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80002127B1 - 강자성 철 입자의 구형응집체 및 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강자성 철 입자의 구형응집체 및 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80002127B1
KR880002127B1 KR1019810005007A KR810005007A KR880002127B1 KR 880002127 B1 KR880002127 B1 KR 880002127B1 KR 1019810005007 A KR1019810005007 A KR 1019810005007A KR 810005007 A KR810005007 A KR 810005007A KR 880002127 B1 KR880002127 B1 KR 8800021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ticles
spherical
weight
aggregate
spherical aggreg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100050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30007189A (ko
Inventor
라데마허스 야콥
나우만 롤프
비에르만 한스-페터
북스바움 군터
람볼트 볼프강
Original Assignee
바이엘 아크티엔 게젤샤프트
귄터 페터스, 요아힘 그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바이엘 아크티엔 게젤샤프트, 귄터 페터스, 요아힘 그렘 filed Critical 바이엘 아크티엔 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8300071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71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800021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212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00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01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 H01F1/03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 H01F1/032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of hard-magnetic materials
    • H01F1/04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of hard-magnetic materials metals or alloys
    • H01F1/06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of hard-magnetic materials metals or alloys in the form of particles, e.g. powde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5/00Recording by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Reproducing by magnetic mean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5/62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 G11B5/68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omprising one or more layers of magnetisable material homogeneously mixed with a bonding agent
    • G11B5/70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omprising one or more layers of magnetisable material homogeneously mixed with a bonding agent on a base layer
    • G11B5/706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omprising one or more layers of magnetisable material homogeneously mixed with a bonding agent on a base layer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f the magnetic material
    • G11B5/70605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omprising one or more layers of magnetisable material homogeneously mixed with a bonding agent on a base layer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f the magnetic material metals or alloys
    • G11B5/70621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omprising one or more layers of magnetisable material homogeneously mixed with a bonding agent on a base layer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f the magnetic material metals or alloys containing Co metal or allo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FWORKING METALLIC POWDER; MANUFACTURE OF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MAKING METALLIC POWDER;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ETALLIC POWDER
    • B22F1/00Metallic powder; Treatment of metallic powder, e.g. to facilitate working or to improve properties
    • B22F1/14Treatment of metallic powder
    • B22F1/148Agglomerat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5/00Recording by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Reproducing by magnetic mean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5/62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00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01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 H01F1/03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 H01F1/032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of hard-magnetic materials
    • H01F1/04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of hard-magnetic materials metals or alloys
    • H01F1/06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of hard-magnetic materials metals or alloys in the form of particles, e.g. powder
    • H01F1/061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of hard-magnetic materials metals or alloys in the form of particles, e.g. powder with a protective lay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tallurg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e Of Metal Powder And Suspensions Thereof (AREA)
  • Hard Magnetic Materials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 Compounds Of Iron (AREA)
  • Preventing Corrosion Or Incrustation Of Metals (AREA)
  • Magnetic Record Carri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강자성 철 입자의 구형응집체 및 그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실질적으로 철로 구성된 1차 입자들의 구형 응집체, 이러한 응집체의 제조방법 및 자기 녹음 매체 제조시의 그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자기녹음을 훨씬 더 우수한 질을 갖는 물질에 대해 끊임없이 증가되고 있는 욕구에 의해 주로 철, 코발트 및/또는 안료와 니켈을 기본으로 하는 자성금속 및 합금안료의 개발이 이루어졌다. 통상적인 산화철 및 2산화크롬 안료와 비교하여 이들 자성금속 및 합금안료는 상당히 큰 에너지 생성물이며, 이들 물질은 필요한 자기적 활성물질의 양을 감소시키면서 동시에 탁월한 축전 밀도를 갖는 자기 기록용 캐리어로 제조될 수 있다.
이러한 금속안료는 주로, 금속의 산화물 또는 수산화물과 같은 침상 전구체 화합물을 비교적 저온에서 조심스럽게 환원시켜 제조한다.
이러한 금속안료는 이들의 미세한 입자특성 때문에 산화반응에 민감하며 발화성이다. 자기 테이프의 제조 공정과 같은 후속 공정을 행하기 위해, 이들 금속입자는 안정화되어야 한다. 이것은 액체상태에서 금속분말을 후처리하는 방법에 의해서뿐 아니라 조절된 산화공정에 의해 수행할 수 있다.
