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80000623B1 - 개폐기 조작 장치 - Google Patents

개폐기 조작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80000623B1
KR880000623B1 KR1019830001797A KR830001797A KR880000623B1 KR 880000623 B1 KR880000623 B1 KR 880000623B1 KR 1019830001797 A KR1019830001797 A KR 1019830001797A KR 830001797 A KR830001797 A KR 830001797A KR 880000623 B1 KR880000623 B1 KR 8800006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n
stop
lever
support
tr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300017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40005904A (ko
Inventor
미노루 나까하다
쥰이찌로오 니시다니
가오루 야마가다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전기 주식회사
카다야마히도하지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전기 주식회사, 카다야마히도하지로 filed Critical 미쓰비시전기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8400059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59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800006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06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Snap-action arrangements, i.e. in which during a single opening operation or a single closing operation energy is first stored and then released to produce or assist the contact movement
    • H01H5/04Energy stored by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 H01H5/06Energy stored by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by compression or extension of coil springs

Landscapes

  • Driving Mechanisms And Operating Circuits Of Arc-Extinguishing High-Tension Switch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개폐기 조작 장치
제1도는 진공 차단기의 개폐부 구성도.
제2도-제3도는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의 동작도이며,
제2도는 개폐기의 개로, 투입스프링의 힘이 빠진 상태도.
제3도는 개폐기의 개로, 투입스프링의 힘이 축적된 상태도.
제4도는 개폐기의 폐로, 투입스프링의 힘이 빠진 상태도.
제5도는 개폐기의 폐로, 투입스프링의 힘이 축적된 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진공스위치관 5 : 주축
6 : 레버 7 : 케이스
8 : 회전베어링 12 : 개방스프링
10 : 크랭크핀 11 : 조작간
9 : 구동레버 13 : 연결핀
14 : 트립레버 15 : 트립링크
16 : 링크핀 17 : 제1연결핀
18 : 트립로울러 19 : 지지레버
20 : 지지링크 21 : 제2연결핀
22 : 지지로울러 24 : 트립래치
26 : 트리거 28 : 지지래치
31 : 투입레버 32 : 투입링크
33 : 연결링크 34 : 핸들축
35 : 투입아암 36 : 연결핀
39 : 연결링크 40 : 투입크랭크
41 : 투입크랭크핀 44 : 투입스프링레버
45 : 투입스프링 49 : 투입래치
51 : 포울(powl) 53 : 킥크핀(kick pin)
54 : 스프링걸이핀 55 : 스프링걸이핀
본 발명은 차단기, 접촉기등의 개폐기를 개폐조작하기 위한 개폐기 조작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이러한 장치로서, 수동조작용으로 된것이 일본국 특개소 55-121222호공보에 공지된바 있으나, 이장치는 원격조작에 의한 즉시 투입조작및 즉시 재패로 조작을 할 수 없기 때문에 적용범위가 한정되었다.
본 발명은 종래의 수동조작용으로서의 기능보유는 물론, 원격조작에 의한 즉시 투입기능과 투입 상태에서 투입 스프링의 축세력에 의한 즉시 재패로 가능도 보유하게 되는 개폐기 조작기능을 얻을 수 있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제1도-제5도에 따라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본발명에 의한 개폐기 조작장치에 의하여 개폐조작되는 개폐기의 개폐부 구성을, 일예를 표시한 제1도에 따라 설명한다.
제1도에 있어서, 1은 진공스위치관이고, 고정접촉자와 가동접촉자에는 각기, 외부로 인출된 리이드선이 접속되어 있다. 2는 가동접촉자의 가동스터드(stud), 3은 이 가동스터드(2)를 전기적으로 절연되는 절연로드, 4는 압접스프링이고, 이들은 일체로 연결되었다. 5는 접촉자 조작용의 주축으로서, 레버(6)을 고착하였고, 이 레버(6)선단에 압접스프링(4)를 고착하였다. 7은 케이스(일부표시)로서, 주축(5)의 단부(5a) 의 회전베이링(8)을 지지하고 있다. 9는 구동레버이고, 일단이 주축(5)의 단부근처에 고착되며, 타단에 크랭크핀(10)을 고착하였고, 이 크랭크핀(10)은 케이스(7)에 형성된 크랭크 창구(7a) 를 관통하게 배치되어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진공스위치관(1)의 개폐는 크랭크핀(10)을 동작시키므로서, 구도레버(9)를 통하여 주축(5)를 회전시키고, 여기에 고착된 레버(6), 압접스프링(4) 및 절연로드(3)을 통하여 가동로드(2)가 구동되므로서 이루어진다. 더우기, 크랭크창구(7a)는 크랭크핀(10)이 진공스위치관(1)을 개폐하기에 충분한 넓이를 보유함과 동시에, 진공스위치관(1)의 접촉자 열림위치를 안전시키기 위하여 진공스위치관(1)의 폐로위치 스토퍼 역할도 겸하고 있다.
