스톱퍼(23)를 축방으로 후퇴시키면, 선두의 캐리어 연결체(6A)는 그의 걸어맞춤편(22)에 뒤쪽에서 오는 후크(18)가 걸어맞춤하여 나아간다.
캐리어(6b), (6c)와 가대(13)와의 결합구조를 제4도, 제5도를 참조하면서 설명하면, 캐리어프레임(7)은 거의 캐리어트랙(5)의 레일간격(1)과 같은 폭을 가지며, 앞, 뒤의 주행로울러축의 중앙부에 있어서 프레임(7)의 양쪽에 형성된 구멍에 쓰러스트부재(25)의 작은 직경부(25a)를 끼워 넣고, 그 안쪽끝단에 양끝단이 접하는 축판(26)과 좌, 우의 쓰러스트부재(25)와를 공통으로 끼워 통하는 보울트(27)로써 조여붙여서, 쓰러스트부재(25)를 프레임(7)에 고정함과 동시에, 축관(26)을 회전이 자유롭도록 지지한다.
축관(26)의 중앙에 "C"자형 지지다리(28)의 아래수직부분(29)을 용접한다.
"C"자형 지지다리(28)는 레일(5)의 한쪽으로 돌출하는 "ㄷ"자형굴곡부(30)를 가지며, 그 위쪽의 수평부분(31)에 아래수직부분(29)과 동일축의 핀(32)을 받침부(33)에 고정붙임한다.
자동차 차체(M)를 얹어놓은 가대(13)는 제1도, 제2도에 나타낸바와 같이 사각형 관부재로 이루어지는 세로부재(34)와, 그 전,후부재 아래면에 직각으로 고정붙임한 같은 관재로 이루어지는 가로부재(35)와, 각 가로부재(35)의 양끝단에 고정붙임한 지주(36)와, 세로부재(34)의 앞끝단에 고정붙임한 지주(37)와를 가지며, 제4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각 가로부재(35)의 중앙 아래면에 고정붙임한, 부착부재(38)구멍에 핀(32)을 관통시켜서 가대(13)를 지지다리(28)위에 지지하고, 너트(39)에 의하여 가로부재(35)를 수평회동이 자유롭게끔 부착한다.
부착부재(38)와 세로부재(34)와에 수직부재(40)를 고정붙임함으로써 양자를 더욱 강하고 단단하게 결합한다.
레일간격(l)은 가대(13)위에 얹힌 차체(M)의 중심이, 핸들이나 연료탱크이 위치에 의한 차체 구조의 차이 때문에 한쪽으로 치우치더라도, 반드시 간격 l1의 범위내에 있게 충분한 크기로 선정되며, 이것에 의하여 좌우의 주행로울러(8)는 레일(5a)상에 안정되게 지지된다(제6도).
그러나, 간격(l)의 바닥 개구부분은 안내판(10)에 의하여 다리가 빠지지 않는 50mm 정도이하의 작은 폭의 안내홈(11)을 남겨놓고 덥혀지기 때문에, 작업장 바닥위의 통행에 위험은 없으며, 트롤리등이 안내홈(11)을 가로지르는 것도 안전하다.
상기 구조에 의하여, 캐리어(6a)~(6d)는 축관(26)이 캐리어 중앙에 있기 때문에, 트랙(5)의 커어브나 스위치부분에 있어서 주행 로울러(8)가 받는 가로방향의 가속도에 대하여 축관(26)의 가속도가 완화된다는 점, 축관(26)이 캐리어 전체폭에 가까운 충분히 긴 힌지를 구성한다는 점에 의하여, 차체(M)의 동요를 충분히 작게 억제 할 수가 있는 것이다.
제7도는, 차체(M)의 페인팅설비의 일부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바닥 아래에 페인트수세홈(41)을 형성한 페인팅 부우츠(42)의 바닥(43)의 바로아래에 트랙(5), (14)을 유도하여, 페인트수세홈(41)의 위쪽부에 형성한 바닥지지보(44)위에, 제3도의 바닥판(2)대신에 격자판(45)을 트랙(5)과 거의 같은 높이로 깔아 설치한다.
