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80002154B1 - 지폐 저장 장치에 있어서의 회수장치 - Google Patents

지폐 저장 장치에 있어서의 회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80002154B1
KR880002154B1 KR1019830002872A KR830002872A KR880002154B1 KR 880002154 B1 KR880002154 B1 KR 880002154B1 KR 1019830002872 A KR1019830002872 A KR 1019830002872A KR 830002872 A KR830002872 A KR 830002872A KR 880002154 B1 KR880002154 B1 KR 8800021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knote
motor
bill
storage device
control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300028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50000721A (ko
Inventor
히테아기 오다
마사기 아가가와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가이샤 닛본 고인고
오가다 마지하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가이샤 닛본 고인고, 오가다 마지하루 filed Critical 가부시기가이샤 닛본 고인고
Priority to KR10198300028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880002154B1/ko
Publication of KR8500007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07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800021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21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9/00Counting coins; Handling of coin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7/00Mechanisms actuated by objects other than coins to free or to actuate vending, hiring, coin or paper currency dispensing or refunding apparatus
    • G07F7/04Mechanisms actuated by objects other than coins to free or to actuate vending, hiring, coin or paper currency dispensing or refunding apparatus by paper currency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지폐 저장 장치에 있어서의 회수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을 실시한 지폐 식별 장치의 1에의 기구를 간략하게 도시한 측면도.
제2도는 그 지폐 식별 장치에 있어서의 각종 센서의 배치관계를 전계하여 도시한 정면도.
제3도는 그 지폐 식별 장치에 있어서 지폐 저장 장치가 떼어낼 수 있는 것을 도시한 측면약도.
제4도는 그 지폐 저장 장치에 있어서, 설치되는 본 발명에 관한 회수 장치의 실시예를 도시한 블럭도.
제5도는 제4도의 회수 장치내의 제어 회로에 의해서 실행되는 회수 제어 동작의 1예를 도시한 플로우 챠드.
제6도는 회수 동작시에 있어서 제4도에서의 각 장치 상태의 1예를 도시한 타이밍 챠트.
본 발명은 지폐 저장 장치에 있어서의 회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폐 식별 장치에는 지폐 저장 장치가 부착해서 마련되어 있으며, 투입 지폐가 진짜 지폐라고 판정하였을 때, 이 저장 장치내로 그 투입 지폐가 수납된다. 이 지폐 저장 장치가 그 내부에 축적된 지폐를 회수(inventory)할 때에, 모우터의 구동에 의해 1매 1매의 지폐를 배출하는 것과 같은 형식의 것일 때, 그를 위해 사용되는 종래의 회수 장치는 저장 장치내의 지폐를 연속적으로 한꺼번에 배출하도록 하고 있었기 때문에, 저장 장치로부터 외부에 배출된 지폐를 받는 수작업이 배출 속도에 따르지 못해서, 미처 받지 못하는 지폐가 지면 또는 바닥에 떨어진다는 불합리한 점이 있었다. 특히 옥외에 설치된 자동 판매기 내에 마련된 지폐 저장 장치의 경우, 회수시에 배출된 지폐를 미쳐 받지 못하면, 지폐가 바람에 날려 흩어져 버리는 일이 있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불합리한 것을 개선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지폐 배출을 위한 모오터 구동을 비연속적 구동으로 하고, 1매의 지폐를 배출구까지 유도하였을 때 그 모오터의 구동은 일단 정지하여, 그 지폐가 배출구로부터 빼내어졌을 때, 그 모오터의 구동을 재개하여 다음의 1매를 배출구까지 유도하도록한 회수 장치를 제공하려고 하는 것이다.
다음에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1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도는 지폐 식별 장치의 측면을 간략하게 도시한 도면으로, 식별 장치 본체(10)과 이 본체(10)에 대해서 붙이고 떼기가 가능한 지폐 저장 장치(20)을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에 관한 회수 장치는 저장 장치(20)쪽에 포함되지만, 전체를 이해하기 위하여, 우선 본체(10)에 관해서 간단하게 설명한다. 제2도는 본체(10)의 지폐 통로(2)의 부분을 정면에서 보고 전개하여 도시한 것이다.
