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70001898B1 - 1-시클로프로필-6,7,8-트리플루오로-1,4-디히드로-4-옥소퀴놀린-3-카르복실산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1-시클로프로필-6,7,8-트리플루오로-1,4-디히드로-4-옥소퀴놀린-3-카르복실산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70001898B1
KR870001898B1 KR1019870001787A KR870001787A KR870001898B1 KR 870001898 B1 KR870001898 B1 KR 870001898B1 KR 1019870001787 A KR1019870001787 A KR 1019870001787A KR 870001787 A KR870001787 A KR 870001787A KR 870001898 B1 KR870001898 B1 KR 8700018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trafluorobenzoyl
cyclopropyl
dihydro
acid
carboxylic ac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700017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그로에 클라우스
페터센 우베
자일러 한스-요아힘
게오르그 메츠게트 칼
Original Assignee
바이엘 악티엔게젤샤프트
요아힘 그램. 루디 마이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DE19833318145 external-priority patent/DE3318145A1/de
Application filed by 바이엘 악티엔게젤샤프트, 요아힘 그램. 루디 마이어 filed Critical 바이엘 악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to KR10198700017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87000189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700018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1898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15/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quinoline or hydrogenated quinoline ring system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Quinoline Compound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1-시클로프로필-6,7,8-트리플루오로-1,4-디히드로-4-옥소퀴놀린-3-카르복실산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1984년 특허원 제7188호의 목적생성물인 7-아미노-1-시클로프로필-6,8-디플루오로-1,4-디히드로-4-옥소퀴놀린-3-카르복실산류의 제조 원료로서 유용한 다음 일반식(Ⅱ)의 1-시클로프로필-6,7,8-트리플루오로-1,4-디히드로-4-옥소퀴놀린-3-카르복실산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Figure kpo00001
본 발명의 방법을 반응식으로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Figure kpo00002
이 반응식에 의하면, 디에틸 말로네이트(2)가 마그네슘 메틸레이트 존재하에 2,3,4,5-테트라플루오로벤조일 클로라이드(1)에 의하여 아실화를 일으켜 아로일말로네이트(3)을 생성시킨다.
상기 반응식에 있어서, 화합물(1) 대신에 2,3,4,5-테트라플루오로벤조일 플루오라이드도 역시 사용될 수 있다.
황산 또는 p-톨루엔술폰산의 촉매량을 사용하는 반응 매질 용액 중에서의 화합물(3)의 부분 가수 분해 및 카르복실 이탈 반응에 의하여 에틸 아로일아세테이트(4)가 양호한 수율로 얻어지는데, 이것은 트리에틸 o-프로메이트/초산 무수물과 반응하여 에틸 2-(2,3,4,5-테트라플루오로벤조일)-3-에톡시-아크릴레이트(5)로 전환된다.
예컨대, 화합물(5)를 염화에틸렌, 알코올, 클로로포름, 시클로 헥산 또는 톨루엔과 같은 용매 중에서 시클로프로필아민과 반응시키면 약한 발열 반응으로 목적하는 중간 생성물(6)이 생성된다.
고리화 반응(6)-(7)은 약60°-300℃, 바람직하게는 80°-180℃의 온도에서 진행된다.
희석제로서는 디옥산, 디메틸술폭사이드, N-메틸피톨리돈, 술폰산, 헥사메틸 인산 트리아미드 및 바람직하게는 N,N-디메틸포름아미드가 사용된다.
이 반응 공정에 있어서, 적합한 산 결합체는 칼륨 tert-부틸레이트, 부틸-리튬, 페닐-리튬, 페닐마그네슘브로마이드, 소듐 메틸레이트, 수소화나트륨, 탄산나트륨, 탄산칼륨인데, 불화칼륨과 불화나트륨이 특히 바람직하다. 10물% 과량의 염기를 사용하는 것이 유리할 수가 있다.
최종 공정에서 일어나는 염기 또는 산성 조건하에서의 화합물(7)의 에스테르 가수 분해 반응에 의해서, 1-시클로프로필-6,7,8-트리플루오로-1,4-디히드로-5-옥소퀴놀린-3-카르복실산(Ⅱ)가 생성된다.
이 합성 과정에서 출발 물질로 사용된 2,3,4,5-테프라플루오로 벤조일 클로라이드(1)은 공지된 방법에 의해서 티오닐 클로라이드를 사용하여 2,3,4,5-테트라플루오로벤조산으로부터 얻을 수 있다(참고문헌, G.G. Yakobson, V.N. Odinokov and N.N. Vorozhtsov jr., Zh. Obsh. Khim. 36, 139(1966)]. 이것의 비점은 75°-80℃/17mbar이다. 2,3,4,5-테트라플루오로벤조일 플루오라이드의 비점은 46°-47℃/20mbar(nD 20: 1.4375)이다.
