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80001468B1 - 카세트 테이프 기록 재생 장치 - Google Patents
카세트 테이프 기록 재생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880001468B1 KR880001468B1 KR1019810005292A KR810005292A KR880001468B1 KR 880001468 B1 KR880001468 B1 KR 880001468B1 KR 1019810005292 A KR1019810005292 A KR 1019810005292A KR 810005292 A KR810005292 A KR 810005292A KR 880001468 B1 KR880001468 B1 KR 88000146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assette
- button
- plate
- gear
- operat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675—Guiding containers, e.g. loading, ejecting cassettes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18—Driving; Starting; Stopping; Arrangements fo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G11B15/1883—Driving; Starting; Stopping; Arrangements fo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for record carriers inside containers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18—Driving; Starting; Stopping; Arrangements fo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G11B15/44—Speed-changing arrangements; Reversing arrangements; Drive transfer means therefor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18—Driving; Starting; Stopping; Arrangements fo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G11B15/44—Speed-changing arrangements; Reversing arrangements; Drive transfer means therefor
- G11B15/442—Control thereof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675—Guiding containers, e.g. loading, ejecting cassettes
- G11B15/67581—Guiding containers, e.g. loading, ejecting cassettes with pivoting movement of the cassette holder
- G11B15/67584—Guiding containers, e.g. loading, ejecting cassettes with pivoting movement of the cassette holder outside the apparatus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5/00—Recording by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Reproducing by magnetic mean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5/4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head supports relative to record carriers ; arrangements of heads, e.g. for scanning the record carrier to increase the relative speed
- G11B5/56—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head supports relative to record carriers ; arrangements of heads, e.g. for scanning the record carrier to increase the relative speed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head support for the purpose of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head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e.g. manual adjustment for azimuth correction or track centering
Landscapes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 Feeding And Guiding Record Carriers (AREA)
- Automatic Tape Cassette Changers (AREA)
- Gear Transmission (AREA)
- Supply And Installment Of Electrical Components (AREA)
- Mechanical Control Devices (AREA)
- Adjustment Of The Magnetic Head Position Track Following On Tapes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제 1 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세트 테이프 플레이어의 뚜껑이 덮여진 투시도.
제 2 도는 뚜껑이 개방된 카세트 테이프 플레이어의 투시도.
제 3 도는 카세트 테이프 플레이어의 배면도.
제 4 도는 카세트 테이프 플레이어의 전개도.
제 5 도는 카세트 테이프 플레이어가 포함하고 있는 테이프 플레이어의 몸체, 카세트 홀더와 뚜껑아 상세히 도시된 투시도.
제 6 도는 뚜껑이 잠그는 기구를 보여주기 위하여 일부를 파괴한 전면 확대 입면도.
제 7 도는 내부에 있는 카세트를 보여주기 위하여 뚜껑의 일부를 절개한 카세트 테이프 플레이어의 평면도.
제 8 도는 카세트 홀더에 포함된 문짝 스프링의 부착 구조의 전개도.
제 9 (a)도와 제 9 (b)도는 제 7 도의 선9-9를 따른 확대된 횡단면도로서 카세트의 삽입에 따라 개방 및 폐쇄된 위치의 뚜껑을 도시한 도면.
제10도는 전기 용기를 보여주기 위하여 일부를 분해한 카세트 테이프 플레이어의 투시도.
제11도는 제10도의 선 11-11을 따른 확대된 횡단면도.
제12도는 제10도의 선 12-12에 따른 부분 횡단면도.
제13도는 헤드, 핀치 롤로와 테이프 가이드가 부착된 것을 보여주기 위하여 카세트 홀더를 확대한 투시도.
제14도는 제13도에 보이는 구조의 전면 입면도.
제15도는 헤드 부착 유니트를 지지하기 위한 구조의 확대 횡단면도.
제16도는 제15도의 선 16-16을 따른 자세한 단면도.
제17도는 헤드를 조정하기 위한 방위각을 도시한 확대된 단면도.
제18도는 제17도의 선 18-18을 따른 단면도.
제19도는 테이프 가이드의 전면 확대 입면도.
제20도는 제19도의 선 20-20을 따른 단면도.
제21도는 제13도에서 보는 것의 반대편에서 본 테이프 가이드의 입면도.
제22도는 카세트 플레이어에 포함된 테이프 구동 유니트의 단면도로서 플레이어를 뒤집어 본 상태의 도시도.
제23도는 테이프 구동 유니트의 배면도.
제24도는 제23도의 선 24-24를 따른 확대된 단면도.
제25(a)도와 제25(b)도는 제24도의 테이프 구동 유니트의 전명 입면도이고, 점선은 되감기와 빨리감기 형태에서 구동유니트의 기어가 움직이는 위치를 보여주고, 실선은 정지와 재생상태에 있는 위치를 보여주는 도면.
제26(a)도와 제26(b)도는 제23도의 선 26A-26A와 26B-26B에 따른 확대 횡단면도.
제27(a)도와 제27(b)도는 구동 유니트에 포함된 기어의 확대 횡단면도이고, 사용되지 않을때와 상용될때를 보여주는 단면.
제28(a)도와 제28(b)도는 제27(a)도와 제27(b)도에서 본 기어의 배면도.
제29도는 카세트 테이프 플레이어의 재생 또는 동작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유니트의 입면도.
제30도는 제29도의 형태 선택 유니트에 포함된 부품이 전개된 투시도.
제31도는 제30도의 부품의 입면도이고, 조립된 것을 다른 면에서 본 도면.
제32(a)도에서 제32(d)도는 여러 동작 형태에 따른 제29도의 모드 선택 유니트의 FWD 레버의 동작을 보여주는 확대된 횡단면도.
제33(a)도와 제33(b)도는 재생단추의 조작에 따른 제29도의 모드 선택 유니트의 FWD 레버의 동작을 보여주는 확대된 횡단면도.
제34(a)도와 제34(b)도는 FWD 레버에 의한 헤드 부착 바닥의 동작을 보여주기 위해 확대된 횡단면도.
제35(a)도와 제35(b)도는 첫번째 동작판의 FWD 레버의 동작을 보여주기 위한 관계에서 뒤집어진 단면도.
제36도의 모드 선택 유니트에 대한 안전 장치의 밑면 확대도.
제37도는 제36도의 선 37-37에 따른 확대된 뒤집어진 단면도.]
제38도는 본 말명인 카세트 테이프 플레이어에 포함된 누름단추 유니트, 잠금 유니트, 전원 스위치를 보여주는 확대된 밑면도.
제39도는 뒤집어진 정지단추 뭉치의 부품이 전개된 확대 입면도.
제40도는 조립된 정지단추의 단면도.
제41도는 제40도의 선 41-41을 따른 단면도.
제42도는 뒤집어진 재생단추 뭉치의 부품이 전개된 확대 입면도.
제43도는 조립된 재생단추의 전면도.
제44도는 제43도의 선 44-44를 따른 단면도.
제45도는 뒤집어진 빨리감기 또는 FF 단추의 부품이 전개된 확대 입면도.
제46도는 FF 단추의 조립된 전면도.
제47도는 제46도의 선 47-47에 따른 단면도.
제48도는 뒤집어진 잠금판과 스위치 동작판이 전개된 입면도.
제 49(a)도에서 제49(c)도는 잠금 유니트의 잠금 동작과 플림동작을 설명하기 위하여 일부가 파괴된 배면도.
제50(a)도에서 제50(c)도는 잠금 유니트의 잠금과 풀림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횡단면도.
제51도는 뒤집어진 전원 스위치 유니트의 스위치 부착 부분의 확대된 입면도.
제52도는 뒤집어진 전원 스위치 유니트의 전원 동작판 부분의 입명도.
제53(a)도와 제53(b)도는 전원 스위치 유니트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일부가 파괴된 밑면도.
제54(a)도와 제54(b)도는 전원 스위치 유니트의 스위치 부착판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
제55도는 자동 재생 또는 재생 모드 제거 유니트의 일부가 파괴된 밑면도.
제56도는 카세트 홀더에서 잠금 이완 레버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
제57도는 감금 이완 레버의 투시도.
제58(a)도와 제58(b)도는 자동 재생 모드 제거 유니트에 의해 방지된는 위험을 설명하기 위한 횡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75: 카홀더 90 : 기구부착판
91 : 구동 유니트 98 : 홀더 몸체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자기 테이프 기록 재생 장치에 관한 것이고, 특히 테이프 카세트를 사용하는 장치들의 개선을 위한 것이다.
최근들어, 카세트 테이프 기록 재생 장치는 주머니에 또는 한사람이 운반할 수 있을만큼 소형화 되었다. 이러한 장치는 일반적으로 기어 뭉치를 포함한 테이프 이송가구와 캡스턴과 한싸의 릴축을 적당히 구동히기 위한 아이들러, 정상동작, 빨리감기, 도감기 모드등과 같은 장치의 선택된 또는 필요한 동작 모드를 유지시키기 위한 기어와 아이들러의 관계의 변화에 따른 모드 선택 기구를 포함하다. 전술한 비교적 복잡한 기구들이 장치의 크기를 감소화 하거나 지극히 작제 만드는 것을 어렵게 한다. 전술한 형태의 현존하는 장치들에서 최소한 몇개의 기어와 아이들러는 수평적으로 움직인다. 즉. 모드 선택 기구의 누름단추 또는 슬라이드 레버에서 주어지는 힘에 따라 장치의 샤시에 평행인 방향으로 움직인다. 모드 선택 기구의 누름단추나 슬라이드 레버는 일반적으로 장치으 평행인 방향으로 움직이게 함으로써 장치의 옆면에 누름단추를 설계하게 하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또한 장치의 치수는 누름단추를 채택함으로써 커지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카세트 테이프 기록 재생 장치의 크기를 최소화 하고 생산함에 있어서 간단하고 저렴한 가격을 들이는데 있다.
좀더 나아가서, 본 발며의 목적은 카세트 테이프 기록 재생 장치의 전 치수를 거기에 사용되는 표준 소형 테이프 카세트의 치수보다 약간만 더 크게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카세트 테이프 기록 재생 장치에 서로 반대편에 제 1 및 제2표면을 가진 근본적으로 직사각형인 샤시가 제공되고, 샤시의 제 1표면의 반대편에 테이프 카세트을 넣는 카세트 홀딩 수단과, 샤시의 제 1표면의 반대편에 위치한 테이프 카세트 릴에 수용하기 위하여 제 2 표면으로 부터 샤시를 관통하고 있는 릴축을 포함하는 테이프 이송 수단과, 장치의 여러 동작 모드에 따라 구동하기 위한 기어 전달 장치를 포함하고, 이러한 기어 전달 장치는 동작 모드의 변화에 따라 대응하는 축이 움직일 수 있는 기어들중 최소한 하나뿐만 아니라 샤시에 대한 모든 축들이 정산적으로 회전할 수 있게 하기 위하여 제 2 표면에 대응하는 샤시면에 있는 여러개의 기어를 포함한다. 그리고, 각각의 누름단추는 제 2 표면에 대응하는 샤시면에 위치하고 있고, 샤시의 방향으로 이완되거나 눌려진 상태에서 수동적으로 동작하며, 이완된 상태에서 누름상태로의 각 누름단추의 동작에 응답하는 수단을 포함하여 축의 방향으로 기어를 이동시킴을 나타내고 그에 따라 장치의 모드를 바꿔준다.
본 장치의 일실시에에 복수의 누름단추들은 장치의 동작 모드를 설정하기 위하여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샤시는 샤시 반대편에 위치하도록 같은 면에 연장된 주변을 갖게 된다. 테이프 이송가구의 모든 소자와 모든 누름단추는 카세트가 위치하고 있는 곳으로 부터 떨어진 면의 샤시 주변에 모두 수용된다.
본 발명에서 이상에서 말한 것과 다른 목적, 형태 잇점들은 관련된 도면과 연관해서 다음의 자세한 설명을 기술한다.
본 발명의 설명은 통상의 소형 카세트(71)(이하 카세트라 함) 자기 테이트에 기록된 음향 신호만을 스테레오로 재생하기 위한 카세트 테이프 플레이어(70)에 해당되는 발명임을 나타내는 첨부 도면의 순서에 따라 자세히 기술한다.
제 1 도와 제 2 도에서 보듯이, 플레이어(70)는 외관 치수가 카세트(71)의 외관치수보다 약간만 크도록(불과 몇 mm) 매우 소형화된 뚜껑(74), 캐비넷트(73)로 구성된 몸체(72)를 갖는다. 케비넷트(73)의 상부(73a)는 카세트(71)가 수평적으로 그안에 수용될 수 있도록 전표명이 개방된다. 카세트 뚜껑(74)은 카세트(71)위의 캐비넷트(73)의 상부(73a)를 닫을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카세트 홀더(75)(제 1 도와 제4 도)는 카세트(71)를 수용할 수 있도록 카세트 뚜껑(74) 안쪽에 위치하고, 카세트 뚜껑(74) 안쪽에 위치하고, 카세트 뚜껑(74)이 닫히면 캐비넷트 상부(73a)안에 카세트(71)가 위치하도록 되어 있다.
몰드된 플라스틱 샤시(76)는 캐비넷트(73)안에 부착되고, 샤시(76)의 윗판(76a)은 캐비넷트 상부(73a)를 통과하여 안정된다. 윗판(76A)의 상면을 통과하면 공급릴축(77), 감는 릴축(78), 캡스턴(79)과 카세트 위치 가이드(80)가 있다(제2도)
제3도에서 보듯이, 캐비넷트(73)의 다른쪽 또는 아랫쪽에는 4개의 단추 즉, 정지단추(82), 재생(FWD)단추(83), 빨리감기(FF) 단추(84)와 되감기 단추(85)와 음량조절 손잡이(86) 등이 위치하고 있다. 누름단추(82-85)와 손잡이(86)는 각각 홈(87), (88)에 배치된다.
제 4 도를 보면, 샤시(76)의 윗판(76a)의 하면을 고정할 수 있는 금속판으로 이루어진 기구 부착판(90)있고, 기구 부착판(90)의 아랫쪽에는 테이프 구동 유니트(91)가 부착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샤시(76)의 윗판(76a)은 캐비넷트(73)의 전면(73c)과 한면을 인접하여 바테리 삽입통로(93)로 구성되고, 바테리 삽입통로(93) 아래에 샤시(76)와 합쳐지는 바테리 수용부분(94)이 있다. 착찰식 바테리 뚜껑(95)에는 바테리 삽입통로(93)가 마련되어 있다.
제 5 도를 보면, 케비넷트(73)와 카세트 뚜껑(74)은 적당한 인조레진 또는 플라스틱 재료같은 것으로 주형된다. 카세트 홀더(75)는 박판의 금속으로 만들어진다. 카세트 홀더(75)는 캐비넷트의 윗면에 인접하여 캐비넷트(73)를 통과하여 가늘고 긴 판 형태로 된 홀더 몸체(98)를 포함하고, 홀어 몸체(98)의 반대편 끝부분에는, 홀더 몸체(98)의 아랫면을 향하여 C자 모양의 통로를 가진 카세트 홀딩 부분(99a와 99b)이 합쳐져 앞쪽으로 향하고 있다. 홀더 몸체(98) 아래에는 스테레오 재생 헤드(100), 핀치 롤로(101)와 테이프 가이드(102)가 부착되어 있다. 샤시(76)의 윗판(76a)에는 좌우 뒤 끝부분에는 한쌍의 지지부재(103a와 103b)가 있고, 조정된 한쌍의 좌우 피보트(104a와 104b)는 지지부재(103a와 103b) 안에 자리잡고 있다. 피보트(104a와 104b)는 슬리부 형태의 구멍(105a와 105b)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
카세트 홀더(75)는 카세트 홀딩 부분(99a와 99b)의 옆판부분(106a와 106b)에 있는 관통형 구멍(107a와 107b), 그리고 버팀 피보트(104a와 104b)를 갖고, 그에 의해 카세트 홀더(75)는 완전하게 지지된다.
또한 좌우 옆벽(109a와 109b)은 카세트 뚜껑(74) 위에 있고, 구멍(110a와 110b)이 있고 나사(110a와 110b)는 장저구멍(105a와 105b)안의 관통형 구멍(110a와 110b)에 삽입되고, 그에 의해 카세트 뚜껑(74)은 완전하게 지지된다. 카세트 뚜껑(74)과 카세트 홀더(75)는 같은 축에 부착된다. 돌출부(112a와 112b)는 카세트 홀더(75)의 카세트 홀딩 부분(99a와 99b)으로 부터 바깥쪽으로 연장되고, 한쌍의 단자(113a와 113b)는 카세트 뚜껑(74)의 옆벽(109a와 109b)의 안쪽 카세트 뚜껑(74)의 안쪽 표면(74a)과 단자(113a와 113b) 사이에 틈(114a와 114b)을 들 수 있도록 지지한다. 돌출부(112a와 112b)는 틈(114a와 114b)에 자리하고 그 틈 사이에서 상대적으로 움직임을 가질 수 있는 여유를 갖는다.
결과적으로 카세트 뚜껑(74)은 카세트 홀더(75)에 대해 상대적으로 미리 정해진 각 범위θ1(제9(a)도) 내에서 움직일 수 있게 하는 카세트 홀더(75)를 포함한다. 한 지지부재(103a)에는 카세트 홀딩 부분(99a)의 옆판부분(106a)의 두개의 서로 떨어진 구멍 각각 들어가는 코일형 스프링에 의해 압압되는 공같은 제륜자 또는 역회전 방지 기구가 있고(보이진 않음), 그에 따라 카세트 홀더(75)는 카세트 삽입 위치(제9(a)도) 또는 카세트 장진 위치(제9(b)도)에 선택적으로 유지된다. 샤시(76)의 앞멱(115)의 안쪽에 스프링으로 구성된 한쌍의 카세트 압착기(116a 116b)가 부착되어 있다.
제 5 도에 처럼, 일반적으로 ㄴ자 형태의 지지대(119)는 카세트 뚜껑(74)의 앞 가장자리 또는 테드리으 안쪽에 있다. 반면에 제 6 도에서 보면 캐비넷트(73)의 앞벽(115)의 위 끝부분에 지지대(119)의 사용에 따라 카세트 뚜껑(74)을 잠그기 위하여 잠금 또는 걸쇠기구(120)가 부착되어 있다. 잠금기구(120)는 샤시(76)의 앞벽(115)의 적당히 마련된 구석에 움직일 수 있는 잠금판(121)을 포함하고, 캐비넷트(73)의 앞벽(73c)의 구석에 있게 된다. 잠금판(121)의 위 끝에는 위 끝부분에 경사면(122)을 갖는 잠금톱니 멈춤쇠(123)가 있고 잠금판(121)의 아래부분에는 앞벽(73c)의 절단면을 통과하여 노출되는 손잡이부분(124)이 있다. (제 1 도).
또한 홈(125)은 잠금판(121)의 뒤편에 있고, 억압 스프링(126)은 벽(115)으로 부터 홈(125)으로 통과하는 단자(127)의 반대편에 인접한 홈(125)안에 수용되고 스프링(126)의 다른끝은 점선부분(128)에서 처럼(제 6 도)홈(125)의 끝에 반대편에 인접한다. 결과적으로 잠금판(121)은 억압 스프링(126)에 의하여 제 6 도의 오른쪽으로 밀리게 된다.
