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0702B1 - 코발트-함유 자성 산화철 분말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코발트-함유 자성 산화철 분말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0702B1
KR890000702B1 KR8204593A KR820004593A KR890000702B1 KR 890000702 B1 KR890000702 B1 KR 890000702B1 KR 8204593 A KR8204593 A KR 8204593A KR 820004593 A KR820004593 A KR 820004593A KR 890000702 B1 KR890000702 B1 KR 8900007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queous
medium
iron oxide
cobalt
magnetic ir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82045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40001865A (ko
Inventor
고끼찌 미야자와
가즈오 나가따
쓰네오 이시가와
이찌로 혼마
마사하루 히라이
마고또 오가사와라
도시히꼬 가와무라
Original Assignee
이시하라 겐조
이시하라상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56162554A external-priority patent/JPS5864222A/ja
Priority claimed from JP57146472A external-priority patent/JPS5935404A/ja
Application filed by 이시하라 겐조, 이시하라상교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이시하라 겐조
Publication of KR8400018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18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07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0702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GCOMPOUNDS CONTAINING METAL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1D OR C01F
    • C01G49/00Compounds of ir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5/00Recording by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Reproducing by magnetic mean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5/62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 G11B5/68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omprising one or more layers of magnetisable material homogeneously mixed with a bonding agent
    • G11B5/70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omprising one or more layers of magnetisable material homogeneously mixed with a bonding agent on a base layer
    • G11B5/706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omprising one or more layers of magnetisable material homogeneously mixed with a bonding agent on a base layer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f the magnetic material
    • G11B5/70626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omprising one or more layers of magnetisable material homogeneously mixed with a bonding agent on a base layer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f the magnetic material containing non-metallic substances
    • G11B5/70642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omprising one or more layers of magnetisable material homogeneously mixed with a bonding agent on a base layer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f the magnetic material containing non-metallic substances iron oxides
    • G11B5/70678Ferrites
    • G11B5/70684Ferro-ferrioxyd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5/00Recording by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Reproducing by magnetic mean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5/62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 G11B5/68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omprising one or more layers of magnetisable material homogeneously mixed with a bonding agent
    • G11B5/70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omprising one or more layers of magnetisable material homogeneously mixed with a bonding agent on a base layer
    • G11B5/706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omprising one or more layers of magnetisable material homogeneously mixed with a bonding agent on a base layer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f the magnetic material
    • G11B5/70626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omprising one or more layers of magnetisable material homogeneously mixed with a bonding agent on a base layer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f the magnetic material containing non-metallic substances
    • G11B5/70642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omprising one or more layers of magnetisable material homogeneously mixed with a bonding agent on a base layer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f the magnetic material containing non-metallic substances iron oxides
    • G11B5/70652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omprising one or more layers of magnetisable material homogeneously mixed with a bonding agent on a base layer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f the magnetic material containing non-metallic substances iron oxides gamma - Fe2 O3
    • G11B5/70668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omprising one or more layers of magnetisable material homogeneously mixed with a bonding agent on a base layer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f the magnetic material containing non-metallic substances iron oxides gamma - Fe2 O3 containing a dopant
    • G11B5/70673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omprising one or more layers of magnetisable material homogeneously mixed with a bonding agent on a base layer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f the magnetic material containing non-metallic substances iron oxides gamma - Fe2 O3 containing a dopant containing Co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00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01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 H01F1/03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 H01F1/032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of hard-magnetic materials
    • H01F1/10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of hard-magnetic materials non-metallic substances, e.g. ferrites, e.g. [(Ba,Sr)O(Fe2O3)6] ferrites with hexagonal structure
    • H01F1/11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of hard-magnetic materials non-metallic substances, e.g. ferrites, e.g. [(Ba,Sr)O(Fe2O3)6] ferrites with hexagonal structure in the form of part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S428/90Magnetic featu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9Coated or structually defined flake, particle, cell, strand, strand portion, rod, filament, macroscopic fiber or mass thereof
    • Y10T428/2982Particulate matter [e.g., sphere, flake, etc.]