[실시예 1]
Figure kpo00003
마그네슘 부스러기 24.3g을 무수 에탄올 50ml에 현탁시켰다. 여기에, 사염화탄소 5ml를 첨가시켰다. 반응이 개시될 때, 디에틸 말로네이트 160g, 무수 에탄올 100ml 및 무수 톨루엔 400ml의 혼합물을 50°내지 60℃에서 적가하여, 반응 혼액을50°내지 60℃로 1시간 더 가열시키고, 이어서 드라이 아이스/아세톤으로 -5°내지 -10℃로 냉각시킨다 다음, 여기에 무수 톨루엔 80ml에 용해된 2,3,4,5-테트라플루오로벤조일 클로라이드 212.5g의 용액을 상기 온도에서 서서히 적가하였다. 이 반응 혼액을 0°내지 -5℃에서 1시간 동안 진탕시키고, 실온에서 철야 방치하였다. 얼음 냉각시키면서, 얼음물 400ml와 진한 황산 25ml의 혼합물을 첨가하였다. 각 층을 분리시키고, 톨루엔으로 2회 반복하여 추출시켰다. 한데 모은 톨루엔 용액을 포화 Nacl용액으로 세척하여 Na2SO4로 건조시키고, 용매는 진공 증발로 제거시켰다. 디에틸 2,3,4,5-테트라플루오로벤조일 말로네이트의 조생성물 335g을 얻었다.
p-톨루엔술폰산 0.3g을 물 300ml중의 디에틸 2,3,4,5-테트라플루오로벤조일말로네이트의 조생성물 284.8g의 유탁액에 첨가하였다. 이 혼합물을 격렬하게 진탕시키면서, 5시간 동안 비등가열시켰다. 냉각된 유탁액을 염화메틸레으로 수회 추출시키고, 한데 모은 염화메틸레 용액을 포화 NaCl용액으로 1회 세척하여, Na2SO4로 건조시키고, 이어서 용매를 진공 증발로 제거하였다. 정밀한 진공중에서 잔류물을 분별시킨 결과, 에틸 2,3,4,5-테트라플루오로벤조일-아세테이트 160.2g이 생성되었다. 비점 100-110℃/0.09-0.1mbar. 융점 47°-49℃.
에틸 2,3,4,5-테트라플루오로벤조일아세테이트 110.7g, 트리에틸 o-포르메이트 93.5g및 초산 무수물 107g의 혼합물을 150℃에서 2시간 동안 가열시켰고, 휘발 성분을 진공하에서 워터 펌프로부터 증류하여 제거시키고, 최종적으로 약 120℃의 밴드(band)온도에서 진공 증류시킨 결과, 에틸 2-(2,3,4,5-테트라플루오로벤조일)-3-에톡시-아크릴레이트 조생성물 123.9g이 잔류하였다. 이것의 순도는 후속되는 반응에 사용하기에 충분하였다.
시클로프로필아민 23.2g을 에탄올 250ml중의 에틸 2-(2,3,4,5-테트라플루오로벤조일)-3-에폭시-아크릴레이트 123.9g의 용액에 적가시키는 동시에, 얼음으로 냉각시키면서 진탕시켰다. 발열반응이 약해지게 될 때, 실온에서 1시간 더 진탕시키고, 용매를 진공 중에서 제거시켰다. 잔류물을 시클로헥산/석유에테르로 재결정하여, 에틸 2-(2,3,4,5-테트라플루오로벤조일)-3-시클로프로필아미노-아크릴레이트 115g을 얻었다. 융점 63°-65℃.
불화나트륨 21.2g을 무수 디메틸포름아미드 400ml중의 에틸 2-(2,3,4,5-테트라플루오로벤조일)-3-시클로프로필아미노-아크릴레이트 107.8g의 용액에 첨가하고, 이 혼합물을 환류시키면서 2시간동안 진탕시켰다. 가온된 반응 혼액을 얼음에 부었다. 침전물을 흡인 여과시키고, 물로 충분히 세척하여 100℃의 진공에서 염화칼슘으로 건조시켰다. 에틸 1-시클로프로필-6,7,8-트리플루오로-1,4-디히드로-4-옥소퀴놀린-3-카르복실레이트 91.2g을 얻었다. 융점 167°-168℃.
에틸 1-시클로프로필-6,7,8-트리플루오로-1,4-디히드로-4-옥소퀴놀린-3-카르복실레이트 94g, 빙초산 600ml, 물 450ml및 진한 황산 70ml의 혼합물을 환류시키면서 1.5시간 동안 가열시킨 다음 가온된 현탁액을 얼음에 부었다. 생성된 침전을 흡인 여과하여 물로 행군 다음, 100℃의 진공에서 건조시켰다. 이 방법으로 순수한, 1-시클로프로필-6,7,8-트리플루오로-1,4-디히드로-4-옥소퀴놀린-3-카르복실산 88.9g을 얻었다. 융점 228°-230℃(분해)

Claims (3)

  1. 디에틸 말로네이트를 화마그네슘 메틸레이트 존재하에 2,3,4,5-테트라플루오로벤조일 클로라이드 또는 2,3,4,5-테트라플루오로벤조일 플로오라이드로 아실화시켜 아로일 말로네이트를 얻고, 이것을 촉매량의 황산 또는 p-톨루엔술폰산을 사용하여 수성 반응 매질 중에서 부분 가수 분해 및 카르복실 이탈 반응시켜 아로일 아세테이트를 얻고, 이것을 트리에틸 o-포르메이트/초산 무수물과 반응시켜 에틸 2-(2,3,4,5-테트라 플루오로벤조일)-3-에톡시-아크릴레이트로 전환시킨 다음, 이것을 용매 중에서 시클로프로필아민과 반응시켜서 중간체인 에틸 2-(2,3,4,5-테트라플루오로벤조일)-3-시클로프로필아미노-아크릴레이트를 얻고, 이것을 약 60°내지 300℃의 온도에서 환화 반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음 구조식(Ⅱ)의 1-시클로로-6,7,8-트리플루오로-1,4-디히드로-4-옥소퀴놀린-3-카르복실산의 제조방법.
