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2522B1 - 도어체크 - Google Patents

도어체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2522B1
KR890002522B1 KR1019830001778A KR830001778A KR890002522B1 KR 890002522 B1 KR890002522 B1 KR 890002522B1 KR 1019830001778 A KR1019830001778 A KR 1019830001778A KR 830001778 A KR830001778 A KR 830001778A KR 890002522 B1 KR890002522 B1 KR 8900025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door
leg
roller
free e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300017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40006692A (ko
Inventor
스탠리 모리스 바리
Original Assignee
더 블록스위치 록 앤드 스탬핑 컴페니 리미티드
레슬리 랄프 쇼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더 블록스위치 록 앤드 스탬핑 컴페니 리미티드, 레슬리 랄프 쇼우 filed Critical 더 블록스위치 록 앤드 스탬핑 컴페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8400066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66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25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25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7/00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 E05C17/02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 E05C17/04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with a movable bar or equivalent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 E05C17/12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with a movable bar or equivalent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consisting of a single rod
    • E05C17/20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with a movable bar or equivalent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consisting of a single rod sliding through a guid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7/00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 E05C17/02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 E05C17/04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with a movable bar or equivalent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 E05C17/12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with a movable bar or equivalent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consisting of a single rod
    • E05C17/20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with a movable bar or equivalent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consisting of a single rod sliding through a guide
    • E05C17/203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with a movable bar or equivalent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consisting of a single rod sliding through a guide concealed, e.g. for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nding Machines For Individual Products (AREA)
  • Devices For Checking Fares Or Tickets At Control Points (AREA)
  • Hinge Accessories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Closing And Opening Devices For Wings, And Checks For Wings (AREA)
  • Seal Device For Vehicle (AREA)
  • Hinges (AREA)
  • Holders For Apparel And Elements Relating To Apparel (AREA)
  • Rollers For Roller Conveyors For Transfer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도어체크
제 1 도는 도오(door)의 위치가 폐쇄된 상태에서 차량에 장설된 제 1 도어 체크(door check)의 평면도.
제 2 도는 제 1 도에 도시한 도어체크를 화살표 A방향에서 본 측면도.
제 3 도는 제 1 도의 화살표 B방향에서 본 단면도.
제 4 도는 제 1 도의 선 4-4에 따른 부분 단면도.
제 5 도는 이완된 상태의 스프링 바아(sping bar)의 평면도.
제 6 도는 제 5 도의 화살표 C방향에서 본 이완된 스프링 바아의 도면.
제 7 도는 제 2 실시예에 따른 도어체크의 평면도.
제 8 도 및 제 9 도는 제 7 도에 도시한 도어체크를 각각 화살표 D 및 E방향에서 본 도면.