    • Y10T428/2991Coate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Hard Magnetic Materials (AREA)
  • Compounds Of Iron (AREA)
  • Battery Electrode And Active Subsutanc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코발트-함유 자성 산화철 분말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자기 기록매체용으로서 유용한 코발트-함유 자성 산호철 분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코발트-함유 자성 산화철 분말은 고보자력을 가지며, 고주파 영역에서의 충실도가 우수하기 때문에 근래, 비데오테이프 등의 자기 기록매체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한편, 오디오 및 비데오테이프의 고밀도 기록이 최근 강력히 요구되고 있으며, 동시에 코발트-함유 자기 산화철의 성능에 대한 개량도 요구되고 있다.
코발트 화합물로 피복될 기재의 자성 산화철 분말은 보통 습식법에 의하여 제일철염의 용액과 알칼리로부터 얻어지는 침상 함수 산화철을 가열 및 탈수하여
Figure kpo00001
-Fe2O3로 하고, 계속하여 가열 및 환원시켜 Fe3O4로 하거나, 또는 상기 Fe3O4를 더욱 가열 및 산화시켜
Figure kpo00002
-Fe2O3로 하거나 베르틀라이드계 화합물(FeOX여기서 x는 1.33<x <1.55이다.)로 전환시켜 제조된다. 이들 화합물을 제조함에 있어, 통상 인 화합물을 상기 침상함수 산화철 생산시 또는 열처리(탈수 또는 환원)전에 첨가하여 열처리 중에 입자간의 소결로 인한 가지상 입자의 발생, 골격 다공의 형성 조악한 입자의 성장을 방지 또는 조절한다. 따라서, 인 화합물을 가한 후 상기 열처리에서 수득된 자성 산화철 분말의 입자는 자성 산화철을 기준으로 p로 환산하여 통상 0.1~1.0중량%를 함유한다.
코발트-함유 자성 산화철 분말의 성능의 개선에 대하여 광범위한 연구를 행한 결과, 본 발명자들은 인을 함유하는 자성 산화철 입자(이하 “전구체”라 함)를 코발트 화합물로 피복하기 전에 대기압 하에서 수성매질로 처리하면 보자력성과 같은 자기성이 현저히 개량됨을 발견 하였으며, 이와 같은 발견을 기초로 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인-함유 자성 산화철 분말을 대기압하 10~95℃에서 수성알칼리 및/또는 산성매질로 처리하고 이와 같이 처리된 분말입자 표면을 코발트 화합물 또는 코발트 화합물과 기타 금속 화합물로 피복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코발트-함유 자성 산화철 분말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Figure kpo00003
-Fe2O3, Fe3O4및 베르톨라이드 화합물(1.33<x<1.55인 FeOX)이 본 발명의 방법에서 코발트 화합물로 피복될 자성 산화철 분말 또는 전구체로서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자성 산화철 분말은 보통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수득되는데 : 제일철염 용액과 알칼리의 습식방법에 의해 제조된 침상 함수 산화철(
Figure kpo00004
,
Figure kpo00005
,
Figure kpo00006
-FeOOH)을 가열 및 탈수하여
Figure kpo00007
-Fe2O3를 형성한 다음 이
Figure kpo00008
-Fe2O3를 더 가열하여 Fe3O4로 환원시키는 것이다. 필요하다면, 이 Fe3O4를 더 가열 및 산화시킬 수 있다. 보통, 인 화합물을 상기 침상 함수 산화철 제조중에 또는 그의 가열 처리전에 첨가되는데, 이와 같이 수득된 자기 산화철 분말(전구체)은 인을 함유한다.