그 결과로, 액체를 분리시킨후, 금속 철 입자의 표면상에 추가의 산화반응으로부터 표면을 보호하는 보호피복물이 형성된다. 이러한 처리법은 수성상 및 유기용매 중에서 또는 이들 두가지의 혼합물중에서 수행된다.
보호 피복 물질로 바람직하게 사용되는 물질은 표면상에 중합체층을 형성시킬 수 있는 물질이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은 물질이 사용된다 : 아크릴레이트, 알킬렌 옥사이드, 유기 또는 무기 실리콘 화합물.
액상에서의 처리는, 가능한한 형성된 2차응집체를 파괴시키고 각 개개 입자상에 보호 피복불을 적용할 수 있도록, 철저하게 분산시킨 후에 수행한다. 후처리된 철 입자는 통상적으로 액상을 증발시켜 회수한다.
일본국 공개특허원 제 54/121 206호에 따르면, 목적하는 자기특성을 유지시키면서 금속 철 입자로부너 액체를 분리시키는 것은 용이하지 않다. 이제까지 공지된 대부분의 방법은, 이들 방법이 물의 증발을 촉진시키기 위해 아세톤과 같은 용매의 첨가를 필요로 하거나, 공기중에서 너무 큰 자기-점화(self-ignition)의 위험을 안고 있기 때문에 만족스럽지 못하다. 다른 방법에 따르면, 분리단계는, 분말상 물질을 제조하는 이동성 설치부를 갖는 장치중에서 수행된다.
철 입자를 선행 여과단계를 거친후에 고정층에서 건조기키면, 예를 들어 1 내지 10mm 의 균일한 입자 크기를 갖도록 분쇄하여야 하는 큰 응집체가 수득된다. 이 조작 과정중에, 상당량의 분진이 생성된다는 점 이외에, 분쇄에 의해 표면은 다시 유리되고 비보되며, 이는 안정화도에 상당한 영향을 미친다.
다른 공지의 방법은 안정화 현탁액을 분무건조시키는 방법으로 이루어진다. 우수한 유동특성을 갖는 구형 응집체가 이 방법에 의해 수득되지만, 이 응집체는 또한 매우 미세한 입자로써 1mm 훨씬 이하의 직경을 가지며 분진을 발생시키는 경향을 그대로 갖는다. 이들의 부피 밀도(bulk density)는 0.2 내지 0.5kg/ℓ의 매우 낮은 값을 갖는다.
그러나 취급 및 후속 처리과정에서 유리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균일한 입자 크기를 가지며, 자유-유동성이고 분진을 생성하지 않는 안정화된 금속 입자를 수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금속입자는 또한 높은 부피 밀도를 가져야 하지만, 테이프 제조기를 위한 효율적 분산성이 있어야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단점을 갖지 않는 물질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 물질은 안정화된 형태의 미세한 금속 입자를 함유하여야 하며 높은 부피 밀도와 함께 비분진성(non-dust-producting) 및 자유-유동성이 있어야 한다. 또한 이물질은 자기테이프로 제조하기 위한 효과적인 분산성이 있어야 한다.
탁월한 방식으로 이러한 필요조건 모두를 만족시키는 물질은 비-발화성 형태에서 응집체에 대해 측정할때 5 내지 50㎡/g의 BET 표면을 가지며 부피밀도가 0.5 내지 2.0kg/ℓ, 바람직하게는 0.8 내지 1.5kg/ℓ이고 응집체의 직경이 0.5 내지 10mm,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mm인, 실질적으로 철로 구성된 표면-안정화된 1차 입자의 구형 응집체이다.
구형 응집체는, 1차 입자가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0.2 내지 30중량%, 바람직하게는 1 내지 20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2 내지 15중량%의 중합체 및/또는 무기 및/또는 유기 화합물의 가수분해물 및/또는 축합물로 구성되는 피복물에 의해 부동형태로 되는 경우에, 특히 산화반응에 대해 민감하지 않다.
본 발명의 실시양태에서, 피복물은 또한 금속을 기준으로 하여 0.01 내지 5중량%,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4중량%, 특히 0.5 내지 3중량%의 양으로 사용되는, 벤조트리아졸, 벤조티아졸, 벤즈이미다졸, 구아니딘, 아미딘, 포스페이트, 포스포네이트 및/또는 카복실산 금속염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부식 방지제를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구형 응집체는 산화철로 주로 구성된 침상 입자를 건도상태에서 환원시킨 후, 생성물을 액상에서 철저히 분산시키고, 이들을 부식 방지제를 함유할 수 있는 무기 및/또는 유기 피복물로 피복시킨후, 이들을 연속적으로 회전시키고 동시에 텀블링 운동시키면서 휘발성 성분을 증발시킴으로써, 액상으로부터 응집체를 분리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에 의해 수득할 수 있다.
