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0703B1 - 자기 기록재료용 침형 α - FeOOH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자기 기록재료용 침형 α - FeOOH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0703B1
KR890000703B1 KR8205333A KR820005333A KR890000703B1 KR 890000703 B1 KR890000703 B1 KR 890000703B1 KR 8205333 A KR8205333 A KR 8205333A KR 820005333 A KR820005333 A KR 820005333A KR 890000703 B1 KR890000703 B1 KR 8900007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ooh
solution
particle size
temperature
size distribu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82053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40002327A (ko
Inventor
가즈오 나까다
쓰네오 이시까와
다로 아마모또
도시히꼬 가와무라
Original Assignee
이시하라 겐조
이시하라상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시하라 겐조, 이시하라상교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이시하라 겐조
Publication of KR8400023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23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07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07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GCOMPOUNDS CONTAINING METAL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1D OR C01F
    • C01G49/00Compounds of iron
    • C01G49/02Oxides; Hydrox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GCOMPOUNDS CONTAINING METAL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1D OR C01F
    • C01G49/00Compounds of iron
    • C01G49/02Oxides; Hydroxides
    • C01G49/06Ferric oxide [Fe2O3]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5/00Recording by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Reproducing by magnetic mean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5/62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 G11B5/68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omprising one or more layers of magnetisable material homogeneously mixed with a bonding agent
    • G11B5/70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omprising one or more layers of magnetisable material homogeneously mixed with a bonding agent on a base layer
    • G11B5/706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omprising one or more layers of magnetisable material homogeneously mixed with a bonding agent on a base layer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f the magnetic material
    • G11B5/70626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omprising one or more layers of magnetisable material homogeneously mixed with a bonding agent on a base layer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f the magnetic material containing non-metallic substances
    • G11B5/70642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omprising one or more layers of magnetisable material homogeneously mixed with a bonding agent on a base layer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f the magnetic material containing non-metallic substances iron oxides
    • G11B5/70652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omprising one or more layers of magnetisable material homogeneously mixed with a bonding agent on a base layer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f the magnetic material containing non-metallic substances iron oxides gamma - Fe2 O3
    • G11B5/70663Preparation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using stabilising ag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00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01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 H01F1/03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 H01F1/032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of hard-magnetic materials
    • H01F1/10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of hard-magnetic materials non-metallic substances, e.g. ferrites, e.g. [(Ba,Sr)O(Fe2O3)6] ferrites with hexagonal structure
    • H01F1/11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of hard-magnetic materials non-metallic substances, e.g. ferrites, e.g. [(Ba,Sr)O(Fe2O3)6] ferrites with hexagonal structure in the form of partic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4/00Particle morphology
    • C01P2004/01Particle morphology depicted by an image
    • C01P2004/03Particle morphology depicted by an image obtained by SEM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4/00Particle morphology
    • C01P2004/10Particle morphology extending in one dimension, e.g. needle-like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4/00Particle morphology
    • C01P2004/51Particles with a specific particle size distribu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4/00Particle morphology
    • C01P2004/54Particles characterised by their aspect ratio, i.e. the ratio of sizes in the longest to the shortest dimens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6/00Physical properties of inorganic compounds
    • C01P2006/12Surface area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6/00Physical properties of inorganic compounds
    • C01P2006/42Magnetic propert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Hard Magnetic Materials (AREA)
  • Compounds Of Iron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자기 기록재료용 침형 α-FeOOH의 제조방법
제1~3도는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 1, 3 및 5에서 수득한 α-FeOOH 입자의 전자현미경사진(30,000배확대)이다.