따라서 진공스위치관(1)의 개폐는 크랭크핀(10)을 구동하면되고, 이 크링크핀(10)을 본 발명의 조작기구에 의하여 구동하게 한것이다. 다음에서 본 발명에 의한 조작장치 실시예를 제2도-제5도에 의하여 설명한다. 제2도에 있어서, 11은 조작간으로서, 일단은 제1도에 표시된 크랭크핀(10)에 회전자재하게 연결되어있다. 12는 개방스프링으로서 일단부가 제1도에 도시된 케이스(7)에 고착된 스프링걸이핀(54)에 걸려있는 동시에 타단부를 조작간(11)의 연결핀(13)에 걸어서 조작간(11)을 일방향 즉 제2도에서 상방향으로 힘을 부가하고 있다. 14는 트립레버이고, 조작간(11)의 연결핀(13)에, 트립레버(14)에 천공된 장공(14A)에 의하여 회전내지 활동(滑動)자재하게 연결되어 있다. 15는 트립링크이고 일단부가 고저링크된핀(16)의 의하여 제1도의 케이스(7)에 고착되었으며, 타단부가 연결핀(17)에 의하여 트립레버(14)에 회전자재하게 연결되어 있다. 18은 트립로울러이고 연결핀(17)에 회전자재하게 설치되어있다. 19는 지지레버이고 일단부를 연결핀(17)에 회전자재하게 설치되어있다.
20은 지지링크이고 일단부를 크랭크핀(10)에 회전자재하게 설치하며 타단부는 연결핀(21)에 의하여 지지레버(19)의 타단과 회전자재하게 연결되어 있다. 또한 연결핀(21)에는 지지로울러(22)가 회전자재하게 설치되어 있다. 23은 리세트 스프링이고, 지지링크(20)에 설치된 스프링걸이공(20A)외 케이스(7) 사이에 장착되어 트립레버(14), 트립링크(15), 지지레버(19) 및 지지링크(20)을 도면중 화살표(a)방향으로 힘을 부가하고 있다. 이와 같이 하여 트립레버(14), 트립링크(15)및 트립로울러(18)은, 트립로울러(18)이 다음의 트립래치(24) 즉 제1의 걸어멈춤해제부에서 해제되는 조작간(11)간을 위한 제1의 걸어멈춤부를 형성하고 있다.
한편 지지링크(20), 지지레버(19)및 지지로울러(22)는 지지로울러 (22)가 다음의 지지레버(28)즉 제1의 걸어멈춤지지부에서는 지지되는 크랭크핀(10)을 위한 제2의 걸어멈춤부를 형성하고 있다. 24는 트립레치 즉 제1의 걸어 멈춤 해제부이고, 제1도에 도시된 게이스(7)에 고착된 트립핀(25)에 의하여 전기한 케이스(7)에 회전자재하게 설치되어 있다 : 26은 트리거로서 트립핀(25)에 지지되어 트리래치핀(24A)에 의하여 트립래치(24)과 일치가 되게 결합되어있다.
27은 트립래치 리세트 스프링으로서, 트리거(26)에 설치된 스프링걸이 (26A)와 케이스(7)에 고착된 지지래치 스토퍼(7A)사이에 장착되며, 트립래치(24)를 도면에서 화살표(b)방향으로 힘을 가하고 있다. (26B)는 스토퍼로서 트립래치 리세트 스프링(27)로 힘을 부가된 트립래치(24)의 걸어멈춤위치를 결정하여 준다. 28은 지지래치 즉 제1의 걸어멈춤 지지부이고, 제1도에 도시된 케이스(7)에 고착된 지지래치핀(29)에 의하여 전기한 케이스(7)에 회전자재하게 설치되었다. 30은 지지래치 스프링이고, 지지래치핀(29)주위에 권회되었으며, 지지래치(28)을 도면에서 화살표(C)방향으로 힘을 부가하고 있다. 7A는 스토퍼로서 지지래치스프링(30)으로 힘이 부가된 지지래치(28)의 정위치를 결정하여 준다.