제 5 도, 제7 도와 제 9 (b)도를 보면 한쌍의 좌우 박편 스프링(130a와 130b)이 카세트 뚜껑(74)과 카세트 홀더(75)사이에 위치한다. 제 8 도에서 스프링(30b)에 대하여 살펴보면 박편 스프링(130a와 130b) 의 각 끝부분은 일반적으로 포크 모양의 세개의 스프링가지 또는 편심부분이 있고, 바깥가지 또는 스프링 편심부분은 위를 향하고 있으며 반면에 가운데가지 또는 스프링 편심부분(131b)은 아래를 향하고 있다.
또한 가운데구멍(133)은 각각의 스프링(130a와 130b)의 밑부분(132)에 있고, 밑부분(132)과 끝부분 사이에는 구부러진 부분 또는 약간 오른쪽 아래로 구부러진 꼬리표(134)와 마주치게 된다. 가늘과 긴 구멍(135a와 135b)은 카세트 홀더(75)의 카세트 홀딘 부분(99a와 99b)의 꼭대기에 있다. 박편 스프링(130a와 130b)은 가늘고 긴 구멍(135a와 135b)의 끝반대편의 꼬리표(134)에 위치하고, 홀더 몸체(98)의 카세트 홀딘 부분(99a와 99b)의 윗표면에 도드라진 은못(136a와 136b)을 수용하는 대응구멍(133)이 있다. 은못(136a와 136b)의 머리는 박편 스프링(130a와 130b)이 카세트 홀더(75)에 대해 안전하도록 툭 튀어나와 있거나 뭉뚝하게 되어 있다.
카세트 홀더(75)에 대해 안전한 각각의 스프링(130a와 130b)의 중앙 스피링 편심 부분(131b)은 가늘고 긴 구멍(135a와 135b)중 하나에 삽입된다. 물론, 박편 스프링(130a와 130b)은 카세트 홀더(75)대신 카세트 뚜껑(74)에 고정될 수도 있다. 플레이어(70)로의 카세트 장진은 제9(a)도와 제9(b)도에서 설명될 것이다.
제 9 (a)도에서 보면, 카세트 뚜껑(74)이 첫번으로 열리면, 카세트 홀더(75)은 샤시(76)의 윗판(76a)에 대해 약 45°기울어진 각도를 위치한다. 카세트 뚜껑(74)은 카세트 홀더(75)에 대해 θ1은 돌추리부(112a와 112b)에 따른 단자(113a와 13b)의 인접치에 의해 결정된다.
박편 스프링(130a와 130b)의 중앙 스프링 편심부분(131b)은 가늘고 긴 구멍(135a와 135b) 안에 위치하고, 이는 홀더 몸체(98)의 박편 금속 재료의 두께내에 있음을 나타내고, 그럼으로써 홀딩 부분(99a와 99b)의 안쪽 아래로 돌출하지 않게 된다.
뚜껑(74)이 열려진 상태에서, 표준 카세트(71)는 앞쪽부터 열려진 면(137)에서 카세트 홀더(75) 안으로 비스듬하게 아래쪽으로 삽입되고 카세트(71)의 반대쪽 끝부분이 미끄러져 수용되면 카세트 홀딩 부분(99a와 99b)에 유지되게 된다(제 7 도). 카세트를 삽입하는 동안, 카세트 뚜껑(74)은 카세트 홀더(75)에 대해 θ1만큼 열려져 있으므로, 카세트 뚜껑의 존재는 카세트의 삽입을 방해하지 않고, 지극히 쉽게 이루어진다. 또한, 박편 스프링(130a와 130b)의 중앙 스프링 편심 부분(131b)은 홀더 몸체(98)에서 아래쪽으로 돌출되지 않고, 삽입되고 있는 카세트(71)는 이 스프링 편심부분(131b)에 절대로 걸리지 않는다.
앞에 언급한 카세트 삽입이 끝나면, 카세트 뚜껑(74)은 카세트(71)의 장진을 완료하기 위하여 제 9(a)도의 화살표 a'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 경우, 각각의 박편 스프링(130a와 130b)의 스프링 편심부분(131a)은 화살표a'방향으로 뚜껑(74)을 이동시키기 위하여 카세트 홀더(75)를 미는 카세트 뚜껑(74)의 안쪽 표면(74a)에의해 눌려지고, 동시에 박편 스프링(130a와 130b)의 중앙 스프링 편심부분(131b)은 홀더 몸체(98)의 구멍(135a와 135b)을 통해 아래쪽으로 돌출되고, 카세트(71)의 위표면에 기대어 지탱하게 된다. 카세트 뚜껑(74)이 완전히 닫히면, 제9(b)도의 실선이 나타내는 것처럼, 카세트(71)는 릴축(77, 78)과 캡스턴(79)과 카세트 위치 가이드(80) 위에 고정되고, 샤시(76)의 윗판(76a)위에 수평으로 장진되게 한다. 동시에, 카세트 누름 스프링(116a와 116b)은 카세트 홀더(75)안의 뒤쪽을 카세트를 누르기 위하여 카세트(71)를 누르게 되고, 따라서 카세트는 앞뒤 방향으로 안전하게 위치하게 된다. 그후, 뚜껑 닫힘이 완료되면, 카세트 뚜껑(74)의 지지대(119)는 잠금기구(120)에 의해 잠기게 된다. 더 나아가서, 카세트 뚜껑(74)이 완전히 닫히기 직전에 잠금 톱니 멈춤쇠(123)의 구부러진 면(122)은 지지대(119)에 의해 동작하고 따라서 자금판(121)은 스프링(126)의 편심을 향해 제 6 도의 왼쪽으로 이동하고, 지지대(119)가 있는 잠금톱니 멈춤쇠(123)를 받아들이기 위하여 이 스프링에 의해 오른쪽으로 되돌아오고, 그에 의해 정위치에 카세트 뚜껑(74)을 잠그게 된다. 카세트 뚜껑(74)이 잠기면, 카세트 홀더(75)는 박편 스프링(130a와 130b)의 중앙 스프링 편심부분(131b)는 샤시(76)의 위판(76a)을 향해 밀리게 되고, 반대로 박편 스프링(130a와 130b)의 중앙 스프링 편심부분(131b)는 샤시(76)의 윗판(76a)을 향해 밀리게 되고, 반대로 박편 스프링(130a와 130b)의 중앙 스프링 편심부분(131b)는 샤시(76)의 위판(76a)을 향해 민다.
카세트 장진이 완료되면, 카세트(71)안으로 재생헤드(100)를 삽입하고, 테이프 접촉시키기 위하여 재생 단추(83)를 누르면, 동시에 테이프를 통해 캡스턴(79)에 핀치 롤러(101)접촉시키기 위해 누르는 동작이 일어나고, 그에 따라 이후에 자세히 기술하게 될 플레이어(70)의 스테레오 재생 모드가 완료된다. 플레이어(70)로 부터 카세트(71)를 빼기 위하여서는, 억압 스프링(126)의 편심방향으로 제 6 도의 왼쪽에 있는 잠금판(121)의 손잡이부분(124)을 살짝 누르면, 그에 따라 잠금톱니 멈춤쇠(123)는 지지대(119)로 부터 풀려지고, 카세트 뚜껑(74)은 박편 스프링(130a와 13b)의 스프링 편심부분(131a0의 반발하는 힘에 의하여 제9(b)도의 선에 나타낸 위치로 불쑥 튀어오르고, 이는 사용자에게 카세트 뚜껑(74)이 열릴 준비가 완료되었음을 나타나게 된다. 뚜껑(74)이 불쑥 튀어오른후, 카세트 뚜껑(74)의 앞끝 또는 테두리(118) 아래 쉽게 손가락끝을 걸 수 있고, 카세트 뚜껑(74)는 제9(a)도에 보이는 열려진 위치로 쉽게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카세트 뚜껑(74)이 완전히 열려지면, 회전 멈춤 기구에 의해 다시 제위치로 돌아옴으로써 카세트 홀더(75)는 제 9a와 같은 카세트 삽입 위치로 튀어올라와 돌출부(112a와 112b)는 단자(113a 와 113b)에 의해 수용된다. 그후 카세트(71)는카세트 홀더(75)안에서 비스듬히 위방향으로 인출되고 이 인출은 카세트를 삽입할때와 마찬가지로 지극히 쉽고 부드럽게 이루어진다.
제10도 내지 제12도에 관해서 보면, 바테리 수용 유니트(141)는 앞에 언급한 바테리 삽입 통로(93), 캐비넷트(73)의 바테리 수용 부분(94), 바테리 뚜껑(95)으로 이루어져 있고, 샤시(76)의 윗판(76a) 위에 장진되는 카세트(71)를 위한 카세트 수용부분(142)에 바로 인접한 아래에 있게 됨을 알 수 있다. 바테리 수용부분(94)안에 UM-3 바테리 같은 두개의 바테리를 넣게 되면, 이들은 평행으로 위치한다.
바테리 수용부분(94)에 삽입된 바테리(143)는 바테리 수용부분(94)의 바닥인 샤시(76)에 부착된 바테리 받침(144)의 반대쪽을 따라 자리잡게 된다. 또한, 바테리 수용부분(94)안에 삽입된 바테리(143)는 바테리 수용부분(94) 안쪽의 반대끝쪽 부착된 단자부속(145a와 145b)에 압압 접촉되는 그들 자체의 극을 갖고, 그에 의해 전원 공급 회로에 연결된다. 바테리 뚜껑(95)은 적당한 인조레진 또는 플라스틱 재료로 주형되고, 한 쪽 끝에는 한쌍의 지지단자(146)가 마련되어 있고, 뚜껑(95)의 다른 끝에는 거기에 부착되는 일반적으로 U자 형태의 탄력있는 걸쇠(147)를 갖는다.
바테리 수용부분(94) 안으로 바테리(143)의 삽입이 끝나면, 바테리 삽입통로를 닫기 위하여 바테리 통로(93)안으로 바테리 뚜껑(95)을 안전하게 옮길 수 있다. 이때, 바테리 뚜껑(95)의 한쪽끝은 샤시(76)에 부착된 한쌍의 지지구멍(148)에 있는 지지단자(146)를 통해 수용되고(제10도), 다른한쪽 끝에서는 걸쇠(147)가 샤시(76)의 윗판(76a)에 부착된 지지구멍(149)안으로 탄력성을 이용하여 삽입되고 지지구멍(149)의 한쪽 끝(149a)에 수용된다(제12도).
결과적으로, 바테리 뚜껑(95)은 윗판(76a)과 같은 높이로 부착된다. 바테리 수용부분(94)의 높이 h1을 최소화 하기 위하여, 그에 따라 카세트 테이프 플레이어(70)의 두께가 최소화됨으로 바테리 외경과 일치하는 구부러진 움푹한 곳(150)은 두께 h1에 대응하는 뚜껑(95)의 실효 두께 h2가 매우 작아지게 됨으로 바테리 뚜껑(95)의 안쪽 표면에 만들어진다. 바테리 수용 유니트(141)에서, 바테리 뚜껑(95)은 캐비넷트(73)의 외부 표면에 직접 노출되지 않는다. 결과적으로 바테리 뚜껑(95)이 대단히 얇게 만들어져 있을지라도, 강도에는 아무 문제가 없다. 또한, 바테리 뚜겅(95)은 캐비넷트(73)의 외부 표면에 절대로 노출되지 않으므로, 플레이어 외부장식의 설계를 하는데 많은 하는데 많은 여유가 있다.
카세트 홀더(75)안에는 홀더 부착 유니트(153)(제13도 내지 15도), 헤드 방위각 조정 유니트(154)(제17도, 내지 제18도), 테이프 가이드 유니트(155)(제19도 내지 21도)가 부착된다.
제13도와 제14도를 보면, 지지축(157)은 카세트 홀더(75)의 홀더 몸체(98)의 한쪽 끝부분에 고정되고, 지지축(157)의 아래끝에는 헤드저부(158)의 한끝에 부착된다. 재생 헤드(100)는 헤드저부(158)의 자유로운 한끝(158a)에 인접한 헤드저부(158)에 방위각 조정 유니트(154)를 통해 부착된다. 또한, 홀더 몸체(98)와 헤드저부(158) 사이에, 또, 축(157)과 재생 헤드(100)사이에 횡단면이 일반적으로 C형태를 가진 핀티 롤로 지지레버(159)가 위치하고 지지축(157)의 한끝에 부착된다. 핀치 롤로 지지레버(159)의 자유로운 끝(159a)은 회전하는 핀치 롤러(101)가 부착되는 지지축(160)으로 움직인다. 핀치 롤로(101)로 부터 떨어진 홀더 몸체(98)의 끝부분에는 높이 조정 유니트(161)를 통해 테이프 가이드(102)가 부착된다. 사이에 위치하는 재생 헤드(100)의 상대적인 테이프 주행 방향으로 보면, 핀치 롤러(101)는 아래쪽에 자리잡고 테이프 가이드(102)는 위쩍에 자리잡는다. 대생 헤드(100)와 테이프 가이드(102) 사이의 홀더 몸체(98)의 아래쪽에는 차폐판(162)이 부착된다. 헤드저부(158)는 축(157)에 까지 뻗힌 비틀림 스프링(163)을 통해 제13도의 화살표 b방향으로 밀리고, 그끝은 홀더 몸체(98)와 헤드저부(158)에 정착한다. 헤드저부(158)의 자유로운 끝(158a)이나 단부는 화살표 b방향으로 헤드저부(158)의 수직 이동을 제한하는 차폐판(162)의 낮은쪽 끝에 있는 멈춤기(164)에 결합된다.
핀치 롤러 지지축(160)의 낮은쪽 끝은 레버(159) 아래까지 뻗치고 헤드저부(159) 안의 구멍(165)에 헐겁게 삽입된다. 구멍(164)안의 지지축(160)의 이동범위는 헤드저부(158)에 대한 핀치 롤러 레버(159)의 가능한 수직 이동을 한정한다.
핀치 롤러 레버(159)의 자유로은 끝(159a)이나 단부와 방위각 조정 유니트(154)의 스프링 고리(166) 사이에는 헤드저부(158)에서 볼때 제13도의 화살표 b'의 방향으로 핀치 롤로 레버(159)를 밀기 위하여 장력 스프링(167)이 있다.
헤드 부착 유니트(153)는 축(157), 헤드저부(158)와 비틀림 스프링(163)으로 구성된다. 이 유니트에서 축(157)의 위 끝(157a)은 뾰족한 징이나 갈고리에 의해 홀더 몸체(98)에 고정된다. 헤드저부(158)의 축끝은 아래에서 부터 축(157)위에 부착된 슬리브(169)의 아래끝(169a)에 부착되고, 그에 의해 수직으로 고정된다. 슬리브(169)는 축(157)의 아래끝(157b)의 주위에 부착된 E링(170)에 의해 축(157)으로 부터 아래쪽으로 움직이는 것이 방지된다. 원통형의 위 아래 핀치 롤러 레버 베어린 부분(171a와 171b)은 축(157)과 슬리브(169)로 구성된다. 위 아래 관통형 구멍(173a와 173b)은 핀치 롤러레버(159)의 위 아래쪽(172a와 172b)의 끝부분에 있고 이 구먼(173a와 173b)은 핀치 롤러 베어링부분(171a와 171b)을 받아들인다. 슬리브(169)의 위 끝(169b)와 위 핀치 롤러 베어링(171a) 사이에는 틈(174)이 있고(제15도), 슬리브(169)는 틈(174)의 범위내에서 축(157)의 바깥 주변에서 위아래로 움직인다. 슬리브(160)의 이 수직운동에 의하여, 헤드저부(158)는 제15도에 보이는 높이 h3의 범위내에서 함께 움직인다. 비틀림 스프링(163)은 슬리브(169) 주위에 감겨진 코일 부분(163c)과 홀더 몸체(98)에 있는 지지구멍(175a와 175b)에 걸리는 위 아래 끝부분(163a, 163b)과 헤드저부를 포함한다.
핀치 롤러 지지레버(159) 부분에 비틀림 스프링(163)의 아래끝 부분(163b)을 통과하는 연장부에 이탈 노치(176)가 있다. 비틀림 스프링(163)의 코일 부분(163c)은 장착되면 비틀려 힘을 받고, 수직으로 압축된다. 코일부분(163c)이 비틀려 힘을 받음으로써, 헤드저부(158)는 제15도의 화살표 C의 방향으로 밀린다. 또한 제14도에서 보는것처럼 부착한(90)의 위 표면에는 헤드저부(158) 아래 위치하는 여러개의 돌출부(177)가 있다.
위에서 처럼 구성한 헤드 부착 유니트(153)에서, 카세트(71)가 카세트 홀더에 삽입된 후 카세트 홀더의 아래로의 수직 운동에 의해 샤시(76)의 위판(76a) 위에 수평으로 장진되면 제14도에서 처럼 헤드저부(158)는 비틀림 스프링(163)의 코일부분(163c)의 억압하는 힘에 의해 부착판(90)위의 돌출부(177)에 누름 접점안에 탄력성 있게 접초되고, 헤드저부(158)의 높이는 카세트(71)에서 테이프에 대한 재생 헤드(100)의 높이로 정확히 결정된다. 헤드저부(158)가 축(157)에 수직으로 부착됨으로써 구조상 약간의 헐거움은 피할 수 없다. 아무리 작은 헐거움이러도 재생헤드(100)의 높이에 편이를 가져오게 됨으로써 특히 헤드(100)가 스테레오를 재생할때 트레킹 오차를 가져온다.
위에 언급한 헤드 부착 유니트(153)에서 헤드저부(158)의 높이는 축(157)의 헤드저부(158)의 수직적인 헐거움에 관계없이 미리 정확하게 결정되었기 때문에 트레킹 오차는 전혀 나타나지 않는다. 위에 말한대로 플레이어(70)에 카세트가 장진되고 재생단추(83)가 늘려지면, 헤드저부(158)는 높이 제한 돌출부(177) 위로 미끄러지는동안 스프링(163)의 비틀림 저항에 따라 제13도의 화살표 b방향으로 자리잡게 된다. 방위각 조정 유니트(154)가 스포트 용접과 같은 것에 의해 긴 헤드 부착판(179)이 나사(180)에 의해 헤드저부(158)에 한 끝(179a)으로 고정되면, 헤드 부착판(179)을 따라 대략중간에 위치하도록 고정된 재생헤드(100)는 제17도와 18도는 설명에서 기술된다. 헤드 부착판(179)을 따라 대략중간에 위치하도록 고정된 재생헤드(100)는 제17도와 18도는 설명에서 기술된다. 헤드 부착판(179)이 나사 (180)에 의해 헤드저부(158)에 한 끝(179a)으로 고정되면, 헤드부착판(179)의 다른 끝(179b)은 그 안에 세로의 구멍(181)을 갖는다. 방위각 조정 나사(182)는 여기서 부터 구멍(181) 통하여 연장되고 헤드저부(158)에 있는 가느다란 구멍에서 잠겨진다. 박편 스프링(184)과 공간자(185)는 헤드 부착판(179)의 끝부분(179a)과 헤드저부(158) 사이에 위치하고 나사(180)에 의하여 그 위치에 고정된다. 박편 스프링(184)은 일반적으로 V자 형태를 각조 헤드부착한(179)의 아래 표면을 향해 자유로운 끝(184b)에 탄력성있게 수용되게 하기 위해 구부러진 스프링 편심부분(184a)을 포함한다. 스프링 편심부분(184a)의 정점부분(184c)은 헤드저부(158)에 있는 긴 구멍(186)에 들어가게 된다(제17도).