본 발명은 큰 비표면적, 감도가 좋은 입도분포 및 특히 서잡음특성, 우수한 보자력성 및 기타 자성을 갖는 자기기록 매질로서 적절히 사용되는 강자성 산화철을 얻기 위한 전구물질로서 작용하는 침형 α-FeOOH와 같은 향상된 침성(acicularity)을 갖는 미세한 침형의 α-FeOOH 입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입자크기 감소와 생산품의 질간의 상관관계와 관련하여, S-N비(S/N)의 계량이 입자크기 감소(오디오 공학회지, 20권, pp.98-99, 1972 참조)에 의하여 자기 매질내에 입자의 수를 증가시킴으로써 성취될 수 있으며 S-N비(S/N)의 계량이 또한 각계의 입자의 부피감소(참조, IEEE Transaction on Magnetics. VoL. Mag. 17, No. 6, pp 3032-3034(1981))에 의하여 실현될 수 있다는 사실이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입도 감소는 (1) 주축길이의 감소로 인한 침성(축비)의 저하, (2) 가열처리 단계에서 입자의 내열성의 저하, 및 (3) 산업적인 실시에서 수율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성장율들이 향상되는 경우 분지를 가지며 증가된 새로이 형성돈 핵의 출현과 같은 여러 가지 문제점에 의하여 야기되므로, 이들 문제점을 극복하는 계랑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침형의 강자성 산화철을 얻기 위한 전구체로서 사용될 침형 α-FeOOH의 제 1 철염으로부터의 제조를 위하여, 대체로 다음의 두가지 방법이 공지되어 있는데 ; α-FeOOH가 산성부분에서 침전에 의하여 생산되는 산법 및 α-FeOOH가 알칼리성 부분에서 침전되는 알칼리법 등이다. 산법(acidic method)은, 출발물질인 제 1 철염에 포함된 불순물이 반응도중 함께 침전되어 방해받기 때문에 전자가 출발물질에 있어서 덜 제한을 받으며 전자는 알칼리가 덜 소비되기 때문에 더 경계적인 점에서 알칼리법 보다 유리하나, 한편으로 전자는 생산된 α-FeOOH 입자가 축비(길이/너비 비)에 있어서 만족스럽지 못하며 입도 분포가 광범위 해지는 것과 같은 문제점을 포함한다. 축비는 특히 제조반응이 45℃ 이상의 온도에서 행해지는 경우 더 낮아지는 경향이 있다. α-FeOOH 입자의 축비의 개량은, 공지의 방법으로 상기 α-FeOOH로부터 수득된 강자성 산화철을 사용하여 자기피막이 생산되는 경우 입자의 기하 비등방성으로 인한 보자력성의 개선뿐 아니라 기타 자성의 개선을 가져오는데, 그러므로 이와 같은 축비 및 입도 분포의 개량이 특히 산법에서 강력히 요구된다. 지금까지 축비개량을 위한 많은 시도가 있어왔다. 예를 들어, 일본 특허공보 제49016/80호에는 α-FeOOH대신 첨성이 더 좋은 α-FeOOH의 사용이 제안되었으며 일본 특허공보 제232171/80호에는 α-FeOOH 핵 결정(seed crystals)의 형성도중에 아연이온을 가하도록 하고 있으며, 일본 공개특허 제127400/78호에는 고알칼리성 조건하 α-FeOOH의 제조가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이들 방법들은 축비를 개량할 수는 있으나 다른 성질의 개량이 만족스럽지 않으며 산업적인 생산에 사용시 해결되지 않은 문제점이 남아 있는 바와 같은 이유 때문에 충분히 개량되지 않은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일본 특허 제25546/64호에는 수산화 제일철의 침전 및 산화가 50℃ 이하의 온도에서 포스페이트 이온 존재하 수행되어 핵 결정이 형성된 다음 그의 총중량의 6~30배 더 큰 정도까지 상기 핵 결정의 입자를 자라게 하여 그루러기 모양의 단주(短柱)상의 α-FeOOH 입자를 얻기 위하여 상기 핵 결정의 현탁액 금속철 및 산화제를 가하는 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이 방법에서는 단지 오르토인산만이 인산으로서 사용되며 입자의 축비에는 어떠한 개선도 없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강자성 산화철 생산을 위한 출발물질로서 사용되는 α-Fe OOH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인데, 상기의 α-FeOOH는 입자의 고축비, 감도 좋은 입도분포, 최소량의 분지, 특히 소입경 및 우수한 자성을 갖는다.