31은 조작부의 일부가 되는 투입레버이고, 케이스(7)에 회전자재하게 설치되며, 일단부에 투입링크(32)를 연결핀(33)에 의하여 회전자재하게 설치하였으며 타단부는 그것을 관통하는 핸들축(34)를 통하여 외부로 부터의 조작력이 전달되게 되어있다. 35는 투입아암이고, 일단부를 조작간(11)에 연결핀(36)에 의하여 회전자재하게 지지함과 동시에 타단부가 연결핀(37)에 의하여 투입링크(32)의 일단부와 연결되어있다. 38은 투입아암스프링이고 연결핀(37) 주위에 권회되며 일단부를 투입아암(35)에, 타단부를 연결핀(33)에 걸어맞추므로서 투입아암(35)를 도면에서 화살표(d)방향으로 회전되게 힘을 부가하고 있다. 이와같이 하여 투입레버(31), 투입링크(32)및 투입아암(35)는 조작간(11)을 도면에서 화살표(e)방향으로 구동하는 조작부를 형성하고 있다. 39는 연결링크이고 일단부가 연결핀(36)에 의하여 조작간(11)의 타단부에 회전자재하게 연결되어있다.
40은 투입크랭크이고, 일단부가 케이스(7)에 고착된 투입크랭크핀(41)에 의하여 회전자재하게 케이스(7)에 설치됨과 동시에 중앙부의 연결핀(42)에 의하여 연결링크(39)에 회전자재하게 연결되며, 또한 연결핀(43)에 의하여 투입스프링레버(44)를 타단부에서 회전자재하게 연결되어있다. 45는 일단부가 케이스(7)에 고착된 스프링걸이핀(55)에 걸려 있는 투입스프링이고, 그 타단부는 투이스프링레버(44)의 타단부에 고착되어 투입크랭크(40)을 도면에서 화살표(f)방향으로 회전되게 힘을 부가하고 있다. 46은 투입로울러로서 연결핀(47)에 의하여 투입크랭크(40)에 회전자재하게 설치되었다.
이와 같이 하여 연결링크(39), 투입크랭크(40) 및 투입스프링레버(44)는 투입스프링(45)에 연결된 링크 기구부를 구성한다. 48은 스토퍼핀이고, 케이스(7)에 고착되었으며, 투입크랭크(40)이 투입스프링(45)에 의하여 도면에서 화살표(f)방향으로 힘이 부가된 상태의 정지위치를 결정하여 준다. 49는 투입래치이고, 케이스(7)에 고착된 투입래치핀(50)에 의하여 케이스(7)에 회전자재하게 지지되어있다. 51은 포울이고 투입래치(49)와 동일하게 투입래치핀(50)에 권회되고, 일단부를 투입래치(49)에, 타단부를 포울(51)에 걸어 맞추고, 투입래치(49)는 도면에서 시계방향으로 포울(51)은 도면에서 반시계방향으로 각각 힘이 부가되어있다. 투입래치(49)는 스토퍼핀(49A)에 의하여 케이스(7)에 천공된 스토퍼공(7B)로 정지위치를 결정하고 있다. 또한 포울(51)은 연결핀(36)에 의하여 회전동작을 멈추고 있다.
53은 킥크핀으로서 케이스(7)에 회전자재하게 설치되어있다. 포울(51)은 후술되는 투입레버(31)이 도면에서 화살표(g)방향으로 회전할 경우에 투입래치핀(31A)와 만나면 투입래치(31)을 멈추게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서 알수 있는 바와 같이 투입래치(49)는 링크기구부의 걸어멈춤을 해제하는 제2의 걸어멈춤 해제부이고, 포울(51)을 조작부의 걸어멈춤을 해제하는 제3의 걸어멈춤 해제부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었으며, 그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개폐기가 개로되고 투입스프링(45)의 힘이 빠진 상태로된 제2도에 있어서, 핸들축(34)를 도면에서 회살표(g)방향으로 회전하면, 투입레버(31), 투입링크(32) 및 투입아암(35)를 통하여 조작간(11)이 도면에서 보아 하방으로 강하된다. 이때에 조작간(11)은 개방스프링(12)에 의하여 힘이 부가되고 있으므로 크랭크핀(10)을 중심으로 도면에서 화살표(e)방향으로 회전한다.