스프링 편심 부분(184a)으로 부터 떨어진 박편 스프링(184)의 끝부분은 스프링(167)이 고정되는 스프링 고리(166)를 만들도록 위쪽으로 구부러진다.
위에 언급한 방위각 조정 유니트(154)에서, 나사(182)는 헤드 부착판(179)의 자유로운 끝부분에 헤드 베어링의 수직 위치가 조정되도록 이방향 저방향으로 돌 수 있다. 헤드 부착판(179) 위의 박편 스프링(184)의 스프링 편심 부분(184a)의 편심력때문에, 박편 스프리은 지레받침처럼 고정끝(179a)에서 수직방향으로 구부러지고, 그에 따라 재생 헤드(100)의각 또는 방위각이 제17도이 접선에서 처럼 조정된다. 긴 구멍(186)이 헤드저부(158)에 없으면 박편 스프링(184)은 헤드저부(158)와 헤드 부착판(179) 사이의 틈(187) 사이에서만 움직일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틈(187)의 높이 h4가 작으면, 박편 스프링(184)은 그 탄력 한계 이상의 힘을 받고, 헤드 부착판(179)이 나사(182)의 조정에 의하여 아래쪽으로 구부러지면 탄성을 잃게 된다. 반대로, 틈(187)의 높이 h4의 높이가 탄성 한계에 이르도록 스프링(184)에 힘주는 것을 피하면, 카세트 테이프 플레이어의 전 두께는 그에 상응하도록 불필요하게 커지게 된다.
상기 설명으로 부터 알 수 있듯이, 헤드저부(158)의 긴 구멍(186)의 존재에 의해, 박편 스프링(184)의 편심부분(184a)은 이 구멍(186)내에서 수직으로 움직일 수 있게 됨으로써 (184a)의 수직운동은 헤드저부(158)에 의해 전혀 제한을 받지 않는다. 결과적으로, 틈(187)의 높이 h4는 스프링 편심부분(184a)이 결코 탄성 한계 이상 힘을 받을 위험이 없이 카세트 테이프 플레이어의 두께를 줄이기 위하여 매우 작게 만들어질수 있다. 긴 구멍(186)에서 편심 스프링(164)의 스프링 편심 부분(184a)의 채택은 하나의 나사(184)와 협동하여 박편 스프링(184)을 옆방향으로 위치할 수 있게 한다. 재생 헤드(100)의 높이는 다른 두께의 비슷한 소자로도 공간자(185)를 대치하도록 미리 결정된다. 또한, 테이프 가이그(188)(제13도, 13도, 17도)는 재생 동작중 테이프가 헤드(100)를 지나가는 방향으로 보면 헤드의 아래쪽에 위치하도록 재생 헤드(100)에 부착된다.
제19내지 제21도를 보면 일반적으로 테이프 가이드 유니트(155)는 테이프 가이드(102)로 부터 연장된 차폐판(162)과 가이드 지지대(190)를 포함한다. 이 테이프 가이드(102)는 일반적으로 C자 형태이고 테이프의 주행방향에서 보면 표준 카세트(71)의 개구에 역으로 관계되는 위치에서 재생 헤드(100)에 관련되는 테이프의 높이를 결정하기 위해 표준 카세트의 개구내에서 테이프에 정합죄게 하기 위해 표준 카세트(71)의 개구 정면에 삽입하도록 적용된다. 가이드 지지대(190)와 파폐판(162)은 인조레진 또는플래스틱 재료로 주형되고, 일반적으로 탄력있는 U다형의 연결편(191)으로 서로 결합된다. 가이드 지지대(190)는 차레판(162)에 대해 일반적으로 기울어지게 할 수 있다. 차폐판(162)은 차폐판을 수직 관통하는 구멍(192)이 있고, 나사(193)는 아래로 부터 구멍(192)을 관통하고, 홀더 몸체(98)의 아래쪽에 차폐판(162)을 고정한다. 못(194)은 차폐판(162)과 결합되고 윗판(162a)으로 부터 돌출한다. 이 못(194)에 의해 차폐판이 고정되면 홀더 몸체에 대한 차폐판(162)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하여 홀더 몸체(98)에 있는 자리잡기 구멍(195)에 수용된다.
앞의 방법으로 차폐판(162)이 홀더 몸체(98)에 고정되면, 이 차폐판(162)은 "블라인드 풀딩(blind folding)"이라 불리는 효과로써 재생 헤드(100)와 테이프 가이드(102) 사이의 틈을 메꾼다. 가이드 지지대(190)의 뒤에는 축(197)에서 내부 관통하는 관축형(198) 안에 고정되어 위치하는 중심부분(196)이 형성된다. 가이드 슬리브 또는 부싱(200)은 홀더 몸체(98)에 고정되고 그에 의지한다. 관형축(198)은 아래로 부터 가이드 부싱(200) 안으로 미끄러져 삽입된다. 높이 조정 나사(201)는 가이드 부싱(200)을 통해 위로부터 삽입되고, 오목한 축(198) 안에서 조여진다. 나선형 압착 스프링(202)은 가이드 부싱(200)과 중심(196) 사이에 홀더 몸체(98)에 비해 아래쪽으로 오목한 축을 밀기 위해 오목한 축(198)에 까지 연장된다. 가이드 돌출부(203)는 가이드 지지대(190)의 위 끝면(190a)으로 부터 연장되고 홀더 몸체(98) 안에 있는 가이드 구멍(204)에 미끄러져 수용된다. 내부로 관통한 관형축(198), 가이드 부싱(200), 나사(201)와 압착 스프링(202)은 테이프 가이드(102)와 가이드 지지대(190)의 높이를 회전 나사(201)를 적당히 돌려 조정할 수 있게 하는 높이 유니트(161)를 구성한다. 테이프 가이드(102)의 높이를 조정하는 동안, 탄성 연결판(191)은 고정된 차폐판(162)으로부터 조정하는데 방해가 되지 않도록 구부러진다.
제21도에서 보는 것처럼, 파폐판(162)과 붙은 정지부분(164)은 일반적으로 L장형으로서 수직면(164a)은 제13도의 화살표 b방향으로 헤드저부(158)의 수직운동을 제어하고, 정지부분(164)의 수평면(164a)은 위로부터 헤드저부(158)의 자유로운 끝부분(158a)을 미끄러지게 수용함으로써 헤드저부의 상승을 제어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위에 언급한 테이프 가이드 유니트(155)의 장점은 본 발명에 반하여 테이프 가이드(102)가 이동하는 헤드저부(158)의 자유로운 끝에 부착되어 있는 결과를 생각해보면 알 수 있다. 이 경우 카세트(71)를 장진한 후, 카세트(71)안의 테이프 받침패드를 향한 테이프를 통해 미리 정해진 압력을 가해 카세트(71)안으로 재생 헤드를 충분하게 삽입하기 위해 제13도의 화살표 b의 방향으로 헤드저부(158)를 수직운동시킴으로써 재생모드 동작을 시작하기 위하여 재생단추(83)를 누르는 것은 테이프 가이드(102)에 수직 타격을 가하는 결과가 됨으로써 카세트 테이프 플레이어의 전 치수를 줄이기 위하여는 많은 노력이 있어야 한다. 반면에 헤드저부(158)가 상호 직선적인 방법으로 카세트 홀도(75)에 부착되면, 테이프 가이드(102)는 헤드저부(158)의 한끝에 다시 고정되고, 테이프 가이드(102)의 과도한 수직 타격에 의해 야기되는 붊편함도 피할 수 있으나, 헤드저부(158)를 위한 지지기구가 복잡하게 되고, 두께를 늘림으로써 카세트 테이프 플레이어의 전치수는 줄어들 수 없다.
반대로, 본 발명의 설명하는 플레이어(70)의 테이프 가이드 유니트(155)에서는 헤드저부(158)가 카세트 홀더(75)에 부착 구조를 간단히 하기 위하여 수직으로 부착되어 있고, 반면에 테이프 가이드(102)는 헤드저부(158)에서 분리되어 카세트 홀더(75)에 조정할 수 있게끔 고정되어 있으므로, 카세트(71)가 카세트 홀더(75)안에 삽입되면, 앞에 말한대로, 테이프 가이드(102)는 이 카세트(71)안에 삽입되고 안에 있는 테이프와 접촉된다. 헤드(100)의 아래쪽에 테이프 가이드(102)를 부착하기 위하여 앞에 제안된 방법의 단점이 테이프 가이드 유니트(155)에서는 제거될 수 있다.
또한 차폐판(162)과 가이드 지지대(190) 사이의 탄성 연결판(191)은 플렝어(70)의 조립에서 이 작은 부품들을 취급하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한걸음 더 나아가서, 조립시에, 가이드 지지대(190)가 미리 홀더 몸체(98)에 부착되어 있으면, 탄성 연결편(191)을 일반적으로 필요한 부착 위치 바로 다음에서 차폐판(162)을 지지함으로써 나사(193)의 삽입이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제23도와 제24도에 따르면, 테이프 구동 유니트(91)는 공급 릴축(77), 감는 릴축(78)과 아래로 돌출된 캐스턴(79)의 아래 끝부분을 통과하여 부착판(90)의 아래쪽에 부착된다. 모터(211)는 부착판(90)의 아래쪽에 적당히 고정되고 모터 풀리(213)가 고정된 위체 축(212)이 있다. 조립된 플라이 휠과 캡스턴 풀리(214)는 캡스턴(79)과 가이드 풀리(215)의 아래끝에 고정되고, 캡스턴 를라이 휠에 대해 반재로 또는 플라이 휠로써 동작하고, 부착판(90)의 아래쪽에 회전할 수 있게 부착된다. 벨트(216)가 캡스턴 (79)에 모터축(212)의 회전을 전달하기 위하여 모터 풀리(213), 캡스턴 풀리(214), 가이드 풀리(215) 주위에 끼워진다. 공급 릴축(77), 감는 릴축(78), 캡스턴(79) 사이의 대략 중간 위치에 구동기어(217)가 부착판(90)의 아래쪽에 회전할 수 있게 부착되어 있고, 구동기어(217)와 공급 릴축(77) 사이에 전환기어축(218)이 부착되어 있다. 켑스턴 기어(220)(제22도와 제23도)는 캡스턴(79)의 아래 끝부분에 있는캡스턴 풀리(214)에 고정되고 축방향으로 비교적 넓다. 제 1 과 제 2 구동기어(211과 222)는 (제22도와 제24도) 구동기어축(217)에 회전할 수 있게 부착되고 그 사이에 위치하는 클러치 장치(223)와 함께 움직일 수 있다.
클러치 장치(223)는 자기클러티 형태이고, 제 2 구동기어(222)는 자석처럼 자화될 수 있는 자기재료 형태이다. 반고체 재료인 히스테리시스 디스크(224)는 제 1 구동기어(221)의 아랫면에 고정되어 있고, 얇은 플래스틱 와셔(225)는 제 2 구동기어와 디스크(224) 사이의 틈이 최소가 되도록 디스크(224)와 제 2 구동기어(222) 사이에 위치한다. 자속의 누출을 막기 위한 디스크(226)는 제 2 구동기어의 부하방지 회전이 미리 정해진 값을 넘지않는한 제 2 구동기어(228)와 함께 회전하는 제 1 차 구동기거가 자화력에 의해 접속되어 제 2 구동기어 위에 있는 제 1 구동기어(221)와 같이 부착되고, 유지 와셔(227)은 상응하는 기어를 지지하기 위한 구동기어축(217)의 아래끝에있는 고리모양의 홈에 수용된다. 축방향으로 비교적 넓은 전환기어(229)는 이 축에 대한 회전과 축운동을 위한 전환기어축(218)에 부착된다. 나선형 억압 스프링(230)은 전환기어축(218)의 아래끝에 있는 고리 모양의 홈에 수용되어 있는 유지 와셔(231)에 대해 아래쪽으로 축을 밀기 위해 기어(229) 위에 있는 축(218) 주위에 마련되어 있다. 비교적 축방향으로 넓은 공급 릴축 기어(232)는 공급 릴축(77)의 아래 끝부분에 고정 부착되고, 제 1, 제 2 감기 릴축 기어(233과 234)들은 감기 릴축(278)의 아래 끝부분(235)에 부착된다. 감기 릴축의 이 아래 끝부분은 육각형의 횡단면을 갖고, 제 2 감기 릴축 기어(234)는 육각형축의 끝부분(235)의 바깥 주변에 근접 수용되고, 나사(236)에 의해 거기에 고정된다. 제 1 감기 릴축 기어(233)는 감기 릴축(78)에 회전 결합되는 축 끝부분(235)에 미끄러질 수 있도록 육각형 형태의 구멍(237)을 갖는다. 나선형 억압 스프링(238)은 축(78) 주변에 있고, 제24도에 보이는 기어(233과 234)의 중심이 인접하고 있는 위치로부터 축이 상승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 1 감기 릴축(233)의 아래쪽으로 동작한다. 제 1 구동기어(221)는 제 1 구동기어(221)의 모든 축의 위치에서 캡스턴 기어(220)와 맞물리어 수용된다. 캡스턴 기어는 제 1 구동기어(221)의 축 이동에 의해전환기어(229) 또는 제 1 감기 릴축 기어(233)와 함께 선택된 상채로 이동한다. 제 2 구동기어(222)는 제 2 감기 릴축 기어(234)의 수용 여부에 따라 제 1 구동기어(221)와 같이 축 이동한다. 전환기어(229)는 전환기어(229)의 축 위치에 따라 공급 릴축 기어(232)와 방사형으로 수용된다.
제22도와 제23도에 의하면, 동작판 지지축(241)은 부착판(90)에 수직으로 서고, 축(241)에 미끄러질 수 있는 슬리브(242)를 갖고, 축(241)의 아래끝(제26A도와 제26(b)도)의 고리모양의 홈에 수용되어 있는 지지 와셔(244)를 향해 나선형 억압 스프링(243)에 의해 아래쪽으로 밀린다.
근본적으로 제 1 수평 동작판(245)은 부착판(90)에 대해 제 1 동작판을 수직으로 움직이기 위하여 슬리브(242)의 위 끝부분에 고정된다. 제 1 동작판(245)의 자유로운 끝부분(245a)은 구동기어축(217)을 향해 연장되고, 구동기어와 제 3 구동기어(228)(제24도) 사이의 제 1 구동기어(221)의 중심에 있는 고리모양의 홈(247)에 수용되는 구멍(246)에 부착된다.
제 1 동작판(245)에 의해 부분적으로 겹쳐진 제 2 동작판(248)은 제 1 동작판의 아래까지 연장되고, 제26A도와 제26(b)도에 보이는 것처럼 동작판(248)에 대해 슬리브(248)가 제한된 수직운동을 허용하기 위해 슬리브(242)에 부착된다. 제 2 동작판(248)은 박편 스프링 재료로 이루어져 있고, 전환기어축(218)을 향해 연장된 자유로운 끝부분(248a)을 갖는다. 이 자유로운 끝(248a)은 전환기어(229)에 있는 돌기(250)를 받아들이는 구멍(249)을 안에 갖는다(제24도).
FF 단추(84)와 되감기단추(85)는 축(217과 218)으로부터 일반적으로 떨어져 변환 제 1, 제 2 동작판(245와 248)의 옆에 인접한 부착판(90)에 매달린 관형 부착물(251과 252)안에서 수직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부착된다. 누름단추(84와 85)에 합쳐진 동작아암(253과 254)은 누름단추에서 수평으로 연장되고, 동작판(253과 254)의 자유로운 끝부분으로부터 연장되어 똑바른 돌출부(255와 256)를 갖는다. FF 단추(84)로부터 연장된 동작아암(253)은 제26(a)도의 부재(257)에서처럼 겹쳐진 제 1, 제 2 동작판(245와 248)의 아래부분까지 연장되고, 도감기단추(85)로 부터 연장된 동작아암(254)은 제 1 동작판만을 움직일 수 있도록 제 2 동작판(248) 못미쳐까지 연장되는 제 1 동작판(245) 부분의 아래까지 이른다. 동작아암(254)이 연장된 아래 제 1 동작판(245)부분은 제 26b에서처럼 되감기단추(85)가 위로 눌려지면 동작판(254)의 돌출부(256)를 받아들이기 위한 반원형의 홈집 또는 개폐기(258)로 구성된다.
테이프 구동 유니트(91)의 여러가지 동작 형태는 다음과 같다.
제25(a)도의 굵은 선에서 보이는 것처럼 테이프 구동 유니트 (91)가 동작 위치에 있지 않을때, 제 1 구동기어(221)와 전환기어(229)는 그 사이에 있는 수직틈 g1과 제 2구동기어(222)는 제 2 감기 릴축기(234)와 맞물리어 결함하는 상대적으로 낮은 위체에 있다. 이같이 정지나 테이프 구동 유니트(91)가 동작하지 않는 상태에서 FF단추(84)와 되감기단추(85)는 제26(a)도와 제26(b)도의 점선으로 보이는 것처럼 아래쪽으로 되돌아오거나 연장된 위치를 계속 유지한다. 재생 또는 FWD 단추(83)가 위로 눌려지면(동작하지 않거나 정지된 상태에서 구동 유니트(91)가 동작하면) 모터(211)는 제23도의 화살표 d의 방향으로 캡스턴(79)을 회전시키기 위하여 동작하게 된다. 캡스턴 기어(220)를 제 1 구동기어(221)가 채택함에 따라, 제 1 구동기어(221)는 화살표 e의 방향으로 회전하고 제 2 구동기어(222)는 클러치 장치(223)를 통해 같은 방향으로 회전한다. 감기 릴축 기어(234)를 제 2 구동기어(222)가 서로 맞물림에 따라, 감기릴축(78)은 플레이어(70)의 재생 또는 동작 모드에서 캡스턴(79)에 의해 테이프가 구동되면 카세트(71)의 감기 릴에 테이프를 감거나 수용하기 위하여 비교적 느린 속도로 화살표 f의 방향으로 회전한다.
동작하지 않거나 정지 상태에서 테이프 구동 유니트(91)가 다시 동작하면, FF 단투(84)는 제26(a)도의 실선으로 보이는 것처럼 눌려진 위치에서 위로 올라어면 동잗아암(253)의 돌출부(255)는 겹쳐진 부분(257)에서 양동작판(245와 248)의 위쪽으로 동작한다. FF 단추(84)는 올라온 위치에서 감겨지고, 이 다음에 자세히 설명하겠지만 양 동작판(245와 248)은 제26(a)도에서 보이는 것처럼 대응하여, 감기 릴축(78)은 제 1 감기 릴축(223)과 제 1 구동기어(221)의 결합을 통해 화살표 f의 방향으로 비교적 고속으로 회전한다. 또, 테이프의 이런 고솟감기는 카세트(71)에서 감기 릴축에 영향을 미치고, 플레이어(70)의 빨리 보내기 또는 큐 동작 모드에서 필요하다.