핵 결정 형성시 인산의 첨가는 입도분포를 감도가 좋게 만들고 분지된 입자의 발생을 저지한다는 사실에 주의를 기울임으로써, 본 발명자들은 산법을 통하여 그들의 연구를 계속하여 다음을 발견하였다 : (1) 상기의 목적에 인산으로서 지금까지 사용된 적이 없는 피로인산은 기타 인화합물의 축비감소 효과와는 아주 반대의 효과를 갖는다. 기타 인 화합물을 사용하는 경우, 입자의 형 및 크기의 조절, 분지의 억제 및 입도 분포의 개량에는 원하는 효과를 주나, 축비는 해를 입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피로인산 또는 그의 염이 사용되는 경우, 입자의 형 및 크기의 조절, 분지의 억제 및 입도분포의 개량에 유효할 뿐만 아니라 축비에 있어서도 개량을 가져옴이 입증된다. (2) 핵 결정이 높은 온도 보다는 저온(30~40℃)에서 형성되는 경우 더 좋은 축비가 수득되나, 저온에서 장시간의 산화는 원하는 입도의 핵 결정을 얻기 위하여 필요하며, 이는 입도 분포를 넓게 하는 경향이 있다. 피로인산 또는 그의 염을 사용하던 비교적 고온(50~100℃)에서 고축비율 및 고감도의 입도 분포를 갖는 소기의 생성물을 얻을 수 있는데, 산업적으로 실시함에 있어, 그리고 단시간내에 조절하는 것이 용이하다. (3) 핵 결정의 성장단계와 관련하여, 고감도의 입도분포는 α-FeOOH의 핵형성을 억제하기 위하여 절대 필요하다. 이를 이룩하기 위하여, 저온조건(30~40℃)의 사용은 반드시 피해야 하며 비교적 고온(50~100℃)에서 결정을 성장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핵 결정의 발생 및 성장 단계간의 반응온도에 있어서 차이가 없는 것은 입도의 조절 및 산업적인 조작을 유리하게 한다. (4) 핵 결정 형성에 피로인산 또는 그의 염을 사용하는 경우, 핵 결정의 성장율이 그의 초기 총중량의 1.0~3.5배, 바람직하기로는 1.5~3.5배,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2~3배의 범위내일 경우 특히 고축비율 및 고감도의 입도분포를 갖는 생성물을 얻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핵 결정형성에서 입자조절제로서 피로인산또는 그의 염을 사용함으로써 그리고 바람직한 핵 결정 형성조건 및 성장 조건을 조합함으로써, 산업적으로 유리한방법으로, 고축비율, 고감도의 입도분포 및 최소량의 분지를 갖는 미립자를 생산할 수 있는 바, 본 발명은 이들 발견을 기초로 하여 이룩된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부분적으로 중화한 다음 인산 존재하 제 1 철염용액을 산화하여 α-FeOOH 입자를 형성하고, 임의로, 상기 핵 결정을 성장시키기 위하여 상기 용액을 알칼리로 중화하는 동안 상기 용액을 더 산화시킴으로써 자기 기록재료용 침형 α-FeOOH 입자를 제조하는 방법에서, 상기 인산으로서 피로인산 또는 그의 염이 사용되고 α-FeOOH 핵 결정의 형성이 50~100℃의 온도에서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제 1 철염용액으로서, 황산 제 1 철, 질산 제 1 철, 염화 제 1 철 등과 같은 무기산의 제 1 철염용액이 사용될 수 있으며, 본 방법의 산업적인 실시에서는 황산 제 1 철이 바람직하다.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토 금속의 수산화물, 산화물 또는 탄산염으로서,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산화나트륨, 탄산칼슘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들 중에서 본 방법의 산업적인 실시에서는 수산화나트륨 및 수산화칼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피로인산 또는 그의 염은 피로인산, 및 그의 알칼리 금속염류 또는 암모늄 염류로부터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산화제로서, 공기, 산소 또는 기타 산화제가 사용될 수 있으며 공기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방법에서, 우선 제 1 철염용액을 알칼리로 부분적으로 중화한 다음 용액중의 Fe 부분을 α-FeOOH의 핵 결정으로 변화시키기 위하여 산화시킨다. 