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80010935A - 4륜구동차의 토오크 전달장치 - Google Patents

4륜구동차의 토오크 전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80010935A
KR880010935A KR1019880002527A KR880002527A KR880010935A KR 880010935 A KR880010935 A KR 880010935A KR 1019880002527 A KR1019880002527 A KR 1019880002527A KR 880002527 A KR880002527 A KR 880002527A KR 880010935 A KR880010935 A KR 8800109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or
clutch
piston
torque transmission
transmission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025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03839B1 (ko
Inventor
다마키 도미타
히로아키 아사노
게이이치 나카무라
마사지 야마모토
시게오 다노오카
도시후미 사카이
데츠야 나카노
노부나오 모리시타
Original Assignee
가토 도요
도요타 고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62075240A external-priority patent/JPH0717162B2/ja
Priority claimed from JP62251305A external-priority patent/JPH0193631A/ja
Priority claimed from JP62297391A external-priority patent/JP2518321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9739087A external-priority patent/JPH06100236B2/ja
Priority claimed from JP62331690A external-priority patent/JP2522810B2/ja
Application filed by 가토 도요, 도요타 고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토 도요
Publication of KR8800109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109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38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383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7/00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 B60K17/34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for driving both front and rear wheels, e.g. four wheel drive vehi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35/00Fluid clutches in which the clutching is predominantly obtained by fluid adhesion
    • F16D35/005Fluid clutches in which the clutching is predominantly obtained by fluid adhesion with multiple lamella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7/00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 B60K17/34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for driving both front and rear wheels, e.g. four wheel drive vehicles
    • B60K17/348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for driving both front and rear wheels, e.g. four wheel drive vehicles having differential means for driving one set of wheels, e.g. the front, at one speed and the other set, e.g. the rear, at a different speed
    • B60K17/35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for driving both front and rear wheels, e.g. four wheel drive vehicles having differential means for driving one set of wheels, e.g. the front, at one speed and the other set, e.g. the rear, at a different speed including arrangements for suppressing or influencing the power transfer, e.g. viscous clutches
    • B60K17/3505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for driving both front and rear wheels, e.g. four wheel drive vehicles having differential means for driving one set of wheels, e.g. the front, at one speed and the other set, e.g. the rear, at a different speed including arrangements for suppressing or influencing the power transfer, e.g. viscous clutches with self-actuated means, e.g. by difference of speed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4륜구동차의 토오크 전달장치
본 내용은 요부공개 건이므로 전문내용을 수록하지 않았음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토오크 전달장치가 구비된 4륜구동차의 구동시스템의 개략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토오크 전달장치의 종단면도.
제3도는 제2도의 선 ⅠⅠⅠ-ⅠⅠⅠ의 단면도.
제4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토오크 전달장치를 도시하는 제3도와 유사한 단면도.

Claims (21)

