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80002036B1 - 유비데카레논 함유 리포솜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유비데카레논 함유 리포솜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80002036B1
KR880002036B1 KR8203038A KR820003038A KR880002036B1 KR 880002036 B1 KR880002036 B1 KR 880002036B1 KR 8203038 A KR8203038 A KR 8203038A KR 820003038 A KR820003038 A KR 820003038A KR 880002036 B1 KR880002036 B1 KR 8800020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posome
sample
liposomes
mole
ub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82030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40000241A (ko
Inventor
마사히로 다까다
데루아끼 유즈리하
고오이찌 가다야마
쥰조오 스나모도
Original Assignee
나이또오 유우지
에자이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이또오 유우지, 에자이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나이또오 유우지
Publication of KR8400002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02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800020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20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0Dispersions; Emulsions
    • A61K9/127Liposomes
    • A61K9/1277Processes for preparing; Proliposom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0Dispersions; Emulsions
    • A61K9/127Liposom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2Keto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2Ketones
    • A61K31/122Ketones having the oxygen directly attached to a ring, e.g. quinones, vitamin K1, anthral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ard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유비데카레논 함유 리포솜의 제조방법
제 1 도는 실시예 1에서 얻은 결과를 도시한 그래프.
제 2 도 내지 제 4 도는 실시예 2에서 얻은 결과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혈액중에서 목표 장기까지 유비데카레논의 이동을 신속하게 할 수 있는 유비데카레논을 함유하는 리포솜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유비데카레논, 일명 조효소 Q10은 심기능의 개선에 유효한 의약품으로서 근년 임상상에 널리 이용하기에 이르렀다.
그러나, 이 물질을 정맥내 투여 혹은 경구 투여한 경우에 있어서의 혈액중에서 목포장기까지의 이동속도에 대해서는 아직 개선된 여지가 남아 있다. 즉, 당해 물질은 상기와 같이 심기능의 개선을 목적으로 하는 의약품이므로 목표장기에의 초기 이동속도 및 이동량이 큰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당해물질을 종래 기술에 의하여 체제화하여 투여할 경우 혈액중에서의 소실 속도는 상당히 적어지고 따라서 목포장기에의 이동속도 및 이동량도 작아진다.
당해물질은 48-52℃의 융점을 지니는 상온에서 고체상의 지용성 물질이므로, 정맥내 투여에 편리하게 하기 위하여는 계면활성체, 예컨대 HCO(폴리옥시에틸렌 경화피마지유)를 사용한다. 이러한 종래 기술은 당해물질을 용해해서 사용하여야 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용해하여 투여한 경우, 유비데카레논의 혈액중에서의 소실속도는 작고, 또 유비데카레논의 목표장기인 심장, 비장, 간장 특히 심장에의 초기 이동속도 또한 작아지게 된다.
이러한 사정에 비추어, 본 발명자는 혈액중에서 소정의 목표장기에의 이동을 상승시키는데에 있어서 유효한 유비데카레논 함유 조성물에 대하여 여러가지로 검토한 결과 유비데카레논을 레포솜중에 함유시킴으로서 소기의 해결수단이 제공되다는 것을 알고,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즉, 하기의 실험예에서 제시되는 바와 같이 투여후에 있어서의 혈액중에서의 소실속도 및 소정 시간내에 있어서의 장기 이동량을 살표보면, 본 발명 리포솜을 투여한 경우에는, 종래 기술의 용해성 유비데카레논을 투여한 경우와 비교할 때 혈액중에서의 소실속도가 현저히 크고, 또 폐, 신장을 제외한 여러 장기에 있어서 높은 이동량을 나타낸다.
또한 일반적으로 리포솜 자체는 공지의 것이고, 그 제법에 대하여도 상법(상법常法)의 것이 있다. 그러나 리포솜기술을 유비데카레논에 응용하여, 유비데카레논 함유 리포솜을 수득하고 그것에 의해 유비데카레논에 있어서의 상술된 기본 문제를 해결하고, 유비데카레논의 이용가치를 현저히 높이는데 성공한 것은 본 발명에서 처음 이룩한 것이다.