그리고, 페인팅부우츠 전체길이에 걸쳐서 안내홈(11)을 덮는 턴낼형상의 차폐덮개(46)(제5도)를 설치하여서, 한쪽에 "C"자형 지지다리(28)의 굴곡부(30)의 일부가 통하는 작은 폭의 통로(47)를 개구하게 한다.
제5도에 있어서, 차폐덮개(46)는 양쪽의 지주(3)에 받침부를 보울트 고정한 차폐판(48), (49)으로서 되며, 차폐판(48)은 위판부(50)가 "C"자형 지지다리(28)의 굴곡 요입부(30a)내로 깊이 들어가며, 앞끝단에 아래쪽으로 굴곡한 작은 폭의 리브(51)를 가진다.
또한 차폐판(49)은 "C"자형 지지다리(28)의 아래수직부분(29)의 쪽을 향하여 경사져서 위쪽으로 일어서며, 그 앞끝단은 리브(51)보다 아래 수직부분(29)쪽으로 치우쳐서 리브(51)와의 사이에 굴곡부(30)의 아래수평부분(52)이 통하는 통로(47)를 형성한다. 통로(47)는 경사져 아래쪽을 향하여 개구하기 때문에, 제7도에 있어서 부우츠(42)의 천정으로부터 뿜어 내려져 격자판(45)을 빠져 나가는 환기가 분무페인트를 통로(47)내로 불어넣는 일이 없으며, 차폐덮개(46)의 안쪽은 청결을 유지하게 된다.
제8도, 제9도는, 차폐덮개(46)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제8도에서는 굴곡부(30)의 수직부분(54)의 통로(47a)를 형성하는 차폐판(48a), (49a)을 사용하며, 제9도에서는 차폐판(48a), (49a)에 고무등의 탄성재(55)를 부착하여 통로(47a)를 수직부분(54)의 앞뒤에서 폐쇄한다.
제10도는 "C"자형 지지다리(28)의 아래수평부분(52)을 바닥면에 접근시키고 차폐덮개(46)를, 한쪽의 지주(3)에 고정한 1매의 차폐판(48b)으로 형성하여, 그 앞끝단 수직부분(56)과 바닥면과의 사이를 아래 수평부분(52)의 통로(47b)로 한 실시예이다. 차폐판(48b)의 위쪽면은 상기 한쪽이 아래로 경사하여 이 위쪽면 상에 부착한 페인트가 통로(47b)측으로 흘러 내리는 것을 방지한다.
[산업상 이용 가능성]
본 발명의 플로어 컨베이어는, 자동차제조공장에 있어서 도장용 컨베이어로써 사용하는데 가장 적합하다.

Claims (6)

  1. 간격을 두고 떨어진 다수개의 바닥 지주(3)를 가지는 작업장 바닥(1)과, 페인팅부우츠(42)를 통하여 자동차 차체(M)를 운반하기 위하여 상기 작업장 바닥(1)의 바로 아래에 설비되며, 내부에 주행 로울러(8)를 수납하도록 서로 마주보는 채널들을 가지는 1쌍의 대면하는 채널재로 구성되는 트랙(5)를 포함하며, 상기 채널재에는 그의 상부면에, 상기 채널들의 간격보다 작은 폭을 가지는 안내홈(11)이 형성되도록, 대향하여 배설되는 안내판(10)이 설비되는 플로어 컨베이어와, 상기 작업장 바닥(1)의 밑에 설비되며, 그를 통하여 상기 컨베이어 트랙(5)이 연장되는 페인트 수세홈(41)과, 초과량의 도장재가 상기 수세홈(41)으로 들어가서 페인팅부우츠(42)로부터 제거될 수 있도록 상기 작업장 바닥(1)을 덮으며, 상기 안내홈(11)의 의 위치에 대응하는 채널과, 상기 안내홈(11)을 차폐하는 차폐판(48)이 마련되며, 상기 차폐판(48)은 격자판(45)에 지지되며, 자동차 차체(M)를 페인팅부우츠(42)를 통하여 운반하기 위하여 지지다리(28)가 격자판(45)채널을 통하여 상기 안내홈(11)내로 연장되는 것은 허용하지만, 초과량의 도장재가 상기 안내홈(11)으로는 들어가지 못하도록 하는 격자판(45)과로 구성되는 페인팅부우츠에 있어서, 상기 플로어 컨베이어는, 그의 무게 중심이 상기 트랙(5)의 바로 위에 있으며, 자동차 차체(M)를 재치하기 위한 가대(13)와, 상기 작업장 바닥(1)면 위에서, 상기 가대(13)의 앞, 뒤부분을 지지하는 