입구(1)에서 세로로 길게 삽입된 지폐는 모오터 M1의 정회전(도면에는 시계방향의 회전) 구동에 의해 화살표 A방향으로 통로(2)내를 진행한다. 즉, 모오터 M1의 정회전 구동에 의해, 이 모오터 M1 및 로울러(3), (4)에 걸어 맞춘 벨트(5)가 화살표 A방향으로 움직여, 이것에 따라서 지폐가 반송된다. 도면에서는, 특히 각종 센서의 배치예가 도시되어 있다. 제2도에 있어서 P1L, P1R, PL, PX1, PX2, PX3, P2, P3, P4는 광 센서(포토 커플러)이며, CH, LH, RH는 자기 검출 헤드이다.
제1조의 광센서는 제1도의 측면도에서 명확한 것과 같이, 통로(2)를 끼고, 발광체(6)과 수광체(7) (부호(6)과 (7)은 1예로서 PL로 붙였다)를 포함하고 있다.
입구(1) 부근에서 지폐의 횡폭에 대응하는 간격이고, 또한 지폐 반송 방향에 관해서는 같은 위치로 배치된 2조의 광 센서 P1L, P1R는 삽입된 지폐의 횡폭을 판정하기 위한 것이다. 통로(2)의 중앙보다도 약간 어슷난 위치에서 반송 방향에 관해서 소정의 간격 로 격리해서 배치된 2조의 광센서 PL, PX2는, 지폐의 세로 방향의 길이를 판정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광센서 PX2및 이 센서 PX2에 대해서 반송 방향에 관헤서 소정 간격만큼 격리해서 배치되고, 또한 횡방향에 관해서는 서로 소정 간격 만큼 떨어져서 배치된 광센서 PX1, PX3는, 지폐의 투과 광량을 판정하기 위한 것이다. 통로(2)의 중앙 보다도 약간 어긋난 위치에 배치된 자기 검출 헤드 CH 및 이 헤드 CH에 대해서 반송 방향에 관해서 소정 간격만큼 격리하여 배치되고, 또 횡방향에 관해서는 서로 소정 간격 만큼 격리하여 배치된 자기 검출 헤드 LH, RH는, 지폐의 인쇄잉크에 포함되는 지성 성분(철등)을 판정하기 위한 것이다. 이들 센서에 의하여 지폐의 횡폭, 세로의 길이, 투과성, 자성 성분 분포가 검사되어, 이들 모든 성질이 진짜 지폐 성질을 만족시켰을 때, 투입 지폐를 받아 들인다. 1개라도 진짜 지폐 성질을 만족시키지 않는 것이 있을 때는 모우터 M1를 역회전 구동해서 통로(2)내의 지폐를 입구(1)에 반환한다.
그리고 센서, PL, PX2, CH가 중앙에서 약간 어슷나서 배치되어 있는 이유는, 지페의 중앙은 접힌 자리가 있는 것이 많고, 더구나 접힌 자리의 부분은 다른 부분보다는 얇게 되어 있는 것이 많으므로, 이 접힌 부분을 피해서 검사를 하기 위함이다.
지폐 검사를 하기 위한 상기 센서류의 후단에 설치된 게이트 레버(gage lever)(8)은, 일단 진짜 지폐로서 수입된 지폐의 반환 여부를 제어하는 것이다. 레버(8)은, 항상 가벼운 스프링(도시 않음)에 의해서 제1도에서 실선으로 표시하는 것과 같이 통로(2)내에 돌출하고 있으며, 화살표 A방향(정방향)으로 진행하는 지폐에 눌려서 기점(8a)를 중심으로 회전운동하여 1점 쇄선(8')로 도시하는 것과 같이 통로 밖으로 피해서, 수입방향 A로 지폐의 통과를 가능하게 하고 있다. 그러나, 레버(8)의 장소를 일단 통과한 지폐가 그 레버(8)의 장소를 되돌아 올때에, 그 레버(8)은 폐쇄되어, 그 지폐를 지지한다. 단지, 정상으로 지폐를 반환할 때에는 솔레노이드 SOL1이 힘을 가하여 레버(8)를 1점 쇄신(8')의 위치로 끌여 당겨 역방향(화살표 A의 반대방향)의 지폐의 반송을 가능하게 한다. 레버(8)에 관해서 설치된 스위치 SW1은, 그 레버(8)이 통로(2)에 돌출하고 있을때 OFF, 1점 쇄신(8')과 같이 통로 밖으로 피했을 때 ON으로 된다.