이 방법의 도중에, 피로인산 또는 그의 염은 모액, 이 모액에 첨가될 알칼리, 또는 알칼리첨가 및 부분적인 산화후에 형성된 제 1 철염과 녹청의 혼합용액 중에 존재하도록 한다. 제 1 철염용액의 농도는 보통 30~100Fe g/1의 범위 이내이며, 이 용액에 첨가될 피로인산 또는 그의 염의 양은 생산된 α-FeOOH 핵 결정 침전물의 양(중량)을 기준으로 P에 대하여 계산하여 0.05~0.8중량%, 바람직하게는 0.1~0.6중량% 범위이내이다. P의 양이 상술한 범위 이하이면, P를 첨가함으로써 바람직한 효과가 나지 않으며 입도분포가 너무 넓어지거나 또는 필요한 축비가 수득될 수 없게 분지가 생성될 수 있다. P의 양이 상기의 범위를 초과하면, 생산된 핵 결정의 침형입자가 입자 크기가 너무 작게 되어 성장율을 지나치게 올릴 필요가 있게 된다. 피로인산에 우연히 배합됨으로써 또는 반응 도중에 피로인산의 가수분해의 결과로 인하여 소량의 오르토인산이 반응계 중에 존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공존하는 오르토인산의 양은 침전된 α-FeOOH 핵 결정의 양을 기준으로 P에 대하여 계산하여 0.05중량% 이하로 제한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방법은 피로인산 또는 그의 염의 일부 또는 전체 대신에, 예를 들어, 트리폴리인산 또는 그의 염과 같은 기타종류의 인산 또는 그의 염이 사용될 수도 있으며 이와 같은 인산 또는 그의 염이 핵 결정-형성 반응 도중에 피로인산 또는 그의 염으로 분해된다면, 그러나 이와 같은 경우, 오르토인산 도는 그의 염이 보통, 동시에 생성되어 반응계에 공존한다면, 이를 상기 정의한 범위내로 제한하도록 하기 위하여 이와 같은 오르토인산 또는 그의 염의 형성을 조절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첨가될 알칼리의 양음 모액 중 5~25g/1 바람직하기로는 10~15g/1의 양으로 침전하는데 필요한 바와 같은 양이다. 생성된 핵 결정의 농도가 상기 범위 이하이면, 그렇다면 이 방법이 산업적인 실시(경계적인 면에서)에 부적합하게 되는 정도로 생산 효율이 저하되며, 또한 생성된 α-FeOOH는 밤나무의 가시를 닮은 바람직하지 않은 형태를 갖는다. 상기의 농도가 너무 높으면, 모액의 점도는 증가되어 균일한 산화반응을 방지할 것이며 또한 입도분포가 불안정하게 되어 α-FeOOH로부터 유도된 Υ-Fe2O3의 자성이 빈약하게 된다.
이 핵 결정 형성 단계에서는 반응온도를 40℃ 이상으로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반응은 보통 수성계에서 수행되기 때문에, 반응온도는 50~100℃, 바람직하게는 50~70℃로 조절된다. 이 반응온도가 상기범위 이하이면, 생성된 종결정 입자크기에 있어서 너무 작게 되어 소기의 입자크기를 얻기에 오랜 반응시간이 필요하게 되어 완화된 입도 분포가 된다. 80℃ 이상의 온도에서, 입상의 자철광이 형성될 수 있다는 사실을 또한 주지해야 한다. 반응 용액의 pH는 보통 3~8로 유지된다.
이 핵 결정 형성 단계 동안, 유연히 편입되는 Υ-FeOOH를 막기 위하여 모액 중 Fe이온의 전체량에 대하여 중화에 의하여 침전된 Fe 이온의 비(또한, 중화침전비라 함)는 70% 이하이어야 하며, 또한 종결정 생성시 용액중에 용해된 Fe++의 농도는 40g/1 이상, 바람직하게는 50g/1 이상이어야 한다. 상기 Fe++농도가 상술한 범위 밖이면, 분지된 입자의 생성과 같은 바람직하지 못한 현상이 일어날 수도 있다. 이 핵 결정 형성 반응을 가능한한 빨리 완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통, 약 10~80분 내에 반응 완결되도록 조절하는 것이 좋음을 발견하였다. 또한 수득된 핵 결정은 약 50~100㎡/g의 BET 비표면적을 가짐이 바람직하다.