    Figure kpo00004
  2. 제1항에 있어서, 산 결합체가 불화칼륨 또는 불화나트륨인 것이 특징인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염기를 10물% 과량으로 사용하는 것이 특징인 방법.
KR1019870001787A 1983-05-18 1987-02-28 1-시클로프로필-6,7,8-트리플루오로-1,4-디히드로-4-옥소퀴놀린-3-카르복실산의 제조방법 KR8700018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70001787A KR870001898B1 (ko) 1983-05-18 1987-02-28 1-시클로프로필-6,7,8-트리플루오로-1,4-디히드로-4-옥소퀴놀린-3-카르복실산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833318145 DE3318145A1 (de) 1983-05-18 1983-05-18 7-amino-1-cyclopropyl-6,8-difluor-1,4-dihydro-4-oxo-3-chinolincarbonsaeuren,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sowie diese enthaltende antibakterielle mittel
DEP3318145.4 1983-05-18
KR1019840007188A KR870000921B1 (ko) 1983-05-18 1984-11-16 7-아미노-1-시클로프로필-6,8-디플루오로-1,4-디히드로-4-옥소퀴놀린-3-카르복실산의 제조방법
KR1019870001787A KR870001898B1 (ko) 1983-05-18 1987-02-28 1-시클로프로필-6,7,8-트리플루오로-1,4-디히드로-4-옥소퀴놀린-3-카르복실산의 제조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40007188A Division KR870000921B1 (ko) 1983-05-18 1984-11-16 7-아미노-1-시클로프로필-6,8-디플루오로-1,4-디히드로-4-옥소퀴놀린-3-카르복실산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1898B1 true KR870001898B1 (ko) 1987-10-21

Family

ID=271910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01787A KR870001898B1 (ko) 1983-05-18 1987-02-28 1-시클로프로필-6,7,8-트리플루오로-1,4-디히드로-4-옥소퀴놀린-3-카르복실산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70001898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23635B1 (ko) 4-옥소퀴놀린 화합물 제조 방법
JPS5890557A (ja) 新規な化合物
KR910003616B1 (ko) 할로겐화 퀴놀론 카복실산의 제조방법
JPH0742290B2 (ja) 1,2−ジヒドロ−3H−ピロロ〔1,2−α〕ピロール−1−カルボン酸エステルの5位のアロイル化方法
US6215016B1 (en) Ketone derivatives and medical application thereof
USRE27592E (en) Chxchjxx
KR870001898B1 (ko) 1-시클로프로필-6,7,8-트리플루오로-1,4-디히드로-4-옥소퀴놀린-3-카르복실산의 제조방법
HU204512B (en) New process for producing quinoline-carboxylic acid derivatives
KR910003617B1 (ko) 퀴놀론-및 나프티리돈-카르복실산의 제조방법
JP2886908B2 (ja) 3―クロロ―2,4,5―トリフルオロ安息香酸の改良合成方法
BROWN et al. The synthesis of some substituted 5-bromopentylamine hydrobromides
US4277607A (e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4-chloroquinolines
JPS63264439A (ja) 3,5,6−トリフルオロ−4−ヒドロキシフタル酸の製造法
US4689423A (e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2,3,4,5-tetrafluorobenzoyl acetates
Natelson et al. Synthesis of Derivatives of Symmetrical Diphenylethane Related to Materials Occuring Naturally. III. The Relationship between Benzalphthalide and the Benzylisoquinoline Alkaloids
US4276218A (en) Preparation of dihalogenovinyl-γ-butyrolactones
US4339593A (en) Process for the manufacture of 3,6-dialkyl resorcylic acid esters
IE45345B1 (en) Procress for preparing an acetonitrile derivative
JPS62228038A (ja) 芳香族ケトンの製法
JP3838682B2 (ja) 2−メチル−4−オキソ−2−シクロヘキセンカルボン酸エステル及びその新規中間体の製法
US2248155A (en)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indole acids
JPH0152394B2 (ko)
SU724517A1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 оксиэтилидендифосфоновой кислоты
JP2556330B2 (ja) アニソ−ル誘導体並びにその製造方法
SU720999A3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 -изобутилгидратроповой кислот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926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