증발은 25 내지 150밀리바의 압력하에서 특히 유리하게 수행된다. 이런 형태의 증발로 인해 철 입자의 자기 특성은 손상되지 않는다. 텀블링, 로울링운동의 결과로 증발과정중에 특정화된 입자크기 및 겉보기 밀도를 갖는 구형 응집체가 형성된다. 놀랍게고, 응집체는 서로 결합되거나 건조장치의 벽에 부착되지 않는다.
입자 직경 1mm이하의 비응집된 물질의 비율은 약 중량%로 비교적 낮다. 이 미세한 물질은 체로 쳐서 습식공정에 재순환시킬 수 있다. 직경 10mm 이상도 5중량%정도이며, 이들도 다시 재순환시킨다.
건조장치의 회전속도를 변화시키는 방법과 같은, 구형 응집체의 입자크기를 증가시켜 더 큰 입자로 제조할 수 있는 공지의 방법 이외에, 이는 또한 건조장치를 둘 또는 그 이상의 부분으로 충진시켜 수행할 수도 있다. 건조과정중에 이미 형성된 응집체에 새 현탁액을 첨가함으로써 응집체의 크기를 더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건조장치는 이 방법에서 최대용량까지 충진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15 내지30중량%의 고체함량을 갖는, 유효하게 분산된 균질한 현탁액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분산은 볼밀(ball mill), 고속 혼합장치를 갖는 교반기가 장치된 용기 또는 분산기중에서 수행할 수 있다. 현탁액중의 철 부분의 농도를 증가시킬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폴리포스페이트와 같은 인산 화합물, 또는 2-포스포노부탄-1,2,4-트리카복실산의 염 또는 에스테르와 같은 포스폰산의 유도체를 첨가하여 매우 점성인 페이스트를 액화시킬 수 있다. 인 화합물의 첨가로 인해 자기 녹음 매체내에서 철 입자의 부식이 동시에 방지된다.
에너지를 절약하기 위하여, 고체를 예비단계에서 농축시킬 수 있다. 금속 철을 기준으로 하여 약 5 내지 15중량%의 양으로 첨가된 안정화 물질은 주로, 처리 과정중에 1차 입자의 표면에 부착된다. 입자 표면에 부착되지 않은 부분은 주로, 처리과정중에 응집체표면에 부착되며, 따라서 이는 또한 공기의 영향으로부터 물질을 보호한다.
또한 안정화는 수득된 구형 응집체를 산소 함량이 0.1 내지 21용적 %인 가스대기중, 15 내지 150℃의 온도에서 열처리하여 성취될 수도 있다. 이 처리는 응집체의 마멸저항성 때문에 유동상태내에서 매우 유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는 응집체의 제조방법은 텀블링 혼합기로 산업분야에서 공지되어 있는 장치에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겹 원뿔 혼합기(double cone mixer)를 사용할 수도 있다. 장치에는 반드시 가열 자켓(heating jacket)이 설비되어 있어야 하며, 이는 접촉 건조기로 작동될 수 있다. 가열은 전기적으로 수행할 수 있거나, 스팀 도는 열유를 사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증발과정중에 원치않는 산화 반응에 대한 보호를 위해서는 건조기를 질소와 같은 불활성 가스로 둘러싸는 것이 필요하다.
상기 장치에서 텀블링 운동의 결과로, 한편으로는 산소가 물질내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여 개선된 안정화가 얻어지도록 하고, 다음 한편으로는 더 작은 용기내로 이동이 가능하게 하는 응집체의 더 큰 부피 밀도가 수득된다. 수득되는 더 큰 겉보기 중량에서 불구하고 부착효과(sticking-on effect)는 나타나지 않고 자기 데이타는 결코 부정적인 어떤 영향도 받지 않는다. 생성된 응집체는 테이프 제조 과정중에 우수한 분산성을 나타낸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는 구형 응집체는 자기 녹음 매체를 제조하는데 매우 적합하다.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에 대한 제한없이,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된 것이다.