제 1 구동기어(221)가 FF 단추의 누름에 따라 제일 높은 위치로 올라오게 될때, 기어(221)의 이가 감기 릴축 기어(233)의 이와 즉시 맞물리지 않으면, 감기 릴축 기어는 기어(221)가 회전하는 중에 제25(b)도에 보이는 정상 위치로 제 1 감기 릴축 기어(233)가 되돌아오는 것을 스프링(238)이 허용하도록 기어(221)의 이가 기어(233)의 이와 맞물릴때까지 스프링(238)에 의하여 위로 밀린다.
정지 또는동작하지 않은 상태에서 테이프 구동 유니트(91)가 다시 동작하면, 제26(b)도의 실선으로 보이는 눌려진 위치에서 감기단추(85)를 누르는 것도 동작아암(254)으로 하여금 제 1 동작판(245)을 채택하고 위로 올리게 하고, 아암(254)으로부터 자유로운 제 2 동작판(248)은 제26(b)도의 실선으로 보이는 것처럼 올라온 판(245) 아래쪽으로 쳐진다. 스프링(243)의 힘에 반하여 올라온 위치를 유지한다.
앞 이야기의 결과로, 제 1 구동기어(221)는 제 1 동작판(245)의 자유로운 끝(245a)에 의해 제일 높은 위치로 올라오고, 전환기어(229)로 제 2 동작판(248)의 자유로운 끝부분(248a)에 의한 스프링(230)의 힘에 의하여 제일 높은 위치로 올라온다. 제 1 구동기어(221)와 전환기어(229)가 모두 그들의 제일 높은 위치로 올라오면, 틈 g1이 그 사이에서 유지된다. 그러므로 전환기어(229)는 제 1 구동기어(221)로부터 유리된 상태를 유지하고 제 1 구동기어(221)는 캡스턴 기어(220)과 맞물린 결합을 결합을 계속하고 감기 릴축 기어(233)와 맞물리도록 움직인다.
클러치 장치(2330안의 자화력의 결과로, 제 2 구동기어(222)는 제 1 구동기어가 제일 높은 위치로 움직이로 있는 동안에 제 1 구동기어와 함께 움직이고, 그에 의해 제 2 구동기어(222)는 제 2 감기 릴축 기어(234)로부터 유리된다.
FF 단추(84)가 눌려지면, 모터(211)는, 자세히 설명하면, 캡스턴 기어(220)와 맞물린 결합을 계속하고 감기 릴축 기어(233)와 맞물리도록 움직인다.
클러치 장치(233)안의 자화력의 결과로, 제 2 구동기어(222)는 제 1 구동기어가 제일 높은 위치로 움직이로 있는 동안에 제 1 구동기어와 함께 움직이고, 그에 의해 제 2 구동기어(222)는 제 2 감기 릴축 기어(234)로부터 유리된다.
FF 단추(84)가 눌려지면, 모터(211)는, 자세히 설명하면, 캡스턴 기어(220)와 맞물린 결합에 의해 제23도의 화살표 e방향으로 제 1 구동기어(221)의 회전을 야기시켜 동작 모드가 된다. 기어(221)의 이 회전에 응하여 1 차 감기 릴축 기어(223)와 1 차 구동기어(221)가 맞물리게 되므로 화살표 f방향으로 비교적 높은 속도로 감기 릴축(78)이 회전한다. 따라서 고속으로 테이프가 감기는 것이 카세트(71)의 감기 릴에 영향을 받으며 플레이어(70)의 빨리 보내기나 큐 동작 모드가 요구된다.
FF 단추(84)가 눌려짐에 따라 1 차 구동기어(221)가 가장 높은 위치로 올라갈때, 기어(221)의 이가 감기 릴축 기어(233)의 이에 맞물리지 않으면, 기어(221)의 회전에 따라 스프링(238)이 제25(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1 차 감기 릴축 기어(233)의 이에 맞물리지 않으면, 기어(221)의 회전에 따라 스프링(238)이 제25(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1 차 감는 릴축 기어(233)가 그의 정상 위치로 되돌아오게 하도록 기어(233)의 이가 (221)의 이에 맞물릴때까지 스프링(238)의 힘에 대하여 기어(22
1)는 위쪽으로 힘을 받는다. 다시 테이프 구동 유니트(91)가 정지되거나 비동작 상태로 되기 시작하면, 제26(b)도에 실선으로 도시된 압압된 위치에 대한 되감기단추(85)의 상향 누름이 동작아암(254)이 접속되어 1 차 동작판(245)을 상승시키며 그 반면에 제26(b)도에 실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아암(254)의 자유로움으로 인해 2 차 동작판(248)은 상승된 판(245)보다 아래쪽으로 뒤떨어진다.
제26(b)도에서 점선으로 표심된 비동작 부분이나 연장된 부분과 실선으로 표시된 상승된 동작 부분 사이에 되감기단추(85)의 타격 S1이 FF 단추(84)의 타격과 유사하더라도, FF 단추(84)는 동작아암(253)의 돌출부(255)의 위 끝면을 통하여 양 동작판(245와 248)을 동작시키고, 동작암(254)의 비슷한 돌출부(256)는 제 1 동작판(245)의 노치(258)에 받아들여진다. 그러므로 되감기단추(85)의 동작에 의해, 제 1 동작판(245)은 동작암(254)의 위 끝면에 의해서만 동작하면, 되감기단추(85)에 의해 올라온 제 1 동작판(245)의 거리는 돌출부(256)이 높이 S2만큼 작아지게 되고, 양판(245와 248)을 통하는 거리는 FF 단추(84)의 동자작 또는 누름에 의해 올라오게 된다.
앞동작의 결과로, 제 1 동작판(245)이 되감기단추(85)의 누름에 따라 올라오고, 올라온 위치에서 잠기면, 자세히 이야기하자면, 캡스턴 기어(220)의 채택을 계속하고 있는 동안, 제 1 구동기어(221)는 제25(a)도의 점선으로 표시한 것처럼 동작판(245)의 자유로운 끝부분(245)에 의하여 중간위치로 수직 상승 이동한다. 제 1 구동기어의 이 중간위치에서, 제 1 구동기어는 전환기어(229)와 망사형 결합을 하게 되고, 제 2 구동기거(222)는 제 1 구동기어(221)와 같이 위로 이동하고 제 2 되감기 릴축에서 유지된다.
그래서, 모터(211)는 되감기단추(85)의 누름 위치에서 제23도의 화살표 e의 방향으로 제 1 구동기어(221)의 회전은 전환기러(229)로 하여금 화살표 g의 방향으로 회전하게끔 한다. 공급 릴축(232)과 전환기어(230)의 힘에 의하여 위로 밀려지고, 그후에 스프링(230)은 제25(a)도에 보이는 정상축 위치로 상기 전환기어 아래쪽으로 되돌아온다.
이후에 자세히 설명하겠지만, 플레이어(70)가 재생, FF, 또 되감기 모드로 이완된 위치에서 정지단추(82)가 눌려지거나 올라오면, 모터(211)는 멈춘다. 정지단추(82)를 플레이어(70)가 FF 모드 또는 되감기 모드일때 느르면, FF 단추(84) 또는 되감기단추(85)는 제26a 또는 제26(b)도의 점선에서 보이는 비동작 상태나 최초의 상태로 되돌아와 풀림으로써, 제26(a)도와 제26(b)도의 점선에서 보이는 것처럼 동작판(245와 248)은 스프링(243)에 의해 되돌아오고, 그 결과로, 구동기어(221,222)와 전환기어(229)는 제25(a)도의 실선에 보이는 가장 낮은 위치로 되돌아온다.
기술한 테이프 구동 유니트(91)는 구동기어(221과 222), 클러치장치(223), 전환기어(229), 공급 릴축 기어(232)와 되감기 릴축 기어(233과 234)로 구성되는 최소한의 필요한 동작 모드를 얻을 수 있고, 구동기어(221과 222), 전환기어(229)를 수직방향으로 움직이는 선택적인 이동에 의해 플레이어(70)의 필요한 선택을 얻을 수 있다. 테이프 구동 유니트(91)에 쓰이는 비교적 적은 수의 부품은 테이프 구동 유니트 구조를 단순화하고 원가를 절감시키며 수직방향으로의 기어(221,222,229)의 이동에 의해 동작 모드를 선택하는 것은 근본적을 구동 유니트(91)에 필요한 공간을 실제적으로 최소화함으로써 테이프 구동 유니트가 매우 간단한 카세트 테이프 플레이어의 제작을 가능케 한다.
제27(a)도와 제27(b)도에 따르면 위에서 설명한대로 구동기어(221)가 되감기단추(85)의 누름에 따라 중간 위치로 올라오면 제 1 구동기어(221)와 전환기어(229)의 톱니주변(262와 263)이 제 1 구동기어(221)와 전환기어(229)의 맞물린 결합에서 근본적으로 잡음을 없애고 동작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특별한 형태로 마련되어 있다. 더욱 나아가서, 전환기어(229)의 톱니주변(263)은 아래쪽으로 변환 경사면(264)을 갖는다.
앞에 말한 것에 의해 제 1 구동기어(221)가 제27(a)도의 점선으로 표시된 중간위치에 원래대로 올라오면, 제 28(a)도에서처럼 기어(221)의 이(262a)가 기어(229)의 이(263A)와 즉각 맞물리지 않더라도 이(263a)의 끝 또는 지정된 끝(263a)은 기어(221)의 회전축쪽으로 수직면으로 놓이는 기어(221)의 평면 나선면(265)와 점접촉 하도록 영향을 미친다.
결과적으로 제27(a)도의 점선에서 보는 것처럼, 앞에 기술한대로 전환기어(229)은 순간적으로 올라오나, 이경우, 기어(229)의 이(263a)의 지정된 끝(263a)은 제27(a)도와 제28(b)도에서처럼 기어가 이(262a와 262b)가 조정되도록 회전하면 기어(221)가 이(262a)의 근저(262b)로 좀더 들어가게 한다. 기어(229)에 있는 경사면(264)은 기어(221과 229)의 즉각적인 맞물림 결합을 용이하게 한다. 기어(229)의 이 주변(263)의 아래로 향한 면이 평탄하면, 즉 기어(229)의 축에 수직이면, 기어(221)의 이난 주변(262)의 면(265)은 위로 향하게 되어 필요한 똑같은 얻을 수 있다. 또한, 기어 이의 특수한 형태가 되감기 모드에서 제 1 구동기어(221)에 의해 전환기어(229)에 수용되는 관계에 대해 설명했지만, 제 1 감기 릴축 기어(233)는 빨리감기 동작에서 기어(221)에의한 기어(233)의 즉각적이고 근본적인 잡음없는 결합을 증진시킬 수 있도록 전환기어(229)에 대해 기술한 것과 비슷하게 이난 주변에 있다는 것을 제24도의 관계에서 알 수 있다.
기어(229)의 이난 주변의 경사진 면(264)이 없으면, 기어(233)와 마찬가지로 기어(221과 229) 또는 기어(221과 233)가 회전축에 수직인 면으로 놓여 있는 서로 면하고 있는 표면에 최초로 접촉하면, 즉, 서로 면접촉하게 되면, 기어 이는 피치가 적으면 기어(221)가 나선형으로 고속회전할때는 위험이 있는데, 기어(221)가 이는 빨리감기 또는 되감기 모드를 선택하면 불필요한 잡음을 없애고 기어의 맞물림 결합을 최소한으로 지연시킬 수 있도록 기어(229) 또는 기어(233)의 한 이에서 다음 이로 재빨리 미끄러진다.
어쨌든 기어(229와 293)의 이의 특수한 형태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한다.
제29도, 제32(a)도와 제33(b)도를 보면, 저부(158)의 헤드(100)의 움직임을 제34(a)도에 보이는 원리 위치에서 제34(b)도에 보이는 정상 재생 또는 FWD 모드의 위치로 움직이게 영향을 미치는 테이프 구동 유니트(91)에 의해 주어지는 구동력을 사용하여 플레이어의 정상 재생(FWD), 큐(CUE) 또는 재확인(REV) 등을 선택적으로 할 수 있는 장치(268)가 있다.
제29도, 제32(a)도와 제32(b)도를 보면, 재생단추(83)에 대한 부착번호(269)는 캡스턴(79)으로부터 떨어져 대면하는쪽에 기어(221) 주변에 인접한 부착판(90)에 의하여, 재생단추(83)는 부착번호(269)로 미리 정해진 범위안에서 수직 잉동할 수 있도록 부착된다. 헤드저부 동작 레버(270)는 부착 번호(269)와 기거(221)의 주변 사이에 위치하고, 앞부분(271), 뒷부분(272)과 서로 합쳐지는 연결단게(273)를 갖도록 적당한 인조레진 또는 플래스틱 재료로 주형된다. 앞부분(27)의 끝부분은 부착 번호(269)를 향한 면쪽을 따라 연장하는경사진 면(274)이 있다. 이 경사진 면(274)에 대해 뒤쪽, 레버(27)의 앞부분(271)은 오목한 곳(275)과 그곳을 통하여 수직으로 연장하는 통로(276)가 있다. 위로 향한 동작암(277)은 (272)의 끝 또는 뒷부분에 있고, 암(277)에서 수직으로 연장된 중앙 틈(278)에 의하여 뒷부분(272)에 인접해서 두갈래로 갈라진다. 또한 수평 틈(279)은 앞부분(271)의 윗표면의 아래로 연장된 부분이 절단되어 레버(270)의 단계(273)에서 형성된다(제34(a)도와 제34(b)도).
톱니 멈춤 레버(281)는 경사면(274)을 따르는 레버(270)의 압부분(271)의 아래 표면을 향해 위치하고 앞부분(271)의 끝에 있는 핀(282)에 수직으로 부착된다. 톱니 멈춤 레버(281)는 톱니 멈춤 이(283)와 자유로운 끝에 있는 정지 돌출부(284)를 갖도록 플래스틱 재료로 주형된다. 톱니 멈춤 레버(281)는 비틀림 스프링(285)을 통하여 제31도의 화살표 i의 방향으로 레버(270)에 대해 수직으로 편심되고, 톱니 멈춤 레버(281)의 정지 돌출부(284)는 톱니 멈춤 이(283)가 기어를 향한 레버(270)쪽으로 떨어져 돌출한 위치에 톱니 멈춤 레버(281)의 편심된 스프링의 수직 운동을 제한하기 위하여 레버(270)에 있는 접합점(286)에 맞물린다.
제32(a)도와 제32(d)도 제37도에서 보는 것처럼, 헤드저부 동작 레버(270)의 앞부분(271)은 제 1 동작판(245)의 아랫면 하부까지 연장되고, 통로(276)를 통해 부착판(90)에 매달린 안내핀(288)을 받아들이고, 지지 레버(270)의 아래끝에 와셔(289)를 고정한다. 동작암(277)을 헤드저부(158)의 자유로운 끝부분(158a) 아래 부착판(90)에 있는 직사각형의 안내구멍(290)을 통해 위로 뻗힌다.
제30도에 보이는 것처럼 동작암(277)은 지지 톱니 멈춤쇠(291)를 한정하기 위하여 반대쪽, (291')에 노치를 낸다. 암(277)이 안내구멍(290)에 위로 향하여 삽입되면, 지지 톱니 멈춤쇠(291)는 노치(291')가 안내구멍(290)의 반대편 끝부분을 받아들일때까지 그 사이에 있는 틈(278)을 서로 좁히도록 옆쪽으로 탄력성 있게 밀린다. 그후, 레버(270)는 직사각형 구멍(290)에 암(277)의 수용에 의해 허용되는 한도까지 세로방향으로 움직이도록 판(90) 아래에 부착된다. 또한 암(270)은 구멍(290)을 따라 암의 어떤 위치에서도 지레받침점처럼암(277)을 향해 옆으로 흔들릴 수 있다. 암(270)에 매달린 고리(292)와 레버(270) 사이에 연장된 장력 스프링(293)에 의해 제32(a)도의 화살표 J와 K방향으로 세로와 수직으로 편심된다.
제29도, 제32(a)도 내지 제32(d)도, 제33(a)도와 제33(b)도에서 보이는 것처럼, 인조레진 또는 플레스틱 재료로 주형된 제 1 구동기어(221)는 3개의 같은 위치의 구동단자들(285)과 같은 여러개의 구동단자의 아래면에 부착되고, 레버(281)의 톱니 멈춤 이(283)가 재생단추(83)의 동작에 따라 구동단자(295)의 원통 통로로 돌출되면 톱니 멈춤 레버(281)의 주변에 위치한다.
제29도, 제33(a)도와 제33(b)도에서 보이는 것처럼, 동작암(296)은 경사면(274) 지역의 레버(270) 아래에 부착 번호(269)로부터 연장될 수 있도록 재생단추(83)와 같이, 부착되고, 이 동작암(296)은 단추(83)가 눌려지면 경사진 면과 부드럽게 접촉하게 하기 위하여 경사면(274)에 일반적으로 평행인 경사면(297)에 부착된다. 플레이어(70)의 FWD, CUE와 REV 모드의 동작은 위에 기술한 장치(268)에 의해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제32(a)도에 따르면, 비동작 상태나 정지상태에 있으며, 레버(270)는 화살표 J와 K의 방향으로 스프링(293)에 의하여 밀리고, 톱니 멈춤 레버(281)의 톱니 멈춤 이(283)가 기어(221)의 구동단다(295)의 이동로의 외부에 있도록 동작암(296)이 경사면(274)으로부터 떨어져 있으면 재생단추(83)는 동작하지 않거나 이완된 위치에 있게 된다(제 33(a)도).
또한, 동작하지 않거나 정지상태에서, 차폐판(162)의 정지부분(164)은 레버(270)의 틈(278)에 삽입되고 레버의 동작암(277)은 제34(a)도에 보이는 위치로 헤드(100)가 자리잡도록 스프링(163)에 의해 밀린 헤드저부(158)의 자유로운 끝부분(158a)의 뒤에 수용된다. 비동작 상태나 정지상태에서 카세트(71)가 플레이어(70)안으로 장진되고, 재생단추(83)가 제33(b)도에 보이는 위치인 위로 눌려지면, 동작암(296)의 경사면(297)은 레버(270)의 경사면(274)위에서 동작한다.
제 1동작판(245)은 앞레버 부분(271)의 아래쪽으로 지탱하고 있기 때문에, 경사면(274)에 경사를 이룬 면(297)의 압력에 따라 제 1 동작판의 위로 향한 움직임은 저항을 받고, 그에 따라 이 압력은 제33(b)도의 화살표 ι방향으로 쐐기 작용 또는 힘이 된다. 그 결과로 레버(270)는 지레받침인 동작암 부분(277)에 대해 제32(b)도의 화살표 K방향으로 수직 이동하게 된다. 위로 눌려진 위치로 재생단추(83)가 잠기면, 이후에 자세히 기술되듯이 레버(270)는 제32(b)도에 보이는 것처럼 수직한 위치에 머물고, 그 결과로, 톱니 멈춤 레버(281)의 이(283)는 제 1 구동기어(221)의 구동단자(295)의 이동원형 통로안으로 연장된다.
앞에 언급했듯이, 플레이어(70)의 재생 또는 동작 모드를 선택하기 위하여 재생단추(83)를 누르는 것은 테이프 구동 유니트(91)을 제32(b)도의 화살표 e의 방향으로 제 1 구동기어(221)의 회전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기어(221)의 이 회전이 시작된 직후에, 구동단자(295)중의 하나는 톱니 멈춤 레버(281)의 이(283)를 수용하고, 톱니를 통해, 장력 스프링(293)의 힘에 대향하여 제32(c)도의 화살표 J방향인 세로로 레버(270)를 구동한다.