상기 핵 결정 형성반응을 전부 마친 용액 α-FeOOH 핵 결정이 현탁된 제 1 철염용액이며, 용액중의 피로인산 또는 그의 염은 핵 결정중에 고이거나 또는 그의 표면에 강하게 흡착되어, 보통 용액중에 분리된 상태로 피로인산 또는 그의 염이 남아 있지 않는다. 본 발명의 방법에서, 핵 결정이 현탁된 용액은 핵 결정을 성장시킴으로써 의도한 α-FeOOH를 얻기 위하여 알칼리를 가하면서 더 산화시킬 수 있다. 이 단계에서, 인 화합물 등은 경정화 헤비테이터(havitator) 또는 내열제로서 도입될 수 있다.
이 반응은, 산업적으로 유리한 방법으로 고축비율 및 고감도의 입도분포를 갖는 생성물을 얻기 위한 상술한 핵 결정 형성 반응의 경우에서와 같이 50~100℃의 온도에서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용액은 실제로 pH를 일정하게 3~6으로 유지하기 위하여 상술한 반응단계에서 사용된 것과 동일한 알칼리를 가하면서 산화한다. 핵 결정 성장율은 생성물의 입도분포의 나비를 극소화하고 분지를 거의 갖지 않는 침형 입자를 얻기 위하여 약 5~15g/1/hr(α-FeOOH로 계산됨)의 범위로 조절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α-FeOOH 핵 결정은 성장하여 상기 결정의 중량을 기준으로 한 성장반응을 행함으로써 핵 결정의 성장율이 그의 초기 중량의 1.0~3.5배, 바람직하기로는 1.5~3.5배,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2~3배의 범위내 일 것이다. 이 성장율이 상기 범위 이상으로 높으면, 이 생성물은 입도 분포 나비를 확장시키며 또한 입자의 분지를 조장한다. 기록매질에서 입자의 소기의 분산도 및 제 1 철 화합물과 같은 원료 물질의 소비 효율의 관점에서, 성장율은 바람직하기로는 1.5~3.5배의 범위,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2~3배의 범위이다. 이 단계에서 반응은 바람직하게 수행되어 생산된 α-FeOOH는, 예를 들어, 35~60㎡/ g의 BET 비표면적을 갖는다.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수득된 α-FeOOH는 고감도의 입도분포를 가지며, 분지가 극소화되며 10~18정도로 높은 축비를 가지며 또한 이로부터 유도된 자기 산화철, 그의 코발트-피복화 및 이로부터 생산된 자기 테이프들은 모두 양호한 자성을 갖는다.
이와 같이 생성된 α-FeOOH는 α-FeOOH의 분말을 제공하기 위하여 통상의 여과, 수세, 건조 및 분쇄시킨다. 이 분말상의 α-FeOOH는 통상의 방법으로 Υ-Fe2O3로 될 수 있는데, 즉 상기 물질을 우선 300~700℃의 온도로 공기중에서 탈수한 다음 이 탈수된 물질을 300~500℃의 온도에서 수소 또는 증기-포함 수소로 환원하여 Fe2O4를 형성한 다음, 이를 200~400℃의 온도에서 산소 또는 공기로 더 산화시켜 Υ-Fe2O3을 얻는다. Υ-Fe2O3의 자성을 더 개량시키기 위한 효과적인 방법으로서, 본 발명의 방법으로부터 수득된 α-FeOOH를 탈수처리전에 인산, 인산염, 또는 규산염 등으로 처리하는 방법이 제안되었다.
본 발명은 하기의 몇 가지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된다.
[실시예 1~3]
제 1 철 이온 농도 70g/의 FeSO4수용액 20l를 공기 공급 파이프 및 교반기가 장치된 반응기 내로 도입하고 용액을 60℃까지 가열한다. 이 용액의 온도를 유지하면서, 표 1에 있는 지정량의 인 화합물 및 2.14l의 NaOH 용액(농도 : 5몰/l)을 교반하 이용액에 가한 다음(침전된 Fe : 15g/l ; 용액중의 Fe농도 : 55g/l) 여기에 100~60l/시간의 비율로 공기를 불어 넣고α-FeOOH를 얻기 위하여 약 1시간 동안 반응을 행한다. 이와 같이하여, 3개의 샘플이 수득된다.(심플 A~C)
[실시예 4]
α-FeOOH(샘플 D)를 얻기 위하여 40℃의 반응온도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의 반응 과정을 반복한다.