  1. 전방 구동샤프트와 후방 구동샤프트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두 구동샤프트 사이에 회전토오프를 전달하는 다겹의 디스크클러치와, 이 다겹의 디스크클러치를 작돋시키는 작동피스톤을 구비하는 4륜구동차의 토오크 전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후방 구동샤프트중 하나에 연결되어 이와 일체로 회전하고, 내부에 상기 작동 피스톤을 수용하며 그 작동 피스톤과이 사이에 상기 전후방 구동샤프트와 공통의 축을 갖는 축방향 폭이 좁은 원형회전자실을 형성하는 회전하우징과, 상기 회전자실내에 수용되고, 상기 전후방 구동샤프트들중 다른 하나에 구동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회전자실을 여러개의 공간부로 분할하는 여러개의 반경방향으로 뻗은 날개부가 형성되어 있는 회전자와, 상기 각 공간부내에 충전되어, 상기 회전자가 전후방 구동샤프트간의 상대회전시 상기 작동피스톤과 상기 회전하우징에 대해 상대회전할 때 상기 작동피스톤에 대해 작용하는 압력을 발생시키는 고점성 유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4륜구동차의 토오크 전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날개부에 상기 회전자의 회전방향으로 양쪽에 위치하는 단부 표면으로 개구되는 연통 오리피스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4륜구동차의 토오크 전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피스톤 내에는 환형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그 작동피스톤에는 또한 상기 환형홈 및 상기 회전자실과의 연통을 위해 상기 회전자의 회전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다수의 연통 오리피스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4륜구동차의 토오크 전달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통 오리피스의 수는 상기 날개부의 수의 2배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4륜구동차의 토오크 전달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내부에서 상기 회전자가 회전 가능하게 되어있는 상기 회전자실로 상기 회전자의 회전방향으로 균일한 간격으로 개구되도록 상기 회전하우징에 다수의 연통 통로가 형성되고, 상기 토오크 전달장치는 또한 상기 연통 통로와 유체적으로 연통하고, 솔레노이드에 가해지는 전류에 따라, 스로를 개폐정도를 제어하는 솔레노이드를 가지고, 상기 통로들간의 연통을 제어하는 전자스로틀밸브와, 상기 4륜구동차의 구동조건을 나타내는 매개변수를 검출하는 하나 이상의 센서와, 상기 하나 이상의 센서로부터의 출력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출력신호에 따라 전류의 크기를 결정하고, 그에 의해 결정된 크기의 전류를 상기 전자스로틀밸브의 솔레노이드에 인가하는 전자제어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4륜구동차의 토오크 전달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자는 이 회전자이 축방향 양측부에 두 개 이상의날개부와 두 개 이상의 반원형 에지부를 형성하기 위해 같은 깊이로 된 다수의 반원형 공간부를 형성하는 형식의 디스크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4륜구동차의 토오크 전달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각 날개부에는 회전자의 축방향 양측부로 개구되도록 상기 회전자이 축방향으로 연통 오리피스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4륜구동차의 토오크 전달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연통 오리피스가 둥근 구멍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4륜구동차의 토오크 전달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연통 오리피스가 길다란 구멍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4륜구동차의 토오크 전달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각 날개부에는 회전자의 회전방향으로 최소한 전방단부에서 블레이드 에지부 형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4륜구동차의 토오크 전달장치.
  11. 차량이 전후방 굴대에 각각 구동적으로 연결된 전후방 구동샤프트중 하난 연결된 회전하우징과, 이 회전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전후방 구동 샤프트중 다른 하나와 일체로 회전 가능한 구동샤프트 수단과, 상기 회전하우징내에 수용되고 상기 구동샤프트내에 수단위에 지지되어 이 구동샤프트 수단의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피스톤과, 상기 회전하우징내에 설치되고, 상기 회전하우징과 일체로 회전 가능한 여러개의 외측 클러치 디스크 및 상기 구동샤프트 수단과 일체로 회전 가능하고 여러개의 내측 클러치디스크를 가지는 다겹의 디스크클러치 장치와, 상기 외측 및 내측 클러치 디스크는 상기 회전하우징의 단부벽과 상기 피스톤의 일단부 사이에 교대로 배치되고, 상기 피스톤의 타단부 표면과 상기 회전자 하우징의 타단부벽에 의해 형성되는 축방향 폭이 좁은 원형의 회전자실내에 수용되고, 상기 구동샤프트 수단과 일체로 회전가능하며, 상기 회전자실을 여러개의 공간부로 분할하는 여러개의 날개부를 가지는 회전자와, 상기 전후방 구동샤프트간의 회전속도차에 기인하여 상기 회전자가 상기 회전자 하우징에 대해 상대회전할 때 상기 피스톤에 작용하는 압력을 발생시키도록 상기 각 여러개의 공간부내에 충전되는 고점성 유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4륜구동차의 토오크 전달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다겹의 디스크클러치 장치는 또한, 상기 구동 샤프트 수단에 회전 가능하게 그리고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여러개의 내측 크러치디스크에 결합되어 이와 일체로 회전하고, 상기 디스톤과 상기 다겹의 클러치디스크를 사이에 끼워진 플랜지부를 가지는 내측 디스크허브와, 상기 구동샤프트 수단 위에 지지되어 이와 일체로 회전가능한 전달슬리브와, 상기 내측 디스크허브와 상기 전달슬리브 사이에 설치되어, 이 내측 디스크허브와 이 전달슬리브간의 회전속도차가 소정속도를 초과하면 상기 내측 디스크허브의 상기 플랜지부에 의해 상기 내외측 클러치디스크들을 가압시키도록 쐐기작용에 의해 상기 내측 디스크허브를 축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캠수단과, 상기 내측 클러치허브가 상기 캠수단에 의해 축방향으로 이동할 때 그 반대방향으로 상기 내측 클러치허브를 가압시키는 스프링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4륜구동차의 토오크 전달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캠수단은 상기 전달슬리브의 플랜지부에 반경방향으로 형성된 제2톱니열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4륜구동차의 토오크 전달장치.