화살표 J방향으로의 레버(270)의 세로 움직임은 경사면(274)을 제32(d)도의 점선에서 보이는 것처럼 최후까지 단추(83)의 동작암(396)의 경사를 이루는 면(397)에 대해 미끄러지게 하고, 레버(270)는 경사면(274)(제31도)에 인접한 오목한 곳(275)이 동작암(296)의 경사면(297)을 가리키는 세로로, 자리잡은 위치로 도달한다.
그에 따라, 장력 스프링(293)은 실선으로 보이는 위치에 제32(d)도의 화살표 K방향으로 지레받침점인 동작암부분(277)에 대한 축 레버(270)에 영향을 미치고, 동작암(296)의 위 끝은 소위 전진된 위치에 레버(270)를 잠그기 위하여 오목한 곳(275)에 수용된다. 제32(d)도의 화살료 k방향으로의 레버(270)의 수직 이동은 제 1 구동기어(221)의 구동단자(295)의 통로로부터 톱니 멈춤 레버(281)의 이(283)를 제거하는데 효과적이다. 레버(270)가 원래 위치 또는 되돌아온 위치에서 (제34(a)도) 전진된 위치(제 34(b)도) 화살표 J방향인 (제 32(c)도)세로로 움직이는 동안, 레버(270)의 동작암(277)은 안내구멍(290)을 따라 움직이고 같은 방향으로 헤드저부(158)의 자유로운 끝부분(158a)을 위치하게 한다. 그리하여, 헤드저부(158)는 비틀림 스프링(163)의힘에 반하여 제13도의 화살표 b'의 방향인 축(157)의 주위에 수직으로 위치하고 제34(b)도에서처럼 재생 헤드(100)는 카세트(71)안에 비교적 깊게 삽입되고 미리 지정된 압력으로 테이프 지지 패드(301)를 향하여 테이프(300)를 민다. 비슷하게, 핀치 롤러(101)는 장력 스프링(167)의 힘에 반하여 테이프(300)를 통해 캡스턴(79)과 압력 접촉하게 된다.
FWD 모드로 전환되면, 위에 기술한대로, 테이프(300)는 재생헤드(100)가 동작하거나 테이프(300)에 기록된 스테레오 신호를 재생하는 동안 캡스턴(79)과 핀치 롤러(101)의 상호 동작에 의해 일정한 속도로 구동된다.
FWD 모드로 전환되면, 위에 기술한대로, 테이프(300)는 재생헤드(100)가 동작하거나 테이프(300)에 기록된 스테레오 신호를 재생하는 동안 캡스턴(79)과 핀치 로러(101)의 상호 동작에 의해 일정한 속도로 구동된다.
FWD모드에서 위에 기술한대로 그리고 제35(b)도의 실선으로 도시된대로, 전진한 위치로의 레버(270)의 움직임은 제 1 동작판(245)의 주변 부분이 레버(270)의 틈이나 아래가 깍인곳(279)에 들어가게 하고 거기에 머물게 한다.
플레이어(70)가 FWD 또는 재생 로드에 있을때 FF 단추(84)가 위로 눌려지면, 테이프(300)의 빨리보내기 구동은 재생단추(83)가 눌려진 위치에서, 이후에 자세히 기술하겠지만, 플레이어의 CUE 모드를 이루기 위하여 잠겨져 있는 동안 수행된다. 더 나아가서, FF 단추(84)가 제26(a)도의 실선처럼 동작위치인 위로 눌려지면, 동작암(253)은 제35(b)도의 실선에서 보이는 것처럼 원래 위치 또는 되돌아온 위치에서 점선으로 보이는 올라온 위치로 올라가도록 힘을 받는다. 제 1 동판(245)은 FWD 모드를 이루기 위하여 화살표 J의 방향으로 전진하면 레버(270)의 틈으로 수용되기 때문에 FF 단추(84)의 누름에 따라 제 1 동작판(245)의 위로의 이동이나 자리잡음은, 제34(b)도와 제35(b)도의 점선의 위치로, 지레받침점인 동작암 부분(277)에 대해 화살표 m인 방향으로 레버(270)의 수직운동을 일으킨다. 화살표 m인 방향으로의 레버(270)의이러한 수직운동은 재생단추(83)의 동작암(296)의 위 끝으로부터 레버(270)의 오목한 곳(275)의 이탈을 야기시키고, 그에 의해 레버(270)는 제32(a)도에 보이는 원래 위치 도는 이완된 위치로 장력 스프링(239)에 의하여 되돌아 오도록 풀려진다.
레버(270)의 이러한 되돌아오는 동작과 그로 인한 헤드저부(158)의 자유로운 끝부분에 수용된 동작암 부분(277)은 비틀림 스프링(163)이 제13도의 화살표 b의 방향인 헤드저부(158)에 수직으로 되돌아오는 것을 허용함으로써 재생 헤드(100)가 제34(a)도에 보이는 것 원래 위치 또는 되돌아온 위치에 이동하게 된다. 재생 헤드(100)의 되돌아온 위치에서, 헤드는 테이프(300)와 가볍게 접촉하기 위하여 카세트(71)안에 조금 삽입된채로 있다.
FF 단추(84)가 눌려지기 전에 재생 또는 FWD 단추(83)가 동작 위치로 눌려져 있으면, 단추(84)는 눌려진 또는 동작 위치에 감겨지지 않고 재생 단추(83)는 눌려진 동작 위치에 계속 잠겨있게 된다. 그리하여, 제32(a)도에 보이는 되돌아온 또는 원래의 위치로 되옮겨진 레버(270)를 단추(83)의 동작암(296)의 경사면(297)에 가볍게 접촉하여 경사면(274)을 갖는다. 결과적으로, FWD 레버(270)는 제34(a)도와 제35(a)도의 실선으로 표시된 것처럼 완전히 수평위치로 되돌아오기보다는 점선으로 표시된 것처럼 약간의 경사진 상태로 있게 된다. 재생 또는 FWD 단추(83)가 미리 물려져 있을 때 FF 단추(84)를 누르면, 테이프 구동 유니트(91)는 테이프에 기록된 스테레오 신호가 헤드(100)에 의하여 재생되는 동안 테이프(300)가 카세트(71)의 감기 릴에 빨리 감겨지는 CUE 상태가 될 것이다. FF 단추가 CUE 상태가 되도록 눌려진 후 FF 단추(84)가 이완되면, 단추(84)는 제26(a)도의 점선으로 보이는 원래의 또는동작하지 않은 위치로 되돌아오고, 동시에 제 1 동작판(245)은 레버(270)의 앞부분(271)을 아래로 누른것과 마찬가지로 제35(a)도의 실선으로 보이는위치인 아래쪽으로 되돌아온다.
또, 레버(270)는 제 35(a)도의 화살표 m'인 방향으로 수직이동하고 그 결과를 레버(270)가 경사면(274)는 동작암(296)의 경사면(297)과 누름 접촉하게 되고 결과적으로 쐐기 작용은 레버(270)를 제32(b)도의 화살표 K'의 방향으로 다시 수직이동하게 함으로써 레버(281)의 톱니 멈춤 이(283)는 기어(221)의 구동단자(295)의 이동 통로 안으로 다시 돌출된다. 그리하여, FWD 또는재생 모드로 변환하는 경우에 있어서, CUE 모드로부터 다시 재생 또는 FWD 단추(83)가 전진 위치에 감겨져 있는 동안 영향을 받고, 그에 따라 플레이어(70)는 확인 또는 REV 모드가 된다. REV 모드에서 되감기를 끝내기 위하여 그후에 되감기단추(85)가 이완되면 언제나, 플레이어(70)는 재생 또는 FWD 모드로 다시 자동적으로 돌아간다.
플레이어(70)가 재생 또는 FWD 형태에서 정지 단추(80)가 위로 눌려지면, 재생 또는 FWD 단추(83)는 눌려진 또는 동작 위치에서 이완되고, 그에 따라 제33(a)도에 보이는 원래의 또는 동작하지 않는 위치로 되돌아간다. 앞의 결과로, 단추(83)의 동작암(296)의 위치인 레버(270)의 오목한 곳(275)으로부터 이탈되고 그에 의해 스프링(293)을 통해 제32(a)도에 보이는 되돌아온 또는 원래의 위치로 다시 돌아가도록 자유로워진다. 레버(270)의 이러한 되돌아오는 움직임은 헤드저부(158)가 제34a]도에 보이는 원래 위치인 헤드(100)에 되돌아가는 것을 허용하고, 그에 따라 플레이어(70)를 동작하지 않거나 정지 상태를 유지한다.
플레이어(70)의 여러가지 동작 모드를 선택하기 위해 기술한 장치(260)에서, 경사면(274)의 수용에 따라 레버(270)의 재생단추(83)의 암(296)의 동작은 톱니 멈춤 레버(281)의 이(283)가 구동단자(295)의 이동통로 안으로 돌출되는 위치에 레버(270)의 살짝 옆으로의 움직임에 영향을 미치기 위한 것이다. 그후, 레버(270)의 전진된 위치로의 근본적인 세로 움직임, 동작 위치로 헤드를 움직이는 것과 캡스턴(79)과 핀치 롤러(101)를 받아들이기 위한 헤드저부(158)의 그에 상응하는 움직임은 모터(211)에 의하여 구동기어(221)의 회전에서 힘을 얻는다. 전진된 위치에 도달하면, 레버(270)는 오목한 곳(275)에 동작암(296)의 수용에 의하여 잠기고, 이 맞물림은 레버(270)가 구동단자(295)의 통로로부터 톱니 멈춤 이(283)가 재이탈할 수 있도록 옆으로 움직이거나 수직으로 움직일 수 있게 한다.
위 동작동안, 레버(270)는 세로방향과 그의 수직양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고, 이 두가지 움직임에 대해 레버(270)에 유지력을 주는데 효과적인 한개의 장력 스프링(293)을 갖는다. 또한, 기술한 장치(268)는 비교적 단순한 몇단계로 조립할 수 있는 최소한의 부품으로 구성된다. 모터(211)이 회전력은 재생 또는 FWD 모드를 이루기 위한 레버(270)의 근본적인 세로 움직임이 영향을 미치는데 쓰이기 때문에, 재생 FWD 단추(83)는 매우 가벼운 또는 살쪽 만지기만 하여도 늘려지는 또는 동작 위치가 되어 동작하는 형태의 것이 될 수 있다.
장치(268)는 단자(295)중의 하나가 단추(83)의 위로 눌림에 따라 제36도의 화살표k'의 방향으로 레버(270)가 옆으로 이동하는 순간에 톱니 멈춤 이(283)를 간섭하는 경우에 톱니 멈춤 레버(281)나 구동단자(295)에 충격을 주지 않기 위한 안전기구(304)를 갖는다. 제30도, 제36도, 제37도에 보이는 것처럼 축핀(282)이 헤드(305)에 부착되고, 레버(270)의 끝부분에 매달린 돌기(306)안에 아래로부터 압착 부착된다. 톱니 멈춤 레버(281)는 이(283)로부터 떨어진 끝부분에 관통형 구멍(307)을 갖고, 이 구멍(307) 위에 부착되므로 톱니 멈춤 레버(281)는 돌기(306)의 축에 대해 화살표 i와 i'방향으로 수직이동할 수 있다. 구멍(307)의 직경은 돌기(306)의 외경보다 약간 크므로 레버(281)는 화살표 n와 m'의 방향으로 자유로이 수직이동할 수 있다.
비틀림 스프링(285)은 끝부분(285a와 285b) 그리고 헤드(305)와 톱니 멈춤 레버(281)사이에 있는 축핀(282)주위까지 연장하는 중간 코일부분(285c)을 포함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끝부분(285a와 285b)은 레버의 아래표면으로부터 돌출할 수 있도록 레버(270)의 끝부분에 톱니 멈춤 레버(281)와 함께 주형된 스프링 고리(308과 309)에 대해 버틴다. 장착되면, 비틀림 스프링(285)의 코일 부분(285c)은 톱니 멈춤 레버(281)가 레버(270)의 정지점(286)에 접합점(284)을 수용하도록 제36도의 화살표 i방향으로 편심되도록 하고, 제37도의 화살표 n의 방향으로 수직으로 레버(281)를 밀어 억합함으로써 비틀림 그리고 수직으로 모두 부하를 받게 되고, 그에 따라 레버(281)를 레버(270)의 앞부분(271)의 아래 표면에 근접 접촉하게 밀게 된다.
위에 기술한 안전기구(304) 때문에, 재생 또는 FWD 단추(83)가 구동단자(295)중의 하나가 레버(270)의 앞부분(271)쪽에 위치할때라도 정확하게 위로 눌려지면, 경사면(274)의 동작암(296)의 동작에 의해 화살표 k'의 방향으로 레버(270)의 옆으로의 수직이동은 이 구동단자(295)와 접합점 안에 톱니 멈춤 레버(281)를 가져오고, 제36도에서처럼, 톱니 멈춤 레버(281)는 실선으로 표시된 위치에 비틀림 스프링(285)의 힘에 반하여 화살표 i의 방향으로 수직으로 기운다.
톱니 멈춤 레버(281)의 맞물림으로부터 도시된 구동단다(295)를 제거하기 위하여 화살표 e방향으로 제 1 구동기어(221)의 더 많은 회전에서, 제36도의 점선으로 표시된 위치로의 구동단다(295)의 움직임에서, 비틀림 스프링(285)은 점선으로 표시된 위치인 화살표 i'의 방향으로 톱니 멈춤 레버(281)를 수직으로 유지하고, 톱니 멈춤 이(283)는 구동단자중에 하나에 의한 궁극적인 맞물림을 위해 구동단자(295)의 이동통로에 들어간다.
또한, 제37도에 보이는 것처럼, 플레이어(70)가 CUE 모드에서 동작이 완료되고 FF 단추(84)가 이완하며, 제1구동기어(221)의 구동단자(295)는 레버(281) 위체 위치하는 순간에 제1 동판(245)과 같이 아래로 되돌아올 것이다. 이때, 제37도의 실선으로 보이는 위치인 화살표 n'의 방향으로 레버(281)가 아래로 기울어지게 됨으로써 충격이 피해진다. 제36도의 화살표 e의 방향으로 제 1 구동기어(221)가 더 회전하면 , 레버(270)를 전진한 위치에 유지하기 위하여 기어(221)의 구동단자(295)에 의해 함께 수용되도록 제37도의 점선으로 표시된 위치로 톱니 멈춤 레버(281)는 스프링(285)에 의해 되돌아온다. 그래서, 단추(83과 84)의 동작이 기어(221)의 회전 위치에 대해 무작위로 일어날지라도 톱니 멈춤 레버(281) 또는 구동단자(295)가 충격을 받을 가능성은 없다.
또한 앞에 말한 것을 얻기 위해 기술한 안전기구(304)는 화살표 i의 방향으로 또 화살표 n의 방향으로 톱니 멈춤 레버(281)를 제자리에 위치하게 하기 위하여 단하나의 비틀림 스프링(28)만을 사용한다.
제38도에서 보면, 정지단추(82), 재생 또는 FWD 단추(83), FF 단추(84)와 되감기단추(85)는 제 1, 제 2 동작판(245와 248)의 움직임에 대해 보호대로 쓰이는 동작판 지지축(241) 주위에 배열되어 부착판(90)의 아래쪽에 부착된다. 앞에 언급했듯이, FWD 단추(83), FF 단추(84)와 되감기단추(85)는 부착판(90)의 아래쪽에 부착된다. 앞에 언급했듯이, FWD 단추(83), FF 단추(84)와 되감기단추(85)는 부착판(90)에 매달린 관형 부분(269), (251, 252)에 부착된다. 누름단추 뭉치(312)(제 39도 내지 41도)에 포함된 정지단추(82)는 부착판(90)에 매달린 부착부품(317)에 대해 판(90)에 정상인 방향으로 움직이게 하게 위하여 비슷하게 부착된다.
배치된 상기 단추(82 내지 85)들은 스위치 동작판(319) 아래로 바로 배열된 잠금판(318)과 함께 부착판(90)의 저부 표면에 밀착되어 있는 스위치 동작판(319)과 잠금판(318)이다. 도시된 카세트 테이프 플레이어(70)는 제 1, 제 2 전원 스위치(323과 324)를 포함한다(제 38 도), 제 1 전원 스위치(323)는 제 2 동작판(248)과 결합한 스위치 부착판(325)을 통해 부착판(90)의 아래쪽에 부착되는 것을 볼 수 있고, 제 2 전원 스위치(324)는 부착판(90)의 아래쪽에 바로 부착된다.
제39도 내지 제41도에서 보면 누름단추 뭉치(312)의 정지단추(82)는 일반적으로 배모양의 억압부분(328), 억압부분(328)의 대략 중심으로부터 위로 향한 보호축부분(329)으로부터 위로 연장된 지지축부분(330), 억압부분(328)의 반대편 끝부분으로부터 위로 연장된 한쌍의 보호판부분(331), 대응하는 보호판부분(331)에 인접한 억압부분(328)의 끝부분으로부터 위로 향한 잠금판 동작부분(332)을 구성하도록 인조레진 또는 플래스틱 재료로 함께 주형된다. 원형으로 연장된 틈(333)이 지지축 부분(330)의 끝부분에 마련되어 있고, 그 끝은 틈(333)의 반대편에 한쌍의 반원추형의 지지톱니 멈춤쇠(334)를 이루도록 원형으로 확장되고 원추형 모양을 갖는다. 경사면(335)은 잠금판 동작부분(332)의 위 끝부분 한쪽에 있고, 오목한 곳(336)(제41도)은 억압부분(328)에 있고 보호축부분(329) 주위에서 위로 연다. 정지단추(82)를 위한 부착 부품(317)은 금속 부착판(90)과 합쳐질 수 있도록 소위 사출 주형법에 의하여 인조레진 또는 플래스틱 재료로 주형된다. 부착 부품(317)은 거기를 통해 연장된 수직 보호구멍(337)을 갖고, 그 위 끝부분에서, 보호구멍(337)은 거기를 통하여 연장되는 축소된 직경의 중앙구멍(338)에 스프링 자리(339)를 고정하기 위한 안으로 향한 테두리를 갖는다. 부착판(90)에 바로 인접하여 위치하는 부착부품(317)의 저부부품(340)은 원형형대를 갖고 "원형저부"라 불리워진다. 원형 저부(340)로부터 아래로 연장한 관형부품(317)은 근본적으로 정사각형의 외부형태를 갖는 몸체부분(341)과 몸체의 반대편인 몸체(341)의 아래 끝부분에 부착되는 틈(342)에 부착된다.
나선형 억압 스프링(343)은 비교적 직경이 큰 보호축부분(329)을 향하여 한끝에 자리잡도록 지지축부분(330) 근처에 위치한다. 그리고. 지지축부분(330)의 위 끝부분에 있는 지지톱니 멈춤쇠(334)가 스프링자리(339) 위에 영구히 지지되도록 구멍(338)을 통하여 물릴때까지 지지축부분(330)과 보호축부분(329)을 부착부품(317)의 안내구멍(337)안으로 아래서부터 삽입된다. 이 부착상태에서, 스프링(243)은 정지단추(82)가 제40도와 41도에 보이는 것처럼 동작하지 않거나 이완된 위치로 밀리도록 자리(339)를 수용한다. 또한, 안내판부분(331)의 안으로 향한 표면은 축부분(329와 330) 근처의 부착부품(317)과 관련이 있는 단추(82)의 회전을 저지하기위하여 몸체(341)의 평평한 표면에 인접하여 접근되어 위치하나, 스프링(343)의 힘에 반하여 정지단추(82)가 동작하지 않거나 이완된 위치에서 위로 눌려지는 것을 허용한다.