본 발명의 방법에서, 인-함유 자성 산화철 분말(전구체)은 수성 알칼리성 또는 산성 매질로 처리된다. 이 처리는 전구체를 용매로서, 예를 들어, 물, 물-알코올 혼합물 또는 물-아세톤 혼합물을 사용한 수성 산성 또는 알칼리성 매질중에 침지 시킨 다음, 이 침지 용액을 대기압하 교반시킴으로써 쉽게 완성될 수 있다. 상기 처리는 또한 전구체의 고정상 또는 유동상을 형성하여 여기에 수성 매질을 통과시킴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다단계 처리 조작을 행하기 위하여 수성 매질을 사용하여 이들 처리를 조합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수성 산성 매질에 의한 처리는 알칼리성 수성 매질에 의한 처리 전 및/또는 처리 후에 수행되어도 무방하다. 수성 매질의 산농도는 보통 0.01~1몰/l, 바람직하게는 0.02~0.6몰/l인 반면에 알칼리 농도는 보통 0.005 내지 3몰/l, 바람직하기로는 0.01 내지 2몰/l이어야 한다. 지나치게 낮은 산성 또는 알칼리 농도(상기 정의한 범위 이하의 농도)는 매질의 소기의 효과를 제공할 수 없는 반면에, 지나치게 높은 농도는 경제적으로 불리할뿐만 아니라 자기 산화철 입자를 부분적으로 용해시켜 입자의 배열을 손상시킬 수 있다. 수성 매질용의 산으로서 여러가지 종류의 무기 또는 유기산뿐 아니라 그들의 염이 사용될 수 있으나, 보통, 예를 들어, 염산, 황산, 플루오르화 수소산, 질산, 염화제일철 및 황산알루미늄 등이 단독으로 또는 조합되어 사용된다. 상기 산성 매질을 위해 사용된 알칼리로서는, 각종 알칼리금속 또는 알칼리토 금속의 수산화물, 탄산염 또는 암모늄 화합물이 사용될 수 있으나, 보통 예를 들어,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수산화칼슘, 탄산나트륨, 탄산칼륨 등이 단독으로 또는 결합되어 사용된다. 또한, 이와 같은 처리는 주위온도, 바람직하게는 10~95℃, 더 바람직하게는 20~80℃, 가장 바람직하게는 30~76℃에서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에서, 수성 매질로 상기 처리를 행한 자성 산화철 입자(이하, 이와 같은 입자를 “기재입자”라 함)는 코발트 화합물 또는 코발트 화합물과 기타 금속화합물(이들 화합물을 이하 “코발트-함유 화합물”이라 함)로 피복 처리된다. 이 피복 처리는 후술하는 바의 여러가지 방법으로 수행된다 : (1) 기재입자를 코발트-함유 화합물의 수용액에 분산시킨 다음, 여기에 알칼리성 수용액을 가한다. (2) 기재입자를 코발트-함유 화합물과 알칼리성 수용액의 혼합 용액에 분산시킨다. (3) 기재입자를 물에 분산시킨 다음, 여기에 코발트-함유 수용액 및 알칼리성 수용액을 가한다. (4) 기재입자를 알칼리성 수용액에 분산시킨 다음, 여기에 코발트-함유 화합물의 용액을 가한다. (5) 기재입자를 코발트 화합물-함유 용액에 분산시키고 이 분산액을 알칼리성 수용액에 적가한다. 이들 방법에서, 코발트 화합물 및 기타 금속 화합물을 동시에 또는 적당한 순서로 차례로 피복시키는 것과 같은 처리를 할 수 있다. 상기 코발트 화합물 또는 기타 금속 화합물을 중화시키기 위하여 상기 알칼리 수용액을 코발트 화합물 또는 기타 금속 화합물에 대하여 동일 당량이상 가하고, 생성된 반응 생성물을 상기 기재입자의 표면에 피복시킨다. 보통, 이와 같은 피복 처리는 약 0.1~10시간 동안 비산화 분위기중 비점 이하의 온도에서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방법에서 사용될 수 있는 코발트 화합물에는 황산코발트, 염화코발트, 아세트산 코발트 등과 같은 코발트의 무기 또는 유기산 염들이 속한다. 이 코발트 화합물과 조합되어 사용되는 기타 금속 화합물에는 예를 들어, 황산제일철, 염화제일철, 황산망간, 염화망간과 같은 제일철, 망간, 아연, 크롬, 니켈 등의 화합물이 속한다. 사용된 이와 같은 화합물의 양으로서는, 코발트 화합물이 단독으로 사용되는 경우에는 보통 이 기재입자내 Fe의 총량을 기준으로 Co에 대하여 환산하여 0.5~10중량%의 양으로 상용되며, 코발트 화합물이, 예를 들어, 제일철 화합물과 조합되어 사용되는 경우에는 전자는 Co에 대하여 0.5~10중량%의 양이고, 후자는 Fe에 대하여 1~20중량%의 양으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코발트 화합물 및 제일철 화합물 양자가 피복될 때, 상기 수성 매질에 대한 효과가 더 향상된다.