[실시예 5]
α-FeOOH(샘플 E)를 얻기 위하여 피로인산을 가하지 않고 실시예 1의 과정을 반복한다.
[실시예 6]
실시예 1에서 사용된 70g/l의 제 1 철 이온 농도를 갖는 FeSO4수용액 대신 50g/l의 제 1 철 이온 농도를 갖는 FeSO4수용액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여 실시예 1의 방법을 반복하고, 용액중의 Fe 농도를 55g/l가 아니라 35g/l로 조절함으로써 α-Fe OOH(샘플 F)를 얻는다.
이와 같이 수득된 샘플 A~F 각각을 전자 현미경에 의하여 통상의 방법으로 축비(L/W)를 측정하고 BET 법에 의하여 비표면적(SS)을 측정한다. 상기 각 샘플의 입도분포(δ L/L) 또한 하기의 방법에 의하여 측정된다. 결과는 표 1과 같다.
입도분포의 측정(δ L/L)
잘 분산된 α-FeOOH 입자를 견본으로서 사용한다.
3000입자 이상의 주축을 따른 입경을 전자 현미경으로 읽고 그들의 산술평균 축길이 L(μ) 및 표준편차 δ L(μ)를 측정하여, 입도분포를 하기 식에 의하여 구한다.
입도분포=δ L/L
상기의 각 샘플 A~F를 공지의 방법으로 내열 처리한 다음 650℃의 공기 중에서 탈수하고 420℃의 증기-포함 수소중에서 환원시키고 다시 280℃의 공기중에서 통상의 방법으로 산화하여 γ-Fe2O3를 얻는다. 이와 같이 수득된 γ-Fe2O3견본의 각각의 비표면적(SS) 및 보자력성(Hc)을 비표면적은 BET법으로 그리고 보자력성은 통상의 방법으로 측정한다. 결과는 표 2와 같다.
또한, 상기 γ-Fe2O3견본 각각을 사용함으로써 하기의 조성을 갖는 혼합물이 제조되는데, 이 혼합물을 볼밀로 분산시켜 자기 코우팅 물질을 생산한다.
혼합물 조성
(1) γ-Fe2O3100중량부
(2) 소이빈 레시틴 1.6 〃
(3) 계면 활성제 4 〃
(4) 비닐 아세테이트-염화비닐 공중합체 수지 10.5 〃
(5) 디옥틸 프탈레이트 4 〃
(6) 메틸에틸케톤 84 〃
(7) 톨루엔 93 중량부
이와 같이 생산된 자기 코우팅 물질을 각각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바르고, 배향시키고 통상의 방법으로 건조시켜 대략 7μ 두께의 자기 코우팅막을 갖는 자기기록 매질을 만든다. 이와 같이 수득된 각 자기기록 매질에 대하여 보자력성(Hc), 잔류유도(Br), 스퀘어니스(Br/Bm), 배향성(OR) 및 스위칭 피일드 분포(SFD)를 공지의 방법으로 측정하여 표 2에 나타난 결과를 얻는다.
[표 1]
Figure kpo00001
[표 2]
Figure kpo00002
상기의 실시예 1, 3 및 5에서 수득된 α-FeOOH 샘플 A, C 및 E의 전자현미경사진(30000배)은 각각 제1, 2 및 3도와 연결된다.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수득된 생성물은 양호한 첨성 및 균일한 입도 분포를 갖는 미립자로 이루어져 있음이 분명하다.
[실시예 7~13]
70g/l의 제 1 철 이온 농도를 갖는 FeSO4수용액 20l를 공기 공급 파이프 및 교반기가 장치된 반응기내로 도입하고, 용액을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지정된 각 온도까지 가열한다. 이 온도를 유지하면서, 표 3에 나타나 있는 바의 각각의 인화합물 지정량 및 2.14l의 NaOH 수용액(농도 : 5몰/l)을 교반하여 가한다(침전된 Fe : 15g/l ; 용액중의 Fe 농도 : 55g/l). 그런 다음, 100~60l/시간의 비율로 공기를 용액중에 공급하고 공급된 물질을 약 1시간 동안 반응시켜 α-FeOOH의 핵결정을 수득한다.