제42도 내지 제44도에 따르면 재생 또는 FWD 단추(83)는 누름단추 뭉치(312a)에 포함된다. 단추(83)는 일반적으로 배모양의 억압부분(345), 안내축부분(346)으로부터 방사형으로 연장되고 배모양 또는 연장된 억압부분(345)의 세로축에 대해 비스듬하게 향하고 있는 상기 동작암(296)과 함께 억압부분(345)의 대략 중간으로부터 위로 향하고 있는 보호축부분(346), 억압부분(345)의 한끝으로부터 연장되고 억압부분에 대해 위로 상쇄하고 있는 스위치 동작부분(347)의 합쳐진 부품으로써 구성되도록 인도레진 또는 플래스틱 재료로 주형된다. 또한 보호축부분(346)으로부터 위로 연장된 곳에는, 사출 주형법에 의해 단추(83)의 나머지와 합쳐지고 금속에 부착되는 동심의 동작축(348)이 있다. 동작축(348)은 원추형(349)과 이 끝에 인접한 고리모양의 홈(350)이 있다. 또한, 단추(83)의 동작암(296)은 끝부분이 반대편에 있는 오목한 곳(351)이 있고, 이는 동작암(296)의 일부가 억압 부분(345)에 결합된다.
FWD 단추(83)에서 전에 언급한 부착 부품(296)은 사출 주형법에 의해 부착판(90)에 합쳐지도록 인조레진 또는 플래스틱 재료로 주형되고 수직방향에서 거기를 통하여 연장되는 안내구멍(353)이 있다. 그 끝의 중간쯤에, 안내구멍(353)은 가운에 구멍(354) 주위에 스프링 자리(355)를 정하기 위하여 안으로 향한 턱진 부분을 형성한다. 안내구멍(356)은 관형 부착 부품의 한편을 따라 형성되고 이 안내구멍(356)의 아래끝은 서로를 향해 돌출하는 지지톱니 멈춤쇠(357)를 제한하기 위하여 좁아진다.
또한, 그 위 끝에서 안내구멍(356)은 부착판(90)에 바로 인접한 부착부품의 저부에 관형부착부품(296)의 벽을 통하여 연장되는 틈(358) 안에서 열리고, 이 틈(358)은 구멍(356)보다 훨씬 큰 모서리를 갖는다. 나선형 억압 스프링(359)이 보호축부분(356)에 대해 한끝에 인접하도록 동작축(348) 주위에 장착된 후, 동작축(348)과 보호축부분(346)은 동작암(296)이 안내구멍(356)을 통해 미끄러져 연장되도록, 동작축(348)의 끝부분(349)이 구멍(354)을 통해 연장되도록, 그리고 자리(355)에 스프링(359)이 인접하도록 부착부품(299)의 안내구멍(353) 안으로 아래쪽에서부터 수직으로 삽입된다. 구멍(56)안에 동작암(296)을 삽입할때, 지지톱니 멈춤쇠(357)는 동작암(296)의 오목한 곳(351)안에 들어갈때까지 서로 떨어져 탄력성 있게 기울고, 지지톱니 멈춤쇠(357)는 제43도와 제44도에 보이는 비동작 상태나 이왼된 위치에 있는 스프링(359)의 영향아래 있는 FWD 단추(83)의 아래로의 움직임을 제한한다. 물론, FWD 단추(83)은 스프링(359)의 힘에 반하여 동작하지 않거나 이완된 위치에서 위로 눌려질 수 있고 구멍(353)에서 보호축부분(346)의 수용과 구멍(356)에서 동작암(296)의 수용에 의해 결과적으로 위로 이동하는 것이 보호된다.
제45도 내지 제47도에서 보면, FF 단추(84)와 되감기 단추(85)는 실제적으로 같은 누름단추 뭉치(312b와 312c)에 포함되고, 누름단추 뭉치(312b)의 특수한 배열만이 이후에 자세히 설명될 것이다. FF 단추(84)는 안내축으로부터 방사형으로 연장하는, 앞에 언급한 동작암을 갖는 위로 뻗힌 동심 안내축부분(362)로부터 원통형의 억압부분(361)으로 구성되도록 인조제진 또는 플래스틱 재료로 주형된다. 금속 동작축(363)은 안내축부분(362)으로부터 위로 연장되고 사출 주형법에 의하여 거기에 합쳐진다. 원추형 끝(364)은 동작축(363)의 끝에 형성되고, 동작축은 원추형 끝(364)에 인접하여 있는 고리모양의 홈(365)을 갖는다.
FF 단추(84)에 대한 전에 언급한 부착 부품(251)은 관형이고 부착판(90)에 합쳐지도록 사출 주형법에 으하여 인조레진 또는 플래스틱 재료로 주형된다. 관형 부착 부품(251)은 수직방향으로 거기를 통해 연장하는 안내구멍(367)을 갖는다. 그 끝의 중간에 안내구멍(367)은 스프링 자리(369)를 통해 연장하는 직경이 축소된구멍(368)을 제한하기 위하여 안으로 향해 턱진부분을 갖는다.
또한, 안내구멍(370)은 관형 부착 부품(251)의 한면을 따라 연장되고 서로를 향해 안으로 향하고 있는 한쌍의 지지톱니 멈춤쇠를 한정하기 위하여 아래쪽 끝은 좁아진다. 안내구멍(370)의 위 끝은 부착판(90)에 바로 인접한 부착 부품의 저부에 관형 부착 부품(251)의 벽을 통하여 연장되는 틈(372)안에서 열린다. 틈(372)은 구멍(370)보다 근본적으로 큰 연장된 모서리를 갖는다. 동작축(363) 주위에 나선형 억압 스프링(373)이 장착된 후에, FF 단추(84)의 보호축 부분은 안내구멍(367) 안으로 아래서부터 삽입됨으로써 동작축(363)의 끝부분은 구멍(368)안으로 연장되고 스프링(373)의 위끝은 자리(369)에 대향한다. 또한 동작암(353)은 지난 지지톱니 멈춤쇠(371)에 의해 안내구멍(370) 안으로 힘을 받고, 그에 의해 지지톱니 멈춤쇠(371)는 제46도와 47도에서 보이는 비동작 상태나 이완된 위치에 있는 스프링(273)의 억압하에서 FF 단추(84)의 아래로의 이동을 제한한다.
물론, FF 단추(84)는 스프링(273)의 힘에 반하여 위로 눌려질 수 있고 단추(84)의 이러한 위로의 이동은 보호구멍(367)에 있는 안내축부분(362)의 수용가 구멍(370)에서 동작암(253)의 수용에 의해 안내된다. 누름단추 뭉치(312, 312a, 312b, 312c)가 위에 말한 것으로써 완성되면, 단추(82 내지 85)가 플래스틱으로 주형될 수 있고, 부착부품(251, 252, 269, 317)은 사출 주형법에 의해 부착판(90)에 합쳐져 주형됨으로써 누름단추 뭉치를 구성하는부품들은 쉽게 그리고 저렴하게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누름단추 뭉치를 구성하는 이러한 부품들을 함께 조립하는 것은 아주 단순화 된다. 왜냐하면 필요한 모든 것은 단추(82, 84와 85)를 아래서부터 부착판(90)에 정상인 똑같은 방향으로 대응하는부착 부품(317, 269, 251과 252) 안으로 밀어넣기만 하면 되기 때문이다. 테이프 구동 유니트(91)를 구성하는 여러가지 뭉치를 조립하는 것처럼 구동 유니트(91)를 조립하는데도 자동 조립기술을 사용하여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는 카세트 테이프 플레이어(70)에서, 단추(82 내지 85)와 테이프 구동 유니트(91)의 기어는 카세트가 장진된 상태에서 카세트(71)가 위치하는 쪽의 반대편 부착판(90)쪽에 모두 있고, 장진된 카세트의 돌출된 부분안에 있음으로써, 캐비넷트(73)의 외관치수보다 약간만 크게 만들어질 수 있고 그에따라 카세트 테이프 플레이어(70)의 전 크기는 괄목할만하게 소형화되는 것이 실현된다.
제48도, 제49(a)도 내지 제49(c)도와 제50(a)도 내지 제50(c)도에 따르면, 플레이어(70)의 누름단추 잠금 유니트(313)는 부착 부품에 의하여 돌아가며 안내될 수 있도록 부착 부품(317)의 원형 저부(340) 위에 맞는 원형구멍(376)을 같는 얇은 박막금속으로 굼성된 잠금문(318)을 포함한다. 잠금판(318)은 미리 정해진 간격만큼 외부로 방사하여 돌출하는 세개의 잠금 부품(378a, 378b와 378c)으로부터 돌출하고, 그 끝에 정지단추(82)의 잠금판 동작부분(332)의 경사면(335)에 원추형으로 수용되기 위하여 위치한다(제50(a)도), 암(380)은 잠금판(318)으로부터 스프링에 대해 고리를 이루도록 연장되며, 잠금판(318)은 그 안에 자리잡고 있는 통로(381 과 382)를 형성하므로써 동작판(245와 248)을 위한 동작판 지지축(241)과 레버(270)을 위한 안내판(288)은 원형저부(340)의 중앙 주변의 잠금판(318)의 각 위치에 방해받지 않고 이 통로를 통하여 연장될 수 있다.
잠금판(318)이 부착판(90)의 아래 표면 반대에 원형저부 중심의 주변에 수직하기 위하여 원형저부(340)를 수용하는 원형구경(376)고 같이 스위치 동작판 바로 아래 부착되면, 잠금 부품(378a, 378b와 378c)은 부착 부품(269, 351, 352)의 틈(358과 372)에 삽입되며, 그에 따라 부착판(90)에 대한 잠금 부품(378a 내지 378c)의 수직 위치는 바로 서게 된다. 압력 부품(383)(제49a 내지 제49(c)도)은 부착판(90)에 고정되고 원형저부(340)의 잠금판(318)을 지지하기 위하여 원형통로(376)에 인접한 위치에서 잠금판(318)의 아래쪽에 대해 위로 압력을 가한다.
장력 스프링(384)은 앵커(380)의 한끝과 다른 한끝인 부품(383)에 연결되므로써 잠금판(318)은 제49(a)도의 화살표 0방향으로 수직 편심된다. 또 압력 부품(383)은 그 위에 레버(270) 위에서 동작하는 스프링(293)을 위하여 고리(292)를 마련한다.
잠금판(318)의 수직운동축에 근접한 부착 부품(269, 251, 252)에서 틈(358과 372)의 끝은 하살표 0의 방향으로의 잠금판(318)의 수직 운동을 제한하기 위하여(385a, 385b, 385c)에 제한을 가하고, 그에 의해 잠금부품(378a, 378b와 378c)이 상응하는 틈(358과 372)안으로 삽입되는 정도를 제한한다.
잠금 유니트(313)에서, 잠금판(318)의 수직 이동 중심으로부터 FF 단추(84)와 되감기단추(85) 각각의 동작축(363)의 중심까지의 반지름 거리 r2는 이 수직운동의 중심부터 재생 또는 FWD 단추(83)의 동작축까지의 Y1보다 훨씬 크다.
위에 기술한 잠금 유니트(313)는 아래와 같이 동작한다.
정지 모드 또는 상태(제49(a)도와 제50(a)도)에서 모든 단추(82 내지 85)는 상응하는 억압 스프링(343, 359와 373)에 의하여 이완된 또는 비동작 위치인 아래로 밀린다. 단추(83, 84, 85)의 이러한 비동작 상태나 이완된 위치에서 동작축(348과 363)의 원추끝(349와 364)은 잠금 부품(378a, 378b, 378c)에 버텨져 수용되어 있도록 잠금판(318)의 면에 살짝 닿는다.
단추(83)가 플레이어(70)의 재생 모드를 선택하거나 수행하기 위하여 스프링(359)의 힘에 의하여 전진된 위치나, 동작 위치인 위로 눌려지면, 동작축(348)의 원추끝(349)은 고리모양의 홈(350)이 잠금 부품(378a)의 높이를 이룰때까지 장력 스프링(384)의 힘에 의하여 제49(b)도의 화살표 0'의 방향으로 잠금판(318)이 위치하도록 하기 위하여 잠금 부품(378a)에 의하여 동작한다. 그에따라, 잠금판(318)은 고리모양의 홈(350)안에 잠금부품(378a)을 수용하기 위하여 스프링(384)에 의하여 제49(b)도의 화살표 0' 방향으로 되돌아온다.
실선으로 표시된 제49(c)도와 제50(c)도는 FF 단추(84)를 전진된 위치 또는 동작위치에 잠그고 위로 누름에 의하여 빨리보내기 모드가 선택되었음을 보여준다.
더 나아가서, 스프링(373)의 힘에 의하여 FF 단추(84)가 전진된 위치인 위로 눌려지면, 원추형 끝(364)은 동작축(348)의 고리모양의 홈(365)이 잠금 부품(378b)을 향하여 동작하고, 그에 따라 잠금판(318)은 고리모양의 홈(365)에 잠금 부품(378b)을 수용시키기 위해 스프링(384)에 의해 제49(c)도의 화살표 0'의 방향으로 도돌아오고 그에 따라 FF 단추(84)는 전진된 위치 또는 동작 위치에 잠기게 된다.
제49(b)도의 실선에서 보는 것처럼 재생 또는 FWD 단추(83)가 잠긴 상태에서, 잠금 부품(378a)은 제 49(a)도에 보이는 것처럼 정지 상채에서의 위치로부터 화살표 0'의 방향으로 약간 이동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마찬가지로, 잠금 부품(378b와 378c)은 제49(a)도에 보이는 것처럼 정지 상태에서의 그들의 위치와 비교하면 제49(b)도의 화살표 0'의 방향으로 약간 이동한 위치에 머문다. 앞에 언급한대로 거리 Y2는 거리 Y1보다 근본적으로 크기때문에, 제49(a)도의 위치로부터 제49(b)도의 실선으로 표시된 위치로 각각의 동작축(363)에 맞물린 점 P2에 화살표 0'의 방향으로 이동한 잠금 부품(378b돠 378c)의 거리는 제49(a)도에 보이는 위치와 제49(b)도에 실선으로 보이는 위치 사이의 동작축(348)에 맞물린 점 P1에 화살표 0'의 방향으로 잠금 부품(378a)에 의해 움직인 거리보다 약간 크다. 그러므로, 재생 또는 FWD 단추(83)가 전진된 또는 동작 위치에 이미 잠겨져 있으면, FF 단추(84)나 되감기 단추(85)는 각자의 동작축(363)의 고리모양위 홈(365)에 잠금 부품(378b나 378c)으로 맞물리지 않고 제50(b)도의 실선으로 보이는 전진된 위치 또는 동작 위치에 위로 눌려질 수 있다.
따라서, 재생 또는 FWD 단추가 전진된 위치에 이미 잠겨져 있을때 FF 단추(84)와 되감기 단추(85)가 전진된 위치 또는 동작 위치로 눌려지면, 눌려진 단추(84나 85)는 전진된 또는 동작위치에 잠겨지지 않고 재생 단추(83)가 풀려지지 않으며 그 결과로 REV 모드의 CUE 모드가 이루어진다. 반대로, 재생 또는 FWD 단추(83)는 FF 단추(84)나 되감기단추(85)가 동작위치에 이미 잠겨져 있을때 전진된 위치 또는 동작 위치로 눌려지면, 이미 잠겨진 단추(84나 85)는 재생단추(83)가 전진된 위치에 잠겨지고 있는 동안에 비동작 상태나 이완된 위치로 되돌아가기 위하여 풀리거나 이완된다. 단추(83, 84, 85)중의 어떤 하나가 전진된 위치에 잠겨져 있을때 제50(b)도의 점선으로 보이는 것처럼 정지 단추(82)가 억압 스프링(343)의 힘에 반하여 위로 눌려지면, 잠금판 동작 부분(332)의 경사면(335)는 풀림핀을 옆으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풀림핀(379)의 아래끝을 향하여 동작하고 그에 따라 제49(b)도의 화살표 0'의 방향으로 잠금판(318)은 수직 이동한다. 스프링(384)의 힘에 반한 이 수직운동은 단추(83, 84, 85)를 이완되어 동작하지 않는 위치로 되돌려 보내기 위해 스프링(359나 373)에 잠겨있던 단추(83, 84, 85)의 고리 모양의 홈(350 또는 365)로부터 잠금 부품(378a, 378b, 378c)을 떼어놓는다.
기술한 잠금 유니트(313)의 잠금판(318)은 얇은 금속판으로 구성되어 있고 단추(83내지 85)의 잠금이나 풀림을 위해 부착판(90)의 면에 평행 이동하기 위하여 고정되고, 단추(83 내지 85)의 각각에 주어지는 충격은 최소화 되고, 단추(83 내지 85)의 잠금가 풀림은 매우 작은 두께의 카세트 테이프 플레이어에 신회서에 큰 영향을 줄 수 있다.
다시 제48도에서, 스위치 동작판(319)은 전원 스위치 유니트(314)에 포함되고 얇은 박막 금속으로 구성된다. 스위치 동작판(319)은 원형 저부의 중심에서 수직 운동하는 안내판(319)을 위해 원형저부(340)를 받아들이도록 채택된 원혀구형(387)을 갖는다. 잠금판(318)에 있는 스위치 동작판(319)은 미리 정해진 간격만큼 방사형으로 외부에 돌출하는 세단자(389a, 389b와 389c)가 있는 활모양의 주변 부분(388)을 갖는다. 단자(389a)의 길이는 다른 단자(389b와 389c)에 비해 반밖에 되지 않는다. 또한, 스위치 동작암(390)은 구멍(387) 주위의 판(319)의 한쪽으로부터 연장되고, 스프링 고리암(391)의 판(319)의 다른 한쪽으로부터 연장된다. 마지막으로, 동작판(319)은 판(319)의 수직운동에 제한없이 동작판 지지축(241)의 연장을 허용하기 위해 자리잡은 통로가 그 안에 있다.
전에 언급했고, 제50(a)도 내지 제50(c)도, 제52(a)도와 제52(b)도에서 보듯이, 스위치 동작판(319)은 부착 부품(317)의 원형저부(340)를 받아들이는 원형구멍(387)을 가진 잠금판(318)과 부착판(90) 사이에 위치하고, 그에 따라 스위치 동작판(319)은 원형저부(340) 주위에 부착판(90)과 같이 평행면으로 수직 운동하기 위해 부착된다.
스위치 동작판(319)의 단자(389a, 389b와 389c)는 누름단추 뭉치(312a, 312와 312c)의 틈(358, 372)안으로 삽입되고, 스위치 동작판(319)은 판(319)의 스프링 고리(391)와 압력판(383) 사이에 연결된 장력 스프린(393)에 의하여 제53(a)도의 화살표 0의 방향으로 수직 편심된다. 단자(389a, 389b와 389c)는 화살표 0의 방향으로 판(319)의수직 운동을 제한하기 위하여 틈(358과 372)의 인접한 끝(385a, 385b와 385c)에 또한 수용된다. 두개의 긴 단자(389)보다 (389c)는 잠금판(318)의 잠금 부품과 겹쳐지도록 잠금 부품(378b와 378c)에 있는 각각의 틈(372)에 삽입된다. 잠금판(319)의 제 3의 또는 비교적 짧은 단자(389a)는 구멍(358)의 후미 부분까지만 삽입된다.