통로(2)를 기능적으로 구분하면, 레버(8)의 전단의 지폐 검사를 위한 통로 부분과, 레버(8)의 후단의 진짜 지폐로서 식별한 지폐를 수입하기 위한 통로 부분으로 구분할 수 있다. 후자의 통로 부분의 길이, 즉 레버(8)의 바로 뒤로 a점에서 통로(2)의 종단 b점까지의 길이는 1예로서, 지폐의 세로 방향의 길이에 해당한다.
통로(2)의 출구는 지폐 저장 장치(20)의 입구에 연결된다. 이 지폐 저장 장치(20)은 투입된 지폐를 보류하고, 필요가 있으면 보류 지폐를 통로(2)로 반환하는 기능을 가진 것이다. 통로(2)의 출구에 설치된 광센서 P3및 저장 장치(20)의 입구에 설치한 광센서 P4는, 모오더 M1 및 저장 장치(20)내의 지폐 감지용 모오터 M2를 제어하기 위하여 이용된다. 또한, 광센서 P3의 앞에 설치된 광 센서 P2는 통로(2)내에 지폐가 있을 때 새로운 지폐의 삽입을 금지하기 위한 것이다.
지폐 저장 장치(20)에 있어서는, 모오터 M2에 의해서 회전되는 드럼(9)의 소정 장소에 나선형 스프링(11)의 한쪽 끝이 고정되어 있으며, 이 드럼(9)를 중심으로 하는 감기대와 스프링(11)과의 사이에 지폐를 끼어서 그 지폐를 단단하게 감는다. 즉, 통로(2)의 출구로부터 저장 장치(20)에 들어간 지폐는 화살표 B의 흐름을 통해서 드럼(9)를 중심으로 하는 감기대와 스프링(11)과의 사이로 진입한다. 지폐를 받아서 저장할 때에는 모오터 M2를 정회전(도면에서는 반시계 방향의 회전) 구동하여 드롬(9)에 스프링(11)를 감아서, 이 스프링(11)과 함께 화살표 B방향으로 진입한 지폐를 단단하게 감는다. 1예로서, 드럼(9)에는 최대로 40매 정도의 지폐를 감을 수가 있다. 즉, 나선형 스프링(11)의 전체 길이는 40매 정도의 지폐를 감는데 충분한 길이를 가지고 있다. 드럼(9)에 감기 지폐를 통로(2)쪽으로 반환할 때에는, 모오터 M2를 역회전한다. 모오터 M2가 역회전한 만큼 스프링(11)은 자기 복원력에 의해서 감기 중심(11a)에 감겨져서, 드럼(9) 및 스프링(11)의 움직임에 따라서 지폐가 화살표 B와는 반대 방향으로 송출되어 통로(2)로 되돌아 간다.
저장 장치(20)에 관련하는 옵손(option)으로서 스토우커(stocker)(12)를 추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스토우커(12)는 다량의 지폐를 적층해서 수납하는 기능을 가진 것이다. 슬레노이드 SOL2는 드럼(9)으로부터 배출된 지폐를 스토우커(12) 방향으로 향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 이 SOL2의 힘에 의해서 부재(13)이 스프링(11)을 눌려서, 배출된 지폐의 흐름을 화살표 D방향으로 변환시킨다. 스토우커(12)에 설치한 광센서 P5는, 화살표 D의 흐름을 통해서 지폐 저장 장치(20)으로부터 스토우커(12)로 지폐가 송출되었다는 것을 검지하기 위한 것으로, 이 검지에 기인하여 스노오커(12)에 있어서의 지폐 적층 작업을 실행시킨다.
