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80000882B1 - 지폐 저장 장치에 있어서의 배출 지폐의 막힘 방지 장치 - Google Patents

지폐 저장 장치에 있어서의 배출 지폐의 막힘 방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80000882B1
KR880000882B1 KR1019830002595A KR830002595A KR880000882B1 KR 880000882 B1 KR880000882 B1 KR 880000882B1 KR 1019830002595 A KR1019830002595 A KR 1019830002595A KR 830002595 A KR830002595 A KR 830002595A KR 880000882 B1 KR880000882 B1 KR 8800008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knote
motor
block
bill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300025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40005238A (ko
Inventor
히데아기 온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가이샤 닛본 고인고
오가다 마지하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가이샤 닛본 고인고, 오가다 마지하루 filed Critical 가부시기가이샤 닛본 고인고
Publication of KR8400052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52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800008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08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9/00Counting coins; Handling of coin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9/00Delivering or advancing articles from machines; Advancing articles to or into piles
    • B65H29/006Winding articles into roll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7/00Mechanisms actuated by objects other than coins to free or to actuate vending, hiring, coin or paper currency dispensing or refunding apparatus
    • G07F7/04Mechanisms actuated by objects other than coins to free or to actuate vending, hiring, coin or paper currency dispensing or refunding apparatus by paper currenc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1Winding, unwinding
    • B65H2301/419Winding, unwinding from or to storage, i.e. the storage integrating winding or unwinding means
    • B65H2301/4191Winding, unwinding from or to storage, i.e. the storage integrating winding or unwinding means for handling articles of limited length, e.g. AO format, arranged at intervals from each other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지폐 저장 장치에 있어서의 배출 지폐의 막힘 방지 장치
제1도는, 지폐 배출 기능을 갖는 지폐 저장 장치의 1예를 도시한 일부 측면도.
제2도는, 제1도의 지폐 저장 장치에 탑재되는 본 발명의 1실시예를 도시한 블럭도.
제3도는, 제2도의 배출 제어 회로에 의해서 실행되는 지폐 반환을 위한 1매 배출 제어 프로그램의 1예를 도시한 플로우 챠트.
제4도는, 그 배출 제어 회로에 의해서 실행되는 회수 제어 프로그램의 1예를 도시한 플로우 챠트이다.
본 발명은 지폐 배출 기능을 갖는 지폐 저장 장치에 있어서, 배출시에 있어서의 지폐의 막힘에 대처할 수 있도록 한 것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폐 식별 장치에는 지폐 저장 장치가 부착해서 마련되어 있고, 투입 지폐가 진짜 지폐라고 판정 되었을때, 이 저장 장치내에 그 투입 지폐가 수납된다. 이러한 종류의 지폐 저장 장치에는, 수납한 지폐를 1매씩 배출하는 기능을 가진것(지폐에스크로(escrow)장치라고 부르는 것)과, 배출 기능을 갖지 않은것(지폐 스토우커(stoker)라 부르는 것)이 있으나, 본 발명은 전자의 배출 기능을 가진 것에 관한다. 그와 같은 지폐 배출 기능을 갖는 지폐 저장 장치로서, 본 발명인은 제1도에 도시하는 것을 이미 제안하고 있다. (1)은 지폐 출입구이며, 도시하지 않은 지폐 식별 장치에서 진짜 지폐로 판정된 투입 지폐가 이 출입구(1)에서 저장 장치내로 들어가고, 이 저장 장치로부터 배출되는 지폐가 이 출입구(1)에서 나온다. 모오터 M2에 의해서 회전되는 드럼(2)의 소정 장소에 나선형 스프링(3) 의 한쪽끝이 고정되어 있으며, 이 드럼(2)를 중심으로 하는 감기대(2a)와 스프링(3)사이에 지폐를 끼워서 그 지폐를 단단하게 감도록 되어 있으며, 이 감기대(2a)에 감긴 상태로 여러개의 지폐를 저장한다.
지폐를 수납할때에는, 모오터 M2를 정회전(도면에서는 반시계 방향의 회전)구동하여 감기대(2a)에 스프링(3)을 감고, 출입구(1)쪽에서 스프링(3)과 감기대(2a)의 사이로 진입하 온 지폐를 그 스프링(3)과 함께 (2a)에 단단히 감긴다. 감긴 지폐를 출입구(1)쪽으로 배출할때에는, 모오터 M2를 역회전한다. 모오터 M2가 역회전 한만큼 스프링(3)은 자기 복원력에 의해서 감기 중심(3a)에 되돌려 감겨져, 감기대(2a)와 스프링(3)의 역회전 방향의 움직임에 따라서 그 감기대(2a)에 감겨져 있던 지폐가 1매씩 출입구(1)쪽으로 배출된다.