제10도는 제 2 실시예에 따른 도어 체크를 변형시킨 제 9 도와 유사한 도면.
제11도는 변형된 스프링 바아를 나타내는 2개의 도면.
제12도는 도어가 완전히 개방된 상태일때, 우측문에 장착된 본 발명의 도어체크를 나타내는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브래킷 2, 3, 4 : 수평 브래킷벽
5, 6 : 수직 브래킷 벽 7 : 나사연결공
8 : 수직벽 9 : 도어체크 아암
10 : 회전공 12, 13 : 로울러
14 : 스프링 바아 15, 16 : 바아의 다리부분
17 : 만곡부 19 : 다리부분의 자유단
20 : 요홈 21 : 슬로트
23 : U-형 부분 24 : 직각 만곡부
본 발명은 도오체크에 관한 것이며, 특히, 이에 국한시키는 것을 아니나, 차량의 도오에 사용함을 주 목적으로 하는 도어체크에 관한 것이다. 차량 제조업체 및 정부기관은 도어체크가 손상없이 유지되어 사용목적에 적합한지의 여부에 대한 강도 시험을 강화시켜 왔다. 예컨데, 널리 행해지는 시험 중의 하나는 주유하지 않은 장치를 주기적으로 사막의 흙으로 오염시켜 100,000회의 작동을 수행하는 것이다. 이제까지 수많은 도오체크가 제안되어 왔으나, 그 대부분은 이와같은 어려운 시험에 견디지 못하거나, 또는 그 시험에 합격하기 위해 최소한의 수정을 가하느데 막대한 비용이 요구되었다. 따라서, 도어체크의 설계자가 당면하는 가장 큰 문제점은 제조비용이 염가이면서도 만족스럽게 사용할 수 있는 도어체크를 제작하는 것이다. 영국특허 제1,247,755호에 비교적 염가인 도어체크 장치가 제안되어 있는데, 이것은 브래킷(bracket)내에 장착된 1조의 로울러 사이로 곡선으로된 도오체크 아암(arm)을 연장시키고, 로울러 중의 하나를 하나의 토오숀 바아(torsion bar)상에 설치하여 다른 로울러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압압시키는 것이다. 영국 특허 제1,579,747호는 이와는 다른 장치에 관하여 기재하고 있다. 영국특허 제1,449,671호에서는 토오숀 바아 대신에 코일 바아(coil bar)를 사용하며, 가동 로울러는 바아의 자유단 상에 장착된다. 그러나, 전술한 장치들에서는, 가동 로울러의 축이 사용시에 고정 로울러의 축에 대해 경사지게 되고, 또한 장시간 사용중에, 특히 평원통형 로울러를 사용할 경우에, 체크 아암의 단부가 로울러 내로 파고드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로울러의 경사에 의해 체크아암이 휘게되어 다른 부분들을 과도하게 마모시키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로울러들의 상대 경사도를 감소시키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도오체크는 도어 또는 도어 기둥에 피봇트식으로 고정시키기에 적합한 형태로 되어진 체크아암, 도어 또는 도어기둥에 각각 고정시키기에 적합한 적합한 브래킷, 도어체크 아암이 그 사이로 연장되도록 브래킷의 상부 또는 내부에 장착되는 제 1 및 제 2 로울러, 및 브래킷으로 반송되고 하나의 다리로 되어지는 스프링 바아로 구성되는데, 여기에서 스프링 바아의 상기 다리의 자유단은 브래킷에 대해 구속되고, 상기 다리의 타단부는 바아의 만곡부의 일측단부와 연속으로 되어 있고, 바아의 만곡부의 다른쪽 단부는 브래킷에 대해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구속되며, 제 1 로울러는 상기 자유단으로부터 격설되게 다리부분에 장착되며, 그 구조는 사용시에 다리부분이 편기되었을때 상기 다리부분이 제 2 로울러의 축에 대해 평행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다리의 자유단이 브래킷애 대해 제한되기 때문에, 다리의 자유단은 경사지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로울러의 측방향 이동에 부합되도록 하기위해, 제 1 로울러 및 상기 제한된 자유단사이에 충분한 길이의 다리가 제공되도록 다리의 길이를 충분히 길게 하여야 한다. 다리의 자유단은 브래킷에 고정되는 상태로서 구속되나, 자유단을 브랫킷 위에서 피봇트식으로 지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피봇트 접점을 마련하고 자유단을 위치시키기 위하여 다리의 자유단에는 브래킷과 계합되는 일 측면에서 요홈을 마련하는 것이 좋다. 바아의 굴곡부는 토오숀 바아로서 작용하도록 배치시키기거나, 단지 굽힘 응력만을 받도록 배치시키거나, 또는 비틀림 응력 및 굽힘응력의 혼합응력을 받도록 배치시킬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종전에 제안된 장치에서 하나의 아암을 연장시키고, 브래킷에 대해 측방향 이동을 하지 못하도록 상기 아암의 자유단을 제한시키는데, 이러한 원리는 굴곡바아 및 토오숀 바아장치에 모두 적용시킬 수 있다.
제 2 로울러는 바아의 굴록부의 타단부에 장착하는 것이 적합하다.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타단부는 브래킷에 대해 측방향 이동을 하지 못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도어체크의 이동시에는 단지 제 1 로울러만이 브래킷에 대한 위치가 변경된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는 양측 로울러 모두가 브래킷에 대해 이동할 수 있고, 상기 굴곡부의 타단부는 제 2 로울러가 장착되어지는 바아의 제 2 다리부분과 연속으로 되어 있으며, 상기 다리의 자유단은 브래킷에 대해 고정된다. 브래킷은 판상 재료를 각이진 S자형으로 굴곡시켜 성형하며, 로울러들은 S자형 브래킷의 2개의 수평부분사이에서 고정되며, 각각의 다리의 자유단은 S자형 브래킷의 제 3의 수평부분상에서 피봇트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의 여러가지 도어체크를 첨부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를 참조로 하여 상술하겠다.
제 1 도 및 제 3 도에 의하면, 도시된 제 1 예의 도어체크는 장방형 판상재료를 약 다섯개의 횡선에 따라 굴곡시킴으로써 제 2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실질적으로 각이진 S자형으로 형성되어진 브래킷(1)로 구성되는데, 이 S자형 브래킷은 평행하게 수평 연장된 3개의 벽(2), (3) 및 (4)와, 도어 또는 도어 기둥에 나사 결합공(7)을 통해 연결되는 수직벽(5) 및 (6)으로 구성된다. 브래킷의 벽(2) 및 (3)은 다른 수직벽(8)에 연결되는데, 수직벽(8)에는 (11)의 위치에서 구멍이 천공되어 있어, 도어 기둥 또는 도어에 부착되도록 피봇트 구멍(10)이 마련된 소정형태의 수평 체크 아암(9)를 수납하게 된다.