지지다리(28)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각 지지다리(28)는, 상기 트랙(5)상에서 주행하도록 채택되고 그의 앞, 뒤부분에 수평차축과 함께 주행로울러(8)들을 포함하는 캐리어(6a), (6b), (6c), (6d)를 가지며, 상기 채널들의 수직 높이는, 자동차 차체(M)가 옆으로 흔들릴때 각 채널내의 상기로울러(8)들의 제한된 수직 변위를 제공하고, 상기 채널들의 간격은, 상기 차체(M)가 흔들릴때의 상기 무게중심의 측방향 변동량보다 크며 ; 상기 지지다리(28)는, 이들의 아래끝단이, 상기 앞, 뒤 주행로울러(8)사이에 위치하고 그들의 회전축에 평행하며 상기 채널들의 간격과 근본적으로 동일한 길이를 가지는 차축에 의하여 상기 캐리어(6a), (6b), (6c), (6d)상에 설치되고, 상기 차축은, 상기 지지다리(28)들이 상기 캐리어(6a), (6b), (6c), (6d)상에서 앞, 뒤로 피버트 동작은 가능하지만 옆으로는 동작하지 않도록 하며, 각 캐리어(6a), (6b), (6c), (6d)는, 그의 앞, 뒤에 상기 안내홈(11)내에 수납되는 수직축 안내 로울러(9)를 포함하며, 상기 안내홈(11)의 폭은 상기 안내 로울러(9)들의 직경보다 약간크게 되어, 상기 주행로울러(8)가 상기 채널재의 채널내에 유지되도록 상기 캐리어(6a), (6b), (6c), (6d)들을 안내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장용 플로어 컨베이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6a), (6b), (6c), (6d)들의 각각은 속이빈 상자형상 프레임(7)을 포함하며, 각 캐리어(6a), (6b), (6c), (6d)와 연결된 차축의 축관(26)은, 그의 대향하는 끝단들이 상기 캐리어프레임(7)내에서 피버트 운동할 수 있도록 저어널 맞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장용 플로어컨베이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6a), (6b), (6c), (6d)상에 상기 다리(28)들의 아래끝단을 장착하는 차축과 수직인축 주위로의 피버트 운동을 위하여, 상기 다리(28)에 상기 자동차의 차체를 재치하는 상기 가대(13)에, 상기 지지다리(28)들의 아래끝단들이 피버트식으로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장용 플로러 컨베이어.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다리(28)들은, 상기 차폐판을 수용하기 위하여 채택되는 굴곡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장용 플로어 컨베이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판(48)는, 상기 안내판(10)중의 하나와 상기 차폐판(48)사이에 좁은 통로(47)를 마련하기 위하여 상기 안내홈(11)위에 위치하며, 상기 굴곡부, 상기 안내판(10)위에서 상기 좁은 통로(47)의 내를 주행하도록 채택된 근본적으로 수평한 부분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장용 플로어 컨베이어.
  6. 제5항에 있어서, 차폐덮개(46)가 캐리어 주행 트랙의 일측에 고정된 1장의 차폐판(48)으로 되며, 상기 차폐판(48)의 앞끝단 수직부분과 바닥면과의 사이에 C자형상 지지다리(28)의 하부 수평부분이 통하는 작은 폭의 통로(47)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장용 플로어 컨베이어.