이와같이 조작간(11)이 회전되면 트립레버(14)도 도면의 화살표(a)방향으로 회전하고 트립로울러(18)가 트립래치(24)에 걸리게 된다. 또한 조작간(11)의 회전에 의하여 연결링크(39)를 통하여 투입크랭크(40)도 투입크랭크핀(41) 주위를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투입스프링(45)가 투입스프링레버(44)를 통하여 신장되어 에너지가 축적됨과 동시에 투입로울러(46)가 투입래치(49)와 걸어맞추며 이것에 의하여 유지된다. 핸들축(34)의 회전에 의하여 투입링크(32)가 킥크핀(53)에 눌려서 투입링크(32)가 연결핀(33)주위를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투입랭크(32)와 투입아암(35)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던 상호안정이 붕괴되어 투입링크(32)와 투입아암(35)의 회전이 투입레버(31)에 대하여 자유롭게 된다. 또한 투입레버(31)은 투입레버핀(31A)와 포울(51)의 걸어맞춤으로 걸어 멈추어 제3도와 같은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 있어서, 투입래치(49)를 도면의 화살표(j) 방향으로 회전하며, 투입래치(49)과 투입로울러(46)의 걸어맞춤이 해제되어 투입크랭크(40)은 투입스프링(45)의 힘에 의하여 도면에서 화살표(f)방향으로 회전된다.
투입크랭크(40)의 회전으로 연결링크(39)를 통하여 조작간(11)은 도면에서 상방으로 상승되지만 투입레버(14)가 트립래치(24)에 의하여 멈추고 있기 때문에 연결핀(13)을 회전 중심으로 하여 도면에서 화살표(h)방향으로 회전하고, 크랭크핀(10)을 통하여 구동레버(9)를 회전하여 진공스위치관(1)의 폐로동작을 하게된다.
더우기 연결핀(13)이 트립레버(14)에 의하여 멈추게 되면, 트립스프링(12)의 힘의 부가를 멈추기 때문에 진공스위치관(1)의 진공압에 의한 폐합력도 투입조작력에 가산된다. 이러한 폐로동작에 의하여 크랭크핀(10)에 설치되어 있는 지지링크(20)은 하측으로 강하되어 지지로울러(22)에 지지래치(28)가 걸려크랭크핀(10)을 멈추게 하고 제4도의 상태가 된다. 또한 투입래치(31)은 포울(51)이 연결핀(36)에 의하여 상승하기 때문에 투입레버핀(31A)와 포울(51)과의 걸어맞춤이 해제되어, 핸들축(34)의 리세트 스프링(도시없음)에 의하여 도면에서 화살표(1)방향으로 리세트 동작하고, 다음의 투입스프링(45)의 힘축적 동작에 대비한다.
이어서 재폐로 준비를 위하여 핸들축(34)을 회전하면, 투입레버(31), 투입링크(32) 및 투입아암(35)는 전기한 바와 같이 동작하지만, 조작간(11)의 트랭크핀(10)이 지지링크(20) 및 지지래치(28)에 의하여 멈추고 있음으로 폐로상태의 크랭크핀(10)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도면에서 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이때 트립레버(14)와 연결핀(13)의 걸어맞춤이 해제되어, 지지링크 (20)및 지지레버(19)를 통하여 트립로울러(18), 트립래치(24)가 트랭크핀(10)을 걸어멈춤으로서, 크랭크핀(10)위치를 유지하고 투입스프링(45)에 힘이 축적되어 제5도의 상태가 된다. 트립래치(24)가 도면에서 화살표(m)방향으로 회전하여 트립조작이 시작되면, 트립래치(24)와 트립로울러(18)의 걸어멈춤이 해제되어, 지지래치(28), 지지로울러(22) 및 지지링크(20)으로 형성되어있는 걸어멈춤상태의 지지레버방향의 분력에 의하여, 트립링크(15)는 도면에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트립레버(14)가 도면상 상승되어, 크랭크핀(10)은 트립스프링(12)의 힘에 의하여 연결핀(13) 조작간(11)을 통하여 상방으로 상승되어 진공스위치관(1)의 개로동작이 이루어지며 재차 제3도와 동일한 상태가 된다. 이상태에서 재투입은 투입동작과 같다.