제 1 도 및 제 12 도에서, 브래킷(1)은 차량 도어에 장착되고 피봇트 구멍(10)은 도어지주에 장착된 다른 브래킷(10')에 고정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하였다. 도어의 경첩[힌지(hinge)]의 축은 제 1 도에 X로 표시하였다. 제 1 및 제 2 실린더형 로울러(12) 및 (13)은 각각 브래킷벽(2) 및 (3)사이에서 스프링 바아(14)상에 수직으로 장착된다. 스프링 바아는 평행한 수직다리(15) 및 (16)과, 이 다리(15) 및 (16)을 상호 연결시키는 굴곡부(17)로 구성된다. 다리(15)의 길이는 다른 다리(16)의 길이보다 더 길게 되어 있으며, 하부벽(4)에 마련된 구멍(18)을 통과하여 연장되는데, 다리(16)은 구멍(18)과 피봇트 접촉되어 측방향 이동을 할 수 없게 된다.
다리(15)의 자유단(19)를 하부벽(4)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고정하기 위해, 단부(19)에는 하부(4)의 연부를 수납하는 다리(16)의 반대방향의 측면에 요홈(20)을 형성하는데, 이 요홈은 따라서 다리(15)의 저부가 피봇트 이동을 하도록 하는 접점 역할을 하게된다. 요홈(20)은 바아를 국부적으로 평면 절삭함으로써 마련한다. 다리(15)는 벽(2) 및 (3)내의 정렬된 개방단부 슬로트(21) (제 1 도 참조)을 통과하여 연장되는데, 상기 슬로트는 다리(16)으로부터 반대방향으로 연장되어 제 1 로울러(12)가 브래킷(1)에 대해 측면 방향 이동을 할 수 있도록 한다. 짧은다리(16)은 벽(2) 및 (3)내에 정렬된 구멍(22)를 통하여 연장되므로, 다리(16) 및 제 2 로울러(13)은 브래킷(1)에 대하여 측방향으로 이동할 수 없도록 고정된다.
바아(14)의 굴곡부(17)은 체크 아암(9)의 이동방향이 되는 벽명(5) 및 (6)에 대해 직각인 방향으로 연장된 수평 U-형 부분(23)과 이 U-형 부분의 분지(limb)들을 각각 다리(15) 및 (16)의 상단부들에 연결시켜주는 1조의 직각 굴곡부(24)로 구성된다(제 2 도). U-형 부분(23)의 분지들은 이들의 자유단 방향으로 약간 역전되어 있다.
체크 아암(9)는 사용시에 도어의 2가지의 개방 상태에서의 고정된 위치를 제공할 수 있도록 통상적인 형태로 되어 있다. 로울러(12) 및 (13)사이에서 상기 체크 아암이 이동하게 되면, 바아(14)에 의해 발휘되는 탄발력을 극복하고 제 1 로울러(12)는 로울러(13)으로부터 격설되도록 이동된다. 로울러(12)가 로울러(13)으로부터 이동되는 거리는 U-형 부분(23)을 개방시키게 되는 굴곡부(24)의 확개와 또한 자유단(19)를 중심으로 하는 다리(15)의 피봇트 이동에 의해 결정된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바아(14)가 비틀림 응력과 굽힘 응력을 모두 받게 된다. 로울러(12)의 이동은 U-형 부분(23)의 분지에 굽힘 및 비틀림을 발생시킨다. 제 5 도 및 제 6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바아(14)는 브래킷(1)에 조립되기 전의 응력을 받지 않은 상태에서는, 각각의 다리(15) 및 (16)이 각각 상호 반대방향으로 확개되어 U-형 부분(23)의 평면에 대해 77°의 각으로 연장되므로, 조립된 상태의 바아에는 실질적으로 비틀림 응력이 존재하게 되나, 응력은 바아단부(19)와 하부벽(4) 사이의 계합에 의해 지지된다.
다리(15)의 피봇트식 이동상태는 제 4 도에 도시하였는데, 다리(15)의 자유단(19)의 위치를 조절하면, 수직면에 대한 제 1 로울러(12)의 축의 경사도를 조절할 수 있다. 로울러(12)의 경사도가 약간 변할 수도 있으나, 이는 종래의 구조에 비해서는 일반적으로 대단히 적은 변화가 된다. 체크 아암의 소정의 윤곽이 형성된 면은 고정된 로울러(13)과 계합시키는 것이 적합하지만 그 반대 방식도 가능하다. 이러한 구조는 바아(14) 및 슬로트(21) 사이의 계합에 의해 발생하는 마모 현상을 감소시켜 준다.