또, 지폐저장 장치(20)에 있어서의 각 소정 장소(장소는 특히 도시 않음)에는 풀(full) 검출 스위치 SW2, 엠프티(empty) 검출 스위치 SW3, 회수 스위치 SW4가 각각 설치된다. 또한, 지폐식별 장치 본체(10)쪽의 소정 장소에는 지폐 저장 장치(20)에 관련해서 안전 스위치 SW5가 설치된다.
지폐 저장 장치(20)에 있어서는, 모오터 M2의 회전을 기어 다운(gear-down)하여 전달하는 기구(도시 않음)을 구비하고 있으며, 이 기구에 관련하여 소장 장소에 풀 검출 스위치 SW2 및 엠프티 검출 스위치 SW3이 설치된다.
모오터 M2가 초기 위치에 있을 때, 즉 드럼(9)에 전혀 지폐가 감겨져 있지 않을 때, 엠프티 검출 스위치 SW3이 작동해서 엠프티를 검출한다. 모오터 M2가 초기 위치로부터 정회전 방향으로 소정 회전하였을 때(1예로서 지폐를 40매 정도 감았을 때) 기어다운 기구에 관련해서 설치된 풀 검출 스위치 SW2가 작동하여, 가득 찼다는 것을 검출한다. 이 스위치 SW2에 의해서 풀리 검출 되었을 때는 모오터 M2이 구동을 금지함과 동시에 본체(10)의 모오터 M1의 구동도 금지한다.
지폐 저장 장치(20)은, 제3도에 2점 쇄선으로 도시한 것과 같이 축(20a)를 기점으로 하여 소정의 각도를 기울인 다음, 화살표 E방향으로 당기면, 본체(10)에서 떼어낼 수가 있도록 되어 있으며, 안전 스위치 SW5는 이와 같이 저장 장치(20)이 본체(10)으로부터 떨어졌을 때 작동하여 본체(10)의 동작(주로 모오터 M1의 구동)을 금지하도록 제어한다. 이것은 저장 장치(20)이 떨어져 있는 경우는 지폐의 수입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그와 같은 경우는 지폐 식별 장치 본체(10)의 동작을 금지하도록 하였기 때문이다.
회수 스위치 SW4는, 지폐 저장 장치(20)내에 저장하고 있는 지폐를 전부 배출시켜서 돈을 모을 때에 조작되는 것이다. 관리자가 저장 장치(20)을 제3도에 실선으로 도시하는 것과 같이 적당히 기울려서, 회수 스위치 SW4를 조작하면, 다음에 설명하는 것과 같이 회수 장치가 동작하고, 모오터 M2가 비연속적으로 역전하여 드럼(9)에 감겨져 있는 지폐를 센서 P4가 설치되어 있는 출구(입구)쪽으로 1매씩 배출한다.
제4도는, 지폐 저장 장치(20)에 관련하여 설치되는 회수 장치를 블럭도로 도시한 것이다. 제어 회로(14)는 타이머(timer) TM를 포함하고 있고, 회수 스위치 SW4, 엠프터 검출 스위치 SW3 및 센서 P4의 출력이 입력되어, 모오터 M2를 제어하는 신호를 출력한다. 이 제어 회로(14)는 제5도의 플로우 챠트로 도시하는 것과 같이 제어 동작을 실행한다. 이 제어 동작은 플로우 챠트로 도시하였으나, 소프트웨어 처리에 한정되지 않고, 동등한 동작을 실행하는 하드로직(hard lagic)에 의해서 그 제어 회로(14)를 구성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며, 이와 같은 하드 로직을 제5도에서 용이하게 실시할 수가 있으므로, 특별히 상세하고 도시하지 않는다. 제6도는 제5도에 의해 회수 제어의 1예를 타이밍 챠트에 의해서 도시한 것이다.
제5도에 있어서, 회수 장치에 의한 제어는 회수 스위치 SW4가 ON되었을 때 시작한다. 회수 스위치 SW4가 ON되면, 즉시 모오터 M2의 역회전 구동이 시작한다(블럭 21). 이로 인하여, 드럼(9)가 역회전하고, 거기에 감겨져 있던 지폐가 화살표 B방향으로, 즉, 센서 P4방향으로 송출된다. 블럭(22)에서는, 센서 P4가 지폐의 검지 여부를 검출한다. 드럼(9)로부터 배출된 지폐가 아직 센서 P4의 위치, 즉 배출구에 도달하지 않았을 때는, 블록(22)의 NO 루우프(loop)를 반복하고, 그 사이 모오터 M2의 역회전은 지속하고 있다.