제51도와 제52도에서 보듯이 제1, 제 2 전원 스위치(323과 324)는 박편 스위치 형태로 되어 있고 절연 부착부품(397과 398)의 한끝에 고정되는 한쌍의 박편 스프링 접점(396b와 396b)과 항쌍의 박편 스프링 접점(395a와 395b)으로 구성된다. 박편 스프링 접점(395a와 396a)의 자유로운 한끝은 다른 박편 스프링 접점(395b와 396b)의 자유로운 끝의 앞에까지 연장되고 절연 수용패드(399와 400)를 운반한다. 제 1 전원 스위치(323)는 스위티 부착판(395)(제51도)의 아래쪽에 고정된 절연된 부착 부품(397)을 가지나, 제 2 전원 스위치(324)의 부착 부품(398)은 부착판(90)의 아래쪽에 직접 고정된다.
스위치(323)로부터 떨어진 끝부분에 있는 스위치 부착판(325)은 부착판(90)의 아래쪽에 고정된 부착 브라켓(402)에 의해 옮겨지는 축(403)을 통하여 부착판(90)의 아래쪽에 평행인 수평축 주위에서 수직 운동하도록 부착된 수직 가장자리(401)에 고정되고 부착판에 수직인 면에까지 연장된다. 스위치 부착판(325)은 부착판으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을 수직편심되고, 즉, 제53(a)도의 화살표 P의 방향 또는 아래쪽으로, 장력 스프링(406)에 의하여 스프링 부착판(325)의 가장자리(401)로부터 위로 연장된 고리암(404)가 지지브라켓(402)과 합쳐지는 고리암(405) 사이에 연장된다. 스프링(406)의 영향하에 있는 스위치 부착판(325)의 아래로 향한 흔들림을 부착브라켓(402)으로부터 연장된 멈추개(407)와 판(325)의 옆으로 향한 단자(408)의수용에 의해 대략 수평 위치에 제한된다.
제 1 전원 스위치(323)가 위체 기술한대로 부착되면, 절연 수용 패드(399)는 제54(a)도와 같이 재생 또는 FWD 단추(83)가 스위치 동작 부분(347) 위에 위치한다.
또한, 제54(a)도에 보이는 것처럼 스위치 부착판(325)으로부터 옆으로 향한 단자(408)는 제2동작판(248)으로부터 합쳐져 연장된 단자(409)의 위 표면에 아주 근접하여 위치한다(제22도와 23도).
제51도에서 보듯이, 스위치 부착판(325)으로부터 옆으로 향한 단자(408)는 제2동작판(248)으로부터 합쳐져 연장된 단자(409)의 위 표면에 아주 근접하여 위치한다(제22도와 제23도).
제51도에서 보듯이. 스위치 부착판(325)은 되감기단추(85)의 동작암(254)의 위부분에 밀접하여 위치하도록 스위치 부착판(325)의 한쪽으로부터 세로로 연장되어 아래오 향한 우회 돌출부(410)를 갖는다(제53(a)도). 또 제53(a)도에서 보듯이, 스위치동작암(390)의 자유로운 끝 또는 첨단은, 제 2 전원 스위치(324)의 절연된 수용패드(400)에 근접하여 위치한다. 전원 스위치 유니트(314)의 제 1, 제 2 전원 스위치(323)는 보통 OFF 이고, 스위치(323)와 (324)에서 어느것이나, ON 되면 모터를 동작시키기 위하여 모터(211)를 위한 전원공급회로(보이지 않음)안에 포함되도록 채택된다. 제 1, 제 2 전원 스위치(323과 324)는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스위치(323과 324) 모두가 OFF인 정지 모드(제53(a)도, 제54(a)도)에서 동작 시작하면, 제54(a)도의 점선으로 표시된 것처럼 재생 또는 FWD 단추(83)가 위로 늘려지고 또한 동작 위치에 잠기면, 스위치 동작(347)은 절연된 수용 패드(399)를 위로 자리잡게 하고, 그 결과로, 박편 스프링 접점(395a와 395b)은 서로 눌려져 접촉하게 되고 제 1 전원 스위치(323)는 ON된다. 스위치 동작판(319)의 단자(389a)는 짧고 단추(83)의 동작축(348)의 통로안으로 연장되지 않기 때문에(제53(a)도), 재생단추(83)는 스위치 동작판(319)을 수직 이동시키기 위하여 단자(389a)와 같이 동작축(348)의 끝(349)을 수용하기 않고도 동작위치(제50(b)도)로 눌려질 수 있다. 그래서, 재생 형태에서, 스위치 동작판(319)은 제53(a)도에서 보이는위치에 있으므로 스위치(324)는 정상 OFF 상태를 계속 유지한다.
반면에, 정지 모드에서 동작을 시작하면, 단추(84)가 위로 눌려지고 전진된 위치 또는 동작 위치에 잠기면, 그의 동작축(363)의 원추형 끝(364)은 스프링(393)의힘에 반하여 제53(b)도의 화살표 0'의 방향으로 동작암을 수직이동시키기 위해 스위치 동작판(319)의 단자(389b)를 향해 움직이고, 그 결과로 스위치 동작암(390)의 끝은 박편 스프링 접점(396a와 396b)이 이에 누름 접촉을 야기시키기 위해 절연 수용 패드(400)를 이동시키고, 그에 의해 제 2 전원 스위치(324)는 ON 된다. 단추(84)의 동작축 끝(365)의 원추형 모양때문에, 제 2 전원 스위치(324)를 ON 시키기 위하여 충분한 만큼의 스위치 동작판(319)의 수직 이동은 FF 단추(84)가 완전히 눌려지고 전진된 위치 또는 동작 위치에 잠길때에만 이루어진다.
달리 표현하면, 제 2 전원 스위치(324)의 ON은 FF 단추(84)의 잠김이 올라와 동작 위치에서 거의 비슷하게 이루어지도록 약간 지연된다.
앞에 언급했듯이, 동작 또는 전진된 위치로 FF 단추(84)가 위로 눌려지면, 그에 의해 동작암(253)이 제 2 동작판(248)의 위로의 이동에 상응하는 영향을 미친다. 제 2 동작판(248)이 위로 이동하는 동안, 그 위의 단자(409)는 스프링(406)의 힘에 의하여 제54(b)도의 화살표 P'의 방향으로 스위치 부착판(325)을 근본적으로 위로 이동시키도록 스위치 부착판(325)의 단자(408)를 수용한다. 스위치 부착판(325)의 이런 수직 이동은 제54(b)도의 실선으로 표시된 위치에 보이는 것처럼 제 1 전원 스위치를 완전히 위로 이동하도록 하고, 스위치(323)의 절연된 수용 패드(399)는 제54(b)도에 점선으로 표시된 것처럼 재생단추(63)의 스위치 동작 부분(347)에 의해 유지되는 제일 높은 위치로부터 위쪽으로 자리잡는다. 단추(83)의 스위치 동작 부분(347)으로부터 떨어져 제 1 전원 스위치(323)의 완전한 위로으 이동은 선행하여 FF 단추(84)를 누르자마자 일어난다.
마찬가지로, 플레이어의 정지 상태에서 동작을 시작하여, 되감기 단추(85)가 전진된 위치 또는 동작 위치인 위로 눌려지고 그 위치에서 잠기면 제53(b)도의 화살표 0'의 방향으로 동작축(363)의 원추형 끝(364)이 스위치 동작판(319)의 단자(389c)에 이동되게 됨으로써 제 2 전원 스위치(324)는 절연된 수용 패드(400)위의 동작암93900의 동작에 의해 ON 된다. 이 경우 FF 단추(84)의 누름의 경우에 대해 위에서 기술했듯이, 되감기 단추(85)를 누르면, 스위치 부착판(325)은 스위치 부착판(325)의 돌출부(410) 위의 동작암(254)에 의해 위로 이동하고, 그 결과로 제 1 전원 스위치(323)는 재생단추(83)의 스위치 동작 부분(347)에 의한 움직임으로부터 관련이 없도록 제54(b)도의 실선으로 표시된 위치에 다시 이동하게 된다.
요약하면, 정지 모드에서 동작을 시작하면, 즉시 재생단추(83)가 눌려지고, 제 1 전원 스위치(323)는 모터(211)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하여 ON 된다. 반면에, FF 단추(84)나 되감기단추(85)가 눌려지면, 플레이어가 정지된 상태에서, 제 2 전원 스위치(324)는 단추(84와 85)가 전진된 위치 또는 동작 위치에 이르기 전까지는 ON 되지 않고 단추(84 나 85)가 전진된 위치나 동작 위치에 거의 잠김고 동시에 모터(211)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ON 된다. 재생 모드에서 플레이더(70)에 정지 단추(82)가 눌려지면, 재생 모드 또는 FWD 단추(83)는 제 54(a)도의 실선으로 표시된 이완된 또는 동작하지 않는 위치로 되돌아가 풀리고, 스위치 동작 부분(347)은 제 1 전원 스위치(323)의 절연된 수용 패드(399)로부터 떨어져 이동함으로써 제 1 전원 스위치는 OFF 되고 모터(211)에의 전원 공급을 중단되게 된다.
마찬가지로 FF 또는 되감기 모드에서 플레이어(70)의 정지단추(82)가 눌려지면, FF 단추(84)나 되감기 단추(85)는 제50(b)도의 실선으로 표시된 이완된 또는 비동작 위치에 되돌아옴으써 스위치 동작판(319)은 제53(a)도에 표시된 원래의 위치로 스프링(393)에 의해 되돌아올 수 있고, 그에 따라 스위치 동작암(390)은 모터(211)에전원공급을 중단하여 OFF 시키는 제 2 전원 스위치(324)의 절연된 수용 패드(400)를 떼어놓는다. FF 단추(84)와 되감기단추(85)의 이완된 또는 동작하기 않는 위치로의 복귀는 스위치 부착판(325)을 원래의 또는 제54(a)도의 실선으로 표시된 복귀 위치에 스프링(406)에 의해 되돌아갈 수 있도록 한다. 플레이어(70)가 재생 또는 동작 모드에 있으면, 즉, 제 1 전원 스위치(323)가 제54(a)도의 점선으로 표시된 것처럼 재생단추(83)의 누름에 따라 ON 도어 있고, 앞에 기술한대로 FF 단추(84) 또는 되감기 단추(85)가 CUE 또는 REV 모드로 변환하기 위하여 눌려지면 제 1 전원 스위치(323)는 단추(84나 85)가 위로 선행 이동하자마자 제54(b)도의 실선으로 표시된 것처럼 실제적으로 위로 이동하게 되고, 그 결과로 스위치(323)의 패드(399)는 재생단추(83)의 스위치 동작 부분(347)으로부터 스위치(323)를 OFF 시키도록 끌어당겨진다. 조금후 스위치(323)는 그에 따라 OFF 되고, 단추(84나 85)는 전진된 위치 또는 동작하는 위치에 잠겨지고, 거의 동시에, 제 2 전원 스위치(324)는 ON 된다. 그러므로 CUE 모드 REV 모드로의 전환에서, 모터(211)에 공급되는 전원은 단추(84나 85)의 위로의 이동이 선행됨에 따라 순간적으로 중단되고, 그리고나서 모터(211)에서 전원 공급은 전진된 또는 동작 위치에 단추(84나 85)가 잠김과 거의 동시에 복원된다.
전원 스위치 유니트(314)의 위체 기술한 동작 모드로서의 정지 모드엠서 FF 모드 또는 되감기 모드로의 테이프 구동 유니트(91)의 전환에서, 제 1 구동기어(221)는 감기 릴축 기어(223) 또는 전환 기어(229)와 맞물리게 되고, 그 직후 맞물린 기어를 회전시키기 위하여 모터(211)에 전원이 공급된다. 또한 재생 모드에서 CUE 또는 REV 모드로의 전환에서, 모터(211)에 공급되는 전원은 기어가 위로 이동하고 있는 순가 제 1 구동기어(211)의 회전을 멈추기 위하여 순간적으로 차단되고, 제 1 구동기어가 제 1 감기 릴축 기어(233) 또는 전환기어(229)와 맞물린 직후 제 1 구동기어(211)를 회전시키기 위해 모터(211)에 다시 전원이 공급된다.
위의 이야기로부터, 카세트 테이프 플레이어(70)에서 본 발명에 의하면, 모터(211)의 동작에 따라 테이프 구동 유니트(91)이 기어의 구동은 기어가 서로 완전히 물렸을때만 시작되고, 즉, 기어 변환으로는 재생, FF 되감기, 확인 모드 사이의 변환기간동안은 모터(211)에 공급되지 않고, 그에 따라 기어 변환이 진행되고 있는때에 기어(221)를 구동시키기 위해 모터(211)에 전원이 공급되면 귀에 거슬리는 기어 잡음이나 과도한 기어의 마모를 피할 수 있다.
제55도 내지 제57도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카세트 테이프 플레이어 테이트 플레이어(70)는 뚜껑(74)의 통로에 대응하는자동 재생 모드 제거 장치(413)를 포함한다. 이 장치(413)는 뒷부분에 인접한 부착판(90)의 아래쪽에 있는 핀(415)에 축을 둔 풀림 레버(415)를 포함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레버(414)의 한끝은 판(90)안에 있는 통로(410)를 통해 위로 돌출하고, 안내 지지대(190)의 아래부분에 있는 구멍안에 삽입되는, 일반적으로 V 형태 부분(414a)을 갖는다. 레버(414)의 반대편 끝은 잠금판이 스프링(384)에 의해 밀리면 잠금판(318)의 활모양의 부분(377)끝의 끝 가장자리(417)에 인접한 합쳐져 맞물리는 부분(414b)을 갖는다. 또, 안내 지지대(190)의 아래 끝 부분에는, 안내 지지대(190)의 합쳐진 한 부분으로써 부착되는 풀림 부품(418)이 있고, 이는 레버(414)의 V형의 위로 향한 부품(414a)에 각을 갖는 면(419)의 반대편에 위치한다.
제55도에서 보듯이, 풀림 부품(418)은 뚜껑(74)의 수직축에 대해 위치하므로 뚜껑(74)의 움직임은 닫힌 위치에서 열린 위치가 되고, 플림 부품(418)은 점선으로 표시된 위치에서(418')로 표시된 위치로 화살표 Q의 방향인 앞으로 이동하게 된다.
앞에 말했듯이, 카세트 테이프 플레이어(70)의 동작에서 카세트(71)는 카세트 홀더가 제9(a)도에 있는 카세트 삽입 위치에 있는 동안 카세트 홀더(75)에 삽입되고, 그후 카세트 홀더(75)는 제9(b)도에 보이는 카세트 장진 위치로 카세트 뚜껑(74)가 함께 수직이동한다.
카세트 홀더(75)의 이 수직운동은 헤드저부(158)의 끝(158a)을 제34(a)도에 보이는 것처럼 레버(270)의 동작암(277)의 앞에 즉시 이동시킨다. 그후, 제34(b)도에서처럼 재생단추(83)를 누르고 전진된 위치 또는 동작하는 위치에 잠기면, 레버(270)는 모터(211)의 전원을 사용하고 거기 잠기기 위해 전진된 위치에 대해 세로로 이동한다. 레버(270)가 움직이고 있는 동안 동작암(277)은 헤드저부(158)의 끝부분(158a)에서 움직임으로써 동작암은 제34(b)도에 보이는 전진된 위치로 이동하고 필요한 재생 모드를 이루기 위해 그 자리에 머문다. 재생 모드 제거 장치(413)가 없을 경우, 플레이어(70)가 재생 모드에 있는 동안 카세트 뚜껑(74)이 열리면, 즉, 우선 정지 단추(82)를 누르지 않으면, 카세트 장진 위치(제9(b)도)에서 카세트 홀더(75)의 복귀에 의해 수반되는 카세트 삽입 부분(제9(a)도)으로의 카세트 홀더의 수직 이동은 헤드저부의 자유로운 끝부분(158a)을 제58(b)도의 실선으로 표시된 것처럼 레버(270)의 동작암(277)의 위 끝 부분을 향해 갑자기 부딪히게 함으로써, 그 결과로 레버(270)나 헤드(158)가 함께 부서질 것이다.
또한, 제58(a)도의 실선으로 표시된 재생 모드에서, 카세트 홀더(75)가 점선으로 표시된 카세트 삽입 위치에서 화살표 a의 방향으로 수직 이동하면, 헤드저부(158)의 끝 또는 자유로운 끝부분(158a)은 레버(270)의 동작암(277) 위로 당겨질 것이고, 그에 따라 헤드저부(158)는 점선으로 표시된 전진된 위치로부터 제58(b)도의 실선으로 표시된 원위치 또는 복귀된 위치로 되돌아가도록 스프링(163)에 의해 제13도의 화살표 b의 방향으로 되돌아간다. 그러므로, 카세트 홀더(75)가 제58(b)도의 화살표 a'의 방향으로 수직이동하고 있을때 헤버(270)가 제58(b)도의 실선으로 표시된 것처럼 플레이어의 재생 모드에 해당하는 위치에 계속 있으면, 헤드 저부(158)의 끝 또는 자유로운 끝부분(158a)은 복귀된 위치에서 동작암(277)의 윗부분을 향하여 바로 충돌하게 될 것이다.
위의 문제는 플레이어(70)에 자동 재생 모드 제거 장치(413)를 가짐으로써 피해진다. 더 나아가서, 카세트 홀더(75)가 제56도에서 실선으로 보인는 카세트 장진 위치로부터 점선으로 카세트 삽입 위치로 화살표 a의 방향을 따라 수직 이동하면, 플림 부품(418)은 제55도와 제57도의 화살표 Q 방향으로 움직이고 레버가 화살표 T의 방향으로 수직 이동한 결과에 따라 레버(414)의 각진 면(419)을 향하여 움직인다.
제55도의 화살표 T의 방향으로의 레버(414)의 수직이동은 맞물린 끝부분(414b)을 잠금판이 스프링(384)의 힘에 의하여 화살표 0'의 방향으로 수직 이동됨으로써 잠금판(418)의 끝부분(417)을 향하여 동작하게 한다.
앞에 언급했듯이, 잠금판의 이런 수직 이동은 카세트 테이프 플레이어(70)가 자동적으로 정지 모드에 복위함으로써 재생 또는 FWD 단추(83)의 풀림을 야기시킨다. 재생단추(83)의 풀림은 레버(270)를 제58(b)도에 실선으로 표시된 전진된 위치에서 점선으로 보이는 복귀된 또는 원위치로 되돌아가게 함으로써 만일 카세트 홀더(75)가 그후 다시 카세트 장진 위치로 수직 이동하면, 헤드저부(158)의 끝 또는 자유로운 끝부분(158a)은 레버(270)의 암(277)의 앞에 잘 위치하여 암(277)의 위 끝부분을 향하여 절대로 부딪히지 않을 것이다.