KR1019850700300A 1984-12-27 1984-12-27 도장용 플로오 컨베이어 KR89000260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1984/000627 WO1986004029A1 (en) 1984-12-27 1984-12-27 Floor conveyor for conveying automotive bod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700348A KR860700348A (ko) 1986-10-06
KR890002603B1 true KR890002603B1 (ko) 1989-07-20

Family

ID=138185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50700300A KR890002603B1 (ko) 1984-12-27 1984-12-27 도장용 플로오 컨베이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4691640A (ko)
KR (1) KR890002603B1 (ko)
CA (1) CA1263055A (ko)
GB (1) GB2182011B (ko)
WO (1) WO198600402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47656A (ko) * 1998-11-16 2000-07-25 후쿠나가 다카시 긴물체 반송용 로울러 컨베이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11685A (en) * 1986-10-07 1989-03-14 Tsubakimoto Chain Co. Carriage-type conveyor
DE3635879C1 (de) * 1986-10-22 1988-02-11 Uwe Kochanneck Arbeitsplatz
CA2027319C (en) * 1989-10-13 1998-08-18 Shigeyoshi Fujita Self-propelled platform car type conveying system
DE3940231A1 (de) * 1989-12-05 1991-06-06 Duerr Gmbh & Co Foerdereinrichtung
FR2659301A1 (fr) * 1990-03-08 1991-09-13 Syprim Air Ind Environnement Installation de transport comportant une voie de roulement constituee par des rouleaux ou des galets motorises.
US5136971A (en) * 1990-12-27 1992-08-11 Metokote Corporation Apparatus for transporting articles
US5303655A (en) * 1992-09-28 1994-04-19 Mid-West Conveyor Company, Inc. Automatic stabilizer unit for free trolley having vertically movable wheels resonsive to trackside rails
DE4329384C2 (de) * 1993-09-01 2001-08-09 Duerr Systems Gmbh Fördervorrichtung
US5579695A (en) * 1993-12-10 1996-12-03 Flexible Assembly Equipment Limited Assembly line system having puck guided pallets and track engaging brake members
DE19725048A1 (de) * 1997-06-13 1998-12-17 Audi Ag Anlage zur Oberflächenbehandlung von Gegenständen
DE10121053A1 (de) * 2001-04-28 2002-10-31 Duerr Systems Gmbh Fördervorrichtung zum Fördern von Werkstücken durch einen Behandlungsbereich zur Oberflächenbehandlung der Werkstücke
JP3879818B2 (ja) * 2001-09-06 2007-02-14 株式会社ダイフク 搬送装置
DE102007017511C5 (de) * 2007-04-13 2020-01-23 Eisenmann Se Antriebseinheit, Antriebssystem und Förderanlage für Skids zum Tragen eines Gegenstandes
JP5552393B2 (ja) * 2010-08-05 2014-07-16 株式会社ダイフク 搬送用走行体利用の搬送装置
DE102015006098A1 (de) 2015-05-09 2016-11-10 Eisenmann Se Temperiervorrichtung zum Temperieren von Werkstücken
CN106081577B (zh) * 2016-08-17 2018-03-06 张金丹 一种齿轮送料装置
US20190217320A1 (en) * 2018-01-15 2019-07-18 Eisenmann Se Treatment installation and method for treating workpieces
DE102018109934A1 (de) * 2018-04-25 2019-10-31 Eisenmann Se Behandlungsanlage zum Behandeln von Werkstücken
DE102019111267A1 (de) * 2019-05-02 2020-11-05 Eisenmann Se Behandlungsanlage zum Behandeln von Werkstücken
CN116923987B (zh) * 2023-09-05 2024-02-23 辽宁巨尚新材料有限公司 一种pvc板生产用防偏移输送设备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6357A (en) * 1895-03-26 The korris peters co
CA684284A (en) * 1964-04-14 Hayek Hermann Apparatus for coating objects in a flow-coater