지폐의 앞끝이 센서 P4에 의해서 검지되면, 블럭(22)가 YES로 되어, 블럭(23)의 처리로 이동한다. 블럭(23)에는, 타이머 TM를 시작시킨다. 블럭(24)에서는, 센서 P9
Figure kpo00001
를 검지하고 있는가 아닌가를 검출한다. YES일 때 블록(25)로 진행하고, 타이머 TM의 동작 시간이 경과하였는가 아닌가를 조사한다. 블럭(25)가 NO이면, 블럭(24)로 돌아간다. 블럭(24)가 NO이면, 블럭(26)으로 진행하여, 타이머 TM를 리세트한다. 이때에, 타이머 TM의 리세트는, 타이머 출력을 OFF로 하는 것이며, 스타트로 되돌아가는 것은 아니다. 블럭(26)후에 블럭(22)로 되돌아 간다. 한편, 블럭(25)가 YES일 때는, 블럭(27)로 진행하여, 모오터 M2를 정지한다. 블럭(21)에는 (27)까지의 처리 시간, 모오터 M2는 역회전을 계속하고 있으며, 블럭(27)에서 정지한다.
타이머 TM의 동작시간 T1은, 지폐의 앞끝이 센서 P4에 검지되었을 때부터 그 지폐의 뒤끝이 드럼(9)와 스프링(11) 사이에서 확실히 이탈 할 때까지의 시간에 맞춘 것으로서, 1예로서 수백미리초이다.
회수 제어가 정상으로 이루어질 때, 회수 스위치 SW4, 모오터 M2, 센서 P4, 타이머 TM의 상태는 제6도와 같이 된다. 즉, 처음에 회수 스의치 SW4가 ON되면, 블럭(21)의 처리에 의해서 모오터 M2의 역회전 구동이 시작하여, 지폐가 배출된다. 지폐의 앞끝이 출구의 센서 P4에서 검지되면 블럭(23)의 처리에 의하여 타이머 TM이 시작한다. 타이머 TM의 동작 시간 T1이 끝나면 블럭(27)의 처리에 의해서 모오터 M2가 정지한다. 이 때, 지폐의 앞 끝은 배출구로부터 외부에 돌출되어 있고, 또한 그 뒤 끝은 드럼(9)와 스프링(11)의 눌림으로부터 해방되어 있으며, 이 상태에서 지폐의 움직임이 정지한다. 따라서, 관리자는 배출구에서 나오고 있는 지페를 가볍게 손으로 뽑아내는 것만으로도 용이하게 지폐를 회수할 수 있다. 한편, 관리자가 지폐를 뽑아내지 않는 한 지폐는 배출구로부터 완전히 밖으로 나오지 않고, 지면 또는 바닥에 떨어지거나 혹은 바람에 날라간다는 등의 불편한 일은 일어나지 않는다.
블럭(27) 다음에 블럭(28)로 진행하여, 엠프티 검출 스위치 SW3이 ON이 되어 있는가 아닌가를 조사한다. 드럼(9)에 지폐가 남아있을 때, SW3은 OFF이며, NO의 경로를 통해서 블력(29)로 진행한다. 블럭(29)에서는 회수 스위치 SW4가 다시 한번 ON이 되었는가 아닌가를 조사한다. 회수 제어를 속행할 경우, 블럭(29)는 NO이며, 블럭(30)으로 진행된다. 블럭(30)에서는 출구의 센서 P4가 지폐를 검지할 수 없는가(OFF), 아닌가를 조사한다. YES이면, 블럭(21)로 진행해서, 모오터 M2의 역회전 구동을 재개한다. 즉, 블럭(21)에서 (27)까지의 처리에 의하여, 상술한 것과 같이, 배출구까지 배출된 지폐를 관리자가 뽑아내는 것에 의해서 센서 P4가 OFF(블럭(30)이 YES)로 되고, 모오터 M2의 구동이 재개하여 2매째의 지폐가 배출된다.