상기 피복 처리를 행한 자성 산화철 슬러리는 필요하다면, 더 가열 처리될 수 있다. 이 열처리는 후술하는 방법과 같은 여러 가지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 (1) 상기 슬러리를 100~250℃의 오토클레이브 중에서 수열 처리한다. (2) 상기 슬러리를 우선 여과 및 세척하여 습한 케이크를 얻은 다음, 이 케이크를 다시 물에 분산시켜 슬러리를 형성하고, 이 슬러리를 100~250℃의 오토클레이브 중에서 수열 처리한다. (3) 상술한 방법 (2)에서의 습한 케이크를 수중기 존재하 60~250℃에서 가열한다. (4) 상기 습한 케이크를 건조시킨 다음 100~300℃에서 가열 건조시킨다. 이들 방법들은 독립적으로 또는 적당히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열처리는 비산화 분위기 중에서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방법(3)에서 수증기 존재하에서 가열하는 경우, 상기 수성 매질에 의한 처리 효과는 한층 더 향상된다.
본 발명에서, “수증기 존재하에서 가열처리”는 오토클레이브와 같은 밀폐된 용기 또는 질소 기체로 가득찬 튜우브로 중에서 수증기 존재하에서 케이크를 가열하는 처리뿐 아니라, 저온에서 습한 케이크를 건조시킨 다음 이것을 유동상에서 고온의 수증기와 접촉시켜 가열시키는 것과 같은 처리를 의미한다. 상기 처리는 고속 유체 에너지밀 등에 의하여 분말화 하면서 수행될 수 있다. 이들 처리들 중에서, 질소 기체로 가득찬 밀폐용기 중에서 포화 수증기압하에서 습한 케이크를 가열하는 처리가 가장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인-함유 자기 산화철 입자(전구체)를 코발트로 피복하기 전에 비교적 간단한 조작에 의하여 수성 매질로 사전에 처리함으로써, 이로부터 생산된 자기녹음 미디어의 열 및 기계적 성질을 손상시키지 않고 높은 보자력성과 우수한 자기성을 갖는 자성 산화철 분말을 생산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방법은 산업적으로 매우 이용가치가 높다. 본 발명의 개량법에 의한 메카니즘은 명확히 공지되어 있지는 않으나, 다음과 같이 제안되고 있다 : (1) 코발트 화합물로 피복하기 전에 상기 분말의 입자 표면은 더 활성화되어 수성 알칼리 및/또는 산성 매질로 처리함으로써 피복 반응에 더 민감하게 되어, (2) 이 코발트 화합물은 기재입자상에 더 균일하고 더 단단하게 피복되기 쉽게 되며 (3) 또한 자성 산화철 입자(기재) 및 입자 표면상의 코발트 피복막의 자기 성질의 상승 작용이 더 중진된다.
[실시예 1]
미리 정한 양의 피로인산(
Figure kpo00009
-FeOOH핵 결정 침전을 기준으로 하여 P에 대하여 계산하여 0.2중량%)을 함유하는 NaOH용액을 황산제일철 용액에 가하고 이 혼합 용액을 공기산화시켜
Figure kpo00010
-FeOOH핵 결정을 얻은 다음 여기에 미리 정한 량의 오르토인산 (
Figure kpo00011
-FeOOH 침전을 기준으로 P에 대하여 계산하여 0.2중량%)을 함유하는 NaOH 용액을 서서히 가하고 공기산화 시키면서 핵결정이 처음 크기의 두배로 될 때까지 반응시킨다.
생성된 반응 용액을 여과 및 수세하고 미리 정한량의 오르토인산(
Figure kpo00012
-FeOOH를 기준으로 하여 P에 대하여 계산하여 0.35중량%)을
Figure kpo00013
-FeOOH상에 피복시킨다. 생성물을 통상의 방법(650℃의 공기중에서)으로 탈수, 환원(420℃의 증기-함유 수소중에서) 및 산화(280℃의 공기중에서)시켜
Figure kpo00014
-Fe2O3(보자력성(Hc) : 410oe; 축(L/W) : 9 ; 주축길이 : 0.4~0.5μ ; P함량 : 0.73중량%)를 얻는다.
이와 같이 수득된
Figure kpo00015
-Fe2O3를 1몰/l의 NaOH 용액에 현탁시켜 100g/l의 슬러리를 만들고 이를 50℃에서 3시간동안 통상의 반응용기(상압하) 속에서 처리한다. 이와 같이 처리된 슬러리를 여과 및 수세하여 처리된
Figure kpo00016
-Fe2O3를 얻는다. 이 생성물의 함량은 0.65중량%이고 이 분말의 수율은 100%이다.