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클러치디스크의 반쪽부가 상기 구동샤프트 수단에 결합되어 이와 일체로 회전하고, 상기 다겹의 디스크클러치 장치는 또한, 상기 구동 샤프트 수단에 회전 가능하게 그리고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상기 내측 클러치디스크들의 나머지 반쪽부에 결합되어 이와 일체로 회전하고, 상기 내외측 클러치디스크들을 가압하기 위한 플랜지부를 가지고 있는 내측 디스크허브와, 상기 구동샤프트 수단위에 지지되어 이 구동샤프트 수단과 일체로 회전하면서 내측 디스크허브쪽으로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전달슬리브와, 상기 내측 디스크허브와 상기 전달슬리브의 마주보는 단부들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내측 디스크허브와 상기 전달 슬리브간의 회전속도차가 소정 속도를 초과할 때 상기 내외측 클러치디스크들을 가압시키도록 쐐기작용에 의해 상기 내측 디스크허브를 축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캠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4륜구동차의 토오크 전달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캠수단은 상기 전달슬리브의 일단부 표면에 형성된 여러개이 V홈과, 상기 내측 디스크허브의 일단부 표면에 형성된 여러개의 보유홈과, 이 보유홈에 보유되고 그에 대응하는 V홈상에 정상시 안착 유지되는 여러개의 강철 볼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4륜구동차의 토오크 전달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디스크허브와 상기 전달슬리브 사이에 설치되어 내외측 클러치디스크를 가압하도록 상기 내측 디스크허브쪽으로 상기 전달슬리브를 가압하는 편의 스프링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4륜구동차의 토오크 전달장치.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하우징은 상기 외측 클러치디스크의 둘레부가 결합되는 스플라인부를 가지고 있고, 상기 내외측 클러치디스크에 근접한 상기 피스톤의 둘레 에지부에는 상기 회전하우징의 상기 스플라인부에 결합되는 스플라인부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4륜구동차의 토오크 전달장치.
  18. 제11항에 있어서, 피스톤내에 유체밀폐 가능하게 수용되고, 상기 구동샤프트수단위에 유체밀폐 가능하게 9 지지되며, 상기 피스톤, 상기 회전하우징 및 상기 샤프트 수단과 함께 내부에 상기 다겹의 디스크클러치 장치가 배설된 클러치디스크실을 형성하는 보조 피스톤과, 상기 클러치디스크실내에 충전된 윤활유와 상기 보조피스톤을 상기 피스톤내에서 이동 가능하게 되는 행정 중립위치에 정상적으로 유지시키도록 상기 피스톤과 상기 보조 피스톤 사이에 설치되는 스프링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4륜구동차의 토오크 전달장치.
  19.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하우징, 상기 피스톤 및 상기 구동샤프트수단은 내부에 상기 다겹의 디스크클러치 장치가 배설된 클러치디스크실을 형성하고, 상기 클러치디스크실내에 충전된 윤활유와, 이 윤활유의 열에 의한 체적변화를 흡수하는 흡수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4륜구동차의 토오크 전달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수단은 상기 샤프트수단은 형성된 원통형 구멍내에 수용되는 흡수 피스톤과, 일방향으로 상기 흡수 피스톤을 가압하고, 윤활유의 체적이 팽창하게 될 때는 다른 방향으로 상기 흡수 피스톤을 이동시키는 스프링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4륜구동차의 토오크 전달장치.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수단은 상기 구동샤프트 수단내에 형성되어 상기 클러치디스크실과 유체연통되는 원통형 구멍의 유일한 개구단을 폐쇄시키는 격막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4륜구동차의 토오크 전달장치.
    ※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KR1019880002527A 1987-03-27 1988-03-11 4륜 구동차의 토오크전달장치 KR95000383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2-75240 1987-03-27
JP62075240A JPH0717162B2 (ja) 1987-03-27 1987-03-27 トルク伝達装置
JP87-75240 1987-03-27
JP62251305A JPH0193631A (ja) 1987-10-05 1987-10-05 駆動力伝達装置
JP62-251305 1987-10-05
JP87-251305 1987-10-05
JP87-297391 1987-11-27
JP62-297390 1987-11-27
JP87-297390 1987-11-27
JP62297391A JP2518321B2 (ja) 1987-11-27 1987-11-27 駆動力伝達装置
JP29739087A JPH06100236B2 (ja) 1987-11-27 1987-11-27 駆動力伝達装置
JP62-297391 1987-11-27
JP62331690A JP2522810B2 (ja) 1987-12-26 1987-12-26 駆動力伝達装置
JP62-331690 1987-12-26
JP87-331690 1987-12-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10935A true KR880010935A (ko) 1988-10-25
KR950003839B1 KR950003839B1 (ko) 1995-04-20

Family

ID=275245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02527A KR950003839B1 (ko) 1987-03-27 1988-03-11 4륜 구동차의 토오크전달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0283821B1 (ko)