본 발명 리포솜에 있어서 유비데카레논은 리포솜을 구성하는 막중에 함유된다. 리포솜막을 구성하는 기본물질은 인지질 및 스테롤이고, 유비데카레논은 이들과 공존하여, 막중에 균인하게 분산되어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사용되는 인지질로서는 예컨대 포스파티딜콜린, 포시파티딜에탄올아민, 포스파티딜세린, 스핑고미엘린, 디세틸인산, 스테아릴아민, 포스파티딜글리세롤, 포스파티딘산, 포스파티딜이노시톨 및 이의 혼합물을 들 수 있으나 이것에만 제한되지 않는다. 스테롤은 콜레스테롤이 가장 바람직하다. 리포솜중에 존재하는 유비데카레논, 인지질, 스테롤의 조성비는 유비데카레논 1몰비에 대하여 인지질은 10몰비이상, 스테롤은 1몰비이상 있으면 충분하고, 예컨대 유비데카레논 1몰비에 대하여, 인지질로서 계란노른자 포스타티딜콜린을 사용할 경우에는 10-30몰비 또 스테롤로서 콜레스테롤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1-10몰 비가 바람직한 사용범위이다.
유비데카레논 1몰비에 대한 인지질과 콜레스테롤의 바람직한 몰조성비의 예를 제시하면, 이하 1-7과 같다.
Figure kpo00001
PC : 포스파티딜콜린
DCP : 디세딜인산
PS : 포스파티딜 세린
SA : 스테아릴 아민
본 발명 리포솜은, 전자 현미경으로 보면 0.1-5.0μ정도의 입자지금을 가지ㅐ는 구형체이다. 동결 건조물은 응집하여 외관상은 블럭 모양을 나타내고 있으나, 물 또는 염류 용액에 투입하면 잘 분산하여 균질 영액이 된다.
다음에 본 발명 리포솜은, 리포솜의 제조에 관한 종래기술을 준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예컨대, 리포솜의 막 구성성분과 유비데카레논을 가지 모양의 플라스크에 채운뒤 클로로포름을 가하여 일단 용해하고, 다음에 용매를 유거하고, 생성막을 유리 비이드와 적당한 완충액등을 가해서 박리하고, 초음파 처리후 세파댁스 혹은 세파로우즈 컬럼에 통과시켜서 리포솜 분획을 채집하고, 용매를 제저하면 된다. 용매제거에는 예컨대 동질 건조 처리를 적용할 수 있다.
동결건조처리는 2.0Torr 이하에서 3시간 이상 행하면, 소정의 목적이 달성되고 리포솜을 분말상으로 얻을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 조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바람직한 조건으로서는 하기 실시예에 제시되는 바와 같이, 예컨대 0.3Torr에서 5시간 동결 건조처리하는 방법이 선택된다.
본 발명 리포솜의 효과를 아래에 기재하는 실험예를 가지고 설명한다.
[실험예 1]
시료 :
실시예 1기재에 있어서 조효소 CoQ10대신에14C-CoQ10을 사용한 점을 제외하고 실시예 1기제와 같은 방법에 의하여 얻은 리포솜을 검체시료로 하였다. 또14C-CoQ10에 4배량의 HCO-60을 가하여 초음파 처리하여 용해하고 생리식염액을 가하여 농도를 0.6mg/ml로 조정한 것을 대조시료로 하였다.
방법 :
1. 동물 실험
숫컷 기니아 피그(체중300-350g)의 좌측 대퇴부 정맥에 검체시료 0.6mg의14C-CoQ10/kg를 주입하였다. 또 같은 투여량의 대조 시료를 동일한 방법으로 투여하였다. 그 후는 동물들을 사육 우리에 방치하고, 소정시간 경과 마다 귀정맥에서 혈액을 채취하였다. 채취한 혈액중의14C-CoQ10농도를 이하에 기재한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2. 혈액중 방사능의 측정
귀 정맥에서 20μ1또는 50μ1의 혈액을 채취하고 0.75ml의 솔루엔 350/이소프로필 알콜(1/1)로 용해하고 몇방울의 과산화수소수를 가하여 탈생한 수 인스타겔/0.5 N HCL(9/1) 5ml를 가하고 액체 신틸레이션 카운터를 사용하여 방사능을 측정하였다.
3. 결과
검체시료 도는 대조시료를 투여한 경우의14C-CoQ10의 혈액중 방사능 농도의 시간에 따른 경시변화를 나타낸 그래프를 제 1 에 도시하였다.
제 1 도의 설명 :
"O" 표선은 검체시료를 투여한 경우의 것(2예의 평균치0, Φ표선은 대조시료를 투여한 경우의 것(3예의 평균치와 표준 편차치)을 각각 표시한다.