[실시예]
수소를 사용하여 유동상에서 침상 산화 철을 환원시켜 수득한 20kg의 미세 입자상 금속 철을, 2.5kg의 부분적으로 축합된 2-에틸-부틸옥시-트리에톡시-실란과 60kg의 암모늄 폴리포스페이트를 함유하는 77ℓ의 물에 도입시킨다. 이 현탁액을 약 15분동안, 냉각시키면서 불활성가스 대시(질소)하에 분산기중에서, 고체 입자의 입자크기가 100μm미만이 될때가지 균일하게 분산시킨다.
약 20중량%의 고체를 함유하며, 아직은 효과적으로 펌프할 수 있는 50kg의 생성된 현탁액을 스팀 가열된 약 80ℓ용적의 텀블링 혼합기에 도입시킨다. 건조기를 회전시키면서, 약 100℃의 자켓 온도 및 약 50밀리바의 내부 압력하에서 현탁액을 증발시킨다. 약 4시간후에는, 약 80중량%의 물이 증발한다. 그후 미세하게 분산된 현탁액의 나머지반을 가한다. 질소류하에서 수행되는 완전 증발 과정은 추가로 10시간후에 완결된다.
스팀대신에 건조 자켓을 통해 도입되는 냉각수를 사용하여 1시간 동안 냉각시킨후, 불활성 가스를 추가로 공급하면서 건조기를 비운다. 약 21.5kg의 구형 응집체 물질이 수득되는데, 이중의 90중량%는 1내지 6mm의 입자크기를 갖는다. 나머지10중량%의 거칠고 미세한 입자는 습식처리하기 전에 공정에 재순환시킨다.
이들 과립을 6시간 동안 대기중의 산소함량을 서서히 증가시키면서 실온에서 공기와 접촉시킨 다음, 벽온도가 75℃에 도달할 때까지 50용적%의 공기와 50용적%의 질소의 혼합물하에서 온도를 증가시키면서 어닐링 시킨다. 이러한 후속 어닐링의 결과로, "그레워 오븐(Grewer Oven)"으로 알려진 장치에서 측정한 자기-점화 온도는 다시 20℃까지 상승된다[그레워 오븐(Grewer Oven)에 관한 참고문헌 : Publication of the Trade Association of the chemical industry on Achema 79 "Mehr Sicherheit durch
Figure kpo00001
P.37].
응집체의 부피 밀도는 0.95kg/ℓ이다.
자기 기록용 캐리어를 제조하기 위해 통상적으로 용매중에서 수행하는 마찰 과정중에 구형 응집체는 약한 전단력하에서 1차 입자로 붕해된다. 이 입자는 20㎡/g의 BET 표면을 갖는다.
분쇄된 응집체는 280KA/m의 자장에서 하기와 같은 자기값을 갖는다.
보자력(coercive force) 92[kA/m]
잔류자기화/포화자기화의 비율 0.60
포화자기화
Figure kpo00002
본 명세서와 실시예는 제한없이 설명을 위해 기술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주 및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어떠한 여러가지 변형 수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한 것이다.

Claims (16)

  1. 비-발화성 형태의, 응집체에 대해 측정한 것으로 5 내지 50㎡/g의 BET 표면을 가지며, 겉보기 중량이 0.5 내지 2.0kg/ℓ이고, 응집체 직경이 0.5 내지 10mm인, 실질적으로 철로 구성된 표면-안정화 1차 입자의 구형 응집체.
  2. 제 1 항에 있어서, 겉보기 중량이 0.8 내지 1.5kg/ℓ이며 응집체 직경이 1 내지 5mm인 구형 응집체.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1차 입자가 하나 이상의 중합체 또는 중합체-형성물질 또는, 무기 또는 유기 화합물의 가수분해물 또는 축합물을 0.2 내지 30중량%의 양으로 함유하는 구형 응집체.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함량이 1 내지 20중량%인 구형 응집체.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함량이 2 내지 15중량%인 구형 응집체.
  6. 제 3 항에 있어서, 1차 입자가 하나 이상의 부식 방지제를 더 함유하는 구형 응집체.