또한, 자동 재생 모드 제거 장치(413)가 있으므로, 플레이어가 FF 또는 되감기 모드에 있을때 카세트 삽입 위치로의 카세트 홀더(75)의 이동은 잠금판(318)을 제55도의 화살표 0'의 방향으로 수직 이동시키게 되고, 그에 따라 플레이어(70)를 정지 모드로 자동 복귀시키기 위하여 FF 단추(84) 또는 되감기 단추(85)는 풀리게 된다.
또한, 장치(413)가 있기 때문에, 단추(83), (84), (85) 중 어느것도 카세트 뚜껑(74)이 열린 위치에 있는한 눌려진 위치 또는 전진된 위치에서 잠길 수 있다. 본 발명이 카세트 테이프 플레이어에 관한 것이지만, 본 발명은 다른 형태의 기록 또는 재생 장치에 유용하게 쓰여질 수도 있다.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본 발명을 자세히 도시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본 장치에만 국한되지 않는다는 것을 알아야 하며, 다양한 변화와 수정이 부록의 요구 사항이 규정하고 있듯이 발명의 영역 또는 정신에서 벗어나지 않고 그 분야의 숙달된 사람에 의하여 실시된 수도 있다.
Claims (1)
- 반대측에서 상 및 하면을 갖는 직사각형 샤시(76)와, 상기 대향하여 테이프 카세트(71)를 작동하도록 위치시키는 카세트 홀더(75)와, 상기 상면에 대향하여 작동적으로 위치된 테이프 카세트내의 각 릴들을 속박하기 위하여 상기 하면의 측면에서부터 상기 샤시(76)를 통하여 연장된 릴축977, 78)과, 장치의 다수동작 모드에 따라서 상기 축들을 선택적으로 구동하기 위한 테이프 구동 유니트(91)를 포함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구동 유니트는 작동 모드중의 하나에서 또다른 하나로 변화하기 위하여 각각이 축 방향으로 변위되는 기어와 함께 상기 하면에 수직이 되는 각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하면에 대응하는 상기 샤시의 측면에서 다수의 기어(221, 222, 233, 234, 229, 232)로서 구성되며, 상기 하면에 수직방향으로 연장 및 압축된 위치 사이에서 수동적으로 구동될 수 있으며 하면에 대응하는 샤시의 측면에 각각 배치된 누름 단추(82내지 85)와, 각 축들을 상기 방향으로 기어를 변위시키므로서 장치의 작동 모드를 바꾸게 하기 위하여 연장된 위치에서 압압된 누름단추의 작동에 응답하는 동작판(245, 248)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세트 테이프 기록재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188031 | 1980-12-29 | ||
JP55-188031 | 1980-12-29 | ||
JP55188031A JPS57113449A (en) | 1980-12-29 | 1980-12-29 | Tape driver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830008307A KR830008307A (ko) | 1983-11-18 |
KR880001468B1 true KR880001468B1 (ko) | 1988-08-11 |
Family
ID=16216447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810005291A KR880001467B1 (ko) | 1980-12-29 | 1981-12-29 | 카세트 테이프 기록 재생 장치 |
KR1019810005289A KR880001461B1 (ko) | 1980-12-29 | 1981-12-29 | 카세트 테이프 플레이어용 방식 전환 기구 |
KR1019810005292A KR880001468B1 (ko) | 1980-12-29 | 1981-12-29 | 카세트 테이프 기록 재생 장치 |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810005291A KR880001467B1 (ko) | 1980-12-29 | 1981-12-29 | 카세트 테이프 기록 재생 장치 |
KR1019810005289A KR880001461B1 (ko) | 1980-12-29 | 1981-12-29 | 카세트 테이프 플레이어용 방식 전환 기구 |
Country Status (11)
Country | Link |
---|---|
US (4) | US4491287A (ko) |
JP (1) | JPS57113449A (ko) |
KR (3) | KR880001467B1 (ko) |
AT (4) | AT374031B (ko) |
AU (3) | AU547005B2 (ko) |
BR (4) | BR8108435A (ko) |
CA (4) | CA1188414A (ko) |
DE (4) | DE3151716A1 (ko) |
ES (4) | ES508371A0 (ko) |
FR (4) | FR2497383B1 (ko) |
GB (4) | GB2090459B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8212644A (ja) * | 1982-06-04 | 1983-12-10 | Toshiba Corp | テ−プレコ−ダ装置 |
JPS5963842U (ja) * | 1982-07-16 | 1984-04-26 | 日本ビクター株式会社 | テープレコーダのクイックレビュー操作機構 |
JPS5928827U (ja) * | 1982-08-13 | 1984-02-22 | 日本ビクター株式会社 | 磁気ヘツドのアジマス調整機構 |
US4646186A (en) * | 1982-09-14 | 1987-02-24 | Alps Electric Co., Ltd. | Cassette tape recorder with plural tape guide structure |
EP0105746B1 (en) * | 1982-10-01 | 1988-01-20 | Kabushiki Kaisha Toshiba | Tape player |
EP0191361B1 (en) * | 1982-10-01 | 1990-11-28 | Kabushiki Kaisha Toshiba | Apparatus for transporting tape in a cassette |
DE3346893A1 (de) * | 1982-12-23 | 1984-06-28 | Clarion Co., Ltd., Tokio/Tokyo | Magnetbandgeraet |
CA1217560A (en) * | 1983-02-08 | 1987-02-03 | Susumu Iwasawa | Cassette tape players |
JPS59144089A (ja) * | 1983-02-08 | 1984-08-17 | Sony Corp | ラジオ付カセツトテ−ププレ−ヤ |
JPS59189703U (ja) * | 1983-06-03 | 1984-12-15 | ソニー株式会社 | カセツト式テ−プレコ−ダ |
JPS6028057A (ja) * | 1983-07-27 | 1985-02-13 | Sony Corp | テ−プレコ−ダ |
JPS6026642U (ja) * | 1983-07-30 | 1985-02-22 | ソニー株式会社 | テ−プレコ−ダのモ−ド切換機構 |
JPS6066352A (ja) * | 1983-09-20 | 1985-04-16 | Sony Corp | リバ−ス式テ−プレコ−ダ |
JPS60194793U (ja) * | 1984-06-01 | 1985-12-25 | ソニー株式会社 | カセツトテ−プレコ−ダ |
US4703372A (en) * | 1985-03-08 | 1987-10-27 | Spacelabs, Inc. | Portable electrocardiographic recorder |
JPH0831233B2 (ja) * | 1985-03-27 | 1996-03-27 | 株式会社日立製作所 | カセツト保持装置 |
JPH07122981B2 (ja) * | 1985-09-03 | 1995-12-25 | ソニー株式会社 | カセツトテ−プレコ−ダ |
AT390153B (de) * | 1988-06-14 | 1990-03-26 | Philips Nv | Aufzeichnungs- und/oder wiedergabegeraet fuer einen bandfoermigen aufzeichnungstraeger |
JPH0265246U (ko) * | 1988-10-31 | 1990-05-16 | ||
US5144507A (en) * | 1989-04-27 | 1992-09-01 | Sony Corporation | Cassette tape recording and/or reproducing apparatus with a single pinch lever assembly |
JP2669048B2 (ja) * | 1989-04-27 | 1997-10-27 | ソニー株式会社 | テープレコーダ |
EP0395299B1 (en) * | 1989-04-28 | 1995-11-15 | Sony Corporation | Drive means for recording and/or reproducing apparatus |
EP0530700A2 (en) * | 1991-08-30 | 1993-03-10 |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 A cassette tape mount for use in a cassette tape recorder |
DE4236179A1 (de) * | 1992-10-27 | 1994-04-28 | Philips Patentverwaltung | Technisches Gerät, insbesondere elektromechanisches Laufwerk zum Bewegen von Informationsträgern |
IT1267038B1 (it) * | 1993-04-28 | 1997-01-24 | So Ge Mi Spa | Apparecchio riproduttore di nastri magnetici registrati, utilizzante una meccanica "soft touch" in cui un solo motore elettrico svolge |
GB2307775B (en) * | 1995-11-28 | 1999-11-24 | Daewoo Electronics Co Ltd | Reel driving apparatus for a video cassette recorder and method for preventing malfunction thereof |
JP2003036627A (ja) * | 2001-07-23 | 2003-02-07 | Fuji Photo Film Co Ltd | 記録テープカートリッジ |
EP1873521B1 (de) * | 2006-06-27 | 2011-09-21 | F. Hoffmann-La Roche AG | Diagnostische Bandkassette |
GB2475053A (en) * | 2009-11-03 | 2011-05-11 | Lucima Pty Ltd | Programmable sound player and recorder |
USD967925S1 (en) * | 2019-03-21 | 2022-10-25 | Mahle International Gmbh | End plate for a filter element |
USD967926S1 (en) * | 2019-03-21 | 2022-10-25 | Mahle International Gmbh | End plate for a filter element |
Family Cites Families (4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FR1388831A (fr) * | 1963-12-18 | 1965-02-12 | Magnétophone de poche perfectionné | |
DE1261331B (de) * | 1965-11-24 | 1968-02-15 | Grundig Emv | Kleintonbandgeraet |
DE1572472B2 (de) * | 1966-09-08 | 1976-07-08 |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Kadoma, Osaka (Japan) | Tonbandgeraet mit drucktasten |
DE1572528A1 (de) * | 1967-09-28 | 1970-03-05 | Telefunken Patent | Drucktastenschalter fuer Magnettongeraete |
US3922719A (en) * | 1967-12-29 | 1975-11-25 | Clarion Co Ltd | Playing method of tape player and an equipment thereof |
GB1210908A (en) * | 1968-07-17 | 1970-11-04 | Ricoh Kk |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film projectors |
DE1921343B1 (de) * | 1969-04-26 | 1970-07-30 | Grundig Emv | Magnettonbandgeraet |
US3627185A (en) * | 1970-01-05 | 1971-12-14 | Scanfax Systems Corp | Tape recording system mechanism |
DE2064618A1 (de) * | 1970-12-30 | 1972-07-20 | Sued Atlas Werke Gmbh | Magnettongerät, insbesondere mit auf gerätefesten Antriebswellen aufsteckbaren Magnetbandkassetten |
DE2138260A1 (de) * | 1971-07-30 | 1973-02-08 | Compur Werk Gmbh & Co | Tonbandgeraet |
DE2151148A1 (de) * | 1971-10-14 | 1973-04-19 | Grundig Emv | Magnetbandgeraet, insbesondere fuer kassettenbetrieb |
US3800323A (en) * | 1972-03-24 | 1974-03-26 | Int Tapetronics Corp | Cassette tape transport with pivotally supported universally adjustable head and upright front-mounted cassette |
FI61583C (fi) * | 1972-04-21 | 1982-08-10 | Compur Electronic Gmbh | Magnetofon |
JPS5148044B2 (ko) * | 1973-03-21 | 1976-12-18 | ||
IT1004252B (it) * | 1974-04-05 | 1976-07-10 | Autovox Spa | Cinematismo per giranastri in particolare per nastri in cartuccia |
US3978522A (en) * | 1974-06-14 | 1976-08-31 | Teletype Corporation | Method and apparatus for mounting a cassette record-playback head |
US3909845A (en) * | 1974-06-14 | 1975-09-30 | Teletype Corp | Apparatus and method for sensing the condition of a tape within a tape cassette |
GB1528902A (en) * | 1974-10-01 | 1978-10-18 | Racal Zonal Cassettes Ltd | Recording tape transport machine |
US3976263A (en) * | 1974-10-29 | 1976-08-24 | Technical Incorporated | Operating system in a magnetic tape reproducer and recorder |
GB1508639A (en) * | 1974-12-10 | 1978-04-26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Push rod type tape recorder operating device |
FR2305822A1 (fr) * | 1975-03-28 | 1976-10-22 | Erji | Enregistreur sur bande magnetique d'informations digitales |
GB1548664A (en) * | 1975-06-24 | 1979-07-18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Magnetic tape recording and reproducing system |
US4037262A (en) * | 1975-07-16 | 1977-07-19 | Olympus Optical Co., Ltd. | Solenoid operated transcriber mechanism |
IT1056114B (it) * | 1975-09-10 | 1982-01-30 | Deneb Sa | Cinematismo di trascinamento per giranastri e simili |
DE2709070A1 (de) * | 1976-03-04 | 1977-09-08 | Olympus Optical Co | Bandgeraet mit kleinen abmessungen |
JPS52140307U (ko) * | 1976-04-17 | 1977-10-24 | ||
NL7606690A (nl) * | 1976-06-21 | 1977-12-23 | Philips Nv | Magneetbdndcassetteapparaat. |
US4116078A (en) * | 1976-06-23 | 1978-09-26 | Trio Kabushiki Kaisha | Lock release mechanism for push button levers in a tape recorder |
SU581504A1 (ru) * | 1976-07-12 | 1977-11-25 | Специальное Проектно-Конструкторское И Технологическое Бюро Малых Электрических Машин Объединения "Эльфа" | Лентопрот жный механизм аппарата магнитной записи |
JPS5351713A (en) * | 1976-10-20 | 1978-05-11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Magnetic recording and reproducing system |
SU637855A1 (ru) * | 1977-05-03 | 1978-12-15 | Специальное Проектно-Конструкторское И Технологическое Бюро Малых Электрических Машин Объединения "Эльфа" | Устройство дл переключени скорости движени магнитной ленты |
JPS53140007A (en) * | 1977-05-13 | 1978-12-06 | Hitachi Ltd | Power transmission system for cassette tape recorder |
JPS6020815B2 (ja) * | 1977-08-22 | 1985-05-23 | ソニー株式会社 | 記録再生装置におけるモ−ド選択機構 |
JPS5953618B2 (ja) * | 1977-09-12 | 1984-12-26 | ソニー株式会社 | 記録再生装置のモ−ド切換え機構 |
DE2743137A1 (de) * | 1977-09-24 | 1979-04-05 | Dual Gebrueder Steidinger | Antriebseinrichtung fuer ein tonbandgeraet |
US4158212A (en) * | 1978-03-30 | 1979-06-12 | Motorola, Inc. | Magnetic tape head azimuth assembly |
JPS6021413B2 (ja) * | 1978-12-29 | 1985-05-27 | ソニー株式会社 | テ−プレコ−ダ等の動作切換え装置 |
JPS615642Y2 (ko) * | 1979-01-31 | 1986-02-20 | ||
US4257075A (en) * | 1979-03-23 | 1981-03-17 |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 Tape magazine and recording and/or playback machine with improved magazine locating and loading structure |
JPS5718043A (en) * | 1980-07-08 | 1982-01-29 | Clarion Co Ltd | Tape player |
US4430680A (en) * | 1980-09-30 | 1984-02-07 | Clarion Co., Ltd. | Reciprocating member control mechanism in tape player |
-
1980
- 1980-12-29 JP JP55188031A patent/JPS57113449A/ja active Granted
-
1981
- 1981-12-18 FR FR8123768A patent/FR2497383B1/fr not_active Expired
- 1981-12-18 FR FR8123767A patent/FR2497382B1/fr not_active Expired
- 1981-12-18 FR FR8123766A patent/FR2497381B1/fr not_active Expired
- 1981-12-18 FR FR8123769A patent/FR2497384B1/fr not_active Expired
- 1981-12-22 GB GB8138501A patent/GB2090459B/en not_active Expired
- 1981-12-22 US US06/333,478 patent/US4491287A/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81-12-22 GB GB8138502A patent/GB2090694B/en not_active Expired
- 1981-12-22 GB GB8138500A patent/GB2092808B/en not_active Expired
- 1981-12-22 US US06/333,578 patent/US4542431A/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81-12-22 GB GB8138503A patent/GB2091024B/en not_active Expired
- 1981-12-22 US US06/333,669 patent/US4453189A/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81-12-22 US US06/333,670 patent/US4511941A/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81-12-23 AU AU78820/81A patent/AU547005B2/en not_active Ceased
- 1981-12-23 CA CA000393104A patent/CA1188414A/en not_active Expired
- 1981-12-23 CA CA000393149A patent/CA1188416A/en not_active Expired
- 1981-12-23 CA CA000393157A patent/CA1188417A/en not_active Expired
- 1981-12-23 AU AU78818/81A patent/AU540824B2/en not_active Ceased
- 1981-12-23 CA CA000393141A patent/CA1188415A/en not_active Expired
- 1981-12-23 AU AU78817/81A patent/AU546362B2/en not_active Ceased
- 1981-12-28 ES ES508371A patent/ES508371A0/es active Granted
- 1981-12-28 ES ES508370A patent/ES508370A0/es active Granted
- 1981-12-28 ES ES508372A patent/ES8303783A1/es not_active Expired
- 1981-12-28 BR BR8108435A patent/BR8108435A/pt unknown
- 1981-12-28 BR BR8108438A patent/BR8108438A/pt unknown
- 1981-12-28 BR BR8108436A patent/BR8108436A/pt unknown
- 1981-12-28 ES ES508373A patent/ES508373A0/es active Granted
- 1981-12-28 BR BR8108437A patent/BR8108437A/pt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1981-12-29 AT AT0561081A patent/AT374031B/de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1981-12-29 AT AT0560881A patent/AT374027B/de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1981-12-29 AT AT0560381A patent/AT374030B/de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1981-12-29 AT AT0560981A patent/AT374948B/de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1981-12-29 DE DE19813151716 patent/DE3151716A1/de active Granted
- 1981-12-29 DE DE19813151715 patent/DE3151715A1/de active Granted
- 1981-12-29 KR KR1019810005291A patent/KR880001467B1/ko active
- 1981-12-29 DE DE3151711A patent/DE3151711A1/de active Granted
- 1981-12-29 KR KR1019810005289A patent/KR880001461B1/ko active
- 1981-12-29 KR KR1019810005292A patent/KR880001468B1/ko active
- 1981-12-29 DE DE19813151710 patent/DE3151710A1/de active Granted
Also Published A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880001468B1 (ko) | 카세트 테이프 기록 재생 장치 | |
JPH033294B2 (ko) | ||
US5764433A (en) | Short-side-loading tape cassette recording and/or reproducing apparatus | |
KR880001469B1 (ko) | 카세트 테이프 플레이어용 테이프 이송기구 | |
US4227226A (en) | Cassette tape player | |
JPS6120675Y2 (ko) | ||
JPS6125095Y2 (ko) | ||
JPS6120703Y2 (ko) | ||
JPS6349296B2 (ko) | ||
JPS595975B2 (ja) | 記録円盤再生装置 | |
JPS6125074Y2 (ko) | ||
JPS6120704Y2 (ko) | ||
JPS6131540B2 (ko) | ||
JPS647415B2 (ko) | ||
JP4132096B2 (ja) | 記録及び/又は再生装置 | |
JP3900190B2 (ja) | テープカセットを用いた記録及び/又は再生装置 | |
JP3039063B2 (ja) | テープの弛み巻き取り機構 | |
JPS5813476Y2 (ja) | テ−プレコ−ダの操作レバ−装置 | |
JPH079233Y2 (ja) | テープカセット装着装置 | |
JPS6029107Y2 (ja) | カセツトテ−プレコ−ダ | |
KR200154257Y1 (ko) | 브이씨알용 로딩 랙의 오동작 방지구조 | |
JPH0817102A (ja) | 駆動力伝達切り換え機構及びテーププレーヤ装置 | |
JPS58108056A (ja) | カセツト装着装置 | |
JPS6131538B2 (ko) | ||
JPS6131539B2 (ko)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