US3066616A (en) * 1961-03-31 1962-12-04 Allen A Weisberg Remote home mail and newspaper delivery system
DE1291178B (de) * 1965-09-24 1969-03-20 Messer Griesheim Gmbh Fuehrungsabdeckung fuer Werkzeugmaschinen, insbesondere Brennschneidmaschinen
US3859925A (en) * 1970-10-01 1975-01-14 Billy J Hartz Transportation system
US3808978A (en) * 1972-04-26 1974-05-07 Wean United Inc Coil car track system
JPS5540145A (en) * 1978-09-11 1980-03-21 Daifuku Co Ltd Floor conveyor
SU846426A1 (ru) * 1979-07-09 1981-07-15 Проектно-Конструкторский Институт Кон-Вейеростроения Устройство дл гашени колебаний груза
SU921993A2 (ru) * 1979-12-17 1982-04-23 Проектно-Конструкторский Институт Конвейеростроения Подвеска грузонесущего конвейера
US4408540A (en) * 1981-05-13 1983-10-11 Jervis B. Webb Company Method and conveyor system for processing articles through successive operations
DE3148177C2 (de) * 1981-12-05 1983-12-29 Volker Ing.(grad.) 7085 Bopfingen Burkhardt Tragkettenförderer mit Staurollenförderketten
US4464998A (en) * 1982-03-25 1984-08-14 Nakanishi Metal Works Co., Ltd. Hanger device for trolley conveyor
JPS58218465A (ja) * 1982-06-14 1983-12-19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プツシヤコンベヤ装置
JPS5929557A (ja) * 1982-08-10 1984-02-16 中西金属工業株式会社 床形複式トロリ・コンベヤにおける合流装置
JPS5942754A (ja) * 1982-08-31 1984-03-09 Shimadzu Corp 研削加工装置
JPS5942754U (ja) * 1982-09-13 1984-03-21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プツシヤコンベヤのキヤリヤ連結構造
JPS5972164A (ja) * 1982-10-18 1984-04-24 Toshiba Corp 固体撮像装置
JPS5972164U (ja) * 1982-11-09 1984-05-16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プツシヤコンベヤの連結キヤリ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47656A (ko) * 1998-11-16 2000-07-25 후쿠나가 다카시 긴물체 반송용 로울러 컨베이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8527251D0 (en) 1985-12-11
GB2182011A (en) 1987-05-07
GB2182011B (en) 1989-04-05
CA1263055A (en) 1989-11-21
WO1986004029A1 (en) 1986-07-17
KR860700348A (ko) 1986-10-06
US4691640A (en) 1987-09-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90002603B1 (ko) 도장용 플로오 컨베이어
KR920008012B1 (ko) 대차식 콘베이어 조립체
US7530317B1 (en) Car wash conveyor
KR0177540B1 (ko) 반송 설비
US5188035A (en) Horizontally flexible conveyor
US5303655A (en) Automatic stabilizer unit for free trolley having vertically movable wheels resonsive to trackside rails
KR0182285B1 (ko) 캔틸레버 캐리어들을 지닌 콘베이어 시스템
JP2005280582A (ja) 台車搬送装置
JPH05317762A (ja) 塗装用ロボット装置
US4565483A (en) Modular conveyor car and couplings therefor
CN220299502U (zh) 一种自清洁的输送设备
GB2088807A (en) Attitude of scrapers in single chain scraper conveyor
JPS58157612A (ja) トロリ−コンベヤ
JPH0412859Y2 (ko)
US1170332A (en) Truck-conveyer.
JPH0321322Y2 (ko)
JPH02123011A (ja) 吊下げ搬送装置
JPH0321323Y2 (ko)
SU1234299A1 (ru) Горизонтально-замкнутый тележечный конвейер
JPS6346412Y2 (ko)
JP2000177581A (ja) 台車搬送用コンベヤチェーン
JPH0730565Y2 (ja) スラットコンベヤ
KR200143818Y1 (ko) 범퍼 적재 랙(rack)의 운반장치
JP2000016285A (ja) 台車搬送用コンベヤチェーン
JP4090149B2 (ja) 搬送体牽引用コンベ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50714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