제 7 도 내지 제 9 도는 제 2 예의 도어체크를 도시한 것으로서, 제 1 도의 도어체크의 요소에 대응하는 요소는 동일한 부호를 부기하였다.
본 도어 체크는 제 1 도의 도어체크와는 단지 바아(14)의 굴곡부(17)의 형태만이 다르며, 그 차이점은 직각 굴곡부(24)를 생략하여 U-형 부분(23)을 수직으로 연장시킨 것이다. 이와같은 구조를 사용함으로써, 이 도어체크는 공간이 제한된 환경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제 7 도 내지 제 9 도에 도시한 도어체크의 작동은 제 1 도에 도시한 도어체크와 동일하나, 단지 U-형 부분(23)의 분지부분이 비틀림 응력을 받지 않는 점만이 다르다.
제10도는 제 1 도의 구조와 더욱 다른 구조를 도시하였는데, 여기에서 다리(15) 및 (16)은 동일한 길이로 성형하며, 이들 다리의 자유단(19), (19')는 브래킷의 하부벽(4)와 피복트 계합되도록 한다. 로울러(12) 및 (13)은 공히 브래킷에 대해 측방향 이동이 가능하며, 로울러(13)의 측방향 이동에 부합되도록 제 1 도의 슬로트(21)과 유사한 슬로트를 다리(16)에도 마련한다. 따라서, 이러한 구조에 있어서, 바아(14) 및 로울러(12)와 (13)의 구조는 전체적으로 대칭형이 된다. 바아의 굴곡부(17)의 형태는 제 9 도의 바아 굴곡부의 형태와 동일하다.
제11도에는 제10도에 도시한 도어체크와 유사한 도어체크에 사용될 수 있는 변형된 바아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이 경우에, 굴곡부(17)은 코일 형태로 되어 있다. 체크 아암의 구성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것이 아니며, 다양한 형태의 체크 아암을 대신 사용할 수도 있다. 예컨대, 로울러가 아암의 좁은 연부보다 넓은 면과 계합되는 경우에는 적층식 체크 아암을 사용할 수도 있다.

Claims (7)

  1. 도어 또는 도어기둥에 피봇트식으로 고정되는 소정형태의 윤곽을 갖는 체크 아암, 도어 또는 도어 기둥에 각각 고정되는 브래킷, 체크아암이 그 사이로 연장되도록 브래킷의 상부 또는 그 내부에 장착되는 제1 및 제 2 로울러, 브래킷으로 반송되고 로울러를 각각 상호 접근되는 방향으로 압압시키는 역할을 하는 스프링 바아로 구성되는 도어 체크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바아(14)의 다리(15)의 자유단(19)가 브래킷(1)에 대해 구속되고, 상기 다리의 타단부는 바아의 굴곡부(17)의 일측 단부(24)와 연속으로 되어 있고, 바아의 굴곡부의 다른쪽 단부(24)는 브래킷에 대해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구성되고, 제 1 로울러(12)는 상기 자유단(19)로부터 격설되는 다리 부분상에 장착되되, 사용시 다리부(15)가 이동되었을때 상기 다리가 제 2 로울러의 축에 대해 평행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체크.
  2. 제 1 항에 있어서, 다리(15)의 자유단이 브래킷상에서 피봇트식으로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체크.
  3. 제 2 항에 있어서, 다리의 자유단(19)의 일측면에 요홈(20)을 마련하되, 이 요홈을 브래킷에 계합시켜 피봇트 접점을 제공하도록하고 또한 자유단을 위치시키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체크.
  4. 제 1 항, 2항 또는 3항에 있어서, 제 2 로울러(13)을 바아의 굴곡부(17)의 상기 다른쪽 단부(16)상에 장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체크.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쪽 단부가 브래킷(1)에 대해 측방향 이동을 할 수 없도록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체크.
  6. 제 1 항, 2항 또는 3항에 있어서, 양로울러(12,13)이 브래킷에 대해 이동할 수 있고, 굴곡부의 상기 다른쪽 단부가 제 2 로울러(13)이 그 위에 장착된 바아의 제 2 다리(16)과 연속으로 되어 있고, 다리(16)의 자유단은 브래킷에 대해 구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체크.