상기의 핵결정 형성반응을 모두 마친 용액을 표 3에 있는 각각의 지정 온도까지 가열하고, 약 600l/hr의 비율로 공기를 용액에 공급하면서, 반응용액의 3.5~5.5를 유지하기 위하여 NaOH 수용액(농도 : 5몰/l)을 서서히 가하고 α-FeOOH(샘플 G-M)을 얻기 위하여 핵 결정이 표 3에 지정된 요인(중량을 기준으로 한 성장율)으로 성장할 때까지 반응을 계속한다.
[실시예 14~15]
실시예 7에서 사용된 70g/l의 제 1 철 이온 농도를 갖는 FeSO 수용액 대신 60g/l 또는 50g/l의 제 1 철 이온 농도를 갖는 FeSO4수용액을 사용하고,55g/l가 아니라 45g/l 또는 35g/l의 용액 중의 Fe 농도를 사용하여 α-FeOOH(샘플 N 및 O)를 얻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7의 방법을 반복한다.
[실시예 16]
α-FeOOH(샘플 P)을 얻기 위하여 피로인산을 가함이 없이 실시예 7의 방법을 반복한다.
[표 3]
Figure kpo00003
BET법에 의하여 축비(L/W), 비표면적(SS), 및 입도분포(δ L/L)를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상기의 샘플 G~P 각각에 대하여 측정하여 표 4의 결과를 얻는다.
[표 4]
Figure kpo00004
γ-Fe2O3의 견본을 실시예 1의 과정 후 상기의 각 샘플 G~P로부터 제조하고 BET법에 의하여 그의 보자력성(Hc) 및 비표면적(SS)를 측정한다. 또한 자기기록 매질의 견본을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이로부터 생산하고, 그의 보자력성(Hc), 잔류온도(Br), 스퀘어니스(Br/Bm), 배향성(OR) 및 스위칭 피일드분포(SFD)를 측정한다. 결과는 표 5와 같다.
[표 5]
Figure kpo00005
상기 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수득된 α-FeOOH로부터 유도된 γ-Fe2O3는 큰 비표면적으로 특징지워지며 최근 강력히 요구되는 잡음 감소에 효과적이며 또한 자성이 게량되었음을 알 수 있다.

Claims (5)

  1. 자기기록물질을 부분적으로 중화한 다음 α-FeOOH의 핵 결정을 형성하기 위하여 인산 존재하 제 1 철 염용액을 산화한 다음, 알칼리로 상기 용액을 중화하면서 상기 용액을 더 산화시킴으로써 침형 α-FeOOH를 제조함에 있어서, 상기 인산으로서 피로인산 또는 그의 염을 사용함으로써 핵결정이 50~100℃의 온도에서 형성되고 이 용액을 부분적으로 중화하여 용액중의 제 1 철 이온의 농도가 40g/l 이상으로 되고, 상기 α-FeOOH의 핵결정이 50~100℃의 온도에서 초기 총중량이 1.0~3.5배로 성장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α-FeOOH의 상기 핵결정이 그의 초기 총중량의 1.5~3.5배로 성장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α-FeOOH의 상기 핵결정이 그의 초기 총중량의 2~3배로 성장합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피로인산 또는 그의 염을 생산된 α-FeOOH의 양을 기준으로 P에 대하여 계산하여 0.05~0.8중량%의 양으로 용액에 존재하게 함으로써 핵결정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용액의 온도를 50~70℃로 유지하면서 핵결정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8205333A 1981-11-27 1982-11-26 자기 기록재료용 침형 α - FeOOH의 제조방법 KR89000070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0166/81 1981-11-27
JP190166181 1981-11-27
JP56190166A JPS5891039A (ja) 1981-11-27 1981-11-27 磁気記録材料用針状α−FeOOH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2327A KR840002327A (ko) 1984-06-25
KR890000703B1 true KR890000703B1 (ko) 1989-03-27

Family

ID=162535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8205333A KR890000703B1 (ko) 1981-11-27 1982-11-26 자기 기록재료용 침형 α - FeOOH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4560544A (ko)
JP (1) JPS5891039A (ko)
KR (1) KR890000703B1 (ko)
DE (1) DE3243868C2 (ko)
FR (1) FR2517292B1 (ko)
GB (1) GB211147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255673A (ja) * 1984-01-31 1985-12-17 三菱マテリアル株式会社 酸窒化チタン焼結体の製造方法
DE3413752A1 (de) * 1984-04-12 1985-10-24 Basf Ag, 6700 Ludwigshafen Verfahren zur herstellung isotroper magnetischer, kobalthaltiger eisenoxide