출입구(1)부근에는 예를들면 발광소자와 수광소자로 되는, 지폐 검지 센서(sensor) P4가 마련되어 있으며, 이 센서 P4에 의해서 지폐가 검지되어 있는가, 아닌가에 따라서 모오터의 시동 또는 정지 등이 적절하게 제어 된다. (4A), (4B)는 지폐 통로의 벽이며, (5)는 지폐통로의 한 벽을 이루는 안내 장치이다.
이 안내 장치(5)는, 축(5a)를 중심으로 회전운동 할 수 있는 부채 모양의 부재(5b)와, 이 부 재(5b)에 부착된 설편(舌片)(5c)와, 축(5a)에 밖에서 끼워져, 부재(5b) 및 설편(5c)에 대해서 감기대(2a)의 방향으로 회전운동력을 부여하는 스프링(5d)를 포함하고 있으며, 스프링(5d)의 작용에 의해서 설편(5c)의 앞끝이 감기대(2a)의 바깥둘레에 항상 접촉하도록 되어 있다. 이 안내 장치(5)는, 지폐를 감기대(2a)에서 배출 할때에, 그 지폐를 출입구(1)로 향한 지폐 통로의 방향으로 안내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감기대(2a)의 지름은 지폐 저장량에 의하여 변화함으로, 그 변화에 따라서 지폐 통로의 벽이 잘린 곳이 없게 형성되도록 하기 위해 안내장치(5)가 마련되어 있다.
정상인 경우에, 감기대(2a)에서 감긴 것이 풀린 지폐는, 안내장치(5), 벽(4A), (4B)에 의해서 형성된 통로를 순조롭게 통해서, 출입구(1)에서 배출된다. 그러나, 경우에 따라서는, 예를 들면, 지폐의 가장 자리가 파손되어 있다는 등의 이유에 의해서, 배출할 지폐의 앞끝이 안내장치(5)의 설편(5C)에 걸려버리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모오터 M2의 역회전이 지속되는 것에 의해서 점선(6)으로 도시한 것과 같이 그 지폐가 휘어져서, 그 장소에 막혀버리는 일이 일어난다. 그와 같은 경우, 지폐는 센서 P4의 장소까지 도달하지 못하여, 센서 P4에서 지폐 검지 출력이 나오지 않으며, 따라서, 모오터 M2가 역회전을 계속하고, 또 지폐가 막혀버리는 일도 일어날 수 있다. 이와 같은 배출 지폐의 막힘이라는 문제는, 제1도에 도시하는 드럼 감기 형의 지폐 저장 장치에 한정되지 않으며, 지폐 배출기능을 갖는 다른 형의 지폐 저장 장치에도 일어날 수 있는 문제이다. 즉, 지폐 반송용 모오터를 정회전하여 지폐를 수납하고, 그 모오터를 역회전하여 수납 지폐를 배출하도록 한 형의 지폐 저장장치에 있어서, 배출 지폐가 통로 도중에서 어떠한 이유에 의해 막힘을 일으키는 것은 충분히 일어 날 수 있는 일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점에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지폐 저장 장치로부터 지폐를 배출할때에, 배출 지폐의 막힘을 검지하고, 막힘을 해소하기 위한 처리를 이행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정회전에 의해서 지폐를 수납하고, 역회전에 의하여 지폐를 배출하는 모오터와, 지폐 배출구 부근 혹은 지폐 배출 통로의 소정 장소에 마련된 지폐 검지 센서를 구비하는 지폐 저장 장치에 있어서, 상기 모오터의 역회전을 개시하였을 때 부터 소정 시간 이내에 상기 센서가 지폐를 검지하지 않았을때 배출 지폐의 막힘이 발생했다고 간주하고, 여기에 기인하여 상기 모오터를 적절한 시간 정회전시켜서 배출 지폐를 본래 상태로 되돌려(수납을 다시함), 막힘을 해소하도록 하는 것으로 상술의 목적이 달성된다.
다음에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1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지폐 저장 장치로서 제1도에 도시한 것과 같은 것이 사용되는 것으로 하고, 따라서, 제1도의 참조 번호를 사용한다.
제2도는 지폐 저장 장치에 탑재되는 배출 제어 회로(10)과 지폐 검지 센서 P4및 모오터 M2의 관련을 도시한 블럭 도면이다. 배출 제어회로(10)에는, 지폐 검지센서 P4, 회수 스위치 I-SW, 엠프티(empty)검출 스위치 E-SW의 출력 신호 및 1매 배출명령 신호가 각각 입력되도록 되어 있으며, 이것에 따라 모오터 M2의 정회전 명령 혹은 역회전 명령을 모오터 구동회로(11)에 부여한다.