  7. 제 1 항, 2항 또는 3항에 있어서, 판재재료를 각이 형성된 S자형으로 굴곡시켜 브래킷을 형성하고, 로울러(12,13)을 S자형 부분의 2개 수평 벽(2,3)사이에서 고정시키고, 다리(16)의 자유단을 S자형 부분의 제3수평벽(4)상에 피봇트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체크.
KR1019830001778A 1982-11-10 1983-04-27 도어체크 KR89000252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8232156 1982-11-10
GB8232156 1982-11-10
GB32516 1982-11-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6692A KR840006692A (ko) 1984-12-01
KR890002522B1 true KR890002522B1 (ko) 1989-07-13

Family

ID=105341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30001778A KR890002522B1 (ko) 1982-11-10 1983-04-27 도어체크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0109136B1 (ko)
JP (1) JPS5988579A (ko)
KR (1) KR890002522B1 (ko)
AT (1) ATE24946T1 (ko)
DE (1) DE3369171D1 (ko)
GB (1) GB213029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87953B1 (en) 2000-10-13 2004-02-10 Ventra Group Inc. Torsion spring door check device
WO2003042477A1 (en) * 2001-11-15 2003-05-22 Ventra Group Inc. Torsion spring door check device
US20130055529A1 (en) * 2011-09-06 2013-03-07 Rudolf Gruber Torsion Bar Door Check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24143A (en) * 1951-04-18 1955-11-22 Ford Motor Co Door checking and holding device
GB739973A (en) * 1953-04-21 1955-11-02 Ford Motor Co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motor vehicle door checking and holding device
GB786455A (en) * 1954-10-25 1957-11-20 Ford Motor Co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door checking and holding devices for motor vehicles
GB795867A (en) * 1955-03-09 1958-06-04 Standard Pressed Steel Co Check straps for vehicle doors
GB840603A (en) * 1957-07-19 1960-07-06 Happich Gmbh Gebr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door checks
GB1028577A (en) * 1963-05-24 1966-05-04 Ford Motor Co Motor vehicle door
GB1247755A (en) * 1969-06-28 1971-09-29 Bloxvich Lock Stamping Improvements in door checks
GB1449671A (en) * 1973-02-13 1976-09-15 Ihw Eng Ltd Door check unit
GB1448680A (en) * 1973-02-24 1976-09-08 Ihw Eng Ltd Door-check unit
GB1426823A (en) * 1973-05-25 1976-03-03 Bloxvich Lock Stamping Door checks
DE2620916A1 (de) * 1976-05-12 1977-11-24 Scharwaechter Kg Tuerfeststeller, insbesondere fuer kraftwagentueren
DE2727608A1 (de) * 1977-06-20 1979-01-04 Scharwaechter Gmbh Co Kg Tuerfeststeller fuer fahrzeugtuer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109136A1 (en) 1984-05-23
JPS5988579A (ja) 1984-05-22
GB8329914D0 (en) 1983-12-14
ATE24946T1 (de) 1987-01-15
GB2130295A (en) 1984-05-31
EP0109136B1 (en) 1987-01-14
GB2130295B (en) 1986-09-10
DE3369171D1 (en) 1987-02-19
JPH0257638B2 (ko) 1990-12-05
KR840006692A (ko) 1984-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20001057A (ko) 케이스멘트힌지
RU2008115509A (ru) Оконная или дверная фурнитура
KR890002523B1 (ko) 도어체크
KR890002522B1 (ko) 도어체크
KR890012286A (ko) 대물렌즈 구동장치
WO2006133753A1 (de) Halterung für einen massstab
KR920018515A (ko) 액정 표시기 지지 브래킷
US4574425A (en) Flexible hinge assembly having a substrate supporting portion
KR900005521A (ko) 열형 과부하 계전기용 반전스프링 및 그 제조방법
KR880011906A (ko) 레티클 프레임 조립장치
KR870010300A (ko) 운동전달 원격조정 어셈블리
KR840007214A (ko) 차량용 서스펜젼 시이트
KR970005461B1 (ko) 판스프링 시스템 및 이를 구비한 전기 스위치
KR850001871A (ko) 차량용 미끄름 지붕
GB1536228A (en) Hinge
KR890012745A (ko) 앵글연결부품을 조립하기 위한 장치
US4697297A (en) Windshield wiper
JPH06104034A (ja) ハット型レール用の導体接続部
GB1597020A (en) Hinge device
KR200393204Y1 (ko) 휴대용 단말기의 슬라이딩 힌지 모듈
KR880002702A (ko) 스트랲끈의 클램핑수단
DE4419815C1 (de) Kontaktfeder
JPS6233955A (ja) 目地カバ−装置
JP2503817B2 (ja) 平行定規装置
KR840003344A (ko) 파이프 지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90703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