이와 같이 수득된 처리된
Figure kpo00017
-Fe2O3100g을 1l의 물에 분산하여 슬러리를 만들고, 이 슬러리에 질소 기체를 용액에 불어 넣으면서 0.85몰/l의 황산 코발트 수용액 70ml 및 1몰/l의 황산제일철 수용액 125ml를 가한 다음, 교반하 10몰/l의 NaOH수용액 175ml를 더 가하여 실온(30℃)에서 5시간 동안 더 교반을 계속한다. 그런다음, 이 슬러리를 여과 및 수세하여 얻은 습한 케이크를 분리용기에 든 물과 함께 오토클레이브에 넣는다. 질소 기체로 치환한 후, 오트클레이브를 밀폐하고 이 속의 내용물을 130℃에서 수증기 존재하 6시간 동안 가열 처리한다. 생성물을 대기중 60℃에서 15시간 건조시켜 목적하는 코발트-함유 자성 산화철 분말(A)을 수득한다.
[실시예 2]
통상의 반응용기 속에서(상압하) 수성 알칼리 매질에 의한 처리를 30℃에서 6시간 동안 행하는 것만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처리를 행하여 목적하는 코발트-함유 자성 산화철 분말(B)을 수득한다.
[실시예 3]
통상의 반응용기 중에서(상압하) 수성 알칼리 매질에 의한 처리를 70℃에서 3시간 동안 행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을 행함으로써, 목적하는 코발트-함유 자성 산화철 분말(C)를 수득한다.
[실시예 4]
통상의 반응용기(상압하) 중에서 수성 알칼리 매질에 의한 처리를 수성 산성 매질에 의한 처리, 즉, 40℃에서 3시간 동안 0.08몰/l의 황산 수용액에 의한 처리로 바꾸는 것만 제외하고 실시예 1의 방법을 반복하여 목적하는 코발트-함유 자성 산화철 분말(D)을 수득한다.
[실시예 5]
통상의 반응용기(상압하) 중에서 수성 알칼리 매질에 의한 처리를 수성 산 매질에 의한 처리, 즉, 50℃에서 3시간 동안 0.28몰/l의 황산 수용액에 의한 처리로 바꾸는 것만 제외하고 실시예 1의 방법을 반복하여 목적하는 코발트-함유 자성 산화철 분말(E)을 수득한다.
[실시예 6]
통상의 반응용기 중에서(상압하) 수성 알칼리 매질에 의하여 처리하기 전에,
Figure kpo00018
-Fe2O3를 0.28몰/l의 황산 수용액에 현탁시켜 100g/l의 슬러리를 얻고 이 슬러리를 통상의 반응용기 중에서(상압하) 50℃로 3시간 동안 침지 처리한 다음 여과 및 수세하는 것만 제외하고 실시예 1의 방법을 반복하여 목적하는 코발트-함유 자성 산화철 분말(F)을 수득한다.
[비교예 1]
통상의 반응용기 중에서(상압하) 수성 알칼리 매질에 의한 처리를 생략하는 것만 제외하고 실시예 1의 방법을 반복하여 코발트-함유 자기 산화철 분말(G)을 수득한다.
[비교예 2]
통상의 반응용기 중에서(상압하) 수성 알칼리 매질에 의한 처리를 100℃에서 3시간 동안의 처리로 바꾸는 것만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을 반복하여 코발트-함유 자성 산화철 분말(H)을 수득한다.
이와 같은 수득된 코발트-함유 자성 산화철 분말 시료(A)~(H)의 각 보자력성은 통상의 방법으로 측정된다. 결과가 표 1에 나타나 있다.
또한, 상기의 각 시료(A)~(H)를 사용하여, 다음과 같은 조성의 혼합물을 제조하는데, 이들 각 혼합물을 분산시켜 볼밀로 연마하여 자성 피복 물질을 생산한다.
혼합 조성물
(1) 코발트-함유 자성 산화철 분말 100중량부
(2) 대두 레시틴 1중량부
(3) 계면 활성제 4중량부
(4) 염화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수지 15중량부
(5) 디옥틸 프탈산 5중량부
(6) 메틸 에틸 케톤 111중량부
(7) 톨루엔 122중량부
그런 다음, 이와 같이 제조된 각각의 자성 피복 물질을 통상의 방법으로 폴리에스테르 필름상에 피복시켜 배향시킨 다음 건조시켜 대략 9미크론의 두께의 자성 피복필름을 갖는 자기테이프를 만든다. 제조된 각 자기 테이프의 보자력성(Hc), 각형비 (Br/ Bm), 배향성(OR) 및 최대유도(Bm)를 통상의 방법으로 측정하여 얻은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표 1]
Figure kpo00019
(주) P의 함량(중량%)은 화학적 분석에 의하여 측정된다.