제 1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검체 시료중의14C-CoQ10의 혈중에서의 수실은, 투여후 1시간에서 절곡하는 2개의 직선으로 표시되고 그 소실 반감기는 제1단계가 11.5분, 제2단계와 15.6시간이었다. 또 대상시료중의14C-CoQ10의 혈중에서의 소실은, 1개의 직선으로 표시되고, 그 소실 반감기는 20.1시간이였다. 이 결과에서 검체 시료중의14C-CoQ10의 혈중에서의 소실은 대조시료중의14C-CoQ10의 소실보다 극히 빠르다는 것이 발견되었다.
[실험예 2]
시료 :
실시예 1시료와 같이검체시료 및 대조시료를 사용하였다.
방법 :
1. 동물 실험
숫컷은 기니아피그(체중 300g-350g)의 좌측 대퇴부 정맥에 상기 시료를 각기0.6mg/kg 주입하였다. 그후는, 사육동물우리에 방치하고, 투여 후 30분 및 24시간후에 머리를 잘라 죽이고, 각 장기를 적축하였다. 또 뇌와 심장에의 혈액의 오염을 제거할 목적으로 생리 식염수를 좌측심실에서 좌측심실에서 경정맥에 걸쳐서 환류하고, 혈액을 뽑아 뇌와 심장을 적출하였다.
2. 조직내 방사능의 측정
장기 약 100mg에 0.5ml의 솔루엔 350을 가하고, 50℃, 2시간의 인큐베이터로 조직을 용해한 후 6ml의 인스타겔/0.5N HCL(9/1)를 가하고 액체 신틸레이션 카운터를 이용하여 방사능을 측정하였다.
3. 결과
검체 시료중의14C-CoQ10및 대조시료중의14C-CoQ10을 각각 정맥내에 주입한 후30분과 24시간에 있어서의 주요 장기중의 방사능 농도를 CoQ10환산량으로 나타내고, 양자의 장기 이동성을 비교한 것이 제 2 도 내지 제 4 도에 나타나 있다.
제 2 도 내지 제 4 도의 설명 :
빗금친 칼럼
Figure kpo00002
은, 검체 시료를 투여한 경우의 것(2예의 평균치), 빈 칼럼
Figure kpo00003
은 대조시료를 투여한 경우의 것(3예의 평균치와 표준편차치 다만 뇌, 심장에 투여후 30분의 경우는 2예의 평균치)를 각각 표시한다.14C-CoQ10의 조직에의 분포에서는 대조시료에 비하여 검체시료가 농도가 신속하게 증가되고, 또 더 오래 지속성을 유지하여, 대조시료 투여의 경우와는 상이한 분포를 나타냈다. 우선 뇌, 심장, 간장, 비장과 부신으로의 이동에서 검체시료쪽이 대조시료에 비하여 고농도로 신속하게 분포하였다. 즉 투여후 30분에서는 검체시료의 쪽이 대조시료에 비해 심장에 있어서 16배, 뇌에서 2배의 농도로 분포하는 것이 판명되었다.
이하에 기재하는 실시예를 가지고 본 발명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예 1]
계란 노른자 포스파티딜콜린 36mg(4.5×19-5몰), 콜레스테롤 5.85mg(1.5×10-5몰) 및 유비데카레논 즉 CoQ102.16mg(2.5×10-5몰)을 2ml의 클로로포름에 용해하고, 회전식 증발기를 사용해서 감압하에 클로로포름을 제거하였다. 얻어진 엷은 막을 감압 데이케이터로 하룻밤 건조하고, 클로로포름을 완전히 제거하였다. 바닥에 남은 엷은 막에 막이 완전히 벗겨질때 까지 3.0ml씩 2회로 계6.0ml의 완충액 A 및 유리비드 1개의 가하여 볼텍스 믹서로 흔들어 준다.
다음에 이 용액을 가지달린 시험관에 옮기로 아르곤 기류하 빙역중에서 탐색형 소니케이터를 이용해서 30초마다 단속적으로 53분간, 42W로 초음파 처리를 행하면 반투명의 옅은 황색의 용액이 얻어진다.
이 용액을 세파로우즈 4B 컬럼(1.6×45cm)에 옮기고 완충액 A로 용출하고, 1.8ml씩 60개의 시험관에 분취하여 시료를 채취하였다. 이 칼럼의 거의 빈 부피 부근에 용출해 온 것을 0.08μm의 구멍크기를 가진 폴리카르보네이트 막을 이용하여 최종 체적 1.7ml(CoQ10으로 0.55mg 함유)까지 농축하였다. 얻어진 리포솜의 직경은 전자 현미경 관찰했을때 80-100μ m를 나타내었다. 또 완충액 A이란 0.1M Nacl를 함유하는 0.0M 인산 완충액(pH 7.4)이다.