엠프티 검출 스위치 E-SW는 드럼(2)(제1도)에 지폐가 전혀 감겨져 있지 않은 것을 검출하기 위한 스위치이다. 1매 배출 명령 신호는 투입된 지폐를 반환할때에 지폐 식별 장치(도시하지 않음)의 측에서 부여되는 것이므로, 이 신호에 따라 1매의 지폐를 지폐 저장 장치로부터 배출하고, 지폐 식별 장치를 경유하여 지폐 삽입구(도시하지 않음)로 반환한다. 회수 스위치 I-SW는, 지폐 저장 장치에 저장하고 있는 지폐를 전부 배출시켜서 돈을 모을때에 수동 조작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배출 지폐 막힘 방지 장치는, 지폐 반환 동작 및 회수 동작의 두 가지의 기능이 있다.
배출 제어 회로(10)은 제3도에 도시하는 프로그램 플로우 챠트에 따라서, 지폐 반환을 위한 배출 제어 동작을 실행하고, 제4도에 도시하는 프로그램 플로우 챠트에 따라서 회수를 위한 배출 제어 동작을 실행한다. 이 제어 동작은 플로우 챠트로 도시되어 있으나, 같은 동작을 실행하는 하이도 로직(hard logic)에 의해서 그 제어 회로(10)을 구성 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제3도에 도시한 지폐 반환 제어는 1매 배출 명령 신호가 주어졌을때 시작한다.
블럭(12)는 지폐 막힘 방지를 위한 루틴(routine)이다.
블럭(13)에서는, 모오터 M2의 역회전을 시작한다.
블럭(14)에서는 지폐가 1회 막혔다는 것이 내부 레지스터(register)에 세트되어 있는가 아닌가를 판단한다. 처음은 블럭(14)는 NO이다.
블럭(15)에서는 일정 시간 동안 대기한다. 블럭(16)에서는 내부 타이머 T를 시동시킨다.
블럭(17)에서는 지폐 검지 센서 P4가 ON하고 있는가 아닌가를 조사힌다. 센서 P4는 지폐를 검지하고 있지 않을때 ON이며, 검지하면 OFF로 된다. 불럭(17)이 YES일때 (P4가 지폐를 검지하고 있지 않을때)불럭(18)로 가서, 타이머 T의 동작 시간이 종료했는가 아닌가를 조사한다. 불럭(18)이 NO일때는 불럭(17)로 되돌아 간다.
불럭(13)의 처리에 의해서 모오터 M2를 역회전 시작시킨것에 의해 감기대(2a)에 감겨져 있던 지폐가 출입구(배출구)(1)로 향해서 배출된다. 타이머 T의 동작 시간은 모오터 M2의 시동할때부터 지폐의 앞끝이 센서 P4의 장소에 도달할때까지의 시간에 맞춘 시간으로 설정 되어 있다. 지폐가 막히지 않고 정상으로 배출된 경우는 타이머 T의 동작 시간이 종료하기 전에 센서 P4에 의해서 지폐가 검지되어, 불럭(17)이 NO로 되어 지폐 막힘 방지 루틴(12)를 이탈해서 불럭(19)로 간다. 불럭(19)에서는 도시하지 않은 지폐 식별자치축의 모오터 M1을 역회전 시동해서 배출구(1)에서 배출된 지폐를 지폐 식별 장치측으로 끌어 들이도록 한다. 불럭(20)은 (17)과 마찬가지로 센서 P4가 ON 하고 있는가, 아닌가를 조사하고, OFF인때, 즉 지폐를 검지하고 있을때는 대기하고 있다. 센서 P4가 ON하면, 즉, 지폐를 검지하지 않게 되면, 불럭(21)로 가서, 모오터 M2를 정지한다. 센서 P4가 지폐를 검지하지 않게 되었다는 것은, 지폐 전체가 배출구(1)에서 거의 배출되었다는 것을 의미 하는 것이므로, 모오터 M2를 정지하는 것이다. 불럭(21)의 다음처리는 도시하지 않은 지폐 식별 장치측에서의 반환 처리로 되기 때문에 여기서는 생략한다.