더우기, 제4도 상태에서 트립래치(24)를 회전하고, 트립동작 시킨 경우에도 전술한 바와 같은 개로 동작을 한다. 상기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트립레버 기구부와 크랭크핀을 지지하는 지지링크 기구부를 일체가 되게 링크 결합하고 지지래치를 투입상태로 걸어맞추었기 때문에 지지래치의 걸어맞춤의 타이밍 문제가 없어지며 재폐로를 위한 투입스프링의 힘의 재축적 동작이 시작될때까지만 걸어 맞추면 되므로 용이하게 즉시 투입, 재폐로를 할수 있게 된 안정된 조작기구를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개폐기의 가동접촉자를 구동하는 개페기 구동레버의 일단에 고착되고 접촉자 개방위치에 스토퍼가 있는 크랭크핀의 일단에 끼여있는 조작간과, 이 조작간의 대략중앙부에 돌설된 연결핀에 걸어서 조작간을 일방향으로 힘을 부가하는 개방스프링과, 이 연결핀에 걸어맞추어 상기 조작간을 타방향에 걸어멈추게 하는 제1의 걸어멈춤부와 상기 크랭크핀에 걸어맞추어 조작간을 걸어멈추게 하는 제2의 걸어멈춤부와, 상기 제1의 걸어멈춤부와 걸어맞추어 상기 제1의 걸어멈춤부와 상기 제2의 걸어멈춤부와를 동시에 해제하는 제1의 걸어멈춤해제부와, 상기 제2의 걸어멈춤부와 걸어 맞추어 상기 제2의 걸어멈춤부를 지지하는 제1의 걸어멈춤지지부와를 구비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기 조작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제1의 걸어멈춤부는 그 일단에 설치된 장공에 의하여 조작간의 연결핀과 회전 및 활동 자재하게 걸어맞춘 트립레버와, 일단이 케이스에 설치되고 타단은 상기 트립레버의 타단과 제1의 연결핀을 통하여 지지되는 트립링크와, 상기 연결핀에 끼여있는 트립로울러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 개폐기 조작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제2의 걸어멈춤부는 크랭크핀에 일단이 지지된 지지링크와, 일단이 제1의 연결핀에 끼여있고 타단은 제2의 연결핀을 통하여 상기 지지링크 타단에 연결되는 지지레버와, 상기 제2의 연결핀에 끼여있는 지지로울러로 구성됨을 특징으로한 개폐기 조작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제1걸어멈춤지지부는 일단이 케이스에 고착되고 타단은 지지래치 스프링에 의하여 지지로울러와 걸어맞추게 힘이 부가되는 지지래치와, 상기 케이스에 고착되어 상기 지지래치의 동작위치를 걸어멈추게하는 스토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 개폐기 조작장치.
KR1019830001797A 1982-09-17 1983-04-28 개폐기 조작 장치 KR88000062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7162623A JPS5951414A (ja) 1982-09-17 1982-09-17 開閉器操作装置
JP162623 1982-09-17
JP82-162623 1982-09-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5904A KR840005904A (ko) 1984-11-19
KR880000623B1 true KR880000623B1 (ko) 1988-04-18

Family

ID=157581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30001797A KR880000623B1 (ko) 1982-09-17 1983-04-28 개폐기 조작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S5951414A (ko)
KR (1) KR880000623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5904A (ko) 1984-11-19
JPS637649B2 (ko) 1988-02-17
JPS5951414A (ja) 1984-03-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Z298125B6 (cs) Vypínací zarízení zahrnující mechanický ukazatel trí poloh
KR890005786A (ko) 차단기의 조작기구
KR910002726Y1 (ko) 회로차단기의 전기조작장치
KR880000623B1 (ko) 개폐기 조작 장치
JP2001052589A (ja) 回路遮断器の開閉機構
CA1161470A (en) Electromechanical lid latch assembly
JP2001509943A (ja) 不足電圧補助引外し装置を有する開閉装置
US4260865A (en) Circuit breaker
JP3290088B2 (ja) 回路遮断器
JPH02183933A (ja) 回路遮断器の開閉機構
KR880000625B1 (ko) 개폐기 조작장치
US2784270A (en) Driving mechanisms for circuit breakers
JPH07105796A (ja) 遮断器
JP3804816B2 (ja) 回路遮断器の操作機構
JPH0612592Y2 (ja) 開閉器の操作装置
JP3129583B2 (ja) 回路遮断器の操作機構
JPS6260778B2 (ko)
JPH08287791A (ja) 電力用負荷開閉器の操作装置
JPH08227638A (ja) 開閉操作装置
JPH09237556A (ja) 真空遮断器の操作機構
JPH062185Y2 (ja) しや断器の手動投入装置
JPS642349Y2 (ko)
JPS6136038Y2 (ko)
JPH0869734A (ja) 遮断器の機械的インタロック装置
JPS6262005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410

Year of fee payment: 16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