[실시예 7]
미리정한 량의 오르토인산(
Figure kpo00020
-FeOOH 핵결정 침전을 기준으로 P에 대하여 계산하여 0.2중량%)을 함유하는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을 황산 제일철 수용액에 가하고, 혼합 용액을 공기산화시켜
Figure kpo00021
-FeOOH핵 결정을 얻고 여기에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을 서서히 더 가하고 핵결정의 크기가 원래 크기의 두배로 되도록 공기 산화시키면서 반응시킨다.
이 반응 용액을 여과및 수세한 다음 미리 정한 량의 오르토인산(
Figure kpo00022
-FeOOH를 기준으로 P에 대하여 계산한 0.3중량%)을
Figure kpo00023
-FeOOH상에 피복시킨다. 생성된 물질을 통상의 방법으로(650℃의 공기중에서) 탈수시키고, 환원시키고(420℃에서 중기-함유 수소 중) 다시 산화(160℃의 공기중)
Figure kpo00024
-Fe2O3(보자력성(Hc) : 395oe; 축비(L/W) : 7 ; 주축길이 : 0.4~0.5μ ; P함량 : 0.44중량%)를 얻는다.
이와 같이 수득된
Figure kpo00025
-Fe2O3를 1몰/l의 HCI용액에 현탁시켜 100g/l의 슬러리를 만들고 이 슬러리를 통상의 반응용기(상압하) 중 상온(30℃)에서 1시간 동안 처리한 다음 여과 및 수세하여 처리된
Figure kpo00026
-Fe2O3를 얻는다.
이 처리된
Figure kpo00027
-Fe2O3100g을 1l의 물에 분산시켜 슬러리를 만들고, 이 슬러리에 0.85몰/1의 황산 코발트 수용액 70ml를 가한 다음 이 용액에 질소 기체를 불어 넣으면서 교반하 10몰/1의 수산화나트륨 수용액 175ml를 가하고, 1몰/l의 황산제일철 수용액 125ml를 더 가하고 실온(30℃)에서 1시간 동안 교반시킨다. 이 슬러리를 오토클레이브에 넣고, 오토클레이브의 내부를 질소 기체로 바꾼 후, 이 슬러리를 120℃에서 3시간 동안 수열 처리한다. 이와 같이 반응된 슬러리를 여과, 수세한 다음 공기중 60℃에서 15시간 동안 건조시켜 목적하는 코발트-함유 자성 산화철 분말(I)을 수득한다.
[실시예 8]
통상의 반응용기 중에서(상압하) 수성 산 매질에 의한 처리를 상온에서 1시간 동안 0.7몰/l의 HF 수용액에 의한 처리로 변화시키는 것만 제외하고 실시예 7의 방법을 행하여 목적하는 코발트-함유 자성 산화철 분말(J)을 수득한다.
[비교예 3]
통상의 반응용기 중에서(상업하) 수성 산 매질에 의한 처리를 생략하는 것만 제외하고 실시예 7의 방법을 반복하여 코발트-함유 자성 산화철 분말(K)을 수득한다.
상기 각 코발트-함유 자성 산화철 분말 시료(I)~(K)의 보자력성을 측정하여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이들 시료(I)~(K)를 사용함으로써, 상술한 바와 동일한 방법으로 자기 테이프가 생산되며, 생산된 각 자기 테이프의 보자력성(Hc), 각형비(Br/Bm), 배향성(OR) 및 최대유도(Bm)을 통상의 방법으로 측정하여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표 2]
Figure kpo00028
(주) P의 함량(중량%)의 화학적 분석에 의하여 측정된다.
[비교예 4]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을 황산제일철 수용액에 가하고 혼합 용액을 공기 산화시켜
Figure kpo00029
-FeOOH의 핵결정을 생성한 다음,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을 서서히 더 가하고 핵결정의 크기가 원래의 4배가 될 때까지 공기 산화시키면서 반응시킨다.