한편, 배출 지폐가 설편(5c)등의 장소에서 막혔을때는, 센서 P4가 지폐를 검지하지 않은채 그대로 타이머 T의 동작시간이 종료한다. 따라서, 불럭(18)이 YES로 되었을때에는 지폐 막힘이 검지 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검지에 기인해서, 불럭(22)에서는 모오터 M2를 정지하고, 이어 불럭(23)에서 모오터 M2의 정회전을 모오터 M2의 정회전을 시작 한다. 불럭(24)에서는 일정 시간동안 대기하고, 그사이 모오터 M2는 정회전을 계속한다. 불럭(25)에서 모오터 M2의 정회전을 정지 한다. 이 일련의 처리에 의해서, 제1도의 점선(6)과 같이 휘어져 있던 지폐가 감기대(2a)에 감겨져서, 막힘이 해소된다. 불럭(26)에서는 지폐가 1회 막혔다는 것을 내부 레지스터에 세트하고, 그 후 불럭(13)으로 되돌아가서 모오터 M2의 역회전을 재개한다. 다음의 불럭(14)에서는, 이번은 YES라 판단되어, 불럭(27)에 가서, 지폐가 1회 막혔던 것을 나타내는 내부 레지스터를 리세트 한다. 그 다음, 불럭(17)과 같은 판단을 불럭(28)에서 행하고, 센서 P4가 지폐를 검지하였을때, 지폐 막힘 방지루틴(12)을 이탈한다.
제3도의 제어 프로그램은, 같은 지폐가 두번 이상 연속해서 막히는 일이 없다는 전제로 작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된 것이 아니며, 소정 회수 연속해서 지폐 막힘 방지 루틴(12)을 실행하도록 하여도 된다.
소정 회수 실행 할 수 있도록 할려면 불럭(26)에서 막힘 회수를 카운트 하고 불럭(14)에서 이 카운트 값이 소정회수에 도달하고 있는가, 아닌 가를 판단하도록 하면 된다.
제4도에 도시한 회수 제어는 회수 스위치 I-SW가 ON되었을 때 시작한다. 지폐 막힘 방지 루틴(12)은 제3도와 동일하기 때문에 내부의 상세한 것은 생략하고 있다. 상술한 것과 같이, 루틴(12)에서는 모오터 M2의 역회전을 시작하고, 센서 P4가 지폐의 앞끝을 검지하였을때 루틴을 이탈한다. 불럭(29)에서는 일정 시간 동안 대기 한다. 이 대기 시간은 지폐의 앞끝이 센서 P4에 검지되었을때 부터 그 지폐의 뒤끝이 감기대(2a)로 부터 완전히 이탈할까지의 시간에 맞춰진 것이다. 그 대기 시간후, 불럭(30)에서 모오터 M2의 역회전이 정지한다. 이때 지폐의 전반부가 배출구(1)에서 나오고 있기 때문에, 관리자는 그 지폐를 손으로 용이하게 뽑아낼 수가 있다.
불럭(30)다음에 불럭(31)로 가서, 엠프티 검출 스위치 E-SW가 ON하고 있는가 아닌가를 조사한다. 드럼(2)에 지폐가 남아 있을 경우, E-SW는 OFF이며, NO의 통로를 거쳐서 불럭(32)로 간다. 불럭(32)에서는 회수 스위치 I-SW가 재차 ON되었는가 아닌가를 조사한다.
회수 제어를 속행하는 경우, 불럭(32)는 NO이며, 불럭(33)으로 간다. 불럭(30)에서는 출구의 센서 P4가 지폐를 검지하지 않게 되었는가(ON)아닌가를 조사한다.
YES이면, 최초의 루틴(12)로 되돌아가고, 모오터 M2의 역회전 구동을 재개한다. 즉, 살술한 것과 같이, 배출구(1)까지 배출된 지폐를 관리자가 뽑아내는 것에 의해, 센서 P4가 ON(불럭(33)이 YES)이 되어, 모오터 M2의 구동이 재개해서 2매째의 지폐가 배출된다. 이와 같이 하여, 불럭(12), (29), (30), (31), (32), (33)의 루틴을 반복함으로서, 모오터 M2가 비연속적으로 구동되어, 1매 1매의 지폐가 관리자의 손으로 확실하게 받을 수 있도록 회수제어가 이루어진다. 또한, 1매 1매의 지폐가 배출될때마다 루틴(12)가 실행됨으로, 회수시에 배출되는 1매 1매의 지폐에 대해서 본 발명에 의한 막힘 방지 대책을 시행할 수 가 있다.
드럼(2)의 저장 지폐가 모두 배출되면, 스위치 E-SW가 하고, 불럭(31)의 YES에서 불럭(34)로 간다.
불럭(34)에서는, 센서 P4가 ON하고 있는가, 아닌가를 조사하고, ON할때까지 대기 한다. 배출구(1)에 있는 최후의 지폐가 뽑아지면 불럭(34)는 YES로 되어, 회수제어를 종료한다.