이와 같이 하여 블럭(21)에서 (30)까지의 루틴(routine)을 반복하는 것으로서, 모오터 M2가 비연속적으로 구동되어, 1매 1매의 지폐가 관리자의 손으로 확실하게 받을 수 있도록 회수 제어가 이루어진다.
그리고, 블럭(26)의 경로는 안전 대책상 설치된 것으로, 통상은 타이머 TM의 동작중은 반드시 센서 P4가 ON 하고 있으며, 블럭(26)으로는 진행되지 않는 다. 어떠한 이상에 의해서, 블럭(24)에서 센서 P4가 OFF로 판단되었을 때 블럭(26)으로 가서, 타이머 TM를 일단 리세트하여 주경로, 즉 블럭(22)에 되돌아 가는 것이다.
드럼(9)의 저장 지폐가 전부 배출되면, 스위치 SW3이 ON하고, 블럭(28)의 YES에서 블럭(31)로 진행된다. 블럭(31)에서는, 센서 P4가 ON하고 있는가 아닌가를 조사하여, OFF할 때까지 기다린다. 배추구에 있는 최후의 지폐가 빼내지면, 블럭(31)은 NO로 되어, 회수 제어를 종료한다. 종료의 처리라는 것은, 각 회로의 상태를 리세트하여 회수 장치를 대기상태(SW4가 조작되었을 때 즉시 시작할 수 있는 상태)로 설정하는 것이다.
드럼(9)의 저장 지폐가 전부 배출되기 전에 회수제어를 종료시킬 때에는, 회수 스취치 SW4를 다시 한번 ON한다. 이것에 의해, 블럭(29)의 장수에서 YES로 판단되어, 블럭(31)에 이동한다. 회수 스위치 SW4를 ON하였을 때에, 배출구에 있던 1매의 지폐를 빼내면, 블럭(31)은 NO로 되어, 회수 제어가 종료된다.
그리고, 지폐 저장 장치(20)은 드럼 감기식에 한한 것이 아니며, 다른 어떠한 형식이라도 좋다. 또한 타이머 TM의 시간 T1은 그 내지 여러매의 지폐를 배출할 수 있는 시간으로 하여도 되며, 이때에는 제5도의 블럭(26)를 설치하지 않고, 타이머 동작시간 종료 후에 P4가 ON인 것을 조건으로 모오터 M2를 정지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회수시에 배출구까지 배출된 지폐를 손으로 빼내지 않는 한 다음의 지폐가 배출되지 않도록 구성하였기 때문에, 배출된 지폐가 흩어진다는 등의 불합리한 점은 일어나지 않아서 여유를 갖고 지폐 회수 작업을 할 수가 있게 된다.

Claims (4)

  1. 저장한 지폐를 차례로 배출하기 위한 모오터를 구비한 지폐 저장 장치에 있어서, 인위적으로 조작되는 회수 스위치와, 상기 지폐 저장 장치의 지폐 배출구 부근에 설치되어 그 배출구로 온 지폐를 검지하기 위한 센서와, 상기 모오터를 소정 시간 구동시키기 위한 제1의 제어 수단과, 최초는 상기 회수 스위치의 조작에 따라 상기 제1의 제어 수단을 동작 개시시키고 다음부터는 상기 모오터가 정지할 때 상기 센서가 지폐를 검지하지 않게 되었다는 것을 조건으로 상기 제1의 제어 수단을 동작 개시시키는 제2의 제어 수단과, 상기 제1 또는 제2의 제어 수단에 의한 제어를 금지해서 지폐 배출 동작을 종료시키기 위한 종료 수단을 마련하고, 상기 제1의 제어수단은 상기 제2의 제어수단에 의해서 동작 개시시켜졌을 때 상기모오터를 시동시키는 수단과, 소정의 동작 시간을 가지며 상기 모오터의 시동 후에 상기 센서에 의해서 지폐가 검지된 것을 조건으로 그 동작 시간을 시작하는 타이머와, 이 타이머의 동작 시간이 경과하였을 때 상기 센서에 의하여 지폐가 검지되어 있는 것을 조건으로 상기 모오터를 정지시키는 수단과, 상기 타이머의 개시후 또한 상기 타이머 동작 시간의 경과전에 상기 센서에 의한 지폐의 검지가 행하여 지지않게 된 것을 조건으로 상기 타이머를 리세트하는 리세트 수단을 포함하는 지폐 저장 장치에 있어서의 회수 장치.