KR (1) KR950003839B1 (ko)
AU (1) AU605568B2 (ko)
DE (1) DE3863805D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79644B2 (ja) * 1987-09-28 1997-02-05 豊田工機株式会社 油圧制御装置
JPH0542653Y2 (ko) * 1987-11-05 1993-10-27
JP2669650B2 (ja) * 1988-07-07 1997-10-29 豊田工機株式会社 駆動力伝達装置
EP0380101A3 (en) * 1989-01-27 1991-05-29 Toyoda Koki Kabushiki Kaisha Driving power transmission system for vehicle
JPH02209629A (ja) * 1989-02-03 1990-08-21 Toyota Motor Corp 動力伝達機構
JP2536144B2 (ja) * 1989-04-07 1996-09-1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動力伝達機構
FR2650229A1 (fr) * 1989-07-25 1991-02-01 Chardon Clement Transmission integrale sans differentiels par embrayages actifs
JPH04151029A (ja) * 1990-10-11 1992-05-25 Toyoda Mach Works Ltd 駆動力伝達装置
DE4343307C2 (de) * 1993-12-17 1999-02-04 Gkn Viscodrive Gmbh Kupplung zur Übertragung von Drehmomenten zwischen zwei relativ zueinander drehbaren Teilen
DE19602752C1 (de) * 1996-01-26 1997-07-17 Gkn Viscodrive Gmbh Vorrichtung zur Steuerung einer Kupplung
US9428051B1 (en) * 2015-07-21 2016-08-30 American Axle & Manufacturing, Inc. Driveline actuator powered by synchronization event
SE1850961A1 (en) * 2018-08-08 2019-10-01 C Falk Remote Control Ab Torque-limiting clutch comprising an electric control system
DE102019122482A1 (de) * 2019-08-21 2021-02-25 Knorr-Bremse Systeme für Nutzfahrzeuge GmbH Kupplungsscheibe bzw. Reibscheibe, Kupplungsglocke sowie System aus Kupplungsscheibe bzw. Reibscheibe und Kupplungsglocke zum Bewirken einer Geräuschoptimierung
CN116480700B (zh) * 2023-04-26 2024-03-19 广州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动力传输装置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86825A (en) * 1979-12-12 1981-07-15 Aisin Warner Ltd Hydraulic control device for 4-wheel drive transfer
GB2163107A (en) * 1984-08-15 1986-02-19 Fuji Heavy Ind Ltd Four-wheel drive vehicle transmission
DE3604143A1 (de) * 1985-03-06 1986-09-11 Dana Corp., Toledo, Ohio Fahrzeuggetriebe zur uebertragung eines drehmoments auf zwei oder vier raeder
JPS61270562A (ja) * 1985-05-24 1986-11-29 Toyota Motor Corp 副変速機
DE3545540A1 (de) * 1985-12-21 1987-07-02 Audi Ag Antriebsvorrichtung fuer ein vierradgetriebenes kraftfahrzeug
US4805721A (en) * 1986-02-26 1989-02-21 Fuji Jukogyo Kabushiki Kaisha Power transmitting system for a four-wheel drive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605568B2 (en) 1991-01-17
EP0283821A1 (en) 1988-09-28
AU1378688A (en) 1988-09-29
EP0283821B1 (en) 1991-07-24
KR950003839B1 (ko) 1995-04-20
DE3863805D1 (de) 1991-08-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05808A (en) Torque transmission device for a four-wheel drive vehicle
US4966268A (en) Driving power transmission device
EP0381505B1 (en) Control coupling for torque transmission
KR880010935A (ko) 4륜구동차의 토오크 전달장치
US5056640A (en) Torque transmission device for a four-wheel drive vehicle
US5063738A (en) Pressure generation and responsive mechanism with high viscous fluid
JPH023713A (ja) 接続可能な液体摩擦クラッチ
EP0368893B1 (en) A device to oppose relative rotational movement between two rotatable shafts
JPH04231730A (ja) 駆動力伝達装置
JPH01220728A (ja) 駆動力伝達装置
JPH02120530A (ja) 駆動力伝達装置
US6440027B1 (en) Speed difference-dependent hydraulic coupling with temperature compensation
JP2518321B2 (ja) 駆動力伝達装置
JP2522810B2 (ja) 駆動力伝達装置
JPH04254021A (ja) 4輪駆動車の駆動連結装置
JP2974357B2 (ja) 四輪駆動車用駆動力伝達装置
JP2885486B2 (ja) 四輪駆動車用駆動力伝達装置
JPH0710102Y2 (ja) 駆動力伝達装置
JPH0433463Y2 (ko)
JP2779939B2 (ja) ベーンクラッチ
JP2831089B2 (ja) 駆動力伝達装置
JPH0730998Y2 (ja) 動力伝達機構
JP2522848B2 (ja) 駆動力伝達装置
JPH04151028A (ja) 駆動力伝達装置
JPH01169131A (ja) 駆動力伝達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411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