이 반응 용액을 여과 및 수세하여
Figure kpo00030
-FeOOH를 얻고 후자를 통상의 방법으로 탈수시키고(450℃의 공기중에서), 환원시키고(350℃의 중기 함유 수소중에서) 그리고 다시 산화시켜(300℃의 공기중에서)
Figure kpo00031
-Fe2O3(보자력성(Hc) : 250od; 축비(L/W) : 10 ; 주축길이 : 0.4~0.5μ)를 얻는다.
이와 같이 수득된
Figure kpo00032
-Fe2O3를 1몰/l의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에 현탁시켜 100g/l의 슬러리를 형성하고 이 슬러리를 통상의 반응용기 중(상압하)에서 50℃로 3시간 동안 처리한 다음 여과 및 수세하여 처리된
Figure kpo00033
-Fe2O3를 얻는다. 이 생성물의 수율은 100%이다.
이와 같이 수득된 처리된
Figure kpo00034
-Fe2O3100g을 1l의 물에 분산시켜 슬러리를 만들고, 이 슬러리에 0.85몰/l의 황산 코발트 수용액 70ml 및 1몰/l의 황산 제일철 수용액 125ml를 가한다음 교반하 이 용액에 질소기체를 불어 넣으면서 10몰/l의 수산화나트륨 수용액 175ml를 더 가한 후, 이 혼합용액을 실온(30℃)에서 5시간 동안 교반시킨다.
슬러리를 여과 및 수세하고 수득된 습한 케이크를 분리용기에 넣은 물과 함께 오토클레이브에 넣고, 질소 기체로 바꾼 후, 오토클레이브를 밀봉하고 그의 내용물을 수증기 존재하 130℃에서 6간 동안 가열 처리한다. 이 처리후, 내용물을 대기중 60℃에서 15시간 동안 건조시켜 코발트-함유 자성 산화철 분말(L)을 수득한다.
통상의 반응용기 중에서(상압하) 수성 알칼리 매질에 의한 처리를 생략하는 것만 제외하고 이 비교예의 방법을 반복하여 코발트-함유 자성 산화철 분말(M)을 수득한다.
통상의 방법으로 상기 서로 L 및 M의 보자력성을 측정하면 570oe(L) 및 578oe(M)의 수치가 얻어진다. 이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효과는 수성 매질로 처리한다 하더라도 인을 함유하지 않는 자성 산화철로부터 수득될 수 없음을 알 수 있다.

Claims (12)

  1. 인-함유 자성 산화철 분말을 수성 알칼리 매질, 수성 산 매질 또는 수성 알칼리 매질 및 수성 산 매질로 대기압하에서 처리한 다음, 상기 분말의 입자 표면에 코발트 화합물을 피복하거나 또는 코발트 화합물과 기타 금속 화합물을 피복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코발트-함유 자성 산화철 분말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수성 매질에 의한 처리가 10~95℃의 온도에서 행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수성 매질에 의한 처리가 20~80℃의 온도에서 처리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수성 매질에 의한 처리가 25℃에서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수성 매질에 의한 처리가 30~70℃의 온도에서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1 또는 2항에 있어서, 수성 알칼리 매질의 알칼리 농도가 0.005~3몰/l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1 또는 2항에 있어서, 수성 산 매질의 산 농도가 0.01~1몰/l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1 또는 2항에 있어서, 인-함유 자성 산화철 분말을 수성 산 매질로 처리한 다음 수성 알칼리 매질로 처리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1 또는 2항에 있어서, 인-함유 자성 산화철 분말을 수성 알칼리 매질로 처리한 다음 수성 산 매질로 처리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1 또는 2항에 있어서, 자성 산화철 분말의 입자표면이 코발트 화합물 및 제일철 화합물로 피복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1 또는 2항에 있어서, 수증기 존재하 더 가열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1 또는 2항에 있어서, 수열 처리를 더 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8204593A 1981-10-12 1982-10-12 코발트-함유 자성 산화철 분말의 제조방법 KR89000070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62554 1981-10-12
JP56162554A JPS5864222A (ja) 1981-10-12 1981-10-12 コバルト含有磁性酸化鉄粉末の製造方法
JP57146472A JPS5935404A (ja) 1982-08-24 1982-08-24 コバルト被着磁性酸化鉄粉末の製造方法
JP146472 1982-08-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1865A KR840001865A (ko) 1984-06-07
KR890000702B1 true KR890000702B1 (ko) 1989-03-27

Family

ID=264773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8204593A KR890000702B1 (ko) 1981-10-12 1982-10-12 코발트-함유 자성 산화철 분말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4501774A (ko)
KR (1) KR890000702B1 (ko)
DE (1) DE3237618A1 (ko)