드럼(2)의 저장 지폐가 모두 배출되기 전에 회수 제어를 종료시키는 경우는, 회수 스위치 I-SW을 다시 한번 ON한다. 이로인해서, 불럭(32)의 장소에서 YES로 판단되어, 불럭(34)로 이동한다.
회수스위치 I-SW를 ON하였을때에 배출구(1)에 있던 1매의 지폐를 뽑아내면, 불럭(34)는 YES로 되어, 회수 제어가 종료한다.
그리고, 제4도에 있어서는 모오터 M2를 비연속적으로 역회전해서 배출 지폐가 손으로 뽑아질때마다, 다음 지폐를 배출하도록 하고 있으나, 모오터 M2를 연속적으로 역회전시켜서 지폐를 연속적으로 배출하는 방식의 회수 제어 회로에도 본 발명을 응용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또한, 모오터 M2를 비 연속적으로 역회전할때에도 반드시 배출구(1)의 지폐를 손으로 뽑아내는 것을 조건으로 하는 것은 아니고, 그 앞에 설치한 적절한 지폐를 보내는 기구에 의해서 자동적으로 뽑아내도록 한 것이라도 좋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지폐 저장 장치에서 지폐를 배출할때 막힘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한다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정회전에 의해서 지폐를 끌어들이고, 역회전에 의해서 지폐를 배출하는 모오터와, 지폐 배출통로의 소정 장소에 마련된 지폐 검지용 센서를 구비하는 지폐 저장 장치에 있어서, 상기 모오터의 역회전 개시에 따라서 동작 개시하는 타이머 회로와, 이 타이머 회로의 소정 동작 시간중에 상기 센서에 의해서 지폐가 검지 되지 않았을때, 상기 모오터의 역회전을 정지하여 그 모오터를 소정시간 정회전시켜서, 그 후 그 모오터의 역회전을 재개시키는 제어 회로를 마련한 지폐 저장 장치에 있어서의 배출 지폐의 막힘 방지 장치.
KR1019830002595A 1982-06-23 1983-06-11 지폐 저장 장치에 있어서의 배출 지폐의 막힘 방지 장치 KR88000088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3026 1982-06-23
JP?93026 1982-06-23
JP1982093026U JPS58195370U (ja) 1982-06-23 1982-06-23 紙幣貯蔵装置における排出紙幣の詰り防止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5238A KR840005238A (ko) 1984-11-05
KR880000882B1 true KR880000882B1 (ko) 1988-05-28

Family

ID=140709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30002595A KR880000882B1 (ko) 1982-06-23 1983-06-11 지폐 저장 장치에 있어서의 배출 지폐의 막힘 방지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S58195370U (ko)
KR (1) KR880000882B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29472B2 (ko) * 1972-08-30 1980-08-04
JPS5231799A (en) * 1975-04-08 1977-03-10 Glory Ltd Clogging dectector for coin processig ach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S6220040Y2 (ko) 1987-05-22
KR840005238A (ko) 1984-11-05
JPS58195370U (ja) 1983-1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701543B2 (ja) 紙幣計数機
RU2302038C2 (ru) Автомат для обработки банкнот
US9004256B2 (en) Medium storing device
JP2004362089A (ja) 紙葉類収納放出装置
EP0312316B1 (en) Coin payout apparatus
KR20020062148A (ko) 지엽류 취급 장치
JPH0327956B2 (ko)
KR880000882B1 (ko) 지폐 저장 장치에 있어서의 배출 지폐의 막힘 방지 장치
US4516899A (en) Sheet feeding apparatus
KR880002154B1 (ko) 지폐 저장 장치에 있어서의 회수장치
JPS6312314B2 (ko)
JP3544166B2 (ja) 紙幣計数機
JP6823450B2 (ja) 紙幣識別収納装置
JPS5920091A (ja) 紙幣受入装置における紙幣の受入制御方法
JPS6227963Y2 (ko)
JPS60197551A (ja) 紙葉類繰り出し制御装置
JP2018184289A (ja) 媒体処理装置及び自動取引装置
JPS6221663A (ja) 紙葉類の集積装置
JPH08202922A (ja) 紙葉類取扱い装置
JP2000132728A (ja) 紙幣収納装置
JPH0462697A (ja) 紙幣識別装置
JP3866916B2 (ja) 紙幣識別装置
KR100314307B1 (ko) 지폐감별장치 및 지폐인출수단 검출방법
JP2004070647A (ja) 紙幣処理装置
JPH08161582A (ja) 返却紙幣等の保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80413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