[실시예 2]
계란 노른자 포스파티딜콜린 60.0mg(3몰비), 콜레스테롤 9.8mg(1몰비), 유비데카레논 6.5mg(0.3 몰비)를 200ml의 가지형 플라스크에 담고, 클로로포름 4ml를 가하여 용해하고, 용매를 감압 유거한다. 생리 식염수 4ml와 유리비드를 가하고, 볼텍스 믹서를 이용하여 분산시킨다. 산출된 다중층 막을 가지달린 시험관에 옮기고, 질소 가스 분위기하에 빙욕중에서 초음파 처리(25KW, 15분)를 행한다. 다음에 세파덱스 g-50 칼럼에 부하하고, 생리 식염수를 용출액으로 용출시키고, 리포솜 분획을 모으고, 30ml까지 희석시킨다. 이것을 동결 건조처리90.3 토르, 5시간)하면 기포솜이 얻어진다.

Claims (6)

10몰의 인지질과 1몰의 스테롤로 구성된 리포솜의 막성분과 1몰의 유비데카레논을 용기내로 투여하고, 이 성분들을 용해시키키 위해 유기용매나 물, 염용액을 가한 뒤 이들을 증발시켜 리포솜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비데카레논 함유 리포솜의 제조방법.
제 1 항에 있어서, 유비데카레논이 리포솜의 막내에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비테카레논 함유 리포솜의 제조방법.
제 1 항에 있어서, 리포솜의 막은 인지질 및 스테롤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비데카레논 함유 리포솜의 제조방법.
제 1 항에 있어서, 인지질은 포스파티딜 콜린, 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 포스파티딜세린, 스핑고미엘린, 디세틸인산, 스테아릴아민, 포스파티딜글리세롤, 포스파티딘산, 포스파티딜이노시톨 및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된 그룹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비데카레논 함유 리포솜의 제조방법.
제 1 항에 있어서, 스테롤은 콜레스테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비데칼레논 함유 리포솜의 제조방법.
제 1 항에 있어서, 유비데카레논 1몰, 인지질 10몰, 스테롤 1몰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비데카레논 함유 리포솜의 제조방법.
KR8203038A 1981-07-08 1982-07-08 유비데카레논 함유 리포솜의 제조방법 KR88000203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05689 1981-07-08
JP105.689 1981-07-08
JP56105689A JPS588010A (ja) 1981-07-08 1981-07-08 ユビデカレノン含有リポソ−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0241A KR840000241A (ko) 1984-02-18
KR880002036B1 true KR880002036B1 (ko) 1988-10-13

Family

ID=144143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8203038A KR880002036B1 (ko) 1981-07-08 1982-07-08 유비데카레논 함유 리포솜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EP (1) EP0069399B1 (ko)
JP (1) JPS588010A (ko)
KR (1) KR880002036B1 (ko)
CA (1) CA1197463A (ko)
DE (1) DE3273949D1 (ko)
ES (1) ES513789A0 (ko)
PH (1) PH17553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1214540B (it) * 1986-10-23 1990-01-18 Vincenzo Zappia Mario De Rosa Formulazioni idrosolubili di ubidecarenoni, procedimento per laloro preparazione e composizioni farmaceutiche che li compongono.