FR (1) FR2515412B1 (ko)
GB (1) GB210978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79431A (ja) * 1982-10-29 1984-05-08 Konishiroku Photo Ind Co Ltd 磁気記録媒体
US5230818A (en) * 1991-12-20 1993-07-27 Eastman Kodak Company Coating compositions for master media for anhysteretic recording
US10384201B2 (en) 2016-02-17 2019-08-20 Korea Institute Of Energy Research Direct synthesis method of nanostructured catalyst particles on various supports and catalyst structure produced by the same
KR20170097579A (ko) * 2016-02-17 2017-08-28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다양한 지지체 표면에 나노 구조 촉매 입자의 직접 합성 방법, 이에 의해 제조된 촉매 구조체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70500A (en) * 1969-09-16 1973-11-06 Tdk Electronics Co Ltd Magnetic materials and method of making same
DE2243231C2 (de) * 1972-09-01 1982-01-28 Basf Ag, 6700 Ludwigshafen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Cobalt-dotiertem &gamma;-Eisen(III)oxid
JPS5719049B2 (ko) * 1974-06-13 1982-04-20
JPS52135897A (en) * 1976-05-09 1977-11-14 Toda Kogyo Corp Process for preparing cobaltt modified acicular crystal magnetic ironoxide particle
JPS52135896A (en) * 1976-05-09 1977-11-14 Toda Kogyo Corp Process for preparing cobaltt modified acicular crystal magnetic ironoxide particle
JPS52135895A (en) * 1976-05-09 1977-11-14 Toda Kogyo Corp Process for preparing cobaltt modified acicular crystal magnetic ironoxide particle
US4137342A (en) * 1976-10-29 1979-01-30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Cobalt-doped acicular hyper-magnetite particles
DE2905352A1 (de) * 1979-02-13 1980-08-21 Basf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nadelfoermigem kobalthaltigem magnetischem eisenoxid
JPS55149137A (en) * 1979-05-11 1980-11-20 Tdk Corp High performance high coercive force powder and its manufacture
US4305753A (en) * 1980-07-31 1981-12-15 Hercules Incorporated Process for producing ferromagnetic metallic particl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FR2515412A1 (fr) 1983-04-29
KR840001865A (ko) 1984-06-07
GB2109780A (en) 1983-06-08
DE3237618C2 (ko) 1989-03-02
US4501774A (en) 1985-02-26
FR2515412B1 (fr) 1986-01-03
DE3237618A1 (de) 1983-04-28
GB2109780B (en) 1985-08-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80001711B1 (ko) 자성분말의 제조방법
KR890001485B1 (ko) 코발트 함유의 강자성 산화철의 제조 방법.
KR890000702B1 (ko) 코발트-함유 자성 산화철 분말의 제조방법
KR890001971B1 (ko) 코발트함유 자성산화철 분말의 제조방법
JPS597646B2 (ja) γ−酸化鉄(3)の製法
GB1589355A (en) Acicular cobalt magnetic iron oxide and its manufacture
JPH0585487B2 (ko)
KR870001378B1 (ko) 코발트 함유 자기 산화철 분말의 제조방법
JPS6242858B2 (ko)
JPS5888122A (ja) コバルト含有強磁性酸化鉄の製造方法
JPS5935404A (ja) コバルト被着磁性酸化鉄粉末の製造方法
JPH0832564B2 (ja) 針状のアルフア−酸化鉄(▲iii▼)の製法
JPH0629144B2 (ja) 針状ヘマタイト粒子粉末の製造法
JPS6323139B2 (ko)
JPS6151401B2 (ko)
JPS6349722B2 (ko)
JPS6132258B2 (ko)
JPS6135132B2 (ko)
JPS6323138B2 (ko)
JPS6411575B2 (ko)
JPH0114176B2 (ko)
JPS5950607B2 (ja) 針状晶磁性酸化鉄粒子粉末の製造法
JPS6132257B2 (ko)
JPH0553843B2 (ko)
JPS6211482B2 (k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