DE4310864A1 (de) * 1993-04-02 1994-10-06 Basf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transparenten Eisenoxid-Gelbpigmenten
KR960705740A (ko) * 1993-11-01 1996-11-08 워렌 리차드 보비 침철광 제조 방법(process for making goethite)
DE19601412C2 (de) * 1996-01-17 1999-07-22 Emtec Magnetics Gmbh Ferromagnetische Pigmente
CN112340829A (zh) * 2020-10-26 2021-02-09 广东省科学院生态环境与土壤研究所 磷酸盐在促进绿锈活化分子氧中的应用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1357866A (fr) * 1963-03-29 1964-04-10 Basf Ag Procédé pour la production d'oxyde de fer jaune alpha aciculaire, convenant notamment comme matière de départ pour la production d'oxyde de fer-iii-gamma hautement coercitif
FR1363027A (fr) * 1963-07-16 1964-06-05 Bayer Ag Procédé de préparation d'oxyde ferrique gamma ferromagnétique
DE1592398A1 (de) * 1967-02-08 1970-12-17 Bayer Ag Verwendung von hochkoerzitivem nadelfoermigem gamma-Fe2O3 zur Herstellung von Magnetogrammtraegern
GB1385777A (en) * 1971-05-06 1975-02-26 Bayer Ag Magnetic iron oxides and a process for their production
JPS5854487B2 (ja) * 1977-08-29 1983-12-05 戸田工業株式会社 磁気記録材料用針状磁性酸化鉄粒子粉末の製造法
DE2815712A1 (de) * 1978-04-12 1979-10-25 Bayer Ag Eisenoxide zur magnetischen signalaufzeichnung und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S5891039A (ja) 1983-05-30
KR840002327A (ko) 1984-06-25
DE3243868C2 (de) 1994-01-20
JPS6135135B2 (ko) 1986-08-11
GB2111471A (en) 1983-07-06
DE3243868A1 (de) 1983-06-01
FR2517292A1 (fr) 1983-06-03
US4560544A (en) 1985-12-24
GB2111471B (en) 1985-09-25
FR2517292B1 (fr) 1988-09-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931025A (en) Magnetic iron oxides with improved orientability and a process for their production
US4202871A (en) Production of acicular ferric oxide
US3904540A (en) Magnetic impulse record member
JPS6113362B2 (ko)
US4176172A (en) Particle gamma ferric oxide
JPS5853688B2 (ja) Fe−Mgを主成分とする針状晶合金磁性粒子粉末の製造法
KR890000703B1 (ko) 자기 기록재료용 침형 α - FeOOH의 제조방법
US4551260A (en) Wet process of preparing fine particles of ferrite of magnetoplumbite structure
KR890001971B1 (ko) 코발트함유 자성산화철 분말의 제조방법
US4396596A (en) Method of preparing gamma ferric hydroxyoxide powder
KR920003489B1 (ko) 자기기록매체 및 자기기록매체용 자성분말
KR890003881B1 (ko) 코발트 및 제 1 철 함유 강자성 산화철의 제조방법
US4323464A (en) Process for producing hydrated iron oxide having silicon and phosphorus component
US4086174A (en) Cobalt modified acicular γ ferric oxide and process for preparing the same
KR100445590B1 (ko) 코발트 피복된 침상의 자성 산화철 입자
JP2931182B2 (ja) 針状γ−FeOOHの製造方法
JPS6334608B2 (ko)
JPS58192308A (ja) 磁気記録材料用針状α−FeOOHの製造方法
US4348430A (en) Process for producing magnetic particles for magnetic recording medium
KR930011235B1 (ko) 코발트함유 강자성 산화철 분말의 제조방법
JPH0415601B2 (ko)
JPH03131525A (ja) α―オキシ水酸化鉄の製造方法
JPH0518766B2 (ko)
JPH0616426A (ja) 紡錘状を呈したゲータイト粒子粉末の製造法
JPS5860505A (ja) 磁気記録材料用針状α−FeOOHの製造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