  7. 제 6 항에 있어서, 부식 방지제가 벤조트리아졸, 벤조티아졸, 벤즈이미다졸, 구아니딘, 아미딘, 포스페이트, 포스포네이트, 카복실산의 금속염 및 이들의 혼합물중에서 선택된 것이며, 이들이 금속을 기준으로 하여 0.01 내지 5중량%의 양으로 존재하는 구형 응집체.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함량이 0.1 내지 4중량%인 구형 응집체.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함량이 0.5 내지 3중량%인 구형 응집체.
  10. 제 1 항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산화철로 구성된 입자를 환원시킨 후에, 이 입자를 액상에서 철저히 분산시키고, 하나 이상의 중합체-형성물질 또는, 무기 또는 유기 화합물의 가수분해물 또는 축합물로 피복시킨 다음, 휘발성 성분을 증발시키고 생성된 과립을 열처리하여 수득될 수 있는 구형 응집체.
  11. 건조상태에서, 실질적으로 산화철로 구성된 입자를 환원시키고, 환원된 입자를 액상에서 철저히 분산시킨 후, 이 입자를, 부식방지제를 함유할 수 있는 무기 피복물, 유기 피복물 또는 이의 혼합물로 피복시키고, 연속 회전시키고 동시에 텀블링 운동시키면서 휘발성 성분을 증발시킴으로서 액상으로부터 입자를 분리시키고, 생성된 과립을 열처리함을 특징으로 하여, 제 1 항에 따르는 구형 응집체를 제조하는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증발단계전에 여과를 수행하는 방법.
  13.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증발을 저압하에서 수행하는 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열처리를, 산소함량이 0.1 내지 21용적%인 가스 대기하에 15내지 150℃의 온도에서 수행하는 방법.
  15. 제11항에 따르는 방법에 의해 제조된 구형 응집체.
  16. 제 1 항에 따르는 구형 응집체를 사용하여 제조된 자기녹음매체.
KR1019810005007A 1980-12-19 1981-12-19 강자성 철 입자의 구형응집체 및 그의 제조방법 KR88000212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3048086.5 1980-12-19
DE19803048086 DE3048086A1 (de) 1980-12-19 1980-12-19 Agglomerierte ferromagnetische eisenteilche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7189A KR830007189A (ko) 1983-10-14
KR880002127B1 true KR880002127B1 (ko) 1988-10-15

Family

ID=61197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10005007A KR880002127B1 (ko) 1980-12-19 1981-12-19 강자성 철 입자의 구형응집체 및 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4470844A (ko)
EP (1) EP0054818B1 (ko)
JP (1) JPS57126103A (ko)
KR (1) KR880002127B1 (ko)
BR (1) BR8108270A (ko)
CA (1) CA1168430A (ko)
DE (2) DE304808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203224A (ja) * 1983-05-02 1984-11-17 Fuji Photo Film Co Ltd 磁気記録媒体
DE3330767A1 (de) * 1983-08-26 1985-03-14 Bayer Ag, 5090 Leverkusen Handhabungsstabile im wesentlichen aus eisen bestehende magnetpigmente,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sowie ihre verwendung
JPH0611008B2 (ja) * 1983-11-16 1994-02-09 株式会社東芝 圧粉鉄心
GB8529418D0 (en) * 1985-11-29 1986-01-08 Allied Colloids Ltd Iron ore pelletisation
US4728537A (en) * 1985-11-29 1988-03-01 Allied Colloids Limited Ore pelletization
NL8601635A (nl) * 1986-06-27 1988-01-18 Vmei Lenin Nis Hittebestendig amorf ferromagnetisch poeder alsmede een werkwijze en inrichting voor de bereiding ervan.