  2. 상기 타이머의 동작시간은 1매의 지폐가 상기 센서의 장소를 통과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에 충족치 않는 소정의 시간으로 설정되어 있는 특허청구의 범위 제1항의 회수 장치.
  3. 상기 종료 수단은 상기 지폐 저장 장치의 지폐 저장량이 비어 있다는 것을 검출하는 엠프티 검출 수단과, 이 엠프티 검출 수단에 의하여 비어 있는 것이 검출되었을 때 또는 상기 회수 스취치가 재조작 되었을 때 상기 제2의 제어 수단에 의해서 상기 제1의 제어 수단의 동작이 개시되는 것을 금지하는 수단을 포함하고 있는 것인 특허청구의 범위 제1항의 회수 장치.
  4. 상기 지폐 저장 장치는 상기 모오터에 의해서 구동되는 드럼과 상기 모오터의 정회전시에 상기 드럼에 감겨지는 나선형 스프링을 포함하며, 지폐를 수입할 때는 상기 모오터를 정회전하여 그 지폐를 상기 스프링과 함께 상기 드럼에 감기도록 한 것이며, 상기 제 1 제어 수단은 상기 모오터를 역회전 구동하는 것에 의해서 드럼에 감겨져 있던 지폐를 1매씩 배출시키는 것인 특허청구의 범위 제1항, 제4항 또는 제5항 중 어느한 항의 지폐 저장 장치에 있어서의 회수 장치.
KR1019830002872A 1983-06-25 1983-06-25 지폐 저장 장치에 있어서의 회수장치 KR8800021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30002872A KR880002154B1 (ko) 1983-06-25 1983-06-25 지폐 저장 장치에 있어서의 회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30002872A KR880002154B1 (ko) 1983-06-25 1983-06-25 지폐 저장 장치에 있어서의 회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0721A KR850000721A (ko) 1985-03-09
KR880002154B1 true KR880002154B1 (ko) 1988-10-17

Family

ID=192292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30002872A KR880002154B1 (ko) 1983-06-25 1983-06-25 지폐 저장 장치에 있어서의 회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80002154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0721A (ko) 1985-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701543B2 (ja) 紙幣計数機
US4747493A (en) Cash dispenser
JP4200048B2 (ja) 紙葉類収納放出装置
US4428501A (en) Paper sheet dispenser
US6076648A (en) Bill processing device
JPH0327956B2 (ko)
JP2995538B2 (ja) 紙葉類取扱装置
DE3402703C2 (ko)
KR880002154B1 (ko) 지폐 저장 장치에 있어서의 회수장치
JPH11120413A (ja) 紙幣入出金装置
JPS5834871B2 (ja) 貨幣類取扱装置
JPS5920091A (ja) 紙幣受入装置における紙幣の受入制御方法
JPH063493Y2 (ja) 紙葉類処理機
KR880000860B1 (ko) 지폐 수입 장치 및 지폐 수입 제어방법
JPH0337089Y2 (ko)
JPS6227963Y2 (ko)
KR880000882B1 (ko) 지폐 저장 장치에 있어서의 배출 지폐의 막힘 방지 장치
JPS60197551A (ja) 紙葉類繰り出し制御装置
JPH0126668Y2 (ko)
JP2018184289A (ja) 媒体処理装置及び自動取引装置
JPS5964448A (ja) 紙幣類払出装置
KR100514631B1 (ko) 계수 분권기능을 갖는 현금처리기
JP2007188535A (ja) 紙幣取引装置の紙幣の抜取り方法
JPS6236590B2 (ko)
JPH08161582A (ja) 返却紙幣等の保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80922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