US4883670A (en) * 1986-10-23 1989-11-28 Arval S.P.A. Cosmetic preparations containing ubidecarenones
US5690954A (en) * 1987-05-22 1997-11-25 Danbiosyst Uk Limited Enhanced uptake drug delivery system having microspheres containing an active drug and a bioavailability improving material
GB8723846D0 (en) * 1987-10-10 1987-11-11 Danbiosyst Ltd Bioadhesive microsphere drug delivery system
US5298246A (en) * 1991-01-09 1994-03-29 Kanegafuchi Kagaku Kogyo Kabushiki Kaisha Stable pharmaceutical composition and method for its production
AU688033B2 (en) * 1994-07-06 1998-03-05 Colgate-Palmolive Company, The Aqueous liquid detergent compositions containing deflocculating polymers
DE69631970T2 (de) * 1995-12-15 2005-04-14 National Research Council Of Canada, Ottawa Archaeoliposome, Koenzym Q10 enthaltende Archaeoliposome und Koenzym Q10 enthaltende Liposome als Adjuvans und Wirkstoffabgabevehikel
EP1009383A1 (en) * 1997-09-04 2000-06-21 Biozone Laboratories, Inc. Oral liposomal delivery system
JP3742602B2 (ja) * 2001-05-09 2006-02-08 株式会社カネカ 還元型補酵素qの安定な溶液
DE10255285A1 (de) * 2002-11-26 2004-06-03 Mcs Micro Carrier Systems Gmbh Selbst formende Phospholipid-Gele
CN1208052C (zh) * 2003-03-20 2005-06-29 上海家化联合股份有限公司 一种辅酶q10前体脂质体及其制备方法
JP2006137684A (ja) * 2004-11-10 2006-06-01 Nippon Fine Chem Co Ltd リポソーム前駆体の製造方法
JP5140913B2 (ja) * 2005-09-14 2013-02-13 日油株式会社 コエンザイムq10含有化粧料用リポソーム
EP3173068B1 (en) * 2006-05-02 2020-09-09 University of Miami Topical co-enzyme q10 formulations and treatment of wounds
SG10202010355PA (en) 2010-03-12 2020-11-27 Berg Llc Intravenous formulations of coenzyme q10 (coq10) and methods of use thereof
KR20200015549A (ko) 2017-05-17 2020-02-12 버그 엘엘씨 수포성 표피박리증의 치료 및 예방에서 조효소 q10 제형의 용도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249552A1 (de) * 1971-10-12 1973-05-30 Inchema S A Verfahren zur inkapsulation von insbesondere wasserloeslichen verbindungen
JPS5919527B2 (ja) * 1976-01-13 1984-05-07 バテル メモリアル インステイチユ−ト リポソ−ムの製造方法
JPS5356315A (en) * 1976-11-01 1978-05-22 Eisai Co Ltd Emulsified solution of fat soluble drugs
JPS55118415A (en) * 1979-02-28 1980-09-11 Pii Papahadojiyopo Dometoriosu Method of encapsulating biologically active substance in lipoid cell
FR2472384A1 (fr) * 1979-12-27 1981-07-03 Sederma Sa Utilisation en cosmetologie de complexes naturels constitues d'ubiquinones et de phospholipid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3273949D1 (en) 1986-12-04
JPH0321525B2 (ko) 1991-03-22
PH17553A (en) 1984-09-20
EP0069399B1 (en) 1986-10-29
EP0069399A2 (en) 1983-01-12
EP0069399A3 (en) 1983-03-30
ES8401526A1 (es) 1983-12-16
JPS588010A (ja) 1983-01-18
CA1197463A (en) 1985-12-03
KR840000241A (ko) 1984-02-18
ES513789A0 (es) 1983-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094692B1 (en) Coated ubidecarenone-containing liposome
KR880002036B1 (ko) 유비데카레논 함유 리포솜의 제조방법
AU654120B2 (en) Solid tumor treatment method and composition
US4743449A (en) Drug-containing lipid vesicle preparation and method for preparing them
Liu et al. Role of liposome size and RES blockade in controlling biodistribution and tumor uptake of GM1-containing liposomes
Gregoriadis et al. The phospholipid component of small unilamellar liposomes controls the rate of clearance of entrapped solutes from the circulation
US4089801A (e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liposomes
US4241046A (en) Method of encapsulating 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in lipid vesicles
EP0004223B1 (fr) Procédé de fabrication de capsules lipidiques renfermant un matériau biologiquement actif, produits obtenus par ce procédé ainsi que leur utilisation
US4687762A (en) Water soluble drug complex and method for production of same
KR100315213B1 (ko) 리포좀생산방법
EP0469082B1 (en) Liposomal targeting of ischemic tissue
JPH01502590A (ja) 循環時間の長いリポソーム
JPH0761947B2 (ja) リン脂質ミセル粒子に被包されたアントラサイクリン抗腫瘍薬
JP3308010B2 (ja) 被膜安定化リポソーム及びその製造方法
EP0298984A1 (en) COMPOSITIONS OF LIPOSOMES AND $g(b) 2?-RECEPTOR ACTIVE SUBSTANCES
JPH03127622A (ja) pH感受性リポソーム
EP0160286A2 (en) Liposomes
JP3850468B2 (ja) エリスロポエチンのリポソーム製剤
Gopinath et al. Pharmacokinetics of zidovudine following intravenous bolus administration of a novel niosome preparation devoid of cholesterol
JPS601124A (ja) ユビデカレノン含有リポソ−ム被覆体
CN103040744B (zh) 一种棓丙酯脂质体注射剂
JPH0446129A (ja) 新規なリポソーム形成助剤
JPH04356421A (ja) プロスタグランジン類含有脂肪小体組成物
JPH01175944A (ja) 虚血性疾患予防及び治療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