JPS63199801A (ja) * 1987-02-12 1988-08-18 Chisso Corp 強磁性金属粉末の安定化処理装置
US4743466A (en) * 1987-06-05 1988-05-10 Eastman Kodak Company Corrosion inhibition of iron and its alloys
JPH0620008B2 (ja) * 1987-08-24 1994-03-16 チッソ株式会社 酸化皮膜を有する強磁性金属粉末の製造方法
EP0810615B1 (en) * 1996-05-28 2002-12-11 Hitachi, Ltd. Soft-magnetic powder composite core having particles with insulating layers
EP1164582A3 (en) * 2000-06-13 2002-03-20 Toda Kogyo Corporation Secondary agglomerates of magnetic metal particles for magnetic recording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US6589667B1 (en) * 2000-09-26 2003-07-08 Höganäs Ab Spherical porous iron powder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US6783608B2 (en) 2001-04-27 2004-08-31 Toda Kogyo Corporation Secondary agglomerates of magnetic metal particles for magnetic recording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JP5544928B2 (ja) * 2010-02-26 2014-07-09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造粒粉末および造粒粉末の製造方法
EP2364799A1 (en) * 2010-03-03 2011-09-14 Seiko Epson Corporation Granulated powder and method for producing granulated powder
JP5544945B2 (ja) * 2010-03-11 2014-07-09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造粒粉末および造粒粉末の製造方法
DE102019207824A1 (de) * 2019-05-28 2020-12-03 Thyssenkrupp Steel Europe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Eisenpulver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857201A (en) * 1931-07-02 1932-05-10 Bell Telephone Labor Inc Process for insulating magnetic bodies
JPS5120593A (ko) * 1974-08-13 1976-02-1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DE2524517B2 (de) * 1975-06-03 1979-01-18 Philips Patentverwaltung Gmbh, 2000 Hamburg Verfahren zur Stabilisierung pyrophorer Eisenpulver
JPS5424000A (en) * 1977-07-22 1979-02-22 Fuji Photo Film Co Ltd High density magnetograph substance
DE2743298A1 (de) * 1977-09-27 1979-04-05 Basf Ag Ferromagnetische, im wesentlichen aus eisen bestehende metallteilchen und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JPS5813008B2 (ja) * 1977-10-06 1983-03-11 日本ビクター株式会社 磁性鉄粉の製造方法
JPS54121269A (en) * 1978-03-14 1979-09-20 Tdk Corp Manufacture of ferromagnetic metal powder
US4305752A (en) * 1979-07-30 1981-12-15 Pfizer Inc. Metallic iron particles for magnetic recording
JPS579802A (en) * 1980-06-20 1982-01-19 Dainippon Ink & Chem Inc Metallic magnetic powder and its manufactu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1168430A (en) 1984-06-05
DE3163927D1 (en) 1984-07-05
JPS57126103A (en) 1982-08-05
BR8108270A (pt) 1982-10-05
DE3048086A1 (de) 1982-07-15
KR830007189A (ko) 1983-10-14
US4470844A (en) 1984-09-11
EP0054818A1 (de) 1982-06-30
EP0054818B1 (de) 1984-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80002127B1 (ko) 강자성 철 입자의 구형응집체 및 그의 제조방법
US4219590A (en) Method for improving calcium carbonate
US4165232A (en) Manufacture of ferromagnetic metal particles essentially consisting of iron
NL8103503A (nl) Werkwijze voor het bereiden van ferromagnetische metallische deeltjes.
Muthukumaran et al. A single pot approach for synthesis of phosphate coated iron oxide nanoparticles
US4325739A (en) Magnetic metal and alloy pigments
US4420330A (en) Stabilization of pyrophoric ferromagnetic acicular metal particles consisting essentially of iron
US4439231A (en) Preparation of acicular ferromagnetic metal particles consisting essentially of iron
US4073977A (en) Stabilization of pyrophoric metal powders with alkylene oxide polymers
US4295879A (en) Manufacture of acicular ferromagnetic iron particles
EP0615231B1 (en) Process for producing magnetic metal particles
JPS5813099B2 (ja) 容易に分散可能なシリコ−ン被覆された微細分割固体
JPS62241827A (ja) 磁気記録用強磁性微粉末の製造方法
WO2016199937A1 (ja) イプシロン酸化鉄とその製造方法、磁性塗料および磁気記録媒体
PL184008B1 (pl) Igiełkowate pigmenty ferromagnetyczne, sposób wytwarzania igiełkowatych pigmentów ferromagnetycznych i magnetyczne materiały do zapisu
JPS6021307A (ja) 強磁性金属粉末の製造方法
JPS62260724A (ja) 磁気記録用強磁性微粉末の製造方法
JPH11240709A (ja) 金属珪素粉末
JPH03261620A (ja) 安定化された針状二酸化クロムの製造方法
JPH02175806A (ja) 磁気記録用金属磁性粉末の製造方法
KR840001844B1 (ko) 자성금속안료 및 합금안료의 제조방법
JPS5915357B2 (ja) 磁性金属及び合金顔料
JPH01298106A (ja) 強磁性鉄紛の製造法
JPS62235220A (ja) 磁気記録用強磁性微粉末の製造方法
JPH05163503A (ja) 金属磁性粉の安定化処理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